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800A - 실시간 응답식 문제풀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응답식 문제풀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800A
KR20090040800A KR1020070106321A KR20070106321A KR20090040800A KR 20090040800 A KR20090040800 A KR 20090040800A KR 1020070106321 A KR1020070106321 A KR 1020070106321A KR 20070106321 A KR20070106321 A KR 20070106321A KR 20090040800 A KR20090040800 A KR 20090040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check
correct answer
test
cor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장석
Original Assignee
(주)고시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시가이드 filed Critical (주)고시가이드
Priority to KR1020070106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0800A/ko
Publication of KR2009004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6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handling markup languages, e.g. XSL, XML, HT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단방향 오프라인 시험형식의 모의고사를 탈피하여 실시간으로 문제에 대한 답을 체크하고 체크함과 동시에 입력한 답에 대한 정답 또는 오답 메시지가 나오며, 문제에 대한 정답률, 정답인원, 오답률, 오답인원, 각 항목별 체크인원을 막대 그래프와 수치를 이용한 통계로 나타내고, 정답을 표시하고 또한 정답에 대한 해설을 보여주는 방식의 실시간 응답 체크 프로그램이다.
또한 시험 중 자기가 실시한 문제에 대해서는 폰트 칼라를 다르게하여 확인을 할 수 있고, 또한 응시자가 실시한 문제와 같은 분류의 문제는 문제 생성시 입력한 코드와 연동되어 어디에서나 실시한 응답식 문제풀이 프로그램 하단에 자동으로 뿌려진다.
또한 운영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텍스트 형태의 광고를 삽입할 수 있어서 마케팅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그리고 학습자 입장에서는 한 문제씩 풀고, 답을 바로 확인하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게 문제를 풀고 바로 답을 확인하고 그 와 동시에 다양한 통계를 보면서 커뮤니티에 참여하면서 공부를 하기 때문에 학습 성취도를 높일 수 있도록 만든 학습프로그램이다.
Figure 112007075513451-PAT00001
실시간 응답 문제풀이, 실시간 모의고사, 실시간 문제풀이, 인터넷모의고사, 일일모의고사, 일일일문, 모의고사시스템

Description

실시간 응답식 문제풀이 시스템{real-time processing explanation system}
본 발명은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 망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벼운 구조로 설계가 되었다.
그러나 기능적인 부분에서는 우수하다고 자부한다. 기존의 모의고사는 20문제, 40문제등으로 출제하고 그 문제를 다 풀고 난 뒤에만 결과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실시간 응답형 문제풀이 시스템은 게임식으로 문제풀이를 가볍게 풀어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제를 생성하는 부분에도 컴퓨터 운용이 좀 서툰 사람들을 위한 문제와 해설을 이미지로 작업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한 기능과, 어느 정도 컴퓨터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이 웹에디터나 HTML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업 할 수 있는 기능, 또 상기 두 가지 형태를 접목하여 작업할 수 있는 기능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을 하였다.
그리고 응답자가 답을 선택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정답률, 정답확인, 응시한 인원등의 데이터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웹사이트에서 본 발명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내부 마케팅을 용이하게 진행 할 수 있도록 마케팅기능적인 부분에도 간단한 코딩을 통해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하였다.
위에서 언급했지만 본 발명의 최대 주안점은 공부의 재미에 있다. 어떻게하면 문제를 재미있게 풀고 그 결과에 대해서 흥미를 가지고 자기 것으로 소화할 수 있는가에 대해 가장 신경을 썼다.
첫째. 문제를 연계하여 한 문제씩 재미있게 문제를 푼다. 여러 문제를 많은 시간을 할여해서 푸는 것이 아니라 한 문제씩 바로바로 풀고 정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통계, 데이터의 실시간화이다. 한 문제를 품과 동시에 그 결과가 바로 뿌려지고, 현재 응시인원 및 각종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보여진다.
셋째. 문제와 해설의 생성의 용이하다. 즉 문제를 만드는 부분을 간소화하여 누구든 쉽게 문제를 만들어 수 있도록 하였다. 이미지, 텍스트, 혼합 형태 등으로 선택하여 만들어 수 있다.
넷째. 마케팅 도구로서의 역할. 이 시스템은 무료로 실시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리고 문제를 풀이할 때마다 새 창이 뜬다. 그래서 해당 분야의 배너 및 텍스트 형태의 광고가 용이하다.
상기 시스템은 시험의 특성상 장시간 시험을 치고, 그 결과에 대한 답을 일괄 보게 되는 부분을 단시간, 1분 이내에 시험을 마치고 결과를 보고, 같은 문제에 대한 결과를 인터넷상의 수많은 같은 시험을 준비하는 수많은 사람들과 바로 비교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기반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공통관심사의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여 표본 데이트를 높일 수 있어 그 결과가 흥미롭니다. 또한 해당 문제에 대한 커뮤니티 기능이 있어 문제와 시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시간과 공간의 차원을 넘어 공유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래서 지루한 공부를 한 문제 한 문제 부담없이 풀면서 공부의 재미를 붙일 수 있을 것이다.
이 시스템을 교육현장에서 활용하면 쪽지시험의 효과도 볼 수 있다.
반 그룹과 학생 개인별 계정을 만들어 문제 빨리 풀이하기 등의 게임을 하면서 해당 그룹에서 정답률이 어떻게 되는지, 무슨 문제를 가장 많이 틀리고 어려워 하는지등의 결과를 바로 확인하여 수업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구성을 보면 문제를 입력하는 문제 생성부(10)와 문제를 풀이하는 문제 풀이부(24), 관련문제를 DB에서 분류하여 불러오는 부분(20,21), 정답 여부를 실시간 확인하는 정답확인 부분(30), 문제의 결과 및 통계가 저장되는 문제결과 DB부분(40)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10)에서와 같이 관리자(문제 생성자)는 관리자 모드에 로그인하여 문제를 생성한다. 문제 생성은 문제 제작, 해설 제작, 정답 입력등의 작업을 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한 문제는 DB서버의 문제DB(20)에 저장이 된다. 이렇게 저장된 문제는 정책에 따라 무료로 누구나 응시할 수 있다. 문제를 풀려는 사람은 풀려고 하는 문제를 선택한다.(도.4)(22) 시험을 선택하고 문제를 선택한 후 정답을 선택한다. 그 시험과 문제는 문제DB(20)에서 불러 오게 된다. 정답을 선택함과 동시에 정답과 해설이 보여지는 페이지 하단에 관련 문제(21)가 뿌려진다. 이용자는 여기서 문제를 풀고 쉽게 다른 문제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풀이를 한 문제는 폰트칼라가 다르게 뿌려져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문제의 답을 선택하면 실시간으로 정답(31)인지, 오답(32)인지 확인이 된다. 정, 오답이 확인이 됨과 동시에 문제에 대한 해설이 뿌려지고, 본인이 입력한 답이 뿌려지고, 각 보기 번호의 선택인원과 선택률이 숫자와 막대 그래프로 뿌려진다. 이 부분은 문제결과 DB(40)의 문제 생성시 저장해 놓은 결과를 호출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답과 조회를 하는 과정이다.
운영자가 사용하는 문제 생성부(도.2)는 이 발명품의 관리자 모드에서 진행이 되게 된다. 문제 생성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제입력(10a)을 하고, 카테고리를 선택(10b)하게 된다. - 여기서 카테고리는 통칭이므로 시험분류, 종목등의 이름으로 문제를 제작하는 운영자의 환경에 맞추어 편하게 만들면된다. 일단 이 발명품에서는 카테고리라 칭한다.
카테고리가 선택이 되면 문제의 타이틀을 입력(10c)한다. 타이틀은 한눈에 어떤 주제로 진행되는 시험인지를 알 수 있도록 작성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10월 10 일 일일문제풀이” 이런 식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문제의 질문 부분을 입력(10d)한다. 질문을 입력할 때는 운영자의 편의대로 텍스트, html, 이미지등 다양한 형태로 입력 방법을 선택(10d-1)하여 입력을 하면 된다. 문제 입력작업이 끝나면 바로 해설 입력(10e)을 하게 된다. 해설 입력 역시 텍스트, html, 이미지등의 형태로 선택(10e-1)하여 입력하면 된다. 해설 입력을 마치면 정답 번호(10f)를 입력하게 된다. 정답 번호는 그냥 숫자로 입력을 하면 된다. 정답 입력을 최종 결과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정확히 입력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보기개수를 입력(10g) 한다. 보통의 문제가 4지 선다형 또는 5지 선다형으로 되어 있다. 이 부분은 그 보기 개수의 숫자를 적는 부분이다. 이렇게 하면 출제를 하고자 하는 문제의 생성 작업이 마무리된다. 여기서 지금까지 등록한 문제를 문제DB(20)에 저장을 하거나 수정을 하게 된다. 물론 다시 입력을 할 수도 있다. 문제 등록을 마친 후 수정의 과정도 위와 동일하다. 등록/수정의 버튼의 기능은 그 상황에 따라서 결정이 된다.
주로 사용자가 사용하게 될 문제풀이부(도면.3)는 실제로 사용자가 아주 가볍게 문제를 풀 수 있는 과정이다. 일단 본 발명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문제를 선택하고 정답을 입력(24)하게 된다. 기능적으로는 아주 간단하다. 정답만 선택하고 확인하고 통계만 보면 끝난다. 그러나 여기서는 그 내부 시스템과 연관된 DB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답을 선택하여 입력(24)하게 되면 새 창으로 결과가 뿌려진다.(도.6) 결과페이지에는 수험정보의 DB(n01)에서 수험정보(n01a)등이 출력이 된다. 이 부분은 얼마든지 DB를 작업하기 나름이다.
정답은 문제 결과 DB를 통해 처리(24a)가 된다. 그리고 바로 정답확인(30) 작업으로 들어가 정답(31)인지 오답(32)인지 바로 결과가 뿌려진다. 정답이면 “정답입니다.” 오답이면 “답이 틀리셨습니다.”의 메시지가 뿌려지게 된다. 그리고 입력한 답은 정답이든, 오답이든 문제결과 DB의 통계 부분에 저장이 된다. 그리고 통신에 (42)의 문제, 해설, 정답이 출력이 된다. 동시에 해당 문제에 대한 통계가 이루어지고 수치와 그래프로 나타나게 된다.
통계부분은 각 보기 번호를 선택한 사람의 숫자와 백분율, 그리고 막대그래프로 표시를 한다. 정답보기와 오답보기의 칼라를 다르게하고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보기 싶게 노출하였다.
그리고 같은 페이지에 해당 문제에 대해서 토론을 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기능(b01)을 만들어 문제를 풀이한 사람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고 공유하고 직접 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관련된 문제를 하단에 나열하여(도.6) 계속 이동하면서 다양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문제 생성 및 입력부의 순서 및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문제풀이 부분의 시스템 구성 및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제 완성되어서 운영되는 샘플의 한 장면으로서 문제 리스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제 완성된 문제 입력부의 예이다.
도6은 본 발명품의 핵심인 문제 출력부의 한 장면으로서 도면3의 전체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제를 생성하고 입력하는 부분
20 : 생성된 문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40 : 문제풀이의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n01 : 수험정보의 데이터베이스 저장소
b01 : 문제를 풀고 문제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티 게시판

Claims (2)

  1. 실시간 응답식 문제풀이 시스템? 말 그대로 한 문제 한 문제를 바로 풀고, 바로 답과 해설을 확인(30, 42)하고, 통계(43)에 대한 결과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관련된 문제를 문제DB(20)에서 가져와 뿌려준다.
  2. 도표3의 수험정보(n01a)의 콘텐츠를 문제풀이 화면에서 동시에 이용자들에게 제공을 한다. 단순히 시험공부만 하는 것이 아니고, 연계된 관련 정보도 같이 열람할 수 있는 것이다. 기존의 경우 문제에 이런 식의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는 찾아 볼 수 없다.
KR1020070106321A 2007-10-22 2007-10-22 실시간 응답식 문제풀이 시스템 KR20090040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321A KR20090040800A (ko) 2007-10-22 2007-10-22 실시간 응답식 문제풀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321A KR20090040800A (ko) 2007-10-22 2007-10-22 실시간 응답식 문제풀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800A true KR20090040800A (ko) 2009-04-27

Family

ID=4076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321A KR20090040800A (ko) 2007-10-22 2007-10-22 실시간 응답식 문제풀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08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604A (ko) 2014-04-08 2015-10-1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지식기반 공유 스마트 러닝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604A (ko) 2014-04-08 2015-10-1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지식기반 공유 스마트 러닝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eece et al. Designing and evaluating online communities: research speaks to emerging practice
Belanger Theorizing i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using focus groups
Kou et al. Supporting distributed critique through interpretation and sense-making in an online creative community
García-Peñalvo et al. Study of the usability of the WYRED Ecosystem using heuristic evaluation
McCarthy Teacher candidates’ perceptions of scientists: images and attributes
Jurado et al. Cole-programming: Shaping collaborative learning support in eclipse
Tikkanen Concern or confidence? Adolescents' identity capital and future worry in different school contexts
Borgo et al. Crowdsourcing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mises and pitfalls
Spyridakis et al. Internet-based research: Providing a foundation for web-design guidelines
Lee et al. Social learning constructs and employee learning performance in informal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Riihiaho Experiences with usability testing: Effects of thinking aloud and moderator presence
Stikkolorum et al. Uncovering Students' Common Difficulties and Strategies During a Class Diagram Design Process: an Online Experiment.
Esteban et al. Measuring Social Capital and Support Networks of Young Immigrants.
Vatrapu et al. Cultural influences in collaborative information sharing and organization
Varsaluoma Approaches to Improve User Experience in Product Development: UX Goals, Long-Term Evaluations and Usage Data Logging
Steinmacher et al. Increasing the self-efficacy of newcomers to Open Source Software projects
KR20090040800A (ko) 실시간 응답식 문제풀이 시스템
Sunal et al. Counselor education doctoral students’ research self-efficacy: A systemic perspective
Guo et al.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satisfaction research in 2011–2022: A systemic review based on bibliometric and content analysis
Nguyen Whose knowledge counts in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s: Examining the AHELO epistemic community of economics experts
García-Holgado et al. Study of the Usability of the WYRED Ecosystem Using Heuristic Evaluation
Benda et al. Usability analysis of agricultural portal eAGRI in terms of the general public
Salminen et al. Picturing the fictitious person: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images on user perceptions of AI-generated personas
Eriksson Considerations When Visualizing Information for a Non-interactive Dashboard: A study about what aspects to keep in mind when designing a non-interactive dashboard
Frankford Scientific methods to evaluate the effect of new web-features on user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