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257A - MP3 Player with EEG Function - Google Patents
MP3 Player with EEG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2257A KR20090032257A KR1020070097309A KR20070097309A KR20090032257A KR 20090032257 A KR20090032257 A KR 20090032257A KR 1020070097309 A KR1020070097309 A KR 1020070097309A KR 20070097309 A KR20070097309 A KR 20070097309A KR 20090032257 A KR20090032257 A KR 200900322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eeg
- unit
- content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537 electroencephalography Methods 0.000 claims 2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10977 unit ope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QIAZOCLNBBZQK-UHFFFAOYSA-N 1-(1,2-Diphosphanylethyl)pyrrolidin-2-one Chemical compound PCC(P)N1CCCC1=O LQIAZOCLNBBZQ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형을 갖는 몸체와 몸체의 외측 일부분에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선택 모드를 조작하여 설정하거나 선택 모드에 해당되는 정보 데이터를 동작시키는 키 조작부와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키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동기화되어 뇌파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뇌파유도 모듈과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되고 뇌파유도 모듈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되, 키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음악재생 모듈, 라디오 모듈, 레코드 모듈, 게임 모듈, 데이터저장 모듈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포함되며 키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동기화되어 컨텐츠 신호를 출력하는 컨텐츠 모듈과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되고 뇌파유도 모듈 및 컨텐츠 모듈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뇌파유도 모듈에 해당하는 뇌파유도 데이터 또는 컨텐츠 모듈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몸체의 상측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와 뇌파유도 모듈 및 컨텐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키 조작부의 조작 신호, 뇌파유도 신호, 컨텐츠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공급받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 및 컨텐츠 모듈과 이격되게 위치되어 뇌파유도 모듈의 특정 주파수의 뇌파 음향을 증폭시켜 출력하거나 특정 주파수의 뇌파 음향과 컨텐츠 모듈의 특정 컨텐츠 음향을 믹싱하고, 믹싱된 음향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과 컨텐츠 모듈 및 음향 출력부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키 조작부, 뇌파유도 모듈, 컨텐츠 모듈, 디스플레이부, 음 향 출력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연산처리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outer body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body and optionally set to operate the selection mode or the key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ode and locat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operation unit However, the EEG module which is synchronized with the operation signal of the key operation unit outputs an EEG induction signal and locat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body and located separately from the EEG induction module, the music playback module, radio modul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operation unit At least one of a record module, a game module, and a data storage module, the content module outputting a content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an operation signal of a key operation unit, and being located at an inner part of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EEG module and the content module. EEG data that is located in the EEG modul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emory unit and the body for storing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odu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operation unit, the EEG module and the content module, the signal of any one of the operation signal, EEG signal, content signal of the key operation unit It is located on the display and the inner part of the body to receive and display the screen, and is located apart from the EEG module and the content module to amplify and output the EEG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of the EEG module or a specific frequency EEG sound and content It is located in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inner part of the body for mixing specific content sounds of the module, and amplifies and outputs the mixed sound, and is located apart from the EEG module, the content module and the sound output unit, and operates the key operation unit and the EEG module. Control of content, content module, display and sound output It provides an MP3 player comprising a brain wave guide function comprising a first control unit for proces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엠피쓰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개선하여 뇌파유도기능과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의 컨텐츠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MP3 pla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MP3 player including an EEG-guided function and an EEG-induced function capable of providing users with contents of EEG-induced functions and various convenient functions.
일반적으로, 뇌파는 사람의 심신을 편안하게 하거나 깊은 수면을 청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다.In general, brain waves helped to relax a person's mind and body or to get a deep sleep.
이때, 뇌파는 인간의 심리적 상태에 따라 각각의 주파수 별로 알파파, 베타파, 감마파, 세타파 및 델타파등으로 분류되었다.At this time, brain waves were classified into alpha waves, beta waves, gamma waves, theta waves, and delta waves according to human psychological state.
알파파는 8~14Hz 사이의 뇌파로써 명상이나 휴식, 고도의 집중 상태에서 주로 많이 나타났었고, 베타파는 15~30Hz 사이의 뇌파로써 일상 생활 상태에서 주로 나타났었다.Alpha waves were the brain waves between 8 and 14 Hz, mainly in meditation, relaxation, and high concentration, and beta waves were the brain waves between 15 and 30 Hz in daily life.
감마파는 30Hz 이상의 뇌파로써 극도의 불안이나 흥분 상태에서 나타났었고, 세타파는 4~7Hz 사이의 뇌파로써 초학습 상태, 약간 졸린 상태, 고도의 창의력 상태에서 주로 나타났었다.Gamma waves were more than 30 Hz brainwaves in extreme anxiety or excitement, and theta waves were between 4 and 7 Hz, mainly in super-learning, slightly sleepy, and highly creative.
마지막으로, 델타파는 0.5~3Hz 사이의 뇌파로써 깊은 수면 상태에서 나타났었다.Finally, delta waves appeared in deep sleep with brain waves between 0.5 and 3 Hz.
최근에는, 인간의 뇌파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원하는 특정 주파수에 동조시켜 사용자들이 정신적으로 원하는 상태의 조건이 되도록 뇌파를 조절할 수 있는 뇌파유도장치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오고 있다.Recently, brain wave guide device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o artificially adjust human brain waves to tune to a specific frequency desired so that the brain waves can be adjusted to the condition of the user mentally desired.
이러한, 뇌파유도 장치들은 사용자들에게 자연의 소리나 규칙적인 소리를 청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흥분된 상태의 사용자들을 진정시키거나 학습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고도의 집중력을 높히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용자들에게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These brain wave guide devices induce users to listen to the sounds of nature or regular sounds, so as to soothe the users of the excited state, increase the high concentration to those who want to learn, to the users who can not sleep Provided for a deep sleep.
그러나, 종래 뇌파유도 장치들은 뇌파유도기능만을 갖는 단일적인 단말기로 제작되므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가 없었다.However, conventional EEG devices are manufactured as a single terminal having only EEG functions, and thus, various contents cannot be provided to users who want various and convenient functions.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자들에게 뇌파유도기능을 제공하면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의 모듈들이 탑재된 복합적인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terminals equipped with respective modules have been continuously released to provide various and convenient functions while providing EEG functions to user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형을 갖는 몸체와 몸체의 외측 일부분에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선택 모드를 조작하여 설정하거나 선택 모드에 해당되는 정보 데이터를 동작시키는 키 조작부와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키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동기화되어 뇌파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뇌파유도 모듈과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되고 뇌파유도 모듈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되, 키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음악재생 모듈, 라디오 모듈, 레코드 모듈, 게임 모듈, 데이터저장 모듈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포함되며 키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동기화되어 컨텐츠 신호를 출력하는 컨텐츠 모듈과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되고 뇌파유도 모듈 및 컨텐츠 모듈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뇌파유도 모듈에 해당하는 뇌파유도 데이터 또는 컨텐츠 모듈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몸체의 상측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와 뇌파유도 모듈 및 컨텐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키 조작부의 조작 신호, 뇌파유도 신호, 컨텐츠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공급받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 및 컨텐츠 모듈과 이격되게 위치되어 뇌파유도 모듈의 특정 주파수의 뇌파 음향을 증폭시켜 출력하거나 특정 주파수의 뇌파 음향과 컨텐츠 모듈의 특정 컨텐츠 음향을 믹싱하고, 믹싱된 음향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과 컨텐츠 모듈 및 음향 출력부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키 조작부, 뇌파유도 모듈, 컨텐츠 모듈,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연산처리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inn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key operating portion and the body having an external shape and is selectively set by operating the selection mode or operating th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ode an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operation unit, and is located in the inner part of the brain wave guide module and the body that is synchronized with the operation signal of the key control unit and outputs an EEG signal,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EEG module,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operation unit One or more modules of a music playback module, a radio module, a record module, a game module, and a data storage module are included. EEG module is locat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tent modul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orresponding EEG data or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odu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operation unit, the EEG module and the content module, the operation signal, EEG signal, It is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body that receives any one of the content signals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EEG module and the content module to amplify and output the EEG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of the EEG module. Located in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internal portion of the body for mixing the EEG sound of the frequency and the specific content sound of the content module, amplified and output the mixed sound, and is located apart from the EEG module, the content module and the sound output unit Key operation unit, EEG module, content module, display unit,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ound output unit to perform arithmetic proces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형을 갖는 몸체와 몸체의 외측 일부분에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선택 모드를 조작하여 설정하거나 선택 모드에 해당되는 정보 데이터를 동작시키는 키 조작부와 몸체의 외측 일부분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되, 키 조작부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뇌파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뇌파유도 장치와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음악재생 모듈, 라디오 모듈, 레코드 모듈, 게임 모듈, 데이터저장 모듈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포함되며 키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컨텐츠 신호를 출력하는 컨텐츠 모듈과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되고 컨텐츠 모듈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뇌파유도 장치에 해당하는 뇌파유도 데이터 또는 컨텐츠 모듈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몸체의 상측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와 뇌파유도 장치 및 컨텐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키 조 작부의 조작 신호, 뇌파유도 신호, 컨텐츠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공급받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컨텐츠 모듈과 이격되게 위치되어 뇌파유도 장치의 특정 주파수의 뇌파 음향을 증폭시켜 출력하거나 특정 주파수의 뇌파 음향과 컨텐츠 모듈의 특정 컨텐츠 음향을 믹싱하고, 믹싱된 음향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컨텐츠 모듈 및 음향 출력부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키 조작부, 컨텐츠 모듈,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연산처리하는 제 1 제어부 및 몸체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컨텐츠 모듈과 음향 출력부 및 제 1 제어부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키 조작부, 뇌파유도 장치,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연산처리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control unit and an outer portion of the body, which are located on an outer portion of the body having an appearance and selectively set by operating a selection mode or operat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ode, A music play module, a radio module, and a recorder, which are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key control unit and positioned in an internal portion of the body and an electroencephalogram device that is synchronized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key control unit and outputs an EEG signal. One or more modules of a module, a game module, and a data storage module are included and are located in an internal part of the body and a content module that outputs a content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an operation signal of a key operation unit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content module in an EEG-guided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EEG data or content module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memory unit and the body for storing the content data,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operation unit, EEG and content module, and receives the signal of any one of the operation signal, EEG guide signal, content signal of the key operation unit Located i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inner portion of the body, which is display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ent module to amplify and output the EEG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of the EEG device or to mix the EEG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and the specific content sound of the content module Located in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inner portion of the body to amplify and output the mixed sound, and is located apart from the content module and the sound output unit to selectively control the key operation unit, the content module, the display unit, the sound output unit arithmetic processing Locat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body, the content module And a second controller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dule,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to selectively control the key operation unit, the brain wave guide device, the display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음향 출력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뇌파유도 데이터 또는 컨텐츠 데이터의 정보를 읽어내고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시키는 디코더와 디코더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수단 및 D/A 변환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고 파형을 정형화시켜 뇌파 음향 또는 컨텐츠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ound output unit converts the digital data signal generated by the decoder and the analog data signal and the decoder for reading and decoding the information of the brain waveguide data or conten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digital data And a sound output means for amplifying the analog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D / A converting means, and for shaping the waveform to output an EEG sound or a content soun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음향 출력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뇌파유도 데이터와 컨텐츠 데이터의 정보를 각각 읽어내고 각각 디코딩하여 각각의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시키는 디코더와 디코더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각각의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수단 및 D/A 변환수단으 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각각 증폭하고 파형을 정형화시켜 뇌파 음향과 컨텐츠 음향을 동시에 믹싱하여 출력하는 음향 출력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unit reads each of the EEG guide data and the conten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decodes each of the digital data signal generated by the decoder and the decoder to generate the respective digital data D / A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each analog data signal and amplifying each analog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D / A converting means, shaping the waveform, and simultaneously mixing and outputting EEG sound and content sound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몸체의 외측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와 이격되게 위치하되, 제 1 제어부 또는 제 2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데이터베이스 연결장치와 서로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interface which is locat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key opera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or the second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the database connection device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It contains more wealth.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MP3 player including the brain wave guid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흥분된 상태의 사용자들을 진정시키거나 학습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고도의 집중력을 높힐 수가 있으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용자들에게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raise a high concentration to the user who wants to calm down or learn the excited state, and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deep sleep to users who can not sleep.
둘째, 사용자들에게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의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convenient and functional content to the user has another effect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셋째, 원하는 뇌파유도 데이터, 음악재생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레코드 데이터, 게임 데이터들을 업데이트할 수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Third, the desired brain wave guide data, music playback data, radio data, record data, game data can be updated,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키 조작부를 이용하여 선택 모드를 조작하여 설정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MP3 player including an EE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lection mode is operated by using a key operation unit shown in FIG. 1. It is a plan view for.
도 3은 도 2의 선택 모드중 뇌파유도기능에 해당하는 정보 데이터를 설정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etting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an EEG function in the selection mode of FIG. 2, and FIG. 4 is an MP3 player including an EE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diagram show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100)는 몸체(102), 키 조작부(104),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 디스플레이부(117), 제 1 인터페이스부(118), 데이터 베이스 연결장치(119), 메모리부(120), 음향 출력부(122), 제 2 인터페이스부(124), 음향 이어폰(126), 제 1 제어부(128), 전원 공급부(130)등을 포함한다.1 to 4,
몸체(102)는 외형이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몸체(102)의 외형은 직사각형으로 설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다각형상으로 설치가능하다.Body 102 is installed so that the appearance is easy to carry. At this time, the outer shape of the
키 조작부(104)는 몸체(102)의 외측 일부분에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를 조작하여 설정하거나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에 해당되는 정보 데이터(A)를 동작시키도록 설치된 다.The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키 조작부(104)는 온/오프 키(104a), 모드변환키(104b), 녹음 키(104c), 재생 키(104d)등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온/오프 키(104a)와 모드변환 키(104b) 및 녹음 키(104c)는 몸체(102)의 외측 상단 부분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on / off
온/오프 키(104a)는 동작과 해제를 위한 기능 키이고, 모드변환 키(104b)는 이후에 진술할 디스플레이부(117)에 표시된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중 하나의 모드(105f)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 키이다.The on / off
녹음 키(104c)는 녹음을 위한 기능 키이고, 재생 키(104d)는 모드변환키(104b)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모드(105f)에 해당하는 정보 데이터(A)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키이다.The
뇌파유도 모듈(106)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뇌파유도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음악재생 모듈(108)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106)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음악재생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라디오 모듈(110)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106) 및 음악재생 모듈(108)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라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레코드 모듈(112)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레코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게임 모듈(114)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게임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
데이터저장 모듈(116)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데이터저장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이때, 데이터저장 모듈(116)은 그림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등의 다양한 데이터 파일들이 저장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재생 키(104d)는 이동 볼(104d1) 또는 이동 버튼(104d2)에 의해 이동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 키가 될 수도 있고, 음량 조절을 위한 설정 키와 이전 트랙 또는 이후 트랙으로 리워딩 또는 포워딩하기 위한 설정 키가 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와 정보 데이터(A)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키가 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디스플레이부(117)는 몸체(102)의 상측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 및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키 조작부(104)의 조작 신호 또는 뇌파유도 신호, 음악재생 신호, 라디오 신호, 레코드 신호, 게임 신호, 데이터저장 신호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신호를 공급받아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설치된다.The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부(117)는 키 조작부(104)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에 해당하는 각각의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과 동기화된다.In other words, the
이때, 디스플레이부(117)는 뇌파유도 신호, 음악재생 신호, 라디오 신호, 레코드 신호, 게임 신호, 데이터저장 신호를 공급받아 그에 상응하는 정보 데이터(A)를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정보 데이터(A)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하는 특정 주파수에 뇌파를 동조시켜 정신적으로 원하는 상태의 조건이 되도록 자연의 소리나 규칙적인 소리를 음향으로 송출하는 음향 데이터로 도시하여 설명하였다.Herein, the information data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acoustic data for transmitting natural sounds or regular sounds as sounds so that the brain waves are tuned to a specific frequency desired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become a condition of a mentally desired state. It was.
그러나, 본 발명의 정보 데이터(A)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악, 라디오, 레코드, 게임,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각의 다양한 정보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17)를 통해 리스트별로 표시될 수도 있다.However, although the information data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data for music, radio, record, game, and data storage may be displayed for each list on the
제 1 인터페이스부(118)는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등과 같은 외부 기기와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치되고, 메모리부(120)는 제 1 인터페이스부(118)를 통해 수신된 뇌파유도 데이터, 음악 데이터, 게임 데이터, 그림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등의 다양한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도록 설치된다.The
다시 말하면, 제 1 인터페이스부(118)는 몸체(102)의 외측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와 이격되게 위치하되, 제 1 제어부(1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USB등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 연결장치(119)에 의해 외부 기기의 다양한 데이터 파일들을 전송받도록 설치되며, 메모리부(120)는 전송된 다양한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도록 설치된다.In other words, the
음향 출력부(122)는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의 음향을 각각 증폭시켜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음향 출력부(122)는 디코더(122a), D/A 변환수단(122b), 음향 출력수단(122c)등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디코더(122a)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뇌파유도 데이터, 음악 데이터, 게임 데이터, 그림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등의 다양한 데이터의 정보를 읽어내고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되도록 설치된다.The
D/A 변환수단(122b)은 디코더(122a)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테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도록 설치되고, 음향 출력수단(122c)은 D/A 변 환수단(122b)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고 파형을 정형화시켜 뇌파 음향 또는 컨텐츠 음향을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D /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122)는 뇌파 음향과 컨텐츠 음향을 동시에 믹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다시 말하면, 디코더(122a)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뇌파유도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 게임 데이터, 그림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등의 컨텐츠 데이터의 정보를 각각 읽어내고 각각 디코딩하여 각각의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되도록 설치된다.In other words, the
D/A 변환수단(122b)은 디코더(122a)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테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도록 설치되고, 음향 출력수단(122c)은 D/A 변환수단(122b)으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각각 증폭하고 파형을 정형화시켜 뇌파 음향과 컨텐츠 음향을 동시에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D /
제 2 인터페이스부(124)는 음향 이어폰(126)등과 같은 외부 음향 연결수단과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치되고, 음향 이어폰(126)은 제 2 인터페이스부(124)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들중 음향 데이터들을 공급받아 외부로 특정 음향을 송출하도록 설치된다.The
제 1 제어부(128)는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 디스플레이부(117), 제 1 인터페이스부(118), 메모리부(120), 음향 출력부(122), 제 2 인터페이스부(124)와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 다.The
이러한, 제 1 제어부(128)는 키 조작부(104),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 디스플레이부(117), 제 1 인터페이스부(118), 메모리부(120), 음향 출력부(122), 제 2 인터페이스부(124)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연산처리하도록 설치된다.The
전원 공급부(130)는 키 조작부(104),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 디스플레이부(117), 제 1 인터페이스부(118), 메모리부(120), 음향 출력부(122), 제 2 인터페이스부(124) 각각에 적정 전압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100)는 뇌파유도 모듈(106)을 구비하므로, 흥분된 상태의 사용자들을 진정시키거나 학습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고도의 집중력을 높힐 수가 있으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용자들에게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As such, the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100)는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을 구비하므로, 사용자들에게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의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은 향상된다.In addition,
더욱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100)는 제 1 인터페이스부(118)와 데이터 베이스 연결장치(119)를 구비하므로, 원하는 뇌파유도 데이터, 음악재생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레코드 데이터, 게임 데이터들을 업데이트할 수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선택 모드중 뇌파유도기능에 해당하는 정보 데이터를 설정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5 is an MP3 player including an EE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setting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an EEG function in a selection mode,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MP3 player including an EE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5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100)와 동일하게 몸체(102), 키 조작부(104),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 디스플레이부(117), 제 1 인터페이스부(118), 데이터 베이스 연결장치(119), 메모리부(120), 음향 출력부(122), 제 2 인터페이스부(124), 음향 이어폰(126), 제 1 제어부(128), 전원 공급부(130)등을 포함한다.5 and 6, the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500)는 뇌파유도 장치(506)와 제 2 제어부(529)등을 더 포함한다.Here, the
몸체(102)는 외형이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몸체(102)의 외형 은 직사각형으로 설치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다각형상으로 설치가능하다.
키 조작부(104)는 몸체(102)의 외측 일부분에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를 조작하여 설정하거나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에 해당되는 정보 데이터(B)를 동작시키도록 설치된다.The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키 조작부(104)는 온/오프 키(104a), 모드변환키(104b), 녹음 키(104c), 재생 키(104d)등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온/오프 키(104a)와 모드변환 키(104b) 및 녹음 키(104c)는 몸체(102)의 외측 상단 부분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on / off key 104a, the mode switching key 104b, and the
온/오프 키(104a)는 동작과 해제를 위한 기능 키이고, 모드변환 키(104b)는 이후에 진술할 디스플레이부(117)에 표시된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중 하나의 모드(105f)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 키이다.The on / off key 104a is a function key for operation and release, and the mode switching key 104b is a
녹음 키(104c)는 녹음을 위한 기능 키이고, 재생 키(104d)는 모드변환키(104b)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모드(105f)에 해당하는 정보 데이터(B)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키이다.The recording key 104c is a function key for recording, and the
뇌파유도 장치(506)는 몸체(102)의 외측 일부분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되, 키 조작부(104)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뇌파유도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이때, 뇌파유도 장치(506)는 이후에 진술할 제 1 인터페이스부(118)에 접속 되어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뇌파유도 장치(506)는 흥분된 상태의 사용자들을 진정시키거나 학습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고도의 집중력을 높힐 수가 있으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용자들에게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음악재생 모듈(108)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음악재생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라디오 모듈(110)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음악재생 모듈(108)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라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레코드 모듈(112)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레코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게임 모듈(114)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게임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데이터저장 모듈(116)은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중 재생 키(104d)의 조작 신호에 동기화되어 데이터저장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데이터저장 모듈(116)은 그림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등의 다양한 데이터 파일들이 저장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재생 키(104d)는 이동 볼(104d1) 또는 이동 버튼(104d2)에 의해 이동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 키가 될 수도 있고, 음량 조절을 위한 설정 키와 이전 트랙 또는 이후 트랙으로 리워딩 또는 포워딩하기 위한 설정 키가 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와 정보 데이터(B)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키가 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디스플레이부(117)는 몸체(102)의 상측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 뇌파유도 장치(5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키 조작부(104)의 조작 신호 또는 뇌파유도 신호, 음악재생 신호, 라디오 신호, 레코드 신호, 게임 신호, 데이터저장 신호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공급받아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설치된다.The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부(117)는 키 조작부(104)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에 해당하는 각각의 뇌파유도 모듈(1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과 동기화된다.In other words, the
이때, 디스플레이부(117)는 뇌파유도 신호, 음악재생 신호, 라디오 신호, 레코드 신호, 게임 신호, 데이터저장 신호를 공급받아 그에 상응하는 정보 데이터(B) 를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정보 데이터(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하는 특정 주파수에 뇌파를 동조시켜 정신적으로 원하는 상태의 조건이 되도록 파도소리와 같은 자연의 소리 및 심장소리와 같은 규칙적인 소리를 믹싱하여, 믹싱된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 데이터로 도시하여 설명하였다.Here, the information data (B) of the present invention mixes regular sounds such as heart sounds and natural sounds such as waves so that the brain waves are tuned to a specific frequency desir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as to be in a condition of mentally desired state. This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sound data for transmitting the mixed sound.
그러나, 본 발명의 정보 데이터(B)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악, 라디오, 레코드, 게임,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각의 다양한 정보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17)를 통해 리스트별로 표시될 수도 있다.However, although the information data 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data for music, radio, record, game, and data storage may be displayed for each list on the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데이터(B)는 심장소리와 같은 규칙적인 소리 및 영어단어/문장의 발음소리를 믹싱하여, 믹싱된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 데이터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data 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ound data that mixes regular sounds such as heart sounds and pronunciation sounds of English words / phrases, and transmits the mixed sounds.
이때, 발광표시 수단(P)은 선택적으로 발광하되, 첫번째에 위치한 발광표시 수단(P1)은 단일음의 음향을 송출할 때 발광하고, 두번째에 위치한 발광표시 수단(P2)은 자연의 소리와 규칙적인 소리가 믹싱되어 음향을 송출할 때 발광하며, 세번째에 위치한 발광표시 수단(P3)은 규칙적인 소리와 영어단어/문장의 발음소리가 믹싱되어 음향을 송출할 때 발광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display means (P) selectively emits light, but the first light emitting display means (P1) emits light when transmitting a single sound,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splay means (P2) emits a natural sound and a rule. When the sound is mixed and emits sound, the light is emitted,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display means P3 emits light when the sound is mixed by the regular sound and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words / phrases.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순서와 갯수에 상관없이 발광표시 수단(P1, P2, P3)을 배열할 수도 있고, 정보 데이터를 더욱 다양한 소리로 믹싱하여 음향으로 송출시키면서 발광표시 수단(P1, P2, P3)을 선택적으로 발광시킬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ght emitting display means P1, P2, and P3 may be arranged regardless of the order and number, and the light emitting display means P1 may be mixed with more various sounds and sent out as sound. , P2, P3) may be selectively emitted.
제 1 인터페이스부(118)는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등과 같은 외부 기기와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치되고, 메모리부(120)는 제 1 인터페이스부(118)를 통해 수신된 뇌파유도 데이터, 음악 데이터, 게임 데이터, 그림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등의 다양한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도록 설치된다.The
다시 말하면, 제 1 인터페이스부(118)는 몸체(102)의 외측 일부분에 위치되고 키 조작부(104)와 이격되게 위치하되, 제 1 제어부(128) 또는 이후에 진술할 제 2 제어부(5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USB등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 연결장치(119)에 의해 외부 기기의 다양한 데이터 파일들을 전송받도록 설치되며, 메모리부(120)는 전송된 다양한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도록 설치된다.In other words, the
음향 출력부(122)는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뇌파유도 장치(5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뇌파유도 장치(5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의 음향을 각각 증폭시켜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음향 출력부(122)는 디코더(122a), D/A 변환수단(122b), 음향 출력수단(122c)등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디코더(122a)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뇌파유도 데이터, 음악 데이터, 게임 데이터, 그림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등의 다양한 데이터의 정보를 읽어내고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되도록 설치된다.The
D/A 변환수단(122b)은 디코더(122a)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테이터 신 호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도록 설치되고, 음향 출력수단(122c)은 D/A 변환수단(122b)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고 파형을 정형화시켜 뇌파 음향 또는 컨텐츠 음향을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D /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122)는 뇌파 음향과 컨텐츠 음향을 동시에 믹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다시 말하면, 디코더(122a)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뇌파유도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 게임 데이터, 그림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등의 컨텐츠 데이터의 정보를 각각 읽어내고 각각 디코딩하여 각각의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되도록 설치된다.In other words, the
D/A 변환수단(122b)은 디코더(122a)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테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도록 설치되고, 음향 출력수단(122c)은 D/A 변환수단(122b)으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각각 증폭하고 파형을 정형화시켜 뇌파 음향과 컨텐츠 음향을 동시에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설치된다.The D /
제 2 인터페이스부(124)는 음향 이어폰(126)등과 같은 외부 음향 연결수단과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치되고, 음향 이어폰(126)은 제 2 인터페이스부(124)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들중 음향 데이터들을 공급받아 외부로 특정 음향을 송출하도록 설치된다.The
제 1 제어부(128)는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 디스플레이부(117), 제 1 인터페이스부(118), 메모리부(120), 음향 출력 부(122), 제 2 인터페이스부(124)와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The
이러한, 제 1 제어부(128)는 키 조작부(104),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 디스플레이부(117), 제 1 인터페이스부(118), 메모리부(120), 음향 출력부(122), 제 2 인터페이스부(124)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연산처리하도록 설치된다.The
제 2 제어부(529)는 몸체(102)의 내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과 음향 출력부(122) 및 제 1 제어부(128)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키 조작부(104), 뇌파유도 장치(506), 디스플레이부(117), 음향 출력부(122)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연산처리하도록 설치된다.The
전원 공급부(130)는 키 조작부(104), 뇌파유도 장치(5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 디스플레이부(117), 제 1 인터페이스부(118), 메모리부(120), 음향 출력부(122), 제 2 인터페이스부(124) 각각에 적정 전압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500)를 이용하여 원하는 특정 주파수에 동조시켜 사용자들이 정신적으로 원하는 상태의 조건이 되도록 뇌파를 조절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7과 같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중 하나의 정보 데이터에 해당하는 특정 주파수를 일예로 들어 뇌파를 조절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파형도이다.FIG. 7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n EEG by using a specific frequency corresponding to one information data of an MP3 player including an EE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500)중 하나의 정보 데이터(B)에 해당하는 특정 주파수(f1+f2)는 파도소리와 같은 자연의 소리(S1)의 주파수(f1) 및 심장소리와 같은 규칙적인 소리(S2)의 주파수(f2)가 믹싱된 주파수(f1+f2)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7, a specific frequency f1 + f2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data B of one
이때, 믹싱된 주파수(f1+f2)는 음향 출력부(122)와 제 2 인터페이스부(124) 및 음향 이어폰(126)을 통해 믹싱된 음향이 송출된다.In this case, the mixed frequency f1 + f2 is output through the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50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임의의 명상멘트가 시간적으로 송출되거나, 하나의 정보 데이터(B)에 해당하는 특정 주파수(f1+f2)의 음향과 교번적으로 믹싱되어 송출된다.For example, in the
즉, 20초까지 잔잔한 배경음이 흐르고, 이 후 약 6~7초동안 명상멘트로 '편안한 상태에서 반듯한 자세를 취해 보세요'라는 문구와 특정 주파수(f1+f2)의 음향이 믹싱되어 송출된다.In other words, a calm background sound flows up to 20 seconds, and after about 6-7 seconds, the phrase 'take a comfortable posture in a comfortable state' is mixed with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f1 + f2).
이 후, 약 6~7초동안 명상멘트로 '가볍게 눈을 감고, 배로 고른 호흡을 합니다.'라는 문구와 특정 주파수(f1+f2)의 음향이 믹싱되어 송출된다.After that, for 6 to 7 seconds, the phrase `` Lightly close your eyes and breathe evenly '' is mixed with the sound of a certain frequency (f1 + f2).
이 후, 약 8~9초동안 명상멘트로 '숨을 깊게 들어 마쉰 상태에서 잠시 멈추고 깊게 내뱉어 보세요.'라는 문구와 특정 주파수(f1+f2)의 음향이 믹싱되어 송출된다.After 8-8 seconds, the meditation phrase, 'take a deep breath, stop and breathe deeply' and the sound of a certain frequency (f1 + f2) are mixed and sent out.
이 후, 약 17초동안 명상멘트로 '이제부터는 가볍게 들어 마쉰 상태에서 잠시 멈추고 가볍게 내뱉으면서 호흡을 고르게 하여 주십시요.'라는 문구와 특정 주 파수(f1+f2)의 음향이 믹싱되어 송출된다.Afterwards, the meditation for 17 seconds is a mix of the phrase 'Now stop lightly and stop breathing and give a good breath evenly.'
이 후, 약 10-11초동안 명상멘트로 '고른 호흡을 함으로써, 집중력 향상을 시켜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케 합니다.'라는 문구와 특정 주파수(f1+f2)의 음향이 믹싱되어 송출된다.After 10-10 seconds, the phrase 'By evenly breathing improves concentration and enables efficient learning' is mixed with the sound of a certain frequency (f1 + f2).
이 후, 약 10~11초동안 명상멘트로 '이제 눈을 떠 보세요.정신이 맑아졌으면 이제부터 학습을 시작합니다.'라는 문구와 특정 주파수(f1+f2)의 음향이 믹싱되어 송출된다.After 10-10 seconds, the meditation `` Wake up your eyes now, if you are clear, start learning now '' and the sound of a certain frequency (f1 + f2) are mixed and sent out.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500)는 원하는 특정 주파수(f1+f2)에 동조시켜 사용자들이 정신적으로 원하는 상태의 조건이 되도록 뇌파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500)는 흥분된 상태의 사용자들을 진정시키거나 학습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고도의 집중력을 높힐 수가 있으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용자들에게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500)는 선택적으로 체결가능한 뇌파유도 장치(506), 음악재생 모듈(108), 라디오 모듈(110), 레코드 모듈(112), 게임 모듈(114), 데이터저장 모듈(116)을 구비하므로, 사용자들에게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의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은 향상된다.Also, the
더욱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500)는 제 1 인터페이스부(118)와 데이터 베이스 연결장치(119)를 구비하므로, 원하는 뇌파유도 데이터, 음악재생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레코드 데이터, 게임 데이터들을 업데이트할 수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나타낸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n MP3 player including an EE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키 조작부를 이용하여 선택 모드를 조작하여 설정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operating and setting a selection mode using the key operation unit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2의 선택 모드중 뇌파유도기능에 해당하는 정보 데이터를 설정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etting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an EEG function in the selection mode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MP3 player including an EE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선택 모드중 뇌파유도기능에 해당하는 정보 데이터를 설정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5 is a MP3 player including an EE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for showing a state of setting th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EEG function in the selection mode.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MP3 player including an EE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중 하나의 정보 데이터에 해당하는 특정 주파수를 일예로 들어 뇌파를 조절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파형도.FIG. 7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an EEG by using a specific frequency corresponding to one information data of an MP3 player including an EE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500 : 뇌파유도기능을 포함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100, 500: MP3 player with brain wave guide function
102 : 몸체102: body
104 : 키 조작부 104a : 온/오프 키104:
104b : 모드변환 키 104c : 녹음 키104b:
104d : 재생 키 104d1 : 이동 볼104d: Play Key 104d 1 : Move Ball
104d2 : 이동 버튼104d 2 : Go Button
105a, 105b, 105c, 105d, 105e, 105f : 선택 모드105a, 105b, 105c, 105d, 105e, 105f: selection mode
106 : 뇌파유도 모듈 108 : 음악재생 모듈 106: brain wave guide module 108: music playback module
110 : 라디오 모듈 112 : 레코드 모듈110: radio module 112: record module
114 : 게임 모듈 116 : 데이터저장 모듈114: game module 116: data storage module
117 : 디스플레이부 118 : 제 1 인터페이스부117: display unit 118: first interface unit
119 : 데이터 베이스 연결장치 120 : 메모리부119: database connection device 120: memory
122 : 음향 출력부 122a : 디코더122:
122b : D/A 변환수단 122c : 음향 출력수단122b: D / A conversion means 122c: sound output means
124 : 제 2 인터페이스부 126 : 음향 이어폰124: second interface unit 126: acoustic earphone
128 : 제 1 제어부 130 : 전원 공급부128: first control unit 130: power supply unit
429 : 제 2 제어부 506 : 뇌파유도 장치429: second control unit 506: brain wave guide device
A, B : 정보 데이터 P : 발광표시 수단A, B: information data P: light emitting display means
f1, f2 : 특정 주파수f1, f2: specific frequency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7309A KR20090032257A (en) | 2007-09-27 | 2007-09-27 | MP3 Player with EEG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7309A KR20090032257A (en) | 2007-09-27 | 2007-09-27 | MP3 Player with EEG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2257A true KR20090032257A (en) | 2009-04-01 |
Family
ID=4075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7309A KR20090032257A (en) | 2007-09-27 | 2007-09-27 | MP3 Player with EEG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32257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58886A1 (en) * | 2010-11-01 | 2012-05-10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Method, system and earphone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multi-media playing |
KR20190087945A (en) | 2018-01-17 | 2019-07-25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Sonic wave generating apparatus |
-
2007
- 2007-09-27 KR KR1020070097309A patent/KR2009003225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58886A1 (en) * | 2010-11-01 | 2012-05-10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Method, system and earphone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multi-media playing |
KR20190087945A (en) | 2018-01-17 | 2019-07-25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Sonic wave generat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111300A1 (en) | Educational device | |
Oldfield | Interactive music therapy: A positive approach: music therapy at a child development centre | |
US7782244B2 (en) | Intuitive based control elements, and interfaces and devices using said intuitive based control elements | |
US20100159426A1 (en) | Language skills for infants | |
CN102000378A (en) | Body and mind health care system with musical and color light physical factors based on three networks and internet of things | |
Petry et al. | MuSS-bits: sensor-display blocks for deaf people to explore musical sounds | |
KR20090032257A (en) | MP3 Player with EEG Function | |
JP2010266748A (en) | Acoustic vibr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acoustic vibration reproducing method | |
CN202036685U (en) | Physical and mental healthcare system adopting physical factors such as music, color and light based on three networks and Internet of Things | |
KR100993694B1 (en) | Sympathized language learning apparatus with a vibration device for bodily sensation and method thereof | |
CN107274919A (en) | Use the mixed high-fidelity dual-audio playing device and its player method for putting device of high-fidelity | |
US20040199391A1 (en) | Portable voice/letter processing apparatus | |
CN201033258Y (en) | Audio visual speech recognition synchronous broadcasting toy | |
CN208675489U (en) | A kind of headphone | |
KR20170096856A (en) | Apparatus of audiovisual for cognitive abilities, improve sleep and dementia prevention | |
Chazan | Toward a nonverbal syntax of play therapy | |
US2003005875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psycho-suggestive messages | |
Michailidis | On the hunt for feedback: vibrotactile feedback in interactive electronic music performances | |
US11577044B2 (en) | Hypnotherapy system utilizing an interactive doll and method of hypnotherapy for children | |
CN110639112B (en) | Synthesis method and system of beat sound and music | |
Shoemark | Sweet melodies: Combining the talents and knowledge of music therapy and elite musicianship | |
CN215584691U (en) | Voice communicator for expressing requirements of patient with trachea cannula or tracheotomy | |
KR101499858B1 (en) | 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 | |
JP2006270845A (en) | Remote controller and musical sound reproducing system | |
US20080020365A1 (en) | Learning Apparatus Using To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