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703A -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about sensed data,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ulti-path and selecting transmission path in that - Google Patents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about sensed data,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ulti-path and selecting transmission path in th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703A
KR20090032703A KR1020070098149A KR20070098149A KR20090032703A KR 20090032703 A KR20090032703 A KR 20090032703A KR 1020070098149 A KR1020070098149 A KR 1020070098149A KR 20070098149 A KR20070098149 A KR 20070098149A KR 20090032703 A KR20090032703 A KR 20090032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data
quality
node
virtual grid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0060B1 (en
Inventor
오현우
한인탁
박광로
김상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060B1/en
Publication of KR2009003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7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quality of service about sensed data,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ulti-path and selecting a transmission path are provided to generate a virtual grid when construct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thereby preventing energy consumption due to flood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10) comprises a reference node, a source node(11), a routing node(12) and a sink node(13). The reference node flood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node and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node produces a virtual grid by using the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source node divides sensing data according to a QoS(Quality of Service) class. The source node sets up a multi-path. And the source node selects a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he QoS class in the set multi-path.

Description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about sensed data,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ulti-path and selecting transmission path in that}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about sensed data,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ulti-path and selecting transmission path in that}

본 발명은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상의 그리드를 활용하여 다중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생성하고,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경유하도록 하는,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quality of service (QoS) of sensing data, and a multipath setting and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utilize a virtual grid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To create multiple data transmission paths and pass different path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of the sensing data, and to establish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its multipath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sensing data And a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09-01, 과제명: Always-on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소비전력 절감 플랫폼 기술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IT new growth engine cor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ask management number: 2007-S-009-01, Task name: platfor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lways-on home network system Technology development].

무수히 많은 센서들로 구성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자극(stimulus)의 주체 즉, 센싱될 대상인 타겟과, 특정 자극 이벤트(즉, 타겟)를 센싱하기 위한 소스노드와, 소스노드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기 위한 싱크노드를 포함한다.A wireless sensor network composed of a myriad of sensors collects a subject of a stimulus, that is, a target to be sensed, a source node for sensing a specific stimulus event (ie, a target), and data sensed by the source node. And a sink node for processing.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이용되기보다는 특수한 임무(critical mission)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전쟁터의 일정 영역에 흩어 뿌려진 센서들은 아군의 위치와 적군의 위치, 적군 탱크의 움직임 등을 센싱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재해, 재난 및 사건 사고 등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Such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used to perform critical missions rather than for general data transmission. For example, sensors scattered over a certain area of the battlefield can be used to sense the positions of friendly forces, enemy positions, and movement of enemy tanks, and can also be used to quickly respond to disasters, disasters, and accidents.

초기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센서들은 단순히 한 가지 데이터만을 센싱하였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의 경우에는 센서의 주변 온도만을 센싱하였고, 압력 센서의 경우에는 물체의 무게에 따라 압력을 센싱하였다.The sensors that make up the initial wireless sensor network sensed only one piece of data.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temperature sensor, only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ensor is sensed, and in the case of the pressure sensor, the pressure is sens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object.

하지만,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이슈의 다변화에 따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에도 단일 임무보다는 다중 임무 수행 즉, 미션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전쟁터에서 이용되는 센서에는 탱크 감시(tank detection)뿐만 아니라 탱크의 수, 움직이는 속도 및 방향, 같이 움직이는 군인 감시 등에 대한 임무 수행이 요구된다. 이러한 다중 임무에 대한 요구사항은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분류의 필요성을 유도할 수 있다.Howeve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issues,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requires multiple tasks, that is, diversity of missions, rather than a single task. For example, sensors used in battlefields require not only tank detection, but also the task of monitoring the number of tanks, moving speed and direction, soldiers moving together, and the like. The requirements for these multiple tasks can lead to the need for classification of quality of service (QoS).

그리고 최근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또 다른 변화는 싱크노드로 전송하 기 위한 센싱데이터 특성의 다변화이다. 예를 들면, 한 대의 탱크를 센싱하는 경우와 여러 대의 탱크를 동시에 센싱하는 경우에 각각 전송할 데이터의 특성이 달라지며, 탱크의 움직이는 속도에 따라 센서의 센싱 주기가 동적으로 변한다.Another recent change to the wireless sensor network is the diversification of the sensing data characteristics for transmission to the sync node. For example, when sensing one tank and sensing multiple tanks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are different, and the sensing period of the sensor is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tank.

그리고 동일한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라 할지라도 보다 신속하게 전송해야 할 상황과 여유를 기지고 전송해도 될 상황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상황에 따라 전송데이터의 속성 및 우선 순위가 달라진다. 예를 들면, 동일한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라 할지라도 탱크가 정차하고 있는 상황,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상황, 매우 빠르게 이동하는 상황에 따라 데이터의 속성과 우선순위가 달라진다.In addition, even though data sensed by the same sensor exists, there are situations in which data must be transmitted more quickly and conditions can be transmitted with a margin. However, attributes and priorities of transmission data vary according to such situations. For example, even if data is sensed by the same sensor, the attributes and priorities of the data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ere the tank is stopped, moving at a slow speed, and moving very fast.

종래의 논문("Multipath Multi-Speed Protocol for QoS Guarantee of Reliability and Timelines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Transaction on Mobile Computing, 2006)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확률적인 서비스 품질(QoS) 보장을 위해 MMSPEED(Multipath Multi-Speed)라 불리는 새로운 패킷 전달 메카니즘을 제안하고 있다.Conventional papers ("Multipath Multi-Speed Protocol for QoS Guarantee of Reliability and Timelines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Transaction on Mobile Computing, 2006) describe the use of MMSPEED (Multipath Multi) to guarantee stochastic quality of service (Qo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A new packet forwarding mechanism called Speed is proposed.

여기서, 서비스 품질(QoS) 프로비젼닝은 시간성과 신뢰성의 두 가지 품질 도메인에서 수행된다. 다중 서비스 품질(QoS) 레벨은 다중 패킷 전달 속도 옵션을 보장함으로써 시간성을 만족할 수 있다. 신뢰성 도메인에서 다양한 신뢰성 요구사항은 확률적인 다중 경로 포워딩에 의해 제공된다. 서비스 품질(QoS) 프로비젼닝을 위한 이들 메카니즘들은 목적지로 향하는 패킷 전달 과정에서 지역적으로 부정확하게 결정되는 부정확성을 보상하기 위해 동적 보상을 전달 인수로 하는 지역적 지리학적인 패킷 포워딩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글로벌 네트워크 정보 없이 지역적인 방 법으로 구현된다.Here, quality of service (QoS) provisioning is performed in two quality domains: time and reliability. Multiple Quality of Service (QoS) levels can satisfy timeliness by ensuring multiple packet delivery rate options. Various reliability requirements in the reliability domain are provided by stochastic multipath forwarding. These mechanisms for quality of service (QoS) provisioning use global geographic packet forwarding methods by adopting local geographic packet forwarding methods with dynamic compensation as a forwarding factor to compensate for locally inaccurately determined inaccuracies in the delivery of packets to the destination. It is implemented in a local way without.

하지만, 상기 제1 종래 기술은 지역적으로 라우팅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부정확성을 보상하기 위해 주변 노드들과 주고받는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irst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signaling overhead is exchanged with neighboring nodes to compensate for inaccuracies in determining a routing path locally.

또한, 상기 제1 종래 기술에서는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경로가 지속적으로 사용됨으로써 경로 상의 센서 노드들의 에너지 소모를 가중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네트워크 전체의 에너지 효율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first conventional technology, the path used to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 (QoS) is continuously used, thereby increas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sensor nodes on the path, thereby degrad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entire network. There is this.

또한, 상기 제1 종래 기술에서는 전송 경로 상에 홀(hole)이 있는 경우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quality of service (QoS) cannot be guaranteed when there is a hole in a transmission path.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상 싱크와 로테이션을 사용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한국공개특허 "2006-0132113호, 2006. 12. 21 공개)"에서는 센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제2 종래 기술은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를 분산시켜 전체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확장성이 양호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posed method for establishing a routing path using a virtual sink and rotation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0132113, published on Dec. 21, 2006) and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The second prior art can distribut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sensor network to extend the life of the entire sensor network, and can realize a scalable sensor network system at low cos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2 종래 기술은 가상 싱크가 변경될 때마다 트리를 구성하기 위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때문에 실제 센싱데이터 전송에 이용되지 않는 센서들이 트리 구성을 위해 이용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However, since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ology broadcasts a message for constructing a tree every time the virtual sink is changed, the problem of adding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ed because sensors not used for actual sensing data transmission are used for constructing the tree. And, to solve this problem is a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상의 그리드를 활용하여 다중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생성하고,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경유하도록 하는,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virtual grid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o create multiple data transmission paths, and to pass through different path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of sensing data,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sensing data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a multipath configuration and a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thereof to ensure th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그리드 정보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플루딩(Flooding)하고, 상기 플루딩한 가상 그리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그리드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노드; 자극 이벤트에 의해 센싱한 데이터(이하, '센싱데이터'라 함)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별로 분류하고, 상기 플루딩한 가상 그리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생성한 가상 그리드 상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인지하여 다중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다중 경로 중에서 상기 분류한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라 전송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소스노드; 상기 선택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센싱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라우팅노드; 및 상기 전송한 센싱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싱크노드를 포함한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the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Flooding) and the virtual grid using the flooded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Reference node for generating a; The data sensed by the stimulus ev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nsing data') is classified by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and based on the flooded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own data on the generated virtual grid is generated. A source node configured to recognize a location and set a multipath, and to select a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o the classified quality of service classes among the set multipaths; A routing node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according to the selected transmission path; And a sink node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transmitted sensing data.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에 있어서, 가상 그리드 정보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플루딩(Flooding)하고, 상기 플루딩한 가상 그리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그리드를 생성하는 가상 그리드 생성 단계; 자극 이벤트에 의해 데이터를 센싱하여 서비스 품질(QoS : Quality of Service) 클래스별로 분류하는 센싱데이터 분류 단계; 상기 가상 그리드 상의 직교 포인트 중 상기 센싱된 데이터(이하, '센싱데이터'라 함)를 배포하기 위한 지점(이하,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이라 함)과 상기 센싱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점(이하,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이라 함)을 지정하는 센싱데이터 지점 지정 단계;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 및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설정하는 다중 경로 설정 단계; 및 상기 설정한 다중 경로 중에서 상기 분류한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라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전송 경로 선택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ulti-path setting and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the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is flooded (flooded), the plural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location A virtual grid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virtual grid using the information; Sensing data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data by a stimulus event and classifying the data by a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Points for distributing the sensed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nsing data') among orthogonal points on the virtual gr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s') and points for receiving the sensing data (hereinafter, A sensing data point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sensing data reception point'; A multipath setting step of setting a multipath using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and the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And a transmission path selecting step of selecting a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o the classified quality of service classes among the set multipath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가 구축될 시에 가상 그리드를 생성함으로써, 타겟 및 소스가 이동하더라도 추가적인 그리드 생성을 위한 오버헤드가 요구되지 않아 플루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virtual grid when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established, thereb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that may be generated by flooding because the overhead for generating additional grid is not required even when the target and the source are moved. It can b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소스노드 및 싱크노드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을 갖더라도 가상 그리드 상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역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소스노드 및 싱크노드가 이동하여도 추가적인 트래킹을 위한 시그널링 절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locally calculate the relative position on the virtual grid even if the source node and the sink node has mobility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hereby reducing the signaling procedure for additional tracking even if the source node and the sink node moves. It can b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선택된 전송 경로를 통해 센싱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기존의 전형적인 플루딩 방법에 의해 발생된 문의자(inquirer)의 이동성 비고려, 많은 에너지의 소모, 비효율적인 경로 라우팅, 센서 네트워크의 어려운 관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the sensed data through a pre-selected transmission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mobility of the inquirer generated by the conventional typical flooding method, consumes a lot of energy, inefficient path routing, sensor network It is effective to solve problems such as difficult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은,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부하를 분산시켜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ifferent path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of the sensing data,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network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에 따라 대칭적인 우회 경로를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ymmetrical bypass path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of the sensing data,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sure the reliability of data transmission.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된 데이터의 서비스 품 질(QoS) 요구사항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을 겪는 다중 경로를 경유하게 함으로써, 보다 높은 서비스 품질(QoS) 요구사항을 갖는 센싱데이터에 대해 실시간성의 신속한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y to sense data having a higher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through the multi-path through different delay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of the data sensed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here is an effect that enables the rapid transmission of real-time for.

또한, 본 발명은, 선택된 두 개의 전송 경로 중에 보다 적합한 하나의 경로를 통해 센싱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로드를 밸런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네트워크 전체의 수명(lifetime)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balance the load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by transmitting sensing data through one of the two selected transmission paths, which can extend the lifetime of the entire network.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대칭적인 다중 경로를 생성하기 때문에 만일 선택한 전송 경로 상에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또 다른 대칭적인 경로를 전송 경로로 선택하여 센싱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센싱데이터의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ymmetric multipath, even if a loss occurs on the selected transmission path, another symmetrical path may be selected as a transmission path to transmit sensing data, thereby improving transmission reliability of the sensing data. It can be effect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give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sha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asy to implemen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기 위한 무 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a quality of service (QoS) of sens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자극의 주체(즉, 타겟)를 센싱하기 위한 소스노드(11)와, 소스노드(11)에 의해 센싱된 타겟 정보(이하, '센싱데이터'라 함)를 싱크노드(13)로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라우팅노드(12)와, 라우팅노드(12)를 통해 센싱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싱크노드(1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10 for guaranteeing a quality of service (QoS) of sens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rce node 11 for sensing a subject (ie, a target) of a stimulus. And a plurality of routing nodes 12 for transmitting the target information sensed by the source node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nsing data') to the sink node 13 and sensing through the routing node 12. And a sink node 13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10)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소스노드(11), 라우팅노드(12) 및 싱크노드(13)로 구분하여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10 is illustrated as being divided into a source node 11, a routing node 12, and a sink node 13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tify in advance.

여기서, 라우팅노드(12) 중에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위성 항법 장치(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내장하고 있어 자신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센서 네트워크(10)의 모든 라우팅노드(12)가 GPS 수신기를 내장하는 것은 가격 측면에서 합리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라우팅노드(12)에 GPS 수신기를 내장한다. 물론, 본 발명은 사용 환경 및 임무 내용 등에 따라 GPS가 아닌 공지의 다른 위치정보 획득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Here, at least one node of the routing node 12 may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to recognize its location. At this time, since it is not reasonable for all routing nodes 12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10 to embed a GPS receiver, at least one routing node 12 includes a GPS receiver.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other know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technology other than GPS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nd mission content.

상기 GPS 수신기를 내장한 라우팅노드(이하, 'GPS 노드'라 함)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시에 가상 그리드를 생성하기 위해 수직 및 수평으로 동일한 격자 크기(즉, 정사각형 모양의 격자), 가상 그리드의 방향(동, 서, 남, 북 등) 등을 설정하여 이를 자신의 위치 정보와 함께 플루딩(Flooding)하고, 플루딩한 가상 그리드 정보(즉, 가상 그리드 격자의 크기 정보, 가상 그리드의 방향 정보 등)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그리드를 생성한다.The routing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PS node') incorporating the GPS receiver may have the same grid size (ie, a square grid) and a virtual gri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generate a virtual grid when construct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Set the direction (East, West, South, North, etc.) of the field and flood it with its location information.Fluided virtual grid information (i.e. size information of the virtual grid grid, direction of the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to create a virtual grid.

그리고 소스노드(11)는 상기 플루딩된 가상 그리드 정보와 GPS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즉, 가상 그리드 상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지하고, 센싱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전송 경로들(이하, '다중 경로'라 함)을 설정한다.The source node 11 recognizes its position (ie, a relative position on the virtual grid) by using the flooded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PS node, and transmits paths through which sensing data can be transmit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lative position on the virtual grid'). , 'Multipath').

또한, 소스노드(11)는 자신이 센싱한 센싱데이터(즉, 타겟 정보)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별로 분류하여, 분류된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에 따라 전송에 적합한 경로를 상기 설정된 다중 경로 중에서 선택한 후에 상기 선택한 전송 경로를 통해 센싱데이터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ource node 11 classifies the sensing data (ie, target information) sensed by each class of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to identify a path suitable fo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of the classified sensing data. After selecting among the set multipaths, the sensing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lected transmission path.

이때, 소스노드(11)는 센싱데이터 값의 변화 정도, 센싱데이터 량의 변화 정도, 이동 속도의 변화 정도, 실시간 전송 여부 등을 기반으로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의 카테고리를 분류해놓고, 분류된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센싱데이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별로 분류한다. 이에 대한 일예는 하기의 [표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source node 11 classifies the category of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based on the degree of change of the sensing data value, the amount of change of the amount of sensing data, the degree of change of the moving speed, whether or not to transmit in real time, and the classified categor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he sensing data is classified by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An exam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Figure 112007070182302-PAT00001
Figure 112007070182302-PAT00001

여기서, 소스노드(11)가 주변 온도를 센싱한다면, 센싱된 온도가 20도 이상 변화할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0'으로 분류하고, 센싱된 온도가 15도 이상 변화할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1'로 분류하며, 센싱된 온도가 10도 이상 변화할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2'로 분류하고, 센싱된 온도가 5도 이상 변화할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3'으로 분류한다.Here, if the source node 11 senses the ambient temperature, the case where the sensed temperature changes by more than 20 degrees is classified a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0', and when the sensed temperature changes by 15 degrees or more, Classified a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1, and classifies when the sensed temperature changes by more than 10 degrees, and classifies as Quality of Service (class 2), and when the sensed temperature changes by more than 5 degrees. (QoS) Class 3 '.

한편, 소스노드(11)가 전쟁터의 소정의 영역 내에 등장한 탱크의 수를 감지한다면, 소정의 영역 내에 등장한 탱크가 20대 이상일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0'으로 분류하고, 소정의 영역 내에 등장한 탱크가 15대 이상일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1'로 분류하며, 소정의 영역 내에 등장한 탱크가 10대 이상일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2'로 분류하고, 소정의 영역 내에 등장한 탱크가 5대 이상일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3'으로 분류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ource node 11 detects the number of tanks appear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battlefield, if there are 20 or more tanks appearing in the predetermined area, it is classified a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0' and the predetermined area. If there are more than 15 tanks in the tank, classify it a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1', and if there are more than 10 tanks in a certain area, classify it a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2', If there are more than five tanks in the cabin, they are classified a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3.'

한편, 소스노드(11)가 전쟁터의 소정의 영역 내에서 감지된 탱크의 속도를 센싱한다면, 감지된 탱크의 속도가 20m/s 이상일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0'으로 분류하고, 감지된 탱크의 속도가 15m/s 이상일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1'로 분류하며, 감지된 탱크의 속도가 10m/s 이상일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2'로 분류하고, 감지된 탱크의 수가 5m/s 이상일 경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3'으로 분류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ource node 11 senses the speed of the detected tank i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battlefield, if the speed of the detected tank is 20m / s or more classified a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0,' If the speed of the tank is 15m / s or more, classify it a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1', and if the detected tank's speed is more than 10m / s, classify it a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2,' If the number of tanks used is more than 5 m / s, classify it a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3.'

상기 [표 1]은 소스노드(11)가 센싱데이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별로 분류하는 방식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소스노드(11)가 센싱데이터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별로 분류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Table 1]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the source node 11 classifies the sensing data by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and the source node 11 classifies the sensing data by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lassified in various other ways.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10)에서의 다중 경로 설정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ultipath setting method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전송 가능한 다중 경로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ultipath transmission method that can be transmitted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소스노드(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가상 그리드(201)의 기준 지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격자 수를 계산하고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떨어진 거리를 산정하여 가상 그리드 상에서의 자신의 위치(즉, 상대적인 위치)를 인지한다.First, the source node 11 calculates the number of grids away from the reference point of the virtual grid 201 generated as shown in FIG. 2 and calculates the distance away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o determine its position on the virtual grid. (I.e. relative position).

또한, 소스노드(11)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시 획득된 싱크노드(13)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그리드 상에서의 싱크노드(13)의 위치를 인지한다.In addition, the source node 11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sink node 13 on the virtual gri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ink node 13 acquired whe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is constructed.

여기서, 가상 그리드(201)의 기준 지점은 일예로 가상 그리드(201)를 생성한 GPS 노드(20)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 등이 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point of the virtual grid 201 may be, for example, a point where the GPS node 20 that generates the virtual grid 201 is located.

또한, 소스노드(11)는 가상 그리드 상의 직교 포인트 중 싱크노드(13)의 방향으로 자신과 가장 가까운 직교 포인트(이하, '가상 데이터 배포 지점(VDDP : Virtual Data Dissemination Point)'이라 함)(203)를 지정한다. 그리고 싱크노드(13)도 가상 그리드 상의 직교 포인트 중 소스노드(11)의 방향으로 자신과 가장 가까운 직교 포인트(이하, '가상 데이터 배포 지점(VDDP : Virtual Data Dissemination Point)'이라 함)(204)를 지정한다. In addition, the source node 11 is an orthogonal point closest to itself in the direction of the sync node 13 among the orthogonal points on the virtual gr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rtual data dissemination point' (VDDP)) 203 ). Also, the sink node 13 is also the orthogonal point closest to itself in the direction of the source node 11 among the orthogonal points on the virtual gr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rtual data dissemination point' (VDDP)) 204. Specifies.

여기서, 소스노드(11) 및 싱크노드(13)가 가상 그리드 상의 직교 포인트에 위치하고 있으면 VDDP(203, 204)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Here, if the source node 11 and the sink node 13 are located at orthogonal points on the virtual grid, the VDDPs 203 and 204 need not be specified.

그리고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10)에 자극을 야기하는 타겟(202)이 출현하여 소스노드(11)가 타겟(202)을 감지하게 되면 소스노드(11)는 감지된 타겟(202)을 센싱하고, 가상 그리드 상에서 자신(소스노드(11))의 VDDP(203)로부터 싱크노드(13)의 VDDP(204)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When the target 202 causing the stimulus appears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10 and the source node 11 detects the target 202, the source node 11 senses the detected target 202. The distance from the VDDP 203 of itself (the source node 11) to the VDDP 204 of the sink node 13 is calculated on the virtual grid.

그리고 소스노드(11)는 자신의 VDDP(203)와 싱크노드(13)의 VDDP(204)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205)을 그린다.The source node 11 draws a rectangle 205 as shown in FIG. 2 using its VDDP 203 and the VDDP 204 of the sink node 13.

여기서, 가상 그리드(201)가 어느 지점에서나 사방위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소스노드(11)는 가상 그리드 상에 위치한 자신의 VDDP(203)과 싱크노드(13)의 VDDP(204)를 이용하여 사각형(205)을 그릴 수 있다.Here, since the virtual grid 201 is connected in all directions at any point, the source node 11 uses the VDDP 203 of its sink node 13 and the VDDP 204 of the sink node 13 located on the virtual grid. 205 can be drawn.

이때, 소스노드(11)에 의해 그려진 사각형(205)의 꼭지점 중 소스노드(11)와 싱크노드(13)의 VDDP(203, 204)를 제외한 정사각형의 두 꼭지점(206)을 '대칭 가상 데이터 배포 지점(SVDDP : Symmetric Virtual Data Dissemination Point)'이라 하고, 소스노드(11)의 VDDP(203)와 싱크노드(13)의 VDDP(204)를 연결하는 가상 링크(207)와 상기 두 SVDDP(206)를 연결하는 가상 링크(208)가 교차하는 지점(209)을 '가상 센터 지점(VCP : Virtual Center Point)'라 하며, 두 SVDDP(206)를 연결하는 가상 링크(208)와 가상 그리드 상에서 세로의 가상 그리드 링크(210)와 교차하는 지점(211)을 '교차 가상 데이터 배포 지점(CVDDP : Cross Virtual Data Dissemination Point)'이라 한다.At this time, two vertices 206 of the square except for the VDDPs 203 and 204 of the source node 11 and the sink node 13 among the vertices of the rectangle 205 drawn by the source node 11 are referred to as' symmetric virtual data distribution. Point (SVDDP: Symmetric Virtual Data Dissemination Point '), a virtual link 207 connecting the VDDP 203 of the source node 11 and the VDDP 204 of the sink node 13 and the two SVDDP 206 The point 209 at which the virtual links 208 intersect each other is called a 'virtual center point (VCP)', and the virtual link 208 connecting the two SVDDPs 206 and the vertical link on the virtual grid are vertical. The point 211 that crosses the virtual grid link 210 is referred to as a cross virtual data dissemination point (CVDDP).

여기서, 소스노드(11)는 상기 CVDDP(211)를 싱크노드(13)에 이르는 가상 중재 데이터 배포 지점(VIDDP : Virtual Intermediate Data Dissemination Point)으로 간주하여, 상기 CVDDP(211)를 경유하는 경로(이하, '대칭형 가상 다중 경로(SVMP : Symmetric Virtual Multi-Path)'라 함)(212)를 센싱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 경로로 설정한다.Here, the source node 11 regards the CVDDP 211 as a Virtual Intermediate Data Dissemination Point (VIDDP) that reaches the sink node 13 and passes through the CVDDP 2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rtual intermediate data distribution point). In other words, 'symmetric virtual multi-path (SVMP)' 212 is set as a multi-path for transmitting sensing data.

이때, 소스노드(11)로부터 싱크노드(13)까지의 가상 그리드 격자의 수가 N이라 하면 상기 CVDDP(211)의 수는 N 또는 N + 1이 되기 때문에, 상기 다중 경로(SVMP)의 수도 N 또는 N +1이 된다.In this case, when the number of virtual grid grids from the source node 11 to the sink node 13 is N, the number of the CVDDP 211 becomes N or N + 1, so the number of the multipath SVMPs is N or N +1.

여기서, 상기 다중 경로(SVMP)의 수가 N일 경우는 가상 센터 지점(VCP)(209)이 가상 그리드(201)의 세로 링크 상에 매핑될 때이고, 상기 다중 경로(SVMP)의 수가 N + 1일 경우는 가상 센터 지점(VCP)(209)이 가상 그리드(201)의 세로 링크 상에 매핑되지 않을 때이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multipath SVMP is N when the virtual center point (VCP) 209 is mapped on the vertical link of the virtual grid 201 and the number of the multipath SVMP is N + 1. The case is when the virtual center point (VCP) 209 is not mapped on the vertical link of the virtual grid 201.

이와 같이, 소스노드(11)는 센싱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 경로(SVMP)를 설정할 수 있다. As such, the source node 11 may establish a multipath (SVMP) for transmitting sensing data.

그럼, 상기 설정된 다중 경로(SVMP)의 특성을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t multipath SVM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설정된 다중 경로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상기 도 2의 사각형(205)를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n exemplary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multi-path set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경로(SVMP)(301 내지 310)는 가상 센터 지점(VCP)(209)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즉, 가상 센터 지점(VCP)(209)으로부터 거리가 먼 CVDDP(211)를 경유할수록) 보다 낮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를 갖고, 가상 센터 지점(VCP)(209)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울수록(즉, 가상 센터 지점(VCP)(209)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CVDDP(211)를 경유할수록) 보다 높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를 갖는다.The multipath (SVMP) 301-310 as shown in FIG. 3 has a CVDDP () farther away from the virtual center point (VCP) 209 (ie, farther away from the virtual center point (VCP) 209). CVDDP 211 having a lower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and closer to the distance from virtual center point (VCP) 209 (ie, closer to the virtual center point (VCP) 209). The higher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일예로, SVMP 302와 SVMP 309는 비교적 낮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를 갖고, SVMP 305와 SVMP 306은 비교적 높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를 갖는다. For example, SVMP 302 and SVMP 309 have relatively low quality of service (QOS) classes, and SVMP 305 and SVMP 306 have relatively high quality of service (QoS) classes.

이때, 두 SVDDP(206)을 경유하는 SVMP 301과 SVMP 310은 상기의 SVMP 302와 SVMP 309보다 낮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를 갖고, 가상 센터 지점(VCP)(209)을 경유하는 SVMP(즉, 가상 링크(207))는 상기의 SVMP 305와 SVMP 306보다 높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SVMP 301 and the SVMP 310 via the two SVDDPs 206 have a lower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than the SVMP 302 and the SVMP 309, and the SVMP (i.e., via the virtual center point (VCP) 209). Virtual link 207 has a higher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than SVMP 305 and SVMP 306 above.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경로(SVMP)(301 내지 310)는 동일한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로 분류된 센싱데이터의 전송에 대해 소스노드(11)의 VDDP(203)와 싱크노드(13)의 VDDP(204)를 연결하는 가상 링크(207)를 기준으로 대칭 경로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multipath (SVMP) 301 to 310 as shown in FIG. 3 provides the VDDP 203 and the sink node 13 of the source node 11 for transmission of sensing data classified into the sam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Provides a symmetric path with respect to the virtual link 207 that connects the VDDP 204.

일예로, 소스노드(11)의 VDDP(203)와 싱크노드(13)의 VDDP(204)를 연결하는 가상 링크(207)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로 301과 310, 302와 309, 303과 308, 304와 307 및 305와 306은 각각 동일한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를 갖는다.For example, paths 301 and 310, 302 and 309, 303 and 308, which are symmetric with respect to a virtual link 207 connecting the VDDP 203 of the source node 11 and the VDDP 204 of the sink node 13, 304 and 307 and 305 and 306 each have the sam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이에 대한 일예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An example thereof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112007070182302-PAT00002
Figure 112007070182302-PAT00002

상기 [표 2]에서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별로 분류된 SVMP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able 2, an example of SVMPs classified by quality of service (QoS) classes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럼, 상기 [표 2]의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별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센싱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경로 선택 방법과, 이를 통한 센싱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n, the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using the path information for each QoS class of Table 2 and the sensing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Shall be.

먼저, 소스노드(11)는 자신이 센싱한 센싱데이터(즉, 타겟 정보)의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를 판별하여, 상기 판별된 센싱데이터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0'이면 SVMP(가상 경로(207))를 전송 경로로 선택하고, 상기 판별된 센싱데이터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1'이면 SVMP 301 또는/및 310을 전송 경로로 선택한다.First, the source node 11 determines a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of sensing data (ie, target information) sensed by the source node 11, and if the determined sensing data is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0', SVMP (virtual) is used. Path 207 is selected as the transmission path, and if the determined sensing data is 'QoS class 1', SVMP 301 or / and 310 is selected as the transmission path.

또한, 소스노드(11)는 상기 판별된 센싱데이터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2'이면 SVMP 302 또는/및 309를 전송 경로로 선택하고, 상기 판별된 센싱데이터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3'이면 SVMP 303 또는/및 308을 전송 경로로 선택한다.In addition, the source node 11 selects SVMP 302 or / and 309 as a transmission path when the determined sensing data is 'QoS class 2', and the determined sensing data is a 'QoS class'. 3 'selects SVMP 303 or / and 308 as the transmission path.

또한, 소스노드(11)는 상기 판별된 센싱데이터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4'이면 SVMP 304 또는/및 307을 전송 경로로 선택하고, 상기 판별된 센싱데이터가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 5'이면 SVMP 305 또는/및 306을 전송 경로로 선택한다.In addition, the source node 11 selects SVMP 304 or / and 307 as a transmission path when the determined sensing data is 'QoS class 4', and the determined sensing data is 'QoS class'. 5 'selects SVMP 305 or / and 306 as the transmission path.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송 경로가 선택되면, 소스노드(11)는 상기 선택된 전송 경로 상의 센서노드들(즉, 라우팅노드들) 또는 상기 선택된 전송 경로와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센서노드들(즉, 라우팅노드들)을 통해 센싱데이터를 싱크노드(13)로 전송하는데, 이에 대한 방법으로는 동시적인 대칭 경로 전송 방법과 선택적인 대칭 경로 전송 방법이 있다.And when the transmission path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source node 11 is the sensor nodes (ie routing nodes) on the selected transmission path or the sensor nodes (ie routing nodes) located closest to the selected transmission path. The sens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sink node 13 by using a simultaneous symmetric path transmission method and an optional symmetric path transmission method.

여기서, 상기 동시적인 대칭 경로 전송 방법은 소스노드(11)가 센싱데이터를 복사하여 이를 서로 대칭되는 두 경로(SVMP)를 통해 동시에 싱크노드(13)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Here, the simultaneous symmetric path transmiss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source node 11 copies the sensing data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sensing data to the sink node 13 through two paths SVMP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이와 같은 방법은 전송에 대해 신뢰성을 높일 수는 있지만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측면에서 오버헤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센싱데이터가 반드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응급 상황이거나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가 높은 경우일 때 이용된다.Although this method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transmission, it can be an overhead in terms of transmitting the same data. Therefore,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of the sensing data must be It is used when it is high.

한편, 상기 선택적인 대칭 경로 전송 방법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 소스노드(11)가 서로 대칭되는 두 경로(SVMP) 중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이를 통해 센싱데이터를 싱크노드(13)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소스노드(11)는 두 경로(SVMP) 중에 센싱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진 SVMP를 선택한다.Meanwhile, the selective symmetric path transmission method is generally used. The source node 11 selects one path of two paths (SVMP) that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transmits the sensing data to the sink node 13 through the selected path. That's how. Here, the source node 11 selects an SVMP having an environment in which sensing data can be transmitted more efficiently between two paths (SVMPs).

일예로, 소스노드(11)는 두 경로(SVMP) 상의 센서노드들(즉, 라우팅노드들) 중 자신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센서노드(즉, 라우팅노드)를 경유하는 SVMP를 선택하거나, 또는 두 경로(SVMP) 상의 센서노드들(즉, 라우팅노드들) 중 에너지가 가장 높게 측정되는 센서노드(즉, 라우팅노드)를 경유하는 SVMP를 선택하거나, 또는 랜덤하게 네트워크의 로드 밸런싱을 고려하여 두 경로(SVMP) 중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SVMP를 선택한다.For example, the source node 11 selects an SVMP via a sensor node (ie, a routing node) closest to itself among sensor nodes (ie, routing nodes) on two paths (SVMPs), or two paths ( Select the SVMP via the sensor node (i.e., routing node) where the energy is measured highest among the sensor nodes (i.e. routing nodes) on the SVMP, or randomly consider the load balancing of the network (SVMP) Select SVMP which is not used much.

여기서, 선택된 SVMP 상에 손실이 발생하면 손실의 정보는 크랭크백(crankback) 등에 의해 소스노드(11)로 통보되고, 손실의 정보를 통보받은 소스노드(11)는 예비 SVMP(즉, 대칭 SVMP)를 전송 경로로 재선택한다.Here, if a loss occurs on the selected SVMP, the loss information is notified to the source node 11 by crankback or the like, and the source node 11 notified of the loss information is a preliminary SVMP (ie, a symmetric SVMP). Reselect as the transmission path.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ultipath configuration and a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소스노드(11)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축 시에 플루딩된 가상 그리드 정보와 GPS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데이터 배포점(VDDP)을 지정한다(401).First, the source node 11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designates a virtual data distribution point (VDDP) by using the flooded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PS node when constructing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401).

이후, 소스노드(11)는 자신이 센싱한 센싱데이터(즉, 타겟 정보)의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를 판별한다(402).Thereafter, the source node 11 determines a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of sensing data (ie, target information) sensed by the source node 11 (402).

그리고 소스노드(11)는 자신의 VDDP와 싱크노드(13)의 VDDP를 이용하여 가상 그리드 상에서 전송 가능한 다중 경로를 설정한다(403).The source node 11 establishes a multipath that can be transmitted on the virtual grid using its VDDP and the VDDP of the sink node 13 (403).

이때, 싱크노드(13)의 VDDP는 싱크노드(13)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고(도 1의 설명 참조), 또는 소스노드(11)가 싱크노드(13)의 방향으로 다중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지정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VDDP of the sink node 13 may be designated by the sink node 13 (see description of FIG. 1), or the process of the source node 11 setting the multipath in the direction of the sink node 13. Can also be arbitrarily specified in.

이후, 소스노드(11)는 상기 "402" 과정에서 판별된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에 적합한 전송 경로를 상기 "403" 과정에서 설정된 다중 경로 중에서 선택한다(404).Thereafter, the source node 11 selects a transmission path suitable for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of the sensing data determined in step 402 from among the multi-paths set in step 403.

다음으로, 소스노드(11)는 상기 선택된 전송 경로 상의 센서노드들(즉, 라우팅노드들) 또는 상기 선택된 전송 경로와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센서노드들(즉, 라우팅노드들)을 통해 센싱데이터를 싱크노드(13)로 전송한다(405).Next, the source node 11 receives sensing data through sensor nodes (ie, routing nodes) on the selected transmission path or sensor nodes (ie, routing nodes) located closest to the selected transmission path. It transmits to the sink node 13 (405).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노드 및 싱크노드가 이동성을 갖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상의 그리드를 활용한 다중 경로 스킴은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사항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경유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품질(QoS) 보장을 할 수 있고, 네트워크 로드를 밸런싱함으로써 네트워크 에너지 효율을 높이며, 센싱데이터 배포를 위한 플루딩을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대칭적인 다중 경로를 활용함으로써 센싱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손실에 의한 또 다른 전송 경로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multipath scheme using a virtual grid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in which a source node and a sink node are mobile may be routed through different paths according to QoS requirements of sensing data. Quality of service (QoS) can be guaranteed, network energy efficiency is improved by balancing network load, energy consumption is minimized by minimizing fluctuation for sensing data distribution, and reliability of sensing data transmission by utilizing symmetric multipath. Improves the performance and enables the use of another transmission path due to network los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written in a computer program. And the code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the written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a service quality of sens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전송 가능한 다중 경로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ultipath transmission method that can be transmitted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설정된 다중 경로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ultipath established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ultipath configuration and a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11 : 소스노드10: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11: source node

12 : 라우팅노드 13 : 싱크노드12: routing node 13: sink node

Claims (31)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가상 그리드 정보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플루딩(Flooding)하고, 상기 플루딩한 가상 그리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그리드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노드;A reference node for flooding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virtual grid using the flooded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자극 이벤트에 의해 센싱한 데이터(이하, '센싱데이터'라 함)를 서비스 품질(QoS) 클래스별로 분류하고, 상기 플루딩한 가상 그리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생성한 가상 그리드 상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인지하여 다중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다중 경로 중에서 상기 분류한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라 전송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소스노드;The data sensed by the stimulus ev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nsing data') is classified by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and based on the flooded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own data on the generated virtual grid is generated. A source node configured to recognize a location and set a multipath, and to select a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o the classified quality of service classes among the set multipaths; 상기 선택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센싱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라우팅노드; 및A routing node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according to the selected transmission path; And 상기 전송한 센싱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싱크노드Sync node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transmitted sensing data 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준노드는,The reference node,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축 시에 자신의 위치를 기점으로 수직 및 수평으로 동일한 격자 크기를 갖는 상기 가상 그리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And generating the virtual grid having the same grid siz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ased on its position whe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is construct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준노드는,The reference node,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내장한 GPS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GPS node with a built-i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상기 생성한 가상 그리드 상에서 상기 GPS 노드와 자신의 위치 사이의 격자의 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격자의 수에 대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거리를 산정하여 상기 가상 그리드 상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Computing the number of grids between the GPS node and its position on the generated virtual grid, and calculating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o the calculated number of grids to recognize their position on the virtual grid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상기 생성한 가상 그리드 상의 직교 포인트 중 상기 싱크노드의 방향으로 자신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직교 포인트를 상기 센싱데이터를 배포하기 위한 지점(이하,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이라 함)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The orthogonal point nearest to itself in the direction of the sink node among the orthogonal points on the generated virtual grid is designated as a point for distributing the sensing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싱크노드는,The sink node, 상기 생성한 가상 그리드 상의 직교 포인트 중 상기 소스노드의 방향으로 자신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직교 포인트를 상기 센싱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점(이하,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이라 함)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The orthogonal point nearest to itself in the direction of the source node among the orthogonal points on the generated virtual grid is designated as a point for receiving the sensing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과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과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and the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to generate a rectangle with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and the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as a vertex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상기 생성한 사각형 상의 꼭지점 중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과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이 가상 그리드의 세로 격자와 교차되는 복수 개의 지점을 경유 지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경유 지점을 경유하여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까지 연결되는 경로를 상기 다중 경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Distribution of the sensing data by setting a plurality of points at which diagonal lines connecting the two vertices except for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and the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intersect the vertical grid of the virtual grid as a passing point among the generated vertices on the quadrangle. And a path connected from the point to the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via the plurality of waypoints as the multipath.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다중 경로는,The multipath is,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과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을 직접적으로(direct) 연결하는 대각선(이하, '가상 링크'라 함)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낮은 서비스 품질 클래스를 갖고, 상기 가상 링크로부터 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은 서비스 품질 클래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The farther the distance from the diago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virtual link') that directly connects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and the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has a lower quality of service class, and the closer the distance from the virtual link is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by having a high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다중 경로는,The multipath is, 동일한 서비스 품질 클래스로 분류된 센싱데이터의 전송에 대해 상기 가상 링크를 기준으로 대칭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And a symmetric path based on the virtual link for transmission of sensing data classified into a same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상기 제공된 서비스 품질 클래스별 다중 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를 통해 상기 센싱데이터를 동시에 상기 싱크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And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to the sink node at the same time through two or more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a service quality class of preset sensing data among the multiple paths for each of the provided quality of service classes.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상기 제공된 서비스 품질 클래스별 다중 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한 하나의 경로를 통해 상기 센싱데이터를 상기 싱크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Selecting one of two or more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a service quality class of preset sensing data from among the provided multi-paths of the service quality class, and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to the sink node through the selected one path Characterized by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상기 선택한 전송 경로를 통해 상기 센싱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에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 중 선택되지 않은 경로를 통해 상기 센싱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And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through the selected transmission path and re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through an unselected path among the two or more transmission paths.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상기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에 위치한 센서노드들 중 자신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센서노드를 경유하는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the transmission path via the sensor node located closest to one of the sensor nodes located in two or more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상기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에 위치한 센서노드들 중 에너지가 가장 높게 측정되는 센서노드를 경유하는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the transmission path via the sensor node is measured the highest energy among the two or more sensor nodes in the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상기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 중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path that is not relatively used among the two or more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상기 소스노드는,The source node, 센싱데이터 값의 변화 정도, 센싱데이터 량의 변화 정도, 이동 속도의 변화 정도, 및 실시간 전송 여부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 클래스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And classifying a quality of service class of the sensing data based on any one of a change degree of a sensing data value, a change degree of a sensing data amount, a change degree of a moving speed, and real-time transmission information.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가상 그리드 정보는,The virtual grid information, 가상 그리드 격자의 크기 정보, 상기 가상 그리드의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comprising the size information of the virtual grid grid,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grid.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에 있어서,In the multi-path setting and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가상 그리드 정보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플루딩(Flooding)하고, 상기 플루딩한 가상 그리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그리드를 생성하는 가상 그리드 생성 단계;A virtual grid generation step of flooding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virtual grid using the flooded virtual grid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자극 이벤트에 의해 데이터를 센싱하여 서비스 품질(QoS : Quality of Service) 클래스별로 분류하는 센싱데이터 분류 단계;Sensing data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data by a stimulus event and classifying the data by a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상기 가상 그리드 상의 직교 포인트 중 상기 센싱된 데이터(이하, '센싱데이터'라 함)를 배포하기 위한 지점(이하,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이라 함)과 상기 센싱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점(이하,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이라 함)을 지정하는 센싱데이터 지점 지정 단계;Points for distributing the sensed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nsing data') among orthogonal points on the virtual gr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s') and points for receiving the sensing data (hereinafter, A sensing data point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sensing data reception point';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 및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설정하는 다중 경로 설정 단계; 및A multipath setting step of setting a multipath using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and the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And 상기 설정한 다중 경로 중에서 상기 분류한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라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전송 경로 선택 단계A transmission path selecting step of selecting a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o the classified quality of service classes among the set multipaths; 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Multipath setting and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comprising a.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가상 그리드 생성 단계는, The virtual grid generation step,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시에 수직 및 수평으로 동일한 격자 크기를 갖는 상기 가상 그리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And generating the virtual grid having the same grid siz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hen construct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다중 경로 설정 단계는,The multi-path setting step,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과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을 생성하는 사각형 생성 단계;A quadrangle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quadrangle with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and the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as vertices; 상기 생성한 사각형 상의 꼭지점 중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과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이 상기 가상 그리드의 세로 격자와 교차되는 복수 개의 지점을 경유 지점으로 설정하는 경유 지점 설정 단계; 및A route point setting that sets a plurality of points where a diagonal line connecting two vertices except for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and the sensing data reception point among the generated vertices intersects the vertical grid of the virtual grid as a passing point. step; And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경유 지점을 경유하여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까지 연결되는 다수의 경로를 생성하는 다중 경로 생성 단계A multi-path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paths connected from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to the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via the plurality of waypoints; 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Multipath setting and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comprising a.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다중 경로는,The multipath is,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과 상기 센싱데이터 수신 지점을 직접적으로(direct) 연결하는 대각선(이하, '가상 링크'라 함)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낮은 서비스 품질 클래스를 갖고, 상기 가상 링크로부터 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은 서비스 품질 클래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The farther the distance from the diago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virtual link') that directly connects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and the sensing data receiving point has a lower quality of service class, and the closer the distance from the virtual link is A multipath establishment and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characterized by having a high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2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다중 경로는,The multipath is, 동일한 서비스 품질 클래스로 분류된 센싱데이터의 전송에 대해 상기 가상 링크를 기준으로 대칭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And providing a symmetric path based on the virtual link for transmission of sensing data classified into the same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전송 경로 선택 단계는,The transmission path selection step, 상기 제공된 서비스 품질 클래스별 다중 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And selecting at least two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a quality of service class of preset sensing data from among the provided multiple paths for each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전송 경로 선택 단계는,The transmission path selection step, 상기 제공된 서비스 품질 클래스별 다중 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And selecting one of two or more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a quality of service class of preset sensing data from among the provided multiple paths for each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전송 경로 선택 단계는,The transmission path selection step, 상기 선택한 전송 경로를 통해 센싱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에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 중 선택되지 않은 경로를 통해 상기 센싱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As sensing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lected transmission path and loss of data occurs, the sensing data is retransmitted through an unselected path among the two or more transmission paths. .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전송 경로 선택 단계는,The transmission path selection step, 상기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에 위치한 센서노드들 중 상기 센싱데이터 배포 지점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센서노드를 경유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And selecting a path via a sensor node located closest to the sensing data distribution point among sensor nodes located in two or more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전송 경로 선택 단계는,The transmission path selection step, 상기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에 위치한 센서노드들 중 에너지가 가장 높게 측정되는 센서노드를 경유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And selecting a path via a sensor node in which energy is measured highest among sensor nodes located in two or more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전송 경로 선택 단계는,The transmission path selection step, 상기 서비스 품질 클래스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전송 경로 중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A method of selecting a multi-path and transmitting path,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a path which is not used relatively much among two or more transmission path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class. 제 19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9, 상기 센싱데이터 분류 단계는,The sensing data classification step, 센싱데이터 값의 변화 정도, 센싱데이터 량의 변화 정도, 이동 속도의 변화 정도, 및 실시간 전송 여부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센싱데이터의 서비스 품질 클래스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Multi-path establishment and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classifying the quality of service class of the sensing data based on any one of the degree of change of the sensing data value, the degree of change of the amount of sensing data, the degree of change of the moving speed, and whether or not real-time transmission How to choose a route. 제 3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가상의 그리드 정보는,The virtual grid information, 가상 그리드 격자의 크기 정보, 가상 그리드의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 설정 및 전송 경로 선택 방법.The multi-path setting and transmission path selection method comprising the size information of the virtual grid grid,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grid.
KR1020070098149A 2007-09-28 2007-09-28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about sensed data,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ulti-path and selecting transmission path in that KR100910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149A KR100910060B1 (en) 2007-09-28 2007-09-28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about sensed data,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ulti-path and selecting transmission path in th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149A KR100910060B1 (en) 2007-09-28 2007-09-28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about sensed data,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ulti-path and selecting transmission path in th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703A true KR20090032703A (en) 2009-04-01
KR100910060B1 KR100910060B1 (en) 2009-07-30

Family

ID=4075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149A KR100910060B1 (en) 2007-09-28 2007-09-28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about sensed data,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ulti-path and selecting transmission path in th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06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84B1 (en) * 2009-05-14 2011-03-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ocation Based Rout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034205B1 (en) * 2009-07-28 2011-05-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outing path of wireless ad-hoc network, nod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routing path by the same of wireless ad-hoc network
KR20140122294A (en) * 2013-03-29 2014-10-2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ath routing method for quality of service guarantee in 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s
CN105792309A (en) * 2016-02-26 2016-07-20 江苏省新通智能交通科技发展有限公司 Energy conservation oriented game theory QoS based routing method for sensing UAV cluster communications
CN113938978A (en) * 2021-12-08 2022-01-14 华东交通大学 Heterogeneous wireless sensor path finding method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4617B2 (en) 2002-04-29 2010-07-27 Harris Corporation Mobile ad-hoc network and methods for performing functions therein based upon weighted quality of service metrics
KR100595025B1 (en) * 2004-01-20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network system for routing path for using redundancy degree, and routing method thereof
KR20060075797A (en) * 2004-12-29 2006-07-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Mre-dd sensor network routing algorithm
US7924796B2 (en) 2006-03-03 2011-04-12 France Telecom Routing method in an ad hoc networ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84B1 (en) * 2009-05-14 2011-03-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ocation Based Rout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034205B1 (en) * 2009-07-28 2011-05-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outing path of wireless ad-hoc network, nod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routing path by the same of wireless ad-hoc network
KR20140122294A (en) * 2013-03-29 2014-10-2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ath routing method for quality of service guarantee in 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s
CN105792309A (en) * 2016-02-26 2016-07-20 江苏省新通智能交通科技发展有限公司 Energy conservation oriented game theory QoS based routing method for sensing UAV cluster communications
CN105792309B (en) * 2016-02-26 2019-04-05 江苏省新通智能交通科技发展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group communication routing method is perceived based on game theory QoS towards energy-efficient
CN113938978A (en) * 2021-12-08 2022-01-14 华东交通大学 Heterogeneous wireless sensor path finding method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CN113938978B (en) * 2021-12-08 2023-12-12 华东交通大学 Heterogeneous wireless sensor path finding method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060B1 (en)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Ariki et al. A survey and analysis of multipath routing protocols in 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s
US84286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s mode and/or using a determined communications mode
Qureshi et al. Road aware geographical routing protocol coupled with distance, direction and traffic density metrics for urban vehicular ad hoc networks
Yaqoob et al. Congestion avoidance through fog computing in internet of vehicles
Nayyar et al. Comprehensive analysis of routing protocols surrounding underwater sensor networks (UWSNs)
Tsiachris et al. Junction-based geographic routing algorithm for vehicular ad hoc networks
Schwartz et al. A scalable data dissemination protocol for both highway and urban vehicular environments
KR100910060B1 (en)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 about sensed data,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ulti-path and selecting transmission path in that
Medjiah et al. Streaming multimedia over WMSNs: an online multipath routing protocol
Banerjee et al. A self-organization framework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as small worlds
Mohaisen et al. Interference aware bandwidth estimation for load balancing in EMHR-energy based with mobility concerns hybrid routing protocol for VANET-WSN communication
Usha et al. An enhanced MPR OLSR protocol for efficient node selection process in cognitive radio based VANET
Kumar Performance evalua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MANET
Wu et al. Prediction based opportunistic routing for maritime search and rescue wireless sensor network
Montoya et al. Energy load balancing strategy to extend lifeti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Geng et al. Lanepost: Lane-based optimal routing protocol for delay-tolerant maritime networks
Li et al. DTN routing with fixed stations based on the geographic grid approach in an urban environment
Ghalib et al. Analytical study of wireless ad-hoc networks: types,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pplications, protocols
KR20180134222A (en) Ad hoc Routing Method using Predicted Location, Link Quality and Topology Information of Unmanned Vehicle
Ayub et al. Energy efficient inactive node detection based routing protocol for delay tolerant network
Kim et al. Modeling and routing scheme for (m, k)‐firm streams in 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s
CN102316527A (en) Multi-path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AODV) routing method based on service quality sensing
Kumar et al. A tree based multicast routing protocol using reliable neighbor node for wireless mobile ad-hoc networks
Zafar et al. Decentralized receiver-based link stability-aware forwarding scheme for ndn-based vanets
Bian et al. Network connectivity performance analysis of platoon-based vehicular ad-hoc network on a two-way 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