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176A -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 Google Patents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176A
KR20090036176A KR1020070101188A KR20070101188A KR20090036176A KR 20090036176 A KR20090036176 A KR 20090036176A KR 1020070101188 A KR1020070101188 A KR 1020070101188A KR 20070101188 A KR20070101188 A KR 20070101188A KR 20090036176 A KR20090036176 A KR 2009003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kin
pulse
treatment
laser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8612B1 (ko
Inventor
김광훈
이대식
강욱
임근희
안드리브 알.
보고야브렌스키 에이.
칸코브 에스.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1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612B1/ko
Priority to US12/169,322 priority patent/US20090093868A1/en
Priority to DE102008049216A priority patent/DE102008049216A1/de
Publication of KR2009003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37Details of operation mode
    • A61B2017/00154Details of operation mode pulsed
    • A61B2017/00172Pulse trains, bursts, intermittent continuous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킨 후, 1개 이상의 레이저 펄스를 특정 간격으로 치료 부위에 가함으로써, 피부의 통증을 완화시키면서 진피층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한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레이저 펄스를 생성하는 레이저 펄스 발생기;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펄스를 전달하는 광에너지 전달체; 상기 광에너지 전달체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레이저 펄스를 치료대상부위에 접촉하여 조사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의 끝단에 장착되어 피부를 냉각시켜주는 냉각장치; 및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펄스를 외부 입력에 따라 그 펄스 폭 및 에너지를 조절하고, 상기 냉각장치를 통해 피부냉각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피부를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킨 후,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복수의 레이저 펄스를 특정 간격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를 제공한다.
레이저, 펄스, 표피, 진피

Description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Laser system for medical cure using pulse trains}
본 발명은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킨 후, 1개 이상의 레이저 펄스를 특정 간격으로 치료 부위에 가함으로써, 피부의 통증을 완화시키면서 진피층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한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피층을 활성화시키는 종래의 기술은 레이저로 시술부위 전체를 치료하는 방법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또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미세부분을 치료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레이저로 시술부위 전체를 치료하는 방법은 표피부터 진피층까지 광 에너지를 치료부위 전체에 전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광 에너지에 의한 높은 에너지 전달로 인해 치료 부위에 통증 등 많은 후유증이 동반되며, 치료 회복 시간이 매우 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긴 치료 회복 시간과 후유증을 개선하기 위해 현재는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 치료 방법으로, 1cm2 당 수백 ~ 수천 개의 미세 치료 영역을 형성하고, 각 미세 치료 영역에 대하여 레이저로 시술하는 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수백 ~ 수천 개의 미세 치료 영역에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는 복수의 레이저 스팟을 치료 대상에 만들어서 행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레이저 스팟은 종래 기술에서 레이저 스캐너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 치료 방법은 미세 치료 영역을 형성하며 마이크로렌즈 배열체를 통해 일정한 투과 깊이까지 에너지를 전달하여 피부를 치료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치료 부위에 미세한 치료영역을 형성하여 레이저 전체 치료에 비해 약 10 ~ 30% 정도만 부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전체 치료에 비해 후유증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그러나, 레이저 전체 치료술과 미세 부분 치료술에서 치료시 발생하는 통증은 여전히 가장 큰 단점으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미세 부분 치료술의 경우에 10 ~ 30 % 만을 치료하기 때문에 치료 효율이 낮아 여러 차례 시술하여야 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레이저 펄스열과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치료 시 발생하는 통증을 완화시키며, 치료시 표피층을 제거하지 않고 진피층에만 열에너지가 전달되어 치료회복시간과 치료횟수가 종래 기술 대비 현저히 개선될 수 있도록 한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료용 레이저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펄스를 생성하는 레이저 펄스 발생기;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펄스를 전달하는 광에너지 전달체; 상기 광에너지 전달체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레이저 펄스를 치료대상부위에 접촉하여 조사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의 끝단에 장착되어 피부를 냉각시켜주는 냉각장치; 및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펄스를 외부 입력에 따라 그 펄스 폭 및 에너지를 조절하고, 상기 냉각장치를 통해 피부냉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피부를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킨 후,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복수의 레이저 펄스를 특정 간격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펄스 의 파장은 1400 ~ 16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펄스의 펄스폭은 50 ~ 300m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펄스와 펄스 사이의 간격은 50 ~ 300m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를 통해 조사되는 스팟 사이즈의 직경은 5 ~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장치를 통해 냉각되는 피부의 냉각온도는 3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종래 기술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2.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통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3. 치료 부위를 감싸고 있는 부위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치료 횟수를 늘릴 수 있다.
4. 간단한 구조로 유지 보수가 간편하다.
5. 치료 후 발생하는 후유증이 최소화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피부 속의 주요 조직은 피부층의 아교 모양 조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속에는 콜라겐 (단백질=섬유질)이 약 90%를 차지하여 섬유질 사이에 교질체의 엘리먼트가 가득 차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 조직의 활력은 점차적으로 퇴화되며, 콜라겐은 줄어들고 경직되고 수분 보유 능력은 저하되며 피부는 탄력성을 잃게 되며, 심지어는 피부 조직이 파열된다.
따라서 피부는 민감해지고 건조해져서 검은 반점과 잔주름이 생기게 된다.
콜라겐은 인체 각 부위에 다량 함유되어 세포와 세포를 연결하는 고리 같은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며, 피부의 윤기와 탄력을 유지하게 해 준다.
콜라겐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 중 무려 1/3을 차지하고 있으며, 몸전체의 흐름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콜라겐이 세포와 세포를 연결시켜 주며,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소가 콜라겐을 매개체로 각 세포에 전해진다. 또한 노폐물도 콜라겐을 통해 혈관으로 운반되어 몸밖으로 배출된다.
도 7은 일반적인 피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는 표피(10)와 진피(11)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표피(10)는 각질층(12), 과립층(13), 유극층(14) 및 기저층(15)의 4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피부세포는 그 중 하나인 기저층(15)에서 만들어진다.
만들어진 세포는 모양을 바꾸면서 위층으로 이동하여 점점 각질로 변하여, 마지막으로는 때가 되어 벗겨져 나간다. 이처럼 피부는 계속해서 생겨나고 변하고 있다.
세포를 만드는 중요한 기저층(15)을 받치고 있는 것이 진피(11)이다. 진피(11)는 표피의 수분 함유력의 열쇠를 쥔 곳으로,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여 탱탱한 피부를 만들어준다.
상기 진피(11)의 대부분을 콜라겐이 차지하고 있다. 피부에 노화가 오거나 기미, 주름 주근깨 등이 많아지는 것은 콜라겐이 부족하거나 질이 나빠지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한편, 피부와 광 에너지의 상관 관계는 광 에너지의 파장 길이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광 에너지의 피부 흡수와 산란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따라서, 피부의 흉터와 색소현상(pigmentation)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피부 진피(11)층의 콜라겐 생성이 최우선이다.
상기 콜라겐을 생성하기에 가장 적합한 파장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400~1600nm의 영역이고, 이 영역에서 진피층 흡수(A)가 가장 크고 산란(S)이 가장 작기 때문이다.
그리고, 피부가 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 에너지로 변환될 때 물이 피부 내로 흡수되지 않으면 주변 조직에 열적 손상을 주어 치료 효과를 반감 시킨다.
1400~1600nm 영역의 파장은 물에 대한 흡수도도 높아서 치료 영역에만 열을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 영역의 파장을 이용하여 피부 치료 시 선택적 치료가 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레이저 에너지가 살아있는 조직을 손상시키는 정도는 얼마나 많은 열이 유도되고, 얼마나 빨리 에너지가 흡수되어 열로 변환되는지와 관련된다. 레이저에 의해 유도된 열이 장시간동안 전달된다면, 전도된 열의 2차 파(wave)가 주변조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2차 열 손상을 일으킨다.
그러나 레이저가 매우 짧은 펄스 시간동안 높은 피크 파워(peak power)로 전달된다면, 조직에서 생성된 열은 주변 영역으로 퍼져 나갈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하게 되고 단지 대상 영역에 국한되게 된다.
그래서 레이저 펄스 지속시간을 제한함으로써, 전도되는 열과 관련된 주변 열 손상이 감소될 수 있다. 대상 조직이 그 열의 50%를 주변 영역으로 보내는데 걸리는 시간을 열 완화 시간(Thermal Relaxation Time, TRT)이라고 할 때, 조직의 열 완화 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레이저 빔이 전달된다면, 열은 주변 조직으로 전달될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하게 됨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주변 열 손상이 덜 일어나게 된다.
물론 레이저 시스템의 특성에 의존하겠지만, 매우 짧은 펄스를 선택하여 높은 피크 파워로 전달한다면 대상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부위에 최소한의 2차 열 손상을 일으키면서 특정적으로 대상 조직을 손상 및 증발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1400~1600nm 영역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펄스 발생기(16)와, 레이저 펄스를 핸드피스로 전달하는 광에너지 전달체(17)와, 피부 냉각장치(19)를 포함한 핸드피스(18)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16)는 1400 ~ 1600nm 영역의 파장을 1개 이상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때 레이저 펄스폭이 50 ~ 300ms 이고, 펄스와 펄스의 간격은 50 ~ 300ms 이며, 레이저 출력은 최대 40W 이다.
왜냐하면, 레이저 펄스폭이 50ms 보다 작을 경우에 낮은 에너지 전달로 인해 진피층 활성화가 적으며, 300ms 이상일 경우 많은 에너지 전달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여 표피 및 진피층에 손상을 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펄스와 펄스 사이의 간격이 50ms 보다 작을 경우에 표피의 온도가 낮아 지기 전에 높은 에너지가 전달되어 치료 부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300ms 이상일 경우에 온도가 너무 많이 낮아져 에너지가 전달되어도 펄스열의 효과를 볼 수 없다.
또한, 스팟 사이즈의 직경이 5mm 보다 작을 경우 치료 시간이 길어지며, 15mm 보다 클 경우 낮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광 에너지가 진피층까지 잘 전달 되지 않으므로, 5 ~ 1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높은 피크파워로 치료대상 부위에 레어저 펄스를 가함으로써, 대상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부위에 최소한의 2차 열 손상을 일으키면서 특정적으로 대상 조직을 손상 및 증발시킨다 하더라도, 피부에서 느껴지는 통증은 여전히 남아 있다.
통각은 아픔을 느끼는 피부감각으로 어떠한 자극도 그것이 매우 강해져서 생체에 유해작용을 미칠 때에는 통증으로 느끼게 된다. 그 수용기는 체표의 모든 곳, 체내에서도 내장(內臟)을 제외하고는 널리 분포하는 지각신경의 자유종말(自由終末)로서 수지상(樹枝狀)으로 되어 있다.
자유종말은 피하(皮下)의 천부(淺部)와 심부의 2층으로 나누어지며,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나 지속되는 아픔 등을 구별할 수 있다. 강모(剛毛)의 끝을 뾰족하게 한 것으로 피부 표면을 자극하면 아픔을 느끼는 점과 느끼지 않는 점이 있다. 전자를 통점이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레이저 펄스로 인한 잔류 통증을 없애기 위해서 핸드피스(18)에 냉각장치(19)를 장착하여, 레이저 펄스를 치료대상에 입사시키기 전에 짧은 시간동안에 피부를 3 ~ 10℃로 냉각한다.
이때, 상기 피부 냉각온도가 피부 냉각 온도가 3℃ 보다 작게 되면 치료부위의 수분이 증발하여 치료 부위에 손상이 올 수 있으며, 10℃ 보다 크게 되면 치료 부위의 피부 온도가 상승하여 통증완화 효과가 반감되므로, 3 - 10℃ 사이에서 피부를 냉각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상기 피부 냉각장치는 크게 접촉식과 비 접촉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먼저 비 첩촉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인 방법이 냉풍에 의한 피부 냉각 방법이다. 냉풍은 냉각제(특정 가스)를 사용하거나 단순 냉풍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접촉식으로는 사파이어와 같은 굴절률이 적으면서 온도 전도도가 좋은 크리스탈을 사용하며, TEC와 같은 전기적인 냉각 방식을 사용하여 직접 피부에 접촉 하여 피부를 냉각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9)는 위의 방법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피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장치이다. 그 이유는 냉풍에 의한 비 접촉식의 경우에 표피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 할 수 있으나, 표피 아래의 진피층의 온도를 제어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사파이어와 같은 크리스탈에 의한 직접 냉각방식의 경우에 냉각되는 주변은 잘 제어가 되나, 멀리 떨어진 부분의 경우에는 잘 제어가 되지 않아 이 둘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 하여 사용하고자 함이다.
또한,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펄스의 펄스폭, 및 펄스와 펄스 사이의 간격, 파장, 출력 그리고 냉각장치의 냉각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재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치료에서 레이저의 작용은 전자파 광선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을 기초로 하고 있다. 흡수된 열에너지는 광선을 받는 조직에서 국소적으로 온도 상승을 일으킨다.
이 온도가 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부터 가스 상태로 전이시키는 입계온도보다 다소 낮을 경우에 온도는 에너지 밀도에 비례해서 상승된다(도 1). 생체 조직의 열 특성은 기본적으로 열전도성, 혈관계의 열 방출, 조직의 열 축적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가열시 조직에서 관찰되는 주요 효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112007072211149-PAT00001
열 전달시 열의 일부는 열전도성과 인접 조직의 혈관계를 통해 배출되고, 남은 일부 열만이 축적되어 광선 작용을 받는 부위의 열 변화를 초래한다.
비교예
피부를 냉각 하지 않은 상태에서 광 에너지를 피부에 입사 시켰을 때 에너지 양에 따라 피부의 온도변화를 보면 도 1과 같다.
도 1은 피부의 냉각 없이 200ms 동안 광 에너지를 입사시켰을 때 표피와 진피에서의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1㎠의 단위면적당 광 에너지가 (1) 6.5 J/㎠, (2) 13 J/㎠, (3) 26 J/㎠ 일 때 각각 피부의 온도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도성과 혈관계로 인해 깊이가 깊어질 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피부를 냉각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피의 온도가 입사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진피층의 콜라겐 형성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온도가 급격히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실험(시뮬레이션)예
본 실험은 광 에너지 투과 깊이를 최대 1.5mm 까지, 온도를 50 - 55℃ 그리고 입사파장은 1400 ~ 1600nm 사이를 기준으로 하였다.
피부층은 열-물리적 특성이 층에 따라 다르며, 복합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본 실험에서는 각질층을 무시한 표피층과 진피층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각 층에 대한 열전달계수와 용적열용량은 다음 표 2과 같다.
Figure 112007072211149-PAT00002
상기 피부층에 대한 모델은 1989년부터 이루어 졌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경계 조건이 포함된 모델을 1차원 선형 근사하였다.
경제 조건에 의한 방정식은 다음 식 1 및 2와 같다.
Figure 112007072211149-PAT00003
Figure 112007072211149-PAT00004
여기서 a : 냉각물질의 열용량 계수(m2/s)
t : 피부층의 온도(℃)
τ : 시간(Sec)
α : 피부층의 열전도 계수(W/m2K)
λ : 피부층의 열용량 계수(W/mK)
ㅣ : 피부층의 두께(m)
t0 : 피부층의 초기 온도(℃)
tc : 냉각체의 온도(℃)
본 발명은 표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단백질 변성 즉, 진피층 활성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300ms 동안 4℃로 피부를 냉각시킨 후 1개 이상의 펄스열을 이용하였다.
도 2는 표피의 두께가 50㎛ 일 때, 도 3은 표피의 두께가 100㎛ 일 때, 도 4는 표피의 두께가 150㎛ 일 때 피부깊이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광에너지는 펄스형태 즉 약 레이저 펄스는 200 ms이고, 펄스와 펄스의 간격은 300ms이고, 단위면적당 광에너지가 (1) 11 J/㎠, (2) 3 J/㎠, (3) 3 J/㎠ 이다.
도 5는 피부에 전달되는 광에너지의 크기와 펄스 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300ms 동안 4℃로 피부를 냉각시킨 후, 1개 이상의 펄스열을 피부에 입사시켰을 경우에, 상기 펄스열에 의해 진피층이 넓고 깊게 활성화 되며, 표피에 전달되는 열은 피부 냉각에 의해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고, 도 2 내지 도 4의 결과로부터 표피의 두께와 관계없이 표피와 진피가 단백질 변성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되면서 진피층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열에 의한 피부의 열 확산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1차, 2차 및 3차 펄스열에 의한 진피층 활성화 정도를 직관적 으로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피부 냉각 없이 200ms 동안 광 에너지를 입사 시켰을 때 표피와 진피에서의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냉각 후 50㎛의 표피에 펄스열을 입사시킬 때 깊이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냉각 후 100㎛의 표피에 펄스열을 입사시킬 때 깊이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냉각 후 150㎛의 표피에 펄스열을 입사시킬 때 깊이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에너지의 크기와 펄스 간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열에 의한 피부의 열 확산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일반적인 피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파장별 표피와 진피에서의 흡수 산란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피 11 : 진피
12 : 각질층 13 : 과립층
14 : 유극층 15 : 기저층
16 : 레이저 펄스 발생기 17 : 광에너지 전달체
18 : 핸드피스 19 : 냉각장치

Claims (6)

  1. 치료용 레이저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펄스를 생성하는 레이저 펄스 발생기;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펄스를 전달하는 광에너지 전달체;
    상기 광에너지 전달체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레이저 펄스를 치료대상부위에 접촉하여 조사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의 끝단에 장착되어 피부를 냉각시켜주는 냉각장치; 및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펄스를 외부 입력에 따라 그 펄스 폭 및 에너지를 조절하고, 상기 냉각장치를 통해 피부냉각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피부를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킨 후,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복수의 레이저 펄스를 특정 간격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펄스의 파장은 1400 ~ 16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펄스의 펄스폭은 50 ~ 300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펄스와 펄스 사이의 간격은 50 ~ 3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를 통해 조사되는 스팟 사이즈의 직경은 5 ~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를 통해 냉각되는 피부의 냉각온도는 3 ~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KR1020070101188A 2007-10-09 2007-10-09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KR100958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188A KR100958612B1 (ko) 2007-10-09 2007-10-09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US12/169,322 US20090093868A1 (en) 2007-10-09 2008-07-08 Laser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Using Pulse Trains
DE102008049216A DE102008049216A1 (de) 2007-10-09 2008-09-27 Lasergerät für die medizinische Behandlung unter Verwendung von Pulsfolg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188A KR100958612B1 (ko) 2007-10-09 2007-10-09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176A true KR20090036176A (ko) 2009-04-14
KR100958612B1 KR100958612B1 (ko) 2010-05-18

Family

ID=4052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188A KR100958612B1 (ko) 2007-10-09 2007-10-09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93868A1 (ko)
KR (1) KR100958612B1 (ko)
DE (1) DE1020080492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973A (ko) * 2016-10-21 2019-07-01 더 제너럴 하스피탈 코포레이션 선택적인 광열 표적화를 위한 열 경사도 전처리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11574956B2 (en) 2020-09-16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ata storage material patter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2410A1 (en) * 2009-10-01 2011-04-07 Ceramoptec Industries Inc. Method for Reducing Pain during Photodynamic Therapy
US10589120B1 (en) 2012-12-31 2020-03-17 Gary John Bellinger High-intensity laser therapy method and apparatus
KR102010580B1 (ko) 2018-05-29 2019-08-13 엘레메닉(주) 레이저 치료 장치
EP3911260B1 (en) 2019-01-15 2024-05-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lignment tools
KR102286527B1 (ko) 2019-10-17 2021-08-09 엘레메닉(주) 레이저 치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5844A (en) * 1995-02-01 1998-04-07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Hair removal using optical pulses
US5964749A (en) 1995-09-15 1999-10-12 Esc Medical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kin rejuvenation and wrinkle smoothing
US7204832B2 (en) * 1996-12-02 2007-04-17 Pá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Cooling system for a photo cosmetic device
US7635362B2 (en) * 2004-12-30 2009-12-22 Lutr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reating area of the skin by using multipulse laser
KR20070101188A (ko) 2007-09-05 2007-10-16 신안군 토종백년초주 제조기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973A (ko) * 2016-10-21 2019-07-01 더 제너럴 하스피탈 코포레이션 선택적인 광열 표적화를 위한 열 경사도 전처리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11574956B2 (en) 2020-09-16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ata storage material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612B1 (ko) 2010-05-18
US20090093868A1 (en) 2009-04-09
DE102008049216A1 (de)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1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thermal treatment of tissue at depth
Tanghetti The histology of skin treated with a picosecond alexandrite laser and a fractional lens array
KR100958612B1 (ko) 펄스열을 이용한 치료용 레이저장치
US89159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thermal treatment of tissue at depth
US8430104B2 (en) Method for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
Khan et al. Intradermally focused infrared laser pulses: thermal effects at defined tissue depths
EP2190525B1 (en) Device for collagen growth stimulation
US6077294A (en) Method for non-invasive wrinkle removal and skin treatment
US8246611B2 (en) Treatment of skin by spatial modulation of thermal heating
Farkas et al. Five parameters you must understand to master control of your laser/light-based devices
JP5860940B2 (ja) 高強度レーザー療法による再生医療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0820164B1 (ko) 피부질환 치료용 레이저 장치
US201002866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tissue
JP2003521305A (ja) 長時間の電磁放射線を利用して医学的治療を行う方法及び装置
Sobol et al. Laser reshaping and regeneration of cartilage
Kunzi‐Rapp et al. Minimally invasive skin rejuvenation with Erbium: YAG laser used in thermal mode
CN103458817A (zh) 用于皮肤激光治疗的装置和方法
CN105530886A (zh) 用于治疗真皮黄褐斑的方法和设备
KR20200021031A (ko) 피부 미용 시술방법
Teymour et al. Energy‐based devices in the treatment of acne scars in skin of color
Gaspar et al. Smooth resurfacing by hyper stacking of er: yag laser pulses; a histological and clinical study
Kim et al. Combination treatment for post-traumatic facial scars: 1,064-nm Nd: YAG picosecond laser with micro-lens array after fractional ablative CO2 laser
US20220266055A1 (en) Non-ablative resurfacing of soft tissues
Neev et al. Thermo-optical skin conditioning: a new method for thermally modifying skin conditions
Lee et al. Non-ablative La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