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871A - 촬상 렌즈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871A
KR20090036871A KR1020070102157A KR20070102157A KR20090036871A KR 20090036871 A KR20090036871 A KR 20090036871A KR 1020070102157 A KR1020070102157 A KR 1020070102157A KR 20070102157 A KR20070102157 A KR 20070102157A KR 20090036871 A KR20090036871 A KR 20090036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ing
refractive power
curvature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546B1 (ko
Inventor
양진오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롭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롭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이크롭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546B1/ko
Priority to EP08154190A priority patent/EP2056149A1/en
Priority to US12/105,147 priority patent/US7982977B2/en
Priority to JP2008177886A priority patent/JP2009093149A/ja
Publication of KR2009003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06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two +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소형의 정보 단말기의 탑재에 적합한 촬상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리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를 구비하되, 상기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정 렌즈이고, 상기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부 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는 적어도 한 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정 렌즈이고, 상기 제4렌즈는 상측 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고, 물체측 면을 구면 형상으로 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 부 렌즈이고,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r3+r4)/(r3-r4) > -0.7 ㆍㆍㆍ(1)
v1-v2 > 15.0 ㆍㆍㆍ(2)
v3-v2 > 15.0 ㆍㆍㆍ(3)
단, r3는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r4는 제2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v1, v2 및 v3는 각각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의 아베상수이다.
모바일, 렌즈, 비구면, 구면

Description

촬상 렌즈{Imaging lens}
본 발명은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소형의 정보 단말기의 탑재에 적합한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의 일반 가정 등으로의 보급에 따라 화상정보를 퍼스널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이하, 디지털 카메라라고 함)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의 고기능화에 따라 소형의 촬상 모듈을 탑재한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도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기타, PDA 등의 소형의 정보 단말기기에 있어서도 촬상 모듈을 탑재한 것이 보급되고 있다.
이들 촬상 기능을 갖춘 기기에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전하결합소자)나 CMOS(Complementary Metal 0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가 사용되어 있다. 이들 촬상 소자는 최근, 대단히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때문에, CCD 등의 촬상 소자를 사용한 촬상 기기에 있어서, 기기본체 및 그것에 탑재되는 렌즈에도 소형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고화질을 달성하기 위해서 화소수가 많은 촬상 소자가 개발되어 있고, 이에 따라 렌즈계에도 보다 고해상이고 고콘트라스트(contrast)의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의 촬상 소자는 소형화 및 고화소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특히 디지털 카메라용의 촬상 렌즈에는 높은 해상성능과 구성의 컴팩트화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 등의 소형의 정보 단말기기용의 촬상 렌즈에는 종래, 가격면과 컴팩트성이 주로 요구되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 등에 있어서도 촬상 소자의 고화소화가 진행되는 경향이 있고, 예를 들면 100만 화소이상의 메가픽셀 대응의 것이 실용화되어 성능면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가격면, 성능면 및 컴팩트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종의 다양한 렌즈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컴팩트화 및 저가격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렌즈 매수를 3매 또는 4매 구성으로 하고, 고성능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비구면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비구면은 컴팩트화 및 고성능화에 기여하지만, 제조성의 점에서 불리하고 가격이 높아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비구면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렌즈의 민감도가 증가하여 조립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양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민감도가 높은 부분의 렌즈면을 비구면에서 구면화함으로써, 조립성을 개선하여 양선성을 개선하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촬상 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리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를 구비하되, 상기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정 렌즈이고, 상기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부 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는 적어도 한 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정 렌즈이고, 상기 제4렌즈는 상측 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고, 물체측 면을 구면 형상으로 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 부 렌즈이고,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r3+r4)/(r3-r4) > -0.7 ㆍㆍㆍ(1)
v1-v2 > 15.0 ㆍㆍㆍ(2)
v3-v2 > 15.0 ㆍㆍㆍ(3)
단, r3는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r4는 제2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v1, v2 및 v3는 각각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의 아베상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촬상렌즈는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 > R3R > R4F ㆍㆍㆍ(4)
단, R3R은 제3렌즈의 상측 면의 중심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R4F은 제4렌즈의 물체측 면의 중심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파워에 관해서는 하기 (5)의 조건식을 만족시키고, 광 축을 따라 전체 렌즈의 치수에 관해서는 하기 (6)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0 < f1/f < 0.8 ㆍㆍㆍ(5)
TL/f < 1.7 ㆍㆍㆍ(6)
단, f는 전체 촬상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f1은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TL은 상기 조리개의 물체측과 촬상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촬상 렌즈에 의하면, 제3렌즈의 적어도 한 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고, 제4렌즈는 상측 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고, 물체측 면을 구면 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소정의 조건식(1) 내지 (6)을 만족시켜서 각 렌즈의 형상, 파워 배분 등을 최적화하도록 했으므로, 적은 렌즈 매수이면서 비구면을 유효하게 사용하고, 민감도가 높은 부분의 렌즈면을 비구면에서 구면화함으로써, 조립성을 개선하여 양선성을 개선하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리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를 구비하되, 상기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정 렌즈이고, 상기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부 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는 적어도 한 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정 렌즈이고, 상기 제4렌즈는 상측 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고, 물체측 면을 구면 형상으로 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 부 렌즈이고,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r3+r4)/(r3-r4) > -0.7 ㆍㆍㆍ(1)
v1-v2 > 15.0 ㆍㆍㆍ(2)
v3-v2 > 15.0 ㆍㆍㆍ(3)
단, r3는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r4는 제2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v1, v2 및 v3는 각각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의 아베상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촬상렌즈는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 > R3R > R4F ㆍㆍㆍ(4)
단, R3R은 제3렌즈의 상측 면의 중심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R4F은 제4렌즈의 물체측 면의 중심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파워에 관해서는 하기 (5)의 조건식을 만족시키고, 광축을 따라 전체 렌즈의 치수에 관해서는 하기 (6)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0 < f1/f < 0.8 ㆍㆍㆍ(5)
TL/f < 1.7 ㆍㆍㆍ(6)
단, f는 전체 촬상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f1은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TL은 상기 조리개의 물체측과 촬상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촬상 렌즈는 상기 제3렌즈의 한 면과 상기 제4렌즈의 물체측 면을 구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민감도를 저하시키고, 조립성을 개선하여 수율을 향상시 킬 수 있다.
상기한 바람직한 구성을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채용함으로써 보다 고성능이고 콤팩트한 렌즈계가 실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각 렌즈의 파워나 각 렌즈면의 요철형상으로 언급할 때는, 원칙적으로 광축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촬상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리개(2),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를 구비하고, 광축을 따라 입사하는 광선을 촬상소자(촬상면)(3)의 결상 위치에 효율 좋게 포커싱시키도록 한 촬상렌즈이다.
여기서, 상기 조리개(2)는 제1렌즈(L1)의 물체측 면에 배치되고, 촬상렌즈와 촬상소자(3) 사이에는 커버 유리(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L1)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정 렌즈이고, 상기 제2렌즈(L2)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부 렌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L3)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정 렌즈이고,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3렌즈(L3)의 상측 면은 비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민감도가 높은 제3렌즈(L3)의 물체측 면은 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렌즈(L4)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부 렌즈로서, 상측 면이 비구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물체측 면이 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렌즈(L1) 내지 제4렌즈(L4)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r3+r4)/(r3-r4) > -0.7 ㆍㆍㆍ(1)
v1-v2 > 15.0 ㆍㆍㆍ(2)
v3-v2 > 15.0 ㆍㆍㆍ(3)
여기서, r3는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r4는 제2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v1, v2 및 v3는 각각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의 아베상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촬상렌즈는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 > R3R > R4F ㆍㆍㆍ(4)
단, R3R은 제3렌즈의 상측 면의 중심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R4F은 제4렌즈의 물체측 면의 중심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파워에 관해서는 하기 (5)의 조건식을 만족시키고, 광축을 따라 전체 렌즈의 치수에 관해서는 하기 (6)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0 < f1/f < 0.8 ㆍㆍㆍ(5)
TL/f < 1.7 ㆍㆍㆍ(6)
단, f는 전체 촬상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f1은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TL은 상기 조리개의 물체측과 촬상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 제3렌즈(L3)는 한 면이 비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면은 구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비구면으로 인해 상면 만곡이나 구면수차를 비롯한 각 수차가 양호한 효과가 있으며. 민감도가 높은 한 면을 구면화함으로써 렌즈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렌즈(L4)는 상측 면이 비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물체측 면이 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민감도를 저하시키고, 조립성을 개선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여러가지 형태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각 렌즈의 곡률반경, 렌즈 간격(혹은 렌즈 두께) 및 비구면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렌즈 재료로 플라스틱재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렌즈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렌즈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 커버 유리 2 : 조리개
3 : 촬상면
Lj : 물체측으로부터 제 j번째 렌즈
r3 : 제 2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
r4 : 제 2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
vi : 물체측으로부터 제 i번째 렌즈의 아베 상수

Claims (3)

  1.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리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를 구비하되,
    상기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정 렌즈이고,
    상기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부 렌즈이고,
    상기 제3렌즈는 적어도 한 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정 렌즈이고,
    상기 제4렌즈는 상측 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고, 물체측 면을 구면 형상으로 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 부 렌즈이고,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r3+r4)/(r3-r4) > -0.7 ㆍㆍㆍ(1)
    v1-v2 > 15.0 ㆍㆍㆍ(2)
    v3-v2 > 15.0 ㆍㆍㆍ(3)
    단, r3는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r4는 제2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v1, v2 및 v3는 각각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의 아베상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0 > R3R > R4F ㆍㆍㆍ(4)
    단, R3R은 제3렌즈의 상측 면의 중심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R4F은 제4렌즈의 물체측 면의 중심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낸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파워에 관해서는 하기 (5)의 조건식을 만족시키고, 광축을 따라 전체 렌즈의 치수에 관해서는 하기 (6)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0 < f1/f < 0.8 ㆍㆍㆍ(5)
    TL/f < 1.7 ㆍㆍㆍ(6)
    단, f는 전체 촬상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f1은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TL은 상기 조리개의 물체측과 촬상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KR1020070102157A 2007-10-10 2007-10-10 촬상 렌즈 KR100933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157A KR100933546B1 (ko) 2007-10-10 2007-10-10 촬상 렌즈
EP08154190A EP2056149A1 (en) 2007-10-10 2008-04-08 Imaging lens.
US12/105,147 US7982977B2 (en) 2007-10-10 2008-04-17 Imaging lens assembly having multiple lenses with positive and negative refractive powers
JP2008177886A JP2009093149A (ja) 2007-10-10 2008-07-08 撮像レン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157A KR100933546B1 (ko) 2007-10-10 2007-10-10 촬상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871A true KR20090036871A (ko) 2009-04-15
KR100933546B1 KR100933546B1 (ko) 2009-12-23

Family

ID=4007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157A KR100933546B1 (ko) 2007-10-10 2007-10-10 촬상 렌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82977B2 (ko)
EP (1) EP2056149A1 (ko)
JP (1) JP2009093149A (ko)
KR (1) KR100933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6700B (zh) * 2008-05-28 2013-02-21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具有短鏡長之四鏡片式光學取像鏡頭
US7826149B2 (en) * 2008-12-27 2010-11-02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lens system for taking image
KR101157398B1 (ko) 2010-06-30 2012-06-25 주식회사 코렌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247314B1 (ko) 2010-07-26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결상렌즈 시스템
CN103185953B (zh) * 2012-12-28 2015-08-19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与其光学成像镜头
CN104007534A (zh) * 2014-06-05 2014-08-27 舜宇光学(中山)有限公司 一种超景深可同时获取两眼虹膜图像的窄带通识别镜头
CN104483723A (zh) * 2014-11-18 2015-04-01 南京联河讯光电科技有限责任公司 微型联合光具组用第一镜片
CN115113365B (zh) * 2022-05-23 2023-12-15 江西欧菲光学有限公司 光学系统、镜头模组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972A (ja) 1997-02-14 1998-08-25 Olympus Optical Co Ltd 広角写真レンズ
JP4233062B2 (ja) * 1997-03-26 2009-03-04 フジノン株式会社 結像レンズ
JP4754719B2 (ja) * 2001-05-31 2011-08-24 シヤチハタ株式会社 消色性水性インキ
JP4032668B2 (ja) * 2001-06-05 2008-0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レンズ
JP4032667B2 (ja) * 2001-06-05 2008-0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レンズ
JP4940704B2 (ja) * 2005-03-17 2012-05-30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4828317B2 (ja) * 2005-09-29 2011-1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2007212878A (ja) * 2006-02-10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単焦点撮像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4879600B2 (ja) * 2006-02-15 2012-02-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
KR100691624B1 (ko) * 2006-02-15 2007-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TWI336020B (en) * 2006-08-17 2011-01-11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lens assembly for taking image
JP4977869B2 (ja) * 2006-08-21 2012-07-18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82977B2 (en) 2011-07-19
JP2009093149A (ja) 2009-04-30
EP2056149A1 (en) 2009-05-06
US20090097135A1 (en) 2009-04-16
KR100933546B1 (ko)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1715B2 (e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JP5601857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JP5721881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
KR100708278B1 (ko) 단초점 렌즈
US7564634B2 (en) Lens system
KR100711118B1 (ko) 광각 단초점 렌즈
KR100933546B1 (ko) 촬상 렌즈
KR100759152B1 (ko) 촬영 렌즈 시스템
JP2009069195A (ja) 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機器
JP5022172B2 (ja) 4枚構成小型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装置
JP2009069193A (ja) 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機器
JP5362528B2 (ja) 2焦点レンズ、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情報機器
JP2009098515A (ja) 4枚構成小型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装置
KR101019519B1 (ko) 촬상 렌즈
JP2005077692A (ja) 変倍撮像レンズ
KR101830765B1 (ko) 초슬림 소형 광학계
KR100878360B1 (ko) 촬상 렌즈
JP2005284003A (ja) 撮影レンズ
KR101120964B1 (ko) 3매 촬상 렌즈
KR100878359B1 (ko) 촬상 렌즈
KR100682388B1 (ko) 망원렌즈
KR101111188B1 (ko) 3매 촬상 렌즈
KR100711117B1 (ko) 단초점 렌즈
KR100714150B1 (ko) 단초점 렌즈
KR20110095656A (ko) 촬영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