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807A - Wireless headset and u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headset and u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807A
KR20090035807A KR1020070100791A KR20070100791A KR20090035807A KR 20090035807 A KR20090035807 A KR 20090035807A KR 1020070100791 A KR1020070100791 A KR 1020070100791A KR 20070100791 A KR20070100791 A KR 20070100791A KR 20090035807 A KR20090035807 A KR 20090035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wireless headset
user
unit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4510B1 (en
Inventor
장명기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앤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앤블루 filed Critical (주)와이즈앤블루
Priority to KR102007010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510B1/en
Publication of KR2009003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8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5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wireless headset, a system using the same and a usage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hance the convenience in use and realize the various methods of using the wireless headset. An operation unit(8) receives a manipulation signal for a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9)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2). A speaker(6) outputs a sound receiv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microphone(7) receives the voice of a user. A voice recognition unit(5) recognizes the voice which is inputted to the microphone as an instruction of the user. A controller(4) controls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instruction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Description

무선 헤드셋, 무선 헤드셋의 사용시스템, 및 무선 헤드셋의 사용방법{wireless headset and u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Wireless headset, system for using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using wireless headset {wireless headset and u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및 그 사용 시스템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headset and a system fo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및 무선 헤드셋의 사용 시스템의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headset and a system for using a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용 시스템의 구성도. 3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using a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용 시스템의 구성도.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using a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무선 헤드셋 2 : 외부기기1: wireless headset 2: external device

3 : 휴대폰 5 : 음성인식부3: cell phone 5: voice recognition unit

9 : 블루투스 통신모듈9: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종래문헌 1: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6-0007558Conventional Document 1: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07558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 및 무선 헤드셋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eadset and a method of using the wireless headset.

근래 들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폰등과 같이 모체가 되는 기기에 부속하여 별도의 무선 헤드셋을 더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상기 무선 헤드셋은 모체가 되는 휴대폰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직접 손에 쥐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 기기를 기기의 목적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more and more cases of using a separate wireless headset in addition to the parent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he wireless headset allows the device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device even without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the like being held directly in the hand.

종래에 알려진 무선 헤드셋으로는 상기 종래문헌 1로 주어지는 기기가 있다. 상기 기기는 무선 헤드셋의 자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충실하게 설명을 하고 있다. 다만, 상기 종래문헌 1로 제시되는 무선 헤드셋은 물론이고, 종래에 알려진 모든 무선 헤드셋은 휴대폰으로 예시되는 모체로서의 전자기기와 음향통신을 수행하는 것만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모체인 전자기기를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전자기기는 별도로 거치해 두고서 전자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전자기기에 의한 통신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다. As a conventionally known wireless headset, there is a device given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ocument 1. The device faithfully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headset itself. However, as well as the wireless headset presented in the above-mentioned document 1, all conventionally known wireless headsets have only a main purpose of performing acoustic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as a mother illustrated as a mobile phone. In other words, in order to more conveniently use the parent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separately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only a role of assist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by the electronic device.

그러므로, 사용자는 단순한 음향청취를 위한 보조적인 기구로서만 무선 헤드셋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사용성의 기능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r has to use the wireless headset only as an auxiliary device for simple acoustic listening, and thus its usability is limited.

개시되는 것은 무선 헤드셋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개선되는 무선 헤드셋 및 무선 헤드셋의 사용방법이다.Disclosed are a wireless headset and a method of using the wireless headset, which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wireless headset.

또한, 개시되는 것은 사용자는 무선 헤드셋을 항상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것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라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 및 무선 헤드셋의 사용방법이다. In addition, what is disclosed is a method of using a wireless headset and a wireless headset that the user can use for various purposes anytime and anywher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 always carrying the wireless headset.

또한, 전자기기에 종속적으로만 제공되었던 무선 헤드셋의 단순한 기능에서 탈피하여 무선 헤드셋의 자체적인 기능이 충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 및 무선 헤드셋의 사용방법이다. In addition, it is a method of using a wireless headset and a wireless headset that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by a user by breaking away from the simple functions of the wireless headset provided only to electronic devices so that their own functions are satisfied.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기기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로 수신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사용자의 지시로 인식하는 음성인식부; 및 상기 음성인식부에 의해서 인식된 지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로 전달하도록, 상기 음성인식부 및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스피커에 음향을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A voic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as a user's instruction; And controlling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n instruction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or to provide sound to the speak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included to be output.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기기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로 수신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및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로 전달하는 외부기기 제어모드, 및 상기 스피커에 음향이 출력되는 통화모드로 제어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control mode for transmitting an instruction from a user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a call mode in which sound is output to the speaker. .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의 사용 시스템은, 휴대폰; 상기 휴대폰과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무선 헤드셋; 및 상기 무선 헤드셋으로 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 헤드셋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동작되는 외부기기가 포함된다.The system for using a 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wireless headse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And an external device operated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f the wireless headset us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headset.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의 사용방법은, 휴대폰, 무선 헤드셋, 및 외부기기가 포함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헤드셋의 동작모드에는, 상기 휴대폰과 무선통신이 설정되어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을 착용하여 휴대폰을 이용하는 통화모드, 및 상기 외부기기로 지시사항을 전달하여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외부기기 제어모드가 포함된다.In the method of using the 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including a mobile phone, a wireless headset, and an external device,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headse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is set so that the user wears the wireless headset to A communication mode used, and an external device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by transmitting instructions to the external devi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및 그 사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headset and a use system thereof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용시스템에는, 무선 헤드셋(1)과, 상기 무선 헤드셋(1)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휴대폰(3) 및 외부기기(2)가 포함된다. 상기 외부기기(2)의 예로는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텔레비전 또는 DVD 플레이어 또는 VCR등과 같은 어떠한 전기기기일 수 있다. 상기 휴대폰(3)은 휴대폰뿐만 아니라 PDA등과 같은 휴대형의 전기기기도 가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for using a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ireless headset 1, a mobile phone 3 and an external device 2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ireless headset 1. An example of the external device 2 may be any electric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a DVD player or a VCR that requires user manipulation. The mobile phone 3 may be not only a mobile phone but also a portable electric device such as a PDA.

여기서, 상기 무선 헤드셋(1)의 외부구조로는 상기 종래문헌 1에 제시되는 형태가 그대로 제시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물품으로서 예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의 동작에 주안점을 두는 구성에 대한 것이므로, 그 외양은 어떠한 형상으로 되더라도 무방하다. Here,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wireless headset 1 may be presented as it is in the conventional document 1, or may be illustrated as other article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onfiguration that focuses on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headset, the appearance may be any shape.

상기 무선 헤드셋(1)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ireless headset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무선 헤드셋(1)에는, 기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부(4)와, 적어도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들이는 마이크(7)와,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1)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8)와, 상기 제어부(4)의 제어하에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7)를 통하여 감지된 음성신호가 디지털 화된 의미있는 신호로 인식되도록 하는 음성인식부(5)와, 상기 외부기기(2) 및 휴대폰(3)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9)이 더 제공된다. 상기 무선 헤드셋(1)의 내부에는 전원부와 경보부등과 같이 기기의 고유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구성은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제공되어서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진되도록 하는 것은 당연히 짐작가능하다.The wireless headset 1 includes a control unit 4 for overall control of the device, a microphone 7 for receiving at least a user's voice, an operation unit 8 for the user to operate the wireless headset 1, A speaker 6 for outputting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 is included. 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unit 5 for the voice signal sensed through the microphone 7 to be recognized as a digitized meaningful signal, the Bluetooth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 and the mobile phone (3) A communication module 9 is further provide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a configuration necessary for the inherent operation of the device, such as a power supply unit and an alarm unit, inside the wireless headset 1 so as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even if not mentioned.

상기 외부기기(2)에는, 상기 무선 헤드셋(1)에 제공된 블루투스 통신모듈(9)을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2)과, 외부기기(2)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하에 동작되는 동작부(13)가 포함된다. 상기 동작부(13)는 외부기기(2)의 동작에 사용되는 기구적인 구조를 포함하는 어떠한 동작 메커니즘으로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xternal device 2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2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9 provided to the wireless headset 1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entire system of the external device 2. A control unit 11 and an operation unit 13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 are included. The operation unit 13 will be fully understood as any operation mechanism including a mechanical structur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2).

한편, 상기 휴대폰(3)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무선 헤드셋(1)의 블루투스 통신모듈(9)과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phone 3 i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mobile phone, it is natural tha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9 of the wireless headset (1).

설명되는 바와 같은 구조로 제공되는 무선 헤드셋의 사용시스템을 각 구성품의 구성 측면에서 설명한다. The use system of the wireless headset provided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configuration of each component.

먼저, 상기 조작부(8)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휴대폰(3)과 상기 무선 헤드셋(1)이 상호 접속된다. 이때 각 기기들 간의 접속은 블루투스 통신모듈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상기 휴대폰(3)으로 부터 송신된 음성신호는 마이 크(7)를 통하여 출력되어 사용자가 듣게 되고, 상기 스피커(6)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은 휴대폰으로 전송되어 통신망을 통하여 타인에게로 전달된다.First,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8, the mobile phone 3 and the wireless headset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s may be performed by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fter that,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3 is output through the microphone 7 to be heard by the user, and the voice input through the speaker 6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to other peopl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delivered to.

또한, 상기 조작부(8)의 조작에 의해서, 사용자는 상기 음성인식부(5)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마이크(7)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가 제어부(4)의 제어하에서 음성인식부(5)에서 의미를 가지는 소정의 신호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신호는 블루투스 통신모듈(9)을 통하여 외부기기(2)로 전달되고, 인식된 신호를 수신한 외부기기(2)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된 동작대로, 제어부(11)의 제어하에서 동작부(13)가 동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기기가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기기인 경우에, 사용자가 "볼륨 업"이라는 말을 하였다고 하자. 그러면, 그 음성은 마이크(7)에 의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4)의 제어하에서 상기 음성인식부(5)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지가 디지털 신호로 인식된다. 상기 디지털 신호는 무선으로 외부기기(2)로 전달되어 외부기기(2)의 볼륨을 크게 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8, the user can cause the voice recognition unit 5 to operate. In this case,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7 may be recognized as a predetermined signal having a meaning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 The recogniz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9, and the external device 2 that has received the recognized signal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 as instructed by the user. The unit 13 is operated.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external device is a video device such as a television, it is assumed that the user says "volume up". Then, the voice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microphone 7,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 it is recognized as a digital signal what the meaning is in the voice recognition unit 5. The digital signal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external device 2.

여기서, 상기 음성인식부(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시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상기 음성인식부(5)는 제한되는 수의 다수의 단어에 대하여 반응을 하도록 미리 구비되는 반도체 칩의 형태나, 사용자가 특정의 의미로 사용하고자 하는 단어를 미리 설정하여 추후에 동일한 단어와의 메칭의 정도를 판단하여 의미를 판단하는 반도체 칩의 형태 또는 디지털 신호처리과정을 거쳐서 미리 수록되어 있는 다양한 음성과의 메칭정도를 판단하여 음성의 의미를 판단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He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unit 5 is not presented, which means that the voice recognition unit 5 is in the form of a semiconductor chip or a user provided in advance to react to a limited number of words. Sets a word to be used for a specific meaning in advance and subsequently determines the degree of matching with the same word to determine the meaning, or the degree of matching with various voices previously stored through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oftware to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voice by determining.

상기 음성인식부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대한민국 산업자원부의 지원하에서 운영되는 음성정보기술산업지원센터(인터넷 웹주소: www.sitec.or.kr)에 그 기술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술을 원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상기 음성인식부(5)의 자세한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을 원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무선 헤드셋(1)의 크기가 크지 아니함을 감안하여 음성인식부(5)는 소프트웨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Fo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unit,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technology can be referred to the voic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support center (Internet web address: www.sitec.or.kr) operated under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By employing such various technique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unit 5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well-known configuration and omits the description thereof.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size of the wireless headset 1 is not large, the voice recognition unit 5 may be provided in software.

한편, 상기 조작부(8)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9)의 모드를 조작하여, 블루투스 모듈(9)이 휴대폰(3)과 통신을 수행할 지 아니면 외부기기(2)와 통신을 수행할 지를 변경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unit 8 operates the mode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9 to change whether the Bluetooth module 9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phone 3 or the external device 2. You can.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2)는 도면에서 제시되는 한 개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그 수를 늘려서 조작할 수도 있는데, 이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은 일대다 통신방식으로서 다수의 기기를 서로 망으로 엮어서 서로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8)의 조작에 의해서 휴대폰(3) 또는 복수개의 외부기기 중에서도 어느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지를 적극적으로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rnal device 2 is not limited to one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operated by increasing the number, which is a one-to-many communication scheme for Bluetooth communication. This is possible because we can weave them together and link them together. In this cas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8 it will be able to actively control which external device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phone 3 or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또한, 본 실시예를 사용자의 측면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먼저, 사용자가 휴대폰은 멀리 두고서 무선 헤드셋만 휴대한 상태에서 집에서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다. 이 때에 휴대폰으로 콜이 오면 무선 헤드셋은 자동으로 반응하여 전화가 온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조 작부(8)를 조작하여 휴대폰(3)과 무선 헤드셋(1)이 서로 접속되도록 하고,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모드는 '통화모드' 라고 이름할 수 있다.First, the user can watch television at home with only the wireless headset with the cell phone away. At this time, when the call comes in to the mobile phone, the wireless headset automatically responds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incoming call. Then,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unit 8 so that the cellular phone 3 and the wireless headset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make a call. This general mode may be called a 'call mode'.

또 다른 경우로서, 동일한 상황에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중에 텔레비전을 조작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볼륨을 높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8)의 조작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1)의 모드가 변경되어 '외부기기 조작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외부기기 조작모드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9)은 외부기기(2)와 연결되고, 상기 음성인식부(5) 및 마이크(7)가 활성화되는 단계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성으로 "볼륨업"이라고 지시를 하면, 상기 음성인식부(5)는 이를 디지털 신호로 파악하여 이를 외부기기로 전달한다. 그러면, 외부기기는 이를 수신하여 외부기기의 볼륨을 높이게 된다.As another case, it may be necessary to operate the television while watching television in the same situation, for example, a case may be required to turn up the volume.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8 changes the mode of the wireless headset 1 to enter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e." In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e, the Bluetooth module 9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 and the voice recognition unit 5 and the microphone 7 are activate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structs voice to "volume up", the voice recognition unit 5 recognizes this as a digital signal and delivers it to an external device. Then, the external device receives this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external device.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는 측면에서는 상기 조작부(8)를 조작함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1)이 '통화모드' 및 '외부기기 조작모드'로 선택적으로 조작되어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서 사용자는 무선 헤드셋을 더욱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무선 헤드셋의 휴대의 용이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장점이 기대된다. 물론,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귀에 착용하는 무선 헤드셋으로 말만 하면, 그 의미가 외부기기로 전달되므로 외부기기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것도 당연하다.As will b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8, the wireless headset 1 is selectively operated in the 'call mode' and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e' to perform the operation. By such an optional opera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wireless headset for more various purpos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user can take advantage of the ease of portability of the wireless headset so that the user can live more conveniently. Of cours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f only the wireless headset worn on the ear, the meaning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it is also natural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o operate the external device is increas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폰(3)과, 외부기기(2)가 블루투스 통신모듈에 의해서 연결되어서, 휴대폰(3)에 의해서도 외부기기(2)를 조작할 수도 있는 것 은 당연하게 예측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atural that the mobile phone 3 and the external device 2 are connected by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the external device 2 can also be operated by the mobile phone 3 as a matter of course. Do.

상기되는 제 1 실시예는, 외부기기(2)에 블루투스 통신모듈(12)이 항상 제공되어 있어야 한다. 텔레비전, VCR,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일반적인 외부기기(2)에는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되지 않은 것이 많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무선 헤드셋을 가지고 있더라도 외부기기(2)를 조정할 수 없는 것이다.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2 should always be provided to the external device 2. In general, external Bluetooth devices 2 such as televisions, VCRs, DVD players, etc. are not provided with a Bluetooth module. Therefore, in such a case, even if you have a wireless headset, the external device 2 cannot be adjusted.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상기 제 1 실시예를 개선하여, 외부기기(2)에 별도의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무선 헤드셋을 사용하여 외부기기(2)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가 제 2 실시예로 개시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설명이 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그대로 원용하는 것으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embodiment is improved so that the external device 2 can be operated using a wireless headset even when a separat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is not provided to the external device 2 is the second embodiment. Is initiated.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portion where no detailed description is given shall us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s it i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및 무선 헤드셋의 사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headset and a system for using the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용 시스템에는, 무선 헤드셋(21)과, 외부기기(22) 및 휴대폰(23)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헤드셋(21)과 휴대폰(23)은 서로 일반적인 무선 헤드셋(21)의 사용방법으로 동작된다. 그리고, 무선 헤드셋(21)은 외부기기(22)를 조작할 수 있는 일 도구로서 동작된다. Referring to FIG. 2, a wireless headset 21, an external device 22, and a mobile phone 23 are provided in a system for using a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wireless headset 21 and the mobile phone 23 are operated by a common method of using the wireless headset 21. The wireless headset 21 is operated as a tool that can operate the external device 22.

상세하게, 상기 무선 헤드셋(21)에는, 제어부(24)와, 음성인식부(25)와, 스피커(26)와, 마이크(27)와, 조작부(28)와, 블루투스 통신모듈(29)이 구비된다. 그리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모듈(3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22)에는, 제어부(31)와, 동작부(33)가 구비되어 있고, 이 뿐만 아니라, 무선 헤드셋(21)에 구비되는 상기 IrDA 통신모듈(30)과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IrDA 통신모듈(32)이 더 제공되어 있다. In detail, the wireless headset 21 includes a control unit 24, a voice recognition unit 25, a speaker 26, a microphone 27, an operation unit 28,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9. It is provided. In addition, a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module 30 is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22 includes a control unit 31 and an operation unit 33.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22 performs infrared communication with the IrDA communication module 30 provided in the wireless headset 21. IrDA communication module 32 is further provided.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무선 헤드셋의 사용방법이 구현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ollowing method of using the wireless headset is implemented.

먼저, 무선 헤드셋(21)와 휴대폰(23)은 일반적인 무선 헤드셋의 사용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화모드'로 사용된다. 또한, 무선 헤드셋(21)과 외부기기(22)가 상호 동작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조작부(28)의 조작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28)이 외부기기(22)를 조작할 수 있는 '외부기기 조작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외부기기 조작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내는 육성이 마이크(27)를 통하여 입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인식되고, 상기 음성인식부(25)는 상기 제어부(24)의 제어 하에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의미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바뀌게 된다. 그 이후에는, 제어부(24)의 제어하에서 IrDA 통신모듈(30)을 통하여 외부기기(22)로 전달되고, 외부기기에서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인식하여 제어부(31)의 제어 하에서 동작부(33)가 동작된다. First, the wireless headset 21 and the mobile phone 23 are used in the 'call mode' in the same manner as the general wireless headset. In additio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wireless headset 21 and the external device 22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wireless headset 28 may operate the external device 22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28. Enter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e. In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e', the user's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7 and recognized as an analog signal, and the voice recognition unit 25 indicates the meaning of the analog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4. It is recognized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4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2 through the IrDA communication module 30, and the external device recognizes the digital signal and the operation unit 33 controls the control unit 31. It works.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가전기기에는 거의 다 장착되는 IrDA 통신모듈(32)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어떠한 외부기기(22)더라도 개시되는 무선 헤드셋(21)을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무선 헤드셋(21)은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동작이 되는 것으로서, 외부기기(22)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IrDA 통신모듈(32)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외부기기(22)를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rDA communication module 32, which is almost all mounted on a general household appliance, is used as i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y external device 22 can operate the wireless headset 21 to be started. In other words, the wireless headset 21 operates as a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using the IrDA communication module 32 generally employed in the external device 22 to operate the external device 22. There are advantages to it.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상기되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는 무선 헤드셋에 음성인식부를 구비하여, 그 음성인식부에서 사용자가 말하는 육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명령에 따라서 외부기기가 조작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와 달리, 상기 무선 헤드셋을 통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육성이 휴대폰의 조작에 사용되도록 하여, 무선 헤드셋의 기능이 더욱 증대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제시되는 설명을 원용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clude a voice recognition unit in the wireless headset, so that the voic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user's speech and allows the external device to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recognized command. However, unlike this form, the user's training recognized through the wireless headset can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headset can be further increased. The part which is not specifically described uses the description presented in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using a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41)에는, 제어부(43)와, 음성인식부(44)와, 스피커(45)와, 마이크(46)와, 조작부(47)와, 블루투스 통신모듈(48)이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wireless headset 4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43, a voice recognition unit 44, a speaker 45, a microphone 46, an operation unit 47,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48 is provided.

상기 음성인식부(44)는 상기 마이크(46)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인식된 사용자의 육성을 일정한 지시사항을 의미하는 디지털 신호로 바꾸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3)는 블루투스 통신모듈(48)을 통하여 휴대폰(42)으로 상기 지시사항을 전달하고, 상기 휴대폰(42)에서는 상기 지시사항을 전달받아서 그 내용대로 조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인식부(44)의 저장정보로서, 사용자가 "우리집"이라고 말하면 우리집에 전화를 하라는 지시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면, 휴대폰을 동작시켜서 집의 번호를 눌러서 호출이 가도록 할 필요가 없이, 무선 헤드셋(41)에 상기 마이크(46)에 "우리집"이라고만 말하면 충분하게 된다. The voice recognition unit 44 converts the user's training as an analog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46 into a digital signal meaning a certain instruction. Then, the control unit 43 transmits the instructions to the mobile phone 42 via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48, and the mobile phone 42 receives the instructions and operates as the contents. For example, as the stored informa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unit 44, if the user says "my house" if the instruction signal to call to my house is stored, by operating the mobile phone to call the number of the house to go There is no need to say " my home &quot; to the microphone 46 to the wireless headset 41, which is sufficient.

이때, 상기 음성인식부(44)가 동작되는 것은 상기 조작부(47)의 조작에 의해 서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는 '휴대폰 조작모드'인 경우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통화모드'에서 음성인식부(44)가 동작되면,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중에 한 말이 음성인식부에서 소정의 지시사항으로 인식되어, 휴대폰(42)이 의도하지 않게 조작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될 것이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unit 44 is preferably limited to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operation mode' that can operate the mobile phon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47. Because, when the voice recognition unit 44 is operated in a general 'call mode', a word that a user speaks while making a call is recognized as a predetermined instruction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the mobile phone 42 is inadvertently operated. Because it will occur.

상기되는 바와 같이 무선 헤드셋이 사용되는 태양은, 예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폰을 조작하는 것뿐만 아니라, 휴대폰이 연결되어 있는 외부의 통화 망을 통하여 상기 통화망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외부기기를 조작하는 것으로도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aspect in which the wireless headset is used is not only to operate the mobile phone as illustrated, but also to operate other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It can be extended and applied.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 4 실시예는, 상기되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동일하고, 무선 헤드셋(51)과 외부기기(52) 간에 신호가 송수신되는 방법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기 제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설명이 원용되는 것으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The fourth embodiment is the same in many respects as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re is a difference only in how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wireless headset 51 and the external device 52. Therefore, in the part without specific description, various descriptions as described above are use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using a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용 시스템에는, 무선 헤드셋(51)과, 외부기기(52), 및 휴대폰(53)이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system for using a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headset 51, an external device 52, and a mobile phone 53.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51)에는, 제어부(54)와, 스피커(55)와, 마이크(56), 조작부(57), 블루투스 통신모듈(59), 및 IrDA 통신모듈(58)이 구비된다. 그리고, 외부기기(52)에는 무선 헤드셋(51)에 설치되는 IrDA 통신모듈(58)과 통신을 수행하는 또 다른 IrDA 통신모듈(52)과, 제어부(60) 및 동작부(62)가 포함된다. The wireless headset 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54, a speaker 55, a microphone 56, an operation unit 57,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59, and an IrDA communication module 58. do.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52 includes another IrDA communication module 52 that communicates with the IrDA communication module 58 installed in the wireless headset 51, a controller 60, and an operation unit 62. .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57)에 의해서는 '휴대폰 조작모드' 및 '통화모드'간의 모드변화가 일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작부(57)에는 외부기기(52)의 동작상태를 구체적으로 조작하는 버튼으로 예시되는 다양한 구성물이 더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작부(57)를 조작하여 무선 헤드셋의 모드를 변경시키게 되고, 변경된 모드가 '휴대폰 조작모드'인 경우에는 조작부(57)에 마련된 다수의 버튼을 사용하여 IrDA 통신모듈(58)(61) 간의 채널을 사용하여 무선 헤드셋(51)에서 외부기기(52)를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통화모드'는 일반적인 무선 헤드셋의 사용양태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57 not only causes a mode change between the 'mobile phone operation mode' and the 'call mode' to occur, but also the operation unit 57 specifically stat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external device 52. Various configurations are further provided which are exemplified by buttons for operating. Then, the user manipulates the operation unit 57 to change the mode of the wireless headset, and when the changed mode is the 'mobile phone operation mode', the IrDA communication module 58 (using the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57) ( The external device 52 is operated by the wireless headset 51 by using the channel between the 61. In addition, the 'call mode' is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wireless headse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 IrDA 통신모듈(58)(61) 간의 통신 규약은 일반적인 리모트 컨트롤러와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무선 헤드셋(51)의 제조사는 외부기기(52)의 제조사와 다른 경우가 많아서, 무선 헤드셋(51)의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을 감안하여, 무선 헤드셋(51)의 제조사 측에서는, 복수개의 외부기기(52)의 제조사가 사용하는 통신 규약을 함께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57)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조작된 특정의 버튼과 대응되는, 무선 헤드셋(51)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외부기기(52) 제조사의 신호가, 한꺼번에 송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외부기기(52)의 제조사와는 무관하게 어떠한 외부기기(52)도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common that the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IrDA communication modules 58 and 61 is set in advance as in the general remote controller. In addition, since the manufacturer of the wireless headset 51 is often different from the manufacturer of the external device 52, the use of the wireless headset 51 may be limited in many cases. In view of such inconvenience, the manufacturer of the wireless headset 51 stores the communication protocols used by the manufacturer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52 together,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57.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ll signals of the manufacturer of the external device 52 stored in the wireless headset 51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button operated at one time. In this case, any external device 52 can be manipulated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of the external device 52.

상기되는 제 4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외부기기(52)에 자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구비되는 경우라면, 무선 헤드셋(51)에 자체적인 IrDA 통신모듈(58) 이 구비됨이 없이, 블루투스 통신모듈 간의 등록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51)에서 외부기기(52)를 조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f the external device 52 is provided with its own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less headset 51 does not have its own IrDA communication module 58,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external device 52 may be manipulated by the wireless headset 51 by registration of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시한다. Another embodiment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먼저, 설명된 개시 내용에는 무선 헤드셋의 동작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요소가 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상기 무선 헤드셋의 동작상태의 관찰이 필요한 경우를 예시하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이 어떠한 동작모드에 있는 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음량상태 등을 관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찰용도를 위하여, 무선 헤드셋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소정의 경보부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First, the disclosed disclosure does not suggest any component capable of observ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headset. To illustrate the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headset, it may be necessary to observe a function, a volume state, etc., which enable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to see what operating mode the wireless headset is in. For this purpose of observation,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in the wireless headset. The display unit may be replaced by a predetermined alarm unit.

또한, 상기되는 다양한 실시예에는, 조작부를 조작함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의 동작모드가 변경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특정의 음성을 내는 것, 예를 들어 '모드전환'이라는 소리를 내는 것에 의해서 음성인식부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모드전환이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음성인식부에는 계속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그다지 바람직하게 적용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headset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voice recognition unit detects this by the user making a specific voice, for example, 'mode change', and may automatically cause the mode change to occur. In this case, however, the voice recognition un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current continuously flow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휴대폰에 종속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로서 무선 헤드셋을 제시하고 있지만, 휴대폰에 종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탑재되는 어떠한 형태의 물품에 적용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모 듈이 탑재되는 MP3 플레이어에 사용되어, MP3 플레이어로부터 송신되는 음악신호를 재생하는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어서, 음향신호가 송수신되는 어떠한 전자기기에 대하여도 무선 헤드셋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서,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아니라, 어떠한 무선통신모듈에 의해서도 무선 헤드셋과 상기 전자기기가 연결되어 무선 헤드셋의 원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embodiments provide a wireless headset as a form used in a cell-dependent manner, but is not limited to being used in a cell-phone, it is applied to any type of article on which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be possible to maximize the ease of use. For example, it can be used in an MP3 player equipped with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can be used in the form of playing music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P3 player. It will be possible. Further, the wireless headset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connected to any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o implemen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wireless headset.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추가적으로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d other embodiment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nd adding components. It may be proposed, bu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되는 다양한 실시예 중에 선택되는 다수 개의 실시예가 함께 실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가 제시될 수도 있는데,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embodiments selected from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together may be presented, which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되는 발명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개선되고, 무선 헤드셋의 사용방법이 다양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The disclosed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 of the wireless headset, the variety of ways to use the wireless headset can be expected.

또한, 휴대폰등과 같은 주된 물품에 부속적으로 사용하는 무선 헤드셋의 사용상의 제한을 극복하여, 무선 헤드셋 자체적인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소비의 진작에 도움이 된다. In addition,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use of the wireless headset attached to main items such as a mobile phone, it can be used for the wireless headset itself, which helps to increase consumption.

Claims (11)

기기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 An operation unit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device;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상기 무선 통신부로 수신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사용자의 지시로 인식하는 음성인식부; 및A voic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as a user's instruction; And 상기 음성인식부에 의해서 인식된 지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로 전달하도록, 상기 음성인식부 및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거나,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re controlled to transmit an instruction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상기 스피커에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output sound to the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에는, 적어도 휴대폰이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t least a wireless headset comprising a mobile phon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에는, 휴대폰과 외부기기가 포함되고, The at least one other external device includes a mobile phone and an external device, 상기 무선통신부에는, 상기 휴대폰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모 듈 및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을 IrDA 통신모듈이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and an IrD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에는, 휴대폰과 외부기기가 포함되고, The at least one other external device includes a mobile phone and an external device, 상기 무선통신부에는, 상기 휴대폰 및 상기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wireless headset compri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and the external devic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외부기기는, VCR, 텔레비전, 및 DVD 플레이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무선 헤드셋. The external device is at least one wireless headset selected from the VCR, television, and DVD player. 기기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 An operation unit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device;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상기 무선 통신부로 수신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및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And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로 전달하는 외부기기 제어모드 및 상기 스피커에 음향이 출력되는 통화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The wireless headse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control mode for transmitting an instruction from a user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selected from among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a call mode in which sound is output to the speaker. .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서 인식되는 무선 헤드셋.The instruction from the user is recognized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음성으로 받아들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마이크와 연동되는 음성인식부가 더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interworking with the control unit and the microphone to receive an instruction from the user as voice. 휴대폰; cellphone; 상기 휴대폰과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무선 헤드셋; 및A wireless headse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And 상기 무선 헤드셋으로 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 헤드셋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동작되는 외부기기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의 사용시스템. And an external device opera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user of the wireless headset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headset.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무선 헤드셋 사용자의 지시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의 음성인식 또는 상기 무선 헤드셋을 조작하는 조작부의 조작내용에 의해서 식별되는 무선 헤드셋의 사용시스템. And the instruction of the wireless headset user is identified by voice recognition of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voice of the user or operation contents of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wireless headset. 휴대폰, 무선 헤드셋, 및 외부기기가 포함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In a system including a mobile phone, a wireless headset, and an external device, 상기 무선 헤드셋의 동작모드에는,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headset, 상기 휴대폰과 무선통신이 설정되어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을 착용하여 휴대 폰을 이용하는 통화모드, 및 상기 외부기기로 지시사항을 전달하여 상기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외부기기 제어모드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의 사용방법. Method for using a wireless headset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e is set up with the mobile phone and the user wears a wireless headset, a call mode using a mobile phone, and an external device control mode for transmitting instructions to the external device to control the external device. .
KR1020070100791A 2007-10-08 2007-10-08 wireless headset and u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1009145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791A KR100914510B1 (en) 2007-10-08 2007-10-08 wireless headset and u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791A KR100914510B1 (en) 2007-10-08 2007-10-08 wireless headset and u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807A true KR20090035807A (en) 2009-04-13
KR100914510B1 KR100914510B1 (en) 2009-09-02

Family

ID=4076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791A KR100914510B1 (en) 2007-10-08 2007-10-08 wireless headset and u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51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837B1 (en) * 2018-11-02 2019-07-26 주식회사 인컨 bluetooth microphone control method with multiple connection
KR102178272B1 (en) * 2020-08-21 2020-11-12 잘만테크 주식회사 Headset assembly accessible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WO2024090797A1 (en) * 2022-10-24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623B1 (en) * 2001-09-2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ing a wireless headset electronic pen and the wireless headset electronic pen therefor
KR100611626B1 (en) * 2003-12-31 2006-08-11 시코드 주식회사 Apparatus for unified communication equipments using a bluetooth protocol
KR100663583B1 (en) * 2005-01-2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Equipment and method of wireless heads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837B1 (en) * 2018-11-02 2019-07-26 주식회사 인컨 bluetooth microphone control method with multiple connection
KR102178272B1 (en) * 2020-08-21 2020-11-12 잘만테크 주식회사 Headset assembly accessible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WO2024090797A1 (en) * 2022-10-24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510B1 (en)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66B1 (en) Bluetooth headset and Method for multi-point pairing thereof
EP2314077B1 (en) Wearable headset with self-contained vocal feedback and vocal command
KR101585793B1 (en) Smart Hearing Aid Device
US8532715B2 (en) Method for generating audible location alarm from ear level device
US9374657B2 (en) Bluetooth transceiver, wired headphone module, and mobile device module
US20050181826A1 (en)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in music-playing operation
US9167086B1 (en) Bluetooth headset with audio recording capabilities
CN206353839U (en) A kind of TV speech control system
WO2012012635A1 (en)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n ear-level device functional element
TWI414263B (en) Waterproof pillow with audio unit
US8798693B2 (en) Earpiece with voice menu
JP2020021748A (en) Lighting system and remote controller
CN104079320A (en) Device for searching for Bluetooth headset through host side
KR100914510B1 (en) wireless headset and using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100931566B1 (en) Audio receiving apparatus using bluetooth and method thereof
CN105208514A (en) Slave equipment and master and slave equipment automatic matching system and method
US20100048138A1 (en) Communication device
CN108124214B (en) Bluetooth headset and combination thereof
US2014030444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a stereo housing
KR101621419B1 (en) Wireless remote control earphone for portable terminal
TW201305845A (en) Electronic accessory
KR20100001586A (en) 4 pole earphon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nnecting thereof
JP3155879U (en) Portable voice control system and voice control apparatus therefor
CN102293556A (en) Waterproof sound pillow
KR20110057968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udio in a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