KR20090041658A - 신경에 삽입되는 마이크로칩 - Google Patents

신경에 삽입되는 마이크로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658A
KR20090041658A KR1020070107286A KR20070107286A KR20090041658A KR 20090041658 A KR20090041658 A KR 20090041658A KR 1020070107286 A KR1020070107286 A KR 1020070107286A KR 20070107286 A KR20070107286 A KR 20070107286A KR 20090041658 A KR20090041658 A KR 2009004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rve
electrode
electrical stimulation
ho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282B1 (ko
Inventor
홍종일
박승한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2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51Spinal or peripheral nerv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8Electrical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신경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제어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신경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 소자는 신경에 삽입되어 상기 신경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지속적인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모듈 및 외부에서 제공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신호로부터 상기 전기 자극 제어 모듈을 위한 구동 전원을 획득하는 전원 모듈을 구비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 소자는 신경을 죽이지 않고 전기 신호를 획득하거나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안면신경회복, 후두신경회복, 전기 자극, RF 신호, 와이어, 신경

Description

신경에 삽입되는 마이크로칩{Microchip to be inserted in nerves}
본 발명은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신경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제어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신경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근육은 신경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자극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안면 근육 등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근육에 연결되는 신경에 대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종래에 안면 신경 또는 후두 신경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약물 및 수술등의 치료 행위가 이루어졌다. 이 경우 해당 환자들에게는 국부적인 마사지 등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손상된 신경이 복원되는 동안에 주변 신경을 자극하여 손상된 근육을 자극하여 근육의 퇴화를 막기 위함이다.
즉, 안면신경 또는 후두신경마비 환자들에 대한 수술 등으로 인해 근육에 자극이 차단되는 경우, 해당 근육에 손상이 발생하여 영구적인 근육 손상 또는 마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해당 신경 계통에 관련된 근육을 마사지해주거나 외부에서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한편 종래에는 인체에 삽입되어 물리적 자극을 제공하거나 인체 내의 특정 수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소자가 제안되었는바, 이하에서는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거나 전기 자극을 검출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첫째로, 종래에는 뇌간 또는 뉴런 파이버(neuron fiber)의 전기 자극을 검출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미국의 유타 대학의 Normann 그룹과 Cyberkinetics 사에서는 2000년 이후 신경과 뇌에 다수 전극(muilti-electrode)을 직접 삽입함으로써 전기신호를 측정하고 신경을 자극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Normann et. al., Long-Term Stimulation and Recording With a Penetrating Microelectrode Array in Cat Sciatic Nerve,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51, NO. 1, JANUARY 2004). 도 1은 첫 번째 종래 기술에 따른 다수 전극과 이러한 전극이 고양이의 좌골(sciatic) 신경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둘째로, 뉴런 파이버(neuron fiber) 내에 체(sieve) 형태의 전극을 삽입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독일의 Fraunhofer-IBMT, IMTEK 등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뉴런 파이버(Neuron fiber) 내에 구부려지는 체(sieve) 형태의 전극을 삽입하고, 전기 자극을 가함으로써 신경의 재생을 연구하고 있으며, 신경 신호의 기록을 시도하고 있다(Anup et. al., Design, in vitro and in vivo assessment of a
multi-channel sieve electrode with integrated multiplexer, J. Neural Eng. 3 (2006) 114-24). 도 2는 상술한 두 번째 종래 기술에 근거한 체 형태의 전극이다. 전체 체(sieve)의 직경은 쥐의 좌골(sciatic) 신경과 같은 1.5 mm이고, 40 μm 지름을 갖는 571개의 구멍이 70 μm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고리모양의 전극 이 27개의 구멍을 감싸며 면적이 2200 μm2이다.
종래에 근육을 마사지하는 등의 방법은 근육 손상의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에서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방법은 신경에 정교한 전기 자극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경 계통에 지속적으로 전기 자극을 제공하여 근육 손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신경 소자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화된 구조의 신경 소자를 사용하여 근육 손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신경 소자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경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신경 소자를 이용하여 근육 손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신경 소자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 소자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경에 삽입되어 상기 신경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지속적인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모듈 및 외부에서 제공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신호로부터 상기 전기 자극 제어 모듈을 위한 구동 전원을 획득하는 전원 모듈을 구비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는 신경 다발에 대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방법은, 신경 다발의 일부를 절개하는 단계; 및 상술한 신경 소자를 절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는 나노 와이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경은 안면 또는 후두 신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 소자를 사용하면 신경에 지속적으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근육 손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경 소자를 사용하면 신경 내에 마이크로 칩을 삽입하므로 사용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경 소자를 사용하면 복원되는 신경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경 소자는 신경에 삽입되어 지속적인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환자에 대한 치료 행위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신경으로부터 수개월 이상 근육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경에 연결된 근육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향후에 신경 계통이 정상으로 돌아오더라도 근육의 손상으로 인해 근육 마비 등의 장애가 영구하게 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근육 마비가 안면 근육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안면의 마비를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경 소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기간 동안 신경에 전기 자극이 제공될 수 없는 경우에 해당 신경에 삽입되어 지속적인 전기 자극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경 소자를 삽입하는 경우, 신경에 지속적인 전기 자극이 제공되어 근육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향후에 신경이 회복되는 경우, 근육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경 소자는 다양한 근육에 관련된 신경 소자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안면의 마비를 방지하기 위해 안면 신경 또는 후두 신경 삽입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신경 소자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부재의 크기를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수치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경 소자는, 전극(500)과 처리 모듈(5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처리 모듈(510)에는 안테나(410), 전원 모듈(420) 및 전기 자극 제어 모듈(400)이 포함된다.
상기 전극(500)은 판형, 선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500)은 신경(미도시)에 삽입되어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한다.
상기 처리 모듈(510)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410), 상기 안테나(410)로부터 수신한 RF 신 호로부터 전원을 획득하는 전원 모듈(420) 및 상기 전극(500)에 지속적인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모듈(40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자극 제어 모듈(400)은 예를 들어, 수 내지 수십 mA 내외의 전류를 상기 전극(500)에 지속적으로 인가한다. 즉, 전기 자극 제어 모듈(400)은 기설정된 시간 구간에 소전류를 반복적으로 상기 전극(500)에 흘려보내, 신경에 지속적인 전기 자극이 제공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자극 제어 모듈(400)은 2 개월 이상 연속적으로 전기적 펄스(pulse)를 제공한다. 상술한 전기 자극 제어 모듈(400)의 동작으로 인해 신경에 연결된 근육의 손상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자극 제어 모듈(400)의 구동 전원은 상기 전원 모듈(420)로부터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 모듈(510)은 매우 소형의 칩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RF 신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기 자극 제어 모듈(400)은 기설정된 패턴에 따라 전기적 펄스(pulse)를 제공할 수도 있고, 안테나(410)로부터 수신하는 RF 신호에 따라 크기와 지속 시간을 달리하는 전기적 펄스(pulse)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기 자극 제어모듈(400)은 안테나(41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 따라 전기적 펄스를 제공할지 여부, 전기적 펄스의 크기, 지속 시간, 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모듈(510)은 바람직하게 1.0 mm * 1.0 mm 이하의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장치는, 종래에 제안된 집적화 공정을 이용하여 하나의 칩으로 제작 될 수 있으며, 여러 모듈로 분리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5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전극(500)은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형태의 와이어(4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401)는 선형으로 제작되어 신경(402)에 다양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01)는 매크로 단위 사이즈로 제작되거나 나노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401)는 나노 공정으로 제작된다.
종래에는 매크로 단위 사이즈로 제작된 전극을 배열하여 신경에 삽입하였는데, 이 경우 전극이 삽입되는 신경에 손상이 발생하여 신경이 죽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나노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신경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와이어(401)는 지름이 수십 내지 수백 나모미터(nm)에 불과하여 신경(402)의 어느 일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경(402)의 지름은 수 마이크로미터 이상이므로, 상기 나노 와이어(401)가 삽입되어도 신경(402)에 큰 손상을 주지 않는다.
상기 나노 와이어(40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경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 와이어(401)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나노 와이어(401)와 신경(402)이 접촉하는 면적이 최대화되기 쉽기 때문에 신경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나노 와이어(401)가 삽입되는 방향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4b와 같이, 신경(402)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나 노 와이어(401)가 삽입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장치 중에서 전극(500) 부분을 더욱 구체화하여 도시한 일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500)은,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처리 모듈(510)에 연결된다.
도 5의 일례에 따른 전극(500)은, 베이스(501)와 관통 홀(502)과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 및 나노 와이어(50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501)는 판상 또는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처리 모듈(510)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501)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502)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 홀(502)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작이 용이한 원형 형상이나 신경 다발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관통 홀은 바람직하게 수십 마이크로미터에서 수십 나노미터의 지름을 갖는다.
상기 관통 홀(502)의 내주면에는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는 상기 나노 와이어(504)가 일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나노 와이어(504)를 지지한다. 상기 나노 와이어(504)는 상기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일례는 처리 모듈(510)의 일측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500)이 연결되는 일례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처리 모듈(510)에 연결되는 전극(500)의 개수에 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510)의 마주하는 양측에 두 개의 전극(5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도 5의 전극(50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는바, 이하 나노 와이어(504)의 성장 방법과 상기 나노 와이어(504)를 구비한 전극(500)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6a는 촉매를 이용하여 나노 와이어를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 클러스터에 반응물(reactant)을 가하는 경우, 결정핵생성(nucleation) 및 성장(growth)이 이루어져 나노 와이어가 합성된다. 합성된 나노 와이어는 도 6b와 같은 모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나노 와이어는 종래 문헌(Si Nanowire Bridges in Trenches:Integration of Growth into Device Fabrication” Adv. Mater. 17, 2098, 2005)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내용에 의하면 도 6c와 같이 다양한 3차원 구조를 갖는 나노 와이어 제작이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극(500)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상술한 관통 홀(502)과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를 포함하는 베이스(501)는 실리콘과 같은 다양한 소재의 웨이퍼 상에 포토 마스크와 에칭 공정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관통 홀(502)과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를 포함하는 베이스(501)가 형성되면, 상기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가 성장하는 위치에 촉매를 위치시킨다. 예를 들 어,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의 중간 부위에 나노 와이어(504)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의 중간 부위에 나노 와이어(504) 성장을 위한 촉매를 위치시킨다. 상기 촉매는 리소그래피 공정 등을 통해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의 임의의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성장시키려는 나노 와이어(504)의 소재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실리콘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경우에는 Au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가 기판 상에 위치하는 경우 CVD 공정 등을 통해 반응물을 공급하여 나노 와이어(504)를 완성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501),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 및 나노 와이어(504)는 다양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금, 은 및 동과 같이 나노 공정에 의해 나노 소자로 구현될 수 있는 반도체 또는 금속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신경 소자가 신경에 삽입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경소자는 신경에 삽입된다. 신경 소자를 신경에 삽입되기 위해, 신경을 절개하고 절개한 틈 사이에 전극(500)을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신경 다발(601)로 이루어진 신경 섬유(600)를 절개한 후 절개한 부위에 상기 전극(500)을 삽입한다.
상기 전극(500)이 삽입되는 방향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전극(500)에 포함된 나노 와이어(504)가 신경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전극(500)을 삽입한다.
상기 전극(500)이 삽입된 이후에는 절개한 신경을 다시 봉합한다.
절개된 신경이 절개된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에는 신경이 죽는 문제가 발생하나, 절개된 신경은 전극(500)이 삽입된 이후 봉합되므로, 자생적으로 신경의 연결이 복원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502)을 구비하므로, 상기 관통 홀(502)을 통해 절개된 신경 다발이 자생적으로 복원된다.
도 8은 관통 홀을 통해 복원되는 신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으로 절개된 신경 다발(601)은 상기 관통 홀(502)을 통해 복원되는데, 결국 신경 다발(601) 내에 상기 나노 와이어(504)가 신경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다. 도 8의 일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01)에는 관통 홀(502)이 구비되며, 관통 홀(502)의 내주면(505)에는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가 고정되고, 상기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에는 나노 와이어(504)가 고정된다.
상기 신경 다발(601)은 신경 섬유(600) 내에 동일한 방향으로 다수가 존재하므로 상기 나노 와이어(504)는 일정한 방향으로 복수 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경 다발(601) 내에 상기 나노 와이어(504)가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배열 패턴에 따라 상기 나노 와이어(504)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간격에 따라 나노 와이어(504)가 배치될 수도 있고, 특정한 영역에 대해서 밀하게 나노 와이어(504)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상기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가 상기 관통 홀(502)에 고정되는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는 관통 홀(502)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을 갖거나, 다양한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홀(502)의 내주면(505)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베이스(501)의 어느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의 일단은 상기 관통 홀(502)의 내주면(505)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신경 소자는 전기적 자극을 필요로 하는 모든 종류의 신경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안면 신경 또는 후두 신경에 삽입되어 동작을 수행한다. 안면 신경 또는 후두 신경의 마비는 안면 마비의 원인이 되는데, 안면 마비의 경우 다른 근육의 마비에 비해 환자에게 더 큰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소자는 안면 근육 마비의 치료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인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 소자는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 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인정됨이 타당하다.
도 1은 첫 번째 종래 기술에 따른 다수 전극과 이러한 전극이 고양이의 좌골(sciatic) 신경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두 번째 종래 기술에 근거한 체 형태의 전극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신경 소자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신경 소자에 포함되는 나노 와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신경 소자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을 제작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전극이 신경에 삽입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관통 홀을 통해 복원되는 신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상기 나노 와이어 지지대(503)가 상기 관통 홀(502)에 고정되는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0)

  1. 신경에 삽입되어 상기 신경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지속적인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전기 자극 제어 모듈 및 외부에서 제공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신호로부터 상기 전기 자극 제어 모듈을 위한 구동 전원을 획득하는 전원 모듈을 구비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신경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극 제어 모듈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 및 와이어 지지대를 구비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지지대는 상기 관통 홀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거나 상기 관통 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 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소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나노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은 안면 신경 또는 후두 신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극 제어 모듈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소자.
  7. 신경 다발의 일부를 절개하는 단계; 및
    제1 항의 신경 소자를 절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 다발에 대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소자의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다발에 대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 및 와이어 지지대를 구비하는 베 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지지대는 상기 관통 홀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거나 상기 관통 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 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다발에 대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은 안면 신경 또는 후두 신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다발에 대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방법.
KR1020070107286A 2007-10-24 2007-10-24 신경 소자 KR101152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286A KR101152282B1 (ko) 2007-10-24 2007-10-24 신경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286A KR101152282B1 (ko) 2007-10-24 2007-10-24 신경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658A true KR20090041658A (ko) 2009-04-29
KR101152282B1 KR101152282B1 (ko) 2012-06-08

Family

ID=4076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286A KR101152282B1 (ko) 2007-10-24 2007-10-24 신경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2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88B1 (ko) * 2010-11-16 2013-0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모듈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지능형 신경소자
WO2013111985A1 (ko) * 2012-01-27 2013-08-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와이어와 지지층을 포함하는 신경소자
WO2013147331A1 (ko) * 2012-03-27 2013-10-03 (주)루트로닉 신경근 자극기, 신경근 자극기의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26691A1 (en) 2004-10-18 2006-04-27 Louisiana Tech University Foundation Medical devices for the detection,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88B1 (ko) * 2010-11-16 2013-0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모듈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지능형 신경소자
WO2013111985A1 (ko) * 2012-01-27 2013-08-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와이어와 지지층을 포함하는 신경소자
KR101327762B1 (ko) * 2012-01-27 2013-11-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와이어와 지지층을 포함하는 신경소자
US9283386B2 (en) 2012-01-27 2016-03-15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Neural element comprising nanowires and support layer
WO2013147331A1 (ko) * 2012-03-27 2013-10-03 (주)루트로닉 신경근 자극기, 신경근 자극기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282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62B1 (ko) 나노 와이어와 지지층을 포함하는 신경소자
US6829498B2 (en) Device for creating a neural interfa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9420953B2 (en) Method for implanting flexible and scalable sensor arrays into patient tissues
Rousche et al. Flexible polyimide-based intracortical electrode arrays with bioactive capability
US8170638B2 (en) MEMS flexible substrate neural prob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7107097B2 (en) Articulated neural electrode assembly
US8423143B2 (en) Probe device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recording of the activity of excitable cells
KR101704851B1 (ko) 신경 인터페이스 시스템
Bagheri et al. Massively-parallel neuromonitoring and neurostimulation rodent headset with nanotextured flexible microelectrodes
KR100945170B1 (ko) 적어도 하나의 나노 와이어를 이용하는 신경 소자
KR100943415B1 (ko) 나노 와이어를 이용하여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소자
KR101152282B1 (ko) 신경 소자
KR101168939B1 (ko) 관통 비아홀 연결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나노와이어를 이용하는 신경 소자
KR101158775B1 (ko) 나노 와이어와 커프를 활용한 신경 소자
KR101218188B1 (ko) 외부 모듈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지능형 신경소자
KR101917500B1 (ko) 신경 전극 배열체 및 약물 전달을 위한 미세 유체 채널을 포함하는 신경 전극 장치
KR101328006B1 (ko) 유연성 질화갈륨 발광다이오드 소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연성 질화갈륨 발광다이오드 소자
KR101158773B1 (ko) 나노 와이어를 이용한 패치 형태의 신경 소자
US20230064374A1 (en) Apparatus and methods to provide a scalable and flexible high channel density neural interface
Berger et al. Sensor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