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038A -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038A
KR20090029038A KR1020070094281A KR20070094281A KR20090029038A KR 20090029038 A KR20090029038 A KR 20090029038A KR 1020070094281 A KR1020070094281 A KR 1020070094281A KR 20070094281 A KR20070094281 A KR 20070094281A KR 20090029038 A KR20090029038 A KR 20090029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guide pins
mobile phone
hinge module
sl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혁
Original Assignee
(주)금성엠티에스
(주)하누리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성엠티에스, (주)하누리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금성엠티에스
Priority to KR102007009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9038A/ko
Publication of KR2009002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타입으로 개폐되는 핸드폰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두께 및 부품의 개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내구성을 증대시켜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핸드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2개로 분리된 분할체들이 서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핸드폰본체와 슬라이드판을 각각 고정할 수 있게 하며, 대향면에는 끼움공들이 각각 형성된 제1,제2슬라이드판; 및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부는 상기 끼움공들을 통하여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들에 각각 탈착되게 연결됨에 의해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들이 서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기다란 봉체를 절곡하여 수평을 이루게 형성한 제1,제2가이드핀과 상기 제1,제2가이드핀들을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가갖도록 신축 작동되게 설치할 수 있는 몸체로 이루어진다.
휴대폰, 슬림, 슬라이드, 탄성부재, 힌지

Description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Slim Sliding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핸드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타입으로 개폐되는 핸드폰에서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전체적인 두께 및 부품의 개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내구성을 증대시켜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핸드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개인별 보급이 보편화됨에 따라 상대방과의 통화라는 기본적 기능 이외에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단말기들은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에서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등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최근 들어 상기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형태로서,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에 비해 사용자의 변해 가는 다양한 기호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는, 핸드폰본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슬라이드판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힌지 모듈이 구비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힌지 모듈은 상호 슬라이드 되게 결합되어 핸드폰본체와 슬라이드판이 각각 설치되는 제1,제2슬라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이 슬라이드 될 때 소정 지점을 지나는 순간부터는 자동적으로 슬라이드 되게 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있어서는, 토션 스프링의 탄성 한계에 기인하여 그 토션 스프링이 피로 파괴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내구성을 저하시켜, 작동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판의 슬라이드시 토션 스프링의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므로, 토션 스프링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1,제2슬라이드판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슬라이드 방식의 핸드폰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므로, 슬라이드 방식의 핸드폰을 소형으로 제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타입으로 개폐되는 핸드폰에서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전체적인 두께 및 부품의 개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내구성을 증대시켜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핸드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개로 분리된 분할체들이 서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핸드폰본체와 슬라이드판을 각각 고정할 수 있게 하며, 대향면에는 끼움공들이 각각 형성된 제1,제2슬라이드판; 및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부는 상기 끼움공들을 통하여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들에 각각 탈착되게 연결됨에 의해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들이 서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기다란 봉체의 중간부를 절곡하여 서로 평행을 이루게 형성한 제1,제2가이드핀과 상기 제1,제2가이드핀을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들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에 상기 제1,제2가이드핀을 신축 작용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게 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제1,제2가이드핀에 소정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1,제2가이드핀이 상기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제2가이드핀의 단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게 상기 삽입공에는 단턱을 형성한 이탈방지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에 의해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된 상기 제1,제2가이드핀의 양측부를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의 끼움공에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2가이드핀의 절곡 부위에 수지로서 몰딩하여 돌출되게 형성한 끼움돌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으로 개폐되는 핸드폰에서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부품의 개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내구성을 증대시켜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이 적용된 휴대폰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슬라이드식 핸드폰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식 핸드폰은 키 입력버튼(10a)이 구비된 핸드폰본체(1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12a)가 구비된 슬라이드판(12)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판(12)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됨에 의해 개폐되는 핸드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는, 상기 핸드폰본체(10)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드판(12)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킬 때, 상기 슬라이드판(12)이 개폐되는 중간위치부터는 상기 슬라이드판(12)이 자동적으로 슬라이드 되게 하기 위한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은, 상기 핸드폰본체(10)와 슬라이드판(12)이 각각 고정되는 제1,제2슬라이드판(110,12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110,120)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상기 핸드폰본체(10)와 슬라이드판(120)을 상하로 슬라이드 개폐되게 한다. 즉,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에는 키 입력버튼(10a)이 구비된 핸드폰본체(10)가 고정되고,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에는 디스플레이부(12a)가 구비된 슬라이드판(12)이 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이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됨에 의해, 상기 핸드폰본체(10)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드판(12)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개폐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110,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판(12)가 개폐되는 중간위치부터 상기 슬라이드판(12)이 자동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소정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130)가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3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110,120)에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끼움공(112,122)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112,122)에 탄성부재(130)의 양측단부를 각각 끼움 고정한다. 이러한 끼움공(112,122)의 형상은 오뚝이 형상 즉, 눈사람 형상으로 형성하여 뒤에서 설명하는, 상기 탄성부재(130) 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31)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a ~도 3b에는,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이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a에는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이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에서 상부로 슬라이드되어 있는 상태이고, 도 3b는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이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에서 하부로 슬라이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이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에서 상하부로 슬라이드될 때, 상기 탄성부재(130)는 어느 일측단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 일측단이 상부와 하부로 이동되게 작동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130)는 스프링(136)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이 상하로 슬라이드될 때, 그 슬라이드 되는 중간 위치를 지나는 지점부터는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이 탄성부재(130)에 의해 자동적으로 슬라이드된다. 즉,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이 슬라이드될 때 상기 탄성부재(130)가 수평을 이루는 위치까지는 탄성부재(130)가 압축되는 상태를 이루고, 이 지점을 지나면서 상기 탄성부재(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이 자동적으로 슬라이드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는 상기 탄성부재(1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130)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신축 작용하는 제1,제2가이드핀(132a,132b)과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몸체(134)와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에 소정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1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은 기다란 봉체의 중간부를 절곡하여 서로 평행을 이루게 형성하며, 상기 절곡 부위에는 수지로서 몰딩하여 상기 끼움공(112,122)에 결합될 수 있는 끼움돌기(131)를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그 반대측 단부에는 걸림턱(138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134)는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을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삽입공(134a)들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134a)들에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을 신축 작용하게 삽입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공(134a)들에는 걸림턱(138a)에 의해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단턱(138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36)은 몸체(134)의 삽입공(134a)들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의 외주를 감싸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핀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30)를 제작하기 위해서, 먼저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을 제작한다.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은 기다란 봉체의 중 간부를 절곡하여 서로 평행을 이루게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절곡 부위를 수지로서 몰딩하여 상기 끼움공(112,122)에 결합되는 끼움돌기(131)를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을 몸체(134)의 삽입공(134a)들에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스프링(136)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삽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136)은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삽입공(134a)에 삽입 설치하여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이 소정 텐션을 보유하면서 신축 작용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34)의 삽입공(134a)에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을 삽입 설치한 후에는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탈방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의 단부에 변형을 주어 걸림턱(138a)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34)의 삽입공(134a)들에는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의 걸림턱(138a)이 걸릴 수 있는 단턱(138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탄성부재(130)는, 구성 부품수가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작에 따른 작업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몸체(134)의 삽입공(134a)에 삽입 설치되는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의 작동이 용이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130)에 의해 슬라이드판(12)가 개폐되는 중간 지점을 지나는 순간부터 자동적으로 개폐되게 하는 것으로,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키 입력버튼(10a)이 구비된 핸드폰본체(1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부(12a)가 구비된 슬라이드판(12)를 상하로 슬라이드시켜 개폐할 때, 상기 탄성부재(130)가 최초에는 스프링(136)에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이 최장의 길이를 유지한 상태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판(12)를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은 스프링(136)을 압축하면서 신축되어 최소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수평 상태로 되고, 이 수평 상태를 지나는 순간부터 상기 스프링(136)의 복원력에 의해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이 신장되면서 슬라이드판(12)가 자동적으로 개폐되게 한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상기 제1,제2가이드핀(132a,132b)의 절곡 부위에 수지로서 몰딩하여 형성한 끼움돌기(131)가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110,120)에 대향 위치에 형성한 끼움공(112,122)내에서 회전되면서 작동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재(130)의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간단히 함은 물론 제조 공정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 원활한 작동으로 인한 제품의 신뢰성을 갖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소정 텐션을 갖도록 신축 작용하는 가이드핀을 최대한 가늘게 구성할 수 있어 얇은 슬라이드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고 하는 가장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이 적용된 휴대폰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핸드폰본체 12 - 슬라이드판
110 - 제1슬라이드판 120 - 제2슬라이드판
130 - 탄성부재 132a,132b - 제1,제2가이드핀
134 - 몸체 136 - 스프링

Claims (2)

  1. 2개로 분리된 분할체들이 서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핸드폰본체와 슬라이드판을 각각 고정할 수 있게 하며, 대향면에는 끼움공들이 각각 형성된 제1,제2슬라이드판; 및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부는 상기 끼움공들을 통하여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들에 각각 탈착되게 연결됨에 의해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들이 서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기다란 봉체의 중간부를 절곡하여 서로 평행을 이루게 형성한 제1,제2가이드핀과 상기 제1,제2가이드핀을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들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에 상기 제1,제2가이드핀을 신축 작용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게 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제1,제2가이드핀에 소정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1,제2가이드핀이 상기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제2가이드핀의 단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게 상기 삽입공에는 단턱을 형성한 이탈방지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에 의해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된 상기 제1,제2가이드핀의 양측부를 상기 제1,제2슬라이드판의 끼움공에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2가이드핀의 절곡 부위에 수지로서 몰딩하여 돌 출되게 형성한 끼움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20070094281A 2007-09-17 2007-09-17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90029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81A KR20090029038A (ko) 2007-09-17 2007-09-17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81A KR20090029038A (ko) 2007-09-17 2007-09-17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038A true KR20090029038A (ko) 2009-03-20

Family

ID=4069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281A KR20090029038A (ko) 2007-09-17 2007-09-17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90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4853B2 (en) 2019-05-09 2021-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idable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4853B2 (en) 2019-05-09 2021-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idable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9086B2 (ja) 移動通信端末機用スライダーアセンブリ
EP2034700A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65720B2 (en) Slid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KR101035126B1 (ko)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408500Y1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90061101A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90029038A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65179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796944B1 (ko)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KR20100009708U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90002804U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006261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단말기
KR101059221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76552B1 (ko) 휴대단말기용 탄성 레버기구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KR20036329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70983B1 (ko) 슬라이드 장치용 스프링 모듈
WO2009072701A1 (en) Elasticity lever mechanism for mobile phone and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156627B1 (ko) 탄성 모듈
KR101419692B1 (ko) 롱 스트로크 힌지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00083053A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개폐기구
KR100788726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200439617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가이드 장치
KR20090002628A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05

Effective date: 200910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77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05

Effective date: 2009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