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813A -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813A
KR20090040813A KR1020070106342A KR20070106342A KR20090040813A KR 20090040813 A KR20090040813 A KR 20090040813A KR 1020070106342 A KR1020070106342 A KR 1020070106342A KR 20070106342 A KR20070106342 A KR 20070106342A KR 20090040813 A KR20090040813 A KR 20090040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elivery
update
serv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8845B1 (ko
Inventor
박종관
박경
김성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10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8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84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 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로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콘텐츠에 대하여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가 포함된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전송관리서버; 및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인지한 단말기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콘텐츠를 송신하는 전송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전송 시스템은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과 콘텐츠 전송 기능을 분리하고, 분리된 콘텐츠 전송 기능을 분산 수행함으로써, 서버 부하를 줄여주고, 신속한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당 서버 또는 해당 기능만 증설 및 보수를 할 수 있게되어, 운영효율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CD, 콘텐츠 전송 분산, 전송관리서버, 전송서버

Description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 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Method, System, Server and Terminal for Dispersing Content Delivery}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 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은 서비스 필요 기능인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과 콘텐츠 전송 기능을 분리하고, 전송관리서버에 따른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에 의해, 콘텐츠 전송 기능이 다수의 전송서버에서 분산 수행됨으로써, 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여주며, 동시에 단말기로 신속하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해당 서버 또는 해당 기능에 대해서만 증설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영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 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네트워크 인프라의 보급 확대로 인해, 사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제공 사업자가 많이 생겨났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콘텐츠 제공 사업자가 운영하는 해당 사이트에 직접 방문함으로써 콘텐츠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에 실시간으로 생산되고 변경되는 정보를 전달하기 방안으로서 웹 신디케이션(Web Syndication)이 절실히 요구되어졌으며, 그러한 웹 신디케이션의 일종으로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및 ATOM 등이 제안되어 표준이 되어졌고, 이러한 RSS 및 ATOM 등으로 인해 콘텐츠의 배포가 가능해졌으며, RSS Reader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를 수집하는 것도 많이 원활해졌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자원이 제한된 이동(Mobile) 환경에서는 RSS/ATOM을 이용해 배포하는 콘텐츠를 PC환경에서와 같이 접근하는 것은 제한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를 위해 수집된 콘텐츠를 최적화된 형태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OMA(Open Mobile Alliance)가 표준화를 추진중인 동적 콘텐츠 전송(Dynamic Content Delivery: DCD, 이하 "DCD"라 칭함)이다.
이러한 DCD가 추구하는 바는 이동 환경에 있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의 취향(Preference)을 반영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전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콘텐츠 전달 기법으로 DCD-1 인터페이스(Interface) 및 DCD-2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풀(Pull) 방식 및 푸쉬(Push)방식이 있다.
DCD 기술은, 기존의 이동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무선인터넷상의 사이트에 접속하고 여러 단계(Depth)를 거쳐 콘텐츠를 찾아가서 보던 방식에 탈피하여, 콘텐츠를 사용자가 어렵게 방문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해 주고, 더불어 사용자의 취향(Preference) 반영을 극대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CD 기술은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로써 수행되는데, 콘텐츠를 전송해주는 서버 역할을 하는 DCD 서버와 콘텐츠를 전송받는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와의 상호 연동에 의해서 수행되며, 이러한 DCD 기술은 DCD 서버와 DCD 클라이언트 간의 주고받는 메시지를 정의하고, 콘텐츠 및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에 대한 프로토콜(Protocol)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DCD 기술에서는 사용자에게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DCD 서버는 여러 단말기들로 콘텐츠를 전송하고, 단말기로 콘텐츠를 실제로 전송하기 전에 콘텐츠 전송에 필요한 여러 절차를 수행하게 되는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과 콘텐츠를 실제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 DCD 기술은, DCD 서버에 대한 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동시에 단말기로 신속하게 콘텐츠를 전송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 전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하나의 서버에서 동시에 수행되었던 서비스 필요 기능인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과 콘텐츠 전송 기능이 전송관리서버 및 전송서버에서 분산되어 수행됨으로써, 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여주며, 동시에 단말기로 신속하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관리서버에 따른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에 의 해, 콘텐츠 전송 기능이 다수의 전송서버에서 분산되어 수행됨으로써, 전송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여주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텐츠 전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하나의 서버에서 동시에 수행되었던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과 콘텐츠 전송 기능이 전송관리서버 및 전송서버에서 분산되어 수행됨으로써,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대한 증설 및 보수시, 해당 서버 또는 해당 기능에 대해서만 증설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대한 운영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로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콘텐츠에 대하여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가 포함된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전송관리서버; 및 상기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인지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 콘텐츠가 포함된 전송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송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로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관리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 에 대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전송서버 정보 저장부; 및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기저장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상기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관리서버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전송관리서버 및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가 포함된 콘텐츠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에 있어서,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관리서버로 송신하여,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 콘텐츠별로 콘텐츠 ID 및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전송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업데이트 요청 관리부; 및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ID 마다,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콘텐츠 ID에 연계된 상기 전송서버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전송서버로 송신하여 해당 업데이트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받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전송관리서버 및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가 포함된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전송관리서버가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업데이트 요청 수신 단계; (b) 상기 전송관리서버가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 콘텐츠별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 및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전송서버 할당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전송서버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전송서버는, 해당 콘텐츠 ID에 관련된 업데이트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업데이트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콘텐츠 분산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전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하나의 서버에서 동시에 수행되었던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과 콘텐츠 전송 기능이 전송관리서버 및 전송서버에서 분산되어 수행됨으로써, 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여주며, 동시에 단말기로 신속하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전송관리서버에 따른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에 의해, 다수의 전송서버에서 콘텐츠 전송 기능이 분산되어 수행됨으로써, 전송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콘텐츠 전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하나의 서버에서 동시에 수행되었던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과 콘텐츠 전송 기능이 전송관리서버 및 전송서버에서 분산되어 수행됨으로써,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대한 증설 및 보수시, 해당 서버 또는 해당 기능에 대해서만 증설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대한 운영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서버가 단말기로 콘텐츠를 제공해주었던 반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할 콘텐츠 전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은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과 단말기에서 업데이트되도록 실제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기능으로 분리되어 수행되는데, 첫 번째의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은 전송관리서버(110)에서 수행되고, 두 번째의 콘텐츠 전송 기능은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120)에서 수행된다.
도 1에서처럼, 콘텐츠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서버(120)는 전송서버 1, 전송서버 2 및 전송서버 3등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 의 전송서버(120) 중 하나의 전송서버가 단말기(100)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는 전송관리서버(110)가 다수 전송서버(120) 중 콘텐츠를 전송할 전송서버를 단말기로 알려줌으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대한 특징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전송관리서버(110)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과 전송서버(120)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전송 기능을 분리하여 수행하고, 전송관리서버(110)의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에 의거하여 다수의 전송서버(120)에서 콘텐츠 전송 기능이 분산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송관리서버(110)와 단말기(100)간에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을 위한 플로우가 수행되며, 전송서버 1, 전송서버 2 및 전송서버 3 등을 포함하는 전송서버(120)와 단말기(100)간에 콘텐츠 전송 기능을 위한 플로우가 수행된다.
이상에서 간략하게 설명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대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로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은, 단말기(10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콘텐츠에 대하여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가 포함된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전송관리서버(110) 및 전송관리서버(110)로부터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인지한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업데이트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업데이트 콘텐츠가 포함된 전송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송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 전송관리서버(110) 및 전송서버(1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기(100)가 수신할 콘텐츠인 업데이트 콘텐츠가 둘 이상인 경우, 전송관리서버(110)는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각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여, 개별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이렇게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로 송신한다.
즉, 전송관리서버(110)는 단말기가 업데이트받을(수신할) 콘텐츠가 복수라고 판단되면, 각 콘텐츠마다 전송할 전송서버(120)에 대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해줌으로써, 이를 제공받은 단말기는 전송관리서버(110)가 알려준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전송서버(120)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전송관리서버(110)는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송서버(120) 중에서 콘텐츠를 전송할 전송서버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는 전송서버들(120)에 대한 콘텐츠 전송상태정보 및 콘텐츠 저장상태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전송서버(120)는 모두 동일한 콘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일부만 동일한 콘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고, 전부 다른 콘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전송관리서버(110)는 전송서버들(120)에 대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인지하고 있으며, 전송서버에 각기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도 인지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송관리서버는 서비스할 콘텐츠를 분류하여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송 서버에 분산 저장해두도록 관리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관리서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로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관리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에 대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전송서버 정보 저장부(111) 및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기저장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고,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112)는 단말기로 업데이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해당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업데이트 알림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Push 방식에 의해 송신되고, 메시지 유형을 정의하는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링크드 식별자인 링크드(Linked) ID 및 이러한 업데이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송관리서버에 대한 주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112)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 유형을 정의하는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메시지 식별자인 메시지 ID, 세션 식별자인 세션 ID, 링크드 식별자인 링크드(Linked) ID, 업데이트 이유를 명시하는 요청 트리거(Request Trigger), 콘텐츠 ID, 콘텐츠 수신 여부를 명시하는 수락 플래그 및 채널 ID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단말기가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고자 한다면,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 ID에 해당 ID를 명시하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 된다.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112)는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콘텐츠 전송 기능을 수행할 전송서버를 결정하기 위하여,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기저장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게 되는데, 이때 업데이트 콘텐츠별 전송서버 결정 기준이 되는 정보가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이며, 이러한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는 콘텐츠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에 대한 콘텐츠 전송상태정보 또는 콘텐츠 저장상태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112)가 특정 업데이트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전송서버가 하나뿐이라고 판단되면, 하나뿐인 전송서버를 콘텐츠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서버로 결정하고, 이에 대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해당 특정 업데이트 콘텐츠에 할당하게 된다. 만약,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112)가 특정 업데이트 콘텐츠 를 저장하고 있는 전송서버가 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이러한 둘 이상의 전송서버 중에서 콘텐츠 전송 기능을 수행할 전송서버를 전술한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둘 이상의 전송서버 중에서 현재 가장 콘텐츠 전송상태가 좋은, 즉 전송 부하가 적은 전송서버를 콘텐츠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서버로 결정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112)가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기저장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함으로써,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콘텐츠 전송 기능을 수행할 전송서버를 결정하고 난 이후,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게 되는데, 도 10을 참조하면, 콘텐츠 리스트는 전송서버 주소정보는 물론, 업데이트 콘텐츠 별 콘텐츠 ID 및 콘텐츠 사이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의 콘텐츠 리스트는 다시 업데이트 리스트에 포함되고, 도 9에서처럼 이러한 업데이트 리스트는 콘텐츠 리스트이외에도 업데이트 콘텐츠가 포함된 채널에 대한 식별자인 채널 ID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112)는 전술한 업데이트 리스트를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업데이트 리스트 이외에도 프리미티브 타입, 메시지 ID, 세션 ID, 결과 및 요금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관리 서버(110)에 포함된 전송서버 정보 저장부(111) 및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112)는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추진중인 표준기술인 DCD(Dynamic Content Delivery)에서의 DCD 서버(Server)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받는 단말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송관리서버 및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가 포함된 콘텐츠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100)는,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관리서버로 송신하여,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 콘텐츠별로 콘텐츠 ID 및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전송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업데이트 요청 관리부(101) 및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콘텐츠 ID 마다, 전송 요청 메시지를 콘텐츠 ID에 연계된 전송서버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전송서버로 송신하여 해당 업데이트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 관리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업데이트 요청 관리부(101) 및 콘텐츠 수신 관리부(102)는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추진중인 표준기술인 DCD(Dynamic Content Delivery)에서의 DCD 클라이언트(Client)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송관리서버 및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가 포함된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송관리서버가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업데이트 요청 수신 단계(S400), 전송관리서버가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 콘텐츠별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고, 이렇게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 및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로 송신하는 콘텐츠 전송 관리 단계(S402) 및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전송서버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전송서버는 해당 콘텐츠 ID에 관련된 업데이트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업데이트 콘텐츠를 해당 단말기로 송신하는 콘텐츠 전송 단계(S404)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전술한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단말기가 콘텐츠 1 및 콘텐츠 2를 업데이트하게 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송관리서버는 사용자에게 업데이트할 콘텐츠가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업데이트 알림 메시지를 단말기로 송신(S500)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S502)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송관리서버는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S502)하면, 업데이트할 콘텐츠에는 콘텐츠 1과 콘텐츠 2가 있음으로 인지하고,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1에 대한 전송서버를 전송서버 1로 결정하고, 콘텐츠 2에 대한 전송서버를 전송서버 2로 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콘텐츠 1에 대한 전송서버 주소정보가 URL1으로 할당되고, 콘텐츠 2에 대한 전송서버 주소정보가 URL2로 할당(S504)된다. 이렇게 할당된 정보들은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고, 다시 업데이트 리스트에 포함되고, 이렇게 생성된 업데이트 리스트를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해당 단말기로 송신(S506)하게 된다.
이상의 절차는 전송관리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의 수행을 위한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에 대한 설명이며, 이를 통해, 업데이트 콘텐츠인 콘텐츠 1과 콘텐츠 2에 대하여, 콘텐츠 전송 기능을 수행할 전송서버가 업데이트 콘텐츠별로 결정되게 된다.
단말기는 전송관리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콘텐츠별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인지하게 된 이후, 업데이트 콘텐츠별로 해당 전송서버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전송서버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업데이트 콘텐츠 중 하나인 콘텐츠 1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URL1에 해당하는 전송서버 1로 송신(S508)하여, 콘텐츠 1이 포함된 전송 응답 메시지를 수신(S510)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업데이트 콘텐츠 중 또 다른 하나인 콘텐츠 2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URL2에 해당하는 전송서버 2로 송신(S512)하여, 콘텐츠 2가 포함된 전송 응답 메시지를 수신(S514)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단말기는 콘텐츠 1 및 콘텐츠 2를 포함하는 모든 업데이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콘텐츠를 업데이트하여 대기화면 또는 화면표시부에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단말기는 전송서버 1 및 전송서버 2로부터 각각 콘텐츠 1 및 콘텐츠 2를 전송받았음을 전송관리서버로 알리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송관리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완료 요청 메시지(S516)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완료 응답 메시지를 송신(S518)하게 되어, 단말기로의 콘텐츠 업데이트 과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 서비스 기술에 적용되어, 콘텐츠 전송 시스템은 서비스 필요 기능인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과 콘텐츠 전송 기능을 분리하고, 전송관리서버에 따른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에 의해, 콘텐츠 전송 기능이 다수의 전송서버에서 분산 수행됨으로써, 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여주며, 동시에 단말기로 신속하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효과가 있으며,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대한 증설 및 보수시, 해당 서버 또는 해당 기능에 대해서만 증설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대한 운영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관리서버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받는 단말기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을 위한 업데이트 알림 메시지에 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을 위한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을 위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 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을 위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업데이트 리스트에 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을 위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업데이트 리스트 내 콘텐츠 리스트에 대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단말기
101: 업데이트 요청 관리부
102: 콘텐츠 수신 관리부
110: 전송관리서버
111: 전송서버 정보 저장부
112: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
120: 전송서버

Claims (13)

  1. 단말기로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콘텐츠에 대하여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가 포함된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전송관리서버; 및
    상기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인지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업데이트 콘텐츠가 포함된 전송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전송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관리서버는,
    상기 업데이트 콘텐츠가 둘 이상인 경우,
    각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는,
    전송서버들에 대한 콘텐츠 전송상태정보 및 콘텐츠 저장상태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관리서버.
  4. 단말기로 콘텐츠 전송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관리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에 대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전송서버 정보 저장부; 및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기저장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업데이트 콘텐츠마다 상기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관리서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송 분산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로 업데이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관리서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알림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Push 방식에 의해 송신되고, 메시지 유형을 정의하는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링크드 식별자인 링크드(Linked) ID 및 상기 전송관리서버에 대한 주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관리서버.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 유형을 정의하는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메시지 식별자인 메시지 ID, 세션 식별자인 세션 ID, 링크드 식별자인 링크드(Linked) ID, 업데이트 이 유를 명시하는 요청 트리거(Request Trigger), 콘텐츠 ID, 콘텐츠 수신 여부를 명시하는 수락 플래그 및 채널 ID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관리서버.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에 대한 콘텐츠 전송상태정보 및 콘텐츠 저장상태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관리서버.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리스트는,
    상기 업데이트 콘텐츠 별로, 콘텐츠 ID 및 콘텐츠 사이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관리서버.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리스트는,
    상기 업데이트 콘텐츠가 포함된 채널에 대한 식별자인 채널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관리서버.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프리미티브 타입, 메시지 ID, 세션 ID, 결과 및 요금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전송관리서버.
  12. 전송관리서버 및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가 포함된 콘텐츠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에 있어서,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관리서버로 송신하여,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 콘텐츠별로 콘텐츠 ID 및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전송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업데이트 요청 관리부; 및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ID 마다,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콘텐츠 ID에 연계된 상기 전송서버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전송서버로 송신하여 해당 업데이트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기능을 제공받는 단말기.
  13. 전송관리서버 및 하나 이상의 전송서버가 포함된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전송관리서버가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업데이트 요청 수신 단계;
    (b) 상기 전송관리서버가 전송서버 할당기준정보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 콘텐츠별로 전송서버 주소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전송서버 주소정보 및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가 포함된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전송서버 할당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전송서버 주소정보에 해당하는 전송서버는, 해당 콘텐츠 ID에 관련된 업데이트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업데이트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콘텐츠 분산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KR20070106342A 2007-10-22 2007-10-22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 KR101128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6342A KR101128845B1 (ko) 2007-10-22 2007-10-22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6342A KR101128845B1 (ko) 2007-10-22 2007-10-22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813A true KR20090040813A (ko) 2009-04-27
KR101128845B1 KR101128845B1 (ko) 2012-03-23

Family

ID=4076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06342A KR101128845B1 (ko) 2007-10-22 2007-10-22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99B1 (ko) * 2011-10-18 2014-10-16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837B1 (ko) * 2005-12-20 2008-01-14 박영욱 실시간 상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99B1 (ko) * 2011-10-18 2014-10-16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의 스크랩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스크랩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845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318B1 (ko) 사용자의 콘텐츠 사용정보 수집을 위한 방법 및 서버
US8788694B2 (en) Content update from a server to a client terminal in a dynamic content delivery (DCD) system
CN103069755B (zh) 使用多个客户端实例的即时消息传送的方法和系统
KR101165746B1 (ko) 푸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1925045B (zh) 一种提供用户业务数据的方法及系统
EP1473949A2 (en) Provision of a content delivery service to a user in a mess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20110018248A (ko) 단말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4093118A (zh) 一种资源通告的方法、机器对机器节点和系统
CN113596191A (zh) 一种数据处理方法、网元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CN113572835B (zh) 一种数据处理方法、网元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KR101207132B1 (ko) 차별화된 콘텐츠 표현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시스템,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단말기
KR20120128025A (ko) 피드백 메시지를 이용한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546775A (zh) 一种cdn中的节点及其自组网方法
JP2003179606A (ja) マルチキャストアドレス割当装置、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マルチキャストアドレス割当方法、情報配信方法、マルチキャストアドレス割当プログラム、情報配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001103B1 (ko) 전자장치, 서버 및 시스템의 제어방법
CN102439946B (zh) 数据传输方法和设备
KR20070060991A (ko)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8845B1 (ko)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
CN112788135B (zh) 资源调度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4836678A (zh) 基于网络选择及时间安排的消息传输方法及节点设备
JP2004192077A (ja) 分散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キスト対応ブローカリング方法
KR100640512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에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128021A (ko) Id 기반의 라우팅을 이용한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421599B2 (ja) マルチキャストアドレス割当装置、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マルチキャストアドレス割当方法、情報配信方法、マルチキャストアドレス割当プログラム、情報配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415002B1 (ko)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그를 위한 단말기 및 dcd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