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057A - Portable editor - Google Patents

Portable ed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057A
KR20090028057A KR1020070093323A KR20070093323A KR20090028057A KR 20090028057 A KR20090028057 A KR 20090028057A KR 1020070093323 A KR1020070093323 A KR 1020070093323A KR 20070093323 A KR20070093323 A KR 20070093323A KR 20090028057 A KR20090028057 A KR 20090028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keyboard
portable
insertion groov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지원
류수민
박지혜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9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057A/en
Publication of KR20090028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0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A portable editor is provided to conveniently edit an electronic document. The first and second cases(10,20) are equipped in left and right of a portable editor(1). The first and second cases are made in square shape. The first and second LCDs(41,42) are equipped in a fron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The first and second LCDs display text editing contents. A foldable keyboard(44) has the first insertion hole so that the foldable keyboard is inserted into a lower outline of the first case. The first and second boards(44a,44b) are connected through a hinge unit(44c) so that a center unit is foldable. Therefore the keyboard is made.

Description

휴대용 문서 편집기 { portable editor }Portable text editor {portable edi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정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x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측면 사시도.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x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저면도.3 is a bottom view of a portable text edit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the portable tex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제1케이스를 수평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ase is rotated horizontall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회로 구성도.6 is a circuit diagram of a portable tex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 휴대용 문서 편집기 10: 제1케이스1: portable text editor 10: case 1

15: 제어판넬 20: 제2케이스15: control panel 20: second case

40: 디스플레이부 41: 제1LCD40: display unit 41: first LCD

42: 제2LCD 44: 키보드42: second LCD 44: keyboard

50: 디지털카메라 60: 펜스캐너50: digital camera 60: pen scanner

100: 프린터 200: 플래시메모리100: printer 200: flash memory

본 발명은 휴대용 문서 편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비즈니스 업무를 위해 전자문서를 작성하되 직장이나 가정 등의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고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xt ed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ocument editor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regardless of a space such as a workplace or home, while creating an electronic document for business work.

통상적으로 직장이나 가정 내에서 전자문서를 편집하는데 PC(퍼스널 컴퓨터)나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a PC (personal computer) or a portable notebook computer is commonly used to edit electronic documents at work or at home.

이때, 상기 PC는 책상 등에 모니터와 본체 및 키보드 등이 설치된 상태이므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작업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작업중인 자료를 다른 장소에서 계속 진행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메모리소자에 저장하거나 메일에 저장하였다가 이동 장소의 PC상에 저장한 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At this time, the PC is installed in a desk, such as a monitor, a main body and a keyboard, it is impossible to move to another place to work, in order to continue the work in another place to store in a portable memory device or stored in an e-mail It has the disadvantage of saving after using it on the PC of the moving place.

특히, 특정 문서편집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작성된 전자문서를 재편집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문서편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PC 등을 사용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In particular, in order to re-edit an electronic document created using a specific document editing software, it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a PC having the same document editing software is installed.

한편,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에는 최근에 많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나, 고가(高價)이며 휴대시에 행동에 많은 제약을 받으며, 이동한 장소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노트북을 펼치고 부팅을 하는 일련의 선행작업과 종료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노트북이 외에 사진을 이용한 편집 등을 위해서는 별도의 디지털 카메라나 스캐너 같은 이미지 입력장치가 연결되어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Portable notebook computers, on the other hand,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in recent years, but they are expensive and are restricted by their behavior when they are portable. And the end work is very inconvenient, and in order to edit using a photo in addition to the notebook had a problem that an image input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or scanner must be connect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전자문서의 편집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xt editor that is portable and easy to use, and which can conveniently edit an electronic docu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문서의 편집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함께 내장한 휴대용 문서 편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ocument editor incorporating various functions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전원부와 제어판넬이 내장되며 접거나 펼쳐지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키보드와, 제1 및 제2케이스의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상기 제어판넬의 제어에 의해 문서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및 제2LC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ontrol panel are built-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hinged to fold or unfold, the keyboar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s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are input by the keyboard One content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LCDs for displaying document editing contents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여기서, 상기 제1케이스의 테두리 하측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제1삽입홈에는 상기 키보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edge of the first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board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그리고, 상기 키보드는 제1 및 제2보드로 분할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힌지결합되는 접이식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keyboard is divided into a first and second 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keyboard is hinged to fold or unfold.

또한, 상기 제2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와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는 연 결부재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edge of the second case and the side edge of the first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그 몸체의 양단에 제1힌지편이 구비되고, 그 몸체의 일측 중앙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핀이 축설되고, 상기 연결핀의 중앙에는 제2힌지편이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로 외향돌출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제1힌지편이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테두리에는 상기 제2힌지편이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first hinge pieces at both ends of the body, the connection pin is freely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body freely rotated, the second hinge piece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in outwardly of the connection member Protruding, a first hinge hole is hinged to the first hinge piece is formed on the side edge of the first case, a second hinge hole is hinged to the second hinge piece is formed on the side edge of the first case. It is done.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의 테두리 하측에는 CD삽입구가 형성되며 그 CD삽입구 내측에는 CD데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D insertion por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edge of the second case, the CD insertion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D deck is embedded.

또한, 상기 제2케이스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제3삽입홈에는 디지털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bove the side edge of the second case,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ital camera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2삽입홈의 내부에는 디지털카메라의 접속단자가 결합되는 제1입출력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insertion groove may include a first input / output socket to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digital camera is coupled.

또한, 상기 디지털카메라는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센서와, 상기 영상센서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디지털화된 데이터로 변환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판넬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단자와,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구동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쵤영된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보조LC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camera may include an image sensor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mage sensor into digitized data, and an image sensor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process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to the control panel. And a connection terminal,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digital camera, an operation unit for driving, a memory in which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is stored, and an auxiliary LCD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제3삽입홈에는 펜스캐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hir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first case,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with a pen scanner.

또한, 상기 펜스캐너는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센서와, 상기 스캐닝센서에서 스캐닝된 이미지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상기 펜스캐너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en scanner may include a scanning sensor for scanning an image,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image information scanned by the scanning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and a driving button for operating the pen scanner. do.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는 스피커가 내장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는 제2입출력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aker has a built-in upper edge of the second case, and a second input / output socket is provided above the side edge of the first case.

또한, 상기 키보드의 조작에 의해 작성되는 전자문서는 상기 제2LCD에 디스플레이되며, 완성된 전자문서는 제1LCD에 계단식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ed by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econd LCD, the finished electronic docu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alignment is displayed on the first LCD.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키보드로부터의 키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입력된 전자문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편집 작업 중에 필요한 내용을 음성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CD입력부를 통해 입수된 CD를 인식하기 위한 CD인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panel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key input from the keyboard,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nput electronic document, a voice output unit for voice output of contents required during editing, and a CD received through the CD in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D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또한, 상기 제어판넬은 디지털카메라의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입출력소켓과, 상기 편집된 전자문서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메모리 또는 상기 편집된 전자문서를 서면출력하기 위한 프린터가 접속할 수 있는 제2입출력소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panel can be connected to a first input / output socket 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of a digital camera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 flash memory for storing the edited electronic document, or a printer for writing out the edited electronic docu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put and output socket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ortable tex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1케이스를 수평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회로 구성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documen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documen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portable documen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portable tex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case is rotated horizontally. FIG. 6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ortable tex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는 좌우측에 구비되어 일반적인 책과 같이 접혀지도록 각각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케이스(10,20)가 구비된다. First, according to FIGS. 1 to 5, the portable document edi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ases 10 and 20 each having a quadrangular shape so as to be folded on a left and right side and folded like a general book.

이때, 상기 제2케이스(12)의 측면 테두리와 상기 제1케이스(10)의 측면테두리는 연결부재(30)로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side edges of the second case 12 and the side edges of the first case 1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30.

이때, 상기 연결부재(30)는 몸체(32)의 양단에 제1힌지편(32a)이 구비되고, 그 몸체(32)의 일측 중앙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핀(34)이 축설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first hinge piece (32a) at both ends of the body 32, the connection pin 34 is freely rotated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body (32).

그리고, 상기 연결핀(34)의 중앙에는 제2힌지편(34a)이 상기 연결부재(30)의 외부로 외향돌출된다.In addition, a second hinge piece 34a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nnection member 30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in 34.

한편, 상기 제2케이스(10)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힌지편(32a)이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공(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10)의 측면테두리에는 상기 연결핀(34)의 제2힌지편(34a)이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공(10a)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edge of the second case 10 is formed with a first hinge hole (20a) is hinged to the first hinge piece (32a) of the connecting member 30, the first case (10) A second hinge hole 10a to which the second hinge piece 34a of the connection pin 34 is hinged is formed on the side edge.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0,20)는 제1힌지편(32a)을 중심으로 서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케이스(10)는 제2힌지편(34a)을 중심으로 수평회동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cases 10 and 20 may be pivoted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piece 32a, and the first case 10 may have a second hinge piece 34a. It is possible to rotate horizontally.

이와 같은 제1 및 제2케이스(10,20)의 전면에는 문서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LCD(41)와, 제2LCD(42)가 각각 구비되며, 제1케이스(10)의 하단 테두리에는 제1삽입홈(11)이 형성되어 접이식 키보드(44)가 삽입된다. The first LCD 41 and the second LCD 42 for displaying document edits ar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10 and 20, respectively, and the lower edge of the first case 1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10 and 20.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 is formed so that the folding keyboard 44 is inserted.

한편, 제2케이스(20)의 측면 테두리 하측에는 CD삽입부(46)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D inserting portion 46 is provided below the side edge of the second case 20.

이때, 상기 접이식 키보드(44)는 외부로 노출시켜 펼치는 경우 통상적인 PC용 키보드의 버튼 구성과 동일한 자판배열을 가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folding keyboard 44 has the same keyboard layout as the button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C keyboard when exposed to the outside.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키보드(44)는 중앙부가 접힘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보드(44a,44b)가 힌지부(44c)로 연결 구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keyboard 4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boards 44a and 44b are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44c so th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can be folded.

따라서 키보드(44)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어서 사이즈를 절반으로 줄여 제1삽입홈(11)에 삽입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힌지부(44c)를 중심으로 펼쳐 사용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keyboard 44 is not used, the size is reduced to half and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 and when the keyboard 44 is to be used, the keyboard 44 is used by being extended around the hinge 44c.

한편, 상기 제2케이스(20)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는 사물 등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슬림형 디지털카메라(50)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10)의 상단 테두리에는 이미지를 스캐닝(scanning)할 수 있는 펜스캐너(60)가 삽입되는 제3삽입홈(12)이 형성된다. Meanwhile, a second insertion groove 21 into which a slim digital camera 50 capable of taking a picture of an object or the lik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edge of the second case 20, and the first case 10 of the first case 10 is formed. The upper edge is formed with a third insertion groove 12 into which a pen scanner 60 capable of scanning an image is inserted.

이때, 상기 제2삽입홈(21)의 내부에는 디지털카메라(50)의 접속단자(51)가 결합되는 제1입출력소켓(70)이 구비된다.In this case, a first input / output socket 70 to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51 of the digital camera 50 is coupled is provid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

한편, 상기 제2케이스(20)의 상단 테두리에는 음성출력부(72)를 구성하는 스피커(72a)가 내장되고, 상기 제2케이스(20)의 후면에는 전원부(74)를 구성하는 배 터리(74a)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speaker 72a constituting the audio output unit 72 is built in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case 20, and a battery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unit 74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econd case 20. 74a).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는 프린터(100)나 USB장치(200)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제2입출력소켓(76)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second input / output socket 76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edge of the first case 10 to connect the printer 100 or the USB device 200.

이때, 상기 키보드(44)의 조작에 의해 작성되는 전자문서는 상기 제2LCD(42)상에 디스플레이되며, 페이지당 완성된 전자문서는 제1LCD(41)상에 계단식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ed by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44 is displayed on the second LCD 42, and the completed electronic document per page is displayed stepwise aligned on the first LCD 41. FIG.

이때, 상기 제1LCD(41)상에는 문서입력내용, 편집내용, 출력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41a)가 디스플레이되어 선택함으로써 작업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a menu 41a for checking document input contents, edit contents, output contents, and the like is displayed on the first LCD 41 to select a work contents.

한편, 상기 전자문서를 편집하던 중에 이미지 작업의 수행이 필요한 경우에는 디지털카메라(50) 또는 펜스캐너(60)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정보 및 이미지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editing the electronic documen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image work can be used to take advantage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using the digital camera 50 or the scanner (60).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40)는 제1 및 제2LCD(41,42)로 구성되며, 그 제1 및 제2LCD(41,42)는 제1 또는 제2케이스(10,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판넬(15)을 구성하는 제어부(78)의 제어에 의해 필요한 문서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x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display unit 40 includes first and second LCDs 41 and 42, and the first and second LCDs 41, 42 displays the necessary document editing cont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8 constituting the control panel 15 provided in the first or second cases 10 and 20.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40)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문서편집내용은 메모리부(80)에 저장되며, 상기 메모리부(80)에는 시스템의 운영프로그램 및 문서편집용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며, 사용자가 작성한 전자문서 등을 저장하게 된다.The electronic document editing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80, and the operating unit and the document editing software of the system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80, and the electronic document prepared by the user Will be saved.

상기 메모리부(80)의 프로그램은 제어부(78)의 제어 및 연산처리를 통해 디 스플레이되며, 상기 편집내용은 키보드(44)를 통해 입력하게 된다.The program of the memory unit 80 is displayed through control and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controller 78, and the edited content is input through the keyboard 44.

한편, 제어부(78)는 건전지나 충전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부(74)의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경고 멘트나 전자문서 편집 작업 중에 필요한 내용을 음성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72)가 구비된다. 상기 음성출력부(72)는 내장 스피커(72a)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78 is driven by us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74 made of a battery, a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like, and is provided with a voice output unit 72 for outputting the necessary contents during the warning message or electronic document editing operation. The audio output unit 72 is composed of a built-in speaker (72a).

그리고, CD를 인식하기 위한 CD인식부(82)가 구비되는데, 상기 CD인식부(82)는 제1케이스(10)에 내장되어 CD투입구(11)를 통해 입수되는 CD데크(미도시됨)로 이루어져 그 내용을 읽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CD recognition unit 82 is provided for recognizing a CD. The CD recognition unit 82 is embedded in the first case 10 and is obtained through a CD inlet 11 (not shown). It is composed of the contents can be re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는 전자문서의 편집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카메라(50)와 펜스캐너(6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ortable document edi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gital camera 50 and a pen scanner 60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for editing an electronic document.

상기 디지털카메라(5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의 제2삽입홈(21)에 삽입해놓고, 필요에 의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삽입홈(21)에서 분리해 내어 사용하게 된다.When the digital camera 50 is not used, the digital camera 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 of the portable text edi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eparated and used.

따라서, 상기 디지털카메라(50)는 촬영한 사진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센서(52)와, 상기 영상센서(52)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디지털화된 데이터로 변환처리하는 신호처리부(53)와, 상기 신호처리부(53)로부터 처리된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단자(51)와, 상기 디지털카메라(5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54)와, 상기 사진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들로 이루어지는 조작부(55)와,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메모리(56)와, 상기 촬영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보조LCD(57)로 구성된다.Accordingly, the digital camera 50 includes an image sensor 52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a photographed picture, a signal processor 53 for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mage sensor 52 into digitized data, and And a connection terminal 51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53 to the outside, a battery 54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digital camera 50, and photographing. An operation unit 55 comprising buttons, a memory 56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an auxiliary LCD 57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의 제2삽입홈(21)에는 상기 디지털카메라(50)의 접속단자(51)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입출력소켓(70)이 구비되어 있어, 디지털카메라(5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입출력소켓(70)을 통해 상기 디지털카메라(50)의 메모리(56)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전송받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 of the portable text edi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input / output socket 70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51 of the digital camera 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state where the digital camera 50 is inserted,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56 of the digital camera 50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input / output socket 7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는 제1케이스(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3삽입홈(12)에 펜스캐너(60)가 삽입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캔하게 되는데, 상기 펜스캐너(60)는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센서(61)와, 상기 스캐닝센서(61)에서 스캐닝된 이미지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62)와, 상기 펜스캐너(6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버튼(63)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document edi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12 formed in the upper edge of the first case 10, the scanner 60 is inserted to scan the image using this The fence scanner 60 includes a scanning sensor 61 for scanning an image, an A / D converter 62 for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scanned by the scanning sensor 61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fence scanner ( And a driving button 63 for operating 60.

이와 같은 펜스캐너(60)는 케이블로 제어판넬(15)과 접속되어 있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공급용 밧데리를 사용하지는 않는다.The pen scanner 6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15 by a cable and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Therefore, a separate power supply battery is not used.

물론, 상기 펜스캐너(60)는 상기 디지털카메라(50)와 같이 독립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도 가능하며, 실질적으로 그와 같은 펜스캐너(60)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원리로 이해해야 한다.Of course, the pen scanner 60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independent driving, such as the digital camera 50, and it should be understood in principle in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the pen scanner 60 substantially.

한편, 상기 제어판넬(15)은 플래시메모리(200)나 프린터(100)와 같은 외부기기를 접속할 수 있는 제2입출력소켓(76)이 구비되며, 이와 같은 제2입출력소켓(76)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소켓이 구비될 수 있으나, USB단자가 접속될 수 있는 USB소켓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panel 15 is provided with a second input and output socket 76 for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flash memory 200 or the printer 100, the second input and output socket 76 is one or more Although a socket having various structures may b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a USB socke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USB terminal.

특히, 프린터(100)를 접속하는 경우 편집된 전자문서를 출력하여 서면으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printer 100 is connected,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edited electronic document to check its contents in writing.

물론, 이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 등과 같이 해당 외부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드라이버를 제공해야 함은 당연하다.Of course, in this case, it is natural to provide a separate driver for using the corresponding external device, such as a printer driver.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의 작동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example of the portable text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문서 편집기(1)를 사용하기 위해 제1 및 제2케이스(10,20)를 펼친 후, 제1케이스(10)의 테두리 하측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11)에서 접이식 키보드(44)를 꺼낸 후 힌지부(44c)를 중심으로 펼쳐 놓은 상태에서 제1케이스(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전원버튼(84)을 누르게 되면, 밧데리(74a)로 구성되는 전원부(74)의 전원이 제어판넬(15)에 투입되어 시스템이 구동된다.After using the portable document edi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0 and 20 are unfolded and then fold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 formed below the edge of the first case 10. After taking out the keyboard 44 and pressing the power button 84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case 10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portion 44c is unfolded, the power supply 74 composed of the battery 74a is provide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panel 15 to drive the system.

물론, 이 경우 제1 및 제2케이스(10,20)를 180°보다 작은 각도로 펼쳐 세워놓는 것도 가능하며, 180°로 완전히 펼친 상태로 책상에 펼쳐놓고 전자문서 편집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cases 10 and 20 may be laid out at an angle smaller than 180 °, and the electronic document editing may be performed by spreading them on the desk in a fully extended state at 180 °.

따라서 원하는 방향이나 위치로 설정하도록 펼쳐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expanded to set the desired direction or posi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투입으로 인해 구동되어 문서편집용 소프트웨어가 로딩(loading)되면 사용자는 키보드(44)를 통해 키입력을 행함으로써 전자문서를 작성 및 편집작업을 수행하며, 최종적으로 외부기기인 프린터(100)를 통해 출력하여 서면으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document editing software is loaded in this state and the document editing software is loaded, the user creates and edits an electronic document by performing key input through the keyboard 44. Finally, an external printer is us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ntent in writing through the printout (100).

먼저, 문서작성 내용은 낱장의 경우에는 제2케이스(20)의 제2LCD(42)로 디스 플레이되며, 이는 제1케이스(10)의 제1LCD(41)상에 페이지당 완성된 전자문서가 계단식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First, the documen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econd LCD 42 of the second case 20 in the case of a single sheet, in which the completed electronic document per page is cascaded on the first LCD 41 of the first case 10. Are displayed in alignment.

한편, 상기 전자문서를 작성하던 중에 영상정보를 첨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측면 테두리의 제2삽입홈(21)에서 슬림형 디지털카메라(50)를 분리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사물 등의 사진을 찍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attach the image information while creating the electronic document, the slim digital camera 5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 of the side edge of the second case 20 and then used Take a picture of your back.

이와 같이 디지털케메라(50)를 조작하여 메모리(56)에 저장된 영상정보는 접속단자(51)를 통해 제어판넬(15)로 전송된다.As such,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56 by operating the digital camera 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panel 15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51.

즉, 사진을 촬영한 후 디지털카메라(50)를 제2케이스(20)의 측면 테두리의 제3삽입홈(12)에 삽입하면, 디지털케메라(50)의 접속단자(51)가 제1입출력소켓(70)에 접속되어 하나의 외부 장치로 인식하여 디지털카메라(50)의 메모리(56)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그 영상정보를 로딩하여 전자문서의 편집에 이용하게 된다.That is, after taking a picture, when the digital camera 50 is inserted in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12 of the side rim of the second case 20, the connection terminal 51 of the digital camera 50 enters the first I / O. It is connected to the socket 70 and recognized as an external device to receive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56 of the digital camera 50, the image information is loaded and used for editing the electronic document.

물론, 특정 이미지를 스캐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케이스(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12)에서 펜스캐너(60)를 빼낸 후 문서 등의 글자나 그림 등의 이미지를 스캔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이미지정보는 제어판넬(15)로 즉시 입력되어 편집에 이용된다.Of course, if you want to scan a specific image, remove the pen scanner 60 from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 formed in the upper edge of the first case 10 to scan the image, such as documents or letters Such image information is immediately input to the control panel 15 and used for editing.

이와 같은 영상정보 또는 이미지정보와 함께 텍스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미지정보 등을 텍스트로 전환하거나 자르기, 붙이기, 이동 등의 다양한 편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input text together with such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and to perform various editing operations such as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etc. into text, cutting, pasting, and moving.

이상과 같이 편집된 전자문서는 제2LCD(42)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선택하 여 출력되는 문서의 내용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제2입출력소켓(76)에 연결되는 프린터(100)로 문서를 편리하게 출력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ocument edited as described above can select the menu displayed on the second LCD 42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output document in advance, and the document can be conveniently connected to the printer 100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 output socket 76. Can be printed.

또한, 플래시메모리(200)에 편집된 전자문서 화일을 저장하여 추후 PC 등으로 확인함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the edited electronic document file in the flash memory 200 and later check it with a PC.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C 또는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시에 장소적인 제약 및 설치의 번거로움이 거의 없고, 편리하게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most no place limitation and installation trouble when using a PC or a notebook computer,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electronic document can be conveniently created.

또한, 전자문서의 편집 및 출력을 위해 사용되는 카메라나 펜스캐너 및 프린터로의 출력과 같은 다양한 제공하여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문서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variety of output such as a camera, a scanner, and a printer used for editing and output of electronic docume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 the document editing work.

Claims (15)

전원부와 제어판넬이 내장되며 접거나 펼쳐지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와; First and second cases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ontrol panel are built and hinged to fold or unfold;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키보드와; A keyboar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case; 제1 및 제2케이스의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상기 제어판넬의 제어에 의해 문서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및 제2LC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And first and second LCD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to display the contents edited by the keyboar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케이스의 테두리 하측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제1삽입홈에는 상기 키보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edge of the first case, the portable document edi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board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보드는 제1 및 제2보드로 분할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힌지결합되는 접이식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The keyboard is a portable text edi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keyboard is hinged to b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boards folded or unfold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와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는 연결부재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And a side edge of the second case and a side edge of the first case are rotatably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연결부재는 그 몸체의 양단에 제1힌지편이 구비되고, 그 몸체의 일측 중앙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핀이 축설되고, 상기 연결핀의 중앙에는 제2힌지편이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로 외향돌출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제1힌지편이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테두리에는 상기 제2힌지편이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first hinge pieces at both ends of the body, the connecting pin is freely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body freely rotated, the second hinge piece protrudes outward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in The side edge of the first case is formed with a first hinge hole is hinged to the first hinge piece is formed, the side edge of the first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inge hole is hinged to the second hinge piece is formed Portable text edito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케이스의 테두리 하측에는 CD삽입구가 형성되며 그 CD삽입구 내측에는 CD데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 The CD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edge of the second case and the portable document edi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D deck is embedded inside the CD insertion ho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케이스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제3삽입홈에는 디지털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edge of the second case, the third insertion groove is a portable document edi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digital camera.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2삽입홈의 내부에는 디지털카메라의 접속단자가 결합되는 제1입출력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And a first input / output socket 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digital camera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카메라는;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digital camera comprises: a digital camera;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센서와, 상기 영상센서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디지털화된 데이터로 변환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판넬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단자와,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구동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쵤영된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보조LC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An image sensor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mage sensor into digitized data, a connec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processed from the signal processor to the control panel, and the digital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camera, an operation unit for driving, a memory for storing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an auxiliary LCD for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제3삽입홈에는 펜스캐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A thir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first case,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is a portable document editor, characterized in that a pen scanner is provid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캐너는; 11. The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fence scanner;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센서와, 상기 스캐닝센서에서 스캐닝된 이미지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상기 펜스캐너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And a scanning sensor for scanning an image,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image information scanned by the scanning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and a driving button for operating the pen scann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는 스피커가 내장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테두리 상측에는 제2입출력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A speaker is built in an upper edge of the second case, and a second input / output socket is provided above the side edge of the first cas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보드의 조작에 의해 작성되는 전자문서는 상기 제2LCD에 디스플레이되며, 완성된 전자문서는 제1LCD에 계단식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And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ed by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econd LCD, and the completed electronic document is displayed stepwise aligned on the first LC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키보드로부터의 키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입력된 전자문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편집 작업 중에 필요한 내용을 음성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CD입력부를 통해 입수된 CD를 인식하기 위한 CD인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The control panel recogniz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key input from the keyboard,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nput electronic document, a voice output unit for voice output of contents necessary during editing, and a CD received through the CD input unit. Portable document edi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D recognition unit fo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은; 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panel; 디지털카메라의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1입출력소켓과, 상기 편집된 전자문서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메모리 또는 상기 편집된 전자문서를 서면출력하기 위한 프린터가 접속할 수 있는 제2입출력소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문서 편집기.A first input / output socket 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digital camera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second input / output socket to which a flash memory for storing the edited electronic document or a printer for writing out the edited electronic document can be connected. Portable text edito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KR1020070093323A 2007-09-13 2007-09-13 Portable editor KR200900280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323A KR20090028057A (en) 2007-09-13 2007-09-13 Portable ed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323A KR20090028057A (en) 2007-09-13 2007-09-13 Portable edi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679A Division KR100951948B1 (en) 2009-07-22 2009-07-22 Portable ed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057A true KR20090028057A (en) 2009-03-18

Family

ID=4069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323A KR20090028057A (en) 2007-09-13 2007-09-13 Portable ed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05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5293B2 (en) Portable dual display reader and operation system thereof
US20030178486A1 (en) Mobile memory card reader and a fixing base thereof
EP2129098A1 (en) A CMOS array sensor film scanner capable of executing the prevlew, scanning and storage functions without connecting with a computer
KR20210021863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ldable display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therof
CN101547233A (en) Hand-held digital information equipment with function of photographing business card
KR100951948B1 (en) Portable editor
US20100296010A1 (en) Digital picture frame greeting card
CN101770155A (en) Portable electronic product with projector
KR20090028057A (en) Portable editor
US20080293459A1 (en) Communication device
JP2002215265A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US20070175997A1 (en) Electronic business card case
JP2005191771A (en) Image input devic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099626U (en) Data processing device with image projection display function
KR100660397B1 (en) Mobile phone having expandable display window
JP4193084B2 (en) Computer equipment
CN201402429Y (en) Computer or computer peripheral equipment with calling card shooting function
KR20040025416A (en) Letter-recognizing pen
CN218181408U (en) Desktop double-screen machine
US20070036463A1 (en) Platform-independent preference setting method
JP2005197841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4814480B2 (en) Electronic camera
JP2004015619A (en) Electronic white board with memory
US11379056B2 (en) Editor's pen pad
CN215186819U (en) Auxiliary screen device of mobile phone and auxiliary equipment of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22

Effective date: 2011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