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123A -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123A
KR20090038123A KR1020070103453A KR20070103453A KR20090038123A KR 20090038123 A KR20090038123 A KR 20090038123A KR 1020070103453 A KR1020070103453 A KR 1020070103453A KR 20070103453 A KR20070103453 A KR 20070103453A KR 20090038123 A KR20090038123 A KR 2009003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equipment
ratio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응
유재형
금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10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8123A/ko
Publication of KR2009003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2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의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하여, 입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장비의 하드웨어나 OS S/W의 결함으로 트래픽 처리에 문제가 발생할 때, 해당 장애를 실시간적으로 파악하여 운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장애 검출에서부터 처리까지의 소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망

Description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MANAGEMENT, STORAGE MEDIUM RECORDING THAT METHO PROGRAM}
본 발명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집된 트래픽 데이터를 분석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망 사업자는 대규모의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관리와 고장개소 파악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장비들의 장애상황 파악을 위해, 다양한 시험과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비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있으며, 결과를 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핑 테스트(Ping Test), 로그(syslog)데이터 분석, SNMP 상태, 트 래픽 TCA(Threshold Crossing Alarm), CPU 및 메인 메모리 사용율 등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장비의 운용상태를 파악하고, 장애발생 상황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의 경우, 네트워크장비의 내부적인 결함 또는 장비 운영 소프트웨어(OS S/W)상의 문제로 인해 트래픽 처리 오류가 발생할 때, 이로부터 발생되는 장애상황을 신속하게 검출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즉 핑 테스트의 경우, ICMP 패킷을 시험 대상 장비에 전송하고, 시험대상 장비로부터 응답신호(에코 패킷)를 근거로 장애여부를 판단하므로, 장비 운영 소프트웨어상에 문제가 있더라도 장비의 라우팅 및 트래픽 처리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므로, 운영자에게는 정상적인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할 경우, 수많은 종류의 장비로부터 출력되는 수많은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장비 운영 소프트웨어의 문제점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각 장비의 포트에 흐르는 트래픽을 측정하여 TCA(Threshold Crossing Alarm)을 관리하는 방법은 장비내 포트에 설정된 각각의 인터페이스별로 관리를 하는 방법이므로, 장비 내부의 문제(하드웨어나 OS의 오류)로 입출력 트래픽 흐름에 불균형이 발생할 때 이를 검출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즉, 장비 자체의 하드웨어 상의 결함이나 OS 상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입출력데이터 흐름간의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각 장비에 대한 라우팅 프로 토콜 자체는 정상, 핑 테스트 결과 정상, SNMP 상태는 정상으로 판명되고, Syslog 메시지 분석은 불분명하므로, 종래의 관리 방법으로는 하드웨어나 OS결함에 의한 장애 장비 검출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비 내부의 문제로 인해 정상적인 트래픽 처리에 문제가 발생한 때, 해당 장비를 실시간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애상황을 제공하는 장비를 실시간적으로 검출하여 신속하게 장애 장비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즉각적인 장애 장비 처리를 통해 서비스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장비의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상태로 판정하는 네트워크 관리 서버; 및 각 장비의 상기 기준치 및 허용 오차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a)네트워크 장비의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b)입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a) 각 장비의 업링크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1 기준치의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b)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2 기준치의 제2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a)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2 기준치의 제2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각 장비의 업링크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b) 각 장비의 업링크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1 기준치의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매체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의 하드웨어나 OS S/W의 결함으로 트래픽 처리에 문제가 발생할 때, 해당 장애를 실시간적으로 파악하여 운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애 검출에서부터 처리까지의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여 장비 장애로 인한 다수 서비스 가입자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고, 망 운용성 및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네트워크 상에서 각종 장비들간의 트래픽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스위치나 라우터와 같은 장비들은 하위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다운링크 포트와 상위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업링크 포트를 나누어 운용하고 있으며, 각 포트는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을 동시에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각 장비는 장비 전체의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또 각 포트별로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망에 연결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CORBA,SNMP,CLI와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 각 장비의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의 비율 혹은 각 장비의 포트별로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의 비율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의 비율이 기준치에 대한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이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서버(200)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 장비의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 혹은 각 장비의 포트별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네트워크 상의 장비, 포트, 링크 정보와 같은 시설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트래픽 데이터, 장비별 트래픽 데이터, 포트별 트래픽 데이터,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에 대한 임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는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 서버(200)는 시설 정보 관리 모듈(210), 데이터 수집 모듈(220), 데이터 처리 모듈(230), 모니터링 모듈(240) 및 알림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설 정보 관리 모듈(210)은, 네트워크 상에서 운용중인 스위치, 라우터, NAS(Network Attached Storage), AP(Access Point)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정보, 각 장비에 장착된 포트에 대한 정보, 각 네트워크 장비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220)은,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SNMP, CLI, CORBA와 같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종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220)은 각 장비의 입출력 트래픽 데이터 통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포트별 입출력 트래픽 데이터 통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230)은, 데이터 수집 모듈(22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장비별 혹은 포트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230)은 수집된 포트별 트래픽 데이터를 장비간 연결 정보 인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업링크(Uplink)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Downlink)의 출력 트래픽, 업링크(Uplink)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Downlink)의 입력 트래픽을 구분하여 통계 처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 모듈(230)은 일정 주기에 따라 각 장비별로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에 대한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처리 모듈(230)은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에서 발생한 트래픽을 업링크 포트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 트래픽으로 분류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 (230)은 분류한 업링크 포트와 다운링크 포트 트래픽 중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을 분석할 수 있고, 각각의 포트 트래픽에 대해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 별로 통계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230)은 업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고, 업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240)은, 데이터 처리 모듈(230)로부터 전달받은 장비 아이디를 이용하여 해당 장비의 입/출력 트래픽 불균형 기준 임계치를 가져올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240)은 전달된 입출력 트래픽량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 해당 장비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모듈(240)은 업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 또는 업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 해당 장비 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실제 장비 트래픽 처리에 문제가 없는지 장비 자체의 입출력간 트래픽 비율을 검토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240)은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 최종적으로 장애 판정을 할 수 있다.
이 때, 모니터링 모듈(240)은 입출력 트래픽간 비율이 허용 오차를 벗어난 정도에 따라 달리 설정된 장애 등급에 따라, 해당 장애 등급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또는 모니터링 모듈(240)은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 해당 장비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업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 또는 업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 최종적으로 장애 판정을 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 모듈(240)은 업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 또는 업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 즉각 최종 장애 판정을 하거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 즉각 최종 장애 판정을 할 수도 있다.
또, 모니터링 모듈(240)은 업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 또는 업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 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벗어났으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은 정상상태이거나 그 반대의 경우, 장애 상태는 아니나 운용자의 주의가 필요한 경고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240)은 전달된 입출력 트래픽량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 범위내의 정상 상태인 경우, 해당 데이터를 폐기할 수 있다.
알림 모듈(250)은 모니터링 모듈(240)에 의해 해당 장비 상태가 장애로 판정된 경우, 운용자에게 장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알림 모듈(250)은 모니터링 모듈(240)에 의해 해당 장비가 장애 상태는 아니나 운용자의 주의가 필요한 상태로 판정된 경우, 운용자에게 경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알림 모듈(250)은 입출력 트래픽량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벗어난 정도에 따라 달리 부여된 각각의 장애 등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알림 모듈(250)은 마찬가지 방법으로, 경고 정보 역시 등급을 나누어 달리 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시설 정보 데이터베이스(310) 및 트래픽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설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는 네트워크 상에서 운용중인 다양한 장비들과 장비들간의 연결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311), 포트 정보 데이터베이스(313) 및 링크 정보 데이터베이스(315)를 포함할 수 있다.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311)는 네트워크 상에서 운용중인 스위치, 라우터, NAS, AP와 같은 장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포트 정보 데이터베이스(313)는 네트워크 장비들에 장착된 포트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링크 정보 데이터베이스(315)는 네트워크 장비들간의 연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트래픽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트래픽 데이터베이스(321), 장비 트래픽 데이터베이스(323), 포트별 트래픽 데이터베이스(325) 및 임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327)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장비들간에 송수신되는 트래픽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트래픽 데이터베이스(321)는 각종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수집된 트래픽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장비 트래픽 데이터베이스(323)는 네트워크 상에서 각 장비별로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포트별 트래픽 데이터베이스(325)는 각 장비의 트래픽 데이터를 포트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는데, 업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 다운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임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327)는 각 장비별로 입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의 기준치와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327)는 업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 또는 업링크 포트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 포트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에 대한 제1 기준치 및 제1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인 제1 허용 오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임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327)는 각 장비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에 대한 제2 기준치 및 제2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인 제2 허용 오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00).
다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수집된 트래픽 데이터를 장비별 포트별로 분류할 수 있다(S11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수집된 포트별 트래픽 데이터를 네트워크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업링크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업링크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으며(S120),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제1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 해당 장비에 대해 최종 장애 판정을 할 수 있다(S130, S140).
이 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입출력 트래픽 비율이 제1 허용 오차를 벗어난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장애 등급을 설정하여 운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200).
다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수집된 트래픽 데이터를 장비별로 분류할 수 있다(S21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고(S220), 제2 기준치와 비교하여 제2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 해당 장비에 대해 최종 장애 판정을 할 수 있다(S230, S240).
이 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입출력 트래픽 비율이 제2 허용 오차를 벗어난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장애 등급을 설정하여 운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300).
다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수집된 트래픽 데이터를 장비별 포트별로 분류할 수 있다(S31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 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고(S320), 제2 기준치와 비교하여 제2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 업링크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S330, S34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업링크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1 기준치로부터의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최종적으로 장애 상태로 판정하여 운용자에게 정보 제공할 수 있다(S350, S360).
이 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입출력 트래픽 비율이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한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장애 등급을 설정하여 운용자에게 해당 장애 등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입출력 트래픽 비율이 제2 허용 오차는 초과하였으나, 제1 허용 오차는 초과하지 않은 경우 운용자의 주의가 필요한 상태로 판정된 경우, 경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80).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제2 허용 오차의 초과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경고 등급을 설정하여, 운용자에게 해당 경고 등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400).
다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수집된 트래픽 데이터를 장비별 포트별로 분류할 수 있다(S41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각 장비의 업링크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고(S420),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한 경우,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 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S430, S44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입출력 트래픽 비율이 제2 허용 오차를 초과한 경우, 해당 장비를 최종적으로 장애상태로 판정하여 운용자에게 정보 제공할 수 있다(S450, S460, S470).
이 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입출력 트래픽 비율이 제2 허용 오차를 초과한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장애 등급을 설정하여 운용자에게 해당 장애 등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입출력 트래픽 비율이 제1 허용 오차는 초과하였으나, 제2 허용 오차는 초과하지 않은 경우 운용자의 주의가 필요한 상태로 판정된 경우, 경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480).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제1 허용 오차의 초과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경고 등급을 설정하여, 운용자에게 해당 경고 등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매체는 상술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이다.
이상 설명한 바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간에 자명한 사항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및 각 서버를 구성하는 모듈들은 그 기능에 따라 추가적으로 구성되거나 병합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그 순서가 변경되도록 응용 구성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 및 이와 균등사항으로 인정되는 모든 기술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네트워크 상에서 각종 장비들간의 트래픽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망에 연결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서버 및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5)

  1.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비의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상태로 판정하는 네트워크 관리 서버; 및
    각 장비의 상기 기준치 및 허용 오차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서버는,
    각 장비의 업링크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1 기준치의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서버는,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 2 기준치의 제2 허용 오차를 초과한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상태로 판정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서버는,
    각 장비의 업링크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1 기준치의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하고,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2 기준치의 제2 허용 오차를 초과한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서버는,
    각 장비의 업링크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1 기준치의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하고,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2 기준치의 제2 허용 오차내이거나,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2 기준치의 제2 허용 오차를 초과하고, 각 장비의 업링크의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 이 제1 기준치의 제1 허용 오차내인 경우,
    해당 장비를 운용자의 주의가 필요한 경고 상태로 판정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 장비 정보, 포트 정보 및 장비간 링크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관리하는 시설 정보 관리 모듈;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수집된 트래픽 데이터로부터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산출된 입출력 트래픽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지 감시하여 장비의 장애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장애 판정시 운용자에게 장애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 장비 정보, 포트 정보 및 링크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시설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트래픽 데이터 및 각 장비별 입출력 트래픽 간 비율의 기준치와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 정보를 저장하는 트래픽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8.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있어서,
    a)네트워크 장비의 입력 트래픽과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b)입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기준치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각 장비의 업링크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b)단계는,
    b)입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1 기준치의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인
    네트워크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b)단계는,
    b)입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2 기준치의 제2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인
    네트워크 관리 방법.
  11.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각 장비의 업링크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1 기준치의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b)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2 기준치의 제2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c)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2 기준치의 제2 허용 오차 내인 경우, 해당 장비를 주의가 필요한 경고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3.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각 장비의 장비 자체의 전체 입력 트래픽과 전체 출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2 기준치의 제2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각 장비의 업링크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b) 각 장비의 업링크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1 기준치의 제1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장애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c) 각 장비의 업링크 입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출력 트래픽 또는 업링크의 출력 트래픽과 다운링크의 입력 트래픽간의 비율이 제1 기준치의 제1 허용 오차 내인 경우, 해당 장비를 주의가 필요한 경고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KR1020070103453A 2007-10-15 2007-10-15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저장매체 KR20090038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453A KR20090038123A (ko) 2007-10-15 2007-10-15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453A KR20090038123A (ko) 2007-10-15 2007-10-15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123A true KR20090038123A (ko) 2009-04-20

Family

ID=4076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453A KR20090038123A (ko) 2007-10-15 2007-10-15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81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85B1 (ko) * 2015-07-02 2016-07-13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무선랜 네트워크에서의 에어타임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90103770A (ko) *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케이티 Iptv 서비스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비 및 모니터링 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85B1 (ko) * 2015-07-02 2016-07-13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무선랜 네트워크에서의 에어타임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WO2017002996A1 (ko) * 2015-07-02 2017-01-05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무선랜 네트워크에서의 에어타임 제어 방법
KR20190103770A (ko) *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케이티 Iptv 서비스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비 및 모니터링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98680B (zh) 一种故障定界方法及设备
KR100561628B1 (ko) 통계적 분석을 이용한 네트워크 수준에서의 이상 트래픽감지 방법
EP2081321A2 (en) Sampling apparatus distinguishing a failure in a network even by using a single sampling and a method therefor
CN103370904B (zh) 用于确定网络意外事件的严重性的方法、网络实体
US8717869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and restore flapping circuits in IP aggregation network environments
US201102709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trace events of a network device
EP2795841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ault analysis in a multi-layer network
JP4412031B2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
CN113708995B (zh) 一种网络故障诊断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05069999A2 (en) Automated and embedded software reliability measurement and classification in network elements
WO200602880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performance and health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US107081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network operations
CN102868553A (zh) 故障定位方法及相关设备
US20080181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arge-scale distribution networks by data sampling
JP2010088031A (ja) アンダーレイネットワーク障害検知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8908505B2 (en)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monitor communication paths in communication systems
CN114363151A (zh) 故障检测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003747A (zh) 云虚拟网关的故障定位方法
CN110071843B (zh) 一种基于流路径分析的故障定位方法及装置
KR20090038123A (ko)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저장매체
KR100964392B1 (ko)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873560A (zh) 网络故障的处理方法和装置
KR100500836B1 (ko) 매트로 이더넷망의 장애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7874B1 (ko) 인터넷 망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988172B (zh) 一种网络信息管理平台、装置及安全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