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053A -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053A
KR20090036053A KR1020070101149A KR20070101149A KR20090036053A KR 20090036053 A KR20090036053 A KR 20090036053A KR 1020070101149 A KR1020070101149 A KR 1020070101149A KR 20070101149 A KR20070101149 A KR 20070101149A KR 20090036053 A KR20090036053 A KR 20090036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function
server
removabl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828B1 (ko
Inventor
전해영
금지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8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관리(DM: Device Management)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에서 탈착 가능한 기능을 (Removable Capability)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탈착 가능한 기능들의 제어를 위한 노드들이 부가된 디바이스 기능 관리 객체(Device Capability Management Object; DCMO)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DM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를 위한 노드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부가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의 제어를 위한 노드의 값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기능 관리 객체(Device Capability Management Object; DCMO)

Description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vable capabilities of a device}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수 많은 단말기를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무선 기기의 응용 표준을 만드는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개발된 OMA DM을 들 수 있다. OMA DM은 단말 관리 대상을 관리 객체(Management Object: MO) 형태로 정의하고 있다. DM 클라이언트와 DM 서버가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관리 객체를 상호 전달하면서 단말 관리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DM 시스템에서, DM 서버는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단말기에게 DM 메시지를 전달하여 단말기 내부의 파라미터 또는 실행 파일 등을 나타내는 MO를 읽어 들이거나 (Get), 쓰거나 (Replace), 실행 (Exec)함으로써 펌웨어(Firmware) 다운로드/갱신(download/update),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다운로드/설치/갱신/제거(Software component download/install/update/remove)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DM 서버가 수 행하는 관리 기능 중의 하나로, 단말의 특정 기능(capability) (e.g. 카메라, WLAN, GPS, DMB 등)의 사용 허가 여부를 관리하는 장치 기능 관리(Device Capability Management)가 있다.
장치 기능 관리는 제어가 필요한 하드웨어 기능 (예컨대, Camera, Camcorder 등)에 대해 관리 권한을 갖고 있는 DM 서버 또는 관리 권한자(Management authority)가 하드웨어의 기능을 제어 즉,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거나 (disable) 허용할 (enable)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의 기능과 관련된 설정 값이 저장된 실행 노드 등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기능 관리 객체(Device Capability Management Object; DCMO)가 정의된다. DM 서버는 DCMO의 노드의 값을 획득, 변경 또는 실행함으로써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OMA DM에서 규정된 DCMO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x>(12)는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기능(capability)(예컨대, 카메라)을 나타내는데, 즉 관리될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기능의 placeholder이며, 이하 표 1에 나타낸다.
Status Tree Occurrence Format Min. Access Types
REQUIRED OneOrMore Node Get
<x>/ID(14)는 디바이스 기능을 위한 식별자를 나타내며, 이하 표 2에 나타내었다.
Status Tree Occurrence Format Min. Access Types
REQUIRED One Chr Get
<x>/Category(16)는 디바이스 기능을 위한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x>/Description(18)은 디바이스 기능을 위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을 나타낸다. <x>/State(20)는 디바이스 기능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며, 이 노드의 값은 TRUE or FALSE 또는 Disabled or Enabled로 표시 된다.
<x>/Operation(22)는 동작들을 위한 상위 노드를 나타낸다. <x>/Operation/Enable(24)는 디바이스 기능을 디스에이블 상태에서 인에이블 상태로 전환(transfer)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행 명령의 목표 노드를 나타낸다. <x>/Operation/Disable(26)은 디바이스 기능을 인에이블 상태에서 디스에이블 상태로 전환(transfer)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행 명령의 목표 노드를 나타낸다.
<x>/Operation/(32)는 Operation 노드의 서브 트리(sub tree)를 위한 벤더 확장(Vendor extension)을 위한 노드이다. 마지막으로, <x>벤더 확장(Vendor extension)을 위한 노드이다.
전술한 노드들은 상기 표 1 또는 표2의 내용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는 생략한다.
한편, OMA DM의 Requirement에 따르면 디바이스에 새로운 하드웨어가 연결되거나 제거되었을 때 그 내용을 DM 서버에게 전달해야 한다.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일례로 DM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Generic Alert를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DCMO의 경우 주요 Use case가 특정 제한 지역에 단말기가 들어왔을 경우 Enterprise에 의해 단말기의 주요 기능이 Disable 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업장의 보안이 요구되는 지역에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지니고 들어왔을 경우 대상 휴대 단말기의 Camera/Camcorder 등을 사용 불가 상태로 설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Removable Camera를 USB 등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Removable Camera를 연결하는 순간 DM Server와 session을 형성하여 Camera가 연결되었다는 것을 알려줘야 하고 DM Server는 이를 다시 제어해야 한다.
그러나 단순히 Device의 상태에 관계 없이 하드웨어가 연결될 때마다 DM Session을 형성하고 즉시 Generic Alert를 이용하여 DM 서버에게 내용을 전달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 비효율적일 수 있다. 위의 예에서도 볼 수 있듯이 주요 제한 지역 내에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가 주로 관리 대상이 되며, 그 이외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DM Server가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한 지역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Removable Camera가 연결될 때마다 DM Server와 세션을 형성하여 Generic Alert를 보내는 것은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을 소비하는 것이므로 불필요한 비용을 발생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는 디바이스 기능 관리 시의 디바이스와 DM 서버 간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단계 201에서 디바이스의 기능(Capability)에 해당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MO를 생성하여 디바이스 내의 DM 클라이언트가 관리한다. 디바이스는 단계 203에서 디바이스 기능의 사용 제한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예: 디바이스의 제한 구역 내 진입) 단계 205에서 관리 권한자(Management Authority; MA) 또는 DM 서버(110)로 알린다. 이 때, 누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알리는가는 관계 없다. 즉, 디바이스(100)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해서 통보가 행해질 수 있다.
이어서, DM 서버(110)는 단계 207에서 DM 세션을 개시하여(initiation) DM 세션을 형성한다. DM 세션 형성은 패키지 메시지Package #0이 DM 서버로부터 DM 클라이언트로 전송되고, 패키지 메시지Package #1이 DM 클라이언트로부터 DM 서버로 전송되고, 이어서, 패키지 메시지Package #2이 DM 클라이언트로부터 DM 서버로 전송됨으로써 이루어진다.
DM 서버(110)는 단계 209에서 제어가 필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MO의 Operation/Disable node를 Target URI로 포함하는 'Exec' 명령어를 DM 클라이언트(10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기능의 디스에이블을 DM 클라이언트에게 명령한다. 본 메시지는 단계 207에서의 패키지 메시지 Package#2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명령을 수신한 디바이스(100)는 해당 기능(capabilities)을 비활성화, 즉, 정지시킨다(disabled). 이어서, 디바이스(100)는 단계 213에서 명령(Command)의 수행 결과를 DM 서버(110)에게 전달한다. 계속해서 디바이스가 제한 상황에 있는 중에 탈착 가능한 하드웨어(또는 유닛)를 디바이스에 연결하면 디바이스(100)는 단계 215에서 이를 검출한다. 이어서, 디바이스(100)는 단계 217에서 DM 서버(110)와의 사이에 DM Session을 형성한다. 이 경우, DM 세션 형성은 패키지 메시지Package #1이 DM 클라이언트로부터 DM 서버로 전송되고, 이어서, 패키지 메시지Package #2이 DM 클라이언트로부터 DM 서버로 전송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어서, 디바이스(100)는 단계 219에서 Generic Alert를 통해 새로운 하드웨어가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음을 서버에 알린다. 이 메시지는 단계 219를 생략하고 단계 217에서 Pkg#1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도 있다.
DM 서버(110)는 필요에 따라 단계 221에서 새로 연결된 제거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의 디스에이블(disable) 명령을 전송한다. 그에 따라 단계 223에서 디바이스는 해당 기능을 정지시킨다.
단계 225에서 디바이스가 제한 상황에서 벗어나면, 예를 들어 제한 구역에서 벗어나게 되면, 디바이스(110)는 단계 227에서 이를 관리 권한자 또는 DM 서버(110)에게 알린다. 이 때, 누가 어떤 방법으로 알리는지는 관계없다. 이어서, 단계 229에서 DM 서버(110)에 의해 DM 세션이 개시(initiation)된다. 이 단계는 단계 207에서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DM 서버(110)는 단계 231에서 제어가 필요한 기능(Capability)를 나타내는 MO의 Operation/Enable node를 Target URI로 포함하는 'Exec' 명령어를 디바이스(100)에 전달함으로써 디바이스 기능의 활성화 즉, 인에이블을 명령한다. 본 메시지는 단계 229에서 Package#2에 포함되어 디바이스(100)로 전달될 수 있다.
명령을 수신한 디바이스(100)는 단계 233에서 해당 기능을 다시 활성화, 즉 인에이블시킨다 (Enabled). 이어서, 디바이스(100)는 단계 235에서 명령의 수행 결과를 DM 서버(110)에게 전달한다. 이후, 디바이스(100)가 여전히 제한 상황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탈착 가능한 하드웨어가 연결됨에 따라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이 부가되면 디바이스는 단계 237에서 이를 검출한다. 이어서, 단계 235에서 디바이스(100)에 의해 DM 서버와의 DM 세션이 개시되어 DM 세션이 형성된다. 이어서, 디바이스(100)는 Generic Alert 메시지를 통해 새로운 하드웨어가 연결되었음을 DM 서버(110)에 알린다. 이 메시지는 단계 235이 패키지 메시지 Package#1에 포함되어 디바이스(10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는 제한 상황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관리 액션(management action)은 일어나지 않는다.
위의 종래 기술 실시 예에서 보듯이, 단말기가 제한 상황에 있지 않은 중에도 제거가능한 기능의 부가 또는 해제 정보를 DMS에게 전달하는 것은 데이터 전송 비용만 증가시킬 뿐 필요치 않은 기능이다.
또한, 디바이스의 기능이 사용 제한될 필요가 있는 경우, 디바이스는 하드웨어가 자신에 연결된 후 Alert메시지를 DM 서버로 보내고 이에 따라 DM 서버가 디스에이블 명령을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방법도 문제가 존재한다. 일련의 DM session이 형성되는 동안에 해당 탈착 가능한 Capability는 제어를 받지 않는 상태이므로 상기 capability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바이스 기능 관리의 목적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에 하드웨어가 연결되는 순간에 해당 하드웨어에 관련된 기능(capability)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enable/disable)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해당 기능에 즉시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Capability가 연결 또는 제거 되었을 때, 해당 사실을 적절한 DM 서버에게 알리는 얼러트 (Alert) 메시지 전송 여부를 해당 서버가 직접 설정해 주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가 필요한 H/W capability에 대해 Alert를 받아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이전에 연결 즉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Initial state를 지정해 주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바이스 관리(DM: Device Management)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에서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탈착 가능한 기능들이 연결 또는 제거될 때 해당 사실을 알리는 얼러트 메시지를 특정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설정 노드들이 부가된 디바이스 기능 관리 객체(Device Capability Management Object; DCMO)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DM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부가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상기 설정 노드의 값에 따라 특정 DM 서버에 대해 얼러트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탈착 가능한 기능들이 연결 또는 제거될 때 해당 사실을 알리는 얼러트 메시지를 특정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설정 노드들이 부가된 디바이스 기능 관리 객 체(Device Capability Management Object; DCMO)를 정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관리(DM: Device Management) 서버와, 상기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고,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부가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상기 설정 노드의 값에 따라 특정 DM 서버에 대해 얼러트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 관리(DM: Device Management)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에서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탈착 가능한 기능들이 연결 또는 제거될 때 즉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enable 또는 disable 시키도록 하는 설정 노드들이 부가된 디바이스 기능 관리 객체(Device Capability Management Object; DCMO)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DM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부가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상기 설정 노드의 값에 따라 즉시 상기 기능의 enable/disable 여부를 결정하여 적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탈착 가능한 기능들이 연결 또는 제거될 때 즉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enable 또는 disable 시키도록 하는 설정 노드들이 부가된 디바이스 기능 관리 객체(Device Capability Management Object; DCMO)를 정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관 리(DM: Device Management) 서버와, 상기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고,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부가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상기 설정 노드의 값에 따라 즉시 상기 기능의 enable/disable 여부를 결정하여 적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실제로, 디바이스 사용 중에 탈착 가능한 기능의 디바이스로의 연결 또는 제거는 빈번히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바이스 관리 주체 (MA)의 정책에 따라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가 필요한 상황에 있을 때에만, 즉 탈착 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이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을 때 이를 제어해 줄 필요가 있는 경우에 대해서만 Generic Alert메시지를 보내도록 설정해 줌으로써 디바이스는 탈착 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이 부가(Attach)되거나 제거(Detach)될 때마다 DM 세션을 형성하여Generic Alert메시지를 보내지 않아도 된다. 그에 따라 따르면 데이터 통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탈착 가능한 기능을 디바이스에 연결한 즉시 사용 불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탈착 가능한 기능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Reporting을 위하여 DM Server가 알아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Generic Alert를 통해 Removable Capability의 연결 /제거 상태를 DM Server에게 Reporting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해당 단말기에 대한 DM server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만 Reporting을 하도록 설정하여 그 이외의 경우에 Removable H/W를 여러 번 연결/제거 하더라도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 소비를 없애고자 한다. 이는 DCMO 내에 해당 설정을 위한 node를 추가하고 DM Server가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이 값을 설정하여 Report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CMO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의 DCMO 구조에 제거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 관리 설정을 위한 노드(301)를 따로 구성한다. 이 때, 탈착 가능한 기능의 연결/해제 시 그 내용을 즉시 DM 서버에게 보고(Report)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ImmediateReport' 노드(303)를 새로 구성하였다. 탈착 가능한 하드웨어의 기능(Capability)를 나타내는 노드 <x>의 경우 그 위치는 중요하지 않으며, 탈착 가능한 기능으로 구분하여 하위 노드에 위치할 수도 있고 Removable Capability로 구분 없이 root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관리 시의 디바이스와 DM 서버 간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단계 401에서 디바이스의 기능(Capability)에 해당하는 MO를 직접 또는 DM 서버의 명령을 받아 생성하여 디바이스 내의 DM 클라이언트가 관리한다. 디바이스(100)는 단계 403에서 디바이스 기능의 사용 제한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단계 405에서 관리 권한자(Management Authority; MA) 또는 DM 서버(110)로 알린다. 이 때, 누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알리는가는 관계 없다. 즉, 디바이스(100)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해서 통보가 행해질 수 있다. 이어서, DM 서버(110)는 단계 407에서 DM 세션을 개시(initiation)하여 DM 세션을 형성한다.
또는, DM 서버(110)는 다른 이유로 인하여 제거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의 디바이스로의 연결 또는 디바이스로부터의 제거 상황을 알아야 할 필요가 발생하면, DM 서버(110)는 단계 407에서 DM 세션을 개시(initiation)하여 DM 세션을 형성한다.
DM 세션이 형성된 후, DM 서버(110)는 단계 409에서 DM command를 통해 도 3에 도시된DCMO의 구성 노드들 중에서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TRUE로 설정한다. 그리고, DM 서버(110)는 단계 411에서 제어가 필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MO의 Operation/Disable node를 통해 'Exec' 명령어를 DM 클라이언트(100)로 전달함으로써 디바이스 기능의 디스에이블을 DM 클라이언트에게 명령한다.
명령을 수신한 디바이스(100)는 단계 413에서 해당 기능(capabilities)을 비활성화, 즉, 정지시킨다(disabled). 이어서, 디바이스(100)는 단계 415에서 명령(Command)의 수행 결과를 DM 서버(110)에게 전달한다.
계속해서 디바이스가 제한 상황에 있는 중에 탈착 가능한 하드웨어(또는 유닛)을 디바이스에 연결됨으로써 탈착 가능한 디바이스 기능이 디바이스에 부가되면 디바이스(100)는 단계 417에서 이를 검출한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DCMO의 구 성 노드들 중에서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확인하여 그 값이 FALSE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거가능한 디바이스 기능의 검출을 DM 서버(110)로 보고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DM 세션을 형성할 필요도 없다.
디바이스(100)는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확인하여 그 값이 TRUE로 설정된 경우, 단계 419에서 DM 서버(110)와의 사이에 DM Session을 형성한다.
이어서, 디바이스(100)는 단계 421에서 Generic Alert를 통해 새로운 하드웨어가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음을 서버에 알린다. DM 서버(110)는 필요에 따라 단계 423에서 새로 연결된 탈착 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의 디스에이블(disable)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디스에이블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단계 425에서 디바이스(100)는 해당 기능을 정지시킨다.
단계 427에서 디바이스가 제한 상황에서 벗어나면, 예를 들어 제한 구역에서 벗어나게 되면, 디바이스(110)는 단계 429에서 이를 관리 권한자 또는 DM 서버(110)에게 알린다. 이 때, 누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알리는가는 관계 없다. 즉, 디바이스(100)가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해서 통보가 행해질 수 있다. 이어서, 단계 431에서DM 서버(110)에 의해 DM 세션이 개시(initiation)됨으로써 DM 세션이 형성된다. 이 단계는 단계 407에서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DM 서버(110)는 단계 433에서 제어가 필요한 기능(Capability)을 나타내는 MO의 Operation/Enable node를 통해 'Exec' 명령어를 디바이스(100)에 전달함으로써 디바이스 기능의 활성화 즉, 인에이블을 명령한다.
그리고, DM 서버(110)는 단계 435에서 DM command를 통해 DCMO의 구성 노드들 중에서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노드의 값을 FALSE로 설정한다.
즉, 디바이스(100)가 제한 상황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하여 디바이스(100)에 부가된 탈착 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에 대하여 즉시 리포트(Report)를 보낼 필요가 없게 되면 DM 서버(110)는 DM 명령(command)을 이용하여 DCMO의 노드 중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FALSE'로 설정해 준다.
인에이블 명령(433)을 수신한 디바이스(100)는 단계 437에서 해당 기능을 다시 활성화, 즉 인에이블시킨다 (Enabled). 이어서, 디바이스(100)는 단계 439에서 명령의 수행 결과를 DM 서버(110)에게 전달한다.
이후, 디바이스(100)가 여전히 제한 상황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탈착 가능한 하드웨어가 연결됨에 따라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이 부가되면 디바이스는 단계 441에서 이를 검출한다. 이 때, 디바이스(100)는 DCMO의 노드 중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의 값이 FALSE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DM 서버(110)에게 Generic Alert를 보내지 않는다. 따라서 DM session이 형성될 필요가 제거되므로, 데이터 통신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제한 상황에 놓이게 되거나 다른 이유로 인하여 제거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의 연결 또는 제거 상황을 DM 서버가 즉시 알아야 할 상황이 되면, DM 서버는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TRUE로 설정하기 위한 DM 명령을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디바이스는 단계 501에서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TRUE로 설정하기 위한 DM 명령을 DM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그에 따라, 디바이스(110)는 단계 503에서 자신의 DCMO 의 구성 노드들 중에서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TRUE로 설정한다. 만약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FALSE로 설정하기 위한 DM 명령이 수신된다면, 디바이스(110)는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FALSE로 설정한다. 이어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505에서 탈착 가능한 기능의 부가 또는 제거를 검출한다. 예컨대, 카메라가 디바이스에 장착되거나 분리된 경우, 촬영 기능이 부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제거가능한 기능의 부가를 검출하면
다바이스(110)는 단계 509에서 DCMO의 구성 노드들 중에서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확인하여 그 값이 TRUE 또는 FALSE로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이 FALSE로 설정된 경우에는 디바이스(110)는 제거가능한 디바이스 기능의 검출을 DM 서버(110)로 보고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DM 세션을 형성할 필요도 없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RemovableCapability/ImmediateReport' 노드의 값을 확인하여 그 값이 TRUE로 설정된 경우, 단계 511에서 DM 서버(110)와의 사이에 DM Session을 형성하고, 제거가능한 디바이스 기능의 부가 또는 제거를 알리는 Generic Alert 메시지를 통해 DM 서버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CMO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Removable Capability가 연결될 당시의 Initial state를 지정해주기 위한 새로운 노드(602) 'InitialState'가 DCMO에 추가된다.
일례로, Removable Capability node(601) 아래에 하위 노드로서 'Initial State'(602)를 두고 이를 인에이블(enabled 또는 FALSE)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 또는 TRUE)상태로 설정해 줌으로써 탈착 가능한 하드웨어가 처음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을 때 즉시, 해당 기능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DCMO의 구조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제한 상황에 놓이게 되거나 다른 이유로 인하여 탈착 가능한 기능(Removable Capability)의 연결 시에 즉시 그 기능을 Disable 상태 또는 Enable 상태로 설정할 필요가 있으면, DM 서버는 해당 기능의 Initial State' 노드의 값을 특정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DM 명령을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Initial State의 값은 TRUE(or Disabled) 또는 FALSE(or Enabled)가 될 수 있다. Initial State의 값이 FALSE (or Enabled)이면, 관련 탈착 가능한 기능은 디바이스에 부가된 경우 즉시 활성화되며, Default State의 값이 TRUE (or Disabled)이면 관련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부가된 경우 즉시 비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단계 701에서 'Initial State' 노드의 값을 'Enabled' 또는 'Disabled'로 설정하기 위한 DM 명령을 DM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그에 따라, 디바이스(110)는 단계 703에서 자신의 DCMO 의 구성 노드들 중에서 ' Initial State' 노드의 값을 'Enabled' 또는 'Disabled'로 설정한다.
이어서, 디바이스(110)는 단계 705에서 탈착 가능한 기능의 부가 또는 제거를 검출한다.
이어서, 다바이스(110)는 단계 709에서 DCMO의 구성 노드들 중에서 에서 'Initial State' 노드의 값을 확인하여 그 값이 'Enabled' 또는 'Disabled'로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Initial State' 노드의 값이 'Enabled'로 설정된 경우에는 디바이스(110)는 단계 711에서 해당 기능의 초기 상태를 Enabled 상태로 두어 사용 가능하게 한다. 또는, 'Initial State' 노드의 값이 'Disabled'로 설정된 경우에는 디바이스(110)는 단계 713에서 해당 기능의 초기 상태를 disabled 상태로 두어 사용 불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결합한 실시예이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제한 구역에 들어오거나 단말 관리 주체 (MA)의 판단에 따라 필요한 경우, 'InitialState' 노드값을 Disabled상태로 설정하고  'ImmediateReport' 노드 값을 True 또는 False로 설정한다. 그에 따라, 디바이스에 Removable Device를 연결하면 즉시 Removable Device가 disable되고, DM 서버에 연결 사실을 알리거나(True) 알리지 않는다(False).
도 8은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DCMO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에 새로운 Removable Capability가 Attach 되거나 detach 되는 경우, DM 서버는 자신 또는 특정 서버에게 해당 사항을 알리는 Exposure Report를 보낼 것인 지를 나타내는 'ExposureReport' 의 하위 노드(802)에 Exposure Report를 수신하기를 원하는 서버의 ID를 추가한다. 그에 따라, DM 클라이언트는 'ExposureReport' 하위 노드의 값에 따라 특정 서버에게 Removable Capability가 Attach 되거나 detach 되는 것을 보고한다.
즉, DM 서버는 디바이스에 Removable Capability가 연결되었을 경우 디바이스가Exposure Report를 자신에게 전송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DCMO/RemovableCapability/ExposureReport 아래에 자신의 서버 ID를 위한 노드(804)를 추가하면 된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DCMO에 특정 서버의 ID를 추가함으로써 특정 서버로 Exposure Report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DCMO/RemovableCapability/ExposureReport 하위 노드에서 자신의 ServerID 노드(804)를 제거함으로써 자신에게 Exposure Report를 전송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정은 DM 서버가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즉, Device가 제한 구역 내로 들어오는 경우 Exposure Report이하 Server ID에 자신의 서버 ID를 추가함으로써 제한 구역 내에서 새롭게 연결되는 탈착 가능한 기능에 대해서는 즉시 자신에게 Exposure Report를 보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한 구 역을 벗어날 때에는 DCMO/RemovableCapability/ExposureReport 하위 노드의 ServerID에서 자신의 서버 ID를 삭제함으로써 더 이상 Removable Capability가 연결되었을 때 자신에게 Report를 보내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특히 하나 이상의 DM 서버가 하나의 디바이스 기능을 관리하는 경우 효과적이며 각 MA (Management Authority)의 정책에 따라 시간 또는 이벤트 등을 기준으로 하여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상기 제4 및 제2 실시예를 결합한 실시예이다.
DM 서버는 소정 탈착 가능한 기능의 Initial state를 disabled상태로 설정하고, ExposureReport의 'ServerID' 노드(804)에 자신의 서버 ID를 기록하면, 실제로 디바이스에 제거가능한 기능이 연결되었을 때 해당 기능이 즉시 활성화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가 해당 capability에 대한 report를 DM 서버에게 전송하여 서버가 해당 capability를 확인하고 사용을 허용할 경우에는 DM command에 의해 해당 기능을 enable해 줄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제한구역에 들어오면 InitialState를 Disable상태로 설정하고 ExposureReport의 하위 노드로서 자신의 ServiceID 노드를 추가하거나 제거한다. 이 경우,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한 Capability(Removable Capability)가 연결되면 디바이스는 InitialState노드 값에 따라 해당 제거가능한 기능을 즉시 Disable하고, ServiceID노드에 기록된 DM 서버들에게만 연결 사실을 알린다.
다른 예에서, 소정 제거가능한 기능에 관련한 DCMO에서 Initial State노드(802)의 값이 'Disabled' 상태로 설정되고, ExposureReport의 하위 노드인 서버 ID 노드(804), 또는 그 값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한 기능이 연결되면, 초기에 기능은 disabled 상태가 되고 Exposure Report는 어떠한 DM 서버에게도 전송되지 않는다. 이 때, 디바이스는 Client Initiated Enable Request를 특정 서버에게 전송하여 자신의 특정 기능을 enable 해 줄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서버는 Initial State를 disabled로 설정한 서버일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제한구역을 벗어나면 DM 서버는 'InitialState' 노드를 Enable로 설정하고 ExposureReport의 하위 노드인'ServiceID' 노드(804)를 추가하거나 제거한다. 이 경우,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한 디바이스를 연결하면 디바이스는 InitialState노드 값에 따라 해당 제거가능한 기능을 즉시 Enable하고, ServiceID 노드에 기록된 특정 DM 서버에게만 연결 사실을 알린다.
이하에 상기 각 노드의 내용을 나타낸다.
DCMO/RemovableCapability(801)은 내부 노드(interior node)로서, 제거가능한 기능 관리(Removable Capability management)에 관한 구성을 특정하며(This interior node specifies configurations about Removable Capability management), 아래 표 3과 같다.
Status Tree Occurrence Format Min. Access Types
REQUIRED One Node Get
DCMO/RemovableCapability/ExposureReport(802)는 새로운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부착되거나 제거될 때 exposure report의 목적 서버를 특정하며(This interior node specifies target servers of the exposure report when a new Removable Capability is attached or detached), 아래 표 4와 같다. 만약 이 노드가 자식 노드를 안 갖는다면 DM 클라이언트는 exposure report를 전송하지 않는다(If this node has no child node, the DM client doesn't send exposure report).
Status Tree Occurrence Format Min. Access Types
REQUIRED One Node Get
DCMO/RemovableCapability/ExposureReport/<x>(803)은 DM 클라이언트가 exposure report를 전송하는 서버 ID를 위한 placeholder 이다(This interior node is a placeholder for Server ID where the DM client sends exposure report to )이며, 아래 표 5와 같다.
Status Tree Occurrence Format Min. Access Types
Required ZeroOrMore Node Get
DCMO/RemovableCapability/ExposureReport/<x>/ServerID(804)은 alert 메시지 또는 exposure report가 전송될 DM 서버를 특정하는데 사용되며(This leaf node is used to identify the DM server where the alert and exposure report would be sent), 이하 표 6과 같다.
Status Tree Occurrence Format Min. Access Types
Required One Chr Get, Replace
DCMO/RemovableCapability/InitialState(806)은 디바이스에 부착된 탈착 가능한 기능의 초기 상태를 특정하며(This leaf node specifies the initial state of the removable capability when it is attached to the device), 아래 표 7과 같다. 만약 이 노드의 값이 FALSE이면, 장착될 때 탈착 가능한 기능은 초기에 인에이블된다(If it is False, the attached Removable Capability is enabled initially when attached).
Status Tree Occurrence Format Min. Access Types
REQUIRED One Boolean Get, Replace
도 1은 OMA DM에서 규정된 DCMO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는 디바이스 기능 관리 시의 디바이스와 DM 서버 간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CMO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 관리 시의 디바이스와 DM 서버 간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CMO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DCMO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2)

  1. 디바이스 관리(DM: Device Management)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에서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탈착 가능한 기능들을 관리하기 위한 설정 노드들이 포함된 디바이스 기능 관리 객체(Device Capability Management Object; DCMO)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DM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상기 설정 노드의 값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탈착가능한 기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설정 노드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상기 서버로 보고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수행 단계는 상기 노드의 값에 따라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상기 서버로 보고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설정 노드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수행 단계는 상기 노드의 값에 따라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될 때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거가능한 기능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위한 노드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노드와,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될 때 그 내용을 상기 서버로 보고할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2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수행 단계는 상기 제1 노드를 참조하여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될 때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고, 상기 제2 노드를 참조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부가되거나 제거됨을 상기 서버로 보고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를 위한 설정 노드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특정 서버에 보고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특정 서버의 ID를 나타내는 하위 노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상위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수행 단계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상기 특정 서버의 ID를 나타내는 노드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서버로 보고하거나 상기 서버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보고 하지 않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위한 노드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노드와,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특정 서버에 보고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특정 서버의 ID를 나타내는 하위 노드를 포함하거나 거나 포함하지 않는 상위 노드를 포함하는 제2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수행 단계는 상기 제1 노드를 참조하여 탈착 가능한 기능을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고, 상기 제2 노드를 참조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상기 특정 서버로 보고하거나 상기 서버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보고 하지 않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 방법.
  7.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탈착 가능한 기능들 관리를 위한 설정 노드들이 부가된 디바이스 기능 관리 객체(Device Capability Management Object; DCMO)를 정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관리(DM: Device Management) 서버와,
    상기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설정 노드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설정 노드의 값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설정 노드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상기 서버로 보고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노드의 값을 참조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상기 서버로 보고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설정 노드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노드의 값을 참조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연결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설정 노드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노드와,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될 때 그 내용을 상기 서버로 보고할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2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노드를 참조하여 탈착 가능한 기능을 연결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고, 상기 제2 노드를 참조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상기 서버로 보고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설정 노드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부가되거나 제거됨을 특정 서버에 보고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특정 서버의 ID를 나타내는 하위 노드를 포함하거나 거나 포함하지 않는 상위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부가되거나 제거 됨을 상기 특정 서버의 ID를 나타내는 노드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서버로 보고하거나 상기 서버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보고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 제어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 관리를 위한 설정 노드는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을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노드와,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특정 서버에 보고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특정 서버의 ID를 나타내는 하위 노드를 포함하거나 거나 포함하지 않는 상위 노드를 포함하는 제2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노드를 참조하여 탈착 가능한 기능을 연결 즉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고, 상기 제2 노드를 참조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제거됨을 상기 특정 서버로 보고하거나 상기 서버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보고 하지 않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거가능한 기능 제어 시스템.
KR1020070101149A 2007-10-08 2007-10-08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KR101442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149A KR101442828B1 (ko) 2007-10-08 2007-10-08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149A KR101442828B1 (ko) 2007-10-08 2007-10-08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053A true KR20090036053A (ko) 2009-04-13
KR101442828B1 KR101442828B1 (ko) 2014-09-23

Family

ID=40761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149A KR101442828B1 (ko) 2007-10-08 2007-10-08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677A (ko) * 2011-11-16 2019-10-18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생산성 애플리케이션 내의 서비스 피처 인에이블링 기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054B1 (ko) * 2004-06-11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관리 기술에서의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6254249A (ja) 2005-03-11 2006-09-21 Nec Corp カメラ起動設定システム、カメラ付携帯端末、基地局、サーバー及び記録媒体
KR100700608B1 (ko) * 2005-05-02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관리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방법 및 그 단말
KR101342372B1 (ko) * 2006-01-23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및 그 단말에서의 장치관리 스케줄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677A (ko) * 2011-11-16 2019-10-18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생산성 애플리케이션 내의 서비스 피처 인에이블링 기법
US10769591B2 (en) 2011-11-16 2020-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abling service features within productivity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828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4370B1 (en) Network func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EP2978144B1 (en) Unified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7953836B2 (en) Method for executing managment operation by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erminal and system thereof
KR101030185B1 (ko) 단말기 장치들의 관리 방법
US9974110B2 (en) Controlling a packet flow from a user equipment
EP2432154B1 (en) Method, terminal, apparatus, and system for device management
US200801042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based data management
KR101024435B1 (ko) 장치 관리에서 스케쥴링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30031608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transfer management control of a client between servers
US201101456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server and customer premise equipment over internet-based network
WO2007065326A1 (fr) Procede de gestion de dispositif terminal
TWI485567B (zh) Relay communication system and access management device
CN100479380C (zh) 网络设备管理方法、网络设备和网络设备管理系统
WO2012113329A1 (zh) 一种设备管理方法及装置
US9374269B2 (en) Method and devices for matching data between a manager and an agent in a management network
CN102413122A (zh) 一种查询好友终端业务能力指示信息的方法和系统
KR20110008311A (ko)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US8688741B2 (en) Device description framework information reporting and upda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090036053A (ko) 디바이스의 탈착 가능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US20120254393A1 (en) Device management method, device management apparatus, and device management system
CN113133063A (zh) 一种会话释放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40008117A1 (en) Dual-connection device enabling service advertisement and discovery of services between networks, user device and system
KR101417012B1 (ko) Dm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US20240121645A1 (en) Transmission of Data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to a User Equipment
WO2007022723A1 (fr) Procede de mise a jour d&#39;un logiciel/de configuration de parametre destine a un terminal 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