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784A - 포션 패키지 - Google Patents

포션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784A
KR20090029784A KR1020097000250A KR20097000250A KR20090029784A KR 20090029784 A KR20090029784 A KR 20090029784A KR 1020097000250 A KR1020097000250 A KR 1020097000250A KR 20097000250 A KR20097000250 A KR 20097000250A KR 20090029784 A KR20090029784 A KR 20090029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package
base
upp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히스베르트 폴렌
Original Assignee
이지컵 인터내셔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컵 인터내셔날 엘티디. filed Critical 이지컵 인터내셔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029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젤리, 겔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반유동체 제품을 위한 포션 패키지는 적어도 거의 평평한 상부 모서리(13)를 가지며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벽(12)이 연장하는 베이스(11)를 가지는 욕조 모양의 컨테이너(1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모서리는 포일(14)가 제공되어 컨테이너의 제품 공간을 밀봉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제품 공간과 베이스(11) 사이의 양 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상부 모서리(13) 벽의 높이 일부분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양 측에 연속되어 형성되는 디포밍 존(deforming zone)을 포함한다.
포션 패키지

Description

포션 패키지{PORTION PACKAGE}
본 발명은 젤리(jelly), 겔(gel) 또는 특히 페이스트(phaste)와 같은 반 유동체 제품을 위한 포션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포션 패키지는 전체 둘레를 따라 벽이 연장하는 베이스(base)를 가진 압축가능한 욕조 모양의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벽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제품 공간을 닫기 위해 포일이 부착되는 상부 모서리까지 연장한다.
전문에 설명된 타입의 포션 패키지는 본 출원인의 유럽 특허 출원 제 880 455호로부터 알려진다. 상기 유럽 특허 출원에 기술된 포션 패키지는 제품 공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스탠딩 벽을 구비한 적당한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욕조 모양의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벽에 마련된 콘서티나 구조(concertina structure)에 의해서 상기 컨테이너는 전체로서 높이 방향을 따라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스탠딩 벽의 상부 모서리에 유출구(pouring spout)가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측의 다른 부분과 같이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품 공간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 모서리에 부착되는 알루미늄 포일에 의해 덮이고 이로 인해 상기 제품 공간을 밀봉한다. 상기 패키지로부터 상기 제품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포일은 상기 유출구 위치에서 떼어 지고 일반적인 유동체 내용물은 상기 벽이 압축되는 동안 상기 유출구를 통해 쏟아지게 된다.
공지된 포션 패키지는 커피 크림 및 시럽과 같은 상대적으로 얇은 유동체 제품의 경우에는 사용하기 쉽다는 점에서 큰 발전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좁은 유출구를 가진 이러한 패키지는 상기 패키지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거나 거의 떨어지지 않는 겔, 젤리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반유동체 제품에 대해서는 덜 실용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유동체 상태 또는 제품의 처리는 구체적인 장점들을 가지고, 반유동체 제품이 적용되는 포션 패키지는 가치가 있다.
반유동체 제품을 위한 포션 패키지는 유럽 특허 출원 제359 847호를 통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알려진 포션 패키지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서로 연통되는 구획들(compartments)을 가지는 욕조 모양의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내용물은 밴딩 존(bending zone)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다. 상기 벤딩 존의 위치에서 상기 클로징 포일(closing foil)은, 상기 벤딩 존 위치에서 상기 2개의 구획들의 내용물을 방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정렬된 찢음선(tear-line)을 따라 상기 클로징 포일에서부터 방출되는 스트립(strip)을 포함한다. 상기 벤딩 존을 따라 서로를 향해 상기 패키지의 상기 구획들을 뒤로 접음으로써, 원한다면 한 손만으로 상기 패키지의 상기 2개의 구획들에서부터 내용물을 강제로 꺼낼 수 있다.
공지된 패키지는 한 손을 사용하여 상기 패키지에서 내용물을 제거할 수 있지만, 이러한 목적(한 손으로 내용물을 제거하는 것)을 위해 상기 내용물이 상대적으로 유동체(fluid)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지의 패키지는 특히 젤리 및 젤라틴 제품(gelatinous product)와 같이 더 형태를 유지하는 반유동체 제품에는 덜 적합 하다. 게다가, 공지의 패키지의 경우는 꽤 많은 내용물의 찌꺼기가 항상 패키지의 벽에 붙고 패키지에 남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느 정도 형태를 유지하는 반유동체 제품에도 특히 적합하고 한 손으로 취급할수 있는 전문에서 언급된 타입의 포션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에 언급된 타입의 포션 패키지는 상기 컨테이너가 디포밍 존(deforming zone)을 포함하는 발명에 따른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디포밍 존은 적어도 거의 쐐기 형상(wedge shaped)의 중간 공간(intermediate space)을 정의하고, 중간 공간은 마주하는 벽의 일부분 및 컨테이너의 바닥측을 개방하며 상기 컨테이너의 높이의 일부분에만 걸쳐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한다. 또한, 전문에 언급된 타입의 포션 패키지는 상기 제품 공간이 깊이(depth) 보다 작은 폭(width)을 가지는 상기 디포밍 존의 어느 일측에서 서로 연통하는 구획들을 포함하는 발명에 따른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는 예를 들어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쉽게 움켜잡을 수 있으며, 거의 직선방향으로 상기 패키지의 내용물을 강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서 함께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가 그 측면들에서부터 함께 압착된 후에 상기 쐐기 형상의 중간 공간은 크기가 작아진다. 상기 디포밍 존은 부피 감소로 인해 반유동체 내용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상기 패키지의 통제되고 거의 기본적으로 미리 결정된 측면 압축을 제공한다.
상기 패키지의 과도한 변형은 상기 쐐기 형상의 중간 공간이 상기 패키지의 높이의 일부분에만 걸쳐 확장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측까지 연장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벽은 상기 높이의 나머지 부분들 보다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형태를 유지한다. 상기 구획들에 적용된 높이 대 폭의 비율에 따라 특히 거의 형태를 유지하는 반유동체 내용물은 점착성을 유지하고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찌꺼기 없이 내용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서 한 손만 사용하더라도 반유동체 제품은 상기 패키지에서 거의 완전하게 배출될 수 있다.
쐐기 형상의 중앙 공간을 가진 디포밍 존은 유리하게 완벽히 매끈한 형상을 얻을 수 있으며, 제품을 위한 맞물림 표면(engaging surface)을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상기 구획들이 폭 보다 거의 2개의 깊이를 가지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포션 패키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특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에서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포션 패키지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베이스에서부터 상기 상부 모서리를 향하여 상기 디포밍 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서 넓어지는 발명에 따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의 벽의 넓어짐으로 인하여 상기 패키지에서부터 상기 내용물을 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미학적으로 구현한 본 발명의 포션 패키지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타원형 단면을 가진다. 상기 패키지의 매력적인 디자인에 의하여 상기 내용물이 긍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디자인은 상기 컨테이너에서 상기 제품의 바람직한 배출을 향상시킨다.
상기 컨테이너의 벽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초기에는 상기 패키지의 내용물에 상대적으로 큰 사출력(ejecting force)을 가하고 이어서 더 적당한 힘을 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의 실시예는 상기 디포밍 존이 상기 베이스에서부터 처음에는 적어도 거의 쐐기 모양이 되고, 이어서 적어도 거의 슬릿 모양이 되는 중간 공간을 정의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로 인해 일정한 측방향 힘의 수직 성분은 바람직한 힘의 적용에 따른 거의 슬릿 모양 부분의 직선 부분 보다 쐐기 모양 부분에 걸쳐 꽤 많이 커지게 된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션 패키지는 상기 컨테이너의 벽이 상기 디포밍존으로부터 떨어진 일측에 형성된 그리핑 수단(gripping mean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션 패키지의 실시예는 상기 그리핑 수단이 상기 컨테이너의 벽에 형성된 릴리프(relie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상기 벽이 상기 컨테이너의 베이스의 가까이 있는 상기 그리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그리핑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의 벽을 잘 잡을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가 압축될 때 손가락 사이에서 상기 컨테이너가 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포션 패키지는 여러 가지 물질들 및 물질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는 포션 패키지의 실시예는 상기 컨테이너가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염산의 그룹 중 하나 이상 선택한 다층(multilayer) 물질로 형성되고,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염산 및 폴리프로필렌의 그룹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런 물질은 비교적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열성형(thermo-forming), 특히 진공 성형(vacuum-(de)forming)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점은 생산 비용을 현저하게 제한한다.
상기 포션 패키지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컨테이너가 알루미늄 및 폴리프로필렌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형성된 층을 가진 다층 포일에 의해 닫혀지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하 다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관련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션 패키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부 사시이다. 도 2는 도 1의 포션 패키지의 제1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션 패키지의 제2사시도, 즉, 도 1과 다른 시각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포션 패키지의 바닥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들은 완전히 개략적인 것이고, 자세한 것은 아니다. 명확성을 위해 어떤 치수들은 보다 더 크게 또는 보다 더 작게 과장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된다.
도 1에 도시된 포션 패키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적합한 플라스틱으로부터 예를 들어 열성형(thermo-forming) 특히 진공 성형(vacuum- forming)에 의해 제조되는 거의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욕조 모양의 컨테이너(1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비교적 얇은 벽 형상이고, 제품을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중공(hollow)의 제품 공간을 둘러 싼다.  상기 컨테이너의 베이스(11)에서부터 상부 모서리(13)까지 모든 둘레를 따라 위쪽으로 벽(12)이 연장한다.  상기 컨테이너의 제품 공간을 밀봉하는 얇은 포일(14)이 상부 모서리(13)에 부착된다.  통상 포일(13)은 알루미늄 포일 또는 선택적으로 금속이 씌워진 플라스틱 포일,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제품 공간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하기에 앞서 상부 모서리(13)에서 거의 완전히 최소한 손으로 상기 포일이 쉽게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풀 탭(pull tab) (미도시)이 포일(1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 따른 상기 패키지는 특히 소비되거나 최소한 응용되는 음식물, 예를 들면 젤리, 젤라틴 제품,겔 또는 페이스트와 같이 어느 정도 형태를 유지하는 반유동체 제품에 특히 적합하고 이러한 반유동체 제품에의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한 손을 사용하여 찌꺼기가 거의 없도록 상기 패키지로부터 이러한 제품들을 제거하기 위해, 컨테이너(10)는 그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디포밍 존(deforming zone)을 구비한다.  디포밍 존은 벽(12)의 마주하는 부분들(16)과 컨테이너의 바닥측(11)을 개방하는 중간 공간(15)을 정의한다.  여기서, 중간 공간(15)은 적어도 상당히 비교적 분명한 쐐기 형상을 가지는 부분(15A)을 초기에 포함하고, 부분(15A)는 거의 실질적으로 슬릿 모양으로 된 부분(15B)으로 바꾸어 진다.
상기 컨테이너의 중간 공간(15)과 상부 모서리(13) 사이에는 사용하는 동안 상기 패키지를 과도하게 죄이는 것을 방지하는 벽(12)의 실질적인 부분(12 A)이 있다. 중간 공간(15)은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제품 공간을 2개의 서로 연통하는 구획들(16,17)로 분할한다. 상기 2개의 서로 연통하는 구획들(16,17)은 깊이 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 폭 보다 2배 이상 깊이 형성된 구획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구획들의 폭과 깊이의 비율은 상기 구획들(16,17)로부터 반유동체의 내용물이 직선적으로, 찌꺼기가 없도록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구획들의 어느 일측에서 상기 컨테이너에 적절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포일(14)이 제거되고, 구획들(16,17)은 서로를 향해 어느 정도 움직이고 내부를 향해 움푹 들어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바닥에서 상기 제품 공간이 좁아지게 되고, 감소하는 부피에 상응하여 상기 패키지의 내용물은 밖으로 배출된다. 이것은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 사이에 상기 컨테이너를 잡고 압착함으로써 한 손만 사용하여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의 매끄러운 안쪽은 상기 패키지에서 상기 제품이 찌꺼기 없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것은 상기 베이스에서부터 상부 모서리(13)까지 벽 (12)이 점차 넓어지게 함으로써 더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립(grip)을 개선하기 위해, 구획들(16,17)의 각각의 외부 벽들에는 예를 들어 돌기(protrusions), 봉우리(ridges), 리세스(recesses) 또는 다른 릴리프(relief)의 형태로 형성된 그리핑 수단이 제공되어, 손가락들 사이에서 상기 컨테이너가 미끄러지는 위험 없이 더 많은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리핑 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가까운 상기 벽 위 또는 내부에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한층 더 설명되었지만, 그것에 의해서 결코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을 분명하다. 그와는 반대로, 당업자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예들 및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콘서티나 구조(concertina structure)가 쐐기 형상의 중간 공간 대신에 상기 컨테이너의 베이스과 벽에 적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적용하는 대신에, 상기 컨테이너는 또한 또 다른 적합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포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 재료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염산 및 폴리에스테르의 그룹,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염산(PET) 및 폴리프로필렌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층 물질이 적합하다. 적용된 물질은 포장(packaging)을 위해 상품들의 성질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디자인에 관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포션 패키지는 또한 다른 형태가 될 수 있다.  특히 직사각형 또는 둥글거나 방울 형태의 단면 또한 여기에 적용될 수 있다.  단지 부분적으로 쐐기 형상 대신에, 디포밍 존의 중간 공간 또한 전적으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원한다면, 연속되는 부분들에서 점진적인 다른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10)

  1. 상부 모서리까지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벽이 연장되는 베이스를 가진 압축 가능한 욕조 모양의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제품 공간을 닫도록 상기 상부 모서리에 포일이 부착되며, 젤리, 겔 또는 페이스트 같은 반유동체 제품을 위한 포션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마주 보는 벽 부분들 및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측을 개방하고 상기 컨테이너 높이의 일부분에만 걸쳐 상기 베이스에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쐐기 모양의 중간 공간을 정의하는 디포밍 존(deforming zone)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 공간은 깊이 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상기 디포밍 존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서로 연통하는 구획들(compartment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들은 적어도 폭 보다 깊이가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패키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패키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밍 존은 상기 베이스에서부터 처음에는 적어도 거의 쐐기 모양이 되고 이어서 적어도 거의 슬릿 모양이 되는 중간 공간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패키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베이스에서부터 상기 상부 모서리를 향하여 상기 디포밍 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패키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벽은 상기 디포밍존으로부터 떨어진 일측에 형성된 그리핑 수단(gripping mean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패키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 수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벽에 형성된 릴리프(relie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패키지.
  8.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적어도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벽에 가까이 형성된 상기 그리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패키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적합한 플라스틱 및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염 및 폴리에스테르의 그룹,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염 및 폴리프로필렌의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의 다층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패키지.
  10. 제1항 또는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가 알루미늄 및 폴리프로필렌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형성된 층을 가진 다층 포일에 의해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패키지.
KR1020097000250A 2006-06-16 2007-06-15 포션 패키지 KR20090029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32017A NL1032017C2 (nl) 2006-06-16 2006-06-16 Portieverpakking.
NL1032017 2006-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784A true KR20090029784A (ko) 2009-03-23

Family

ID=3844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250A KR20090029784A (ko) 2006-06-16 2007-06-15 포션 패키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2035284A1 (ko)
JP (1) JP2009539717A (ko)
KR (1) KR20090029784A (ko)
CN (1) CN101557993A (ko)
AU (1) AU2007259474A1 (ko)
BR (1) BRPI0713748A2 (ko)
CA (1) CA2655364A1 (ko)
NL (1) NL1032017C2 (ko)
RU (1) RU2009101158A (ko)
WO (1) WO2007145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55059A1 (en) * 2012-02-22 2018-03-01 Flatev Ag Flatbread machine with an automatic flatbread preparation method based on dough capsules and a packaging system
AU2013216680B2 (en) * 2012-05-07 2015-05-07 Premier Nutrition Corporation Puree compositions having specific carbohydrate ratios and methods for using same
JP6065182B2 (ja) 2013-07-01 2017-0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6159A (en) * 1970-04-27 1972-07-11 Grace W R & Co Thermoformed reusable package having a reclosable lid
FR2652061B1 (fr) * 1989-09-21 1992-05-07 Gervais Danone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pour produit a consistance de gel solide.
US6779687B2 (en) * 2002-08-16 2004-08-24 Lisa Vallier Squeezable juice dispenser for bever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32017C2 (nl) 2007-12-18
AU2007259474A1 (en) 2007-12-21
EP2035284A1 (en) 2009-03-18
CN101557993A (zh) 2009-10-14
CA2655364A1 (en) 2007-12-21
RU2009101158A (ru) 2010-07-27
WO2007145525A1 (en) 2007-12-21
JP2009539717A (ja) 2009-11-19
BRPI0713748A2 (pt)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140B1 (ko) 주름진 측벽과 바닥을 가진 용기
EP2004503B1 (en) Portion package and semi-fluid product
US5277920A (en) Packaging for food products
RU2507141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контейнер
US9061796B2 (en) Multi-function condiment container
US20070164045A1 (en) Dual mode container
EP2240378B1 (en) Pour channel with cohesive closure valve and locking bubble
SK6602002A3 (en) Reclosable dispenser package, reclosable outlet forming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20120292340A1 (en) Condiment packet
KR20090029784A (ko) 포션 패키지
ZA200704731B (en) Container with concertina side walls and base
KR20180121610A (ko)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패키지
US20190144198A1 (en) A container for a dispensable product
AU2005319816C1 (en) Container with concertina side walls and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