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955A -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955A
KR20090036955A KR1020070102267A KR20070102267A KR20090036955A KR 20090036955 A KR20090036955 A KR 20090036955A KR 1020070102267 A KR1020070102267 A KR 1020070102267A KR 20070102267 A KR20070102267 A KR 20070102267A KR 20090036955 A KR20090036955 A KR 20090036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file
files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츄얼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츄얼스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츄얼스톰
Priority to KR102007010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6955A/ko
Publication of KR2009003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 H04L67/1078Resource delivery mechanisms
    • H04L67/1085Resource delivery mechanisms involving dynamic management of active down- or uploading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로부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1 파일을 공유하는 제2 단말로의 파일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 파일을 분할하여 복수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파일을 복수의 파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제1 단말로 복수의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복수의 파일을 재결합하여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래픽이 일정 레벨 이상으로 증가하여도 대용량 컨텐츠의 다운로드 속도를 일정 레벨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파일 전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파일 전송, 피어 투 피어

Description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METHOD FOR FI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래픽이 일정 레벨 이상으로 증가하여도 대용량 컨텐츠의 다운로드 속도를 일정 레벨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일 전송 서비스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단말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종래 파일 전송 서비스는 개별 사용자의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여 그 사이트 내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근래, 특정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한정된 컨텐츠 이외에 다양한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피어 투 피어(Peer-to-peer) 서비스가 이중 대표적인 것이다.
피어 투 피어(Peer-to-peer) 서비스는 개별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서버로 활용하여 컨텐츠를 직접 제공하고, 다른 개별 사용자의 단말에 공유된 컨텐츠를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즉, 종래 파일 전송 서비스는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 대 다(One to many) 형태의 집중형 서비스인 반면에, 피어 투 피어 서비스는 개별 사용자들 상호간에 컨텐츠를 주고 받는 다 대 다(Many to many) 형태의 분산형 서비스이다.
최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속도 및 개인용 단말의 성능이 눈부시게 발달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인터넷 사용자의 공유 컨텐츠의 종류도 텍스트 또는 이미지 컨텐츠에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User Created Contents, 이하, UCC라 칭함.)와 같은 대용량의 동영상 컨텐츠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피어 투 피어 서비스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개인용 단말은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트래픽이 소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컨텐츠 전송 속도가 매우 느려지거나 접속이 끊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개인용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 중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증가하는 경우, 트래픽이 조금만 증가하여도 컨텐츠의 전송이 어려워 지게 되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트래픽이 일정 레벨 이상으로 증가하여도 대용량 컨텐츠의 다운로드 속도를 일정 레벨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1 파일을 공유하는 제2 단말로의 파일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파일을 분할하여 복수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파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파일을 재결합하여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1 파일을 공유하는 제2 단말로의 파일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상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파일을 분할하여 복수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파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 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파일을 재결합하여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1 파일을 공유하는 제2 단말로의 파일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상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면, 상기 제1 파일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사이트의 운용서버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일을 상기 운용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트래픽이 일정 레벨 이상으로 증가하여도 대용량 컨텐츠의 다운로드 속도를 일정 레벨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 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사이트(1000) 및 운용서버(2000)를 포함한다.
서비스 사이트(10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의미한다. 즉, 서비스 사이트(10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사이트(100)에 접속중인 복수의 단말(100 ~ 900) 각각이 공유 중인 파일을 검색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운용서버(2000)는 서비스 사이트(100)에 접속중인 복수의 단말(100 ~ 900)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공유하는 파일에 대한 전송 요청이 발생하면, 파일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설정된 조회 순위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운용서버(2000)는 이 판단 결과에 따라 다른 방식의 파일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 N 개의 단말(300-1 ~ 300-N)은 단말(100, 200)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들이다. 또한, 도 2는 단말(100)로부터 단말(200)로 파일 전송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단말(100)로부터 단말(200)로 파일 전송 요청이 발생하면(S102), 파일 전송 요청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한 서비스 사이트의 운용서버(2000)는 해당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설정된 조회 순위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4).
S104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파일이 설정된 조회 순위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운용서버(2000)는 해당 파일의 복사본을 해당 파일을 공유중인 단말로부터 다운로드하고(S106), 단말(100)로부터의 파일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운용서버(2000)에 저장된 복사본을 단말(100)로 직접 전송한다(S108).
예로서, 설정된 조회 순위 범위가 조회 수 상위 10%라면, 운용서버(2000)는 조회 수 10%에 해당되는 파일들에 대한 파일 전송 요청 발생 시 해당 파일을 공유하는 단말로 파일의 다운로드를 위한 동의를 요청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해당 파일을 공유하는 단말 사용자의 동의가 있으면, 해당 파일의 복사본을 운용서버(2000)로 다운로드 하여 직접 서비스하고, 운용서버(2000)로부터 다른 단말로의 다운로드 횟수에 대응하는 광고 수익 등을 해당 파일의 원 소유주와 일정 비율로 배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파일을 공유하는 단말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는 경우, 해당 파일이 설정된 조회 순위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S110 단계 이후를 진행할 수 있으며, S110 단계 이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S104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파일이 설정된 조회 순위 범위 이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운용서버(2000)는 단말(200)로 하여금 파일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파일(이하, 원본 파일이라 칭함.)을 N 개로 분할하여 분할 파일(F1, F2, F3, F4, F5, F6, … , FN)을 생성한다(S110). 여기에서, N은 운용서버(2000)의 운영자에 의해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임의의 숫자로 설정된다. 또한, N 개의 분할 파일(F1, F2, F3, F4, F5, F6, … , FN) 각각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200)은 S110 단계에서 N 개로 분할된 파일(이하, 분할 파일이라 칭함.) 각각을 N개의 단말(300-1 ~ 300-N)로 전송한다(S112). 운용서버(2000)는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모든 단말(100 ~ 300)에 단말(100 ~ 300) 각각이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는 복수의 단말의 M 개의 IP 어드레스를 전달하고, 단말(100 ~ 300) 각각은 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M은 N보다 큰 수이며, N개의 단말(300-1 ~ 300-N)은 M 개의 IP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단말들 중 단말(2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들이다.
다시 말하면, 단말(200)은 분할 파일(F1)을 단말(300-1)로 전송하고, 분할 파일(F2)은 단말(300-2)로 전송한다. 그리고, 분할 파일(F3)은 단말(300-3)로 전 송하고, 분할 파일(F4)은 단말(300-4)로 전송한다. 또한, 분할 파일(F5)은 단말(300-5)로 전송하고, 분할 파일(F6)은 단말(300-6)로 전송하며, 분할 파일(FN)은 단말(300-N)로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단말(200)은 N개의 단말(300-1 ~ 00-N) 각각에 분할 파일(F1, F2, F3, F4, F5, F6, … , 또는 FN)을 전송한 소스(Source) 어드레스인 단말(200)의 IP 어드레스 및 N개의 단말(300-1 ~ 00-N) 각각이 분할 파일(F1, F2, F3, F4, F5, F6, … , 또는 FN)을 전송할 타겟(Target) 어드레스인 단말(100)의 IP 어드레스를 전달한다. 그리고, 단말(200)은 단말(100)에 분할 파일(F1, F2, F3, F4, F5, F6, … ,FN)의 순서 정보를 전달한다(S112).
S112 단계를 통해 분할 파일(F1, F2, F3, F4, F5, F6, … , FN)을 복수의 단말(300-1 ~ 300-N)로 전송한 운용서버(2000)는 복수의 단말(300-1 ~ 300-N) 각각으로부터 단말(100)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설정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칭함.)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4). 즉, S112 단계를 통해 분할 파일(F1, F2, F3, F4, F5, F6, … , FN)을 수신한 복수의 단말(300-1 ~ 300-N) 각각은 자신으로부터 단말(100)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체크하여 QoS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운용서버(2000)로 전송한다. 운용서버(2000)는 QoS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단말(300-1 ~ 300-N) 중 QoS를 보장할 수 없는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114 단계의 판단 결과, 복수의 단말(300-1 ~ 300-N) 각각으로부터 단말(100)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우수하여 모든 단말(300-1 ~ 300-N)이 QoS를 보장 할 수 있는 경우, 운용서버(2000)는 복수의 단말(300-1 ~ 300-N) 각각이 단말(100)에 분할 파일(F1, F2, F3, F4, F5, F6, … , FN)을 전송하도록 한다(S116).
S116 단계를 통해, S112 단계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순서 정보에 대응되는 분할 파일(F1, F2, F3, F4, F5, F6, … , FN)을 모두 수신한 단말(100)은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재결합시켜 최초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던 원본 파일을 재생성한다(S118).
한편, S114 단계의 판단 결과, 복수의 단말(300-1 ~ 300-N) 중 QoS를 보장할 수 없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 저장된 IP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단말 중 해당 단말로부터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로 해당 분할 파일을 전송한다(S120).
여기에서, QoS가 보장되지 않는 경우는 다음의 두 가지가 있으며, 각 경우에 대하여 나누어 설명한다.
첫째, 복수의 단말(300-1 ~ 300-N) 중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단말(100)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예로서, 단말(300-1)의 단말(100)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운용서버(2000)에 설정된 QoS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운용서버(2000)는 단말(300-1)에 저장된 IP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단말 중 하나의 단말로 단말(300-1)이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분할 파일(F1)을 전송한다. 여기에서, 단말(300-1)로부터 분할 파일(F1)을 전송 받는 단말은 단말(300-1)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이며, 최초 단말(200)이 분할 파일(F2, F3, F4, F5, F6, … , FN)을 전 송한 단말(300-2 ~ 300-N)에 포함되지 않는 단말이다.
둘째, 단말(200)로부터 분할 파일(F1, F2, F3, F4, F5, F6, … , FN) 각각을 전송 받은 복수의 단말(300-1 ~ 300-N)에서 단말(100)로의 파일 전송이 완료되기 전에 복수의 단말(300-1 ~ 300-N) 중 하나 이상의 단말이 서비스 사이트로부터 로그 오프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로서, 단말(300-2)이 단말(200)로부터 파일(F2)를 수신한 이후, 단말(100)로 파일 전송을 완료하기 이전에 로그 오프 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운용서버(2000)가 단말(300-2)의 로그 오프를 감지하면, 단말(200)이 단말(200)에 저장 중인 복수의 IP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의 IP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단말로 분할 파일(F2)을 전송시키도록 한다. 이때, 분할 파일(F2)을 수신하는 단말은 복수의 단말(300-1 ~ 300-N)을 제외하고 단말(20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이 되도록 설정됨은 물론이다.
S120 단계를 수행한 운용서버(2000)는 분할 파일(F1) 및 분할 파일(F2)를 전송받은 단말로부터 단말(100)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체크하여 QoS가 보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S114 단계 이후를 반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은 파일을 분할하여동일한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다른 단말들을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대용량 컨텐츠의 전송 시 트래픽의 증가에도 다운로드 속도를 일정 레벨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조회 순위가 높은 파일을 서버로 다운로드 하여 직접 서비스 함으로써 트래픽이 높은 대용량 컨텐츠의 경우에도 끊김없이 유연한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30)

  1.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1 파일을 공유하는 제2 단말로의 파일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을 분할하여 복수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파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파일을 재결합하여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을 분할하여 복수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설정된 순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제1 레벨 이하인 제3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제3 단말에 저장중인 파일을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제4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제3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제3 단말에 대응되는 파일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제4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파일의 순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재결합하여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말은 상기 복수의 단말을 제외하고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말은 상기 복수의 단말을 제외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11.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1 파일을 공유하는 제2 단말로의 파일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상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파일을 분할하여 복수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파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로 분 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파일을 재결합하여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상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상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면, 상기 제1 파일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사이트의 운용서버로 다운로드 하고, 상기 제1 파일을 상기 운용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제1 레벨 이상인지 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제1 레벨 이하인 제3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제3 단말에 저장중인 파일을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제4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제3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제3 단말에 대응되는 파일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제4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파일의 순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재결합하여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말은 상기 복수의 단말을 제외하고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데이 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말은 상기 복수의 단말을 제외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1.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1 파일을 공유하는 제2 단말로의 파일 전송 요청에 대응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상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면, 상기 제1 파일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사이트의 운용서버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일을 상기 운용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파일의 실시간 조회 순위가 상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파일을 분할하여 복수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파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파일을 재결합하여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제1 레벨 이하인 제3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제3 단말에 저장중인 파일을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제4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로그 오프 되는 제3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제3 단말에 대응되는 파일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제4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모두 상기 제1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파일의 순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재결합하여 상기 제1 파일을 재생성하는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말은 상기 복수의 단말을 제외하고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말은 상기 복수의 단말을 제외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데이 터 전송 속도가 가장 우수한 단말인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KR1020070102267A 2007-10-10 2007-10-10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KR20090036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267A KR20090036955A (ko) 2007-10-10 2007-10-10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267A KR20090036955A (ko) 2007-10-10 2007-10-10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955A true KR20090036955A (ko) 2009-04-15

Family

ID=4076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267A KR20090036955A (ko) 2007-10-10 2007-10-10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69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23B1 (ko) * 2008-02-15 2013-02-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데이터 결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3181A (ko) * 2014-11-26 2016-06-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21638B1 (ko) * 2019-10-29 2021-03-04 데이터비즈 주식회사 대용량 파일 배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23B1 (ko) * 2008-02-15 2013-02-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데이터 결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3181A (ko) * 2014-11-26 2016-06-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21638B1 (ko) * 2019-10-29 2021-03-04 데이터비즈 주식회사 대용량 파일 배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WO2021086087A1 (ko) * 2019-10-29 2021-05-06 데이터비즈 주식회사 대용량 파일 배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7235B2 (en) Real-time and secured picture/video upload via a content delivery network
CN109640348B (zh) 多业务mec网络架构、多业务数据流的处理方法及装置
US2017015592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ying Live Video
US11178062B2 (en) Orchestrating physical and virtual resources for delivering digital contents
US10455005B2 (en) Detecting virtual private network usage
US2017015569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uploading live video
US83808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CN102612829B (zh) 用于支持重叠网络中通信对等端选择的方法和系统
RU2009135239A (ru) Способы доступа к удаленным данным для портативных устройств
KR102110421B1 (ko) 클라이언트 장치에 시청각 컨텐츠를 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706249B2 (en) Extended, home, and mobile content delivery networks
CN10952195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云存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262063A (zh) 用于在内容导向网络中创建和管理虚拟专用组的方法和设备
KR20120092622A (ko) 데이터 세그먼트의 선택적 방송전달을 가지는 스트리밍
CN103826139A (zh) Cdn系统、观看服务器以及流媒体数据传输方法
US2017016376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btaining live video
JP2005204001A5 (ko)
KR20090036955A (ko) 파일 전송 서비스 방법
JP671274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キャッシュ方法、キャッシュプログラム、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Wakeman et al. The fans united will always be connected: building a practical DTN in a football stadium
US107502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side content delivery network switching
KR20120056492A (ko) P2p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서버 사용량을 조절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798147B2 (en) Constraint based controlled seeding
JP2019041241A (ja) 振り分けシステム
US9860171B2 (en) Large scale message routing in a distributed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