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226A - 휴대용 칫솔살균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칫솔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226A
KR20090038226A KR1020070103614A KR20070103614A KR20090038226A KR 20090038226 A KR20090038226 A KR 20090038226A KR 1020070103614 A KR1020070103614 A KR 1020070103614A KR 20070103614 A KR20070103614 A KR 20070103614A KR 20090038226 A KR20090038226 A KR 2009003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portable
sterilizer
main body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0071B1 (ko
Inventor
신충식
Original Assignee
에센시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센시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센시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0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살균램프에 의해 칫솔을 살균하는 칫솔 살균기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가 상부에 결합을 이루며, 칫솔이 삽입되어 별도의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살균램프에 의해 칫솔의 살균을 이루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을 이루는 하부케이스로 구성된 것으로서, 여행시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칫솔, 살균램프, 휴대용 전지, 자외선, 접촉스위치

Description

휴대용 칫솔살균기{A sterilizer for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립형을 이루어 칫솔에 묻은 물기의 배출 및 건조가 용이하며,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고, 개인 칫솔의 살균이 용이하며, 여행시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칫솔살균기는 칫솔의 개별 수납과 함께 내부에 장착된 살균램프를 통해 칫솔모를 살균시켜줌으로써, 개인 위생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칫솔은 칫솔모에 치약을 묻혀 양치질을 함으로써 치아 및 구강을 청결하게 하여 치아 및 구강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칫솔은 직접적으로 치아 및 구강에 접촉하므로 칫솔의 위생상태가 중요한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보편적인 칫솔의 보관은 양치질을 한 후 칫솔꽃이에 보관하는 것이나 양치질시 칫솔모에 묻은 치약이나 물기에 의해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할 우려가 매우 높아 사용자가 칫솔의 재사용시 칫솔모에 증식된 세균에 의해 치아 및 구강이 세균에 감염되어 치아 및 구강 또는 인체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칫솔의 위생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칫솔을 수납하고, 자외선을 이용 칫솔을 살균하기 위한 칫솔 살균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 살균기는 거치형으로 다수의 칫솔을 수납하여 살균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개인 사용자 단독 또는 여행시에는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휴대가 간편하고 개인 사용자가 단독으로 간편하게 칫솔을 살균할 수 있는 휴대용 칫솔살균기가 사용되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칫솔살균기(1)는 하부케이스(10)와,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케이스(20), 및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상단을 개폐되는 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외주에 일정 높이 세워지는 외주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면 상방 중앙에는 걸이공(1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외주벽의 중앙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된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후면 양측단 각각에는 힌지돌기(17)가 돌출된다.
아울러, 바닥면 후단부에는 휴대용 전지를 수납 가능하도록 개폐판이 구성된 전지수납구와, 상기 전지수납구의 상방에 위치되고, 살균램프(14)와 터치스위치(18)가 구성된 살균수단(16)이 수납되는 살균수단수납구(1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살균수단(16)은 터치스위치(18)가 눌림될 때, 온(ON) 신호가 되어 휴대용 건전지에서 전원을 인가받고 이를 통해 살균램프(14)를 점등시키는 회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적 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터치스위치(18)의 눌림이 해제되면 오프(OFF)신호가 회로에 전달되고, 이를 통해 휴대용 전지에서 인가된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살균램프(14)가 소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상면(21)과 상기 상면(21)의 외주 하방으로 세워지는 외주벽(23)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벽(23)의 전면 중앙부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상면(2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칫솔(4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수납공간(22)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22)은 칫솔모(42) 부분이 수납되는 칫솔모수납구(22a)와, 상기 칫솔모수납구(22a) 하방으로 칫솔대(44)가 수납되는 손잡이수납구(22b)로 구분된다.
특히, 상기 칫솔모수납구(22a)의 후방에는 살균램프(14)의 자외선이 토출되는 자외선토출구(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22)에 수납되는 칫솔(4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칫솔모수납구(22a)와 손잡이수납구(22b) 사이에는 지지부재가 구성된다.
상기 커버(30)는 후방 양측에 힌지공(34)이 형성되고, 상면의 어느 일측에는 통기공(32)이 형성되며, 전면부 하단 중앙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된 열림돌기가 형성되고, 내측 면에는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공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30)의 내측 어느 일측에는 돌출공(25)을 통해 일부가 돌출된 터치스위치(18)를 누름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누름돌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칫솔살균기(1)의 결합관계를 보면, 휴대용 건전지 및 살균수단(16)이 수납된 하부케이스(10)의 상방으로 상부케이스(20)를 안착시켜 고정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양측에 돌출된 힌지돌기(17)로 커버(30)의 힌지공(34)이 삽입되어 힌지 고정됨으로써, 상기 커버(30)가 힌지돌기(34)를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상방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관계를 통해 구성된 칫솔살균기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30)를 회동시켜 상부케이스(20)의 상방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케이스(10)의 지지부재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열림돌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회동력에 의해 상부케이스(20)의 걸림돌기에서 커버(30)의 걸림공이 이탈되고, 상기 커버(30)는 계속적인 회동력에 의해 힌지돌기(17)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부케이스(20)의 상방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된 상부케이스(20)의 상방을 통해 수납공간(22)으로 칫솔(40)을 수납하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개방된 상부케이스(20)의 상방을 닫힘하고자 할 경우에는 커버(30)에 반대의 회동력을 가하면, 상기 회동력에 의해 상기 커버(30)는 힌지돌기(17)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이 회동력으로 상기 커버(30)는 상부케이스(20)의 상방을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닫힘되는 커버(30)의 내측에는 누름돌기가 형성되고, 이 누름돌기는 상부케이스(20)의 돌출공(25)에 일부가 돌출된 터치스위치(18)를 누른다.
더불어, 상기 눌림된 터치스위치(18)에 의해 살균수단(16)은 휴대용건전지에서 전원을 인가받고 이를 통해 살균램프(14)가 점등되며, 상기 점등된 살균램프(14)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은 자외선토출구(24)를 통해 칫솔모수납구(22a)의 내부를 살균하게 되므로, 상부케이스(20)의 수납공간(22)에 수납된 칫솔(40)의 칫솔모(42)를 살균하게 된다.
상기에 기술된 종래의 휴대용 칫솔 살균기는, 사용이 완료된 칫솔은 특히 칫솔모 부분에는 치약성분이 함유된 다량의 물기가 묻혀있고, 이러한 상태로 칫솔살균기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칫솔모의 물기는 칫솔모수납구의 바닥면에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인 물은 상기 살균램프의 열에너지에 의해 일부는 증발되며, 일부는 화학반응에 의해 상기 칫솔모수납구 바닥면에 증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손잡이수납구로 흘러 바닥면에 증착되어 장시간 사용시 칫솔모수납구와 손잡이수납구가 잔량의 물기에 의해 바닥면을 오염시키게 됨에 따라 살균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휴대용 칫솔살균기는 함체 형상으로 칫솔의 개인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중점적으로 개발됨에 개인 칫솔의 살균 및 위생적인 보관은 용이할 수 있으나, 양치 후 입안 세정을 위해 별도의 컵을 준비하거나 또는 타 사용자가 사용한 컵을 이용하여 입안을 세정해야되는 위생적인 개인 관리가 어려워 별도의 세정컵을 준비해야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칫솔살균기는 함체 형상을 가짐이 주로 이용됨에 따라 보관에 따른 사용면적이 넓어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고, 사용자의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립형을 이루어 칫솔에 묻은 물기의 배출 및 건조가 용이하며, 원통 또는 타원형을 이루어 사용자에 게 심미감을 주고, 개인 칫솔의 살균이 용이하며, 별도의 세정컵이 필요가 없고, 여행시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칫솔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칫솔 살균을 위한 살균램프가 구비된 칫솔 살균기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가 상부에 결합을 이루며, 칫솔이 삽입되어 별도의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살균램프에 의해 칫솔의 살균을 이루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을 이루는 하부케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에 살균램프가 수용된 램프부와; 상기 램프부 하부에 위치되어 일체를 이루며, 칫솔의 삽입을 이루기 위한 삽입공이 타측에 통공되고, 외주면 일측에 접촉스위치가 구비된 칫솔삽입부; 및 상기 칫솔삽입부 하부에 구비되고, 휴대용 전지가 수용되어 휴대용 전지에 의한 전원이 발생하는 전원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하부 외주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되고, 저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칫솔의 삽입시 칫솔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칫솔헤더지지대가 탈착을 이루게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칫솔 삽입부의 삽입공에 칫솔몸체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지닌 연질의 칫솔몸체지지부재가 결합을 이루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감지센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된 칫솔 삽입부의 삽입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넷 이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칫솔 살균기는, 상부케이스를 세정컵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세정컵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상부케이스가 살균램프에 의해 살균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휴대용 칫솔살균기가 직립형을 이루므로 칫솔모의 물기가 밑으로 흘러 하부케이스에 구비된 배출공으로 배출을 이루고, 통기공에 의해 하부케이스 및 칫솔몸체의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휴대용 칫솔살균기가 직립을 이루고, 원형 또는 타원의 형상을 이루어 칫솔살균기의 거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심미감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칫솔 살균기에 구비된 접촉스위치 또는 감지센서에 의한 손쉬운 살균램프의 점등 및 상기 살균램프가 소정의 시간경과 후 살균램프 소등에 의해 휴대용 전지의 효율을 최대화되므로, 사용자의 휴대용 전지 교환 횟수를 줄여 사용의 간편함과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휴대용 칫솔에 구비된 칫솔헤더지지대 또는 칫솔몸체지지부재에 의해 칫솔헤더가 지지 되어 불필요한 부분의 살균을 방지하고, 칫솔모만 용이하게 살균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칫솔살균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살균기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상부 케이스가 결합 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상부 케이스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칫솔살균기(1000)는, 상부케이스(100)와, 본체(200)와, 하부케이스(300)로 구성된다.
상부케이스(100)는 원형을 이루고, 본체(200)와 상호 나사결합을 이루어 고정되며,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케이스(100)가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자외선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불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부케이스(100) 하부에 적어도 둘 이상 다섯 이하의 통기공(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칫솔모의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체(200)는, 상부로 돌출된 램프부(210)와, 칫솔이 삽입되는 칫솔삽입부 (220)와, 살균램프(212)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램프부(210)는, 상기 칫솔삽입부(220) 일측 상부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에 자외선을 발산하기 위한 살균램프(212)가 구비되며, 상기 살균램프(212)의 자외선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214)이 램프부(21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살균램프(212)의 자외선을 발산하기 위해 개방부(215)가 상기 칫솔삽입부(220) 내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반사판(214)에 의해 증폭된 자외선이 용이하게 발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칫솔삽입부(220)는, 상부가 소정의 기울기를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칫솔삽입부(220)의 기울기 상부로 소정의 길이를 이루어 돌출된 램프부(210)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램프부(210)와 대응되어 칫솔이 삽입을 이루는 삽입공(222)이 칫솔삽입부(220) 기울기 하부로 편심되게 구비되며, 상부케이스(100)와 상호 나사 결합을 이루기 위한 나사(미부호)가 칫솔삽입부(220) 위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상호 나사 결합을 이루게 구비되며, 상기 칫솔삽입부(220) 하부로 나사(미부호)가 더 구비되어 하부케이스(300)와 상호 나사결합을 이루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삽입부(220)는 하부에 휴대용 전지(232)가 수용되는 전원부(230)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휴대용 전지(232)가 수용되고 전지덥개(234)에 의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칫솔삽입부(220) 상부와 상부케이스(100)가 상호 나사 결합시 눌림되는 접촉스위치(224)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스위치(224)는 칫솔삽입부(220) 상부에 구비된 나사(미부호)에 구비된 요홈(223)에 결합을 이루어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케이스(100)의 결합시 상부케이스(100)에 의해 눌림으로 접촉스위치(224)가 온 되어 상기 칫솔삽입 부(220)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225)가 살균램프(212)의 점등을 이룬다.
아울러, 감지센서(226)가 더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00)가 본체(200)에서 분리된 상태라면 상기 접촉스위치(224)에서의 온 신호가 제어부(236)에 전송되어도 살균램프(212)가 점등되지 않고, 상기 상부케이스 (100)가 상기 본체(200)에 결합 된 상태에서 살균램프(212)가 점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센서(226)는, 본체(200)에서 상부케이스(1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살균램프(212)의 점등으로 자외선에 의한 상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감지센서(226)는, 근접센서 또는 리드스위치 등의 다양한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촉스위치(224) 또는 감지센서(226)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둘중 하나 또는 둘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25)는, 칫솔삽입부(220) 내부에 구비되어 접촉스위치(224) 또는 감지센서(226)에 의해 전원부(230)에 구비된 휴대용 전지(232)의 전원을 인가하여 램프부(210)의 살균램프(212)을 점등하고, 살균램프(212)의 점등 후 소정 시간경과 후 살균램프(212)가 소등을 이루게 구성되는 것으로 제어부(225)의 구성은 보편적인 회로의 구성에 의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케이스(300)는, 상기 본체(200)의 칫솔삽입부(220) 하부에 결합을 이루고, 상기 하부케이스(300) 저면에 다수의 배출공(304)이 구비되어 칫솔의 물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비되며, 하부 외주면으로 다수의 통기공(302)이 구비되어 칫솔의 물기가 용이하게 건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00), 본체(200), 하부케이스(300)가 상호 결합을 이루어 원기둥 형상을 이루게 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휴대용 칫솔살균기(1000)의 상호 결합시 도면에 도시된 나사결합은 물론이고, 걸림턱(미도시) 또는 억지끼움에 의해 상호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램프부(210)의 하부 또는 칫솔삽입부(220) 상부에 결합홈(216)을 더 구비하여 상기 결합홈(216)에 일측이 삽입고정되고, 칫솔의 헤더를 지지하기 위한 홈이 타측에 함몰되게 구비된 칫솔헤더지지대(227)가 상기 결합홈(216)에 삽입고정을 이루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칫솔삽입부(220)에 구비된 삽입공(222) 하부에 억지끼움을 이루고, 소정의 탄력을 지닌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등의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중앙이 통공된 칫솔몸체지지부재(228)가 칫솔몸체를 소정의 탄력으로 지지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칫솔몸체 지지부재(228)의 중앙에 구비된 통공(미부호)은 다수의 조각을 이루게 구비되어 각각의 조각이 벌어짐으로 용이하게 칫솔의 몸체를 지지하고, 물기의 배출 및 건조가 이루어 지게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칫솔헤더지지대(227) 또는 상기 칫솔몸체 지지부재(228)는 둘 중 하나 또는 둘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이다.
상기 본체(200)의 칫솔삽입부(220) 외주 일측에는 끈 등을 묶을 수 있는 고리(229)가 더 구비되어, 휴대용 칫솔 살균기(1000)의 분실 방지 또는 휴대의 간편 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결합관계 및 작용효과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칫솔살균기(1000)는, 본체(200)의 상부에 상부케이스(100)가 결합을 이루고, 상기 본체(200) 하부에 하부케이스(300)가 결합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을 본체(200)의 칫솔삽입부 (220)에 구비된 삽입공(222)에 삽입을 이루고, 상부 케이스(100)가 상기 본체(200)와 상호 결합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호 결합을 이룬 휴대용 칫솔살균기(10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에 구비된 램프부(210)가 상부로 돌출되어 칫솔헤더의 칫솔모가 상기 램프부(210)와 상호 대응되게 위치되며, 상기 램프부(210)의 살균램프(212)는 본체(200)에 구비된 칫솔삽입부(220)에 구비된 접촉스위치(224)가 상부케이스(100)에 의해 눌림 되어 제어부(225)에 전원의 인가를 이루고, 상기 제어부(225)는 접촉스위치(224)의 신호에 따라 본체(200) 하부에 구비된 전원부(230)의 휴대용 전지(232)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램프부(210)의 살균램프(212)가 점등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살균램프(212)는 제어부(225)에 의해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소등을 이룬다.
한편, 상기 칫솔삽입부(220)에 감지센서(226) 더 구비되어 상기 본체(200)에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미결합시 외부 충격에 의해 접촉스위치(224)가 누름을 이 루더라도 상기 감지센서(226)가 상부케이스(100)의 미결합을 인식하여 제어부(225)가 살균램프(212)의 점등을 이루지 못하도록 하여 살균램프(212)의 점등에 의한 자외선 노출에 따른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램프부(210)의 살균램프(212)는, 램프부(210) 내측에 구비된 반사판(214)에 의해 자외선이 증폭되어 램프부(210)의 개방부(215)로 자외선이 발산되어 칫솔헤더의 칫솔모가 살균을 이루는 것이며, 상기 상부케이스(100) 또한 살균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편적인 성인 칫솔은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의해 지지 되는 것이며, 칫솔 및 칫솔헤더의 칫솔모에 잔류한 물기는 칫솔몸체를 따라 흘러 하부케이스(300) 저면에 구비된 다수의 배출공(304)으로 외부배출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칫솔삽입부(220)의 상부가 소정의 기울기를 이루므로 휴대용 칫솔살균기(1000)에 칫솔의 삽입시 외부의 물기는 칫솔삽입부(220)의 상부 기울기를 따라 흘러 삽입공(222)에 의해 하부케이스(300)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300) 하부에 구비된 다수의 통기공(302)에 의한 통기에 의해 칫솔의 건조를 용이하게 이루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램프부(210) 또는 칫솔삽입부(220)에 구비된 고정홈(216)에 일측이 삽입고정을 이루고, 타측에 구비된 홈에 칫솔헤더가 걸림되는 칫솔헤더지지대(227)에 의해 칫솔헤더가 걸림 지지 되어 칫솔모가 살균램프(212)에 의해 용이하게 살균을 이루는 것으로 아동용 칫 솔헤더 또는 전동칫솔에 탈착되는 전동칫솔 헤더 등을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칫솔헤더 지지대(227)는, 칫솔의 삽입시 칫솔몸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칫솔의 삽입시 칫솔몸체에 의해 휘고, 칫솔의 삽입 후 칫솔헤더를 걸림 지지하기 위하여 원상태로 복귀를 이룰 수 있는 소정의 탄력을 이룬 합성수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칫솔삽입부(220)에 통공된 삽입공(222) 하부에 칫솔몸체지지대(228)가 억지끼움을 이루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공 하부에 억지끼움을 이루고, 중앙이 통공(미부호)을 이루어 칫솔몸체가 상기 통공(미부호)에 끼워져 지지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살균기의 제 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제 1 실시 예와 그 구성 및 작용효과가 대동소이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부케이스(100)와, 본체(200)와, 하부케이스(300)가 타원을 이루어 결합 되고, 상기 본체(200)의 칫솔삽입부(220)에 구비된 다수의 삽입공(222)을 형성하여, 상기 다수의 삽입공(222)을 통해 다수의 칫솔을 삽입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 또는 면도기와 같은 개인 휴대 물품을 수납할 뿐만 아니라 살균 처리함에 따라 위생적인 개인 사물관리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살균기의 제 2 실시 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칫솔살균기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와 그 구성 및 작용효과가 대동소이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램프부(210)가 칫솔삽입부(220) 중앙에 위치되고, 칫솔삽입부(220)의 삽입공(222)이 양방향으로 구비되어 램프부(210)가 양방향으로 자외선을 발산하여 다수의 칫솔 또는 개인 휴대 물품을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칫솔살균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살균기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부 케이스가 결합 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상부 케이스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살균기의 제 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살균기의 제 2 실시 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상부케이스 200: 본체
210: 램프부 212: 살균램프
214: 반사판 216: 결합홈
220: 칫솔삽입부 222: 삽입공
223: 요홈 224: 접촉스위치
225: 제어부 226: 감지센서
227: 칫솔헤더 지지대 228: 칫솔몸체 지지부재
229: 고리 230: 전원부
232: 휴대용 전지 234: 전지덥개
300: 하부케이스 302: 통기공
304: 배출공 1000: 칫솔살균기

Claims (7)

  1. 칫솔 살균을 위한 살균램프가 구비된 칫솔 살균기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100)와;
    상기 상부케이스(100)가 상부에 결합 되며, 칫솔이 삽입되어 별도의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살균램프(212)에 의해 칫솔의 살균을 이루는 본체(200); 및
    상기 본체(200) 하부에 결합을 이루는 하부케이스(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살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는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에 살균램프 (212)가 수용된 램프부(210)와;
    상기 램프부(210) 하부에 위치되어 일체를 이루며, 칫솔의 삽입을 이루기 위한 삽입공(222)이 타측에 통공되고, 외주면 일측에 접촉스위치 (224)가 구비된 칫솔삽입부(220); 및
    상기 칫솔삽입부(220) 하부에 구비되고, 휴대용 전지(232)가 수용되어 휴대용 전지(232)에 의한 전원이 발생하는 전원부(23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살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하부 외주면에 다수의 통기공(302)이 구비되고, 저면에 다수의 배출공(30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살균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는 칫솔의 삽입시 칫솔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칫솔헤더 지지대 (227)가 탈착을 이루게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살균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는 칫솔 삽입부(220)의 삽입공(222)에 칫솔몸체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지닌 연질의 칫솔몸체 지지부재(228)가 결합을 이루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살균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에 감지센서(22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살균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에 구비된 칫솔 삽입부(220)의 삽입공(2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넷 이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1020070103614A 2007-10-15 2007-10-15 휴대용 칫솔살균기 KR100980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614A KR100980071B1 (ko) 2007-10-15 2007-10-15 휴대용 칫솔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614A KR100980071B1 (ko) 2007-10-15 2007-10-15 휴대용 칫솔살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226A true KR20090038226A (ko) 2009-04-20
KR100980071B1 KR100980071B1 (ko) 2010-09-06

Family

ID=4076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614A KR100980071B1 (ko) 2007-10-15 2007-10-15 휴대용 칫솔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0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077B1 (ko) * 2011-12-23 2013-06-03 이준호 차량용 칫솔 소독기
CN106667612B (zh) * 2017-01-21 2018-06-29 东莞市力博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牙刷组件和电动牙刷消毒充电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449B1 (ko) 2018-01-16 2020-02-17 김하림 캐트리지형 다용도 살균 건조기
KR102568660B1 (ko) 2021-03-10 2023-08-21 윈이엠텍 주식회사 슬라이딩 방식의 칫솔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759Y1 (ko) * 2002-02-16 2002-07-23 박광수 휴대용 살균 치솔 세트
KR100940560B1 (ko) * 2006-02-06 2010-02-18 에센시아주식회사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0416383Y1 (ko) * 2006-03-03 2006-05-15 에센시아주식회사 칫솔살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077B1 (ko) * 2011-12-23 2013-06-03 이준호 차량용 칫솔 소독기
CN106667612B (zh) * 2017-01-21 2018-06-29 东莞市力博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牙刷组件和电动牙刷消毒充电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071B1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36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oothbrush sanitization and storage
US7838846B2 (en) Rocking toothbrush sanitizer
KR100980071B1 (ko) 휴대용 칫솔살균기
KR100709560B1 (ko) 세정용 컵을 일체로 구비한 양치수단 보관용 케이스
KR20070079285A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110070119A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101799015B1 (ko) 칫솔 살균 소독기
KR100916746B1 (ko) 고 휘도 uv-led 램프와 은 나노 및 광 촉매를 활용한휴대용 복합 살균기
KR20080013646A (ko) 칫솔을 내장한 휴대용 칫솔살균장치
KR20130021158A (ko) 자외선 살균 칫솔 뚜껑
KR200209537Y1 (ko) 젖병 소독기
KR200434651Y1 (ko) 칫솔을 내장한 휴대용 칫솔살균장치
JPH0622871A (ja) 殺菌灯付き歯ブラシケース
KR200437195Y1 (ko) 칫솔겸용 혀 클리너 살균기
KR20200035598A (ko) 칫솔모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칫솔 커버
KR200421614Y1 (ko) 휴대용 의치 살균 보관함
KR100951612B1 (ko) 용기에 수납되어 건조되는 칫솔
CN201098380Y (zh) 牙刷紫外线消毒盒
KR102390915B1 (ko) 칫솔과 컵이 포함된 자외선 살균기
KR200277091Y1 (ko)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KR200329837Y1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CN212415568U (zh) 消毒牙刷杯
CN211132280U (zh) 一种便携式牙具消毒器
KR200190280Y1 (ko) 휴대용 칫솔케이스
KR102660201B1 (ko) 유아용 살균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