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133A - Radio frequency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 Google Patents

Radio frequency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133A
KR20090027133A KR1020080029581A KR20080029581A KR20090027133A KR 20090027133 A KR20090027133 A KR 20090027133A KR 1020080029581 A KR1020080029581 A KR 1020080029581A KR 20080029581 A KR20080029581 A KR 20080029581A KR 20090027133 A KR20090027133 A KR 20090027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orthogonal
patch element
circular polarization
orthogonal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1480B1 (en
Inventor
이응현
김철후
윤영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아이
주식회사 마루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아이, 주식회사 마루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아이
Priority to KR102008002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480B1/en
Publication of KR20090027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1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5Selecting relay station antenna mode, e.g. selecting omnidirectional -, directional beams, selecting polariz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2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dipole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01Q21/245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provided with means for varying the pol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8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A radio frequency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is provided to maximize a difference of left/right of a main lobe to minimize a sub lobe copied to a rear side of an antenna, thereby minimizing interference due to reflecting waves. A circular polarization link antenna(2310)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base station system. A circular polarization service antenna(2320)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 repeating device(2330) amplifi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ircular polarization link antenna. The repeating device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circular polarization service antenna. The repeating device amplifies the signal through received through the circular polarization service antenna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circular polarization link antenna.

Description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통신 중계 시스템{Radio frequency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Radio frequency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본 발명은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통신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using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system using a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망에서는 산이나 건물, 터널이나 건물의 내부 등과 같은 자연 및 인공장애물로 인해 전파의 세기가 약화되어 이동단말에 의한 무선주파수 수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부분적인 음영 지역이 발생하게 된다. 무선 중계기(RF Repeater)는 기지국 신호를 재증폭함으로써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음영 지역을 커버하여 언제 어디서나 양질의 서비스를 받도록 중계하는 시스템으로 가장 간편한 설치방법으로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있다.In the wireless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intensity of radio waves is weakened due to natural and artificial obstacles such as mountains, buildings, tunnels, interiors of buildings, etc., and thus, partial shadowed areas are generated in which radio frequency reception by mobile terminals is impossible. Radio repeater (RF Repeater) is a system that covers the shadow area existing within the service range of the base station by re-amplifying the base station signal, and relays the system to receive high quality service anytime and anywhere.

이러한 무선 중계 시스템에는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링크 안테나(link antenna)와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안테나(service antenna)가 연결되어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다운링크 신호 는 링크 안테나가 수신하여 무선 중계 시스템에서 증폭된 다음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되며,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는 서비스 안테나가 수신하여 무선 중계 시스템에서 증폭된 다음 링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달된다.In such a wireless relay system, a link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a base station and a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a terminal are connected. The downlink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s received by the link antenna and amplified in the wireless relay system, and then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service antenna. The uplink signal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and amplified in the wireless relay system. It is then delivered to the base station via the link antenna.

통상, 이러한 링크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는 지향성을 갖기 때문에 안테나가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만 전파가 방사(Radiation)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실제의 안테나의 경우, 안테나가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만 전파가 방사되는 것이 아니라 후방으로도 전파가 부분적으로 방사된다. 이때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파의 세기와 후방으로 방사되는 전파의 세기를 전후방비라 하고, 전후방비가 높을수록, 즉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파의 세기가 강할수록 이상적인 중계용 안테나가 된다.Typically, since such link antennas and service antennas are directional, it is ideal that the radio waves are radiated on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ntennas are direc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actual antenna, the radio wave is radiated not on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ntenna is facing, but also partially radiated in the rear. At this time, the intensity of the radio wave radiated forward and the intensity of radio wave radiated backwar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rear ratio, the higher the front and rear ratio, that is, the stronger the strength of radio waves radiated to the front becomes an ideal relay antenna.

무선 중계 시스템의 경우, 링크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는데, 각 안테나의 송수신 주파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서비스 안테나(또는 링크 안테나)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와 링크 안테나(또는 서비스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동일하다. 따라서, 종래의 무선 중계 시스템의 경우, 어느 한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주빔이 다른 안테나로 다시 피드백되어 입력되면서 중계기가 발진하게 되어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링크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 자체의 전후방비를 보다 개선함으로써 두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Isolation)(즉, 인접한 복수의 안테나가 서로의 간섭을 받지 않는 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In the case of a wireless relay system, the link antenna and the service antenna are di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Since the transmit and receive frequencies of the antennas are the same, the signal and link antenna (or service antenna)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antenna (or link antenna) are the same. The frequency of the signal received by) is the same.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relay system, a main beam transmitted from one antenna may be fed back to another antenna and input, thereby causing the repeater to oscillate, thereby preventing normal operation.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solation between the two antennas (that is, the extent to which a plurality of adjacent antenna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by further improving the front and rear ratios of the link antenna and the service antenna itself.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무선 중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wireless relay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 중계 시스템은 링크 안테나(110), 서비스 안테나(120) 및 중계부(1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wireless relay system includes a link antenna 110, a service antenna 120, and a relay unit 130.

링크 안테나(110)는 기지국(140)으로부터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거나 서비스 안테나(120)를 통해 무선단말(150)로부터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기지국(140)으로 전달한다. 서비스 안테나(120)는 무선단말(150)로부터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거나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기지국(140)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무선단말(150)로 전달한다. 중계부(130)는 링크 안테나(110)와 서비스 안테나(120) 사이에서 무선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한다. The link antenna 110 receives the radio frequency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140 or transmits the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radio terminal 150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20 to the base station 140. The service antenna 120 receives a radio frequency signal from the radio terminal 150 or transmits a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40 through the link antenna 110 to the radio terminal 150. The relay unit 130 filters and amplifies the radio frequency signal between the link antenna 110 and the service antenna 120.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무선 중계 시스템에서 선형 편파(Linear polarization) 링크 안테나(110)와 서비스 안테나(120) 사이의 분리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무선주파수 신호의 증폭 후 서비스 안테나(120)를 통해 재전송된 신호가 다시 링크 안테나(110)로 피드백되어 증폭기가 발진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두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를 최대한 확보하여(통상 60~70dB) 전력증폭기의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증폭이득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중계기의 발진은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 치명적이므로 통상적으로 확보된 격리도보다 증폭기의 이득을 15~20dB 낮은 마진을 가지고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증폭기의 이득은 40~55dB 정도가 되는데, 이는 중계기의 기본기능 즉, 충분한 커버리지 확장 또는 전파 음영지역을 보완하는 기능에 제한을 갖게 되고, 무선 중계기의 최대의 단점으로 작용한다.In the conventional wireless relay system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f the separation between the linear polarization link antenna 110 and the service antenna 120 is not sufficiently secured, the radio frequency signal is amplified and then re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120. The signal may be fed back to the link antenna 110 to cause the amplifier to oscillate. Therefore, the maximum isolation between the two antennas (typically 60 ~ 70dB) is used to determine the amplification gain within the range where oscillation of the power amplifier does not occur. At this time, since the oscillation of the repeater is fatal to the network and the system,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set to operate with a margin of 15 to 20 dB lower than the obtained isolation. Therefore,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about 40-55dB, which limits the basic function of the repeater, that is, sufficient coverage expansion or the function of supplementing the radio shadow area, which is the biggest disadvantage of the wireless repeater.

또한 종래의 무선 중계 시스템의 경우에 선형 편파 링크 안테나(110)와 서비 스 안테나(120)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므로, 각각의 안테나의 부엽(side lobe) 방향이 인접된 안테나와 동일한 높이에서 수평으로 형성되어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종래의 무선 중계 시스템의 경우에 주변의 건물이나 물체에 의해 직접 반사된 주빔이 복사된 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복사되어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2에는 일반적인 안테나의 복사특성이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relay system, since the linearly polarized link antenna 110 and the service antenna 120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the side lobe direction of each antenna is horizontal at the same height as the adjacent antenna. Is formed to cause interference. Furthermore,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relay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in beam directly reflected by the surrounding buildings or objects is radiated vertically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radiation, causing interference. 2 shows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antenna.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 중계 시스템이나 간섭 제거 중계 시스템(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 ICS) 등의 지상 운용에 있어서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부엽을 여하히 축소시키느냐가 중요한 과제이다. ICS 중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중경로(Multi-path)로부터 페이딩(fading)되는 신호를 약 30dB 정도 자체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그러나 안테나 자체에 주빔 반사신호 또는 부엽 등이 존재하게 되면, ICS 중계 시스템 자체적으로 간섭을 제거하는 기능이 매우 떨어지게 되어 ISC 중계 시스템 고유의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종래의 무선 중계 시스템은 ICS 중계 시스템보다 간섭의 영향을 더 받기 때문에 운용 상의 어려움이 더 크게 된다. 한편 배열 안테나 (Array antenna)의 패턴에서는 원래 의도했던 제일 큰 빔 패턴을 주엽(main lobe)이라 부르고, 그 이외에 부수적으로 생기는 성분을 부엽(side lobe)이라 부른다. 그리고 각 로브의 사이의 널 각도(Null Angle)에서는 안테나로서 역할이 안 되는 지역이 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부엽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부엽을 조절하는 것은 설계자의 재량이다. 그러나 이러한 부엽은 WCDMA용 무선 중계기를 지상에서 운용할 때 매우 심각한 간섭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넓은 널 각도를 갖는 안테나의 설계가 필요하다. In terrestrial operations such as a conventional wireless relay system or an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ICS),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side lobes generated from an antenna. An ICS relay system is typically capable of removing about 30dB of the fading signal from the multi-path itself. However, when the main beam reflection signal or the side lobe is present in the antenna itself, the function of eliminating interference by the ICS relay system itself becomes very poor, making it difficult to perform the functions unique to the ISC relay system.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wireless relay system is more affected by interference than the ICS relay system, operational difficulties are greater. In the array antenna pattern, the largest intended beam pattern is called a main lobe, and other incidental components are called side lobes. And the null angle between each lobe becomes an area which does not serve as an antenna. In this case, the side lobe may be used in some cases, so it is the designer's discretion to control the side lobe. However, this side lobe acts as a very serious interference source when the WCDMA wireless repeater is operated on the ground, so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antenna having a wide null angle.

이를 위해 선형 편파를 이용한 SBF(Single Beam Forming) 안테나가 제안된 바 있다. 선형 편파를 이용한 SBF 안테나는 넓은 널 각도를 제공하며, 불필요한 방향으로의 신호 전달 특성을 제로화함으로써 격리도 특성이 우수하고 이상적인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선형 편파를 이용한 SBF 안테나의 경우에 격리도를 개선하기 위해 후방 차폐판을 다중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로 인해 안테나 장치의 무게와 크기가 증가하고, 전방에 대하여 부차적인 부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를 건물 옥상 위에 설치하는 경우는 인체에 대한 전자파 피해를 줄이기 위해 옥상 위 표면에 동판과 같은 별도의 차폐물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설치 후 주변 환경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To this end, a SBF antenna has been proposed using linear polarization. SBF antennas using linear polarization provide wide null angles and zero signal transmission in unnecessary directions, resulting in excellent isolation characteristics and ideal beam patterns.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BF antenna using a linear polarization, it is necessary to install multiple rear shield plates in order to improve the isolation, thereby increasing the weight and size of the antenna device and causing secondary side lobes to the front. . In addition, when the antenna device is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shield such as a copper plate must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rooftop in order to reduce the electromagnetic wave damage to the human body, and further, the installation is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섭제거 및 고격리도를 이룰 수 있면서 상대적으로 넓은 좌우선 편파비가 큰 원편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통신용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that can form a circular polarization pattern having a relatively large left and right polarization ratio, while achieving interference isolation and high isolation. have.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용 중계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 시스템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원형 편파 링크 안테나;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원형 편파 서비스 안테나; 및 상기 원형 편파 링크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원형 편파 서비스 안테나로 전달하고, 상기 원형 편파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원형 편파 링크 안테나로 전달하는 중계기;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 편파 링크 안테나 및 상기 원형 편파 서비스 안테나는 각각 전자파를 방출하는 복수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복사부재들 중 서로 마주하고 있는 복사부재들을 연결하는 각각의 급전부재에는 동축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에 연결되어 있는 동축케이블의 길이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되, 상기 링크 안테나 및 상기 서비스 안테나 각각을 구성하는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의 동축케이블의 길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결정하여 각각의 원형 편파 안테나로부터 복사되는 복사파의 편파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하고, 상기 동축케이블 각각의 길이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eat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a circularly polarized link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 base station system constitu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circular polarization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peater for amplify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circular polarization link antenna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circular polarization service antenna, and amplify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ircular polarization service antenna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circular polarization link antenna. The circular polarization link antenna and the circular polarization service antenna each include a plurality of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antennas that emit electromagnetic waves, and radiate members facing each other among a plurality of radiating members constituting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A coaxial cabl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eeding members to be connected, and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connected to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increases sequentially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respectively. Coaxial Cables of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Antennas The length of is determined to increase sequentially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radiation wave radiated from each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is opposite to each other, the length of each of the coaxial cable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8023097014-PAT00001
Figure 112008023097014-PAT00001

여기서, Lij는 동축케이블의 길이(단, i는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된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배치순서, j는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연결된 동축케이블의 순서), VF는 동축케이블의 속도 인자, 그리고, λ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이다. Where L ij is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where i is the arrangement order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arranged in a rhombus shape, and j is the clockwise direction of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VF is the speed factor of the coaxial cable, and λ i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본 발명에 따른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통신용 중계기에 의하면, 안테나의 후방으로 복사되는 주엽 및 부엽을 최소화함으로써 안테나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에 의해 반사된 주엽의 반사파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임피던스 매칭과 원편파 발생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급전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안테나의 크기의 소형화 및 안테나 제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간섭제거 및 고격리도를 이룰 수 있면서 편파의 축비 및 좌우선 편파비가 큰 원편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제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pea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minimizes the main lobe and the sublobe radiated to the rear of the antenna, there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by the reflected wave of the main lobe reflected by obstacles around the antenn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antenna and reduce the antenna manufacturing cost by applying a feeding method that can simultaneously achieve impedance matching and circular polariz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which can form a circular polarization pattern having a large polarization ratio and a large left and right polarization ratio while achieving interference elimination and high isola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 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무선통신용 중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repeat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대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3 and 4 are respectively a plan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는 4개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 후방 초크(320), 제1반사 패치 소자(330), 제1더미 패치 소자(340), 제2더미 패치 소자(350) 및 제2반사 패치 소자(360)를 구비한다.3 and 4,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four antennas (310, 312, 314, 316), rear choke 320, first reflection patch An element 330, a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a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and a second reflective patch element 360 are provided.

4개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후방 초크(320) 상에 배치된다. 후방 초크(320)는 알루미늄 또는 백색 크로메이트 처리된 금속 재질의 사각형 판상체로서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들이 고정된다. 이러한 후방 초크(320)는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로부터 후방으로 복사되는 전자파를 전방으로 반사시키고,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바닥 표면으로 흐르는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상쇄시킨다. 후방 초크(320)는 제1반사초크(322), 더미초크(324), 제2반사초크(326) 및 복수의 삽입초크(328)로 구성된다. 제1반사초크(322)와 제2반사초크(326)는 4개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로부터 후방으로 복사된 전자파를 전방으로 반사시킨다. 제1반사초크(322)와 제2반사초크(326)의 각 변의 길이는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측변의 길이에 비해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 만큼 짧다. 또한 제1반사초크(322)와 제2반사초 크(326)는 더미초크(324)와 함께 4개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로부터 후방으로 복사되어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바닥 표면으로 흐르는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상쇄시킨다. 더미초크(324)는 제1반사초크(322)와 제2반사초크(326) 사이에 위치하며, 4개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로부터 후방으로 복사되어 유기된 전자파에 역위상차를 발생시켜 서로 상쇄시킨다. 이러한 더미초크(324)는 제1반사초크(322)보다 각 변의 길이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만큼 짧은 사각형 판상의 각각의 모서리에 사각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이웃하는 돌출부의 각 단부의 길이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이고, 폭은 사용대역의 상위 주파수 파장의 1/4이다. 삽입초크(328)는 제1반사초크(322)와 더미초크(324) 사이, 더미초크(324)와 제2반사초크(326) 사이, 제2반사초크(326)와 제1반사 패치 소자(330) 사이에 삽입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삽입초크(328)는 의 각 변의 길이는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측변의 길이에 비해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 만큼 짧다. 이와 같은 제1반사초크(322), 더미초크(324) 및 제2반사초크(326)의 작용에 의해 잡음전력이 대폭 감소된다. Four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four antennas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disposed on the rear choke 320. The rear choke 320 is a rectangular plate-shaped body made of aluminum or white chromate-treated metal, and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antennas are fixed thereto. The rear choke 32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to reflect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ed backward from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316 for the antenna to the front, and the first reflection The electromagnetic wave flow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tch element 330 is absorbed or canceled. The rear choke 320 includes a first reflection choke 322, a dummy choke 324, a second reflection choke 326,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chokes 328. The first reflection choke 322 and the second reflection choke 326 reflect the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backward from the four quadratur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to the front.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first reflecting choke 322 and the second reflecting choke 326 is shorter by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than the length of the side of the first reflecting patch element 330. In addition, the first reflection choke 322 and the second reflection choke 326 together with the dummy choke 324 are radiated backward from four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the first reflection patch. Absorb or offset electromagnetic waves flow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vice 330. The dummy choke 324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flection choke 322 and the second reflection choke 326, and radiated and radiated backward from four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antennas. The counter phases are generated in order to cancel each other out. The dummy choke 324 has a shape in which a rectangular protrusion i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rectangular plate shorter than the first reflection choke 322 by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At this time, the length of each end of the neighboring protrusion is 1/4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the width is 1/4 of the upp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The insertion choke 328 is between the first reflection choke 322 and the dummy choke 324, between the dummy choke 324 and the second reflection choke 326, the second reflection choke 326 and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 Inserted between the 330 to maintain the gap.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insertion choke 328 is half as short a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compared to the length of the side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Noise power is greatly reduced by the action of the first reflection choke 322, the dummy choke 324, and the second reflection choke 326.

이때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는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되며, 중계기용 다이폴 안테나의 설치시 지표면에 대해 수직한 평면이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에 의해 이루어지는 마름모의 대각선과 일치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의 중심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이며,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 합소자(310, 312, 314, 316)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최근접 측벽까지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내지 1/2(바람직하게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0.35~0.5배)이다.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최근접 측벽까지의 최소 거리를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0.35배로 설정한 이유는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크기를 소형화할 때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이웃하는 측벽이 만나서 형성하는 모서리 중에서 최근접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를 구성하는 복수의 복사부재들 중 서로 마주하고 있는 복사부재들을 연결하는 각각의 급전부재에는 동축케이블이 연결된다. In this case,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the antennas is disposed in a rhombus shape, and when the dipole antenna for the repeater is installed,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of each antenna is used for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s 310, 312, and 316. 314, 316 to match the diagonal of the rhombus. In addition, the center distance of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each antenna is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and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of each antenna is use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nearest sidewall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is 1/4 to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preferably 0.35 to 0.5 time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The reason why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center of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each antenna to the nearest side wall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is set to 0.35 time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When the size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is downsized, the edges formed by the neighboring sidewalls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meet from the center of each of the orthogonal hybrid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the antenna. This is to ensure that the distance to the nearest edge is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Furthermore, a coaxial cabl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ower supply members connecting the radiation member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radiation members constituting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each antenna.

도 5a 내지 도 5c에는 각각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5A to 5C show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ntenna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constituting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respectively.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는 4개의 복사부재(510) 및 2개의 급전부재(540, 570)로 구성된다.5A through 5C,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an antenna includes four radiation members 510 and two power feeding members 540 and 570.

각각의 복사부재(51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방사부(520)와 다리부(530)로 구성된다. 방사부(520)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평행부(522, 524), 한 쌍의 평행부(522, 524)와 수직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평행부(522, 524)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526)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평행부(522, 524) 중에서 하부에 위치한 제1평행부(524)의 길이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Low Frequency: FL)의 파장(λ)의 1/4보다 작고, 상부에 위치한 제2평행부(522)의 길이는 사용의 상위 주파수(High Frequency : FH)의 파장(λ)의 1/4보다 작다. 이때

Figure 112008023097014-PAT00002
형태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복사부재는 각각의 복사부재의 하단에 위치한 평행부들의 종단 사이의 거리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파장(λ)의 1/2이 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Each radiation member 510 has the same shape and is composed of a radiating portion 520 and a leg portion 530. The radiating part 520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pair of parallel parts 522 and 524 and the pair of parallel parts 522 and 52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524 is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524 located below the pair of parallel portions 522 and 524 is less than 1/4 of the wavelength? Of the low frequency F L of the use band, The length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522 located at is less than 1/4 of the wavelength λ of the high frequency (F H ) of use. At this time
Figure 112008023097014-PAT00002
The pair of radiation members facing each other in a for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parallel portions located at the bottom of each radiation member is 1/2 of the wavelength? Of the lower frequency of the use band.

한편 제2평행부(522)의 일단부는 상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1평행부(524)의 상단으로부터 제2평행부(522)의 돌출부의 종단까지의 길이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파장(λ)의 1/4이며, 제1평행부(524)의 상단으로부터 제2평행부(522)의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단부의 상단까지의 길이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파장(λ)의 1/8 내지 1/4이다. 또한 다리부(530)는 방사부(5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다리부의 길이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파장(λ)의 1/4이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각각의 복사부재(510)는 90°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복사부재(510)는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바닥 표면으로 흐르는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판상체로 제작되는 후방 초크(320)와 동일한 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백색 크로메이트 처리된 금속 등)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복사부재(510)를 후방 초크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면,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와 후방 초크(32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고, 특히, 알루미늄 재질의 경우에는 전체적인 안테나를 경량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Meanwhile, one end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522 protrudes upward. Accordingly, the length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524 to the end of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522 is one quarter of the wavelength? Of the lower frequency of the use band. The length from the upp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end where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522 is not formed is 1/8 to 1/4 of the wavelength? Of the lower frequency of the use band. In addition, the leg portion 53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radiating portion 520, the length of the leg portion is 1/4 of the wavelength (λ) of the lower frequency of the use band. Each copy member 510 having such a shape is spaced apart at 90 ° intervals. In addition, each radiation member 51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ar choke 320, which is made of a plate-like body that absorbs or offsets electromagnetic waves flow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eg, aluminum). , White chromated metal, etc.). When the radiation member 51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ar choke, the potential dif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the antenna and the rear choke 320,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In the case of aluminum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verall antenna can be reduced in weight.

급전부재(540, 570)는 상호 연결되는 복사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복사부재의 각 다리부 및 한 쌍의 평행부 중 하측에 배치된 평행부에 부착되는 제1지지부(550 및 580), 상호 연결되는 복사부재들 중 다른 복사부재의 한 쌍의 평행부 중 하측에 배치된 평행부에 부착되는 제2지지부(522, 582), 그리고, 지지부들의 상단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560, 59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지지부(550, 580)의 종단으로부터 연결부(560, 590)의 중앙까지의 길이는 복사전파의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파장의 1/4이다. 또한 급전부재(540, 570) 중 제1급전부재(540)의 중앙부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2급전부재(570)의 중앙부는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급전부재(540, 57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급전부재(540, 570)는 구리를 함유한 금속(예를 들면, 청동, 황동 등)으로 제작된다. The feeding members 540 and 570 are first supporting portions 550 and 580 attached to parallel portions disposed below each leg portion and a pair of parallel portions of any one of the radiating member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econd support portions 522 and 582 attached to parallel portions disposed below a pair of parallel portions of other radiation members among the radiating members to be connected, and connecting portions 560 and 590 interconnecting upper ends of the supporting portions. Is done. At this time,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550, 580 to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ortion 560, 590 is 1/4 of the wavelength of the lower frequency of the band used for radiation. In additio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feed member 540 of the feed member (540, 57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feed member 57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each of the feed member (540, 570 is configured not to contact each other. The power feeding members 540 and 570 are made of a metal containing copper (eg, bronze, brass, etc.).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과 크기를 갖는 복수의 복사부재(510)와 급전부재(540, 570)로 이루어진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는 높이와 폭이 모두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l/2의 길이를 갖게 된다. 이러한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가 원편파를 형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소자로 이용된다. 이때 급전부재(540, 570)와 이에 의해 연결되는 복사부재(510)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전부재(540, 570)와 이에 의해 연결되는 복사부재(510) 사이에 PTFE 재질의 절연체를 삽입하며, 급전부재(540, 570)와 복사부재(510)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재질을 사용한다. 폴리 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와 포스겐등을 반응시켜 제조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열성 및 전기절연성이 뛰어나 다. The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including a plurality of radiation members 510 and power feeding members 540 and 570 having the shape and size as described above has a height and a width of l / 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Will have a length. The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is used as a basic element for forming a circularly polarized wav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In this case, an insulator made of PTFE is inserted between the feed members 540 and 570 and the radiating member 510 connected thereto so as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feed members 540 and 570 and the radiating member 510 connected thereto. The bolts for fastening the power supply members 540 and 570 and the radiation member 510 are made of polycarbonate. Polycarbonate is a thermoplastic resin produced by reacting bisphenol A with phosgene. It has high mechanical streng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한편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가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첫째, 한 쌍의 복사부재와 급전부재로 이루어지는 복합소자의 구성요소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원편파를 생성하기 위한 위상지연이 필요하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to operate correctly, first, impedance matching of components of a composite device including a pair of radiating members and a feeding member must be performed. A phase delay is needed to generate polarization.

먼저, 복합소자의 구성요소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를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은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를 병렬로 단순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일예로, 50Ω의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가 병렬로 연결되면 연결점에서의 임피던스는 25Ω이다. 그런데 동축 케이블이나 증폭기 등과 같은 복합소자의 구성요소에 연결된 기기들과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재파비(Standing Wave Ratio : SWR)을 1.5:1 이하로 유지시키면서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를 결합한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50Ω의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의 연결점에서 50Ω으로 매칭시켜야 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각각의 복합소자의 구성요소는 이론적으로 50Ω으로 매칭되어야 하며, 이 경우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는 각각 100Ω의 임피던스를 가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연결점에서 임피던스는 50Ω으로 매칭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와 일반 공용 동축 케이블 사이에 매칭 스터브를 이용하여 50Ω 임피던스 매칭을 달성한다. 이때 특정한 길이를 갖는 동축 케이블과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 사이에 임피던스 변화기(예를 들면, 1×2, 1×4, 1×8 In-phase divider)를 매칭 스터브로 이용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다.First, the impedance matching process for the components of the composite device will be described. The simplest way to do this is to simply connect the components of the two composite devices in parallel. For example, if the components of two 50Ω composite elemen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impedance at the connection point is 25Ω.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mpedance matching is not performed with devices connected to components of a composite device such as a coaxial cable or an amplifier.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impedance combining the components of the two composite devices while maintaining the standing wave ratio (SWR) of 1.5: 1 or less. This means that a 50Ω coaxial cable must be matched to 50Ω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mponents of the two composite devices. Therefore, the components of each composite device should theoretically match 50Ω, in which case the components of the two composite devices should each have an impedance of 100Ω. As a result, the impedance at the connection point should be matched to 50Ω, and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50Ω impedance matching by using a matching stub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two composite elements and the common common coaxial cable. In this case, impedance matching is performed using an impedance changer (for example, 1 × 2, 1 × 4, 1 × 8 in-phase divider) between a coaxial cable having a specific length and components of two composite devices as a matching stub. .

두 개의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기 위해 먼저 다음과 같은 λ/4(Quarter wave) 공식으로 λ/4(Quarter wave) 동축 케이블의 중간 임피던스를 계산한다. To match two different impedances, first calculate the intermediate impedance of a λ / 4 (Quarter wave) coaxial cable using the following λ / 4 (Quarter wave) formula:

Figure 112008023097014-PAT00003
Figure 112008023097014-PAT00003

일예로, Z=50Ω으로 임피던스를 매칭시켜야 할 때 40Ω의 임피던스 종단점을 갖는 두 안테나 요소의 결합시 임피던스 매칭방법은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he impedance matching method in the combination of two antenna elements having an impedance termination point of 40Ω when the impedance must be matched to Z = 50Ω is as follows.

먼저, λ/4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40Ω의 임피던스 종단점을 갖는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를 결합시기키 위해 수학식 1에 의해 새로운 임피던스 Z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산출된 임피던스 Z에 맞는 임피던스 변환기를 설계하여 50Ω으로 매칭시킨다. 이때 Z1은 복합소자의 구성요소의 임피던스로서 50Ω이고, Z2는 종단점 임피던스로서 40Ω이라 하면, 수학식 1에 의해 새로운 임피던스 Z는 약 44.7Ω이 된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λ/4 동축 케이블과 연결된 각각의 복합소자의 구성요소의 임피던스는 약 44.7Ω이다. 이와 같이 임피던스가 44.7Ω인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를 50Ω과 매칭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를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하여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를 제작한다. 이와 같이 임피던스가 44.7Ω인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가 결합되어 제작된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에 두 개의 λ/4 동축 케이블을 병렬로 연결하면, 임피던스는 22.4Ω이 된다. 이 임피던스가 임피던스 변환기(In-phase divider 또는 Quadrature hybrid combiner and divider)와 연결되어 최종 50 Ω으로 매칭된다.First, a new impedance Z is calculated by Equation 1 to combine the components of two composite devices having an impedance termination point of 40Ω by using a λ / 4 coaxial cable. Next, an impedance converter matching the calculated impedance Z is designed and matched to 50Ω. At this time, if Z1 is 50Ω as the impedance of the component of the composite device and Z2 is 40Ω as the endpoint impedance, the new impedance Z is about 44.7Ω by Equation (1). Thus,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impedance of the component of each composite element connected to the λ / 4 coaxial cable is about 44.7 Ω.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atch the components of the two composite devices having an impedance of 44.7Ω with 50Ω, first, the components of the two composite devices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6C to manufacture an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When two λ / 4 coaxial cabl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an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 components of two composite devices having an impedance of 44.7Ω, the impedance becomes 22.4Ω. This impedance is connected to an impedance converter (in-phase divider or quadrature hybrid combiner and divider) to match the final 50 Ω.

상술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가 44.7Ω인 두 복합소자의 구성요소가 결합되어 제작된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전체 매칭 스터브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임피던스 변환기와 연결되는 패턴을 27.6Ω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매칭 패턴을 구성하면, 임피던스가 22.4Ω인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가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50Ω Port와 매칭되며, 역으로 50Ω의 Port에서 분리되어 22.4Ω의 port와 매칭된다. 이와 같이 임피던스 변환기와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부분을 매칭 스터브라 하며, 매칭 스터브를 이용하여 단일 또는 다중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struct a total matching stub for impedance matching of an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which is a component of two composite devices having an impedance of 44.7Ω, the pattern connected to the impedance converter is 27.6Ω. shall. When the matching patter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having an impedance of 22.4Ω is combined and finally matched to a 50Ω port, and inversely separated from a 50Ω port to be matched to a 22.4Ω port. As such, a matching stub is used to match different impedances using an impedance converter and a coaxial cable, and impedance matching of a single or multiple antennas is possible using a matching stub.

이때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를 구성하는 급전부재에 연결되는 동축 케이블의 길이는 다음의 과정에 의해 결정된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connected to the feed member constituting the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process.

먼저, 40Ω으로 제작된 동축 케이블을 선정한다. 이때 40Ω과 50Ω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는 매우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50Ω의 동축 케이블(50Ω Nominal SF-085 동축 케이블)을 선택해도 무방하다. SF-085 동축케이블의 VF(Velocity Factor)는 0.66이며, 이는 동축 케이블 내에서 전자파의 전파속도가 자유공간에서의 전파속도의 0.66배에 해당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운용 주파수로부터 파장(λ)을 산출한다. 일예로 운용 주파수가 3G 주파수대인 2.0GHz이면, 파장은 150㎜이다. 다음으로, λ/4를 구하며, 2.0GHz 주파수인 경우에 λ/4는 37.5㎜이다. 마지막으로 전기적 λ/4(Electric Quarter Wave : EQ)를 계산하면, 동축 케이블의 길이는 24.8㎜가 된다. 이와 같이 길이가 결정된 동축 케이블을 다이폴 안테나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절적한 피복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노출되는 절연체의 길이는 0.8±0.2㎜의 크기를 유지해야 하며, 노출되는 외부도체의 길이는 9.2±0.2㎜를 유지해야 하고, 노출되는 내부도체의 길이는 1.0±0.2㎜를 유지해야 한다.First, select a coaxial cable made of 40Ω. At this point, the impedance difference between 40Ω and 50Ω is very small, so you can choose a 50Ω coaxial cable (50Ω Nominal SF-085 coaxial cable) that is generally available. The velocity factor (VF) of the SF-085 coaxial cable is 0.66, which means that the propagation speed of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coaxial cable corresponds to 0.66 times the propagation speed in free space. Next, the wavelength lambda is calculated from the operating frequency. For example, if the operating frequency is 2.0 GHz, which is the 3G frequency band, the wavelength is 150 mm. Next, [lambda] / 4 is obtained, and [lambda] / 4 is 37.5 mm at the 2.0 GHz frequency. Finally, when calculating the electrical λ / 4 (EQ),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is 24.8 mm. Proper sheathing should be done to connect the coaxial cable of this length to the dipole. At this time, the length of exposed insulator should be 0.8 ± 0.2mm, the length of exposed outer conductor should be 9.2 ± 0.2mm, and the length of exposed inner conductor should be 1.0 ± 0.2mm.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도 6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전류분포, 복사형태 및 수평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7A to 7C are diagrams illustrating current distribution, radiation form, and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of the quadrature composite element for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C, respectively.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서로 마주보는 복사부재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이며, 전류밀도는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중앙에서 최대이다. 또한 전파의 방사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평행부 각각에 전류흐름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일회전하는 원편파를 방사하는 종래의 'ㄱ'자 형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와 달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F'자 형상의 다이폴 직교 복합소자는 2회전하는 원편파를 방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는 원편파의 회전력의 측면에서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F'자 형상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는 전후방비가 32dB 정도이고, 부엽 및 후엽의 발생이 최소화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ㄱ'자 형태의 다이폴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이러한 'F'자 형태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특성변수들은 다음과 같다.7A to 7C, the directions of currents flowing to the radiation members facing each other are opposite, and the current density is the maximum at the center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 In addition, a current flow is formed in each of the parallel portion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dio waves. Unlike the conventional 'a' shaped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antenna having a circular rotation, which rotates by one such structure, the 'F' shaped dipole orthogonal composite device as shown in FIG. Radiate polarization Therefore, the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 can obtain high performance in terms of rotational force of circular polarization.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7c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the F-shaped wireless repeater antenna has a front and rear ratio of about 32dB, the conventional' b 'shaped dipole antenna in that the generation of the side lobe and the rear lobe is minimized Better performance than orthogonal composite devices.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device for the 'F' type of wireless repeater antenna are as follows.

Cλ=πDλ=0.75λ~1.33λCλ = πDλ = 0.75λ ~ 1.33λ

Sλ=0.2126λ~0.2867λSλ = 0.2126λ ~ 0.2867λ

AR=(2n+1)2nAR = (2n + 1) 2n

여기서, Cλ는 원편파의 둘레 길이, Dλ는 원편파의 직경, Sλ는 일회전의 축 길이, AR은 축 비, 그리고, n은 원편파의 회전수이다.Where Cλ is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ircular polarization, Dλ is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polarization, Sλ is the axial length of one rotation, AR is the axial ratio, and n i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circular polariz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은 사용되는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후방 초크(320) 상에 배치된다.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disposed on the rear choke 320 which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patch element 330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number used.

도 8a 및 도 8b에는 각각 4개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로 이루어진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의 가장 기본적인 배치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수평 방사 특성이 원하는 각도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무선 중계기 안테나의 설치시 각각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지표면에 대해 수직과 수평으로 교차되도록 구성한다. 도 8a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는 제1반사 패치 소자(800)의 바닥판의 대향되는 두 변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 상에 4개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810, 820, 830, 840)가 배치되며, 4개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810, 820, 830, 840)의 중심을 연결하면 마름모가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810, 820, 830, 840)의 중심 간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이며,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810, 820, 830, 840)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800)의 최근접 측벽까지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내지 1/2(바람직하게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0.35~0.5배)이다. 도 8a에 도시된 배치형태의 경우 원편파의 회전방향에 따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길이의 동축케이블들이 각각의 복합소자(810, 820, 830, 840)의 구성요소에 연결된다.8A and 8B show the most basic arrangement of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composed of four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four wireless repeater antennas, respectively. At this tim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horizontal radiation characteristics are formed at a desired angle,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each of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s are configured to cros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when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s are installed.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illustrated in FIG. 8A includes four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four wireless repeater antennas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centers of two opposite sides of the bottom plate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800. 820, 830, and 840 are disposed, and a rhombus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enters of four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810, 820, 830, and 840 for the antenna of the four wireless repeaters.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810, 820, 830, and 840 for each of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s is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and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s 810, 820, 830, and 840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800 to the nearest sidewall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800 is 1/4 to 1/2 (preferably 0.35 to 0.5 time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to be. In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8A, coaxial cables of length as shown in Table 1 are connected to the components of the respective composite elements 810, 820, 830, and 84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ircular polarization.

또한 도 8b에 도시된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는 제1반사 패치 소자(850)의 대각선 상에 4개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860, 870, 880, 890)가 배치되며, 4개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860, 870, 880, 890)의 중심을 연결하면 마름모가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860, 870, 880, 890)의 중심 간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이며, 각각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860, 870, 880, 890)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850)의 최근접 측벽까지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내지 1/2(바람직하게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0.35~0.5배)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로 설정할 때 원형 방사 패턴 특성이 가장 양호하다. 도 8b에 도시된 배치형태의 경우 원편파의 회전방향에 따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길이의 동축케이블들이 각각의 복합소자(860, 870, 880, 890)의 구성요소에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illustrated in FIG. 8B, four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860, 870, 880, and 890 for four repeater antennas are disposed on a diagonal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850. Rhombus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860, 870, 880, and 890 for the repeater antenna.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860, 870, 880, and 890 for each of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s is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and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each of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s (860, 870, and 880). 890,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850 to the nearest side wall is 1/4 to 1/2 (preferably, 0.35 to 0.5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Pear).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circular radiation pattern characteristic is bes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four wireless repeater antennas is set to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In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8B, coaxial cables of length as shown in Table 1 are connected to the components of the respective composite elements 860, 870, 880, 89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ircular polarization.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를 원편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배열로 배치하였을 때, HPBW를 다르게 설계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최근접 측벽까지의 거리를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이 되도록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을 배열하는 방법으 로, 1.9GHz 대역에서 수평 방사 패턴의 HPBW는 45°이며, 수직 방사 패턴의 HPBW는 22°이다. 다른 하나는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최근접 측벽으로부터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바람직하게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0.35배)이 되도록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을 배열하는 방법으로, 1.9GHz 대역에서 빔 폭이 약 10°~15° 정도 확장되어 수평 방사 패턴의 HPBW가 55°~60°이며, 수직 방사 패턴의 HPBW는 약 22°~30°이다. 이는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최근접 측벽 부분으로 대각선 방향으로의 거리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바람직하게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0.35배)이 되도록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을 배열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8A and 8B, when the quadrature composite elements for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s are arranged in the most basic arrangement constituting th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there are two methods of designing the HPBW differently. One method is to arrange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to the nearest side wall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is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In the 1.9 GHz band, the HPBW of the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is 45 ° and the HPBW of the vertical radiation pattern is 22 °. The other is the distance from the nearest sidewall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to the center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 which is 1/4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preferably,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so that the beam width is extended by about 10 ° to 15 ° in the 1.9 GHz band and the HPBW of the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is 55 ° to 60 ° The HPBW of the pattern is about 22 ° to 30 °. This means that the diagonal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wireless repeater antenna to the nearest side wall portion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is 1/4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preferably, the lower part of the use band). Same as the case of arranging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to be 0.35 times the frequency wavelength).

도 9a 및 도 9b에는 각각 4개의 무선 중계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가 수직으로 배열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구성하면, 이득은 크지 않지만 HPBW의 수평 특성이 보다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9a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서 제1반사 패치 소자(900)는 직사각형의 형태이며,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910, 920, 930, 940)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이다. 또한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910, 920, 930, 940)들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900)의 최근접 모서리까지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내지 1/2(바람직하게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0.35~0.5배)이다. 이때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910, 920, 930, 940)를 구성하는 안테나 요소들을 연장한 선은 제1반사 패치 소자(900)의 변에 대해 45° 또는 135°을 각도를 갖는다. 9A and 9B, four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a wireless repeater antenna are arranged vertically, respectively. 9A and 9B, whe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is configured, the gain is not large, but the horizontal characteristic of the HPBW is wider. I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illustrated in FIG. 9A,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90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910, 920, 930, and 940 for each antenna is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Also,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910, 920, 930, and 940 for each antenna to the nearest edge of the first reflective patch element 900 is 1/4 to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Preferably, 0.35 to 0.5 time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At this time, the line extending the antenna elements constituting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910, 920, 930, and 940 for each antenna has an angle of 45 ° or 135 °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900.

또한 급전방식의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두 개의 복합소자(910, 920)에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0° 및 90°의 위상으로 급전하며, 하부에 위치한 두 개의 복합소자(930, 940)에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180° 및 270°의 위상으로 급전한다. 따라서 상부에 위치한 두 개의 복합소자(910, 920)의 각 구성요소 중에서 0°의 위상으로 급전되는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제1동축케이블들(즉, 각 복합소자의 좌상에 위치한 복사부재에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의 길이는 동일하다. 또한 상부에 위치한 두 개의 복합소자(910, 920)의 각 구성요소 중에서 90°의 위상으로 급전되는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제2동축케이블들(즉, 각 복합소자의 우상에 위치한 복사부재에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의 길이 역시 동일하며, 90°의 위상차이가 나기 위해서는 제1동축케이블의 길이보다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만큼 길어야 한다. 이와 같은 동축케이블의 길이 및 연결관계는 하부에 위치한 두 개의 복합소자(930, 940)에 대해서도 동일하며, 다만 각 복합소자(930, 940)의 우하에 위치한 복사부재에 연결되는 동축케이블들의 길이는 제1동축케이블의 길이보다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만큼 길어야 하고, 좌하에 위치한 복사부재에 연결되는 동축케이블들의 길이는 제1동축케이블의 길이보다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3/4만큼 길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ower feeding method, two composite elements 910 and 920 positioned at the top are supplied with phases of 0 ° and 90 ° to respective components, and two composite elements 930 and 940 located at the bottom thereof are respectively provided. The component is fed in phases of 180 ° and 270 °. Accordingly, the first coaxial cables (that is, connected to the radiation member located at the upper left of each composite element) connected to the component fed at a phase of 0 ° among the components of the two composite elements 910 and 920 positioned at the top. Coaxial cable) is the same length. In addition, the second coaxial cables (that is, connected to the radiation member locat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each composite element) connected to the component that is fed in the phase of 90 ° of each component of the two composite elements 910, 920 located on the upper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is also the same, and in order to achieve a phase difference of 90 °, the length of the first coaxial cable must be 1/4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The length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coaxial cable are the same for the two composite elements 930 and 940 located below, except that the lengths of the coaxial cables connected to the radiation members located under the right side of each composite element 930 and 940 are the same. The length of the first coaxial cable should be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and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s connected to the radiation member located at the lower left is 3 /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coaxial cable. It must be as long as four.

도 9a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는 2.2GHz 대역에서 수평 방사 패턴의 HPBW는 70°이며, 수직 방사 패턴의 HPBW는 35°이다.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illustrated in FIG. 9A has a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of HPBW of 70 ° and a vertical radiation pattern of HPBW of 35 ° in a 2.2 GHz band.

또한 도 9b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는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960, 970, 980, 990)를 구성하는 복합소자 구성요소들을 연장한 선이 제1반사 패치 소자(950)의 측벽에 대해 90° 또는 180°을 각도를 갖는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이 경우 2.2GHz 대역에서 빔 폭이 약 10° 정도 확장되어 수평 방사 패턴의 HPBW가 80°이며, 수직 방사 패턴의 HPBW는 약 40°이다. 이는 복합소자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950)의 최근접 측벽으로 대각선 방향으로의 거리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이 되도록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을 배열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In addition, i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illustrated in FIG. 9B, a line extending from the composite element components constituting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960, 970, 980, and 990 for each antenna has a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 The only difference is that it has an angle of 90 ° or 180 ° with respect to the sidewall of 950,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In this case, the beam width is extended by about 10 ° in the 2.2 GHz band so that the HPBW of the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is 80 ° and the HPBW of the vertical radiation pattern is about 40 °. This is the same as the case of arranging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an antenna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omposite element to the nearest sidewall of the first reflective patch element 950 is 1/4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도 10에는 도 8a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와 같이 배치된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010, 1020, 1030, 1040)와 제1반사 패치 소자(1000)의 꼭지점 사이에 추가적인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050, 1060, 1070, 1080)가 배치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안테나의 배열 형태는 루프 배열로서 링크 안테나에 적용된다. 이때 추가적인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050, 1060, 1070, 1080) 각각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1000)의 측벽 중에서 최근접 측벽까지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내지 1/2(바람직하게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0.35~0.5배)이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추가적인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050과 1060, 1060과 1070, 1070과 1080, 1080과 1050)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파장의 1.5배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있어서, 추가적인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050, 1060, 1070, 1080) 각각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1000)의 측벽 중에서 최근접 측벽까지의 거리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일 때 수평 방사 패턴의 HPBW는 약 25°이다. 이는 도 8a에 도시된 형태의 배열을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의 수평 방사 패턴과 비교할 때 HPPW가 거의 절반 이상 좁아진 것이며, 따라서 이득은 3dB 이상 증가한다.FIG. 10 shows an intersection between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1010, 1020, 1030, and 1040 for each antenna arranged with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shown in FIG. 8A and the vertices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1000. The form in which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1050, 1060, 1070, and 1080 for the antenna are arranged is shown. The arrangement of the antenna shown in FIG. 10 is applied to the link antenna as a loop arrangement. In this case, the distance from each of the additional antenna quadrature composite elements 1050, 1060, 1070, and 1080 to the nearest side wall among the sidewalls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1000 is 1/4 to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Preferably, 0.35 to 0.5 time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1050 and 1060, 1060 and 1070, 1070 and 1080, 1080 and 1050 adjacent to each other is preferably arranged to be 1.5 times the wavelength of the lower frequency of the use band. I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shown in FIG. 10, each of the additional orthogonal hybrid elements 1050, 1060, 1070, and 1080 for each antenna from the sidewall of the first reflective patch element 1000 to the nearest sidewall is shown. When the distance is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the HPBW of the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is about 25 °. This is nearly half as narrow as the HPPW compared to the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of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wireless repeaters having the arrangement of the type shown in FIG. 8A, thus increasing the gain by more than 3 dB.

도 10에 도시된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의 급전방식의 경우에 마름모의 꼭지점에 위치한 네 개의 복합소자(1010, 1020, 1030, 1040)로의 급전방법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의 급전방식과 동일하다. 그리고, 추가적인 복합소자(1050, 1060, 1070, 1080) 각각은 마름모의 꼭지점에 위치한 네 개의 복합소자(1010, 1020, 1030, 1040) 중에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복합소자와 동일한 급전방식에 의해 급전된다. In the case of the feeding method of the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shown in FIG. 10, the feeding method to the four composite elements 1010, 1020, 1030, and 1040 located at the vertex of the rhombus is shown in FIGS. 8A and 8B. Same as the power feeding method of the antenna. Each of the additional composite devices 1050, 1060, 1070, and 1080 is fed by the same feeding method as the composite device located closest to the four composite devices 1010, 1020, 1030, and 1040 located at the vertex of the rhombus.

도 11a 및 도 11b에는 각각 서비스 안테나에 적용되는 수직배열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구성하면, 루프 형태의 배열과 마찬가지로 안테나 전체 이득이 도 8a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보다 3dB 이상 증가하며, 그에 따라 빔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된다. 도 11a에 도시된 다이폴 안테나의 배치 형태는 도 8a에 도시된 배치 형태를 동일한 형태로 복사한 것으로,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120, 1122, 1124, 1126, 1140, 1142, 1144, 1146)는 마름모의 꼭지점에 배치되며, 설치시 마름모의 상부 꼭지점과 하부 꼭지점을 이은 직선이 지표면에 대해 수직인 복수의 안테나 군(1110, 1130)을 이룬다. 그리고 각 각의 안테나 군(1110, 1130)을 구성하는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120, 1122, 1124, 1126, 1140, 1142, 1144, 1146) 중에서 다른 군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126, 1140)를 제외한 나머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120, 1122, 1124, 1142, 1144, 1146)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1100)의 최근접 측벽까지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내지 1/2(바람직하게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0.35~0.5배)이다. 또한, 다른 안테나 군(1110, 113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복합소자(1126, 1140)의 평행부의 종단 사이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파장의 1/20 내지 1/8(바람직하게는 1/16)이다. 이는 각각의 안테나 군(1110, 1130)을 구성하는 복합소자(1120, 1122, 1124, 1126, 1140, 1142, 1144, 1146)들 중에서 가장 인접하는 복합소자들의 평행부의 종단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도 11a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는 2.2GHz 대역에서 수평 방사 패턴의 HPBW가 약 45°이며, 수직 방사 패턴의 HPBW는 약 22°이다. 11A and 11B illustrate vertical arrangements applied to service antennas, respectively. Whe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the antenna overall gain is 3 dB or more higher tha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illustrated in FIG. Increase, and the beam width becomes relatively narrow accordingly. The arrangement of the dipole antenna shown in FIG. 11A is a copy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8A in the same form, and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1120, 1122, 1124, 1126, 1140, 1142, 1144, and 1146 for each antenna is illustrated. Is arranged at the vertex of the rhombus, and when installed,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vertices of the rhombus forms a plurality of antenna groups 1110 and 1130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And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located at a position closest to another group among the orthogonal hybrid elements 1120, 1122, 1124, 1126, 1140, 1142, 1144, and 1146 constituting each antenna group 1110 and 1130.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quadrature composite elements 1120, 1122, 1124, 1142, 1144, and 1146 for the remaining antennas except for (1126, 1140) to the nearest sidewall of the first reflective patch element 1100 i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1/4 to 1/2 (preferably 0.35 to 0.5 time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Fu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parallel portions of the composite elements 1126 and 1140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other antenna groups 1110 and 1130 is 1/20 to 1/8 of the wavelength of the lower frequency of the band used (preferably 1). / 16). This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parallel portions of the adjacent composite elements among the composite elements 1120, 1122, 1124, 1126, 1140, 1142, 1144, and 1146 constituting each antenna group 1110 and 1130.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illustrated in FIG. 11A has a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of about 45 ° and a vertical radiation pattern of about 22 ° in the 2.2 GHz band.

도 11b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의 배치 형태는 도 8a에 도시된 배치 형태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추가적인 다이폴 안테나를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 마름모 형태로 배치된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160, 1162, 1164, 1166) 중에서 지표면에 대해 수직한 직선 상에 위치한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160, 1164)들과 제1반사 패치 소자(1150)의 변 사이에 추가적인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170, 1172)들이 각각 배치된다. 또한 추가적인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170, 1172) 각각의 평행부의 종단으로부터 최근접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 자(1160, 1164)의 평행부의 종단 사이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파장의 1/20 내지 1/8(바람직하게는 1/16)이다. 이는 마름모 형태로 배치된 복합소자(1160, 1162, 1164, 1166)들 중에서 가장 인접하는 복합소자들의 평행부의 종단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또한 추가적인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1170, 1172) 각각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1150)의 최근접 측벽까지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이다. 이 경우 2.2GHz 대역에서 빔 폭이 약 10° 정도 확장되어 수평 방사 패턴의 HPBW가 55°이며, 수직 방사 패턴의 HPBW는 약 25°이다. 이는 도 11a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서,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1150)의 최근접 모서리 부분으로 대각선 방향으로의 거리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이 되도록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을 배열하는 경우와 동일하며, 도 8a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보다 이득이 3dB 이상 증가하게 된다. In the arrangement of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illustrated in FIG. 11B, an additional dipole antenna is disposed on the top and the bottom, respectively, in the arrangement illustrated in FIG. 8A. In this case, among the orthogonal hybrid elements 1160, 1162, 1164, and 1166 arranged in a rhombus shape, the orthogonal hybrid elements 1160 and 1164 and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1150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Additional quadrature composite elements 1170 and 1172 for antennas are disposed between sides of the antenna. Fu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parallel portions of each of the additional antennas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1170 and 1172 from the ends of the parallel portions of the orthogonal hybrid elements 1160 and 1164 for the nearest antenna is from 1/20 to the wavelength of the lower frequency of the band used. 1/8 (preferably 1/16). This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parallel portions of the adjacent composite elements among the composite elements 1160, 1162, 1164, and 1166 arranged in a rhombus shape. In addition, the distance from each of the additional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1170 and 1172 for the antenna to the nearest side wall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1150 is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In this case, the beam width is extended by about 10 ° in the 2.2 GHz band so that the HPBW of the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is 55 ° and the HPBW of the vertical radiation pattern is about 25 °. I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shown in FIG. 11A, the distance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tennas to the nearest edge portion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1150 is the lower frequency of the use band. It is the same as the case of arranging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to be 1/2 of the wavelength, and the gain is increased by 3 dB or more tha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shown in FIG.

도 11a에 도시된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의 급전방식의 경우에 각각의 안테나 군(1110, 1130)을 복합소자(1120, 1122, 1124, 1126, 1140, 1142, 1144, 1146)로의 급전방법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의 급전방식과 동일하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의 급전방식의 경우에 마름모의 꼭지점에 위치한 복합소자(1160, 1162, 1164, 1166)로의 급전방법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의 급전방식과 동일하며, 추가적인 복합소자(1170, 1172) 각각은 마름모의 꼭지점에 위치한 네 개의 복합소자(1160, 1162, 1164, 1166) 중에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복합소자와 동일 한 급전방식에 의해 급전된다. In the case of the feeding method of the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shown in FIG. 11A, a method of feeding the respective antenna groups 1110 and 1130 to the composite elements 1120, 1122, 1124, 1126, 1140, 1142, 1144, and 1146 is illustrated in FIG. 11A. The power feeding method of the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shown in 8a and 8b is the same. In addition, in the power feeding method of the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shown in FIG. 11B, the feeding method to the composite elements 1160, 1162, 1164, and 1166 located at the vertex of the rhombus is shown in FIGS. 8A and 8B. It is the same as the feeding method of, and each of the additional composite devices 1170 and 1172 is fed by the same feeding method as the composite device located closest among the four composite devices 1160, 1162, 1164, and 1166 located at the vertex of the rhombus. do.

제1반사 패치 소자(33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태로 제작되며,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바닥면에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가 고정된다.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바닥면에는 전자파를 흡수하는 구조의 후방 초크(320)가 설치되며, 후방 초크(320)는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의 후방으로 복사되는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상쇄시켜 전방으로 최대 방사가 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측벽과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의 중심 사이의 거리(예를 들면,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내지 1/2 범위 내에서 선택된 거리)를 조절하면 반전력빔폭(Half Power Beam Width)을 변경할 수 있다. 제1반사 패치 소자(330)는 도 8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에 따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The first reflective patch element 33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n open top, and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the antenna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patch element 330. A rear choke 320 having a structure for absorbing electromagnetic waves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and the rear choke 320 is rearward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the antenna. Absorb or offset the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s to achieve maximum radiation forward.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first reflective patch element 330 and the center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antennas (eg, 1/4 to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You can change the Half Power Beam Width by adjusting the selected distance within the range.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has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11B.

제1더미 패치 소자(34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태로 제작되며, 제1반사 패치 소자(330)를 수용한다. 제1더미 패치 소자(340)의 각각의 측벽에는 측벽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폭이 십자형 슬릿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십자형 슬릿의 폭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0 내지 1/8이다. 특히 이러한 십자형 슬릿의 폭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16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이 1.9GHz이면 십자형 슬릿의 폭은 약 10㎜이다. 또한 십자형 슬릿은 가로 슬릿의 길이가 세로 슬릿의 길이의 2배이며, 세로 슬릿의 길이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이다. 또한 제1더미 패치 소 자(340)는 각각의 측벽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제1날개부와 제1날개부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측벽에 대해 경사(예를 들면, 3°, 5° 등)지도록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제2날개부로 이루어진 날개부를 구비한다. 이때 제2날개부의 길이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이다. 이러한 날개부는 십자형 슬릿을 통과한 전자파가 반사되어 다시 십자형 슬릿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사 방향을 틀어주어 제1더미 패치 소자(340)의 바닥면으로 향하도록 한다.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n open top, and accommodates the first reflective patch element 330. Each sidewall of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cross-shaped slit penetrating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sidewall.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cross slit is 1/20 to 1/8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In particular, the width of the cross-shaped slit is preferably 1/16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In this case, i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is 1.9 GHz, the width of the cross-shaped slit is about 10 mm. In addition, the cross slit has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lit twice the length of the vertical slit,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slit is 1/4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In addition, the first pile patch element 34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eg, 3 °, 5 °)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first wing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outward from the top of each side wall Etc.) and a wing portion formed of a second wing portion which is bent to extend.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econd wing is 1/4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The wing portion is turned so as to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so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passing through the cross slit is reflected and does not flow back into the cross slit.

도 12a 및 도 12b에는 각각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1더미 패치 소자의 사시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제1더미 패치 소자(1200)의 각 측벽에는 하나씩의 십자형 슬릿(1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1더미 패치 소자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상에 위치하는 제1더미 패치 소자(1300)의 측벽들에는 하나씩의 십자형 슬릿(1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들에는 두 개씩의 십자형 슬릿(1320, 1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십자형 슬릿(1310, 1320, 1330)의 크기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동일한 측벽에 형성된 십자형 슬릿(1320, 1330)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5배이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 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1더미 패치 소자 역시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제1더미 패치 소자(13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다만 그 크기만 달라지게 된다. 12A and 12B show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first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 configuration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S. 8A and 8B, respectively. It is. 12A and 12B, one cross slit 1210 is formed on each sidewall of the first dummy patch device 1200. 13A and 1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first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n arrangement form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S. 9A and 9B, respectively. . 13A and 13B, one cross-shaped slit 1310 is formed on sidewalls of the first dummy patch device 1300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Two cross-shaped slits 1320 and 1330 are formed on sidewalls positio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devices.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cross slit 1310, 1320, 1330 is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cross slit 1320, 1330 formed on the same side wall is 1.5 time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Meanwhile,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having the arrangement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also has the first dummy shown in FIGS. 13A and 13B. It has the same shape as the patch element 1300, but only its size is changed.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1더미 패치 소자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제1더미 패치 소자(1400)의 각 측벽에는 두 개씩의 십자형 슬릿(1410, 14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십자형 슬릿(1410, 1420)의 크기 및 중심 사이의 거리는 도 13a 및 도 13b를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14A and 14B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first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 configuration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 10. 14A and 14B, two cross-shaped slits 1410 and 1420 are formed on each sidewall of the first dummy patch device 1400. At this time, the siz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ross-shaped slits 1410 and 1420 are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A and 13B.

한편, 제1더미 패치 소자(340)의 동일한 측벽에 복수개의 십자형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날개부(특히, 제2날개부)의 일부가 제거되며, 그 제거길이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의 n(n은 양의 정수)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더미 패치 소자(340)의 날개부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날개부가 제거된 부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십자형 슬릿 사이에 전자파가 유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제1더미 패치 소자(340)의 날개부의 가장자리는 개방 상태이므로 전자파가 유도되어 되돌아 오게 되며, 이때, 전자파의 합성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부분은 제1더미 패치 소자(340)의 날개부의 중앙이다. 따라서 제1더미 패치 소자(340)의 날개부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전자파가 합성되는 부분을 분산시켜, 제1더미 패치 소자(340)의 날개부가 제거된 부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십자형 슬릿에 전자파가 유기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cross-shaped slits are formed on the same sidewall of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a part of the wing portion (particularly, the second wing portion) is removed, and the removal length i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It is preferable that n (n is a positive integer) times 1/4 of the ratio. As such,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wing portion of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a phenomenon in which electromagnetic waves are induced between two cross-shaped slits positioned at the portion where the wing portion is removed can be prevented. In terms of structure, since the edge of the wing portion of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is in an open state, electromagnetic waves are induced and returned. In this case, the portion of the wing portion of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where the synthesis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occurs is the largest. Central. Accordingly,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wing portion of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magnetic wave is synthesized is dispersed,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is induced in two cross-shaped slits located at the portion where the wing portion of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is removed. This can minimize the phenomenon.

제2더미 패치 소자(35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태로 제작되며, 제1더미 패치 소자(340)를 수용한다. 제2더미 패치 소자(350)는 측벽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제1날개부와, 제1날개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제1날개부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제1날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날개부로 이루어진 날개부를 구비한다. 이때 제2날개부의 한변의 길이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날개부 사이의 간격은 이웃하는 측벽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일정 개수까지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2더미 패치 소자(350)에 형성된 제2날개부는 전류전달 경로가 제2더미 패치 소자(350)의 외부에 위치한 제2반사 패치 소자(360)에 비해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 정도 길게 되므로, 제2더미 패치 소자(350)와 제2반사 패치 소자(360)에 형성되는 전자파의 위상이 180° 차이가 나게 되어 서로 상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2더미 패치 소자(350)는 제1더미 패치 소자(340)로부터 넘어오는 복사파나 전자파를 이차로 흡수하거나 상쇄한다. 한편 제1더미 패치 소자(340)와 제2더미 패치 소자(350) 사이에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또는 1/2의 기구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제2더미 패치 소자(350)로 유입된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알루미늄 또는 백색 크로메이트 처리된 금속 재질의 제1코너 초크가 설치된다. 도 15에는 제1코너 초크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코너 초크는 제2더미 패치 소자(350)의 바닥면의 귀퉁이 부분에 설치된다.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n open top, and accommodates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extends downwardly from an end portion of the first wing portion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ing portion, and extends downwardly from the top of the side wall to the first wing portion. It has a wing portion consisting of a second wing portion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At this time,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second wing portion is preferably set to 1/4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the spacing between the second wing portion is the lower frequency of the use band from the edge formed by the adjacent side wall to a certain number It is set to 1/4 of the wavelength.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wing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has a current transfer path of one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s of the use band compared to the second reflective patch element 360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Since the length becomes about 2, the phases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formed in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and the second reflective patch element 360 are different by 180 °, and the effects of canceling each other can be obtained. As a result,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having such a structure absorbs or cancels the second wave or the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and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is composed of a mechanical structure of 1/4 or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to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A first corner choke made of aluminum or white chromated metal is installed to absorb or offset the electromagnetic waves. An example of the first corner choke is shown in FIG. 15, and the first corner choke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도 16에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2더미 패치 소자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더미 패치 소자(1600)의 각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날개부(1610, 1620, 1630, 1640)는 각 변의 길이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인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때 이웃하는 측벽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두 개의 제2날개부(1610 및 1620, 1630 및 1640) 사이의 간격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의 n(n은 양의 정수)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7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2더미 패치 소자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더미 패치 소자(1700)의 각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날개부(1710, 1720, 1730, 1740, 1750, 1760)는 각 변의 길이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인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때 이웃하는 측벽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세 개의 제2날개부(1710과 1720과 1730, 1740과 1750과 1760) 사이의 간격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의 n(n은 양의 정수)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 1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econd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 configuration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S. 8A and 8B. Referring to FIG. 16, the second wing portions 1610, 1620, 1630, and 1640 protruding outward of each sidewall of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1600 have a length of each side equal to one-third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It has a quadrangular shape of fou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second wing portions 1610 and 1620, 1630, and 1640 from the edge formed by the adjacent sidewall is n times n (n is a positive integer) of 1/4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Do. In addition, FIG. 1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econd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n arrangement form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illustrated in FIG. 10. Referring to FIG. 17, the second wing portions 1710, 1720, 1730, 1740, 1750, and 176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each sidewall of the second dummy patch device 1700 have a lower frequency of each band. It has a square shape that is 1/4 of the wavelength.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three second wing portions 1710 and 1720 and 1730, 1740 and 1750 and 1760 from the edge formed by the neighboring side wall is n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n is a positive integ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imes.

도 18에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2더미 패치 소자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상에 위치하는 제2더미 패치 소자(1800)의 측벽들에는 이웃하는 측벽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세 개씩의 제2날개부(1810과 1820과 1830, 1840과 1850과 1860) 사이의 간격은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이다. 이와 달리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들에는 이웃하는 측벽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한 개씩의 제2날개부(1870, 1880)가 형성된다. 또한 도 19에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2더미 패치 소자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제2더미 패치 소자는 도 18에 도시된 제2더미 패치 소자와 그 형태가 유사하다. 다만,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들에 이웃하는 측벽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서로의 간격이 복사전파의 1/4인 두 개씩의 제2날개부(1970과 1975, 1980과 1985)가 형성되며, 복사전파의 1/4인 간격으로 배치된 세 개씩의 제2날개부의 외곽에 위치한 제2날개부(1930, 1940)의 사이 간격이 보다 넓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FIG. 18 shows an example of a second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 configuration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S. 9A and 9B. Referring to FIG. 18, three second wing portions 1810 are formed on the sidewalls of the second dummy patch device 1800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from edges formed by neighboring sidewalls. And 1820 and 1830, 1840 and 1850 and 1860 are 1/4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wing portions 1870 and 1880 are formed on sidewalls positio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from edges formed by neighboring sidewalls. 1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econd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n arrangement form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shown in FIG. 19 is similar in shape to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shown in FIG. However, two second wings each having a quarter of each other from the corners formed by the sidewalls adjacent to the sidewalls loc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with each other. 1970 and 1975, 1980 and 1985) are formed, and the gap between the second wing parts 1930 and 1940 located at the outer side of the three second wing parts spaced one quarter of the radiation propagation is wider. There is a difference.

제2반사 패치 소자(36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태로 제작되며, 제2더미 패치 소자(350)를 수용한다. 제2반사 패치 소자(360)는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310, 312, 314, 316)에 의해 생성된 부엽이나 후엽을 차단하며, 기타 유기되는 전자파를 전면으로 방사하게 하여 제1반사 패치 소자(330)와 함께 전방으로의 전자파 방사가 최대가 되도록 한다. 제2반사 패치 소자(360)와 제2더미 패치 소자(350) 사이에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또는 1/2의 기구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후방으로 복사되는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알루미늄 또는 백색 크로메이트 처리된 금속 재질의 제2코너 초크가 설치된다. 도 20에는 제 2코너 초크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2코너 초크는 제2반사 패치 소자(360)의 바닥면의 귀퉁이 부분에 설치된다.The second reflective patch element 36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ccommodates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The second reflection patch element 360 blocks the side lobe or the posterior lobe generated by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310, 312, 314, and 316 for the antenna, and radiates the other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front, thereby allowing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 330 to maximize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forward. Between the second reflecting patch element 360 and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has a mechanical structure of 1/4 or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absorbs or cancels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radiated backward A second corner choke of aluminum or white chromate treated metal is installed. An example of the second corner choke is shown in FIG. 20, and the second corner choke is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ive patch element 36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가 원편파를 복사하기 위해서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로 급전되는 전자파의 위상이 각각 0°, 90°, 180°, 270°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를 달성한다. 원편파를 생성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의 길이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adiate the circular polarization phas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fed to each antenna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constituting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These shall be 0 °, 90 °, 180 ° and 270 °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chiev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connected to each antenna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for generating circular polarization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8023097014-PAT00004
Figure 112008023097014-PAT00004

여기서, Lij는 동축케이블의 길이(단, i는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된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배치순서, j는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연결된 동축케이블의 순서), VF는 동축케이블의 속도 인자, 그리고, λ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이다. Where L ij is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where i is the arrangement order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arranged in a rhombus shape, and j is the clockwise direction of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VF is the speed factor of the coaxial cable, and λ i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제1반사 패치 소자의 후면에서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를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편파를 우측편파라 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편파를 우측편파라 하면,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이 37.5㎜일 때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 동축 케이블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When viewing the dipole antenna array from the rear side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a polarized wave that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is called a right polarized wave and a polarized wave that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called a right polarized wave when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is 37.5 mm.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calculated by Equation 2 is as follows.

편파 종류Polarization type 동축 케이블 번호Coaxial cable number 동축 케이블 길이(㎜)Coaxial Cable Length (mm) 우선 원편파 (Righ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Righ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L11 L 11 9999 L12 L 12 124124 L21 L 21 124124 L22 L 22 149149 L31 L 31 149149 L32 L 32 173173 L41 L 41 173173 L42 L 42 198198 좌선 원편파 (Lef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Left-handed circular polarization L12 L 12 9999 L11 L 11 124124 L42 L 42 124124 L41 L 41 149149 L32 L 32 149149 L31 L 31 173173 L22 L 22 173173 L21 L 21 198198

표 1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한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동축 케이블 번호의 앞첨자가 부여되고, 하나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에 연결되는 동축케이블 중에서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동축 케이블 번호의 뒷첨자가 부여된다. 또한 가장 하측에 위치한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에 연결되는 첫 번째 케이블에 대해 설정된 n값은 3이다. 또한 각각의 동축 케이블은 50Ω의 임피던스를 갖는 매칭용 동축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¼파장 하이브리드 임피던스 변환기에 연결되어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 스터브를 구성한다. 이러한 매칭 스터브는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In Table 1, the superscript of the coaxial cable number is sequentially given in clockwise order from the lowermost quadrature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and the coaxial cable number sequential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among the coaxial cables connected to on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one antenna. A subscript is given. In addition, the value n is set for the first cable connected to the lowest quadrature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In addition, each coaxial cable is connected to a ¼-wave hybrid impedance converter to which a matching coaxial cable having an impedance of 50Ω is connected to form a matching stub for impedance matching. This matching stub is shown in FIG. 21.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길이를 갖는 8개 동축 케이블들은 각각 한 개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에 2개씩 조합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λ/4 길이의 동축 케이블의 길이 차이는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에 급전되는 전자파가 90°간격으로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우측편파를 형성하는 경우에 가장 하측에 위치한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가 0~ 90°의 위상차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그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배치된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은 각각 90°~ 180°, 180°~ 270° 및 270°~ 360°의 위상차를 가지게 되어 복사파가 전체적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Eight coaxial cables having a length as described in Table 1 are connected in combination, two to each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one antenna.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coaxial cable having a length of λ / 4 causes the phase difference to occur at 90 ° intervals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fed to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each antenna. Therefore, assuming that the quadrature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has a phase difference of 0 to 90 ° when forming the right polarized wave,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arranged clockwise therefrom are 90 ° to 180 ° and 180 ° respectively. The phase difference of 270 ° to 270 ° to 360 ° causes the radiation to rotate as a whol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는 구조적으로 부엽이나 후엽이 존재하지 않고, 전후방비가 40dB 이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무선통신용 중계 시스템의 링크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에 적용하면, 두 안테나 사이에 뛰어난 격리도 특성을 얻을 수 있어 중계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가 제1반사 패치 소자(330), 제1더미 패치 소자(340) 및 제2반사 패치 소자(360)를 구비한 경우의 수평 복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가 제1반사 패치 소자(330), 제1더미 패치 소자(340), 제2더미 패치 소자(350) 및 제2반사 패치 소자(360)를 모두 구비한 경우의 수평 복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면, 제2더미 패치 소자(350)가 없는 경우에도 일정정도 부엽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제2더미 패치 소자(350)가 구비된 경우에는 거의 완벽하게 부엽이 제거됨을 알 수 있다.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no side lobe or rear lobe structurally and has a front and rear ratio of 40 dB or more. Therefore, whe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ink antenna and a service antenna of a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system, excellent isolatio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between the two antennas,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of the relay system. There is this. 22A illustrates a horizontal radiation whe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a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and a second reflection patch element 360. FIG. 22B is a view illustrating a pattern, and FIG. 22B illustrates a cross reflection antenna including a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a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and a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And a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when all of the second reflective patch elements 360 are provided. Referring to FIGS. 22A and 22B, it can be seen that even when there is no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the side lobe removal effect can be obtained to a certain degree, and when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350 is provided, it is almost perfect. It can be seen that the side lobe is remov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는 후방 초크(320) 및 제1반사 패치 소자(330)만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이에 더해 제1더미 패치 소자(340), 제2더미 패치 소자(350), 제2반사 패치 소자(360) 및 코너 초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자자 부가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초크(320)의 중앙에 하나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중심으로부터 제1반사 패치 소자(330)의 각각의 측벽까지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내지 1/2(바람직하게는, 0.35~0.5)배이다.On the other hand,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only with the rear choke 320 and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in addition to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340, the second At least one element element among the dummy patch element 350, the second reflection patch element 360, and the corner choke may be added. In addition, one antenna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rear choke 320, and in this cas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antenna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to each side wall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330 may be determined by the use band. 1/4 to 1/2 (preferably 0.35 to 0.5) time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도 2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링크 안테나 및 서비스 안테나로 채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23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employing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as the link antenna and the service antenna as described above.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중계기는, 링크 안테나(2310), 서비스 안테나(2320) 및 중계부(23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3, a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k antenna 2310, a service antenna 2320, and a relay unit 2330.

링크 안테나(2310)는 전체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 시스템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비스 안테나(2320)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은 링크 안테나(2310) 및 서비스 안테나(23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로 이루어진다. 중계부(2330)는 링크 안테나(23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2320)로 전달하고, 서비스 안테나(232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링크 안테나(2310)로 전달한다. 이러한 중계부(2330)의 상세한 구성 및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익히 알고 있는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ink antenna 2310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base station system constituting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service antenna 2320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ink antenna 2310 and the service antenna 2320 are configured as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unit 2330 amplifi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link antenna 231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2320, and amplifie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232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link antenna 2310.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relay unit 2330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중계기를 구성하는 링크 안테나 및 서비스 안테나는 중계기가 설치된 지점의 전파환경에 따라 링크 안테나(2310)와 서비스 안테나(2320)의 편파방향을 달리한다. 이때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가 크게 요구되는 지역에서는 두 안테나의 극성(즉, 편파방향)을 반대로 하면 두 안테나 사이의 백투백(Back to Back)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안테나의 편파방향의 조절은 각각의 안테나를 구성하는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에 연결되는 동축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동축 케이블의 길이는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된다. The link antenna and the service antenna constituting the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3 vary 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link antenna 2310 and the service antenna 2320 according to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the point where the repeater is installed. In this case, if the polarity (that is,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two antennas is reversed in an area where isolation between antennas is large, the back to back effect between the two antennas can be minimized. Adjustment of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two antennas can be mad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connected to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constituting each antenna, the length of this coaxial cable is determined by the equation (2).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무선 중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wireless relay system,

도 2는 일반적인 안테나의 복사특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general antenna;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대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3 and 4 are a plan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안테나를 구성하는 부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orthogonal dipole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respectively;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λ/4 동축 케이블과 연결된 각각의 안테나 요소와 두 안테나 요소를 결합하여 제작된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를 도시한 도면,6a to 6c show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fabricated by combining two antenna elements with each antenna element connected with a λ / 4 coaxial cable, respectively;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도 6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전류분포, 복사형태 및 수평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current distribution, radiation form and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of the quadrature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C, respectively;

도 8a 및 도 8b는 각각 4개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로 이루어진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의 가장 기본적인 배치형태를 도시한 도면,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most basic arrangement of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each having four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an antenna;

도 9a 및 도 9b는 각각 4개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가 수직으로 배열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9A and 9B are diagrams each showing four antennas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arranged vertically;

도 10은 도 8a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와 같이 배치된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와 제1반사 패치 소자의 꼭지점 사이에 추가적인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가 배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FIG. 10 illustrates a form in which an additional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is disposed between a vertex of each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each antenna and a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arranged such as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the wireless repeater illustrated in FIG. 8A. One drawing,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서비스 안테나에 적용되는 수직배열 형태를 도시한 도면,11A and 11B illustrate a vertical arrangement form applied to a service antenna, respectively.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1더미 패치 소자의 사시도 및 측면도,12A and 1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first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 configuration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S. 8A and 8B, respectively;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1더미 패치 소자의 사시도 및 측면도,13A and 1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first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n arrangement form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S. 9A and 9B, respectively;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1더미 패치 소자의 사시도 및 측면도,14A and 14B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first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 configuration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 10;

도 15는 제1코너 초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rst corner choke;

도 16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2더미 패치 소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FIG. 1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n arrangement form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S. 8A and 8B;

도 17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2더미 패치 소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FIG. 1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n arrangement form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 10;

도 18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2더미 패치 소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FIG. 1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econd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n arrangement form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S. 9A and 9B;

도 19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배 치형태를 갖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에 적용되는 제2더미 패치 소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FIG. 1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econd dummy patch element applied to an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having a configuration of an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an antenna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도 20은 제2코너 초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2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corner choke;

도 21은 매칭 스터브를 이용하여 다중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 상태를 도시한 도면,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edance matching state of multiple antennas using a matching stub.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가 제1반사 패치 소자, 제1더미 패치 소자 및 제2반사 패치 소자를 구비한 경우의 수평 복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 22A illustrates a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whe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a first dummy patch element, and a second reflection patch element;

도 22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가 제1반사 패치 소자, 제1더미 패치 소자, 제2더미 패치 소자 및 제2반사 패치 소자를 모두 구비한 경우의 수평 복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22B illustrates a horizontal radiation pattern when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includes all of the first reflection patch element, the first dummy patch element, the second dummy patch element, and the second reflection patch element. Figure shown, and

도 23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를 링크 안테나 및 서비스 안테나로 채용한 이동통신용 중계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employing the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a wireless repeater as a link antenna and a servic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laims (9)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 시스템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원형 편파 링크 안테나;A circularly polarized link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 base station system constit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원형 편파 서비스 안테나; 및A circular polarization servic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원형 편파 링크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원형 편파 서비스 안테나로 전달하고, 상기 원형 편파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원형 편파 링크 안테나로 전달하는 중계기;를 포함하고,A repeater for amplify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circular polarization link antenna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circular polarization service antenna, and amplify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ircular polarization service antenna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circular polarization link antenna. 상기 원형 편파 링크 안테나 및 상기 원형 편파 서비스 안테나는 각각 전자파를 방출하는 복수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를 구비하고, The circularly polarized link antenna and the circularly polarized wave service antenna are eac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antennas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복사부재들 중 서로 마주하고 있는 복사부재들을 연결하는 각각의 급전부재에는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며, A coaxial cabl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ower supply members connecting the radiation member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radiation members constituting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에 연결되어 있는 동축케이블의 길이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되, 상기 링크 안테나 및 상기 서비스 안테나 각각을 구성하는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의 동축케이블의 길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결정하여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복사되는 복사파의 편파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하고,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connected to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is sequentially increased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ut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constituting the link antenna and the service antenna is Decide to increase sequentially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radiation waves radiated from each antenna are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동축케이블 각각의 길이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중계 시스템:The length of each of the coaxial cabl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8023097014-PAT00005
Figure 112008023097014-PAT00005
여기서, Lij는 동축케이블의 길이(단, i는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된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배치순서, j는 각각의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연결된 동축케이블의 순서), VF는 동축케이블의 속도 인자, 그리고, λ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이다. Where L ij is the length of the coaxial cable (where i is the arrangement order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arranged in a rhombus shape, and j is the clockwise direction of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VF is the speed factor of the coaxial cable, and λ is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태를 가지며, 바닥면에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이 고정되고,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로부터 후방으로 복사되는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반사 패치 소자; 및A reflective patch element having a box shape having an open top, fixed to the bottom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and absorbing 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backward from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And 상기 반사 패치 소자를 수용하고, 상기 반사 패치 소자로부터 넘어오는 전자파를 일차적으로 흡수하거나 상쇄시키는 더미 패치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중계 시스템.And a dummy patch element for accommodating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and primarily absorbing or canceling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더미 패치 소자는,The dummy patch element,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 A base portion formed of a square plate shape; 상기 베이스부의 각 변으로부터 동일한 높이까지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 성되며, 각각이 상기 베이스부의 각 변에 대응되는 복수의 측벽부; 및 A plurality of side walls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sides of the base to the same height, each of the side walls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base; And 상기 각 측벽부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며 각각이 상기 측벽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날개부와, 상기 제1날개부 각각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각각의 제1날개부에 대응되는 측벽부에 대해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각각이 상기 제1날개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날개부로 이루어진 날개부;를 구비하며,A plurality of first wings formed vertically outwardly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side wall portions, each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ide wall portions, 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wing portions downward from an end of each of the first wing portions; It is bent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portion is formed extending; a wing portion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cond w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wing portion; 상기 측벽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세로 슬릿과, 상기 세로 슬릿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가로 슬릿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십자형 슬릿이 상기 각 측벽부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중계 시스템. At least one cross-shaped slit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includes a vertical slit disposed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 horizontal slit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ertical slit.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가 고정되며, 상기 반사 패치 소자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로부터 후방으로 복사되는 전자파를 전방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반사 패치 소자의 바닥 표면으로 흐르는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상쇄시키는 후방 초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중계 시스템.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is fixed an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to reflect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backward from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to the front, and absorb the electromagnetic waves flow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Or a rear choke for canceling or offsett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태를 가지며, 바닥면에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이 고정되고,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로부터 후방으로 복사되는 전자 파를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반사 패치 소자; 및A reflective patch device having a box shape having an open top, fixed to the bottom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and absorbing 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backward from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And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가 고정되며, 상기 반사 패치 소자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로부터 후방으로 복사되는 전자파를 전방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반사 패치 소자의 바닥 표면으로 흐르는 전자파를 흡수하거나 상쇄시키는 후방 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중계 시스템.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is fixed an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to reflect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backward from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to the front, and absorb the electromagnetic waves flow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Or a rear choke to offset or offset;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system comprising a.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후방 초크는,The rear choke,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로부터 후방으로 복사된 전자파를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초크;A plurality of reflection chokes for reflecting forward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backward from the quadrature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상기 반사초크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로부터 후방으로 복사되어 상기 반사 패치 소자의 바닥 표면으로 흐르는 전자파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서로 상쇄시키는 더미초크; 및A dummy choke positioned between the reflective chokes and offsetting each other by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in electromagnetic waves radiated backward from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 for the antenna and flow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And 상기 반사초크와 상기 더미초크들 사이 및 상기 반사초크와 상기 반사 패치 소자 사이에 삽입되어 간격을 유지시키는 삽입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중계 시스템. And an insertion choke inserted between the reflective choke and the dummy chokes and between the reflective choke and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to maintain a gap therebetwee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반사초크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반사 패치 소자의 각각의 측벽과 대향되는 각각의 변의 길이가 상기 반사 패치 소자의 측벽의 길이보다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 만큼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The reflective choke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length of each side facing each sidewall of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idewall of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by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wireless repeater.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은 상기 반사 패치 소자의 상면에 각각의 중심점을 연결한 형상이 마름모가 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s are arranged so that the shape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is a rhombu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neighboring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s is 1 /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use band. Orthogonal dipole array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wireless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2.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안테나용 직교 복합소자들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반사 패치 소자의 측벽 중에서 가장 근접하는 측벽까지의 거리는 사용대역의 하위 주파수 파장의 1/4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용 직교 다이폴 어레이 원편파 안테나.Orthogonal dipole array for wireless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each of the orthogonal composite elements for the antenna to the nearest sidewall of the reflective patch element is 1/4 to 1/2 of the lower frequency wavelength of the band use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KR1020080029581A 2008-03-31 2008-03-31 Radio frequency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KR100911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81A KR100911480B1 (en) 2008-03-31 2008-03-31 Radio frequency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81A KR100911480B1 (en) 2008-03-31 2008-03-31 Radio frequency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898A Division KR100854470B1 (en) 2007-09-11 2007-09-11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radio frequency repeater and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133A true KR20090027133A (en) 2009-03-16
KR100911480B1 KR100911480B1 (en) 2009-08-11

Family

ID=4069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581A KR100911480B1 (en) 2008-03-31 2008-03-31 Radio frequency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4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953A1 (en) * 2014-12-24 2016-06-30 주식회사 쏠리드 Antenna fixture and relay comprising same
CN110174649A (en) * 2019-05-07 2019-08-27 加特兰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Radio-frequency front-end transceiver, trailer-mounted radar receive-transmi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1990B2 (en) * 1993-09-24 2000-07-10 日本電気株式会社 Cross dipole antenna
DE19722742C2 (en) 1997-05-30 2002-07-18 Kathrein Werke Kg Dual polarized antenna arrangement
DE19860121A1 (en) 1998-12-23 2000-07-13 Kathrein Werke Kg Dual polarized dipole emitter
KR100343893B1 (en) * 1999-08-20 2002-07-19 우종명 Circular-Polarized Dipole Antenn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953A1 (en) * 2014-12-24 2016-06-30 주식회사 쏠리드 Antenna fixture and relay comprising same
CN110174649A (en) * 2019-05-07 2019-08-27 加特兰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Radio-frequency front-end transceiver, trailer-mounted radar receive-transmi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480B1 (en) 200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471B1 (en) Complex elememts for antenna of radio frequency repeater and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using the same
CN113748572B (en) Radiating element with angled feed stalk and base station antenna including the same
JP3856835B2 (en) Dual polarization array antenna with central polarization controller
KR100957852B1 (en) Broadband stack patch array antenna for wireless repeater with high isolation
EP0973231A2 (en) Dual polarization directional antenna having choke reflectors for minimizing side lobe
US6067054A (en)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antennas
EP1494313A1 (en) Antenna system comprising a coverage antenna and an auxiliary antenna
Wójcik et al. High port-to-port isolation dual-polarized antenna array dedicated for full-duplex base stations
US7710342B2 (en) Crossed-dipole antenna for low-loss IBOC transmission from a common radiator apparatus and method
US11411301B2 (en) Compact multiband feed for small cell base station antennas
KR101127147B1 (en) Broadband antenna system for broadband polarization reconfigur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it
KR100854470B1 (en)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for radio frequency repeater and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KR101097057B1 (en) Integrated repeater antenna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090133087A (en) Wideband patch antenna and repeater using the same
KR100911480B1 (en) Radio frequency repeating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ross dipole array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KR102093204B1 (en) Wideband mimo antenna having isolation improved structure
EP3133693B1 (en) Multi-element telecommunications antenna
KR101035176B1 (en)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small size repeater
KR200424509Y1 (en)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Saala et al. Compact circular polarized antenna for mobile reception of radio signals transmitted by geostationary satellites
Hijazi et al. Wideband Dual-Polarized Full-Duplex Antenna Array
Paul et al. E-shaped Aperture Coupled Microstrip Patch Array Antenna for High Speed Downlink Applications in Small Satellites
CN112751211A (en) Base station antenna and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
Zivanovic et al. Broadside 6-element series-fed slot-coupled microstrip antenna array
KR20040034234A (en) Microstrip antenna with high g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