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221A -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터미널들의 풀로부터의 사용 정보를 샘플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터미널들의 풀로부터의 사용 정보를 샘플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221A
KR20090027221A KR1020087031438A KR20087031438A KR20090027221A KR 20090027221 A KR20090027221 A KR 20090027221A KR 1020087031438 A KR1020087031438 A KR 1020087031438A KR 20087031438 A KR20087031438 A KR 20087031438A KR 20090027221 A KR20090027221 A KR 20090027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terminals
terminal
usage track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4746B1 (ko
Inventor
안 메이 첸
라빈더 챈드훅
고돈 켄트 왈커
아지트 엘. 자인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2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7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comprising parameters, e.g. for client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터미널들의 풀로부터 사용 정보를 샘플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터미널들의 풀로부터 타겟 터미널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로부터 트래킹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들을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을 상기 트래킹 데이터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터미널들의 풀로부터의 사용 정보를 샘플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SAMPLING USAGE INFORMATION FROM A POOL OF TERMINALS IN A DATA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정보 트래킹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터미널들의 풀로부터의 사용 정보를 샘플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은 출원 번호가 60/808,615이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명시적으로 포함된 미국 가출원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들은 단일 터미널을 위한 주문된 서비스들 및 다수의 터미널들에 제공된 서비스들 사이에서 트레이드 오프해야 한다. 다수의 터미널들(가입자들)로의 콘텐츠(데이터)의 분배는 복잡한 문제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자들 및 콘텐츠 제공자들이 서비스들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얼마나 잘 제공되고 있으며, 터미널 사용자들이 상기 제공된 서비스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트래킹(tracking) 시스템들은 네트워크 서버와의 터미 널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터미널 사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콘텐츠를 선택하며, 설문 조사 질문들에 응답하며, 혹은 임의의 다른 타입의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는 이들 요청들을 트래킹하여 어느 서비스들이 사용자들에게 전송중인지를 모니터링하고 설문 조사들로부터 소비자 만족에 대한 일부 아이디어들을 획득할 수 있다.
불행히도 터미널 요청들로부터 서버에서의 터미널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정확하지는 않으며, 네트워크 관리자들 및 콘텐츠 제공자들이 얻고자 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터미널들만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따라서 비-요청 터미널들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획득될 수 있는 상기 정보의 타입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는 어느 콘텐츠가 전송중인지를 결정할 수 있으나, 상기 콘텐츠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송되는지, 혹은 상기 콘텐츠가 터미널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결정하지 못할 수 있다. 더욱이, 현재 시스템들은 선택된 시간 주기에 대해 동일한 터미널들로부터 정보를 전송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히스토리 데이터가 조합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시스템은 자신이 모니터링하는 터미널들의 신원을 보호하지 못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터미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위험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들이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에 얼마나 잘 제공되는지를 트래킹하고, 터미널 사용자들이 상기 서비스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모니터링하도록 동작하는 네트워크 환경들에서의 사용을 위한 사용 트래킹 시스템이 필요하며, 따라 서, 네트워크 관리자들 및 콘텐츠 제공자들은 이러한 서비스들이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타겟 터미널들의 그룹들에 대한 트래킹을 허용하여 히스토리 사용 데이터가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도록 동작해야 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터미널들 및 이들의 사용자들의 신원을 보호하도록 동작하여 사용자 프라이버시가 유지되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에 속하는 사용 정보를 효율적으로 트래킹하도록 동작하는 시스템 - 방법들 및 장치를 포함함 - 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선택된 터미널들이 타겟이 되도록 허용하는 선택 로직을 사용하여 사용 트래킹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터미널들로부터만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사용자 터미널들은 상기 터미널들에 제공되는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사용 데이터를 로깅(log)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상기 트래킹 터미널들의 신원이 보호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터미널들로부터 수집된 사용 정보가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동작하는 신원 매핑 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이동 터미널들의 동작들에 속하는 정보가 특히 가치있는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사용에 특히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터미널들의 풀(pool)로부터 대상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로부터 트래킹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신원들을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트래킹 데이터와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을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터미널들의 풀로부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선택 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트래킹 데이터들을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전송 로직 및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로부터 트래킹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수신 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들을 매핑시키도록 동작하는 매핑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를 연관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터미널들이 풀로부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터미널들이 풀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타겟 터미널들이 세트로부터 트래킹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들을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매핑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트래킹 데이터들과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을 연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추적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 상의 터미널들의 풀(pool)로부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또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로부터 트래킹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또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identity)들을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매핑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트래킹 데이터와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을 연관시키기 위한 명령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네트워크 상의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 경우 트래킹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수신 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 경우 트래킹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처리 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전송 로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 이점들 및 특징들은 이후 설명되는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세한 설명, 청구항을 검토한 후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술된 양상들 및 수반되는 이점들이 첨부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취해지는 다음 상세한 설명들을 참조하여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사용 트래킹 서버의 일 실시예의 상세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터미널의 일 실시예의 상세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다음 상세한 설명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에 속하는 사용 정보를 효율적으로 트래킹하도록 동작하는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들의 사용에 특히 적합하며, 통신 네트워크들,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들, 가상 사설 네트워크들(VPN)과 같은 사설 네트워크,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들, 롱 홀(haul) 네트워크, 혹은 임의의 다른 타입의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 환경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로부터 사용 통계치들을 수집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사용 통계치들을 수집하고, 이들 통계치들을 사용 트래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사용 트래킹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 통계치들은, 수집되면, 보고들, 히스토리 데이터, 혹은 정보 서버들, 광고자들, 네트워크 관리자들, 콘텐츠 제공자들, 혹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엔티티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요약 정보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데이터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상기 네트워크(100)는 사용 트래킹 서버(102), 데이터 네트워크(104), 및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미널들의 풀(1 내지 N)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104)는 상기 서버(102) 및 상기 터미널들(106) 사이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허용하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타입 및/또는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서버(102)는 통신 채널(108)을 통해 네트워크(104)와 통신한다. 상기 통신 채널(108)은 상기 서버(102)가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104)를 통해 통신하도록 허용 하는 임의의 타입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104)는 상기 네트워크(102)와 터미널들(106) 사이에 데이터가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허용하는 무선 통신 링크(110)를 통해 터미널들(106)과의 통신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링크(110)는 순방향 통신 채널들, 역방향 통신 채널들, 제어 채널들, 및/또는 네트워크(104) 및 상기 터미널들(106) 사이에 정보를 통신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통신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100)는 또한, 상기 터미널들(106)과 같은 네트워크(104)와 통신하는 엔티티들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콘텐츠 제공자(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제공자(112)는 상기 링크(114)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104)와 통신하여, 어플리케이션들, 프로그램들, 멀티미디어 콘텐츠들, 혹은 상기 터미널들(106)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임의의 다른 타입들의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 트래킹 서버(102)는 사용 트래킹을 위한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106)을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선택 로직(11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로직(116)은 상기 터미널(106)의 풀로부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선택하고, 상기 타겟 터미널들은 상기 사용 트래킹 서버(102)에 의해 제공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사용 트래킹을 수행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102)는 1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들의 풀(106)의 모든 터미널들로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한다. 상기 터미널들(106) 각각은, 그것이 타겟 터미널이고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처리한 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응답 범위를 특정하는 샘플링 비율 혹은 비(fraction) 표시자를 포함한다. 각각의 터미널에서 생성된 랜덤 수가 상기 응답 범위 내에 있다면, 터미널은 대상 터미널이며,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트래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모든 터미널들(106)은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수신하지만, 터미널(1 및 3)만이 이들이 대상 터미널들이며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됨을 결정한다. 상기 터미널들(1 및 3)이 상기 수신된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트래킹을 수행한 후, 이들은 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상기 서버(102)에 전송한다.
상기 서버(102)는 또한, 응답 터미널들이 제공하는 사용 트래킹 데이터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도록 상기 응답 터미널들(즉, 터미널들 1 및 3)의 신원을 매핑하도록 동작하는 신원(ID) 매핑 로직(12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매핑 로직(122)은 사용 트래킹 데이터의 소스를 직접 식별하지 않는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과 상기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연관시킨다. 상기 사용 트래킹 데이터 및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는 이후 사용 트래킹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다. 상기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서버(102)가 상기 터미널들(106) 중 임의의 터미널에 대한 사용 트래킹 히스토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의 사용을 트래킹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결과 사용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자(112) 및/또는 네트워크 관리자들, 네트워크 운영자들, 광고자들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엔티티들, 및 상기 네트워크 및/또는 터미널들(106)의 동작에 관심있는 임의의 다른 엔티티에 대한 보고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동작동안 수집될 수 있는 기능들 및 정보의 타입들의 개요가 다음 섹션에 제공된다. 그러나, 설명된 정보가 상기 시스템에 의해 트래킹되고 수집될 수 있는 정보의 타입들에 대해 예시적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터미널 디바이스에 사용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정보를 가상적으로 수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사용 통계치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다양한 사용 통계치들, 예를 들어 터미널의 사용자에 의해 시청된 프리젠테이션들에 관한 정보, 이들 프리젠테이션들의 시청 기간, 혹은 임의의 다른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또한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통계적 샘플링
상기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통계적 샘플링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 개수(population)의 임의의 비율(타겟 터미널들)이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로깅하고 리턴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터미널들은 임의의 타입의 선택 알고리즘의 사용에 의해 혹은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어서, 임의의 타입의 확률 샘플링 방법이 사용 데이터를 로그하기 위한 터미널들을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익명성
상기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수집된 사용 트래킹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사용 트래킹 데이터는 익명 방식으로 저장되어 상기 로깅 디바이스 및 그 사용자의 신원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미널은 식별가능한 방식으로 사용자 서버에 상기 로깅된 사용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 서버는 상기 터미널의 신원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 식별자로부터 고유한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에에서, 해싱(hashing) 알고리즘이 실제 터미널 식별자로부터 고유한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고유한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로부터 상기 터미널 신원을 결정하는 것은 계산적으로 구현불가능하다. 상기 수신된 트래킹 데이터는 이후 데이터 베이스 내의 상기 고유한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와 함께 저장되고, 그 결과, 상기 데이터는 임의의 특정 터미널 혹은 사용자들에게 트래이스할 수(traceable) 없게 된다.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상기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터미널들이 선택된 로깅 윈도우들 내에서 사용 데이터를 로깅하도록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터미널이 상기 로깅의 지속기간동안 등, 사용 데이터의 로깅을 초기화해야 할 때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들로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제공한다. 상기 로깅 윈도우가 종료되면, 상기 터미널은 사용 데이터 로깅을 중지한다. 상기 터미널은 또한 상기 로깅 윈도우가 종료되기 전에 로깅을 중지하도록 지시받을 수도 있다.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
상기 사용 트래킹 서버는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상기 터미널들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은 상기 사용 서버로 하여금 상기 터미널들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은 상기 사용 트래킹 서버 및 상기 터미널들 사이에 있는 임의의 타입의 인-밴드(in-band) 또는 아웃-오브-밴드(out-of-band) 통신 채널들일 수 있다.
상기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상기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되고, 터미널이 로깅, 상기 로깅의 지속기간, 이벤트들, 로깅될 상태들 등을 초기화해야 할 때를 상기 터미널들에게 지시한다. 상기 로깅 이벤트들 혹은 로깅 상태들은 어떠한 종류의 사용 데이터들이 로깅될 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리젠테이션 시청 이벤트와 같은 로깅 이벤트들은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들을 시청할 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프리젠테이션을 몇 번이나 시청했는지를 설명하는 데이터가 캡쳐되어야 함을 표시한다. 상기 로깅 이벤트/상태는 로깅 마스크를 통해 독립적으로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 될 수 있다.
상기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은 각각의 터미널로 상기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다음은 상기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각각의 터미널로 전송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의 샘플 리스트이다. 다음 리스트가 소모적이지 않으며, 상기 데이터 로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들로 임의의 타입의 파라미터를 가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1. 로깅 시작 시간: 터미널이 상기 로깅 기능을 시작해야 할 때를 표시함
2. 로깅 윈도우: 상기 로깅 기능의 지속기간을 표시함
3. 로깅 마스크: 로깅되어야 할 로깅 이벤트들 및 상태들을 표시함. 각각의 로깅 이벤트들 및 상태는 상기 로깅 마스크를 통해 독립적으로 인에이블 혹은 디스에이블 될 수 있다.
4. 샘플링 비율 : 데이터를 로깅하는데 필요한 상기 터미널들의 비율을 표시함. 샘플링 비율은 터미널이 로깅을 개시해야 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에 의해 참조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샘플링 비율 혹은 비가 10으로 설정된다면, 상기 터미널들의 거의 10%가 사용 데이터를 로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들은 1과 100 사이에 균일하게 분배된 랜덤수를 생성한다. 터미널은 만약 생성된 상기 랜덤 수가 상기 샘플링 비율(즉, 10) 이하인 경우, 상기 로깅 기능만을 개시할 것이다.
5. 시드( Seed ) : 시드는 사용 정보를 로깅하기 위해 동일한 터미널들의 세트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터미널들의 세트를 타겟으로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터미널은 배타적-OR(EXOR)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시드를 상기 터미널들의 전자 일련 번호(ESN)와 결합시켜서 랜덤 수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랜덤수는 상기 샘플링 비율과 비교되어 상기 터미널이 상기 로깅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6. 로그 사이즈 : 이것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로깅된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예비하는 메모리의 최대량이다.
7. 로깅 상태 : 이 파라미터는 다음 세 개 값들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로깅 : 이 값은 현재 사용 트래킹 요청이 유효하며 상기 터미널이 로깅을 계속해야 함을 상기 터미널에 표시한다.
로깅 중지 및 로그 전송: 이 값은 터미널이 상기 사용 트래킹 통지의 나머지 기간동안 로깅을 중지해야 함을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미널은 다음 패킷 데이터 세션에서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업로드한다.
로깅 중지 및 로그 폐기 : 이 값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사용 트래킹 통지의 나머지 기간 동안 로깅을 중지하고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삭제해야 함을 표시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임의의 적합한 포맷 및/또는 데이터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트래킹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식별자 및 파라미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단일 전송 혹은 다수의 전송들로 상기 터미널들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개수의 트래킹 파라미터들이 상기 터미널들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임의의 시점에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의 세트는 상기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터미널들로 전송될 수 있고, 이후 또다른 트래킹 파라미터들의 세트가 전송될 수 있는데, 이는 이전에 전송된 세트로부터 변경되고, 수정되고, 상기 이전에 전송된 세트에 부가되거나 이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 서버는 원하는 사용 트래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어느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상기 터미널들에 전송할 지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로깅 윈도우는 터미널이 상기 로깅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량을 표시하는 로깅 세션을 한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로깅 세션들을 제공할 수 있지만, 비-오버랩(non-overlapping) 로깅 세션들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임의의 시점에서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단 하나의 미해결(outstanding) 로깅 창만이 액티브할 것임을 의미한다. 이는 다수의 로깅 윈도우들에서 로깅된 데이터의 복제를 회피한다. 로깅 윈도우의 종료 이후, 상기 터미널이 임의의 업데이트들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사용 트래킹 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상기 터미널은 이러한 동일한 세션을 사용하여 상기 로깅된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은 만약 상기 로깅된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메모리가 상기 예비된 메모리의 특정 임계 비율을 지나는(cross) 경우, 상기 서버를 사용하여 다음 패킷 데이터 세션에 있는 로깅된 데이터를 피기백방식으로 전송한다(piggyback).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이 (상기 로그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된 메모리의 80 퍼센트를 채우기에 충분한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서버를 사용하여 다음 패킷 데이터 세션에서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피기백방식으로 전송한다.
익명( Anonymous ) 로깅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상기 터미널 사용자들의 초상권을 보호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터미널은 식별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 트래킹 서버로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사용 트래킹 서버는 해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를 생성한다. 상기 해싱 알고리즘은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로부터 터미널 신원을 결정하기에는 계산상으로 구현불가능하다. 상기 해싱 알고리즘으로의 입력들은 상기 실제 터미널 식별자 및 가입자 식별자인데, 왜냐하면 이들 식별자들의 조합이 터미널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때문이다. 상기 해싱 알고리즘은 상기 생성된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가 고유함을 보장한다.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는 또한 이전 로깅 세션의 결과로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트래킹 데이터를 액세스 및/또는 상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해싱 알고리즘들이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 예를 들어, 로테이션(Rotating), 원-타임-해시(One-Time-Hash), CRC-32, MD5, 및 SHA-1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충돌 확률 및 상기 해싱 방식을 복잡성을 고려하면,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의 생성을 위해 바람직한 해싱 알고리즘은 MD5인데, 왜냐하면 상기 MD5에 대한 충돌 확률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도 2는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사용 트래킹 서버의 일 실시예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도 1에서 서버(102)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처리 로직(202), 디바이스 자원들(204), 사용 데이터베이스(206), 선택 로직(208), 및 트랜시버 로직(210)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내부 데이터 버스(212)에 연결된다. 상기 서버(200)는 또한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214) 및 신원 매핑 로직(216)을 포함하며, 이들은 또한 상기 데이터 버스(212)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202)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처리 로직(202)은 일반적으로, 상기 내부 데이터 버스(212)를 통해 상기 서버(2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계-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 자원들 및 인터페이스(204)들은 상기 서버(200)로 하여금 내부 및 외부 시스템들과 통신하도록 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시스템들은 대용량 저장 시스템들, 메모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모뎀 혹은 다른 내부 디바이스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프린터들, 디스크 드라이브들, 혹은 다른 로컬 디바이스들 혹은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데이터베이스(206)는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로부터 수신된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의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 데이터는 통계치들,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혹은 임의의 다른 타입의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214)은 임의의 적합한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214)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이 어떻게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로깅하도록 동작해 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214)은 터미널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동작을 트래킹하고 로깅하는 방법, 혹은 상기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한 프리젠테이션의 시청을 트래킹하고 로깅하는 방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임의의 적합한 포맷 혹은 데이터 타입을 포함하며, 임의의 개수의 파라미터들은 하나 혹은 다수의 전송들에서 상기 터미널들로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 로직(210)은 상기 서버(200)가 통신 채널(218)을 통해 원격 디바이스들 혹은 시스템들과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동작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채널(218)은 제어 정보를 원격 디바이스들에 전송하는 제어 채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채널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로 상기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택 로직(208)은 상기 서버(200)가 사용 트래킹을 위해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동작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 로직(210)은 기존 터미널들의 풀의 몇 퍼센트가 사용 트래킹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비율 표시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율 표시자는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터미널들로 전송된다. 상기 터미널들은 상기 비율 표시자에 비교되는 랜덤 수를 생성한다. 만약 상기 랜덤 수가 상기 비율 표시자의 범위 내에 있다면, 상기 터미널은 사용 트래킹을 수행할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 로직(210)은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을 타겟으로 하는 "시드"값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드값은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의 일부분으로서 전송되며, 각각의 터미널은 상기 랜덤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터미널들의 전자 일련 번호(ESN)와 상기 시드값을 결합시키기 위해 배타적-OR(EXOR) 함수를 사용한다. 이후 상기 랜덤 수는 상기 터미널이 상기 로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샘플링 비율과 비교된다. 이러한 기술은 반복가능 혹은 "결ㅈ정론적(deterministic)" 함수인데, 왜냐하면 이는 상기 선택 로직(210)으로 하여금 다수의 트래킹 세션에 대해 동일한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선택하도록 허용하기 때문이다. 이는 수집될 임의의 터미널에 대한 히스토리 트래밍 데이터를 허용한다. 그러나, 상기 선택 로직(210)은 임의의 특정 선택 방식을 사용하도록 한정되지 않으므로,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선택 기술이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선택 로직(2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신원 매핑 로직(216)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신원 매핑 로직(216)은 사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터미널들의 신원들을 상기 서버로 매핑시킨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원 매핑 로직(216)은 터미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 트래킹 데이터와 연관되는 디바이스 로그 신원을 생성하도록 상기 터미널의 원래 신원을 처리하기 위해 해싱 함수를 사용한다. 상기 트래킹 데이터 및 디바이스 로그 신원은 이후 추후 처리를 위해 사용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된다.
서버(200)의 동작 동안, 상기 선택 로직(208)은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해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한다.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는 사용가능한 터미널들의 풀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이 조합되어,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될 것이다. 예를 들어, 선택 비율 표시자는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포함된다.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터미널들의 풀에 있는 모든 터미널들로 전송된다. 각각의 수신 터미널은 그것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터미널은 그것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 비율 표시자를 처리한다. 터미널이 자신이 타겟 터미널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터미널은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트래킹을 수행한다. 상기 타겟 터미널들이 상기 요청된 사용 트래킹을 수행한 후, 상기 타겟 터미널들은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신원이 매핑 로직(216)에 의해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매핑되는 서버로 결과적인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는 이후 상기 사용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며, 처리 로직(202)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서버(200)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명령들은,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RAM, ROM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혹은 상기 디바이스 자원들(204)을 통해 상기 서버(200)에 인터페이스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 디바이스 혹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서버(200)로 로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들은 트랜시버 로직(210)을 통해 상기 서버(200)로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자원으로부터 상기 서버(200)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상기 명령들은, 처리 로직(2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도 3은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명료함을 위해, 상기 방법(300)은 도 2에 도시된 서버(200)에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처리 로직(202)은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한다.
블록 302에서, 터미널들의 세트가 사용 트래킹을 위해 타겟이 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처리 로직(202)은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선택 로직(208)을 제어한다. 상기 선택 로직(208)은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해 요청될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비율 표시자 혹은 시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동일한 터미널들로 하여금 반복적으로 선택되도록 허용하는 반복가능 혹은 결정론적 함수들을 포함하는, 가상적으로, 임의의 기술이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선택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블록 304에서, 사용자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상기 터미널들로 전송될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어셈블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 유닛(202)은 상기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214)로서 전송될 파라미커들을 어셈블리한다.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어느 터미널들이 사용 트래킹을 수행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 트래킹이 이들 터미널들에 의해 수행될 것인지를 표시한다.
블록 306에서, 상기 조합된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상기 터미널들에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상기 타켓 터미널들에만 전송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터미널들의 풀에 있는 모든 터미널들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 로직(202)은 상기 통신 채널(210)을 통해 상기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도록 상기 트랜시버(21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터미널들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임의의 타입의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더욱이, 상기 파라미터들은 하나 이상의 전송들에서 전송되며 필요한 경우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블록 308에서, 사용 트래킹 데이터가 상기 서버에서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터미널들 각각은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여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로깅된 트래킹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트래킹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터미널들은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 트래킹 데이터가 서버에서 수신되면, 상기 방법은 블록 312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트래킹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블 록 310으로 진행한다.
블록 310에서, 상기 사용 서버가 임의의 계류중인 트래킹 동작을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로깅 윈도우의 스케줄링된 종료 시간 이전에, 상기 로깅 윈도우의 조기 종료를 야기함으로써 터미널 로깅을 디스에이블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 트래킹 서버는 상기 로깅 윈도우 파라미터들을 0으로 설정하고, 이 파라미터를 상기 터미널에 전송하는데, 이는 상기 터미널이 임의의 계류중인 사용 트래킹을 종료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료 기술은 이미 로깅된 임의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무엇이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상기 터미널로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로깅된 데이터는 폐기되거나, 혹은 상기 서버를 사용하는 또다른 통신 세션에서 상기 사용 트래킹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로깅 상태(Logging Status)라 지칭되는 부가적인 사용 트래킹 파라미터가 상기 터미널로 전송된다. 상기 로깅 상태 필드는 상기 터미널이 로깅을 종료해야 하는지에 대해 상기 터미널에 표시하며, 상기 로깅된 데이터가 폐기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이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폐기하도록 요구되는 경우, 상기 로깅 상태 필드는 "로깅을 중지하고 로그를 폐기한다"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이 상기 업데이트된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때, 상기 "로깅 상태"값에 따라, 상기 터미널은 전송시 상기 로깅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피기백방식으로 전송하거나 혹은 이를 폐기한다. 이후 상기 방법은 블록(316)으로 진행한다.
블록 312에서, 상기 응답된 터미널들의 신원들은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매핑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원 매핑 로직은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터미널의 신원을 디바이스 로그 신원으로 매핑한다. 상기 해시 함수는 상기 터미널의 참(true) 신원을 입력으로서 취하여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신원을 생성한다.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신원은 상기 터미널의 상기 참 신원을 발견하기 위해 역수행될 수는 없다. 비록 해시 함수가 설명되었지만, 상기 응답 터미널들의 신원을 보호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신원 매핑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록 314에서, 상기 응답 터미널들로부터의 사용 트래킹 데이터는 적절한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과 연관된다. 이후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은 사용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되고, 상기 방법은 임의의 수신된 사용 트래킹 데이터가 이제 처리될 수 있는 블록(316)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이제 상기 수신된 사용 트래킹 데이터로부터의 사용 보고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 보고들은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을 참조하여, 실제 터미널들의 프라이버시가 공개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것이다.
방법(300)은 단지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상기 흐름 엘리먼트들의 변경들, 추가들, 혹은 재배치들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4는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터미널(400)의 일 실시예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상기 터미널(400)은 처리 로직(402), 메모리(404), 디바이스 자원들 및 인터페이스들(406), 트랜시버 로직(408)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데이터 버스(410)에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400)은 또한 스케줄링 로직(412)을 포함하며, 이 역시 상기 데이터 버스(410)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로직(402)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처리 로직(402)은 일반적으로 상기 내부 데이터 버스(410)를 통해 상기 터미널(4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계-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 자원들 및 인터페이스들(406)은 상기 터미널(400)으로 하여금 내부 및 외부 시스템들과 통신하도록 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시스템들은 대용량 저장 시스템들, 메모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모뎀, 다른 내부 디바이스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프린터들, 디스크 드라이브들 혹은 다른 로컬 디바이스들 혹은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 로직(408)은 상기 터미널(400)로 하여금 통신 채널(414)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들 혹은 시스템들과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랜시버 로직(408)은 원격 서버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채널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채널 로직은 임의의 적합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원격 서버와 정보를 교환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의 제어 채널을 구현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04)는 상기 터미널(400)에서 정보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400)은 사용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데이터를 로깅하고,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상기 메모리(404)에 상기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 로직(414)은 사용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데이터의 로깅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상기 스케줄링 로직(414)은 사용 서버로부터의 전송을 통해 상기 사용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파라미터들은 상기 터미널(400)이 어떻게, 어떤, 그리고 언제 사용 데이터를 로깅할지를 설명한다. 만약 상기 사용 파라미터들이 시간 윈도우를 식별하고, 상기 시간 윈도우 내에서 상기 데이터는 로깅되어야 한다면, 상기 스케줄링 로직(412)은 상기 처리 로직(402)에게 상기 한정된 시간 윈도우 내에서 데이터를 로깅하도록 통지한다.
동작 동안, 상기 터미널(400)은 사용 데이터를 로깅하기 위한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사용 데이터를 로깅하기 위해 후속하는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한다. 상기 후속하는 기능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되고, 재배열되고, 수정되고, 부가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1. 터미널이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통해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수신한다.
2. 상기 터미널은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로부터 자신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3. 만약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이라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로부터 어느 정보가 트래킹될 것이고 언제 상기 트래킹이 발생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터미널은 또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로부터의 명령들 혹은 다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4. 이후 상기 터미널은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고, 상기 로깅된 트래킹 데이터를 자신의 로컬 메모리에 저장한다.
5. 트래킹이 완료된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로깅된 트래킹 데이터를 사용 트래킹 서버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 트래킹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며, 이는 처리 로직(4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설명된 터미널(400)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명령들은, 플로피 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FLASH 메모리 디바이스, RAM, ROM과 같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혹은 상기 디바이스 자원들(406)을 통해 상기 터미널(400)에 인터페이스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 디바이스 혹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터미널(400)로 로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트랜시버 로직(408)을 통해 상기 터미널(400)에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자원으로부터 상기 터미널(400)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상기 명령들은, 처리 로직(4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도 5는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5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명료함을 위해, 상기 방법(500)은 도 4에 도시된 상기 터미널(400)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처리 로직(402)은 이하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한다.
블록 502에서,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데이터 네트워크 내의 사용 서버로부터 터미널에 수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 로직(402)은 상기 트랜시버 로직(408)의 일부분인 제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는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언제 그리고 어떤 사용 데이터가 상기 터미널에서 로깅될 것인지를 설명한다.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상기 메모리(404)에 저장된다.
블록 504에서,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로서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 로직(402)은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처리하여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로직(402)은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비율 표시자에 비교되는 랜덤 수를 생성한다. 상기 랜덤 수가 상기 비율 표시자에 의해 한정된 선택된 범위 내에 있다면, 상기 터미널은 타겟 터미널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시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로직(402)은 상기 시드 값을 터미널 식별자와 결합시켜 이후 상기 비율 표시자와 비교될 선택 표시자를 생성한다. 만약 상기 선택 표시자가 상기 비율 표시자에 의해 한정된 선택된 범위 내 에 있다면, 상기 터미널은 타겟 터미널이다.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기술이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블록 506에서, 상기 터미널에서의 사용 트래킹이 스케줄링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케줄링 로직(412)은 메모리(404)에 저장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트래킹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사용 트래킹이 발생해야 하는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시간 윈도우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기 스케줄링 로직(412)은 사용 트래킹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상기 시간 윈도우 표시자를 처리한다.
블록 506에서, 상기 터미널이 임의의 계류중인 사용 트래킹을 종료할 임의의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 서버는 업데이트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상기 터미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 트래킹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간 윈도우 표시자를 0으로 설정하는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한다. 응답으로, 상기 터미널은 임의의 계류중인 사용 트래킹을 종료하고, 임의의 집합된 데이터를 페기하거나 혹은 상기 집합된 데이터를 다음 통신 세션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만약 사용 트래킹이 종료되면, 상기 방법은 블록(510)으로 진행한다. 사용 트래킹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512)으로 진행한다.
블록(510)에서, 사용 트래킹이 종료되고, 임의의 로깅된 데이터는 다음 사용가능한 통신에서 상기 사용 서버로 전송되거나 혹은 폐기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서, 상기 처리 로직(402)은 이전에 로깅된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로깅 상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처리한다. 이후 상기 방법은 블록(518)에서 종료된다.
블록(512)에서, 상기 사용 트래킹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사용 트래킹이 선택된 시간 윈도우 내에서 발생하도록 스케줄링된다. 상기 사용 트래킹이 상기 시간 윈도우동안 발생하고 상기 시간 윈도우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 트래킹은 완료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사용 트래킹 데이터가 더 이상 관심 대상이 아님을 인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터미널은 로깅을 중지하고, 상기 로깅된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폐기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업로드하도록 시도한다. 상기 사용 트래킹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방법은 블록(516)으로 진행한다. 상기 사용 트래킹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방법은 블록(514)로 진행한다.
블록 514에서, 상기 터미널은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데이터 로깅을 계속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로직(402)은 상기 메모리(404)로부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검색하고, 이에 따라 디바이스 사용을 로깅한다. 이후 상기 로깅된 트래킹 데이터는 상기 트래킹이 종료되거나 상기 트래킹 윈도우가 종료할 때까지 상기 메모리(404)에 저장된다. 상기 방법은 터미널 명령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되는 블록(508)으로 진행한다.
블록(516)에서, 사용 트래킹이 완료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사용 트래킹 데이터를 상기 사용 서버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상기 트래킹 데이터는 상기 터미널 과 상기 사용 서버 사이의 통신동안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래킹 데이터는 식별가능한 방식으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터미널의 신원을 보호하는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로 상기 터미널의 신원을 매핑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500)은 터미널이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수신하여 이에 따라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방법(500)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흐름 엘리먼트의 변경들, 추가들, 혹은 재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 트래킹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나 본질적인 특성들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물 및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닌 예시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는 후속하는 청구항들에서 설명된다.

Claims (50)

  1.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트래킹(tracking)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 상의 터미널들의 풀(pool)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터미널들을 포함함 - ;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로부터 트래킹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identity)들을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킹 데이터와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을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과 함께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비율 인자(percentage factor)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동일한 터미널들이 다수의 사용 트래킹 세션들에 대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에 있도록 결정론적(deterministic)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론적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론적 함수는 시드(seed) 값을 사용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하는 단계는 해시(hash)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들을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의 일부분으로서 시간 윈도우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 트래킹을 종료하기 위해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들 중 임의의 터미널로 종료 트래킹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10.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트래킹(tracking)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 상의 터미널들의 풀로부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선택 로직;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전송 로직;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로부터 트래킹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수신 로직; 및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identity)들을 매핑하도록 동작하는 매핑 로직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과 함께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로직은 비율 인자(percentage factor)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로직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로직은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동일한 터미널들이 다수의 사용 트래킹 세션들에 대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에 있도록 결정론적(deterministic)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로직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론적 함수는 시드(seed) 값을 사용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로직은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 로직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로직은 해시(hash)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들을 매핑하는 로직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시간 윈도우 표시자를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들 중 임의의 터미널로 종료 트래킹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로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19.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트래킹(tracking)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 상의 터미널들의 풀로부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로부터 트래킹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identity)들을 매핑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트래킹 데이터와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을 연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과 함께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비율 인자(percentage factor)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동일한 터미널들이 다수의 사용 트래킹 세션들에 대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에 있도록 결정론적(deterministic)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결정론적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론적 함수는 시드(seed) 값을 사용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하기 위한 수단은 해시(hash)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들을 매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의 일부분으로서 시간 윈도우 표시자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들 중 임의의 터미널로 종료 트래킹 파라미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28.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추적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 상의 터미널들의 풀(pool)로부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로부터 트래킹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identity)들을 매핑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트래킹 데이터와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을 연관시키기 위한 명령들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과 함께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명령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은 비율 인자(percentage factor)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은 동일한 터미널들이 다수의 사용 트래킹 세션들에 대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에 있도록 결정론적(deterministic)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결정론적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론적 함수는 시드(seed) 값을 사용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은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기 터미널들의 풀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하기 위한 명령들은 해시(hash)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로그 식별자들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의 신원들을 매핑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의 일부분으로서 시간 윈도우 표시자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터미널들의 세트들 중 임의의 터미널로 종료 트래킹 파리미터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37.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네트워크 상의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 경우 트래킹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트 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시간 윈도우 표시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시간 윈도우 표시자에 의해 한정된 시간 주기동안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종료 파라미터의 수신시, 임의의 계류중인(pending) 사용 트래킹을 종료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터미널 식별자들과 함께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비율 표시자(percentage indicator)에 기초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시드(seed) 값에 기초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타겟 터미널인지이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4.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트래킹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수신 로직;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터미널이 타겟 터미널인 경우 트래킹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에 따라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처리 로직; 및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전송 로직을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은 시간 윈도우 표시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시간 윈도우 표시자에 의해 한정된 시간 주기동안 사용 트래킹을 인에이블하도록 동작하는 스케줄링 로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종료 파라미터의 수신시, 임의의 계류중인(pending) 사용 트래킹 동작을 종료하도록 동작하는 처리 로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로직은 터미널 식별자들과 함께 상기 트래킹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48.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비율 표시자(percentage indicator)에 기초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49.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시드(seed) 값에 기초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타겟 터미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50.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로직은 오버헤드 통지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트래킹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사용 트래킹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087031438A 2006-05-25 2007-05-25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터미널들의 풀로부터의 사용 정보를 샘플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34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861506P 2006-05-25 2006-05-25
US60/808,615 2006-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221A true KR20090027221A (ko) 2009-03-16
KR101034746B1 KR101034746B1 (ko) 2011-05-17

Family

ID=3861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438A KR101034746B1 (ko) 2006-05-25 2007-05-25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터미널들의 풀로부터의 사용 정보를 샘플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83748B2 (ko)
EP (1) EP2039124A2 (ko)
JP (1) JP2009538484A (ko)
KR (1) KR101034746B1 (ko)
CN (1) CN101449557B (ko)
CL (1) CL2007001400A1 (ko)
TW (1) TW200809554A (ko)
WO (1) WO200714032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274A2 (ko) 2010-07-30 2012-02-02 롬엔드하스전재재로코리아유한회사 유기발광화합물을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9789A1 (en) * 2002-12-30 2004-10-07 Shaw Terry D. Anonymizer data collection device
US8521843B2 (en) * 2006-05-25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ampling usage information from a pool of terminals in a data network
US8560672B2 (en) * 2006-05-25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bandwidth efficient transmission of usage information from a pool of terminals in a data network
US7783748B2 (en) 2006-05-25 2010-08-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ampling usage information from a pool of terminals in a data network
JP4859535B2 (ja) * 2006-05-30 2012-0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業務管理システム、情報システム及び業務管理方法
US7840382B2 (en) * 2006-10-12 2010-11-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re-creation in controlled environments
CN101183980A (zh) * 2007-12-12 2008-05-21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跟踪方法、装置及系统
WO2010131635A1 (ja) * 2009-05-11 2010-11-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宅内機器監視システム
US20100313009A1 (en) * 2009-06-09 2010-12-09 Jacques Combet System and method to enable tracking of consumer behavior and activity
US8112062B2 (en) * 2009-12-22 2012-02-07 Cellco Partnership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threshold notification in real time
EP4024760A1 (en) 2011-06-14 2022-07-06 ViaSat Inc. Transport protocol for anticipatory content
US9948526B2 (en) 2013-05-13 2018-04-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N103279869A (zh) * 2013-05-24 2013-09-04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信息处理目标的方法和装置
US10445769B2 (en) * 2013-12-24 2019-10-15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dience measurement
US10600076B2 (en) 2014-08-14 2020-03-24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fuscated audience measurement
US10305721B1 (en) * 2014-12-09 2019-05-28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nt delivery using gossip protocols
US20160358082A1 (en) * 2015-06-08 2016-12-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stomized Browser Out of Box Experien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0082B1 (en) 1998-04-30 2003-03-04 Wink Communications, Inc. Configurable monitoring of program viewership and usage of interactive applications
AUPQ206399A0 (en) * 1999-08-06 1999-08-26 Imr Worldwide Pty Ltd. Network user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6529515B1 (en) * 1999-09-30 2003-03-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using an active network mechanism
US6948175B1 (en) * 1999-11-16 2005-09-20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of remote diagnostic, control and information collection using a dynamic linked library
US7343390B2 (en) * 2000-12-20 2008-03-1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internet content usage experiments
US7032229B1 (en) 2001-06-04 2006-04-18 Palmsource, Inc. Automatic tracking of user progress in a software application
US7089304B2 (en) * 2001-08-30 2006-08-08 Microsoft Corporation Metered Internet usage
US7093250B1 (en) * 2001-10-11 2006-08-15 Ncr Corporation Priority scheduler for database access
US20030177488A1 (en) 2002-03-12 2003-09-18 Smith Geoff 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audience measurement
US7220910B2 (en) 2002-03-21 2007-05-2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er persona processing media content-associated metadata
US20040209595A1 (en) * 2002-09-25 2004-10-21 Joseph Bekanich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time usag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376654B1 (en) * 2003-04-29 2008-05-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remote tracking and reporting of computing system performance, usage, and security data
US20060259328A1 (en) * 2003-10-21 2006-11-16 Oculir, Inc. Wireless Non-Invasive Analyte Measurement Device
US7451209B1 (en) * 2003-10-22 2008-11-11 Cisco Technology, Inc. Improving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a load balanced server
EP1565028B1 (en) * 2004-02-13 2007-08-29 Star Home GmbH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roaming users
US7454503B2 (en) * 2004-04-08 2008-1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identify transactions and manage the capacity to support the transaction
US20050262245A1 (en) * 2004-04-19 2005-11-24 Satish Menon Scalable cluster-based architecture for streaming media
US7551922B2 (en) * 2004-07-08 2009-06-23 Carrier Iq, Inc. Rule based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174174B2 (en) 2004-08-20 2007-02-06 Dbs Communications, Inc. Service detail record application and system
US7281045B2 (en) * 2004-08-26 2007-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sioning manager for optimizing selection of available resources
KR20060030779A (ko) * 2004-10-06 200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장소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US8145872B2 (en) * 2004-11-08 2012-03-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ic self-tuning of database management system in dynamic logical partitioning environment
US7817983B2 (en) 2005-03-14 2010-10-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sage patterns of a wireless device
US7788644B2 (en) * 2005-03-24 2010-08-31 Sap Ag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erformance on a mobile device
CA2578602C (en) * 2005-07-05 2012-04-10 Carrier Iq, Inc. Rule based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783748B2 (en) 2006-05-25 2010-08-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ampling usage information from a pool of terminals in a data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274A2 (ko) 2010-07-30 2012-02-02 롬엔드하스전재재로코리아유한회사 유기발광화합물을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EP2905281A1 (en) 2010-07-30 2015-08-12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mploying organic light emitting compound as light emitting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0326A3 (en) 2008-02-07
TW200809554A (en) 2008-02-16
WO2007140326A2 (en) 2007-12-06
EP2039124A2 (en) 2009-03-25
CN101449557A (zh) 2009-06-03
JP2009538484A (ja) 2009-11-05
CN101449557B (zh) 2014-01-29
US20070277182A1 (en) 2007-11-29
CL2007001400A1 (es) 2008-01-04
KR101034746B1 (ko) 2011-05-17
US7783748B2 (en) 201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746B1 (ko)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터미널들의 풀로부터의 사용 정보를 샘플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34955B1 (ko) 데이터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들의 풀로부터 사용 정보의 대역폭 효율적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34883B1 (ko) 데이터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들의 풀로부터 사용 정보를 샘플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998340B2 (en) Method and system to monitor a network
US10715965B2 (en) Report-based control of repeated multicast data transmission
KR100934088B1 (ko) 멀티미디어 컨텐트 플로우들을 생성하고 분산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612723A (zh) 通过使用无线通信系统中的多个网络接口分配业务量的方法和装置
EP2504951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user related traffic statistics
EP3220671A1 (en) Group resource updat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se
CN113453024B (zh) 监控业务的方法、装置和系统
CN113840151A (zh) Ott组播网关调度方法、装置和系统、存储介质
Tankovic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ETSI GS QKD 014 Protocol in 5G/6G Networks
CN111966510B (zh) 一种计算数据流的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7528520A (zh) 服务授权方法、udm、af、通信系统以及存储介质
Jeong et al. A scheme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 on mobile terminal device by using mobile IPTV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