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186A - Solar cell module - Google Patents

Solar cel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186A
KR20090038186A KR1020070103553A KR20070103553A KR20090038186A KR 20090038186 A KR20090038186 A KR 20090038186A KR 1020070103553 A KR1020070103553 A KR 1020070103553A KR 20070103553 A KR20070103553 A KR 20070103553A KR 20090038186 A KR20090038186 A KR 20090038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silicon layer
layer
type
sola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5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59067B1 (en
Inventor
홍진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70103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067B1/en
Publication of KR2009003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1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0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A solar cell module is provi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by using an incident light from the upper part and a reflection light from the lower part. A plurality of solar cells(100) is arranged In order to reflect an incident light from an upper part to a reflector(400) at lower part. A protective film(200) performs a role of protecting the surface of a unit solar battery, and the upper side protective film(2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solar battery. A lower protective film(230) is formed at the lower-part of a unit solar battery, and a supporter(300) supports the solar cell module while being formed on the upper side protective film. The reflector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a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nd reflects the incident light to the unit solar cell.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Solar Cell)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면적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rge area solar cell.

태양전지는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Solar cells are devices that convert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s.

태양전지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태양전지는 P(positive)형 반도체와 N(negative)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PN접합 구조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태양광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상기 반도체 내에서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하고, 이때, PN접합에서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서 상기 정공(+)는 P형 반도체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자(-)는 N형 반도체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위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원리이다.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solar cell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solar cell has a PN junction structure in which a P (positive) type semiconductor and a N (negative) type semiconductor are bonded to each other. Holes and electrons are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by the energy of the incident solar light. At this time, the holes (+) are moved toward the P-type semiconductor by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in the PN junction. Negative (-) is the principle that the electric potential is generated by moving toward the N-type semiconductor to generate power.

이와 같은 태양전지는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Such solar cells may be classified into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물질 자체를 기판으로 이용하 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다. The substrate type solar cell manufactures a solar cell u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silicon as a substr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는 단결정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조한 경우와 다결정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조한 경우가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ubstrate type solar cell may be manufactured using a single crystal silicon wafer or may be manufactured using a polycrystalline silicon wafer.

상기 단결정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판형 태양전지는 순도가 높고 결정결함밀도가 낮은 고품위의 단결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너무 고가이기 때문에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 다결정실리콘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판형 태양전지는 상대적으로 저급한 재료와 저가의 공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효율은 다소 떨어지지만 생산비가 적게 들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Substrate-type solar cells manufactured using the single crystal silicon wafer have advantages of high efficiency because they use high quality single crystals with high purity and low crystal defect density, but are not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because they are too expensive.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manufactured using the polysilicon wafer is relatively low in efficiency due to the use of relatively low cost materials and low cost processes, but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due to low production costs.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는 유리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박막의 형태로 반도체를 형성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으로서,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고 저가의 재료를 이용하므로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The thin-film solar cell is a solar cell manufactured by forming a semiconductor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a substrate such as glass,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thin thickness and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because it uses a low-cost material.

한편, 이와 같은 태양전지가 각광을 받게 되면서, 대량생산에 적합하면서 대면적화가 가능한 태양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uch solar cells are in the spotlight, solar cell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nd capable of large area are demanded.

그러나, 태양전지의 대면적화를 위해서는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의 경우 대면적의 실리콘웨이퍼를 제작해야 하는데 그에 대한 어려움이 있고,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의 경우도 대형의 증착 장비 등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for the large area of the solar cell, a large area silicon wafer must be manufactured in the case of the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the thin film type solar cell also requires a large deposition equipment. There is an increasing disadvant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은 면적의 실리콘웨이퍼 또는 박막 기판을 적절한 방법으로 모듈화함으로써 대면적의 실리콘웨이퍼 또는 박막 기판을 이용한 대면적의 태양전지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a large area solar cell using a large area silicon wafer or thin film substrate by modularizing a small area silicon wafer or thin film substrate in an appropriate man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cell module that can implement the effec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부에서 입사되는 입사광 및 하부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용하여 전지를 구현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열된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 사이의 이격된 영역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을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battery by receiving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upper side and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side,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provides a solar cell modul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including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incident light incident to the spaced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to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상기 반사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돌출구조물, 및 상기 돌출구조물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형성된 반사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eflective plate may be formed of a substrate, protrusion structur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refle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an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including the protrusion structures.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투명한 상면보호필름 및 하면보호필름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보호필름의 상부에는 투명한 지지체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Upper and lower protective films and a lower protective film may be further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nd a transparent support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rotective film.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 및 상기 반사판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nd the reflect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 및 상기 반사판 사이에 간격유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 및 상기 반사판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A spac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nd the reflector, and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nd the reflect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pacing member.

상기 단위 태양전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박막태양전지, 및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박막태양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nit solar cell may include a substrate, a first thin film solar cell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thin film solar cell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제1박막태양전지는 상부에서 하부로 제1전면전극, 제1반도체층, 및 제1후면전극이 차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박막태양전지는 상부에서 하부로 제2후면전극, 제2반도체층, 및 제2전면전극이 차례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thin film solar cell is formed by sequentially forming a first front electrode,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first back electrode from an upper part to a lower part.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front electrode may be sequentially formed.

상기 제1반도체층 및 제1후면전극 사이에 제1후면반사층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반도체층 및 제2후면전극 사이에 제2후면반사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back reflection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back electrode, and a second back reflection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back electrode.

상기 제1반도체층은 상부에서 하부로 P형 실리콘층, I형 실리콘층, 및 N형 실리콘층이 차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반도체층은 상부에서 하부로 N형 실리콘층, I형 실리콘층, 및 P형 실리콘층이 차례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by sequentially forming a P-type silicon layer, an I-type silicon layer, and an N-type silicon layer from top to bottom,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from an N-type silicon layer and an I-type silicon from top to bottom. A layer and a P-type silicon layer may be formed in this order.

상기 단위 태양전지는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 및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전면전극 및 후면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nit solar cell may include a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PN structure, and a front electrode and a rear electrode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of the PN structure, respectively.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는 P형 다결정실리콘층,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층 상면에 형성된 N형 다결정실리콘층, 및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층 하면에 형성된 P+형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N structure semiconductor wafer may be formed of a P-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an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and a P + 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는 N형 다결정실리콘층, 상기 N형 다결정실리콘 층 상면에 형성된 P형 다결정실리콘층, 및 상기 N형 다결정실리콘층 하면에 형성된 N+형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N structure semiconductor wafer may include an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a P-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and an N + -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 및 전면전극 사이에 전면반사방지층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 및 후면전극 사이에 후면반사방지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A front antireflection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ront electrode of the PN structure, and a back antireflection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back electrode of the PN structur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작은 면적의 실리콘웨이퍼 또는 박막 기판으로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를 형성한 후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를 배열하여 모듈화함으로써, 대면적화를 위한 공정장비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대면적 태양전지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with a silicon wafer or a thin film substrate of a small area, and then arranges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nd modulates them,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large area solar cells without using process equipment for large area. The same effect as can be achieved.

둘째, 본 발명은 상부에서 입사되는 입사광 및 하부에서 반사되는 반사광 모두를 활용하여 전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단위 태양전지 및 반사판을 구성함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이 상당히 증진된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unit solar cell and the reflector plate so that the battery can be implemented by utilizing both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upper part and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part,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s significantly improved.

셋째, 본 발명은 단위 태양전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기 때문에 이격된 영역에서 가시권이 확보될 수 있어, 건물의 유리창 대용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Third, since the unit solar cell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visibility can be secured in the spaced areas,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eplacing windows of buildings.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 보호필름(200), 지지체(300) 및 반사판(400)으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the protective film 200, the support 300 and the reflecting plate 400.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는 상부에서 입사되는 입사광 및 하부에서 반사되는 반사광 모두를 활용하여 전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단위 태양전지(100)는 도 2 또는 도 3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are configured to implement a battery utilizing both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upper side and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side.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nit solar cell 100 has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or FIG.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는 상부에서 입사되는 입사광이 하부의 반사판(400)에서 반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있다. 즉, 입사광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의 상부로 입사됨과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 사이의 이격된 영역을 통해 진행한 후 하부의 반사판(400)에서 반사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의 하부로도 입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 사이의 이격된 영역이 입사광의 진행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may be reflected from the lower reflecting plate 400. That is, the incident light is incident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spaced areas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and then is reflected by the lower reflector 400 to thereby reflect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Also incident to the bottom of the two unit solar cell (100). Therefore, the spaced apart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serves as a passage for the incident light.

상기 보호필름(200)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보호필름(210)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면보호필름(230)으로 이루어진다. The protective film 200 serves to protect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and the upper protective film 210 and the plurality of upper surface protective films formed o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The lower surface protective film 23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solar cell 100.

상기 보호필름(200)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에 태양광이 원활히 입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염화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2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sunlight can be smoothly incident o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for example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 / vinyl chloride copolymer, ethylene / vinyl acetate Copolymers, ethylene / vinyl alcohol copolymers, chlorinated polyethylene, chlorinated polypropylene, and the like.

상기 지지체(300)는 상기 상면보호필름(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전지 모듈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태양광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에 원활히 입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예로는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The support 300 is formed on the upper protective film 210 to serve to support the entire solar cell module, and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sunlight can be smoothly incident o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Consisting of glass or transparent plastics.

상기 반사판(400)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 사이의 이격된 영역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을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 reflective plate 400 is formed under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and the incident light incident to the spaced apart regions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is transferred to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It is to play a role of reflection.

상기 반사판(400)은 도 4와 같이 기판(410), 돌출구조물(420), 및 반사코팅층(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eflective plate 400 may be formed of a substrate 410, a protruding structure 420, and a reflective coating layer 430 as shown in FIG. 4.

상기 기판(4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bstrate 410 may be made of glass or plastic.

상기 돌출구조물(420)은 상기 기판(410)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반사판(400)이 엠보싱 구조를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판(400)이 엠보싱 구조로 이루어지면 광이 다양한 각도로 반사될 수 있어 반사효율이 증진될 수 있다. 상기 돌출구조물(420)은 산화물 또는 포토레지스트 등을 스크 린 프린팅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protruding structure 420 is arranged on the substrate 4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reflecting plate 400 has an embossing structure. As such, when the reflective plate 400 is formed of an embossing structure, light may be reflected at various angles, thereby improving reflection efficiency. The protruding structure 420 may be formed of an oxide or a photoresist using a screen printing method.

상기 반사코팅층(430)은 상기 돌출구조물(420)을 포함한 기판(410)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판(400)의 반사효율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반사코팅층(430)은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은 금속을 스크린 프린팅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reflective coating layer 430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410 including the protruding structure 420 to serve to improve the reflection efficiency of the reflective plate 400. The reflective coating layer 430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aluminum or silver by screen printing.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와 상기 반사판(400)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와 상기 반사판(400)이 서로 밀접하게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 사이의 이격된 영역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상기 반사판(400)에서 반사된 후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로 원활하게 입사되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and the reflector plate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eason is that whe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and the reflecting plate 400 are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incident light incident to a spaced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is incident on the reflecting plate 400. This is because the light may not be incident to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smoothly after being reflected from.

이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와 상기 반사판(400)이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100)와 상기 반사판(400) 사이에 간격유지부재(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절연물 등을 스크린 프린팅법 등을 이용하여 패턴형성할 수 있다. As such, the space keep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and the reflecting plate 400 so that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100 and the reflecting plate 4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The gap maintaining member may form a transparent insulator or the like through which a light may pass through screen printing.

이하에서는 전술한 상부에서 입사되는 입사광 및 하부에서 반사되는 반사광 모두를 활용하여 전지를 구현할 수 있는 단위 태양전지(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unit solar cell 100 that can implement the battery using both the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above and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태양전지(100)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다.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solar cel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태양전지(100)는 기판(110), 상기 기판(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박막태양전지(120), 및 상기 기판(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박막태양전지(130)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unit solar cel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110, the first thin film solar cell 1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and the substrate ( The second thin film solar cell 13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100).

상기 기판(1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투명한 물질 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The substrate 110 may use glass, plastic, or the like, and may use an opaque material as well as a transparent material.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태양전지(100)는 상부에서 광이 입사될 뿐만 아니라 하부에서도 반사된 광이 입사되며, 그에 따라 상기 기판(110)의 상면에는 상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수용하는 제1박막태양전지(120)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110)의 하면에는 하부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용하는 제2박막태양전지(130)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기판(110)이 불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도 태양전지로 기능하는데 문제가 없게 된다. That is, in the unit solar cel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light is incident from the upper portion but also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portion is incident. Since the thin film solar cell 120 is formed, and the second thin film solar cell 130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the substrate 110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There is no problem in functioning as a solar cell.

상기 제1박막태양전지(120)는 태양전지의 상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수용하여 전지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제1전면전극(121), 상기 제1전면전극(121) 하부에 형성되는 제1반도체층(123), 상기 제1반도체층(123) 하부에 형성되는 제1후면반사층(125), 상기 제1후면반사층(125) 하부에 형성되는 제1후면전극(127)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thin film solar cell 120 serves as a cell by receiving the light inciden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olar cell, The first front electrode 121,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23 formed under the first front electrode 121, the first back reflection layer 125 formed unde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23, and the first The first rear electrode 127 is formed under the first rear reflection layer 125.

상기 제2박막태양전지(130)는 태양전지의 하부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용하여 전지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제2전면전극(131), 상기 제2전면전극(131) 상부에 형성되는 제2반도체층(133), 상기 제2반도체층(133) 상부에 형성되는 제2후면반사 층(135), 상기 제2후면반사층(135) 상부에 형성되는 제2후면전극(137)으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thin film solar cell 130 functions as a cell by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olar cell, and is formed on the second front electrode 131 and the second front electrode 131. A layer 133, a second back reflection layer 135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133, and a second back electrode 137 formed on the second back reflection layer 135.

상기 제1전면전극(121) 및 제2전면전극(131)은 ZnO, ZnO:B, ZnO:Al, ZnO:H, SnO2, SnO2:F, 또는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을 스퍼터링(Sputtering)법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fron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front electrode 13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ZnO, ZnO: B, ZnO: Al, ZnO: H, SnO 2 , SnO 2 : F, or Indium Tin Oxide (ITO). The material may be formed using a sputtering method or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method.

상기 제1전면전극(121) 및 제2전면전극(131)은 입사되는 태양광이 태양전지 내부로 최대한 흡수될 수 있도록 텍스처(texturing)가공공정 등을 통해 그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fron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front electrode 131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through a texturing process so that incident sunlight can be absorbed to the inside of the solar cell. Do.

상기 텍스처 가공공정이란 물질 표면을 울퉁불퉁한 요철구조로 형성하여 마치 직물의 표면과 같은 형상으로 가공하는 공정으로서, 포토리소그라피법(photolithography)을 이용한 식각공정, 화학용액을 이용한 이방성 식각공정(anisotropic etching), 또는 기계적 스크라이빙(mechanical scribing)을 이용한 홈 형성 공정 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텍스처 가공공정을 상기 제1전면전극(121) 및 제2전면전극(131)에 수행할 경우 입사되는 태양광의 산란에 의해 태양전지 내부로 태양광이 흡수되는 비율이 증가하게 되어, 태양전지의 효율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The texture processing process is a process of forming a surface of a material with an uneven structure and processing it into a shape like a surface of a fabric. An etching process using a photolithography method and an anisotropic etching process using a chemical solution are performed. Or through a groove forming process using mechanical scribing. When such a texture process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first fron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front electrode 131, the rate at which sunlight is absorbed into the solar cell is increased due to scattering of incident sunlight. The efficiency of the effect is improved.

상기 제1반도체층(123) 및 제2반도체층(133)은 비정질실리콘 및 미세결정질실리콘과 같은 실리콘계 등의 반도체물질을 플라즈마 CVD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P형 실리콘층, I형 실리콘층, 및 N형 실리콘층으로 적층한 PIN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23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133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silicon, such as amorphous silicon and microcrystalline silicon, using a plasma CVD method, P-type silicon layer, I typ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ilicon layer and the PIN structure laminated | stacked by the N type silicon layer.

상기 제1반도체층(123) 및 제2반도체층(133)을 PIN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I형 실리콘층이 P형 실리콘층과 N형 실리콘층에 의해 공핍(depletion)이 되어 내부에 전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태양광에 의해 생성되는 정공 및 전자가 상기 전기장에 의해 드리프트(drift)되어 각각 P형 실리콘층 및 N형 실리콘층에서 수집되게 된다. Wh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23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133 are formed in a PIN structure, the I-type silicon layer is depleted by the P-type silicon layer and the N-type silicon layer, and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therein. Holes and electrons generated by sunlight are drift by the electric field and are collected in the P-type silicon layer and the N-type silicon layer, respectively.

상기 제1반도체층(123) 및 제2반도체층(133)을 PIN구조로 형성할 경우, 상기 제1반도체층(123)은 P형 실리콘층을 가장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P형 실리콘층 하부에 I형 실리콘층을 형성하고, 상기 I형 실리콘층 하부에 N형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반도체층(133)은 N형 실리콘층을 가장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N형 실리콘층 하부에 I형 실리콘층을 형성하고, 상기 I형 실리콘층 하부에 P형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정공의 드리프트 이동도(drift mobility)가 전자의 드리프트 이동도에 의해 낮기 때문에 입사광에 의한 수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P형 실리콘층을 수광면에 가깝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Wh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23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133 are formed in a PIN structure,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23 has a P-type silicon layer formed on top of the P-type silicon layer.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type silicon layer on the, and to form an N-type silicon layer below the I-type silicon laye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133 is formed on top of the N-type silicon layer, the N-type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type silicon layer under the silicon layer, and to form a P-type silicon layer under the I-type silicon layer. The reason is that the drift mobility of the holes is generally low due to the drift mobility of the electrons, so that the P-type silicon layer is formed close to the light receiving surface in order to maximize the collection efficiency due to incident light.

상기 제1후면반사층(125) 및 제2후면반사층(135)은 ZnO, ZnO:B, ZnO:Al, ZnO:H, Ag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을 스퍼터링(Sputtering)법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rear reflection layer 125 and the second rear reflection layer 135 are formed by sputtering or 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ZnO, ZnO: B, ZnO: Al, ZnO: H, Ag. It can be formed using a deposition method and the like.

상기 제1후면반사층(125)(또는 제2후면반사층(135))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 지만, 태양전지의 효율증진을 위해서는 상기 제1후면반사층(125)(또는 제2후면반사층(13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후면반사층(125)(또는 제2후면반사층(135))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제1반도체층(123)(또는 제2반도체층(133))을 투과한 태양광이 제1후면반사층(125)(또는 제2후면반사층(135))을 통과하면서 산란을 통해 다양한 각으로 진행하게 되어, 제1후면전극(127)(또는 제2후면전극(137))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반도체층(123)(또는 제2반도체층(133))으로 재입사되는 광의 비율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Although the first back reflection layer 125 (or the second back reflection layer 135) may be omitted, the first back reflection layer 125 (or the second back reflection layer 135) may be used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s preferably formed. That is, when the first back reflection layer 125 (or the second back reflection layer 135) is formed, the sun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23 (o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133) is the first. While passing through the back reflection layer 125 (or the second back reflection layer 135), the light is advanced at various angles through scattering, and is reflected from the first back electrode 127 (or the second back electrode 137). This is because the ratio of the light reincident to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23 (o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133) may increase.

상기 제1후면전극(127) 및 제2후면전극(137)은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 등과 같은 금속을 스퍼터링(Sputtering)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rear electrode 127 and the second rear electrode 137 are formed of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 Mo, Ag + Ni, Ag. A metal such as + Cu, Ag + Al + Zn, or the like can be formed using a sputtering method or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태양전지(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solar cel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태양전지(100)는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140),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140)의 상면에 형성된 전면반사방지층(150), 상기 전면반사방지층(150)의 상면에 형성된 전면전극(160),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140)의 하면에 형성된 후면반사방지층(170), 상기 후면반사방지층(170)의 하면에 형성된 후면전극(180)으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unit solar cel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miconductor wafer 140 of the PN structure, the front anti-reflection layer 15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40 of the PN structure The front electrode 160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ront antireflection layer 150, the back antireflection layer 17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N structure semiconductor wafer 140, and the back surfac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 antireflection layer 170. It consists of an electrode 180.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140)는 P형 다결정실리콘층(141),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층(141) 상면에 형성된 N형 다결정실리콘층(143), 및 상기 P형 다결정실 리콘층(141) 하면에 형성된 P+형 다결정실리콘층(145)으로 이루어진다. The PN structure semiconductor wafer 140 includes a P-type polysilicon layer 141, an N-type polysilicon layer 143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type polysilicon layer 141, and the P-type polysilicon layer 141. P + type polysilicon layer 14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이와 같은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140)는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의 상면에 고온확산법 또는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을 이용하여 N형 도펀트를 도핑함으로써 N형 다결정실리콘층(143)을 형성하고,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의 하면에 고온확산법 또는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을 이용하여 P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고농도의 P+형 다결정실리콘층(145)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In the semiconductor wafer 140 having the PN structure, the N-type polysilicon layer 143 is formed by doping the N-type dopa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using high temperature diffusion or plasma ion dop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may be formed by doping the P-type dopant using a high temperature diffusion method or a plasma ion doping method to form a high concentration P + polysilicon layer 145.

상기 고온확산법은 고온에서 도펀트를 확산시키는 공정으로서, 상기 고온확산법을 이용하여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의 상면에 N형 다결정실리콘층(143)을 형성하는 공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를 대략 800℃이상의 고온의 확산로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POCl3, PH3 등과 같은 N형 도펀트 가스를 공급하여 N형 도펀트를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의 표면으로 확산시킨다. 한편, 상기 고온확산공정을 수행하면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의 상면, 측면 및 하면 전체에 N형 다결정실리콘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태양전지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누설전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의 측면 및 하면에 형성된 N형 다결정실리콘을 습식 또는 건식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의 상면에만 N형 다결정실리콘층(143)이 형성되도록 한다. The high temperature diffusion method is a step of diffusing the dopant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N-type polysilicon layer 14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using the high temperature diffusion method will be described. The N-type dopant is su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by supplying an N-type dopant gas such as POCl 3 or PH 3 while the type-type polysilicon wafer 141 is placed in a diffusion furnace having a temperature of about 800 ° C. or higher. To spread. Meanwhile, when the high temperature diffusion process is performed, N-type polysilicon is formed on the entire top, side, and bottom of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When such a structure is used,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olar cell. Cause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leakage current, the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formed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is removed by using a wet or dry etching process to remove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The N-type polysilicon layer 143 is formed only on the upper surface.

상기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은 도펀트를 플라즈마 이온화하여 도핑시키는 공정 으로서, 상기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을 이용하여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의 상면에 N형 다결정실리콘층(143)을 형성하는 공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를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POCl3, PH3 등과 같은 N형 도펀트 가스를 공급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면 플라즈마 내부의 인(P) 이온이 RF전기장에 의해 가속되어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의 상면으로 입사하여 이온도핑된다. 한편, 상기 플라즈마 이온도핑 공정 후에는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141)를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는 어닐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어닐링 공정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핑된 이온이 단순한 불순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상기 어닐링 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도핑된 이온이 Si와 결합하여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The plasma ion doping method is a step of doping the dopant by plasma ionization. The plasma ion doping method is a simple method for forming an N-type polysilicon layer 14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by using the plasma ion doping method. In other words, when the plasma is generated while supplying an N-type dopant gas such as POCl 3 or PH 3 while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is placed in a plasma generator, phosphorus (P) ions in the plasma are generated in an RF electric field. Accelerated by the incid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is ion-doped. On the other hand, after the plasma ion dop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n annealing process for heating the P-type polysilicon wafer 141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since the doped ions are simple when the annealing process is not performed. It may act as an impurity, but when the annealing process is performed, doped ions are combined with Si to be activated.

상기 N형 다결정실리콘층(143)은 그 표면이 요철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요철구조로 형성할 경우 태양광의 흡수면적이 넓어져 태양전지의 효율이 증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N-type polysilicon layer 143 preferably has a concave-convex structure on the surface thereof, because when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formed, the absorption area of sunlight can be widen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층(145)은 반드시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층(141)의 하면에 P+형 다결정실리콘층(14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층(145)을 형성할 경우 태양광에 의해서 형성된 전자가 태양전지의 후면에서 재결합하여 소멸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Although the P + type polysilicon layer 145 is not necessarily forme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 + type polysilicon layer 145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 type polysilicon layer 141. This is because when the P + type polysilicon layer 145 is formed, electrons formed by sunlight are prevented from recombining and disappear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reby improving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140)는 N형 다결정실리콘층, 상기 N형 다결정실리콘층 상면에 형성된 P형 다결정실리콘층, 및 상기 N형 다결정실리콘층 하면에 형성된 N+형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semiconductor wafer 140 of the PN structure may include an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a P-type polysilicon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and an N + typ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It may be made of a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이와 같은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140)는 N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의 상면에 고온확산법 또는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을 이용하여 P형 도펀트를 도핑함으로써 P형 다결정실리콘층을 형성하고, N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의 하면에 N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고농도의 N+형 다결정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The PN-structure semiconductor wafer 140 is formed by forming a P-type polysilicon layer by doping a P-type dopant on a top surface of the N-type polysilicon wafer using high temperature diffusion or plasma ion doping.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by doping the N-type dopant to form a high concentration of the N + 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상기 N형 다결정실리콘 웨이퍼의 상면에 형성되는 P형 다결정실리콘층은 그 표면이 요철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태양광의 흡수면적을 넓힐 수 있어 바람직하다. The P-type polysilicon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type polysilicon wafer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so that the absorption area of sunlight can be widened.

상기 전면반사방지층(150)은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140)의 상부에서 입사되는 입사광이 외부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후면반사방지층(170)은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140)의 하부에서 입사되는 반사광이 외부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면반사방지층(150) 및 상기 후면반사방지층(170)은 생략해도 무방하지만 태양전지의 효율증진을 위해서는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ont anti-reflection layer 150 serves to prevent the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40 of the PN structure to be reflected to the outside, and the back anti-reflection layer 170 is a semiconductor wafer of the PN structure ( As a role of preventing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140 is reflected to the outside, the front antireflection layer 150 and the rear antireflection layer 170 may be omitted, but may be ad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t is preferable.

상기 전면반사방지층(150) 및 상기 후면반사방지층(170)은 ZnO 또는 SiN과 같은 물질을 스퍼터링(Sputtering)법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front antireflection layer 150 and the back antireflection layer 170 may be formed using a sputtering method or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method such as ZnO or SiN.

상기 전면전극(160) 및 상기 후면전극(180)은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 등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The front electrode 160 and the back electrode 180 are formed of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 Mo, Ag + Ni, Ag + Cu, It is formed using a metal such as Ag + Al + Zn.

상기 전면전극(160) 및 상기 후면전극(180)은 그 단면적이 작도록 패턴 형성하는 것이 입사광 및 반사광의 태양전지 내부로의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면전극(160) 및 상기 후면전극(180)은 스퍼터링법 등을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한 후 식각공정을 통한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및 미세접촉 인쇄법(microcontact printing)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을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lectrode 160 and the rear electrode 180 have a pattern formed so that their cross-sectional area is small because the transmittance of incident light and reflected light into the solar cell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front electrode 160 and the back electrode 180 may be formed through a patterning process through an etching process after forming a thin film using a sputtering method, or screen printing, inkjet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using methods such as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and microcontact printing.

상기 스크린 인쇄법은 스크린과 스퀴즈(squeeze)를 이용하여 대상물질을 작업물에 전이시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고, 상기 잉크젯 인쇄법은 잉크젯을 이용하여 대상물질을 작업물에 분사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고, 상기 그라비아 인쇄법은 오목판의 홈에 대상물질을 도포하고 그 대상물질을 다시 작업물에 전이시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고, 상기 미세접촉 인쇄법은 소정의 금형을 이용하여 작업물에 대상물질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The screen printing method is a method of transferring a target material to a work using a screen and a squeeze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ink jet printing method uses a jet of ink to spray a target material onto the work to provide a predetermined pattern. The method of forming a pattern, the gravure printing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predetermined pattern by applying the target material to the groove of the concave plate and transfer the target material back to the workpiece, the micro-contact printing method is a predetermined mold It is a method of forming a target material pattern on a work piec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단위 태양전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기 때문에 이격된 영역에서 가시권이 확보될 수 있어, 건물의 유리창 대용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In 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unit solar cell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visibility may be secured in the spaced apart area, and thus, the solar cell module may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replacing windows of a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개략적인 단면도.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단위 태양전지 110: 기판100: unit solar cell 110: substrate

120: 제1박막태양전지 130: 제2박막태양전지120: first thin film solar cell 130: second thin film solar cell

140: 반도체 웨이퍼 150: 전면반사방지층140: semiconductor wafer 150: front antireflection layer

160: 전면전극 170: 후면반사방지층160: front electrode 170: back reflection prevention layer

180: 후면전극 200: 보호필름 180: rear electrode 200: protective film

210: 상면보호필름 230: 하면보호필름210: upper protective film 230: lower protective film

300: 지지체 400: 반사판300: support 400: reflector

Claims (13)

상부에서 입사되는 입사광 및 하부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용하여 전지를 구현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열된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A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upper part and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part,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being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 사이의 이격된 영역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을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전지 모듈. And a reflector formed under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nd reflecting the incident light incident to the spaced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to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반사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돌출구조물, 및 상기 돌출구조물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형성된 반사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The reflective plate is a solar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bstrate, the protrusion structu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ubstrate, and a refle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including the protrus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투명한 상면보호필름 및 하면보호필름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 transparent upper protective film and a lower protective film are respectively formed. 상기 상면보호필름의 상부에는 투명한 지지체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The solar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support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 및 상기 반사판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nd the reflector is a solar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 및 상기 반사판 사이에 간격유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태양전지 및 상기 반사판이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A solar cell module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nd the reflecting plate, and the plurality of unit solar cells and the reflecting plate are spaced apart by the gap maintaining memb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단위 태양전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박막태양전지, 및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박막태양전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The unit solar cell comprises a substrate, a first thin film solar cell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thin film solar cell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박막태양전지는 상부에서 하부로 제1전면전극, 제1반도체층, 및 제1후면전극이 차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The first thin film solar cell is formed by sequentially forming a first front electrode,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first back electrode from top to bottom, 상기 제2박막태양전지는 상부에서 하부로 제2후면전극, 제2반도체층, 및 제2전면전극이 차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The second thin film solar cell is a solar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ack electrode,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front electrode are formed in order from top to bottom.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반도체층 및 제1후면전극 사이에 제1후면반사층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반도체층 및 제2후면전극 사이에 제2후면반사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And a first back reflection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back electrode, and a second back reflection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back electrode.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반도체층은 상부에서 하부로 P형 실리콘층, I형 실리콘층, 및 N형 실리콘층이 차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by sequentially forming a P-type silicon layer, an I-type silicon layer, and an N-type silicon layer from top to bottom, 상기 제2반도체층은 상부에서 하부로 N형 실리콘층, I형 실리콘층, 및 P형 실리콘층이 차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a solar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N-type silicon layer, I-type silicon layer, and P-type silicon layer is formed in order from top to bottom.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단위 태양전지는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 및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전면전극 및 후면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The unit solar cell is a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a semiconductor wafer of the PN structure, and a front electrode and a rear electrod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of the PN structure, respectively.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는 P형 다결정실리콘층,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층 상면에 형성된 N형 다결정실리콘층, 및 상기 P형 다결정실리콘층 하면에 형성된 P+형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The semiconductor wafer of the PN structure is composed of a P-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an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and a P +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Solar module.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는 N형 다결정실리콘층, 상기 N형 다결정실리콘층 상면에 형성된 P형 다결정실리콘층, 및 상기 N형 다결정실리콘층 하면에 형성된 N+형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The semiconductor wafer of the PN structure is composed of an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a P-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and an N + -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type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Solar module.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 및 전면전극 사이에 전면반사방지층이 추가로 형성되고, A front anti-reflection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ront electrode of the PN structure, 상기 PN구조의 반도체 웨이퍼 및 후면전극 사이에 후면반사방지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The solar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reflection prevention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back electrode of the PN structure.
KR1020070103553A 2007-10-15 2007-10-15 Solar cell module KR1010590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553A KR101059067B1 (en) 2007-10-15 2007-10-15 Solar cel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553A KR101059067B1 (en) 2007-10-15 2007-10-15 Solar cell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186A true KR20090038186A (en) 2009-04-20
KR101059067B1 KR101059067B1 (en) 2011-08-24

Family

ID=4076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553A KR101059067B1 (en) 2007-10-15 2007-10-15 Solar cell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06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712B1 (en) * 2010-09-27 2012-02-22 김민혁 Solar photovoltaic module having solar refraction sheet
WO2013180339A1 (en) * 2012-05-30 2013-12-05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20007980A (en) * 2020-07-13 2022-01-20 한솔테크닉스(주) BIPV system of wall ty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686B1 (en) * 2013-08-26 2021-0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ransparent solar cell and rear-reflective transparent solar cell module used the same
KR102519710B1 (en) * 2021-11-10 2023-04-11 주식회사 제이솔루션 Photovoltaic Module With Improved Shadow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0835B2 (en) * 1998-04-22 2005-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Solar cell module
JP2001119054A (en) 1999-10-15 2001-04-27 Hitachi Ltd Light-condensing type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device
JP2002111035A (en) 2000-09-27 2002-04-12 Sanyo Electric Co Ltd Double-side generation type solar battery module
JP2004221213A (en) * 2003-01-14 2004-08-05 Kyocera Corp Solar-cell modu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712B1 (en) * 2010-09-27 2012-02-22 김민혁 Solar photovoltaic module having solar refraction sheet
WO2013180339A1 (en) * 2012-05-30 2013-12-05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20007980A (en) * 2020-07-13 2022-01-20 한솔테크닉스(주) BIPV system of wall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067B1 (en)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556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voltaic device
KR20100075045A (e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129264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53790B1 (en)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28883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266953A1 (en) Method of coating a substrate
KR101059067B1 (en) Solar cell module
KR20110128619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363327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143074A (en) Bifacial silico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79107A (en) Patterned glass for a thin film solar cell and fabricating method of thin film solar cell using the same
KR20160052271A (en) Solar cell
KR20150090607A (en)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63068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106259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43132B1 (en) Method for fabricating solar cell using carbon substrate
KR10195881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facial solar cell
KR20110028101A (en) Textured glass for a thin film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of thin film solar cell using the same
KR101854236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62432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22097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01621B1 (en) Front and back contact electric field solar cell and method thereof
KR20100045213A (en) Photovolta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67544A (en) Thin film solar cell
KR101053782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