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124A -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창호 - Google Patents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124A
KR20090038124A KR1020070103454A KR20070103454A KR20090038124A KR 20090038124 A KR20090038124 A KR 20090038124A KR 1020070103454 A KR1020070103454 A KR 1020070103454A KR 20070103454 A KR20070103454 A KR 20070103454A KR 20090038124 A KR20090038124 A KR 2009003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fiber
resin
door according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양환
허유
김장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10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8124A/ko
Publication of KR2009003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1Coating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 유리섬유 및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인발성형으로 제조된 창호를 제공한다.
유리섬유, 플라스틱, 창호

Description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창호{Window and door produced by plastic including glass fiber}
본 발명은 주거용, 상업용 등의 창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튼 월용 프로파일과 창틀 형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커튼 월용 프로파일, 창틀 및 창틀 보강재와 같은 창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커튼 월용 프레임 소재로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인장 강도, 굴곡 강도 등의 물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커튼 월의 1장을 크게 형성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비금속류이므로 단열성, 내열성이 매우 취약하여 주거 환경의 열손실에 대한 단점을 갖고 있다.
PVC 창틀은 생산성과 압출 시 형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강도적인 물성 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면을 보인다.
PVC 창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재로 파이프 형태의 철 구조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단열성이 매우 약하므로 내부 환경의 열손실 문제가 심각하며, 중량이 크고 소재 특성상 시공 및 가공 시 단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8816호에는 주변부 도어프레임을 가진 방화문이 개시되어 있으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구체적인 조성과 성형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23599호에는 록킹클립을 이용한 유리판 고정수단을 갖는 커튼 월이 개시되어 있으나, 스틸 등 금속제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압출 성형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 월용 프로파일, 창틀 및 창틀 보강재의 소재를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대체함으로써, 종래에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커튼 월용 프로파일의 단점인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단열성, 내부식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고, PVC 창틀의 단점인 강도를 높이며, 철로 제조된 PVC 창틀 보강재의 단열성, 중량감, 시가공성 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및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인발성형으로 제조된 창호를 제공한다.
인발성형은 일반적으로 재료(강화재와 수지)를 인장하면서 결합, 소정의 단면 형성, 경화의 공정을 통하여 연속으로 긴 강화수지의 형재를 제조하는 성형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인발성형 공정의 특징은 연속적이고, 균일한 횡단면을 갖는 제품을 자동화된 공정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특히 연속적인 섬유 보강재를 사용하여 재료 고유의 특성을 살려 복잡한 단면을 갖는 선형의 외형을 갖게 된다. 즉 인발성형은 공정상 축 대칭성으로 인해 연속적인 길이 방향의 성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운데가 빈 단면은 물론 얇은 패널로 복잡한 형상 성형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인발성형 제품에 사용되는 보강재로는 철사, 나무 그리고 고무 형태의 재료가 기초 재료로 삽입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더욱 다양한 보강재(E-Glass, ECR Glass, S-2 Glass Continuous Roving, Continuous Stand Mat, Complex Fabrics, Woven Roving)들이 사용되고 있다.
인발성형에 사용되는 매트릭스(Matrix) 수지로는 우수한 화학적, 전기적 안전성을 지닌 폴리에스터, 우수한 기계적 내부식성을 지닌 비닐에스터 또는 에폭시, 내화성을 지닌 페놀 또는 MMA(Methyl Methacrylate) 등이 사용된다.
인발성형기는 경쟁적인 가격으로 좋은 품질과 정밀성을 지닌 큰 외형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막대, 봉, 튜브 형상 뿐만 아니라 특수한 주문 모형 생산도 가능하며, 실제 다른 어떤 성형법도 이런 인발성형 방법보다 용도가 다양하지 못하다. 이상 언급된 내용을 총괄적으로 요약해 보면 인발성형 제품은 최종 소비자가 요구하는 크기나 외형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 내화성, 전기 절연성 등의 장점을 가지며 제품의 표준화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따라서, 이러한 장점을 가진 인발 성형품을 창호 제조에 적용하면 전통적인 창호 소재인 PVC의 강도 부족 및 알루미늄의 단열 취약성으로 인한 내구성 한계 극복, 주거 에너지 효율 강화, 경량화, 대창 크기 확대, 결로 방지 등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합성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에폭시, 페놀, MMA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성형품의 강도는 유리섬유가 결정하는데 비해 내부식성, 전기적 특성 등은 매트릭스에 의해 결정되므로, 요구되는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매트릭스 수지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불포화 폴리에스터는 인발성형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수지로서, 방향족 탄화수소, 케톤류, 농축산 등에 노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수한 내부식성을 제공한다. 이것은 충진제의 사용으로 7%까지 수축율을 감소시키며, 80%에서 150? 정도의 고온 기후성 또한 상당히 우수하고 표면 장막이나 다양한 첨가제를 이용하여 이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비닐에스터 수지는 보다 우수한 내부식성과 내열성을 갖고 있으며, 내전단변형성, 내충격성, 그리고 내구성이 불포화 폴리에스터보다 우수하다.
에폭시 수지는 군용이나 항공 우주용과 같은 고도의 기계적, 전기적 그리고 내열 특성이 요구될 때 사용된다.
내화성 요구시 사용되는 페놀 수지, 저점도 고충진제 지지율 수반시 사용되는 MMA 수지 등도 널리 사용된다.
따라서, 창호 구조물의 특성상 내부식성, 수축율, 내후성, 기계적 강도, 전기절연성, 내열성 등의 장점을 요구하므로, 불포화 폴리에스터 또는 에폭시 수지의 사용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튼 월용 프로파일, 창문틀, 창짝틀, 창틀 보강재 등의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는 그 표면에 장식시트 또는 장식필름이 랩핑(wrapping)될 수 있으며, 또한 증착, 스퍼터링(sputtering), 도장, 도포, 인쇄, 도금, 함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에 의해 장식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튼 월용 프로파일, 창틀 및 창틀 보강재의 소재를 유리섬유 강 화 플라스틱으로 대체함으로써, 종래에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커튼 월용 프로파일의 단점인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단열성, 내부식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고, PVC 창틀의 단점인 강도를 높이며, 철로 제조된 PVC 창틀 보강재의 단열성, 중량감, 시가공성 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GFRP)로 이루어진 커튼 월용 프로파일, 창틀 및 창틀 보강재와 같은 창호 그리고 인발(Pultrusion) 성형방식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튼 월용 프로파일의 소재를 종래의 알루미늄에서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로 대체하고, PVC 창틀을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로 대체하며, PVC 창틀용 보강재를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로 대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창호는 유리섬유 및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다.
유리섬유로는 유리장섬유가 바람직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988년 MMVF(Man-made fibers)에서 평균 직경이 6 내지 15 ㎛인 유리섬유를 유리장섬유(Continuous-filament fibers) 또는 유리필라멘트(Glass filament)라고 정의하고 있다.
유리섬유의 배합량은 복합소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유리섬유 자체의 물리적 힘보다 수지 자체의 화학적 힘으로 하중을 견뎌야 하므로 그 전체 힘이 약할 수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수지의 함량이 적어지므로 유리섬유 사이의 결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유리섬유의 함량은 50 내지 80 중량%이다.
합성수지로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및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 모두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에폭시, 페놀, MMA 등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수지, 특히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의 배합량은 복합소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이다.
이외에도 각종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으며, 매트릭스는 촉매, 성형 안정제, 내화염제, 광물 첨가제 및 기타 첨가제와의 혼합으로 최종 성형 제품에 대해 내화염성, 공정 개선성, 표면 유연성 등의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섬유 및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한다.
다음, 복합소재 원료로부터 인발이라 명하는 공정을 이용하여 커튼 월용 프로파일, 창틀 및 창틀 보강재 형태로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인발성형 라인에서 수십 내지 수백개의 원통형 실패로부터 유리섬유를 모두 동일한 속력으로 빠져 나오게 하고, 여기에 보강재를 추가한다. 이들을 수지와 충진제 및 각종 첨가제가 혼합된 함침조로 인도한다. 함침조를 거친 유리섬유를 프리포밍 장소를 통과시킨다. 프리포밍의 목적은 이들 합성 재료 의 상대적 위치 확보, 제품의 최종 형태 확보, 초과 수지의 압착 등이다. 프리포밍을 거친 합성재료를 최종 생산 제품의 외형으로 정확히 가공시키는 고열의 강철 다이(Die)로 삽입한다. 통상적으로 다이의 길이는 60 내지 120㎝이며, 합성재료가 다이를 통해 나오는 동안 열경화성 수지에서 발열 반응이 일어난다.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횡단면을 갖는 제품이 성형되어 다이를 빠져 나오게 되며, 이를 3 내지 5m의 상온 냉각 거리를 거쳐 자동 절단기에 의해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다. 인발 속도는 수지에 따라 상당히 좌우되며, 또한 외형의 두께와 복잡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분당 0.5 내지 1.5m가 적당하다.
인발성형은 일정 방향의 구조물 제조에 적합한 방식으로 대량 생산 시에 경제적이다. 인발성형은 강도가 높고, 구조물 생산에 적합하여 로드(rod), 빔(beam) 파이프 및 대형 구조물에 많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다리의 보강재, 냉각탑, 저장 탱크, 각종 덕트(duct) 구조물 제조 시 이용된다. 인발 성형된 제조물은 인장 강도, 굴곡 강도, 굴곡 탄성률 등의 물성에서 알루미늄, 철 등에 비해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유리섬유는 그 특성상 내부식성, 내열성, 단열성 등이 뛰어나다.
또한, 인발성형을 이용하여 커튼월용 프로파일, 창틀 및 창틀 보강재로 제조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구조물의 표면에 장식시트 또는 장식필름을 랩핑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구조물의 표면을 다른 물질을 이용하여 증착, 스퍼터링, 도장, 도포, 인쇄, 도금, 함침 등의 방법으로 장식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실시예 1]
일반적인 인발성형 라인에서 수십 내지 수백개의 원통형 실패로부터 유리섬유를 모두 동일한 속력으로 빠져 나오게 하고, 여기에 보강재(Continuous Stand Mat) 3ply를 추가하였다. 이들을 수지와 충진제 및 각종 첨가제가 혼합된 함침조로 인도하였다. 여기에서 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터를 사용하였으며, 충진제는 ATH(Aluminum Trihydroxide)를 사용하였다. 수지와 충진제 등을 포함한 원료와 유리섬유의 중량비는 50 대 50으로 조절하였다. 함침조를 거친 유리섬유를 프리포밍 장소를 통과시켰다. 프리포밍을 거친 합성재료를 최종 생산 제품의 외형으로 정확히 가공시키는 고열의 강철 다이(Die)로 삽입하였다.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횡단면을 갖는 제품이 성형되어 다이를 빠져 나오게 되며, 이를 상온 냉각 거리를 거쳐 자동 절단기에 의해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였다. 인발 속도는 1.5m로 조절하였다. 다이의 길이는 120㎝이며, 냉각 길이는 4m이었다.
상기 기술한 방법으로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유리섬유 함유율은 60중량%, 매트는 3ply, 제품 두께는 4㎜,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80㎜, 40㎜, 800㎜의 사각 파이프 형태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유리섬유 함유율은 80중량%, 제품 두께는 4㎜,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80㎜, 40㎜, 800㎜의 사각 파이프 형태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유리섬유 함유율은 50중 량%, 제품 두께는 4㎜,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80㎜, 40㎜, 800㎜의 사각 파이프 형태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유리섬유 함유율은 50중량%, 매트는 3ply, 제품 두께는 4㎜,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80㎜, 40㎜, 800㎜의 사각 파이프 형태로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제품 크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재료는 스틸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제품 크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재료는 알루미늄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창호용 프로파일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단위는 Modulus는 ㎏/㎟, Load at 5㎜는 ㎏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GF 함유율 60 80 50 50 - -
Mat 수 3 - - 3 - -
두께 4 4 4 4 4 3
Modulus 926 891 673 1,132 1,164 1,534
Load at 5㎜ 700 680 1,100 820 760 1,200

Claims (8)

  1. 유리섬유 및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인발성형으로 제조된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가 불포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에폭시, 페놀, 아크릴(MMA)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3. 제1항에 있어서, 복합소재가 보강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유리섬유의 배합량이 복합소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5. 제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의 배합량이 복합소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창호가 커튼 월용 프로파일, 창문틀, 창짝틀 또는 창틀 보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7. 제1항에 있어서, 창호의 표면에 장식시트 또는 장식필름이 랩핑(wrapp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8. 제1항에 있어서, 창호의 표면에 증착, 스퍼터링(sputtering), 도장, 도포, 인쇄, 도금, 함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에 의해 장식효과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KR1020070103454A 2007-10-15 2007-10-15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창호 KR20090038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454A KR20090038124A (ko) 2007-10-15 2007-10-15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454A KR20090038124A (ko) 2007-10-15 2007-10-15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124A true KR20090038124A (ko) 2009-04-20

Family

ID=4076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454A KR20090038124A (ko) 2007-10-15 2007-10-15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81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58B1 (ko) * 2020-05-29 2020-12-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소재 프레임을 이용한 내진보강 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50561B1 (ko) * 2019-12-31 2021-05-10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비대칭 시트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561B1 (ko) * 2019-12-31 2021-05-10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비대칭 시트 제조장치
KR102187658B1 (ko) * 2020-05-29 2020-12-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소재 프레임을 이용한 내진보강 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WO2021241859A1 (ko) * 2020-05-29 2021-12-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소재 프레임을 이용한 내진보강 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5788B2 (en) System of continuous pultrusio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bio-composite products; process and products thereof
US5585155A (en)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structural member
KR0123475B1 (ko) 차량용 천정재(天井材)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09338A1 (en) Plastic rail system and other building products reinforced with polymer matrix composites
US7987885B2 (en) System and die for forming a continuous filament reinforced structural plastic profile by pultrusion/coextrusion
CN102947078B (zh) 用于形成增强的拉挤型材的方法
US8852475B2 (en) Method of making continuous filament reinforced structural plastic profiles using pultrusion/coextrusion
EP3408077B1 (en) A composites product; a pultrusion continuou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6243631A (zh) 一种拉挤成型的玄武岩纤维增强热固性树脂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8715555B2 (en) Scaffold plank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7258913B2 (en) Plastic fencing system reinforced with fiberglass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KR101757662B1 (ko) 창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창호
KR20090038124A (ko)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창호
CN102518356B (zh) 聚氨酯复合材料节能门窗框或门窗扇或门板型材或门板材
CN102174982A (zh) 聚氨酯复合材料型材及成型方法
US20040080071A1 (en) Thermoplastic composite decking profile of continuous fiber reinforcement
RU2482248C2 (ru) Арматура композитная
CN1421310A (zh) 用玄武岩纤维作为增强材料制造门窗的方法
KR100482501B1 (ko) 유리섬유 보강 열경화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WO2007065071A2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n article reinforced with continuous filaments
CN114991417B (zh) 一种超高性能共挤木塑板材及其制造方法和设备
CN202899890U (zh) 复合式节能窗框或窗扇框及玻璃钢型材的成型系统
CN116039171A (zh) 一种防火阻燃型纤维增强复合材料拉挤型材及其制备方法
CN202718530U (zh) 聚氨酯复合材料节能窗框或窗扇框型材及成型系统
CN202719359U (zh) 聚氨酯h形型材及成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