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129A -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129A
KR20090031129A KR1020070096992A KR20070096992A KR20090031129A KR 20090031129 A KR20090031129 A KR 20090031129A KR 1020070096992 A KR1020070096992 A KR 1020070096992A KR 20070096992 A KR20070096992 A KR 20070096992A KR 20090031129 A KR20090031129 A KR 20090031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air
plate
separa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1129A/en
Publication of KR2009003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1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n air-conditioner is provided to change appearance which is suitable for interior atmosphere by replacing separable parts and minimize the waste of man power and time by checking the inside after separating a portion of the exterior.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n air-conditioner comprises: a front plate(300) forming a front side; an air flowing part forming a part of the front plate and providing an air flow path; and a dividing plate(340) which forms the oth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and is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front plate. The dividing plate is integrally formed or is separated.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air conditioner}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을 조화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ceiling of an indo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to harmonize an indoor spac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내부에 유동하게 되는 냉매와 열교환시킨 다음 실내 공간으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게 되는 냉방 및 난방 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that cools or heats a room by inhaling air in an indo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inside, exchanging heat with a refrigerant flowing therein, and then discharging it into the indoor space. It consists of a condenser-expansion valve-evaporator to form a series of cycles.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누어진다. Th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outdoor unit installed outdoors and an indoor unit installed indoors are separated,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integrally installed.

또한 최근에는 가정에 2대 이상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나 여러개의 실내 공간을 구비한 건물에서 각 실내 공간마다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형 공 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개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여러대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설치 공간이나 소음 등을 고려하여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multi-type air conditioners have been introduced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when installing two or more air conditioners in a home or when installing an air conditioner in each indoor space in a building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Such a multi-typ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in one outdoor unit, and the same effect as installing a plurality of separate air conditioners can be obtained, and a multi-type air conditioner is preferred in consideration of installation space and noise. .

더구나, 근래에는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기능 외에도 실내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 및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in addition to cooling or heating the indoor spac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function of purifying the air in the indoor space and a dehumidifying function of removing moisture, have been added.

그리고, 공기조화기를 실내 공간의 분위기와 어울리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을 가지는 실내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실내 공간의 확보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하여 실내기를 천장에 설치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출시되고 있다. In addition, indoor units having various designs and colors are released to match the air conditioner with the atmosphere of the indoor space,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s are installed to install the indoor unit on the ceiling for securing the indoor space and utilizing the space efficiently.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간에는 실내 공간의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내열교환기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실외기의 내부 공간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외열교환기 등이 위치하게 되고, 실내기와 실외기의 사이에는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매배관이 설치되어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An in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air and refrigerant in the indoor space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indoor unit. An internal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refrigerant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refrigerant are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outdoor unit. Between the refrigerant pipes are installed to guid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상기 실내기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냉매와 열교환시킨 다음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재투입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근래에는 실내 공간의 확보와 효율적 이용을 위해 천장에 장착된다. The indoor unit performs a function of harmonizing the air in the indoor space by sucking the air in the indoor space, heat-exchanging with the refrigerant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n re-injecting the heat-exchanged air into the indoor space. It is mounted on the ceiling for efficient use.

따라서, 실내 공간의 천장에 장착되는 실내기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실내 공 간 천장의 일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일면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킨 다음,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냉매와 열교환시키게 된다. 냉매와 열교환되는 실내 공간의 공기는 실내 공간을 조화시키기 위한 온도로 전환되며, 전환된 온도를 가지는 공기가 천장의 일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다른 일면을 통해 실내 공간으로 투입되면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조화시키게 된다. Therefore, the indoor unit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moves the air of the indoor space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one surface occupying a part of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and then passes through a heat exchanger to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The air in the indoor space that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is converted to a temperature to harmonize the indoor space, and the air of the indoor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other surface where the air having the converted temperature occupies a part of the ceiling. Harmonize to the desired conditions.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실내기의 내부로 흡입하고, 조화된 공기를 실내 공간의 내부로 투입시키기 위한 일면이 천장의 일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사용자가 천장을 보게 되는 경우 실내기의 일면을 천장과 동시에 보게 된다. 즉, 사용자가 취침을 하게 되는 경우 또는 여하한 사유로 인해 천장을 보게 되는 경우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기의 외면을 천장과 동시에 보게 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akes a part of the ceiling on one surface for sucking air in the indo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into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and injecting the harmonized air into the indoor space. If you see the ceiling, you will see one side of the indoor unit at the same time as the ceiling. That is, when the user is going to bed or if the user sees the ceiling due to any reason, the outside surface of the indoor unit installed on the ceiling is simultaneously seen with the ceiling.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수리 보수 또는 여하한 이유로 인해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면 부분을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수리 보수를 하거나 내부를 확인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repair the repair or to check the interior by separating the front part as a whole in order to check the interior for repair repair or any reaso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며, 본 발명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에서 발생하게 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in the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occurring in the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

실내 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는 실내 공간 천장의 일부분을 차지하면서 외관을 이루는 일면이 그 생산 원재료의 특징적인 색채를 가지게 됨으로써 외관 디자인의 다양화가 어려운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는 실내 공간의 이미지와 어울리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지게 된다. The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occupies a part of the ceiling of the interior space, and one side of the exterior has a characteristic color of the raw materials of the produc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versify the exterior design. This leads to a problem that does not match with the image of the indoor space.

또한, 설치 후 동일한 색상으로 계속 사용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감성 불만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장기간 사용하게 될 경우 변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continues to use the same color after installation, a problem that causes the user emotional dissatisfaction occurs, a problem such as discoloration occurs when used for a long time.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 실내기의 내부 공간을 확인하여야 할 경우 천장의 일면을 차지하게 되는 실내기 부분을 전체적으로 천장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실내기 내부를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due to various reasons that occur inside the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he indoor unit part occupying one surface of the ceiling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ceiling as a whole and then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should be checked. The problem arises.

이는 실내기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고, 서비스 성의 저하를 야기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지게 된다. This causes a waste of time and manpower to check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and leads to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by causing a decrease in serviceability.

나아가, 변색 또는 일부분의 파손 등으로 일부분의 교체 사유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일부분을 교체하지 못하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Further, even if the reason for the replacement of the part due to discoloration or breakage of the part occurs,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part cannot be replaced and the whole must be replaced.

이는 공기조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유지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에 대한 강한 불만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This not only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of the user using the air conditioner, but also causes a problem that causes a strong dis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 전면 외관의 일부분이 다른 서비스 도구 없이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천장 형 실내기를 제안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s to propose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other service too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기 전면 외관 일부분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안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ich is capable of replacing and repairing a part of an indoor unit front exteri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기 외관의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여 디자인의 변화가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안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changing the design of the indoor unit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는,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부를 형성하며, 공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전면플레이트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분리플레이트가 포함된다.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while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late to form a front appearance; An air flow portion forming part of the front plate and providing a flow passage of air; And a separation plate forming another part of the front plate and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front plat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는, 공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에서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다수의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의 선택적 분리를 위하여 제공되는 제3부분이 포함되어 전면이 구성된다.In another aspect, the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ortion providing a flow passage of air; A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capable of selective separation in the first portion; And a third portion provided for the selective separation of the second por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에 의하면, 외면 일부분이 다른 서비스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using other service tools.

이러한 효과로 인해 실내기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 실내기의 내부 확인이 필요하게 될 경우, 다른 서비스 도구를 준비하거나, 찾아야 하는 필요성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서비스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indoor unit needs to be checked due to various reasons that occur inside the indoor unit due to this effec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service time by eliminating the need to prepare or find another service tool.

또한, 실내기 외면 일부분이 서비스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서비스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unit is configured to be easily separated without using a service tool, the service efficiency is improved.

나아가, 실내기 외면 일부분을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확인이 필요한 부분만을 분리시킨 다음,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by separating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unit can be separated only the portion that needs to be checked, and then can be confirmed inside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waste of time and manpower.

그리고, 실내기 설치 후 실내 공간의 이미지가 변화되거나, 동일 디자인에 의한 감성 불만이 발생하게 되면, 분리 가능한 일부분을 교체함으로써 변화되는 실내 공간의 분위기와 조화되는 이미지로의 변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되고,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f the image of the indoor space is changed after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r if the emotional dissatisfaction occurs due to the same desig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image to the image that is in harmony with the atmosphere of the changed indoor space by replacing a detachable part. Emotional dissatisfaction will have the advantage.

더욱이,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부분적인 변색이 발생하게 되거나,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그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실내기를 사용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in case of partial discoloration or partial breakage due to long-term use, only the part can be replaced and used,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osts incurred while using the indoor unit. .

뿐만 아니라, 전면 외관의 일부분을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설치가 편리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by being able to separate a portion of the front appearance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venient.

이러한 효과로 인해, 외관 디자인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실내 공간의 이미지와 부합되는 디자인으로 실내 공간의 이미지와 어울리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Due to this effe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ppearance design can be diversified, and the design that matches the image of the interior space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installed to match the image of the interior space.

이로 인해, 외관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으면서, 디자인의 변화가 가능한 장점과, 유지 비용이 절감되며 서비스 성이 향상되고, 설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As a result, the appearance can be variously expressed, and the design can be changed, maintenance costs are reduced, serviceability is improved, and installation is improved.

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도 물리적으로는 실내 공간의 조화 및 실내 공간에 설치를 위한 다수의 부분이 당연히 설치되지만, 그 표기는 생략하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even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arts are naturally installed for the harmony of the indoor space and the installation in the indoor space, but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and the range is necessary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과 도 2에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1 and 2 is an install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100)에 다수의 실내기(200)가 연결되면서 다수의 실내 공간을 조화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공간에는 다수의 실내 공간이 구비되고, 이러한 다수의 실내 공간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실내 공간에 실내기(200)가 각각 설치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harmonize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while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are connected to one outdoor unit 100. Therefore,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are provided in a space where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and in order to harmonize the plurality of indoor spaces, the indoor units 20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s.

각각의 실내 공간에는 실내 공간에 적합한 형태의 상기 실내기(200)가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실내 공간의 확보와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천장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가 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기(200)와 실내 공간의 외부에 설치되는 상기 실외기(100)는 냉매배관(120)에 의해 연결된다.In each indoor space, the indoor unit 200 of a type suitable for indoor space is installed. Recently, a ceiling-type indoor unit mainly installed in a ceiling of an indo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installed to secure and efficiently utilize the indoor space. It is becoming. The indoor unit 200 and the outdoor unit 100 installed outside the indoor space are connected by the refrigerant pipe 120.

상기 냉매배관(120)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실외기(100)와 각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200)가 연결되도록 분지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냉매배관(12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된다. 즉, 냉매배관(120)에 의해 안내되는 냉매가 실외기(100)와 실내기(200)의 사이를 유동하게 된다. The refrigerant pipe 120 has a cylindrical pipe shape having a diameter of a predetermined degree, and is branched so that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indoor unit 200 installed in each indoor sp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frigerant flows inside the refrigerant pipe 120. That is, the refrigerant guided by the refrigerant pipe 120 flows between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indoor unit 200.

천장형 실내기(200)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하면이 천장 하면의 일 부분을 형성하도록 노출되어 설치된다. 이처럼,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에 의해 실내 공간이 확보되고,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The ceiling indoor unit 200 has an upper portion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ceiling, and the lower surface is install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As such, the indoor space is secured by the ceiling type indoor unit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us the indoor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도 3에는 천장형 실내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천장형 실내기의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eiling indoor unit,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eiling indoor uni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실내기(200)는 상면(도면에서 볼 때)을 형성하면서, 실내기(200) 전체를 지지하게 되는 베이스(210)와, 하면(도면에서 볼 때)을 형성하면서, 사용자에게 보이는 외관을 이루는 전면플레이트(300) 그리고, 상기 베이스(210)와 전면플레이트(300)의 사이에 개입되어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측면을 형성하는 캐비넷(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넷(22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며, 이러한 다수의 부품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게 된다. The indoor unit 200 forms a top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drawing), and forms a base 210 that supports the entire indoor unit 200, and a bottom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drawing) and forms a front surface visible to the user. The plate 300 is interposed between the base 210 and the front plate 300 to provide an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and comprises a cabinet 220 to form a side. A plurality of parts are moun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formed by the cabinet 220, and the plurality of parts mak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desired by the user.

상기 베이스(21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면적을 가지는 판재 형상 으로 형성되고, 베이스(210)의 상면이 천장의 상측 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2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The base 2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1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of the ceiling to support the indoor unit 200 as a whole.

상기 베이스(210)의 하측에는 베이스(210)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212)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212)은 베이스(2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베이스(210)가 다수의 부품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The base frame 212 supporting the base 210 is located below the base 210, and the base frame 212 distributes the load applied to the base 210, so that the base 210 has a plurality of bases. It will help to support the part.

상기 베이스프레임(212)의 하측에는 상기 실내기(200)의 측면을 이루면서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구획하고,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는 캐비넷(22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캐비넷(220)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이 상기 베이스(2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위치하게 되는 베이스프레임(212)과 체결되면서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A cabinet for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indoor unit 200 at the lower side of the base frame 212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and protect a plurality of components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 220 is located. The cabinet 2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220 is fastened to the base frame 212 position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210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The outer space will be partitioned.

상기 캐비넷(220)은 일체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각각 체결되면서 형성되기도 한다. 이때, 캐비넷(220)은 다수의 부분이 각각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내부 수리 또는 청소 등을 하여야 할 경우, 일 부분의 체결을 해제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binet 220 may be made integrally, or may be formed while being formed of a plurality of parts. In this case, the cabinet 220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parts to be repaired or cleaned inside,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proceed to work by releasing the fastening of a part.

상기 캐비넷(220)의 내측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와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 실내 공기가 열교환되는 제1열교환기(23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230)의 내측에는 회전 운동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게 되는 실내팬(240)이 위치하게 된다. Inside the cabinet 220, a first heat exchanger 230 in which heat exchanged between a refrigerant that is a working fluid and indoor air that moves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is positioned,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230 is located. Inside the inside of the indoor fan 240 that generates a flow of air by the rotational movement is located.

상기 제1열교환기(230)는 상기 냉매배관(120)과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100) 로부터 안내되는 냉매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관일 다수 회 구부러지면서 형성되고, 그 관의 사이사이는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The first heat exchanger 230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120 is formed while bending a plurality of circular pipe-shaped pi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so that the refrigerant guided from the outdoor unit 100 can be moved, Between the pipes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to allow the movement of air.

따라서,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230)를 이루는 관의 사이 사이를 통과하게 될 때, 제1열교환기(230)의 내부를 이동하는 냉매와 열교환하게 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투입되어 실내 공간을 조화시키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air in the indo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passes between the tubes forming the first heat exchanger 230, the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moving inside the first heat exchanger 230, heat exchange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space to harmonize the interior space.

상기 실내팬(240)의 상측에는 실내팬(240)으로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242)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팬모터(242)의 상측에는 팬모터(242)가 장착되는 모터마운트(244)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모터마운트(244)는 상기 베이스(210)에 의해 지지된다. A fan motor 242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indoor fan 240 is positioned above the indoor fan 240, and a motor mount in which the fan motor 242 is mounted above the fan motor 242. 244 is positioned, and the motor mount 244 is supported by the base 210.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팬모터(242)에서 발생하게 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실내팬(240)이 회전 운동하게 되고, 회전 운동하는 실내팬(240)에 의해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는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며, 실내기(200)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230)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냉매와 열교환되어 조화된 다음 실내 공간으로 재투입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fan 240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the fan motor 242, the air in the indoor space for the air conditioning by the indoor fan 240 is rotating The air moves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and the air mov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passe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230.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to be re-introduced into the next indoor space. Move as much as possible.

상기 제1열교환기(230)의 하측에는 제1열교환기(230)를 통과하게 되는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될 때 발생하게 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250)이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드레인팬(250)의 중앙부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오리피스(260)가 장착되는 오리피스홀(252)이 형성된다. Below the first heat exchanger 230 is a drain pan 250 for collecting condensate generated w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230 and the refrigerant is heat exchanged, and the drain pan (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250, an orifice hole 252 is provided is provided with an orifice 260 that provides a passage for moving the indoor air for air conditioning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상기 드레인팬(250)의 하측에는 천장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사용자가 천장을 바라보게 될 때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플레이트(3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30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절제(切除)된다.The lower side of the drain pan 25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eiling and the front plate 300 that forms the front appearance when the user looks at the ceiling is located. The front plate 3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 certain degree, the center portion is removed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indo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 Viii)

한편,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에는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과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 사이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동부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plate 300 is formed with an air flow to allow air to flow between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and the air conditioner of the indoor unit 200.

상기 공기유동부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인 실내 공기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흡기부(302)와, 상기 흡기부(302)를 통과하여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제1열교환기(230)를 통과하면서 조화되어 실내 공간으로 재투입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배기부(30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The air flow unit includes an intake unit 302 which provides a passage for moving the air in which the air of the indoor air, which is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and passes through the intake unit 302 to the indoor unit. An exhaust unit 304 is provided that moves to the interior space of 200 and then provides a movement passage of air that is harmon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230 and re-introduced into the interior space.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절제된 중앙부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통로인 흡기부(302)가 되고, 전면플레이트(300)의 절제된 중앙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전면플레이트(300)의 각 변 중앙부 일부가 절제되어,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에서 조화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인 배기부(304)가 된다. In detail, the cut-out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late 300 is an intake unit 302 which is a movement passage of air in which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moves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and the front plate 300 A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of each side of the front plate 300, which is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cut off center portion, is cut off, and the exhaust unit 304, which is a moving passage of air, in which the harmonized ai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moves to the interior space Becomes

따라서,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는 상기 흡기부(302)를 통해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제1열교환기(230)를 통과하면서 조화된 후, 상기 배기부(304)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재투입된다. Therefor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moves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through the intake unit 302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230, and then, the exhaust unit ( Through 304) into the interior space.

상기 흡기부(302)에는 흡입그릴(31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측에는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에어필터(312)가 위치하게 된다. 즉, 실내 공간의 공기가 흡입그릴(310)을 통과하면서 비교적 큰 부피의 먼지는 걸러지고, 상기 에어필터(312)를 통과하면서 비교적 작은 부피의 먼지가 걸러지게 됨으로써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는 깨끗한 공기만 이동하게 된다. An intake grill 310 is positioned at the intake unit 302, and an air filter 312 is disposed at an upper side of the intake grill 310 to filter foreign matter from the air moving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Done. That is, whil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passes through the suction grill 310, a relatively large volume of dust is filtered out, and a relatively small volume of dust is filtered through the air filter 312, thereby moving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Will only move clean air.

그리고, 상기 배기부(304)에는 조화된 공기의 배기 방향으로 제어하게 되는 배기루버(306)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exhaust unit 304 is provided with an exhaust louver 306 which is controlled in the exhaust direction of the harmonized air, so that the user can exhaust the harmonized air in the desired direction.

상기 배기루버(306)는 상기 배기부(304)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루버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하여 배기루버(306)의 회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배기루버(306)는 각각 별도로 제어되기도 하며, 다른 부품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가 동일하게 제어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The exhaust louver 306 is formed to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exhaust part 304, and a louver motor (not shown) generating rotational power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louver ( The rotation of 306 is controlled. Each of these exhaust louvers 306 may be separately controlled, or may be connected by other components to be controlled in the same mann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EXAMPLE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플레이트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전면플레이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4 shows a bottom view of the fron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late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플레이트를 살펴보면, 상기 전면플레이트(30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어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가 전면플레이트(300)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First, referring to the fro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front plate 3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the center portion has a predetermined area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indo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moved above the front plate 300.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면플레이트(300)는 중앙부에 위치하여 공기 조화를 위한 공기가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중앙플레이트(320)와,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테두리 외측 부분을 따라 형성되며, 중앙플레이트(32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리플레이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Looking in detail, the front plate 300 is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entral plate 320 to provide a passage for moving the air for air conditioning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and the central plate 320 It is formed along the outer edge portion, and comprises a separation plate 340 that is selectively detachably mounted from the central plate (320).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중앙부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어 실내 공간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 이동통로의 전면에는 공기가 이동하게 될 때, 공기와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비교적 큰 부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상기 흡입그릴(310)이 위치하게 된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ntral plate 320 is cut off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indoor space moves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and the air moves in front of the air moving passage. When this is done, the suction grill 310 for filter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of foreign matter, which is moved simultaneously with the air, is positioned.

상기 흡입그릴(310)은 상기 중앙플레이트(320)로부터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 하도록 장착된다. 흡입그릴(310)에는 일측으로 치우친 부분에 흡입그릴(310)의 선택적 회동을 위한 회동레버(314)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흡입그릴(310)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e suction grill 310 is mounted to be selectively rotated from the central plate 320. The suction grill 310 is provided with a pivoting lever 314 for selective rotation of the suction grill 310 at one side biased,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suction grill 310 as needed.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측에는 공기가 이동하게 될 때,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비교적 작은 부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에어필터(312)가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에어필터(312)를 청소하게 되거나,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 확인이 필요하게 될 때, 흡입그릴(310)을 상기 중앙플레이트(320)로부터 회동시키게 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grill 310, when the air moves, the air filter 312 for filter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of foreign matter, which is moved at the same time is located, the user to clean the air filter 312 Or, whe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the suction grill 310 is rotated from the central plate 320.

즉, 상기 흡입그릴(310)의 회동이 필요하게 될 때, 사용자는 상기 회동레버(314)를 조작하여, 흡입그릴(310)이 회동레버(314)가 제공되는 측의 반대측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suction grille 310 needs to be rotated, the user manipulates the pivoting lever 314 so that the suction grille 310 has the rotational cent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provided with the pivoting lever 314. It can be rotated.

한편,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테두리 부분 외측에는 중앙플레이트(32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위치하게 된다. 분리플레이트(34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고, 이처럼, 절제된 중앙부에 중앙플레이트(320)가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plate 340 which is selectively detachably mounted from the center plate 320 is located outside the edge portion of the center plate 320. Separating plate 3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center portion is cut to have a certain amount of area,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plate 320 is located in the cut center portion.

즉, 상기 전면플레이트(300)는 중앙부에 상기 중앙플레이트(320)가 위치하게 되고, 중앙플레이트(320)의 테두리 외측을 따라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위치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front plate 3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er plate 32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and the separation plate 340 is locat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center plate 320.

따라서, 상기 전면플레이트(300)는 상기 분리플레이트(340)의 중앙부가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고, 그 절제된 중앙부에 상기 중앙플레이트(320)가 위치하게 되며, 중앙플레이트(320)의 중앙부 또한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고, 그 절제된 중앙부에 상기 흡입그릴(310)이 위치하게 되면서,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게 된다. Therefore, the front plate 300 is cut off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eparation plate 340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center plate 320 is positioned at the cut off center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center plate 320 is also fixed. It is cut to have an area, and the suction grill 310 is positioned at the cut center, thereby forming an overall appearance.

상기 전면플레이트(300)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전면플레이트(300) 각각의 모서리 부분과 각각의 변(邊)을 형성하게 되며, 각각의 변(邊) 중앙부는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어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에서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가 필요한 실내 공간으로 배기되는 통로인 상기 배기부(304)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배기부(304)는 분리플레이트(340)의 일 부분이 절제되면서 형성된다. Looking at the front plate 300 in more detail, the separation plate 340 forms a corner portion and each side of each of the front plate 300, each side central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area It is formed to have the exhaust portion 304,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that has been cut to have the ai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is exhausted to the interior space that needs air conditioning. As such, the exhaust part 304 is formed while a part of the separation plate 340 is cut off.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각 모서리 부분과 각 변(邊) 부분을 형성하도록 위치하게 됨에 따라 분리플레이트(340)의 모서리 내측면은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모서리 부분 외측면과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As the separation plate 340 is positioned to form each corner portion and each side portion of the front plate 300, the inner side of the corner of the separation plate 340 is an edge portion of the central plate 320. It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따라서,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각 모서리 외측면 부분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분리플레이트(340)의 내측면에는 분리플레이트(340)가 중앙플레이트(32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분리장치(350)가 제공된다. 이러한 분리장치(350)에 의해 분리플레이트(340)는 사용자가 필요하게 될 경우 선택적으로 중앙플레이트(320)에서 분리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a separation device for allowing the separation plate 340 to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center plate 320 on the inner side of each corner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center plate 320 and the separation plate 340 corresponding thereto ( 350 is provided. By the separation device 350, the separation plate 340 is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central plate 320 when the user needs to.

상기 분리플레이트(340)는 그 분리 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리장치(350)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플레이트(34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 면서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에서 이탈 및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separation plate 340 may select various separation devices 350 according to the separation metho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plate 340 is separated from and mounted on the central plate 320 while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상기 분리장치(350)는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에 위치하는 탈착돌기(352)와 상기 분리플레이트(340)에 위치하게 되는 돌기홈(3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탈착돌기(352)는 중앙플레이트(320)의 모서리 부분 외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354)은 분리플레이트(340)의 내측면에 탈착돌기(35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수량으로 형성된다. The separation device 350 includes a detachable protrusion 352 located on the center plate 320 and a protrusion groove 354 located on the separation plate 340. Looking at it in more detail,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utward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central plate 320, the projection groove 354 is the detachable protrusion (inner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340) It is formed in a quantit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352.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탈착돌기(352)가 돌기홈(354)에 수용되면서,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에서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탈착돌기(352)가 분리플레이트(340)에 형성되고, 돌기홈(354)이 중앙플레이트(3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etachment protrusion 352 is accommodated in the projection groove 354,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eparate the separation plate 340 from the central plate 320. Of course,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may be formed in the separating plate 340, and the protrusion groove 354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late 32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착돌기(352)가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354)이 상기 분리플레이트(340)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plate 320, the protrusion groove 354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late 340.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상기 탈착돌기(352)와 돌기홈(354)은 서로 형합되도록 형성되어 탈착돌기(352)가 돌기홈(354)에 수용되면서,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와 분리플레이트(340)가 체결된다.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and the protrusion groove 354 are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groove 354, and the center plate 320 and the separation plate 340 are fastened.

상기 탈착돌기(352)는 상측에서 볼 때,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 단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플랜지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 5에서 볼 때, 탈착돌기(352)의 횡단면은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354)은 탈착돌기(3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hen viewed from above, and is formed to form a flan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end thereof is opposed. That is, as shown in Figure 5, the cross section of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the projection groove 354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상기 탈착돌기(352)는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외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측방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홈(354)은 탈착돌기(352)와 대응되는 형상과 수량으로 위치하여 돌기홈(354)의 내부 공간에 탈착돌기(352)가 수용되면서, 중앙플레이트(320)에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plate 320, is formed to protrud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utward. The protrusion groove 354 is positioned in a shape and quantity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and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rotrusion groove 354, and the separation plate 340 is formed on the central plate 320. ) Is selectively detachabl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분리플레이트(34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상기 돌기홈(354)의 내부에 상기 탈착돌기(352)가 수용되면서, 분리플레이트(340)가 안내된다. 이때, 탈착돌기(352)가 돌기홈(354)의 내부에 수용되면, 탈착돌기(352)와 돌기홈(354)의 플랜지 부분에 의해 분리플레이트(340)가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외측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slides the separating plate 340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while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groove 354, the separating plate 340 is guided. At this time, when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groove 354, the separation plate 34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enter plate 320 by the flange portion of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and the protrusion groove 354. Will not escape.

이와 같이,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면, 사용자 또는 서비스 인원이 별도의 서비스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전면플레이트(300)로부터 분리플레이트(340)를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separation plate 340 is fastened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to the central plate 320, the separation plate 340 from the front plate 300 without a user or service personnel using a separate service tool. )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그리고, 상기 분리장치(350)에 부가하여 보조장치(360)가 더 제공되기도 한다. 상기 보조장치(36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Hook)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device 360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the separation device 350. The auxiliary device 36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auxiliary device 360 is provided in a hook shape.

상기 보조장치(360)는 상기 분리플레이트(340)의 내측면 다시 말해, 상기 돌 기홈(354)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며, 분리플레이트(340)의 내측면으로부터 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내측면이 후방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보조장치(360)의 외측면은 경사지지 않고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내측면이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 경사를 가지는 직삼각형과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된다. The auxiliary device 360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340, that is, the side of the protrusion groove 354,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in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340, and the upper side The inner surface is formed to have a rear inclination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toward.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device 360 is formed so as not to be inclined to extend to the upper side has a shape such as a right triangle having a rear inclination toward the upper side.

이하에서는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장착 및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mounting and detaching the separation plate 340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상기 분리플레이트(340)를 일정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분리플레이트(34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보조장치(360)의 내측면이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외측면과 접하게 되며, 보조장치(360)의 내측면이 중앙플레이트(320)의 외측면과 접한 상태에서, 분리플레이트(340)는 계속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user places the separation plate 340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n moves upward, the auxiliary device 360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late 340 and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The inn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plate 320, while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device 36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plate 320, the separation plate 340 continues to move upward. .

이때, 상기 보조장치(360)는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외측방으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리플레이트(340)가 계속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탈착돌기(352)가 상기 돌기홈(354)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분리플레이트(340)는 탈착돌기(352)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device 360 is direc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entral plate 320 by its elasticity. When the separation plate 340 continues to move upward in this state, the detachment protrusion 352 is accommodated into the protrusion groove 354 while the separation plate 340 is guided by the detachment protrusion 352 to the upper side. Will be moved to.

상기 돌기홈(354)의 차폐된 하면에 의해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일정 정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더 이상의 상측 이동은 불가하게 되며, 이때, 자체 탄성에 의해 분리플레이트(340)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는 상기 보조장치(360)는 그 탄성이 해제되면서, 그 하면이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When the separation plate 340 is moved upward by a certain degree by the shielded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groove 354, no further upward movement is possible, and in this case, the force toward the separation plate 340 is caused by its elasticity. Receiving the auxiliary device 360 is released its elasticity,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plate (320).

이처럼, 상기 보조장치(360)의 하면이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의 상면과 접하게 되고, 상기 탈착돌기(352)가 상기 돌기홈(354)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면,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중앙플레이트(320)와 체결되면서, 전면플레이트(300)에 장착된다. As such,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device 36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plate 320, and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rotrusion groove 354, the separation plate 340 is provided. While fastened with the central plate 320, it is mounted on the front plate 300.

이와 같이, 상기 분리플레이트(340)가 상기 중앙플레이트(320)와 체결되면, 분리플레이트(340)는 상기 탈착돌기(352)와 상기 돌기홈(354)의 플랜지 부분에 의해 외측방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보조장치(360)에 의해 하측 이탈이 방지되고, 돌기홈(354)의 하면에 의해 상방 이동이 방지된다. As such, when the separation plate 340 is fastened to the center plate 320, the separation plate 34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utwardly by the flange portion of the detachable protrusion 352 and the protrusion groove 354. The separation of the lower side is prevented by the auxiliary device 360 and the upward movement is preven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groove 354.

그리고, 상기 분리플레이트(340)의 분리는 장착과 반대 순서로 실행하면서 분리플레이트(340)를 분리하게 된다. 즉, 상기 보조장치(360)의 결속을 해제시킨 다음 분리플레이트(3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3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plate 340 is separated while the separation plate 340 is executed in the reverse order of mounting. That is, after releasing the binding of the auxiliary device 360, the separation plate 340 is moved downward, and separated from the front plate 300.

이하에서는 분리플레이트가 채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look at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eparation plate is employed.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상기 전면플레이트(300)는 공기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1부분(400)과, 상기 제1부분(400)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다수의 제2부분(420) 및 상기 제2부분(420)의 선택적 분리를 위하여 제공되는 제3부분(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ront plate 30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400 that provides an air flow passage, a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420 and a second portion 420 that are selectively separable from the first portion 400. And a third portion 440 provided for selective separation.

상기 제1부분(400)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는 절제되어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제1부분(400)의 절제된 중앙부에는 공기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그릴 형상의 흡입그릴(310)이 위치하게 된다. The first portion 4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center portion is cut off so that the passage of the air in the indo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Will be provided. In the cut-out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a grill-shaped suction grill 310 for filtering a relatively bulky foreign material that moves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air is positioned.

상기 제1부분(400)의 외측에는 제1부분(40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제2부분(42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부분(420)은 전체적으로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한 모서리 부분과 한 변(邊)을 차지하게 된다. A second part 420 that is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first part 400 is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part 400. The second portion 420 is formed in a generally "┓" shape to occupy one corner portion and one side of the front plate 300.

다시 말해, 하나의 상기 제2부분(420)은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하나의 모서리 부분과 하나의 변(邊)을 형성하게 되며, 다수의 제2부분(420)이 제공되어, 전면플레이트(300) 각각의 모서리와 변을 형성하게 된다. In other words, one second portion 420 forms one edge portion and one side of the front plate 300, and a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420 are provided to form the front plate. Each of the corners 300 forms a corner and a side.

도 6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전면플레이트(300)의 상변(上邊) 일부와 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2부분(420)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제2부분(420)은 전면플레이트(300)의 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분리부(421)와, 상기 분리부(421)와 다른 분리부(421)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연결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 6 illustrates a front view of the front plate 300. For example, the second portion 420 positioned at a part of an upper side and an upper right corner of the front plate 300 is shown. Looking at, the second portion 420 is a separating portion 421 which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front plate 300, and a connect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separating portion 421 and the other separating portion 421 ( 422).

상기 분리부(421)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측면 즉, 도면에서 볼 때 좌측 하단 모서리 부분이 상기 제1부분(400)의 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422)는 분리부(421)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각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는 분리 부(421)와 분리부(42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The separating part 4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inner surface, that is, the shape of the lower left corn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ight corn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in the drawing It is formed to have, and the connection portion 42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having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portion 421 separation portion 421 forming each corn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300 ) And the separation unit 421.

또한, 상기 분리부(421)와 연결부(42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part 421 and the connection part 422 may be formed integrally, or may be separately formed.

따라서, 상기 분리부(421)는 상기 제1부분(400)의 각 모서리 부분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1부분(400)의 각 모서리 부분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분리부(421)와 다른 분리부(421)의 사이에 상기 연결부(422)가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제2부분(420)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제2부분(420)에 의해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테두리 부분이 형성된다.Therefore, the separating part 421 is positioned outside the corners of the first part 400, and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part 421 located outside the corners of the first part 400. As the connecting portion 422 is positioned between the 421, the second portion 420 is formed, and the edge portion of the front plate 300 is formed by the second portion 420.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상변(上邊)을 형성하는 상기 제2부분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422)는 양 측방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분리부(421)보다 세로 방향의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된다. 연결부(422)의 세로 방향 길이가 분리부(421)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됨으로써 전면플레이트(300)의 상변 중앙부에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공간이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 6, in detail, the second part forming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late 300 is described in detail, and the connection part 422 is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part (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at of 421. Since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422 is short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eparating portion 421,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late 300.

이와 같이,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각 변 중앙부에 일정 면적을 가지는 공간에 의해 상기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에서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으로 재투입되는 통로가 제공되며, 이러한 통로가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배기부(304)가 된다. As such, a passage is provided in which air that has been harmoniz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is re-introduced into the interi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by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t the center of each side of the front plate 300. A passage is the exhaust 304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배기부(304)에는 배기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상기 배기루버(306)가 제공되며, 배기루버(306)는 배기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뿐 아니라, 상기 실내기(200)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배기부(304)를 차폐하여 실내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exhaust unit 304 is provided with the exhaust louver 306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air, the exhaust louver 306 not only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air, but also controls the indoor unit 200. When not in use, the exhaust unit 304 is shielded to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unit 200.

상기 분리부(421)에는 상기 배기루버(306)의 회동을 제어하는 루버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며, 이러한 루버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배기루버(306)가 회동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배기할 수 있게 된다. The separation unit 421 is equipped with a louver moto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exhaust louver 306, the exhaust louver 306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louver motor while the user desire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xhaust the harmonized ai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422)의 한쪽 측면이 상기 분리부(421)와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쪽 측면이 다른 분리부(421)와 체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6에서 볼 때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우측 상단부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분리부(421)와 그 좌측에 위치하게 되는 연결부(422)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42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paration unit 421, and the other side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separation unit 421. 6, the separating part 421 located at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front plate 300 and the connecting part 422 positioned at the left side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상기 제2부분(420)은 전면플레이트(3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분리부(421)와 각 변(邊)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연결부(422)가 각각 결합되면서 형성되고, 이러한 다수의 제2부분(420)이 서로 체결됨으로써 전면플레이트(300)의 테두리 부분이 형성된다. The second portion 420 forming an edge of the front plate 300 is the separation portion 421 and each side of the front plate 30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each side The connecting portions 422 are formed while be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42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n edge portion of the front plate 300.

이처럼, 상기 제2부분(420)은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As such, the second portions 42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are configured to be interchangeable with each other, so that assembly and productivity are improved.

따라서, 다수의 상기 제2부분(420)이 상기 제1부분(400)과 체결되면서, 하나의 상기 전면플레이트(300)를 형성하게 되고, 이들은 각각의 색상으로 제작되거나, 동일한 색상으로 제작되어 전면플레이트(300)의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다. Thus, a plurality of the second portion 420 is fastened to the first portion 400, thereby forming one front plate 300, these are made of each color, or the same color is made of the front Various representations of the plate 300 are enabled.

즉,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2부분(420)과 다른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제2부분(420)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제작하여 상기 제1부분(400)과 체결시키게 되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각각의 제2부분(420)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인접한 제2부분(420)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된다. That is, the second part 420 positioned at the posi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part 420 positioned at the position facing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are manufactured in different colors and fastened to the first portion 400. In this case, each of the second portions 420 locat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is formed of the same color, and the other adjacent second portions 420 are formed of different colors.

이와 같이, 상기 제1부분(400)과 체결되는 상기 제2부분(420)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다양한 색상의 변화는 실내 공간의 이미지와 어울리도록 상기 실내기(200)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실내 공간의 이미지가 변화하게 되더라도, 그와 어울리는 디자인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As such, the color of the second part 420 fastened to the first part 400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e indoor unit 200 may be installed to match the image of the indoor spa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nd even if the image of the interior space is change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to match it.

이하에서는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체결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fastening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부분(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두리 부분의 외측면이 상기 제2부분(420)의 내측면 일부와 체결되면서 상기 실내기(200)의 전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1부분(400)과 제2부분(420)은 서로 직접 체결되기도 하며, 제3부분(440)이 사용되어, 제2부분(420)이 제1부분(40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rtion 400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200 while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is engaged with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420. Accordingly, the first portion 400 and the second portion 420 may b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third portion 440 may be used to selectively separate the second portion 420 from the first portion 400. Can be loca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부분(420)이 상기 제1부분(40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제3부분(440)이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that the third portion 440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portion 420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first portion 400.

먼저, 상기 제1부분(400)과 상기 제2부분(420)의 위치를 살펴보면, 제1부분(400)의 각 모서리 부분 외측에 제2부분(420)의 상기 분리부(421) 모서리 부분 내측이 가장 인접한 위치를 가지게 된다. 이처럼, 제1부분(400)과 제2부분(420)은 제1부분(400)의 각 모서리 부분 외측에 분리부(421)의 모서리 부분 내측이 가장 인접하도록 위치하게 됨으로써 그 위치에 상기 제3부분(440)이 개입되어, 제2부분(420)이 제1부분(40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First, referr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portion 400 and the second portion 420, the inner side of the separation portion 421 of the second portion 420 outside the corner portions of the first portion 400. This will have the nearest location. As such, the first portion 400 and the second portion 420 are positioned so that the inner sid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separating part 421 is closest to the outer side of each corn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so that the third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third position. The portion 440 is interposed so that the second portion 420 is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first portion 400.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실내기(200) 전면의 상측 변(邊) 일부를 형성하면서, 전면 우측 상단부 모서리를 형성하게 되는 상기 제2부분(420)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for example, while forming a part of an upper side of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200 and forming a front upper right corner.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일 부분을 나타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doo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1부분(400)과 제2부분(420), 제3부분(440)을 살펴보면, 상기 분리부(421)의 내측 모서리 부분의 내측면과 상기 제1부분(400)의 모서리 부분 외측면이 가장 인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22)의 세로 방향 길이가 분리부(421)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분리부(421) 모서리 부분의 내측면과 제1부분(400) 모서리 부분의 외측면이 가장 인접하도록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Looking at the first portion 400, the second portion 420, and the third portion 440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separator 421 and the first portion 400 are described.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c) is positioned to be closest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422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eparation part 421, the inner side of the corner part of the separation part 421 and the outside of the corner part of the first part 400 are formed. The side is positioned to be the nearest.

이와 같이, 상기 제1부분(400)과 제2부분(420)의 가장 인접하도록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상기 제3부분(440)이 개입된다. 따라서, 제3부분(440)은 제1부분(400) 모서리 부분의 외측면 및 제2부분(420)의 상기 분리부(421) 내측면 형상과 대응되 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As such, the third portion 44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400 and 420. Therefore, the third portion 44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ng portion 421 of the second portion 420.

물론, 제2부분(420)이 제1부분(40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3부분(440)의 기능으로 인해,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due to the function of the third part 440 provided to allow the second part 420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first part 400, various shape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will be possibl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부분(440)이 상기 제1부분(4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ird portion 440 is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400 in a sliding man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실내기(200)의 전면 중심부를 내측이라 가정하게 될 때, 상기 제3부분(440)의 내측면은 상기 제1부분(400)의 모서리 부분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은 상기 제2부분(420)의 상기 분리부(421) 모서리 부분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When it is assumed that the front center of the indoor unit 200 is the inner side,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44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the outer surface is The second portion 4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separation unit 421.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제3부분(440)을 전체적으로 보면,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제1부분(400)의 모서리 부분 외측면과 상기 제2부분(420)의 모서리 부분 내측면의 형상에 따라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도면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3부분(440)은 하나의 부품 즉,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일체형이 아닌 각각의 부분이 체결되면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Looking at the third portion 440 as described above as a who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42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formed to be bent while having a certain degree of curvature, and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 shape in the drawings. The third part 440 may be formed of one component, that is, integrally, or may be formed while the respective parts are fastened rather than integrally formed.

상기 제3부분(440)은 내측면이 상기 제1부분(400)의 모서리 부분 외측면과 체결되고, 외측면이 상기 제2부분(420)의 모서리 부분 내측면과 체결된다. 이와 같은, 제3부분(440)은 제1부분(400)의 각 변(邊) 외측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배기부(304)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부분(4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portion 440 has an inner side fastened to the outer sid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and an outer side thereof is fastened to the inner 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420. As such, the third portion 440 may have respective corners of the first portion 400 so as not to affect the exhaust portion 304 positioned at the outer center portion of each side of the first portion 400. It is preferred to be located at the part.

따라서, 상기 제3부분(440)의 가로 방향 길이는 상기 분리부(421)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그 양측 단부가 상기 배기부(304)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위치하지 않게 되는 길이만큼 형성된다. 물론, 제3부분(440)이 배기부(304)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ly,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third portion 440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paration part 421,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not positioned to the portion where the exhaust part 304 is located. Is form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third portion 440 to be located at another location that does not affect the exhaust 304.

상기 제3부분(440)의 가로 방향 길이가 상기 분리부(42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분리부(42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면, 제3부분(440)에 의해 배기부(304)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의 양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third part 44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part 421, but if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part 421, the exhaust part may be formed by the third part 440. Affecting the amount of air exhausted through 304 is undesirable.

한편, 상기 제2부분(420)이 상기 제1부분(400)에 슬라이딩하면서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제3부분(440)이 제1부분(400)의 모서리 부분 외측면과, 제2부분(420)의 내측면 사이에 개입된다. 즉, 제1부분(400)의 외측면과 제3부분(440)의 내측면이 체결되고, 제2부분(420)의 내측면과 제3부분(440)의 외측면이 체결되면서, 제2부분(420)이 제1부분(40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Meanwhile, in order for the second part 420 to be coupled to the first part 400 while sliding, the third part 440 may be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corner part of the first part 400 and the second part 420. Is interposed between the medial side of the.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4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440 is fasten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art 4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part 440 are fastened, so that the second surface is fastened. Portion 420 is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from first portion 400.

상기 제1부분(400)의 외측면과 상기 제3부분(440)의 내측면에는 제1부분(400)과 제3부분의 체결을 위한 제1체결부(410)가 형성되며, 제3부분(440)의 외측면과 상기 제2부분(420)의 내측면에는 제3부분(440)과 제2부분(420)의 체결을 위한 제2체결부(430)가 형성된다.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for fastening the first part 400 and the third part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part 400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hird part 440. A second fastening part 430 for fastening the third part 440 and the second part 42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44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art 420.

상기 제1체결부(410)는 상기 제1부분(400)의 모서리 부분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412)와 상기 제3부분(44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412)가 수용되는 체결돌기홈(4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돌기(412)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1부분(4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돌기(412)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외측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측 단부는 양 측방으로 플랜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체결돌기(412)는 도면에서 볼 때,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fastening portion 41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and the third portion 440 protruding outwar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 412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is received.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have a certain degree of strength,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ortion 400.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protruded to the outside while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e protruding outer end is formed to have a flange shape on both sides.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체결돌기(412)는 일정 곡률을 가지는 제1부분(400)의 모서리 부분 외측면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체결돌기(412)는 상기 제3부분(440)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돌기홈(414)에 수용된다. 즉, 체결돌기홈(414)은 체결돌기(4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수량으로 형성되어 체결돌기(412)를 내부에 수용하게 된다.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accommodated in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formed in the third portion 440. That is,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is formed in a quantity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to accommodate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therein.

상기 체결돌기홈(414)은 그 상면이 개구되고, 그 하면은 차폐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상면으로부터 상기 체결돌기(412)가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돌기홈(414)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이처럼, 체결돌기(412)가 체결돌기홈(414)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면, 상기 제3부분(440)이 상기 제1부분(400)과에 체결된다. 그리고, 체결돌기홈(414)의 개구된 상면으로 체결돌기(412)가 이탈하게 되면, 제3부분(440)이 제1부분(400)으로부터 분리된다.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has an upper surface of which is opened, and a lower surface thereof is formed in a shielded shap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slid from the opened upper surface to be recei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As such,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the third part 440 is fastened to the first part 400.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the third part 44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art 400.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3부분(440)의 내측면을 상기 제1부분(400)의 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 외측면에 인접시킨 다음, 제3부분(4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돌기홈(414)의 개구된 상면을 상기 체결돌기(412)의 하면 하측에 위치하도록 제3부분(440)을 위치시키게 된다. Looking at it in detail,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440 is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first portion 400, and then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440 ( The third portion 440 is positioned so that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414 is position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상기 체결돌기홈(414)의 개구된 상면이 상기 체결돌기(412)의 하면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3부분(44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3부분(44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체결돌기(412)의 하단부가 체결돌기홈(414)의 개구된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면서 체결돌기홈(414)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When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14 is position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the third portion 440 is moved upward. When the third portion 440 is moved upward,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recei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while being drawn in from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상기 제3부분(440)을 계속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체결돌기홈(414)의 내부에 상기 체결돌기(412)가 완전히 수용되면, 제3부분(440)은 상기 제1부분(400)과 체결이 완료된다.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completely received inside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by continuously moving the third part 440 upward, the third part 440 is fastened with the first part 400. Is completed.

한편, 상기 제3부분(440)의 상면에는 보조체결부(442)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체결부(442)는 대략 상방으로 갈수록 전면이 후방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그 내측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fastening portion 442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440. The auxiliary fastening portion 442 is formed to have a rear inclination toward the upper direction.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narrower toward the upper side, the inn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toward the upper side.

상기 보조체결부(442)의 하면은 그 내측 끝 부분이 상기 제3부분(440)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fastening portion 442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while the inner end portion thereof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third portion 440. And it is formed so that it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상기 보조체결부(442)는 상기 제3부분(440)이 상기 제1부분(400)과 체결하게 될 때 그 체결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구비된다. 물론,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보조체결부(442)만으로 제3부분(440)의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 auxiliary fastening part 442 is provided in plurality in order to maintain the fastening force when the third part 440 is fastened to the first part 40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in plurality, it is also possible to be able to maintain the fastening force of the third portion 440 by only one auxiliary fastening portion 442.

상기 제3부분(440)은 상기 제2부분(420)의 모서리 부분 내측면과 일체로 형성되기도 하며, 제2부분과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기도 한다. The third portion 44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42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portion and fastened to each other.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부분(400)과 제3부분(440)의 분리를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epara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and the third portion 4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상기 실내기(2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테두리 부분을 이루는 다수의 상기 제2부분(420) 가운데 일부의 제2부분(420)이 파손 또는 변색 및 다른 사유의 발생으로 교체하거나, 서비스 인원이 실내기(200)의 내부 부품 확인 또는 수리를 위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일부 다시말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부분(420)을 전면플레이트(3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The second part 420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rts 420 forming the edge portion of the front plate 300 that the user forms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200 is damaged or discolored and other causes Or a service person separates one or more second parts 420 from the front plate 300, that is, part of the front plate 300 for checking or repairing the internal parts of the indoor unit 200. .

이때, 사용자 또는 서비스 인원이 상기 보조체결부(442)의 체결력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인원이 보조체결부(442)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체결력을 해제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user or service personnel to release the fastening force of the auxiliary fastening unit 442. This releases the tightening force by the user or service personnel leaving the auxiliary fastening portion 442 from the first portion.

상기 보조체결부(442)를 상기 제1부분(40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살펴보면, 보조체결부(442)의 상단부가 사용자 또는 서비스 인원에 의해 제1부분(400)의 외측 방향 다시 말해, 상기 제2부분(4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Looking at the detachment of the auxiliary fastening unit 442 from the first portion 400,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fastening unit 442 by the user or service personnel, that is to say outward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400,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parts 420 are located.

이처럼, 상기 보조체결부(442)의 상단부가 상기 제2부분(4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보조체결부(442)는 자체 탄성에 의해 휘어지면서, 그 하면이 상기 제1부분(400)의 테두리 방향으로 이탈되어 그 체결이 해제된다. As such, whe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fastening portion 442 receives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ortion 420 is located, the auxiliary fastening portion 442 is bent by its elasticity,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the first portion. Departed in the rim direction of 400, the fastening is released.

상기 보조체결부(442)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3부분(440)은 상기 체결돌기(412)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홈(414)이 안내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제3부분(440)의 하방 이동이 가능하게 되면, 그 외측면에 체결되어 있는 상기 제2부분(420)이 제3부분(440)과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fastening of the auxiliary fastening part 442 is released, the third part 440 may be moved downward while the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14 is guided by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As such, whe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third portion 440 is enabled, the second portion 420 fastened to the outer side surface thereof moves downward simultaneously with the third portion 440.

상기 제3부분(44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2부분(420)이 하방으 로 이동하게 되면, 제2부분(420)의 일 부분 다시 말해,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테두리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분리부(421)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second portion 420 moves downward while the third portion 440 moves downward, one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420, that is, the edge edge portion of the front plate 300 is moved. The separation unit 421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is moved.

이와 같이, 상기 제2부분(42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면플레이트(300) 테두리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분리부(421)가 먼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른 일부분 즉, 상기 연결부(422)는 전면플레이트(300) 테두리 부분의 다른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제2부분(420)에 놓이게 된다. As such, when the second portion 420 moves downward, the separation part 421 located at the edge of the front plate 300 is first moved downward, and the other portion, that is, the The connection part 422 is placed on the second part 420 which is located at the other edge part of the edge of the front plate 300.

이는 상기 제2부분(420)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분리부(421)는 상기 제3부분(440)과 체결되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300)의 어느 한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 부분 즉, 상기 연결부(422)는 다른 제2부분(420)과 체결되거나 결합됨에 따라 제3부분(440)의 이동에 따라 분리부(421)가 이동하게 되더라도, 연결부(422)는 그대로 위치해 있게 된다. The separation part 421 forming a part of the second part 420 is located at one corner of the front plate 300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third part 440. In addition, even if the separating part 421 moves as the third part 440 moves as the connection part 422 is coupled to or coupled to another second part 420, the connection part 422 is positioned as it is.

따라서, 상기 제3부분(44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부분(420)의 일 부분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른 일 부분은 다른 제2부분(420)에 위치해 있게 된다. 이때, 다른 제2부분(420)에 위치하게 되는 제2부분(420)의 일부를 다른 제2부분(420)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제2부분(420)이 상기 제1부분(400)으로부터 분리된다. Therefore, when the third portion 440 moves downward, one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420 moves downward, and the other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other second portion 420. In this case, when a part of the second part 420 located in the other second part 420 is separated from the other second part 420, the second part 4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art 400. do.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components. However,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2 is an installation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을 나타낸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일부분을 보인 확대 사시도.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실외기 120. 냉매배관100. Outdoor unit 120. Refrigerant piping

200. 실내기 210. 베이스200. Indoor unit 210. Base

212. 베이스프레임 220. 캐비넷212.Baseframe 220.Cabinet

230. 제1열교환기 240. 실내팬230. First heat exchanger 240. Indoor fan

242. 팬모터 244. 모터마운트242. Fan motor 244. Motor mount

250. 드레인팬 252. 오리피스홀250.Drain pan 252.Orifice hole

260. 오리피스 300. 전면플레이트260. Orifice 300. Front plate

302. 흡기부 304. 배기부302. Intake section 304. Exhaust section

306. 배기루버 310. 흡입그릴306. Exhaust louver 310. Suction grill

312. 에어필터 320. 중앙플레이트312.Air filter 320.Center plate

340. 분리플레이트 350. 분리장치340. Separator plate 350. Separator

352. 탈착돌기 354. 돌기홈352. Detachable protrusion 354. Protrusion groove

360. 보조장치 400. 제1부분360. Auxiliary Devices 400. First Part

410. 제1체결부 412. 체결돌기410. First fastening part 412. Fastening protrusion

414. 체결돌기홈 420. 제2부분414. Fastening protrusion groove 420. Second part

430. 제2체결부 440. 제3부분430. Second Fastening Part 440. Third Part

442. 보조체결부442. Assistance

Claims (9)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플레이트;A front plate forming a front appearance;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부를 형성하며, 공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 An air flow portion forming part of the front plate and providing a flow passage of air;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전면플레이트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분리플레이트가 포함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A ceiling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ich forms another part of the front plate and includes a separation plate that is selectively removable from the front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리플레이트는 일체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The separation plate is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tegral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리플레이트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The separation plate is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공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1부분; A first portion providing a flow passage of air; 상기 제1부분에서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다수의 제2부분; 및A plurality of second portions capable of selective separation in the first portion; And 상기 제2부분의 선택적 분리를 위하여 제공되는 제3부분이 포함되어 전면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third portion provided for the selective separation of the second portion is configured to the fron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2부분에는 상기 제1부분에서 유동되는 공기와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동 통로가 마련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The second indoor unit is a ceiling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n air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having a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than the air flowing in the first portion flow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부분에는 상기 제3부분과 체결되는 제1체결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The first indoor unit is a 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first fastening portion fastened to the third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2부분에는 상기 제3부분과 체결되는 제2체결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third portion to the second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2부분은,The second part, 상기 제3부분과 체결되어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분리부; 및 A separation part coupled to the third part and capable of selective separation; And 상기 분리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공기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separation unit to form an air flow passage.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분리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Ceiling typ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paration unit.
KR1020070096992A 2007-09-21 2007-09-21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air conditioner KR200900311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992A KR20090031129A (en) 2007-09-21 2007-09-21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992A KR20090031129A (en) 2007-09-21 2007-09-21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129A true KR20090031129A (en) 2009-03-25

Family

ID=4069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992A KR20090031129A (en) 2007-09-21 2007-09-21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112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52928B (en) Air conditioner
EP1876396B1 (en) Air conditioner
EP1918657A2 (en) Air conditioner
US9335060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0439802C (en) Air conditioner
KR20160081719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80051974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1268317B (en) Grill and filter assembly for an evaporator unit
KR20080075632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5692136B2 (en) Air conditioner
CN213747061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KR20090031129A (en)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air conditioner
KR20180113711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090043361A (en) A ventilation air-flow structure for indoor unit of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JP2013174399A (en) Built-in type air conditioner
CN100572942C (en) Air-conditioner
KR20070069537A (en) Air-condition
CN217082725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00040597A (en) Stand type air conditioner
CN217209577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3079773A (en) Air conditioner
CN215723643U (en) Indoor air conditioner
KR20070069538A (en) Air-condition
CN215675490U (en) Air outlet device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with same
KR20110027509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