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863A -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863A
KR20090026863A KR1020070091909A KR20070091909A KR20090026863A KR 20090026863 A KR20090026863 A KR 20090026863A KR 1020070091909 A KR1020070091909 A KR 1020070091909A KR 20070091909 A KR20070091909 A KR 20070091909A KR 20090026863 A KR20090026863 A KR 20090026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eptic tank
tank
stor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291B1 (ko
Inventor
한무영
김미경
김영진
김상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7009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2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된 폐 정화조를 빗물 저장조로 이용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하수관이나 지표로 전량 유입되어 없어지는 빗물을 집수하여 여과 장치를 통해 정화시킨 후 폐 정화조에 저장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은 건물의 지붕과 연계되어 지표면 또는 하수구로 빗물을 흘러보내는 우수관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우수관을 통해 흐르는 빗물을 정화/배출하는 여과 장치와;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해 정화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정화조 탱크와; 상기 여과 장치 및 상기 정화조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여과 장치를 통과한 빗물이 상기 정화조 탱크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 유입관과; 상기 정화조 탱크의 일 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저장되는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구동펌프; 및 상기 구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빗물 배출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화조, 빗물, 저장조, 여과, 펌프

Description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Multipurpose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Using Obsolete Septic Tank}
본 발명은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된 폐 정화조를 빗물 저장조로 이용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하수관이나 지표로 전량 유입되어 없어지는 빗물을 집수하여 여과 장치를 통해 정화시킨 후 폐 정화조에 저장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식 하수도는 가정에서 나온 분뇨를 정화조 없이 관로에 직접 투입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보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이로 인해 종래에 하수도가 없을 때 분뇨를 모아 두는 기능을 하던 정화조가 필요 없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많이 시행되는 하수관거 BTL 사업(민간자본유치사업)에 의하여 현대식의 하수도가 보급됨으로써 집이나 빌딩에 설치되었던 정화조가 더 이상 불필요하여 이의 철거나 개조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하수도 보급에 따라 종래에 사용되던 정화조 철거시 구조물을 폐기물로 처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정화조 철거에 따라 발생하는 공간을 흙으로 메우는 등의 낭비적인 일들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정화조의 미사용시에는 위험공간으로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모인 빗물은 하수관을 통하여 그대로 나가 버리게 되어 아까운 수자원 낭비가 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도로에 떨어진 빗물은 그대로 하수관으로 흘러들어가 하수처리장이 처리를 위해 허용하는 양보다 많은 빗물이 섞인 하수가 하수처리장으로 흘러들어가서 하수처리장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있다. 그리고, 지하수의 다량 사용과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해 지하 수위가 떨어지고, 주위 하천의 건천화를 초래하게 된다.
현재 물 사용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한정된 물 자원으로 인해 물 사용량의 증가는 결국 물부족을 초래하기 때문에 고도로 처리된 수돗물이 필요하지 않는 화장실 용수나 청소용수와 같은 물은 고도로 처리된 수돗물이 필요하지 않아 빗물의 이용을 통해 음용수인 수돗물의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근래에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화단 가꾸기, 분수, 실개천의 조성 등 주위에 물을 이용한 조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경에도 빗물의 이용을 통해 수돗물의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이상 고온이 발생하고 열대야가 생길 때 빗물이 가진 열적인 특성을 이용하면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되며, 에어컨의 전력 사용량 수요를 줄일 수 있으므로, 빗물을 집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합리적인 수자원의 이용과 물순환의 건전화, 폐기물의 재활용, 쾌적한 생활공간의 창출, 및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도록 사용하지 않게 된 정화조를 이용하여 빗물을 집수하고, 이 집수된 빗물을 다목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은 건물의 지붕과 연계되어 지표면 또는 하수구로 빗물을 흘러보내는 우수관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우수관을 통해 흐르는 빗물을 정화/배출하는 여과 장치와;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해 정화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정화조 탱크와; 상기 여과 장치 및 상기 정화조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여과 장치를 통과한 빗물이 상기 정화조 탱크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 유입관과; 상기 정화조 탱크의 일 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저장되는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구동펌프; 및 상기 구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빗물 배출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은 도로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맨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위 지형으로 부터 집수되는 빗물이 일차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빗물 집수통과; 상기 빗물 집수통에 일차 저장되는 빗물이 유입되어 이차 저장되는 정화조 탱크와; 상기 빗물 집수통과 상기 정화조 탱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빗물 집수통에 일차 저장되는 빗물 내의 유기물질을 흡착시켜 정화하는 흡착장치와; 상기 빗물 집수통의 상부 일 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착장치 및 상기 정화조 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빗물 집수통 측으로부터 상기 정화조 측으로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빗물 유입관과; 상기 정화조 탱크의 일 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저장되는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구동펌프; 및 상기 구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빗물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구는 상기 빗물 집수통 측으로부터 상기 흡착장치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 내의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걸러주는 그물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착장치는 활성탄 또는 흡착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화조 탱크는 상기 빗물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는 웨트피트부; 및 상기 웨트피트부와 격리막을 통해 구획되고, 상기 구동펌프가 내장되는 드라이피트부;로 구성되고, 상기 웨트피트부의 일 측 바닥면에는 부유 방지턱이 형성되며, 타 측 상부면에는 수위측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위측정수단은 상기 웨트피트부의 바닥면에 하부가 위치하고, 상기 웨트피트부의 상부면 외 측으로 상부가 돌출되어 위치하는 내부 중공인 중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웨트피트부에 저장되는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표시가 형성된 측정부재; 및 상기 측정부재의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측정부재가 부력에 의해 빗물 위에 부표할 수 있도록 하는 부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빗물 유입관은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위치하는 끝단부가 'U'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빗물처리장치는 상기 정화조 탱크에 저장되는 빗물이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는 오버플로우관에 연결되는 침투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침투조는 유공 블록; 및 상기 유공 블록의 외부에 덮여져 빗물 내의 불순물이나 토사를 걸러주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맨홀부; 및 상기 맨홀부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조립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에 의하면, 커다란 비용을 들이지 않고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합리적인 수자원의 이용과 물순환의 건전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 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 탱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위측정수단을 보여주는 개략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 탱크와 구동펌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된 폐 정화조를 이용하여 빗물을 집수하고, 이 집수된 빗물을 조경용수, 청소용수, 화장실용수 또는 건물의 지붕냉각수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치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100, 이하,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이라 한다)는 여과 장치(110)와, 정화조 탱크(120)와, 빗물 유입관(130)과, 구동펌프(140), 및 빗물 배출관(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여과 장치(110)는 건물의 지붕과 연계되어 지표면 또는 하수구(170)로 빗물을 흘러보내는 우수관(300)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우수관(300)을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을 일차로 정화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여과 장치(110)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평의 유입관(112)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여과 장치(110)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필터(111)를 거치고, 이 필터(111)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걸러진 이물질과 유입된 빗물의 일부가 여과 장치(110)의 하단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필터(111)에 의해 정화된 빗물은 여과 장치(110)의 측면 배수관(113)을 통해 정화조 탱크(12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정화조 탱크(120)는 상기 여과 장치(110)를 통해 정화된 빗물이 저장되는 곳으로, 이의 내부는 웨트피트부(A) 및 드라이피트부(B)로 구획된다. 상기 웨트피트부(A)는 빗물 유입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는 곳이며, 상기 드라이피트부(B)는 상기 웨트피트부(A)와 격리막(121)을 통해 구획되어 상기 구동펌프(140)가 내장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웨트피트부(A)의 일 측 바닥면에는 부유 방지턱(122)이 형성되며, 타 측 상부면에는 수위측정수단(12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웨트피트부(A)의 상부 일면에는 오버플로우홀(124)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드라이피트부(B)의 상부 일면에는 빗물 배출홀(125)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빗물 배출홀(125)은 드라이피트부(B)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빗물 유입관(130)은 상기 여과 장치(110)의 측면 배수관(112) 및 상기 정화조 탱크(120)의 웨트피트부(A)를 연결하여 상기 여과 장치(110)로부터 정화된 빗물이 상기 정화조 탱크(120)의 웨트피트부(A)로 유입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웨트피트부(A)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빗물 유입관(130)의 끝단은 'U'자형 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빗물 유입관(130)의 끝단이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은 상기 여과 장치(110)를 통해 빗물이 유입될 때 웨트피트부(A)의 바닥면이 교란되어 바닥면에 쌓여 있을 이물질이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웨트피트부(A)의 바닥면 일 측에는 부유 방지턱(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유 방지턱(122)은 상기 'U'자형의 빗물 유입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의한 웨트피트부(A)의 바닥면 이물질이 부유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이물질이 부유 방지턱(122)을 넘지 못하게 하여 웨트피트부(A)의 바닥면에 쌓이게 하기도 한다. 상기 부유 방지턱(122)은 약 30센티미터 정도의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화조 탱크(120)의 웨트피트부(A) 일 측 상부면에는 수위측정수단(123)이 더 구비되는데, 이 수위측정수단(123)은 정화조 탱크(120) 내에 저장되는 빗물의 양을 외부에서 육안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위측정수단(123)은 상기 웨트피트부(A)의 바닥면에 하부가 위치하여 상기 웨트피트부(A)의 상부면 외 측으로 상부가 돌출되어 위치하는 내부 중공인 중공부재(123a)와, 상기 중공부재(123a)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웨트피트부(A)에 저장되는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표시가 형성된 측정부재(123b), 및 상기 측정부재(123b)의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측정부재(123b)가 부력에 의해 빗물 위에 부표할 수 있도록 하는 부표부재(123c)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부재(123b)는 상기 중공부재(123a)의 내부에서 빗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용량의 정화조 탱크에서는 외부에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한편, 상기 구동펌프(140)는 상기 정화조 탱크(120)의 드라이피트부(B)에 구비되어 상기 웨트피트부(A)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빗물 배출관(150)은 상기 구동펌프(14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펌프(140)의 작동에 의해 웨트피트부(A)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 측은 상기 수위측정수단(123)의 중공부재(123a) 측에 연결되며, 타 측은 상기 드라이피트부(B)의 일면 상부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25)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피트부(B) 측에 연결된 빗물 배출관(150)의 유입구에는 웨트피트부(B)의 빗물 표면에 표류하는 표면찌꺼기를 걸러주기 위한 표면찌꺼기 배제 흡입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펌프(140)를 이용하여 웨트피트부(B)로부터 빗물을 펌핑하되, 저장되는 빗물 중 비교적 더 깨끗한 빗물을 펌핑하기 위하여 웨트피트부(A)에는 부표장치(141)를 구비하여 웨트피트부(A)의 상부면 빗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동펌프(140)의 펌핑에 의해 정화조 탱크(120) 내의 빗물은 외부로 방출하게 되는데, 이렇게 방출되는 빗물은 조경용수, 청소용수 또는 화장실용수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건물 지붕의 냉각용수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100)은 침투조(1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정화조 탱크(120)에 저장되는 빗물이 오버플로우(over-flow)될 경우에 오버플로우관(126)을 통해 배출되어 이차 정화된 후 지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침투조(160)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은 하수구(170)로 연결시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침투조(160)는 유공 블록(미도시), 및 상기 유공 블록(미도시)의 외부에 덮여져 빗물 내의 불순물이나 토사를 걸러주는 부직포(미도시)로 구성되거나, 또는 내부 공간에 자갈과 같은 조립자(252, 도 7참조)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맨홀부(251, 도 7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침투조(160)는 통상의 기술로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 탱크와 침투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200, 이하,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이라 한다.)는 빗물 집수통(210)과, 정화조 탱크(220)와, 흡착장치(230)와, 빗물 유입관(240)과, 구동펌프(140, 도 1참조) 및 빗물 배출관(150, 도 1참조)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빗물 집수통(210)은 도로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맨홀(20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위 지형으로부터 집수되는 빗물이 일차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빗물 집수통(210)에 일차 저장되는 빗물은 맨홀(201)의 주위에 설치된 정화조 탱크(220)로 유입되어 이차 저장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 탱크(22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 탱크(220)와 구성이 동일하다. 즉, 상기 정화조 탱크(220)의 내부는 웨트피트부(A, 도 1참조) 및 드라이피트부(B, 도 1참조)로 구획되며, 상기 웨트피트부(A, 도 1참조)는 빗물 유입관(24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는 곳이고, 상기 드라이피트부(B, 도 1참조)는 상기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와 격리막(121, 도 1참조)을 통해 구획되어 구동펌프(140, 도 1참조)가 내장되는 곳이다.
또한, 상기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의 일 측 바닥면에는 부유 방지턱(122, 도 1참조)이 형성되며, 타 측 상부면에는 수위측정수단(123, 도 1참조)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의 상부 일면에는 오버플로우홀(124, 도 1참조)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드라이피트부(B, 도 1참조)의 상부 일면에는 빗물 배출홀(125, 도 1참조)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흡착장치(230)는 상기 빗물 집수통(210)과 상기 정화조 탱크(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빗물 집수통(210)에 일차 저장되는 빗물 내의 유기물질을 흡착시켜 정화하는 장치로서, 이는 활성탄 또는 흡착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빗물 유입관(240)은 상기 빗물 집수통(21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미도시)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착장치(230) 및 상기 정화조 탱크(220)를 연결하여 상기 빗물 집수통(210) 측으로부터 상기 정화조 탱크(220) 측으로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관이다. 한편,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빗물 집수통(210) 측으로부터 상기 흡착장치(230)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 내의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걸러주는 그물망(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물망은 빗물 내에 포함된 나뭇잎이나 기타 찌꺼기 등 크기가 큰 부유물을 걸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빗물 유입관(240)의 끝단은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빗물 유입관(240)의 끝단이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은 상기 흡착장치(230)를 통과한 빗물이 유입될 때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의 바닥면이 교란되어 바닥면에 쌓여 있을 이물질이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의 바닥면 일 측에는 부유 방지턱(122, 도 1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유 방지턱(122, 도 1참조)은 상기 'U'자형의 빗물 유입관(24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의한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의 바닥면 이물질이 부유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이물질이 부유 방지턱(122, 도 1참조)을 넘지 못하게 하여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의 바닥면에 쌓이게 하기도 한다. 상기 부유 방지턱(122, 도 1참조)은 약 30센티미터 정도의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화조 탱크(220)의 웨트피트부(A, 도 1참조) 일 측 상부면에는 수위측정수단(123, 도 1참조)이 더 구비되는데, 이 수위측정수단(123, 도 1참조)은 정화조 탱크(220) 내에 저장되는 빗물의 양을 외부에서 육안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위측정수단(123, 도 1참조)은 상기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의 바닥면에 하부가 위치하여 상기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의 상부면 외 측으로 상부가 돌출되어 위치하는 내부 중공인 중공부재(123a, 도 4참조)와, 상기 중공부재(123a, 도 4참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에 저장되는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표시가 형성된 측정부재(123b, 도 4참조), 및 상기 측정부재(123b, 도 4참조)의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측정부재(123b, 도 4참조)가 부력에 의해 빗물 위에 부표할 수 있도록 하는 부표부재(123c, 도 4참조)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부재(123b, 도 4참조)는 상기 중공부재(123a, 도 4참조)의 내부에서 빗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용량의 정화조 탱크에서는 외부에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한편, 상기 구동펌프(140, 도 1참조)는 상기 정화조 탱크(220)의 드라이피트부(B, 도 1참조)에 구비되어 상기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빗물 배출관(150, 도 1참조)은 상기 구동펌프(140, 도 1참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펌프(140, 도 1참조)의 작동에 의해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 측은 상기 수위측정수 단(123, 도 1참조)의 중공부재(123a, 도 4참조) 측에 연결되며, 타 측은 상기 드라이피트부(B, 도 1참조)의 일면 상부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25, 도 1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피트부(B, 도 1참조) 측에 연결된 빗물 배출관(150, 도 1참조)의 유입구에는 웨트피트부(A, 도 1참조)의 빗물 표면에 표류하는 표면찌꺼기를 걸러주기 위한 표면찌꺼기 배제 흡입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펌프(140, 도 1참조)의 펌핑에 의해 정화조 탱크(220) 내의 빗물은 외부로 방출하게 되는데, 이렇게 방출되는 빗물은 조경용수, 청소용수 또는 화장실용수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건물 지붕의 냉각용수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200)는 침투조(2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정화조 탱크(220)에 저장되는 빗물이 오버플로우(over-flow)될 경우에 오버플로우관(260)을 통해 배출되어 이차 정화된 후 지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침투조(250)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은 하수관(270)으로 연결시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된 폐 정화조를 빗물 저장조로 이용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하수관이나 지표로 전량 유입되어 없어지는 빗물을 집수하여 여과 장치를 통해 정화시킨 후 폐 정화조에 저장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집수된 빗물을 조경용수, 청소용수, 화장실용수 또는 건물의 지붕냉각수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과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 탱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위측정수단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 탱크와 구동펌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 탱크와 침투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110: 여과 장치 120, 220: 정화조 탱크
121: 격리막 122: 부유 방지턱
123: 수위측정수단 124: 오버플로우홀
125: 빗물 배출홀 126: 오버플로우관
130, 240: 빗물 유입관 140: 구동펌프
141: 부표장치 150: 빗물 배출관
160, 250: 침투조 170: 하수구
210: 빗물 집수통 230: 흡착장치
300: 우수관 A: 웨트피트부
B: 드라이피트부

Claims (8)

  1. 건물의 지붕과 연계되어 지표면 또는 하수구로 빗물을 흘러보내는 우수관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우수관을 통해 흐르는 빗물을 정화/배출하는 여과 장치와;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해 정화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정화조 탱크와;
    상기 여과 장치 및 상기 정화조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여과 장치를 통과한 빗물이 상기 정화조 탱크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 유입관과;
    상기 정화조 탱크의 일 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저장되는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구동펌프; 및
    상기 구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빗물 배출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2. 도로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맨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위 지형으로부터 집수되는 빗물이 일차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빗물 집수통과;
    상기 빗물 집수통에 일차 저장되는 빗물이 유입되어 이차 저장되는 정화조 탱크와;
    상기 빗물 집수통과 상기 정화조 탱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빗물 집수통에 일차 저장되는 빗물 내의 유기물질을 흡착시켜 정화하는 흡착장치와;
    상기 빗물 집수통의 상부 일 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착장치 및 상기 정화조 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빗물 집수통 측으로부터 상기 정화조 측으로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빗물 유입관과;
    상기 정화조 탱크의 일 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저장되는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구동펌프; 및
    상기 구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빗물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빗물 집수통 측으로부터 상기 흡착장치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 내의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걸러주는 그물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장치는 활성탄 또는 흡착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 탱크는 상기 빗물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는 웨트피트부; 및 상기 웨트피트부와 격리막을 통해 구획되고, 상기 구동펌프가 내장되는 드라이피트부;로 구성되고,
    상기 웨트피트부의 일 측 바닥면에는 부유 방지턱이 형성되며, 타 측 상부면에는 수위측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수단은 상기 웨트피트부의 바닥면에 하부가 위치하고, 상기 웨트피트부의 상부면 외 측으로 상부가 돌출되어 위치하는 내부 중공인 중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웨트피트부에 저장되는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표시가 형성된 측정부재; 및 상기 측정부재의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측정부재가 부력에 의해 빗물 위에 부표할 수 있도록 하는 부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유입관은 상기 정화조 탱크 내에 위치하는 끝단부가 'U'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처리장치는 상기 정화조 탱크에 저장되는 빗물이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는 오버플로우관에 연결되는 침투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침투조는 유공 블록; 및 상기 유공 블록의 외부에 덮여져 빗물 내의 불순물이나 토사를 걸러주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맨홀부; 및 상기 맨홀부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조립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KR1020070091909A 2007-09-11 2007-09-11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KR100910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909A KR100910291B1 (ko) 2007-09-11 2007-09-11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909A KR100910291B1 (ko) 2007-09-11 2007-09-11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863A true KR20090026863A (ko) 2009-03-16
KR100910291B1 KR100910291B1 (ko) 2009-08-03

Family

ID=4069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909A KR100910291B1 (ko) 2007-09-11 2007-09-11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201B1 (ko) * 2015-03-09 2016-01-2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활용시스템
KR20160121741A (ko) * 2015-04-10 2016-10-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빗물 집수 설비와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및 빗물 수상 이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455B1 (ko) * 2012-07-04 2013-12-06 주식회사 헥코리아 다단분리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32A (ko) * 2002-08-29 2004-03-11 한무영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100549466B1 (ko) 2003-10-20 2006-02-08 이인숙 공원용 빗물 급수장치
KR200407745Y1 (ko) * 2005-11-10 2006-02-02 대림산업 주식회사 빗물 처리 시스템
KR200426248Y1 (ko) * 2006-06-30 2006-09-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201B1 (ko) * 2015-03-09 2016-01-2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활용시스템
KR20160121741A (ko) * 2015-04-10 2016-10-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빗물 집수 설비와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및 빗물 수상 이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291B1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853B1 (ko) 건축물용 우수 포집 및 재활용 시스템
KR101226173B1 (ko)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KR101105368B1 (ko)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KR101056650B1 (ko) 건축물 지붕을 이용한 빗물 집수 종합처리장치
KR20140029925A (ko) 친환경 지하저수식 빗물 저류조
JP2002371596A (ja) 雨水の有効利用システム
CN209907525U (zh) 一种城市道路雨水收集净化利用系统
KR100597203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JP5356115B2 (ja) 貯水施設、給水用貯水施設および給水用貯水施設の構築方法
KR20110052400A (ko) 빗물받이에 연결되는 비점오염원 빗물처리장치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KR100868509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910291B1 (ko) 폐 정화조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이용시스템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RU23470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вода и утилизации ливневого и талого стока
KR101202677B1 (ko) 우수 및 예비수 정화장치
KR100895623B1 (ko) 우수정화시스템
KR20090033680A (ko)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100749400B1 (ko) 우수의 중수 재활용 시스템
CN202122876U (zh) 一种雨水回收利用系统
CN209053159U (zh) 一种市政雨水调蓄系统
CN214784613U (zh) 一种市政道路下凹绿化带收水净水装置
KR20140052597A (ko) 부표와 여과망이 구비된 빗물처리장치
CN210597546U (zh) 一种基于城市地面管道的雨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