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373A - Eco-Friendly Airways Constructed for Easy Transport - Google Patents
Eco-Friendly Airways Constructed for Easy Transpo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41373A KR20090041373A KR1020090025703A KR20090025703A KR20090041373A KR 20090041373 A KR20090041373 A KR 20090041373A KR 1020090025703 A KR1020090025703 A KR 1020090025703A KR 20090025703 A KR20090025703 A KR 20090025703A KR 20090041373 A KR20090041373 A KR 200900413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 underwater beam
- underwater
- downstream
- upstre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3238 esophagus Anatomy 0.000 abstract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고기들이 포획의 위험이나 조류로부터 안전한 상태에서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자유로이 오가도록 하여 생태계를 원활히 보존하기 위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어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ishery that is configured to facilitate movement for smooth conservation of the ecosystem by allowing fish to freely move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underwater beam in a safe state from catching birds or birds.
이러한 본 발명은 수로를 가로질러 수중보를 축조하고, 물고기가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오갈 수 있도록 수중보의 일측에 어도를 형성하는 하천의 어도 구성방법에 있어서, 수중보의 일측 배수측에는 수중보의 높이보다 낮으면서 하류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다단의 어도구조물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축조하고, 수중보와 각 어도구조물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물고기 이동통로를 각각 형성하되, 각 물고기 이동통로의 하단부는 하부에 인접한 다른 어도구조물의 상단부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물고기가 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고기 이동통로를 통해 상방향으로 소상할 수 있도록 하며, 각 물고기 이동통로는 평면상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여 물고기 이동통로 내부의 수압을 물고기가 소상할 수 있는 수압으로 감소시켜 물고기가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자유로이 오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water beam across a channel and forming an esophagus on one side of the underwater beam so that fish can travel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underwater beam, wherein the one side of the underwater beam has a height greater than that of the underwater beam. The lower and lower levels of fish structures are gradually construct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fish passages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underwater beam and each fish structure. The lower part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part of other adjacent adjoining structures so that the fish can be burned upward through the fish moving passage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and each fish moving passage is zigzag in plane. It is configured in the shape so that the water pressure inside the fish passage It decreases in water pressure that can hurt configured to allow fish to freely switch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submerged weir.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어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고기들이 포획의 위험이나 조류로부터 안전한 상태에서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자유로이 오가도록 하여 생태계를 원활히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ishery that is configured to be easy to mov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serve the ecosystem smoothly by allowing fish to freely travel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underwater beam in a safe state from catching birds or birds.
주지하다시피, 수로에는 홍수조절기능과 농업용수의 확보 또는 수로 상류측의 미관 등을 고려하여 수로 상류측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중보 또는 자동수문과 같은 가동보가 설치되는데, 수중보 또는 가동보를 통해 수로가 가로막히게 되면 수중보 또는 가동보를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 사이로 물고기가 이동할 수 없어 생태계가 수중보로 인해 단절되는 단점이 있게 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도 1과 같이 수로(3)를 가로질러 축조되는 수중보(1) 또는 가동보의 일측에는 수중보(1) 또는 가동보를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 사이로 물고기가 오가도록 어도(2)를 형성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수로(3)에 수중보(1)가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As is well known, the channel is equipped with movable beams such as submerged or automatic floodgates to control the low water upstream of the channel, taking into account the flood control function and the securement of agricultural water or the aesthetics upstream of the channel. When block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ish can not move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based on the underwater beams or movable beams, so that the ecosystem is disconnected due to the underwater beams. Therefore, the underwater beams (1) constructed across the
이러한 어도(2)는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그 중간중간에는 수류의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속감소부재(4)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This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어도는 수량이 충분할 때에는 지속적으로 물이 흐 르게 되어 물고기의 소상이 가능하나, 갈수기의 경우에는 어도를 통해 물이 흘러내려갈 수 있을 정도의 수량을 확보하지 못하여 물고기가 수중보 또는 가동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자유로이 오고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게 되며, 수중보 또는 가동보의 하류측에 분포되어 있던 물고기들은 물이 고갈되어 폐사하기도 하였다.However, this common fish can keep the water flowing continuously when the quantity is sufficient, but in the case of the dry season, the fish can not secure enough water to flow through the fish. There is a drawback of not being able to freely mov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fish, and the fish distributed in the submarine or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vable beam were depleted of water and died.
또한, 일반적인 어도를 통해 물고기가 소상할 때에는 불가분 물고기가 수위가 낮은 곳에 노출될 수 밖에 없어 물고기가 어도를 통해 상류로 소상하다가 손쉽게 포획되거나, 조류의 먹이감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fish are injured through a common fishery, inseparable fish have to be exposed to a low water level, and the fish are easily caught upstream through the fishery, or have a disadvantage of being fed by birds.
본 발명은 물고기가 수량에 상관없이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물속에서 자유로이 오갈 수 있도록 하여 수중보의 상하류 생태계를 균형있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물고기가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오갈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포획의 위험이나 조류의 먹이감이 되지 않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어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sh to freely mov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underwater beam, regardless of the quantity, so that the preservation of the ecosystem of the underwater stream can be preserved in a balanced manner, as well as outward when the fish travels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underwater beam.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co-friendly fish that is configured to facilitate movement so that it is not exposed and does not become a danger of capture or bird food.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중보의 배수측에 하류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다단의 어도구조물을 축조하고, 수중보와 어도구조물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면서 그 하단부가 하부로 인접한 다른 어도구조물의 상단부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된 물고기 이동통로를 구성하여 물고기가 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자유로이 오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 multi-stage fishery structur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height toward the drainage side of the underwater beam, and inclined downward to the underwater beam and the fishery structure while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adjacent to the other fishery structure. By constructing a fish movement passag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portion, the fish can freely mov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underwater beam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본 발명은 수중보의 배수측에 다단의 어도구조물이 하류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물이 각 어도구조물의 상단부까지 채워진 상태에 있게 되며, 또한 각 어도구조물과 수중보에 구성된 물고기 이동통로는 하방향으로 경사지면서 그 하단부가 하부로 인접한 다른 어도구조물의 상단부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물고기가 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고기 이동통로를 통해 수중보 상류와 하류 사이를 오갈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multi-stage fish structures on the drainage side of the underwater beam is gradually lowered toward the downstream, so that the water is in the state filled up to the upper end of each fish structure, and also the fish movement passage composed of each fish structure and the underwater beam Is inclined downward and its lower end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of other adjacent structures below, so that fish can travel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underwater beam through the fish movement passage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water.
또한, 물고기 이동통로가 평면상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물고기 이동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물의 수압이 물고기가 소상하기 적당해지게 되어 물고기가 자유로이 물고기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며, 물고기 이동통로가 수중보 또는 어도구조물의 중간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수량이 적더라도 물고기 이동통로를 통해서는 물이 흐를 수 있어 물고기가 폐사할 염려가 없는 것이고, 물고기가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를 오가는 동작이 항상 물속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포획을 당하거나 조류의 먹이감이 될 확률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fish passage has a zigzag shape in the plane,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sh passage becomes suitable for small fish so that the fish can move freely through the fish passage. Or,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ish structure, even though the quantity is small, water can flow through the fish passage so that there is no risk of the fish dying, and the fish moves up and down the underwater beams in the water all the tim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chance of being caught or fed by birds.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가 설치된 하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ver in which the fish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sh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sh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로(30)를 가로질러 수중보(10)를 축조하고, 물고기가 수중보(10)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오갈 수 있도록 수중보(10)의 일측에 어도(20)를 형성하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어도에 관한 것이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the
이러한 어도 구성방법에 있어서, 수중보(10)를 기준으로 배수측에는 수중보(10)의 높이보다 낮으면서 하류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다단의 어도구조물(40)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축조하고, 수중보(10)와 각 어도구조물(40)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물고기 이동통로(11)(41)를 각각 형성하되, 각 물고기 이동통로(11)(41)의 하단부는 하부에 인접한 어도구조물(40)의 상단부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물고기가 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고기 이동통로(11)(41)를 통해 상방향으로 소상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fishery, each of the stages of the
이때, 각 물고기 이동통로(11)(41)는 평면상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여 물고기 이동통로(11)(41) 내부의 수압을 물고기가 소상하기에 적당한 수압으로 감소시켜 물고기가 수중보(10)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자유로이 오갈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fish moving passage (11) (41) is configured in a zigzag shape in the plane to reduce the water pressure in the fish moving passage (11) (41) to a suitable water pressure for the fish to burn out the fish of the underwater beam (10) It can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freely.
즉, 수중보(10)와 어도구조물(40)에 형성된 물고기 이동통로(11)(41)가 어도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수중보(10)에 의해 저수공간에 물이 차올라 수중보(10)에 형성된 물고기 이동통로(11)를 통해 물이 하류측으로 흐르고, 하부로 인접한 어도구조물(40)의 상단부까지 물이 차오르면서 어도구조물(40)에 형성된 물고기 이동통로(41)를 통해 물이 하류측으로 흐르는 작용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flows into the reservoir through the
이때, 수중보(10) 또는 어도구조물(40)에 형성된 물고기 이동통로(11)(41)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평면상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물고기 이동통로(11)(41)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수압이 물고기가 이동하기에 적당한 정도로 감소될 수 있어 물고기의 소상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sh moving passage (11) (41) formed in the underwater beam (10) or the fish structure (4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planar zigzag shape to move through the fish movement passage (11) (41) The water pressure can be reduced to a suitable level for the fish to move so that the fish can be freely made.
또한, 물고기 이동통로(11)(41)의 하단부는 하부로 인접한 다른 어도구조물(40)의 상단부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물고기가 물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부로 소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fish flow passage (11) (41)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of the other
따라서, 물고기가 상류로 소상하거나 하류로 이동할 때 포획을 당하거나 조류의 먹이감이 될 확률이 최소화되는 것이다.Thus, when fish are upstream or downstream, the probability of being caught or feeding on algae is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이동통로(11)(41)는 수중보(10) 또는 어도구조물(40)의 중간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물이 수중보(10) 또는 어도구조물(40)의 상단부까지 차오르지 않더라도 물이 물고기 이동통로(11)(41)를 통해 흐를 수 있어 갈수기에 물고기들이 고립되어 폐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수중보(10)를 통해 항상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어 용수의 확보는 물론 홍수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roper level at all times through the
그리고,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물고기 이동통로(11)(41)에는 끈으로 된 소상조력부재를 구비하여 물고기가 이러한 소상조력부재를 의지한 채 용이하게 소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each fish movement passage (11) (41) is provided with a small fine help member made of a string so that the fish can be easily burned while relying on such a small help aid member Modified embodiments are natural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도구조물(40)은 수중보(10)의 일측에 구비함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어도구조물(40)을 하천의 전단면 전폭에 걸쳐 축조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In addition, the
도 1은 일반적인 어도가 설치된 하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ver installed with a common fish.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가 설치된 하천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ver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sherma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sherma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수중보 11,41 : 물고기 이동통로10:
20 : 어도 30 : 수로20: degree 30: waterway
40 : 어도구조물40: Adobe Structur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5703A KR20090041373A (en) | 2009-03-26 | 2009-03-26 | Eco-Friendly Airways Constructed for Easy Transpo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5703A KR20090041373A (en) | 2009-03-26 | 2009-03-26 | Eco-Friendly Airways Constructed for Easy Transpor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1373A true KR20090041373A (en) | 2009-04-28 |
Family
ID=4076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5703A Ceased KR20090041373A (en) | 2009-03-26 | 2009-03-26 | Eco-Friendly Airways Constructed for Easy Transpo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41373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55487B1 (en) | 2024-07-19 | 2025-01-21 | 주식회사 한성정공 | Smart eco-friendly movable weir with adjustable fishway water level |
-
2009
- 2009-03-26 KR KR1020090025703A patent/KR2009004137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55487B1 (en) | 2024-07-19 | 2025-01-21 | 주식회사 한성정공 | Smart eco-friendly movable weir with adjustable fishway water lev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71955B2 (en) | Bow Fragment Container | |
KR102177002B1 (en) | A fish ladder for migratory fish moving upstream in estuary | |
KR101235400B1 (en) | Eco-friendly safety weir with waterway and fishway | |
KR101119972B1 (en) | Eco-Friendly Structures | |
KR20110116100A (en) | Located in the upstream side of the beam, the fish can move year round even when the water level fluctuates. | |
JP4691218B2 (en) | Tuna farming equipment | |
KR100894871B1 (en) | Edo | |
KR101381901B1 (en) | Submergence type fish way | |
KR20200109120A (en) | Square billboard for political fishing net | |
KR20090041373A (en) | Eco-Friendly Airways Constructed for Easy Transport | |
KR20160139935A (en) | Set net | |
KR20110000468A (en) | Fishing formed inside the dam | |
JP5076145B2 (en) | Tuna culture pond installed on the ground | |
KR100478245B1 (en) | Automatic variable fishway with water level detection | |
KR102130001B1 (en) | catching structure for a elver with resting and catching room. | |
KR101497730B1 (en) | A floodgate of dam with fishway | |
KR100954218B1 (en) | Fishway installation for low water level in liver | |
KR102259684B1 (en) | Water collecting type fish way having water pressure reduction function | |
KR101006099B1 (en) | How to construct a fishery in a river | |
KR101152609B1 (en) | Fishway operated by a hydraulic pressure automatically | |
JP2005210905A (en) | Fish reef for freshwater fish | |
KR200316360Y1 (en) | Underwater-beam construction of river for ecosystem protection | |
KR20190100805A (en) | Drop structure having fish ladder usable as sediment passage | |
KR102004364B1 (en) | moment auto gate with system of control time to open or close when change out side water level and fish way in the water applicated this moment auto gate At coast | |
KR20120002903A (en) | Fish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326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