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493A - 새로운 착상의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새로운 착상의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493A
KR20090036493A KR1020070102339A KR20070102339A KR20090036493A KR 20090036493 A KR20090036493 A KR 20090036493A KR 1020070102339 A KR1020070102339 A KR 1020070102339A KR 20070102339 A KR20070102339 A KR 20070102339A KR 20090036493 A KR20090036493 A KR 20090036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input
monitor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이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현 filed Critical 이성현
Priority to KR102007010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6493A/ko
Publication of KR2009003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a keyboard, e.g. pivoting le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발상(Concept)으로 고안한 컴퓨터 '키보드시스템' ( '키보드' 를 중심으로 한 복합적인 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키보드' 의 사용상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소하고, 기기(機器)의 기능을 보완하고 추가한 것이 요지로, 상세히 말하자면 입력오류 예방과 사용편의를 위하여 '키' 의 위치와 크기를 다시하고 필요에 따라 신설하거나 삭제한 '키보드' ; 읽기 편의를 위하여 '원본' 이 들어 있는 '용지 등' 을 올려놓을 수 있는 가로나비 조절이 가능한 막대를 포함하는 '원본대' ; 입력되는 내용을 모니터와 함께 '키보드' 상에서 볼 수 있고 각 '키' 들의 현재 상태를 표시해주는 읽기전용 'LCD' 표시창; 입력하거나 입력대기 중일 때 손바닥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고탄성(高彈性)의 손바닥 받침대를 신설하고 '주요 키' 부분을 모니터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설계한 '키' ; '원본' 이 들어있는 '용지 등' 을 어두울 때 밝혀주는 모양 조절식 'LED' 조명등; '본체' 의 후면에 연결된 '주변장치' 들의 연결선을 한데 모아 모니터 주변으로 가져와 '본체' 의 반대쪽 '연결단자' 를 쉽게 연결하고 제거하도록 하는 '단자결합상자' ; '키보드' 에서 분리하여 연결선을 이어 이동과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키' 의 크기와 위치를 다시 변경 배치한 키패드(Keypad); 이동이나 보관(보안 포함)을 용이하게 하고, 노트북의 '키보드' 대용(代用)으로 사용하고자 컴퓨터 '키보드시스템' 전체를 담아서 이동 또는 보관이 쉽도록 하고 노트북컴퓨터의 '키보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 ); 를 신설한 것이 특징이다.
컴퓨터, 키보드, 콘셉트, 접이식, LED

Description

새로운 착상의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New Concept for Computer Keyboard System}
본 발명은 '키보드' 사용상의 불편해소와 편의성(便宜性) 향상을 위하여 컴퓨터 입력장치중 하나인 '키보드시스템' ( '키보드' 와 그 '부속장치' 모두를 포함하는 기계장치를 말하며 이하 같다)전체에 관하여 새로운 발상(Concept)을 가지고 완전히 새롭게 교정하거나 신설한 것이다.
현재의 '키보드' (낱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로 보통 '키보드'라 하면 이를 뜻하며 이하 같다)는 80년대 초 PC가 탄생 했을 때와 몇 개의 '키' (입력장치인 낱개의 키를 말하며 이하 같다)가 추가되었을 뿐 '키' 의 위치나 크기, 기능 등은 변함이 거의 없는데 위치가 잘못되어 사용 시 오류 등과 불편이 있다. '원본' (입력할 자료의 내용을 말하며 이하 같다)이 들어있는 용지나 책자 등(이하 '용지 등' 이라 한다)을 놓아둘 특별한 장소가 없어 '원본' 을 읽기가 불편하거나 어려웠으며 '키보드' 주변이 어두우면 읽기가 곤란하였다. '키' 를 통해 입력된 자료는 모니터로만 확인할 수 있어 장시간 입력 시 목 등이 아픈 경우도 있으며, '키' 들의 현재 상태(예: 한/영 '키' 가 한글입력 상태인지를 알 수 없음)를 알 수 없어 직접 입력해 보아야 한다. 자료를 입력하거나 대기할 때 손바닥이 위치할 곳이 대부분 없고 있더라도 딱딱한 것이다. '주요 키' {양끝에 시프트(Shift) '키' 가 있는 2번째 줄(스페이스바 바로 위의 줄)부터 왼쪽에 텝(Tab)과 오른쪽에 엔터(Enter)가 있는 4번째 줄까지를 말하는데 주로 문자를 입력하며 이하 같다} 가 있는 부분의 높이는 보통 전면(입력자 방향)과 후면이 같거나 후면이 더 높은 경우가 많은데 그 경우 손목이 'V'자가 된다. PC의 '본체' (Main Frame, PC본체를 말하며 이하 '본체' 라 한다) 뒷면에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직렬버스)등 '연결단자' (連結端子, terminal : 이하 '단자' 라 한다)를 이용해 '주변장치' (Device, '본체' 를 제외하고 PC에 딸린 모든 하드웨어)와 연결하거나 단절하려면 '본체' 를 앞으로 꺼내야 가능하다. 키패드(Keypad)는 항시 '키보드' 와 붙어 있어 따로 이동할 수 없었고 배치된 '키' 들은 크기와 위치로 인해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다. '키보드' 는 이동시 케이스 등 특별한 장치가 없어 그냥 들고 다니며 보관 시 사용한 자리에 그대로 두는 경우가 많아 보안에 취약했다.
현재의 '키보드' 는 80대초 PC가 탄생 했을 때와 변함이 거의 없는데 '주요 키' 는 여태껏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혼란을 예방하기 위해 그대로 두었지만, 나머지 '키' 중에는 위치와 크기, 기능 등이 잘못되어 원치않는 '키' 가 눌려지거나 사용 시 매우 불편한 경우가 많았다. '글자판' ( '키' 에서 글자가 새겨져 있는 상부(上部)로 손가락 끝이 닿는 부분을 말하며 이하 같다)의 위 글자(예: 세미콜론과 콜론이 새겨진 '글자판'에서 콜론을 지칭)를 입력하려면 반드시 시프트(Shift) '키' 를 누르고 해당 '키' 를 눌러야 하며 상반된 '키' (예: '↑' 와 '↓' )가 따로 위치하여 사용이 번거로워 한 개의 '키' 로 가능하도록 하였다. 기능키 등은 글자판에 한 가지만 있어서{조합키와 주요한 '키' 중(Esc, 한/영 등) 은 제외} '키' 의 낭비(한 가지만 입력가능)가 있고 '키보드' 는 크기(특히 나비-좌우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다. '원본' 이 들어있는 '용지 등 ' 을 읽기위해 놓아 둘 정해진 장소가 없는데 '용지 등' 이 책자일 경우는 더욱 곤란을 겪는다. 입력된 자료는 모니터로만 확인이 되는데 입력내용을 '키보드' 상에서 볼 수 있다면 눈동자를 조금만 움직여도 되며, 토글(Toggle)이면서 그 상태가 표시되지 않는 '한/영' 이나 'Insert' '키' 등의 상태를 알려 입력에 도움이 되도록 표시장치를 만들었다. 자료를 입력하거나 대기하려면 일정한 장소에 손바닥을 올려놓을 고정 장치가 있어야 하고 그것이 탄성이 있다면 율동적이고 빠른 입력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이다. '주요 키' 부분은 모니터 방향으로 갈수록 더 낮아져야 손목이 편안(자연스러운 상태)한 데 보통은 '키보드' 앞뒤 높이가 같지만 높이조절 장치를 세워서 전면보다 후면을 더 높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손가락 앞부분이 들린 상태가 되어 입력을 오래하면 피로해질 수 있다. '원본' 이 들어있는 '용지 등' 을 읽으려면 충분한 밝기의 조명이 있어야 하며, '본체' 후면에 '주변장치' 를 연결하려면 '본체' 앞으로 꺼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일부는 앞부분에 USB 포트를 설치한 것도 있으나 USB만 사용할 수 있다). '키패드' 는 '키보드' 와 고정되어 있어 숫자만을 입력하는 경우 나머지 부분은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키패드' 에서 위에 숫자가 있는 '키' 는 아래의 것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기존의 '상하좌우' 키를 주로 사용함), '키' 의 크기와 위치가 잘못되어 입력이 불편하다. '키보드' 는 고정된 크기(너비가 길고 고정되어 있다)로 이동하거나 보관이 불편하다. 또한 사용하던 장소에 그대로 놓아두는 경우가 많아 보안에 취약하다.
본 발명은 새로운 발상으로 고안한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키' 의 위치와 크기를 '주요 키' 를 제외하고 변경하여 다시 배치하고 Shift '키' 를 사용하지 않고도 한번에 '글자판' 위 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여 1개의 '키' 로 '글자판' 의 2가지 문자를 번갈아 입력할 수 있는 '키' 를 신설하였으며 '키보드' 양 옆 2개열씩의 '키' 들을 '접이식' 으로 설계한 '키보드' ; '원본' 이 들어 있는 '용지 등' 을 올려놓고 읽을 수 있고 높이와 너비 조절이 가능한 '원본대(臺)' { '원본' 이 들어있는 '용지 등' 을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대(据置臺)를 말하며 이하 같다}; 입력한 내용을 모니터와 함께 '키보드' 에서도 두 줄로 볼 수 있게 하고 현재의 '키' 상태를 'LED'로 최상부에 표시해 주는 읽기 전용 'LCD'표시창; '키보드' 맨 전면에 신설한 고탄성의 손바닥 받침대, '주요 키' 부분을 모니터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설계한 '키' ; '원본' 이 들어있는 '용지 등' 을 어두울 때 밝혀주는 높이와 방향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등; '본체'의 후면에 연결된 '주변장치' 들의 연결선을 한데 모아 모니터 주변으로 가져와 쉽게 '단자' 들을 연결하고 단절할 수 있도록 한 '단자집합상자' ( '주변장치' 의 연결선과 이어진 '단자' 가 모여 있는 상자로 이하 같다);
'키보드' 에서 키패드를 분리하고 연결선으로 이어 키패드를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있게 하고 '키' 의 크기와 위치를 다시 배치하고 입력된 내용(숫자와 연산자)을 그대로 입력하거나 계산 결과를 입력하는 기능이 있는 키패드; '키보드시스템' 을 담아 이동 또는 보관하거나, 노트북용 '키보드' 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 가 해결수단이다.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우수하다고 사료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키보드' 관련( -. 로 시작되는 내용)]
-. '글자판' 의 위 글자나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려면 Shift를 먼저 누르고 해당 '키' 를 눌러야 되지만 Shift를 누르지 않고도 입력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상반된 2가지 글자를 1개의 '키' 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면 입력이 되도록 하였다.
-. 보통 '키' 는 바로 옆에 붙어서 다른 '키' 들이 있는데 급히 입력하다 보면 옆의 '키' 가 눌러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백스페이스(←), Delete, Esc, 한/영 '키' 등은 사용빈도가 높은데 입력속도 저하의 큰 걸림돌이 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교적 입력이 쉬운 스페이스 바 좌우에 성격에 따라 분리 배치하고 크기를 조절한 것도 있다.
-. 'Insert' ,'Home','Page Up' 등이 모여 있는 6개와 그 아래 '상하좌우' 화살표 '키' 는 사용 시 옆의 것이 잘못 눌려지는 경우가 흔한데 'Insert' , 'Delete'는 분리 배치하고 상반된 상하, 좌우 화살표와 'Page Up+Down', 'Home+End' '키' 는 한 '키' 에서 사용가능토록 개선했다.
-. 인터넷은 원치 않는 팝업 창(窓: 정보 등을 표현하기는 하지만 프로그램이 실행되지는 않는다)이 자주 떠서 닫아야 하고,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윈도우를 종료(창 닫기)하려면 프로그램이나 메뉴로 닫을 수 도 있지만 빠른 방법은 '알트(Alt) + F4' '키' 를 누르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을 한 손으로 하기에 불편하거나 불가능(손가락이 짧은 어린이 등)한 경우가 있어 2개의 '키' (Alt, F4)를 스페이스바 왼쪽에 인접하여 배치시켰다.
-. 좌우상하 화살표 '키' 는 설계된 '키보드' 에 포함되기는 하였지만 빠르게 눌러야 하는 게임 등에서는 잘못 눌려지거나 불편한 데 모양이 '┴' 이고 각각 따로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
Figure 112007508420246-PAT00013
' 모양으로 상하좌우 '키' 모두를 한 키에 모아 쉽고 빠르게 입력되도록 하였다.
-. 사용빈도가 많은 한/영,
Figure 112007508420246-PAT00014
(백스페이스), Home+End, ← + →, ↑ + ↓ '키' (중간에 '+' 가 있는 것은 한 개의 '키' 에 배치됨) 는 스페이스바와 같은 줄 오른쪽에 배치하고 Esc, Alt(왼쪽), F4, Delete, 한자 '키' 는 왼쪽에 배치하여 입력이 편리하고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하였다.
-. 기능(Function)키는 '글자판' 에 1개의 기능(예: F1)만 있고 한 줄에 차례대로 위치하여 '키' 의 낭비 등이 있다. 이를 '키보드' 왼쪽 상부에 모아서 서로 인접시키고 1개의 '키' 에 2개의 '글자판' 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조합키와 같이 사용하는 것 중 사용 빈도가 많고 운영체제에서도 똑같이 사용하는 'Ctrl + A' , 'Ctrl + C', 'Ctrl + V', 'Ctrl + X', 'Ctrl + Z'를 기능키 위 글자에 배치하여 사 용편의(한 손가락으로 한 번에 입력)를 도모하였다.
-. '키보드' 양 옆의 2열씩을 '접이식' 으로 만들어 '키보드' 의 너비를 줄여 케이스에 담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주요 키' 의 '글자판' 을 손끝으로 인지(認知) 할 수 있도록 돌기(突起)를 여러 군데에 추가 설치하였다.
-. '키보드' 는 스페이스 바 위쪽(모니터 방향)으로 4줄만 배치( '주요 키' 만 해당)하고 손바닥 받침대를 설치하여 입력하는 손가락의 움직이는 범위를 최소화하고 손바닥을 고정시켜 입력이 빠르고 편리하도록 하였다.
-. 키패드는 분리하였다.(별도 설명)
현재는 '용지 등' 을 특별히 놓을 자리가 없어 입력 시 용지일 경우는 모니터 주변에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매달거나 접착력이 있는 것으로 붙여서 사용(그래도 불편하기는 마찬가지)하지만 책자(예: 컴퓨터관련 실기시험을 준비하기 위하여 따라하기 할 때 등)는 모니터 주변 책상에 올려놓고 목을 옆으로 돌려야 하므로 더 불편이 많은데 '원본' 이 들어있는 '용지 등' 을 놓아두고 읽기 편리하도록 크기(너비)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원본대' 를 새로 설치하였고,
입력하고 있는 내용을 현재는 모니터를 통해서만 볼 수 있는데 이를 모니터(현재와 같이 Unicode와 Unicode로 할 수 없는 것 등을 읽고 쓰기 모두 한다)와 함께 '키보드' 상에서도 볼 수 있게 'LCD' 표시창(읽기 전용, Unicode만 표시 가능-> 입력오류를 검사하기 위함)을 설치하여 양쪽에서 볼 수 있도록 하고, 그 맨 위 줄에 '키' 의 현재 상태를 보여주는 'LED'를 설치하였으며,
현재 '키보드' 에는 입력 또는 입력대기 시 손바닥을 놓아둘 장소가 없는데(일부 설치된 것도 있지만 딱딱하거나 불편하다고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키보드' 맨 앞(입력자 쪽)에 고탄성 손바닥 받침대를 설치(고정)하여 손이 편안하고 입력을 쉽게 했다. 보통의 '키보드' 는 앞뒤로 편평하거나 높이조절 기구를 이용해 뒤가 더 높은 경우가 많다. '주요 키' 부분의 '키' 를 모니터 방향으로 갈수록 줄 단위로 낮아지게 만들어 손목 아래 손가락부분이 아래로 내려가 자연스럽고 편하도록 하였다.
'원본' 이 들어있는 '용지 등' 을 읽을 때 어두우면 밝혀줄 수 있는 'LED'조명등을 설치하고,
'본체' 를 앞으로 끌어내야 '본체' 의 후면에 '주변장치' 의 '단자' 를 연결하거나 단절할 수 있는데 이를 모니터 주변에서 가능하도록 '단자집합상자' 를 설치하였다.
'키보드' 에서 키패드를 분리하여 연결선으로 이어 키패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입력편의를 도모했다. 또 사용상 불편하여 키패드 '키' 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였다.
'접이식' 은 접기를 하는 등 하여 '키보드시스템' 모두를 담을 수 있는 케이스를 만들어 이동과 보관(보안을 포함한다)이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노트북' 컴퓨터의 '키보드' 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컴퓨터의 '키보드시스템' ( '키보드' 를 중심으로 한 복합적인 기 계장치들)에 관한 것으로 '키보드' 를 중심으로 종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장치들은 모두 효율적이고 편리한 '키보드' 를 위해 관련되어 있다.
'키보드' 의 각종 '키' 는 연이어서 붙여서 배치된 관계로 입력 시 잘못 눌려질 수 있다. 80년대 초에 만들어진 '키보드' 가 그 위치와 크기가 거의 변함없이 사용되고 있어 여러 사용상 불편(자주 사용하는 키가 멀리 배치된 경우 등)이 있고, 불필요한 '키' 가 있고 필요에 의해 새로 만들어 배치하여야 하나 큰 변화가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다음의 '-.' 로 시작되는 부분은 '키보드' 와 직접 관련된 부분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 '키' 에서 '글자판' 의 위 글자{예: '{' (여는 중괄호) 와 '[' (여는 대괄호)가 있는 '키' 에서 '{' 를 지칭함}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Shift를 먼저 누르고 해당 '키' 를 눌러야 입력되는데 매번 Shift를 누르는 것은 불편하기도 하지만 키스트로크(Keystroke)의 타이밍(Timing)을 흐트러지게 한다. 이를 예방하고 빠른 입력을 위하여 도 4의 (다)처럼 대용(代用)키를 신설(혼란을 예방하기 위해 현재와 같이 Shift를 누르고 입력할 수도 있게 했다)하였다. 또한 상반된 글자(상하는 상반되지 않은 것이 더 많음)를 1개의 '키' 에서 작동되도록 좌우{도 4의 (가)} 또는 상하{도 4의 (나)} 로 '키' 를 움직여 두 가지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대용키를 비치하였는데 이는 빠르게 입력하고 오류(Shift가 눌려지지 않거나 잘못 눌려지거나 누르는 것을 잊었을 때 - 상하 '키' 만 해당)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4의 (가)에서 27은 좌우로 움직일 때 중심이 되는 힌지, 28은 3단 고무 스프링, 29는 연결단자(커넥터)로 이 세 가지는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 대부분의 '키' 는 연이어서 바로 옆에 붙여서 다음 '키' 가 위치하므로 입력 시 오류(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요 키' 는 가급적 손바닥을 고정 - 이를 위하여 4개 줄만 배치하고 손바닥 받침대(3)를 설치하였다 - 시키도록 하였다)가 자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자주 사용되는 백스페이스(←)는 잘못하면 오른쪽의 'Insert' (토글키)나 아래의 엔터키를 누르게 된다. 더 문제는 토글키인 'Insert' (14) 는 현재 상태(입력 또는 수정여부)를 알 수 없어 실제로 글자를 입력해 보아야 하는데 본 발명의 LCD표시창 상부(40)에서 육안만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비슷한 조건의 자주 쓰이는 Delete '키' 등을 오류가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분리하여 스페이스바와 같은 줄에 배치하였다.
-. 'Insert','Home','Page Up' 등이 모여 있는 6개의 '키' (화살표 '키' 위쪽)도 오류가 많은데 'Insert', 'Delete'는 분리배치 하였으며, 'Page Up + Page Down'과 '↑ + ↓' (17)는 1개의 '키' 에 상하(上下)로 움직여 입력되도록 하고 'Home + End'(18)와 '← + →'(16)도 1개의 '키' 에 좌우(左右)로 움직여 입력되도록 하였는데 그 이유는 빠른 입력도 있지만 입력오류 예방( '키' 의 움직이는 방향이 해당키의 방향과 같다)이 더 크다.
-. 앞으로 더 많은 사용이 예상되는 인터넷은 원치 않는 팝업(Pop-up)창이 자주 떠서 이를 닫고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윈도우를 종료하려면 해당 창이나 윈도우를 소프트웨어( '
Figure 112007508420246-PAT00015
' 를 누르거나 '끝내기' 메뉴 등)적으로 할 수 도 있지만 빠르고 쉬운 방법은 '알트(Alt: 보통 왼쪽의 것을 사용) + F4' '키' 를 누르는 것(자 주 사용된다)인데 한 손으로 하기에 불편하거나 불가능(손가락이 짧은 어린이 등)한 경우가 있어 누구나 한 손으로 가능하도록 스페이스바 왼쪽에 붙여서 배치(13)시켰다.
-. 상하좌우 화살표 '키' 는 키패드의 왼쪽 아래에 위치(기존 키패드에도 있지만 토글키라 'Number Lock'의 LED를 끄고 해야 하고 그 이후에도 숫자입력을 대비하기 위하여 LED를 켜야 되지만 생각대로 100%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하는데 발명한 '키보드' 에서도 작동(16, 17)할 수 있으나 게임 등 빠르게 화살표 키를 눌러야 하는 경우는 어려움이 있어 추가로 배치하였는데 현재는 모양이 '┴' 이고 '키' 가 각각 따로 있어 잘못 눌려지거나 불편하여 '
Figure 112007508420246-PAT00016
' (20)모양으로 한 키에 모아서 설치하였다.
-. 사용빈도가 많은 한/영(15, 크기를 키움),
Figure 112007508420246-PAT00017
(19, 백스페이스), Home+End(18), ← + →(16), ↑ + ↓(17) '키' 는 스페이스바와 같은 줄 오른쪽( '키보드' 의 오른쪽기능키는 Shift만 살리고 Alt와 Ctrl은 없앴다)에 배치하고 Esc(현재는 너무 멀리 있어 이를 사용하면 입력리듬이 흐트러진다), Alt(왼쪽), F4, Delete, 한자(크기를 키움) '키' 는 왼쪽에 배치하였는데 그 이유는 빠르고 정확한 입력을 위한 것이다.
-. 기능(Function)키는 본래 '글자판' 의 위 글자가 없으며(예: 첫째 키는 'F1' )1개의 줄에 순서대로 붙여서 위치하는 데 '글자판' 의 낭비가 있고 입력리듬이 흐트러져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입력해야 한다. 기능키를 '키보드' 오른쪽 위에 모아서 배치하고 그중 5개는 OS에서도 지원되고 사용빈도가 많은 'Ctrl + A' (22, 모두선택), 'Ctrl + C'(복사하기), 'Ctrl + V' (붙여넣기), 'Ctrl + X'(오려내기), 'Ctrl + Z'(되돌리기)를 '글자판' 위 글자에 배치(조합키를 누를 필요 없이 한 번에 입력됨)하여 '글자판' 낭비를 막고 입력을 빠르고 오류가 없도록 하였다.
-. '키보드' 양 옆의 두 열(2) 씩을 '접이식' 으로 만들어 너비(나비와 같은 뜻)를 줄여 케이스에 담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요 키' 오른쪽 '키' 들은 아래에 숫자를 위에는 당초 관련된 특수문자를 배치하였다.
-. '키보드' 중 '기본자리' (한글을 기준으로 ㅁ,ㄴ,ㅇ,ㄹ 과 ㅓ,ㅏ,ㅣ,;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와 같은 동선(動線)의 '키' {좌측 소지(小指, 새끼손가락): ㅂ,ㅁ,ㅋ 좌측 식지(食指: 검지, 집게손가락): ㄱ,ㄹ,ㅍ 우측 식지: ㅕ,ㅓ,ㅡ 우측 소지: ㅔ,;,/ 가 표시된 '키' }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키' 의 '글자판' 을 손끝으로 인지(認知) 할 수 있도록 돌기(23, 突起)를 만들어 '키보드' 를 보지 않고도 정확히 입력할 수 있도록 했다.
-. '키보드' 의 '키' 가 현재와 같거나 늘어나서 키패드(도 11)가 없어도 '키보드' 상에서 숫자나 숫자관련 기호를 입력하는데 무리는 없다.
-. '주요 키' 부분이 4줄이고 고탄력 손바닥 받침대(3)를 설치한 이유는 손가락이 움직이는 범위가 적당하고 손바닥이 안정(결국 손가락의 위치도 안정적임)적이어서 오류 없이 정확하고 율동적으로 빠르게 자료를 입력하기 위함이다.
-. 도 11의 키패드는 분리하고 연결선으로 이어져 있다(후면에 자세한 설명이 있음)
입력할 내용이 들어있는 '원본' 은 현재는 특별히 놓아 둘 장치가 없어 별도 로 마련한 장치나 접착성 있는 물체를 이용하여 용지일 경우 모니터(44) 옆이나 위에 설치하거나 접착하여 매달거나 모니터 주변에 놓아두고 입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새로 만든 '원본대' (9, 도 5, 도 6)는 '키보드' 후면(모니터 방향)에서 모니터 바로 앞 사이에 설치되며 후면의 높낮이(11)와 가로로 너비를 조절(10, 도 6의 나)할 수 있도록 하여 가로가 넓은 '용지 등' 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원본대' (9, 도 5, 도 6)위에는 '용지 등' 을 고정시킬 수 있는 집게를 설치할 것이다. 또한 여러 장의 용지뿐 아니라 두꺼운 책자까지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부에 고정 장치(43, 일정한 높이 유지)를 마련하여 입력편의를 도모하였다. 입력하는 사람이 보았을 때 맨 뒤(최상부) 아래에 설치된 '원본대' 의 후면 높이 조절막대(11)를 설치하여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에 있는 'LCD' 표시창은 WP(Word processor)와 인터넷의 메일(텍스트 형식만 해당), 나모 등과 같이 'WP'와 유사하게 입력되는 프로그램은 '키보드' 로 입력하는 내용이 표시{39, 속성 등은 표시되지 않고 오로지 유니코드(Unicode)로 된 내용만 표시-메모장과 유사}되다가 엔터(Enter) '키' (26)를 누르면 'LCD' 표시창은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으며 'WP'등이 작동되는 모니터(44)는 엔터키가 작동되고 지금과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되는 방식{수정이나 삭제 등 '쓰기' 는 'LCD' 표시창(4, 도 7)에서 할 수 없고 읽기만 가능하다}이다. 모든 도형이나 그림 등 유니코드(Unicode)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은 어떤 프로그램이든 지금과 같이 모니터에만 표시되거나 입력 및 수정을 할 수 있으며 'LCD'표시창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액세스, ERP, 다른 데이터베이스, 인터넷의 댓글과 메신저, 엑셀(셀 단위로 입력), 일반 프 로그램들 중에서 주로 사각형 모양의 텍스트박스(입력상자) 형식이나 입력을 할 수 있는 표시(커서가 머물러 있거나 가로줄 등이 표시됨)가 되어있는 곳에 입력하는데 유니코드(Unicode)로 입력된 내용만 LCD표시창(4)에 표시되고 다른 입력상자로 이동하거나 입력완료를 뜻하는 버튼이나 엔터(26) 등이 눌려지면 입력한 내용이 해당 프로그램(모니터 포함)에 입력되고 'LCD' 표시창은 비워지며 커서가 이동한 곳의 내용이 표시(내용의 유무에 따라 표시되거나 없을 수 있음)되게 된다. 그리고 입력되는 내용이 '키보드' 가 아닌 마우스 등 다른 '주변장치' 로 입력할 땐 'LCD' 표시창은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는데 그 때는 모니터를 이용한다. '키보드' 를 통한 순수한 의미의 입력(유니코드에 국한 됨)이 아닌 검색, 치환, 수정, 삭제 등과 다른 입력장치를 통한 입력이 있을 땐 'LCD' 표시창에는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고 현재처럼 모니터로만 할 수 있고 표시된다. 또한 LCD 표시창(4)에 표시된 내용 중 원치 않아 지워야 할 때 사용하는 LCD표시창(4) 바로 밑에 있는 삭제(Clear) '키' (6, 24, 'LCD' 표시창에는 내용이 지워져도 모니터에 표시된 내용은 그대로이며 프로그램에서 완전히 삭제하려면 모니터에서 한다), 'LCD' 표시창의 전원을 켜고 끄는 전원(Power) '키' (7, 25), 입력된 내용이 2줄 이상 될 때 그 입력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Scroll을 한 줄씩 올리고 내리는 (Scroll Up) 과 (Scroll Down) '키'를 설치한다. 또한 LCD표시창 맨 위 줄에 각 토글키의 현재 상태, 지금 눌러진 키를 표시(5, 40)하는 LED(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한다.
현재의 '키보드' 는 자료를 입력하거나 입력 대기할 때 손바닥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없는 것이 대부분(일부 비슷한 장치가 있으나 그 위치와 탄 성여부, 이어서 언급할 '주요 키' 에 대한 높낮이는 다르다)이다 자료를 입력하는 양이 많을 때 입력 또는 입력 대기 중일 때 손가락의 위치와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 9와 같이 손바닥 받침대(3)를 설치하였는데 스프링처럼 탄력성이 있어야 입력을 율동적이고 빠르게 할 수 있고 탄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면 탄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간격(행정: 行程, stroke)이 일정해야 하므로 아래로 내려갈 때 정지할 높이에 정지장치(42, 'ㄷ' 자를 시계방향으로 90도 돌린 형태의 가로막대)가 필요하다. 또한 '주요 키' 부분은 줄 단위의 '키' 가 도 9의 나 우측 단면도처럼 모니터 쪽으로 갈수록 낮아져야 손가락이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려가 입력하기가 편한데 더 높아지거나 평편하면 손목은 옆에서 볼 때 'V'형태가 되어 불편하게 된다.(VDT 증후군의 예방법에 눈의 피로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모니터가 눈높이 보다 낮아야 한다는 것과 같은 이치로 손가락은 손목보다 아래로 내려가야 자연스럽고 편하다 할 수 있다)
'원본' 이 들어있는 '용지 등' 의 내용을 읽으려면 충분한 자연채광이나 인공조명이 있어야 하지만 컴퓨터의 위치나 장소(PC방 등), 노안(老眼)등으로 밝기가 불충분할 땐 이를 해결할 조명등(도 8의 다, 8b)이 필요한 데 원하는 방향과 높이로 조절이 가능한 도 8과 같은 'LED'조명등(8a, 'LED'는 전력을 적게 사용한다.)을 설치하여 대비한다.
도 10의 나와 같은 '본체' (45)와 '주변장치' 를 연결하려면 양끝에 '단자' 가 있는 연결선(46)이 필요한 데 '본체' (45)쪽에 연결하려면 '본체' 를 앞으로 꺼내서 '본체' 후면을 볼 수 가 있어야 한다. 연결 후 변동이 거의 없는 모니터(44, 도 10의 가)와 프린터의 '단자' 를 제외( '단자' 수를 줄이려는 목적)한 나머지 것들을 '본체' 의 후면에 먼저 연결한 다음 이 연결선(46)들을 부도체 등으로 감싼 후 모니터 주변까지 가져와 각 '단자' 를 USB를 많이 사용하여 만든 '단자집합상자' (47, 도 10의 다)를 설치하여 '주변장치' 의 '단자' 를 손쉽게 연결하고 단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만약 회사(또는 관공서) 등에서 보안을 위하여 매일 '키보드 시스템' 을 담은 케이스를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고 근무개시시간에 이를 다시 연결할 때 이 '단자집합상자' (47, 도 10의 다)가 없다면 무척 번거로운 일이 될 것이다.
'키보드' 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연결선(54)으로 이어진 도 11과 같은 키패드에 숫자를 입력(키패드는 숫자만 입력하고 문자와 기호 등은 '키보드' 에서 입력)할 때 원하는 위치로 마음대로 이동하여 입력을 편리하게 하였고 오른손으로 '7,4,1' 은 검지(집게), '8,5,2' 는 중지(가운데), '9,6,3' 은 약지(엄지로부터 4번째), '0' 은 엄지로 입력(숙달 시 '키' 를 보지 않고도 입력하기 위함으로 이전의 전자계산기 입력법과 비슷하다)할 수 있게 '키' 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였다. 필요시 '키보드' 와 흔들림 없이 결합(오른쪽)되도록 결합장치(53)를 만들었으며 키패드 자체 상부에는 입력된 숫자와 연산자가 표시(55, 모니터 및 LCD표시창은 아직 표시되지 않는다)되며 마지막에 바로 엔터(26, 오른쪽 텝이나 오른쪽 화살표도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를 누르면 입력된 자료가 모니터에 그대로 입력(LCD표시창은 계속 아무 표시도 없다)되고 먼저 등호(=)를 누르고 엔터(26)를 누르면 계산된 결과가 입력된다. 또한 숫자는 손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숫자마다 독특한 돌 기(57)를 만들어 입력 편의를 도모하였다. 56 은 키패드의 손바닥 받침대이다.
'키보드시스템' 에서 '접이식' 은 모두 접고 '부속장치' 장치 등 모두를 담을 수 있는 도 12와 같은 케이스를 만들어 보관(보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다른 사람이 사용하기 어렵게 함 - 필요시 자물쇠를 설치할 수 있다)하고 이동{손잡이를 설치하고 내용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설계함(60, 앞쪽 키보드가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컴퓨터관련 물품을 넣을 수 있게 별도의 상자를 만들었다)}을 편리하게 하고 사용이 불편한 '노트북' 컴퓨터의 '키보드' 대신 손에 익은 일반 '키보드' 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케이스의 앞과 위 부분(도 12의 가, 나)을 제외한 바닥과 좌, 우, 뒤 부분은 '키보드' 와 함께 펼쳐서 '키보드' 받침대로 사용하여 이를 보호하고 케이스에 담기 편리하게 하였다.(이렇게 받침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케이스를 보관하는 것도 번거로운 일이 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 에서 설명이 되지 않은 도면속의 번호에 대한 설명: '접이식' 인 '키보드' 양옆 2열을 '키보드' 본체와 연결시키고 '접이식' 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1), LED조명등 프레임을 '키보드' 에 꽂을 수 있게 하는 홀(구멍, 12), '원본대' 를 '키보드' 에 붙였다 떼었다하게 하는 장치(21), '원본대' (이하 30∼37까지는 이것과 관련된 것으로 이 말을 생략한다)에서 관절에 해당하는 부분(30), 기존 프레임(31), 관절 고정 장치에서 사용하는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힌지(32), 관절 고정 장치를 프레임에 고정하면서 힌지역할을 함(33), 고정 장치의 단면도(34), 위에서 본 고정 장치 평면도(35), 프레임 측면도(36), 프레임 단면도(37), '본체' 의 전면부(38), 계단식 '키' (41), '단자집합상자'(이하 48 ∼52까지는 이것과 관련된 것으로 이 말을 생략한다)의 허브가 설치된 USB포트(48), 네트워크 및 인터넷 연결포트(49), 스피커 등 연결포트(50), 구형 키보드와 마우스 포트(51), USB 포트(52, 필요시 허브를 이용하여 USB포트를 늘릴 수 있도록 하였다), 케이스 덮게(상판과 전면)용 정첩(58), 케이스에 담긴 '키패드' (59)
도 1은 '키보드 시스템' 이 설치(키패드 제외)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키보드 시스템' 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글자판' 이 표시된 '키보드' 를 도시한 위에서 본 배치 평면도
도 4는 상하(가)와 좌우(나) 조절키 및 시프트 대용키(다)의 상세 정면도
도 5는 '원본대' 를 설치하였을 때의 프레임 사시도와 관절 고정대 부속
도 6은 '원본대' 평면도(가)와 길이조절 막대(나) 구조도 및 접었던 것을 반쯤 편 상태(다)의 우측면도
도 7은 'LCD' 표시창에 대한 상세 사시도
도 8은 LED조명등을 접었을 때(가)의 평면도와 펼쳤을 때의 프레임(나) 사시도 및 조명등 평면도(다)
도 9는 손바닥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가) 및 '키보드' 의 중간을 절단한 단면도(나)
도 10은 모니터(가)와 '단자집합상자' 가 설치된 본체(나) 사시도 및 '단자집합상자' 의 상세 평면도(다)
도 11은 키패드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키보드 시스템' 전체를 담는 케이스의 상단(상면과 전면)을 접은 상태의 사시도(가)와 이를 반쯤 펼친 상태의 우측면도(나) 및 케이스에 '키보드시스템' 을 담은 상태(케이스의 좌우면, 후면, 하면 포함)의 사시도(다)

Claims (1)

  1. 본 발명은 새로운 발상으로 고안한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키' 의 위치와 크기를 '주요 키' 를 제외하고 변경하여 다시 배치하고 Shift '키' 를 사용하지 않고도 한번에 '글자판' 위 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여 1개의 '키' 로 '글자판' 의 2가지 문자를 번갈아 입력할 수 있는 '키' 를 신설하였으며 '키보드' 양옆 2개열씩의 '키' 들을 '접이식' 으로 설계한 '키보드' ;
    '원본' 이 들어 있는 '용지 등' 을 올려놓고 읽을 수 있고 높이와 너비 조절이 가능한 '원본대' ;
    입력한 내용을 모니터와 함께 '키보드' 에서도 두 줄로 볼 수 있게 하고 현재의 '키' 상태를 'LED'로 최상부에 표시해 주는 읽기 전용 'LCD'표시창;
    '키보드' 맨 전면에 신설한 고탄성의 손바닥 받침대, '주요 키' 부분을 모니터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설계한 '키' ;
    '원본' 이 들어있는 '용지 등' 을 어두울 때 밝혀주는 높이와 방향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등;
    '본체'의 후면에 연결된 '주변장치' 들의 연결선을 한데 모아 모니터 주변으로 가져와 쉽게 '단자' 들을 연결하고 단절할 수 있도록 한 '단자집합상자' ;
    '키보드' 에서 키패드를 분리하고 연결선으로 이어 키패드를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게 하고 '키' 의 크기와 위치를 다시 배치하고 입력된 내용(숫자와 연 산자)을 그대로 입력하거나 계산 결과를 입력하는 기능이 있는 키패드;
    '키보드시스템' 을 담아 이동 또는 보관하거나, 노트북용 '키보드' 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 가 특징이다.
KR1020070102339A 2007-10-09 2007-10-09 새로운 착상의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KR20090036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339A KR20090036493A (ko) 2007-10-09 2007-10-09 새로운 착상의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339A KR20090036493A (ko) 2007-10-09 2007-10-09 새로운 착상의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493A true KR20090036493A (ko) 2009-04-14

Family

ID=4076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339A KR20090036493A (ko) 2007-10-09 2007-10-09 새로운 착상의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64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9155A (zh) * 2020-02-11 2020-06-19 姜通渊 一种可调节高度的输入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9155A (zh) * 2020-02-11 2020-06-19 姜通渊 一种可调节高度的输入设备
CN111309155B (zh) * 2020-02-11 2020-12-11 嘉兴市发扬喷织有限公司 一种可调节高度的输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259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d
US6876312B2 (en) Keyboard with multi-function keys
JP4105682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のユーザ入力を改善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4084582B2 (ja)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
TWI435238B (zh) 整合式輸入/輸出裝置,以及用於在此種裝置上顯示的方法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20070242421A1 (en) Folding computer
BRPI0615536A2 (pt) dispositivo manual que tem um mostrador da tela de toque com capacidade de implementar uma interface do usuário de teclado virtual para inserir toques no teclado por um usuário, sistema de interface do usuário (ui) baseada em tela de toque em um dispositivo manual, sistema de interface do usuário (ui) baseado em tela de toque otimizado pelo polegar em um dispositivo manual, sistema de interface do usuário (ui) virtual acionado a polegar para a busca de informações, sistema de interface do usuário virtual acionado pelo polegar, para selecionar itens selecionáveis virtuais em uma página da web exibida em um mostrador de tela de toque de um dispositivo portátil, dispositivo manual que tem um mostrador de tela de toque com capacidade de executar um teclado virtual para inserir toques no teclado por um usuário, método para implementar a seleção de entrda por um usúario dos itens exibidos em um tela de toque de um dispositivo manual e método para que uma interface virtual do usuário do teclado interaja com páginas da web em um dispositivo de visualização manual que tem um mostrador de tela de toque
ATE534070T1 (de) Auf einem bildschirm angezeigte durchsichtige tastaturschnittstelle
KR101343896B1 (ko) 휴대용 컴퓨터
EA039387B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клавиатура с сенсорным экраном
BRPI0617061A2 (pt) teclado portátil
TW528979B (en) Mobile device and key arranging method
CN103354919A (zh) 键盘
CN101414213A (zh) 人类语言、文字、符号点划式人机界面
EP3518082A1 (en) Character input device
WO2012015333A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бора и ввода символов в портативные средства коммуникации
WO201105646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dual-touchscreen virtual keyboard
US20060284851A1 (en) Programmable orientation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KR20090036493A (ko) 새로운 착상의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RU26600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и чт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в коде брайля
US20070103448A1 (en) Adaptable keyboard for a tablet PC
TWI405097B (zh) 鍵盤及資訊處理裝置
KR20080067941A (ko) 컴퓨터등 전자문자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한손 타이핑이가능한 문자입력 키보드
JPH0512929U (ja) キーボード
JP2003150299A (ja) 片手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