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324A - 의료용 경고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경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324A
KR20090032324A KR1020070097455A KR20070097455A KR20090032324A KR 20090032324 A KR20090032324 A KR 20090032324A KR 1020070097455 A KR1020070097455 A KR 1020070097455A KR 20070097455 A KR20070097455 A KR 20070097455A KR 20090032324 A KR20090032324 A KR 2009003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ctor
information
patient
de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경
김은옥
김태범
김승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070097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2324A/ko
Publication of KR2009003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을 알려주는 의료용 경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물과 조영제에 대한 입력부분, 감염과 임신 및 기타 중요정보에 대한 입력부분으로 구성되며 내용 중요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3단계로 구별이 되고 감염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보라색으로 경고가 입력되어 있음을 표시하며 입력된 내용을 환자 선택 시 한눈에 조회가 가능하여, 의료진들이 임상에서 쉽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료용 경고 방법에 있어서, 환자에게 일어났었던 과거의 약물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창; 현재 환자에게 발생한 약물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 2 창; 임신 중이거나 감염 및 기타 중요 정보를 입력하는 제 3 창; 여러 의료진들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정보가 정확한지 검증하는 제 4 창; 약사가 일차적으로 검토한 내용을 의사가 내용을 확인하는 보고서를 나타내는 제 5 창; 의사, 약사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검토 보고서에 대한 DW(data-warehouse)를 나타내는 제 6 창; 약물이상반응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세단계의 색깔별로 Alert 정보가 조회되어, 한눈에 정보의 중요도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7 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경고 방법{ALERT PROCESS}
본 발명은 위험을 알려주는 의료용 경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약물과 조영제에 대한 입력부분, 감염과 임신 및 기타 중요정보에 대한 입력부분으로 구성되며 내용 중요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3단계로 구별이 되고 감염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보라색으로 경고가 입력되어 있음을 표시하며 입력된 내용을 환자 선택 시 한눈에 조회가 가능하여, 의료진들이 임상에서 쉽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사건들이 존재한다.
그 예로 과거에 이상반응을 일으킨 약물을 투여한 경우, 피부반응 양성인 항균제를 투약하는 경우, 임신 중인 환자에게 태아에게 위험한 약물을 투여하거나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게 되는 경우, 감염환자에 대한 격리와 역격리가 전혀 시행되지 않는 경우 등이다. 이러한 환자의 임상정보는 임상에서 아주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정보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존의 프로그램 지원 방법은 위에서 제시된 각종 중요 정보를 각기 다른 화면에서 입력해야하며, 입력된 정보에 대한 정확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입력된 내용을 조회하기위해 각각 다른 화면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내용을 의료진이 읽어보기 전에는 내용의 중요도를 파악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약물과 조영제에 대한 입력부분, 감염과 임신 및 기타 중요정보에 대한 입력부분으로 구성되며 내용 중요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3단계로 구별이 되고 감염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보라색으로 경고(Alert)가 입력되어 있음을 표시하며 입력된 내용을 환자 선택 시 한눈에 조회가 가능하여, 의료진들이 임상에서 쉽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의료용 경고 방법에 있어서, 환자에게 일어났었던 과거의 약물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창; 현재 환자에게 발생한 약물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 2 창; 임신 중이거나 감염 및 기타 중요 정보를 입력하는 제 3 창; 여러 의료진들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정보가 정확한지 검증하는 제 4 창; 약사가 일차적으로 검토한 내용을 의사가 내용을 확인하는 보고서를 나타내는 제 5 창; 의사, 약사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검토 보고서에 대한 DW(data-warehouse)를 나타내는 제 6 창; 약물이상반응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세단계의 색깔별로 Alert 정보가 조회되어, 한눈에 정보의 중요도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7 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창(100)은 상기 창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약물에 따른 환자의 과거의 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을 마우스로 선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1 섹터(110); 상기 창의 오른쪽 하단부에 위치하며 환자가 과거에 증상을 보이는 약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스크롤 형식으로 설계된 제 2 섹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창(200)은 상기 창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현재 환자가 선택된 약물에 대한 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 정보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선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3 섹터(210); 상기 창의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며 환자가 현재에 증상을 보이는 약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스크롤 형식으로 설계된 제 4 섹터(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창(300)은 상기 창의 왼쪽 상단에 위치하며 임신여부와 감 염된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5 섹터(310); 상기 창의 오른쪽 상단에 위치하며 감염된 과거 경력을 날짜별로 기록된 정보를 보여주는 제 6 섹터(320); 상기 창의 중간부에 위치하며 의사나 약사가 항생체 피부 반응을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7 섹터(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 창(400)은 상기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여러 의료진들에 의해 약물에의해 발생된 증상(피부 반응, 호흡상태, 소화상태, 심혈관계, 혈액이상, 전신증상)을 선택하여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8 섹터(410); 상기 창의 하단에 위치하며 약사가 일자별로 입력된 정보를 조회해주며, 환자의 병력을 조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제 9 섹터(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5 창(500)은 상기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환자의 신체 정보와 질환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주는 제 10 섹터(510); 상기 창의 중간에 위치하며 환자가 증상을 보이는 원인약물의 정보를 제시해 주는 제 11 섹터(520); 상기 창의 하단에 위치하며 약물이상 반응의 상세한 정보를 제시해주는 제 12 섹터(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 창(600)은 상기 창의 전체에 표시되며 표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의사, 약사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검토 보고서에 대한 DW를 포시해주는 제 13 섹터(6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7 창(700)은 상기 창의 전체에 표시되며 약물이상반응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세단계의 색깔별로 경고정보가 조회되며 한눈에 정보의 중요되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14 섹터(7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창 중 적어도 하나의 창은 계통별, 중증도별로 증상을 분류하여, 증상 선택시 자동으로 중증단계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창 중 적어도 하나의 창은 약물이상반응, 조영제, 임신, 감염정보, 기타 중요정보를 한 프로그램에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환자의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있고, 중간의 검증과정을 통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중증도에 따라 색깔별로 표시함으로써 쉽게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고, 한눈에 모든 정보를 조회하므로 효율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여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의 안전과도 직결되므로 국민건강증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자에게 일어났었던 과거의 약물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창이다.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창(100)은 창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약물에 따른 환자의 과거의 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을 마우스로 선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1 섹터(110); 창의 오른쪽 하단부에 위치하며 환자가 과거에 증상을 보이는 약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스크롤 형식으로 설계된 제 2 섹터(120);로 구성된다.
제 1 섹터(110)는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선택된 해당 약물에 대한 환자의 반응 증상을 선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2 섹터(120)는 창의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며 약물 이상반응을 주로 일으키는 원인약물 리스트에서 스크롤 바를 이동하여 약물을 선택하며 또는 약물 검색을 통해 해당되는 약물을 입력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재 환자에게 발생한 약물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 2 창이다.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2 창(200)은 창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현재 환자가 선택된 약물에 대한 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 정보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선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3 섹터(210); 창의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며 환자가 현재에 증상을 보이는 약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스크롤 형식으로 설계된 제 4 섹터(220);로 구성된다.
제 3 섹터(210)는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의사나 약사가 환자의 선택된 특정 약물에 이상반을 발생한 사항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4 섹터(220)는 창의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며 의사나 약사가 환자가 현재 이상반응을 보이고 있는 약을 약 리스트에서 스틀로 바를 이동시켜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신 중이거나 감염 및 기타 중요 정보를 입력하는 제 3 창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3 창(300)은 창의 왼쪽 상단에 위치하며 임신여부와 감염된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5 섹터(310); 창의 오른쪽 상단에 위치하며 감염된 과거 경력을 날짜별로 기록된 정보를 보여주는 제 6 섹 터(320); 창의 중간부에 위치하며 의사나 약사가 항생체 피부 반응을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7 섹터(330);로 구성된다.
제 5 섹터(310)는 창의 왼쪽 상단에 위치하며 환자가 임신중일 경우 분만예정일을 입력하거나 임신주수를 입력하도록 하고 감염상태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선택하여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감염정보는 환자의 가장 최근 감염검사결과 조회를 통해 항균제 내성균, 접촉주의, 공기주의, 비말주의, 혈액주의, 보호격리로 구분하여 입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6 섹터(320)는 오른쪽 상단에 위치하며 감염된 과거 경력을 날짜별로 기록된 정보를 보여주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7 섹터(330)는 창의 중가부에 위치하며 의사나 약사가 항생체 피부 반응과 기타 중요한 정보가 있을 경우 하단 기록난을 이용하여 입력이 가능하며, 중증도에 따라 경고단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러 의료진들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정보가 정확한지 검증하는 제 4 창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4 창(400)은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여러 의료진들에 의해 약물에의해 발생된 증상(피부 반응, 호흡상태, 소화상태, 심혈관계, 혈액이상, 전신증상)을 선택하여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8 섹터(410); 창의 하단에 위치하며 약사가 일자별로 입력된 정보를 조회해주며, 환자의 병력을 조사 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제 9 섹터(420);로 구성된다.
제 8 섹터(410)는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여러 의료진들에 의해 약물에의해 환자에게 발생된 증상들 가령, 국소병반, 전신병반, 호흡곤란, 설사, 구토, 저혈압, 빈혈, 발열, 어지러움 등을 선택하여 정보를 입력하도록 설계되 있다.
제 9 섹터(420)는 창의 하단에 위치하며 여러 의료진들이 환자에 관련된 정보를 일자별로 조회해주고 환자의 병력을 조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여 입력하도록 마련한 섹터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사가 일차적으로 검토한 내용을 의사가 내용을 확인하는 보고서를 나타내는 제 5 창이다.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5 창(500)은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환자의 신체 정보와 질환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주는 제 10 섹터(510); 창의 중간에 위치하며 환자가 증상을 보이는 원인약물의 정보를 제시해 주는 제 11 섹터(520); 창의 하단에 위치하며 약물이상 반응의 상세한 정보를 제시해주는 제 12 섹터(530);로 구성된다.
제 10 섹터(510)는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환자의 신체 정보, 키, 체중 등을 제시하며 질환에 대한 정보 즉, 알레르기 질환이나 다른 기타 질환들을 제시해 준다.
제 11 섹터(520)는 창의 중간에 위치하며 상기 질환에 따른 원인 약물에 대한 정보를 제시한다. 가령 약사가 환자에게 물어본 질문 내요이라 던지 투약 횟수, 투약일, 투약량 등을 제시해 준다.
제 12 섹터(530)는 창의 하단에 위치하며 약물이상 반응에 대한 상세한 정보 즉, 이상 반응의 발생 시기, 발생일, 약물에 대한 정보들을 제시해 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사, 약사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검토 보고서에 대한 DW(data-warehouse)를 나타내는 제 6 창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6 창(600)은 창의 전체에 표시되며 표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의사, 약사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검토 보고서에 대한 DW를 포시해주는 제 13 섹터(610)로 구성된다.
제 13 섹터(610)은 창의 전체에 표시되며 표형식으로 구성되고 기간을 정하여 보고서 내용에 대한 통계를 바로 조회해주며, excel로의 변환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이상반응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세단계의 색깔별로 Alert 정보가 조회되어, 한눈에 정보의 중요도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7 창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7 창(700)은 창의 전체에 표시되며 약물이상반응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세단계의 색깔별로 경고정보가 조회 되며 한눈에 정보의 중요되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14 섹터(710)로 구성된다.
제 14 섹터(710)는 창의 전체에 표시되며 감염정보의 경우 보라색으로 조회되어, 약물이상반응과 구별되어 표현된다. 약물이상반응, 조영제부작용, 임신, 감염정보, 기타 중요한 정보는 한 화면에서 조회가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자에게 일어났었던 과거의 약물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창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재 환자에게 발생한 약물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 2 창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신 중이거나 감염 및 기타 중요 정보를 입력하는 제 3 창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러 의료진들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정보가 정확한지 검증하는 제 4 창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사가 일차적으로 검토한 내용을 의사가 내용을 확인하는 보고서를 나타내는 제 5 창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사, 약사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검토 보고서에 대한 DW(data-warehouse)를 나타내는 제 6 창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이상반응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세단계의 색깔별로 Alert 정보가 조회되어, 한눈에 정보의 중요도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7 창이다.

Claims (10)

  1. 의료용 경고 방법에 있어서,
    환자에게 일어났었던 과거의 약물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창;
    현재 환자에게 발생한 약물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 2 창;
    임신 중이거나 감염 및 기타 중요 정보를 입력하는 제 3 창;
    여러 의료진들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정보가 정확한지 검증하는 제 4 창;
    약사가 일차적으로 검토한 내용을 의사가 내용을 확인하는 보고서를 나타내는 제 5 창;
    의사, 약사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검토 보고서에 대한 DW(data-warehouse)를 나타내는 제 6 창;
    약물이상반응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세단계의 색깔별로 Alert 정보가 조회되어, 한눈에 정보의 중요도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7 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창(100)은
    상기 창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약물에 따른 환자의 과거의 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을 마우스로 선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1 섹터(110);
    상기 창의 오른쪽 하단부에 위치하며 환자가 과거에 증상을 보이는 약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스크롤 형식으로 설계된 제 2 섹터(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창(200)은
    상기 창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현재 환자가 선택된 약물에 대한 이상반응 및 조영제 부작용 정보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선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3 섹터(210);
    상기 창의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며 환자가 현재에 증상을 보이는 약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스크롤 형식으로 설계된 제 4 섹터(2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창(300)은
    상기 창의 왼쪽 상단에 위치하며 임신여부와 감염된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5 섹터(310);
    상기 창의 오른쪽 상단에 위치하며 감염된 과거 경력을 날짜별로 기록된 정 보를 보여주는 제 6 섹터(320);
    상기 창의 중간부에 위치하며 의사나 약사가 항생체 피부 반응을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7 섹터(3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창(400)은
    상기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여러 의료진들에 의해 약물에의해 발생된 증상(피부 반응, 호흡상태, 소화상태, 심혈관계, 혈액이상, 전신증상)을 선택하여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제 8 섹터(410);
    상기 창의 하단에 위치하며 약사가 일자별로 입력된 정보를 조회해주며, 환자의 병력을 조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제 9 섹터(4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창(500)은
    상기 창의 상단에 위치하며 환자의 신체 정보와 질환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주는 제 10 섹터(510);
    상기 창의 중간에 위치하며 환자가 증상을 보이는 원인약물의 정보를 제시해 주는 제 11 섹터(520);
    상기 창의 하단에 위치하며 약물이상 반응의 상세한 정보를 제시해주는 제 12 섹터(5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창(600)은
    상기 창의 전체에 표시되며 표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의사, 약사에 의해 입력된 약물이상반응 검토 보고서에 대한 DW를 포시해주는 제 13 섹터(6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창(700)은
    상기 창의 전체에 표시되며 약물이상반응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빨강, 노랑, 연두 세단계의 색깔별로 경고정보가 조회되며 한눈에 정보의 중요되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14 섹터(7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창 중 적어도 하나의 창은 계통별, 중증도별로 증상을 분류하여, 증상 선택시 자동으로 중증단계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창 중 적어도 하나의 창은 약물이상반응, 조영제, 임신, 감염정보, 기타 중요정보를 한 프로그램에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경고 방법.
KR1020070097455A 2007-09-27 2007-09-27 의료용 경고 방법 KR20090032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455A KR20090032324A (ko) 2007-09-27 2007-09-27 의료용 경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455A KR20090032324A (ko) 2007-09-27 2007-09-27 의료용 경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324A true KR20090032324A (ko) 2009-04-01

Family

ID=4075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455A KR20090032324A (ko) 2007-09-27 2007-09-27 의료용 경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23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3395A (zh) * 2018-10-24 2019-03-26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基于异常操作识别的医疗监管方法、装置、终端及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3395A (zh) * 2018-10-24 2019-03-26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基于异常操作识别的医疗监管方法、装置、终端及介质
CN109523395B (zh) * 2018-10-24 2023-08-18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基于异常操作识别的医疗监管方法、装置、终端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pec et al. Human errors in medical practice: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reduction with automated information systems
Randolph et al. Users' guides to the medical literature: XVIII. How to use an article evaluating the clinical impact of a computer-based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US7197492B2 (en) Computerized risk management module for medical diagnosis
Ioannidis et al. Evidence on interventions to reduce medical errors: an overview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US20070239490A1 (en) Computerized risk management module for medical diagnosis
Househ et al. Patient safety perspectives: the impact of CPOE on nursing workflow
Hooper et al. Comparison of a Trigger Tool and voluntary reporting to identify adverse events in a paediatric intensive care unit
JP2018181340A (ja) 医用データ提示装置及び医用データ提示プログラム
Elliott et al. Reason’s accident causation model: application to adverse events in acute care
Feinstein et al. Complexity of medication regimens for children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Sharma et al. A pharmacovigilance study in the department of medicine of a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CN114005503A (zh) 一种药源性疾病主动监测预警系统
KR20090032324A (ko) 의료용 경고 방법
Hasan et al. Errors in remote healthcare system: Where, how and by whom?
Freedman et 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patient health: An expanded analysis of outcomes, populations, and mechanisms
JP5248217B2 (ja) 医療安全システム
Lowry et al. A human factors guide to enhance EHR usability of critical user interactions when supporting pediatric patient care (nistir 7865)
Levkovich et al. The frequency and nature of clinician identified medication-related rapid response system calls
Santa Guzzo et al. Malpractice and patient safety descriptors: an innovative grid to evaluate the quality of clinical records
Taxis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Gupta et al. Assessment of the Role of Pharmacists in Preventing Medication Errors in Hospital Settings
Singh et al. Assessment Of The Current Prescribing Practices And Incidences Of The Prescription Error In A Tertiary Care Hospital
Alshahrani et al. Medication Errors: Reported Prescription Faults and Prescription Error
Bech et al. 4CPS-366 Comparing the medication process across countries using the functional resonance analysis method
AlTurkistani et al. Medical Errors in Pediatric Emergency to Improve Safety and Quality, A Systema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