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743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분산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분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743A
KR20090032743A KR1020070098214A KR20070098214A KR20090032743A KR 20090032743 A KR20090032743 A KR 20090032743A KR 1020070098214 A KR1020070098214 A KR 1020070098214A KR 20070098214 A KR20070098214 A KR 20070098214A KR 20090032743 A KR20090032743 A KR 20090032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base station
accommodated
mobile communication
cong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054B1 (ko
Inventor
허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9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0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수용된 가입자를 분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 각각의 FA별로 수용된 단말에서 통화중인 단말의 수와 Idle 상태인 단말의 수를 파악하는 단계; b) 기지국이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많은 혼잡 FA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기지국이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다른 FA로 핸드오프(Hand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인 단말이 많은 혼잡한 FA에 수용된 단말들 중 Idle 상태의 단말만을 상대적으로 보다 여유로운 FA로 핸드오프시켜, 기지국의 각각 FA에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유도한다.
통화량, 통화량 분산, 채널배분, 채널할당, FA.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Method for dynamic balancing subscriber accepted by Frequency Alloc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채널 분배 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채널 중 FA에 수용된 가입자의 수 및 통화자의 수를 고려하여 가입자를 동적으로 균등하게 분포시켜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의 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휴대이동통신의 발달로 인한 저렴한 단말기의 보급, 통화품질의 향상, 다양한 콘텐츠 등은 휴대이동통신의 이용자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로 인해 현대인이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휴대이동통신은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이동통신 가입자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운용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제한된 통신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한다. 가령, 유동인구 밀도가 높은 도심의 사무실 밀집지역 등은 낮 시간대에는 이동통신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통화채널이 포화상태에 이르지만, 상대적으로 밤 시간대에는 인구 밀도가 낮아져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적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안정적인 통신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무조건적인 기지국의 증가 등은 오히려 셀의 운영면이나 설비 투자 면에서 올바르지 못하다. 그보다는 오히려 제한된 통신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이용하는 것이 시스템적인 면이나 설비투자 면에서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통신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종래기술 1(출원번호:10-1996-54115)은 이동통신에서의 채널 배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1은, 가입자를 채널 할당에 보다 높은 우선권을 부여하는 상위레벨군과 이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권을 가지는 하위레벨군의 복수개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이 것에 대응하여 통신채널을 상위레벨군의 채널들과 하위레벨군의 채널들로 구분하는 단계와, 통화시도가 있을 경우 가입자의 레벨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레벨 판정단계의 판정결과 가입자가 상위레벨의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구분단계에서 할당된 상위레벨군의 채널들로부터 하위레벨의 채널들까지 차례로 빈 채널을 검색하여 통화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레벨 판정단계의 판정결과 가입자가 하위레벨의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의 구분단계에서 할당된 하위레벨군의 채널들에 대해서만 빈 채널을 검색하여 통화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로 제어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채널 배분 제어 방법이다.
허나 종래기술 1의 경우에 사전에 가입자 및 통신채널을 복수의 레벨로 분류 하고 가입자의 레벨에 따라 해당 채널로 배정하는 것으로서 같은 레벨의 가입자가 동시에 몰리는 경우에 통신채널 운용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2(출원번호:10-2005-0044765)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섹터 풀링을 이용한 호분산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종래기술 2는 기지국 1(26)에서 최대 수용량에 이른 경우에는 기지국 1은 제어국(22)로 BTS_id/Sector/Fa(Frequency Alignment) 메시지를 제어국(BSC)(22)의 호 처리 프로세서인 CCP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국(22)의 CCP에서 모든 기지국 1,2(26,26-1)의 트래픽 채널의 상태와 무선 자원 사용 상태를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파악한다.
제어국(22)은 자기가 관리하는 호처리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기지국(26)의 섹터에 위치하는 가입자를 분류하는데, 첫째 분류는 기지국 1의 기준 A만의 파이럿 세기 정보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1(30)와, 기준 A와 이웃 B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2(30-1)를 파악하고, 두번째 분류는 기지국 2(26-1)의 기준 B의 파이럿 세기가 가장 센 이동통신 단말기로 기지국 2에 접속되어 두번째 파이럿 세기를 나타내는 이웃 A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3(30-2)들이다.
상기와 같은 두 분류의 리스트가 작성되면 리스트에 들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대 수용량에 이른 기지국 섹터(Sector)의 자원 풀링을 위하여 이웃하는 기지국이나 섹터로 분산시키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 2를 단계별로 보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1의 해당 섹터에서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최대 수용량에 이른 경우 상기 기지국 1에서 제어국으로 분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1단계와 상기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 1로부터 상기 분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국에 연결된 모든 기지국의 섹터의 상태와 상기 기지국 1에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파악하고 핸드오프 가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악하는 2단계와 상기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 1에 접속된 핸드오프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주변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처리하여 상기 기지국 1은 트래픽 채널을 확보하고 새로 요청되는 호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3단계와 상기 핸드오프시 제어국에서 상기 기지국 1에서 핸드오프 처리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호 드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섹터 풀링을 이용한 호 분산 방법이다.
허나 종래기술 2의 경우에, 수용능력이 최대에 이른 후에 분산처리 과정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갑작스런 통화량의 폭발적인 증가가 있는 경우에 수용된 가입자의 통화량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통화중인 단말을 핸드오프 처리하게 되면 핸드오프 진행 동안은 통화중인 단말의 호 드롭이 발생되지 않도록 모니터링해야 되므로 기지국 양쪽에서 모두 통신 채널이 할당되어야 한다.
도 2는 종래발명 3(출원번호:10-2005-0099038)인 통화 중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FA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종래발명 3은, 멀티 FA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중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FA 변경 방법으로서, 특정 이동 통신 단말이 기 할당된 FA를 이용하여 통화중인 상태에서, 기지국이 해당 섹터에 대한 복수의 FA의 로드를 분석하고, 복수의 FA 중 로드가 가장 적은 FA를 선정하는 제 1 단계(S12)와; 상기 통화중인 이동 통신 단말에 기 할당된 FA가 상기 선정된 최저 로드의 FA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S13)와;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해 상기 선정된 최저 로드의 FA를 할당하는 제 3 단계(S14)를 포함하는 통화 중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FA 변경 방법이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 3도, 통화중인 단말을 강제적으로 핸드오프처리하게 되므로 통화가 끊기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어 통화품질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 운용에서도 핸드오프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부하가 증가되게 된다.
본 발명은, 통화중인 단말을 핸드오프시키는 경우에 호드롭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또한 호드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핸드오프가 되는 동안 두 개의 FA가 핸드오프되는 단말에게 채널을 할당해야 되므로 기지국의 무선자원이 2배가 사용되며 기지국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수용된 가입자를 분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 각각의 FA별로 수용된 단말에서 통화중인 단말의 수와 Idle 상태인 단말의 수를 파악하는 단계; b) 상기 기지국이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많은 혼잡 FA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지국이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다른 FA로 핸드오프(Hand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단말의 수에 비해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여유 FA로 핸드오프(Hand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에 비해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적은 여유 FA로 핸드오프(Handoff)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기지국의 FA의 수용능력에 근거하여, 통화중인 단말의 수용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 b-2)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와 기준치를 대비하는 단계; 및 b-3) 특정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FA를 혼잡 FA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1) 단계에서 기준치는,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에 대한 평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단말의 수에 비해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FA를 검색하는 단계; c-2) 상기 혼잡 FA에서 Idle 상태인 단말 중 핸드오프(Handoff)가 가능한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및 c-3)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의 최소한 일부를 다른 FA로 핸드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3)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혼잡 FA에 비해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FA로 핸드오프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에 비해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적은 여유 FA로 핸드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3)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 중 이동통신시스템 운영자가 설정한 수만큼의 단말을 상기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FA로 핸드오프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 운영자가 설정한 수는,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의 수 중 그 절반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3) 단계는, c-3-1) 상기 기지국이 오버헤드(Overhead) 채널을 통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 중 일정수의 단말에게 상기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여유 FA로 핸드오프하도록 제어명령을 내리는 단계; 및 c-3-2) 상기 제어명령을 받은 단말이 상기 혼잡 FA와 여유 FA 간에 핸드오프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인 단말이 많은 혼잡한 FA에 수용된 단말들 중 Idle 상태의 단말만을 상대적으로 보다 여유로운 FA로 핸드오프시켜, 기지국의 각각 FA에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통화중인 단말이 많은 혼잡한 FA에 수용된 단말들 중 Idle 상태의 단말만을 핸드오프시키므로, 호드롭이 발생되지 않고 통화품질이 유지되며, 통화중인 단말을 핸드오프시키는 경우에 비해 기지국에 걸리는 부하가 작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개략적으로 도 3과 같이 도시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중인 가입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장치인 단말기(110a~110n), 상기 단말기와 함께 무선구간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ubsystem)(120a~120n),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가입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Handoff)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BSC:Base Station Controller)(130a~130n), 가입자의 통화로를 구성하고 타 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100) 및 가입자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교환국과 신호를 주고받는 홈위치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140) 등으로 구성이 되며, 상기 기지국(120a~120n)과 제어국(130a~130n) 및 교환국(100)을 통해 단말기의 통화를 실현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BTS)(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a~110n)와 제어국(BSC)(130a~130n) 사이에 위치하여,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를 제어하고 유지, 보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국(BSC)의 제어에 따라 호 요구에 대한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고 경로를 열어주는 기능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속도 등을 조절한다.
망에 연결된 무선 구간을 제어하는 기지국(BTS)(120)은 제어국(BSC)의 제어를 받으며, 3섹터(Sector)와 멀티(Multi) FA(Frequency Alignment)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 적 분산 방법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BTS)(120)에는 복수의 FA(121,122,123…)가 있고, 각각의 FA마다 복수의 단말을 수용하게 된다. 보다 편리한 설명을 위하여 도 4에서 열린 상태로 도시된 단말(A)는 통화중인 단말을 의미하며, 닫힌 상태로 도시된 단말(B)는 Idle 상태인 단말을 의미한다.
FA-1에는 통화중인 단말 2개와 Idle 상태인 단말 2개가 수용되어 있으며, FA-2에는 통화중인 단말 4개와 Idle 상태인 단말 4개가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와 Idle 상태인 단말의 수를 주기적으로 기지국이 파악을 하고, 통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어느 특정 FA에 통화중인 단말이 몰리게 되는 경우에 기지국에서 해당 혼잡 FA에 수용되어 있는 단말을 보다 여유로운 FA로 핸드오프시켜 각각의 FA별로 통화자수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통화중인 단말을 핸드오프시키는 경우에 호드롭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핸드오프가 되는 동안 두 개의 FA가 핸드오프되는 단말에게 채널을 할당해야 되므로 기지국의 무선자원이 2배가 사용되며 기지국의 부하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통화중인 단말은 핸드오프시키지 않고 Idle 상태인 단말만을 핸드오프시키게 되므로 호드롭이나 통화품질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통화중인 단말을 핸드오프시키는 경우보다 기지국에 부하가 적게 걸리게 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가장 혼잡한 FA는 FA-2로서, 상기 FA-2에는 통화중인 단말 4개와 Idle 상태인 단말 4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혼잡한 FA인 FA-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FA는 FA-3으로서, 상기 FA-3에는 통화중인 단말 2개와 Idle 상태인 단말 1개가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혼잡한 FA에 수용된 단말을 보다 여유로운 FA로 핸드오프시켜 전체적인 FA에 수용되는 단말의 수를 균등하게 하기 위해, 혼잡한 FA인 FA-2에 수용된 Idle 상태인 단말 중 일부(122a)를 보다 여유로운 FA인 FA-3으로 핸드오프하도록 기지국에서 오버헤드(Overhead) 채널을 통해 해당 Idle 상태인 단말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면, 해당 단말이 보다 여유로운 FA인 FA-3로 핸드오프를 실시(120-2)하여 전체 FA별로 각각 수용된 단말의 수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유도하여 기지국의 통신자원 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주기적으로 기지국(BTS)(120)이 각각의 FA에 수용된 단말들에 대해서 통화중인 단말의 수와 Idle 상태인 단말의 수를 파악(S100)하는 단계를 거치고,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를 대비(S200)하여, 해당 기지국(BST)(120)의 각각의 FA에 대한 수용된 단말기의 수에 대한 분포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FA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많은 혼잡 FA를 검 색(S300)한다. 혼잡 FA가 검색되면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단말 중 일부를 상기 혼잡 FA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FA로 핸드오프(S400)시켜, 혼잡 FA에 수용된 단말의 수를 분산시킴으로써 기지국의 각각의 FA 별 수용 용량을 고르게 분포시키게 된다.
나아가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와 같이 기준치와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를 대비하여 혼잡 FA를 판단할 수 있는데, 상기 기지국이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많은 혼잡 FA를 검색하는 과정은, 각각의 FA의 수용능력에 근거하여 통화중인 단말의 수용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S210)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치와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를 대비(S220)하여, 특정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상기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특정 FA를 혼잡 FA로 판단(S310)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치는,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에 대한 평균이거나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영자에 의해 각각의 FA의 단말 수용능력에 기초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혼잡 FA에 수용된 단말을 여유 FA로 핸드오프시키는 과정을 도 7 및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도 7은 기지국의 각각의 FA에 대해 특정 FA가 혼잡 FA로 판단되면,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단말의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여유 FA를 검색(S410a)하고,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단말 중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을 검색(S420)하여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 중 일정수의 단말을 상기 여유 FA로 핸드오프(S430)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핸 드오프가 되는 단말의 수는 사전에 이동통신 시스템 운영자가 설정한 수만큼의 단말을 핸드오프시키거나 또는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단말의 수 중 그 절반을 핸드오프시킬 수도 있다.
또는 도 8과 같이, 기지국의 각각의 FA에 대해 특정 FA가 혼잡 FA로 판단되면,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적은 여유 FA를 검색(S410b)하고,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단말 중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을 검색(S420)하여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 중 일정수의 단말을 상기 여유 FA로 핸드오프(S430)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핸드오프가 되는 단말의 수는 사전에 이동통신 시스템 운영자가 설정한 수만큼의 단말을 핸드오프시키거나 또는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단말의 수 중 그 절반을 핸드오프시킬 수도 있다.
즉, 여유 FA는, 혼잡 FA에 비해 수용된 단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FA거나 또는 혼잡 FA에 비해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FA가 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여유 FA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수용된 단말의 수와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이에 대한 각각의 일정한 가중치를 부과함으로써 여유 FA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핸드오프가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기지국이 오버헤드(Overhead) 채널을 통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 중 일정수의 단말에게 상기 여유 FA로 핸드오프하도록 제어명령을 내리면, 상기 제어명령을 받은 단말이 상기 혼잡 FA에 서 상기 여유 FA로 핸드오프를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 2(출원번호:10-2005-0044765)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섹터 풀링을 이용한 호분산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은 종래기술 3(출원번호:10-2005-0099038)인 통화중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FA 변경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를 대비하여 혼잡 FA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혼잡 FA에 수용된 단말을 여유 FA로 핸드오프시키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환국(MSC), 110a~110n : 이동통신 단말기, 120a~120n : 기지국(BTS),
130a~130n : 제어국(BSC), 100 : 교환국(MSC), 140 : 홈위치등록기(HLR),
S100~S430 : 본 발명에 대한 흐름도 상의 각 단계에 대한 부호.

Claims (11)

  1.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수용된 가입자를 분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 각각의 FA별로 수용된 단말에서 통화중인 단말의 수와 Idle 상태인 단말의 수를 파악하는 단계;
    b) 상기 기지국이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많은 혼잡 FA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지국이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다른 FA로 핸드오프(Hand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단말의 수에 비해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여유 FA로 핸드오프(Hand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Idle 상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에 비해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적은 여유 FA로 핸드오프(Hand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기지국의 FA의 수용능력에 근거하여, 통화중인 단말의 수용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
    b-2)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와 기준치를 대비하는 단계; 및
    b-3) 특정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FA를 혼잡 FA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에서 기준치는, 각각의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에 대한 평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단말의 수에 비해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FA를 검색하는 단계;
    c-2) 상기 혼잡 FA에서 Idle 상태인 단말 중 핸드오프(Handoff)가 가능한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및
    c-3)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의 최소한 일부를 다른 FA로 핸드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혼잡 FA에 비해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FA로 핸드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혼잡 FA에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에 비해 수용된 통화중인 단말의 수가 적은 여유 FA로 핸드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 중 이동통신시스템 운영자가 설정한 수만큼의 단말을 상기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FA로 핸드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 운영자가 설정한 수는,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의 수 중 그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11.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는,
    c-3-1) 상기 기지국이 오버헤드(Overhead) 채널을 통해 상기 핸드오프가 가능한 단말 중 일정수의 단말에게 상기 수용된 단말의 수가 적은 여유 FA로 핸드오프하도록 제어명령을 내리는 단계; 및
    c-3-2) 상기 제어명령을 받은 단말이 상기 혼잡 FA와 여유 FA 간에 핸드오프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 분산 방법.
KR1020070098214A 2007-09-28 2007-09-28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분산 방법 KR10093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214A KR100930054B1 (ko) 2007-09-28 2007-09-28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분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214A KR100930054B1 (ko) 2007-09-28 2007-09-28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분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743A true KR20090032743A (ko) 2009-04-01
KR100930054B1 KR100930054B1 (ko) 2009-12-08

Family

ID=4075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214A KR100930054B1 (ko) 2007-09-28 2007-09-28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분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746B1 (ko) * 2013-02-13 2015-01-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에 통신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196B2 (ja) * 1998-12-07 2001-04-03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分散方法
KR100337897B1 (ko) * 2000-06-21 2002-05-24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파수간 핸드오프 방법
KR100489683B1 (ko) * 2002-12-02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에 있어서 다중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분산 장치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746B1 (ko) * 2013-02-13 2015-01-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에 통신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054B1 (ko) 200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21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reassignment of transmission channels
FI113933B (fi) Menetelmä viestintäresurssien varaamiseksi viestintäjärjestelmässä
US5448750A (en) Segregation method of dynamic channel allocation in a mobile radio system
JP4463989B2 (ja) 無線通信に関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382348B2 (ja) マルチセ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プライオリティ
Kuek et al. Ordered dynamic channel assignment scheme with reassignment in highway microcells
KR100495721B1 (ko) 스프레드 스펙트럼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캐리어 사이의 강화된 채널 할당
AU20063124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frequency selection based on spectrum etiquette
JP2001502867A (ja) ハンドオーバ強度に基づく移動局のための通信チャンネルの選択
WO2005094100A1 (fr) Procede pour reguler les ressources et le service de commande dans un reseau radio multimodal
WO2012115431A2 (ko)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01056310A1 (en) Probabilistic use of wireless reserve channels for admission control
GB2318483A (en) Dynamic Control of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Resources
KR10093005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fa별 수용 가입자의 동적분산 방법
Lucatti et al. Bounds and Performance Networks of Reuse Partitioning in Cellular
KR100600606B1 (ko) 휴대 인터넷 망에서의 핸드오프 셀 선택 장치 및 방법
GB2292655A (en) Dynamic channel allocation in a radio telephone communications sytem
El-Alfy et al.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with prioritized handoff in cellular mobile networks under QoS provisioning
KR970008171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채널 할당 방법
Ganz et al. Multi-tier wireless networks for PCS
Pattavina et al. Reuse partitioning in cellular networks with dynamic channel allocation
Chen et al. Fixed channel allocation scheme performance enhancement for cellular mobile systems
Sharma et al. Load balancing scheme for wireless cellular networks
JP2002262340A (ja) ゾーン/セル共存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無線チャネル割当て方法および回線制御装置
Salhani Offloading the Small Cells for Load Balancing in UDNs Using the Proactive and the User Transfer Algorithms with Reducing the APs Inter-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