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836A -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836A
KR20090026836A KR1020070091862A KR20070091862A KR20090026836A KR 20090026836 A KR20090026836 A KR 20090026836A KR 1020070091862 A KR1020070091862 A KR 1020070091862A KR 20070091862 A KR20070091862 A KR 20070091862A KR 20090026836 A KR20090026836 A KR 2009002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mode
crysta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172B1 (ko
Inventor
김주형
백승훈
Original Assignee
김주형
백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형, 백승훈 filed Critical 김주형
Priority to KR102007009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1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2D영상/입체영상을 동시 디스플레이 가능하며, 화면의 특정 부분만 입체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방식에 따라 배리어 패턴을 형성하는 액정부(210)와, 상기 액정부(210)의 수직방향 셀컬럼 각각에 대응되는 세그먼트 단자(S1~S11) 각각과 상기 액정부(210)의 수평방향 셀컬럼 각각에 대응되는 콤온 단자(C1~C13) 각각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제어방식에 따라 인접한 세그먼트 단자 또는 인접한 콤온 단자를 를 순차 온/오프시키는 액정 구동부(220)(230)와, 입력장치(도면 미도시)에 의한 입체영상 전체화면 모드 또는 입체영상 부분화면 모드의 설정을 인식하며, 그 인식결과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식에 따라 상기 제1 액정 구동부(220)와 제2 액정 구동부(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표시하기 위한 배리어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서, 인접한 배리어를 순차 온/오프시킴으로써 종래 장치에서 발생하는 모아레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입체영상, 배리어 패턴, 모아레(moire)

Description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THE METHOD OF ELIMINATED FROM MOIRE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IMAGE }
본 발명은 입체영상 표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정크기의 입체영상을 2D영상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모아레(moire)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문자, 음성, 영상을 고속 처리하는 디지털 단말기에 2차원 영상과 음성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향후 입체적으로 실감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3차원 입체 정보통신 서비스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화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입체감의 중요한 요인은 사람의 두 눈이 약 65 mm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두 눈의 시차 즉, 양안 시차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의 눈이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게 되고, 이 두 화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재감을 재생하게 된다. 이를 통상적으로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 라 한다.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안경착용 여부에 따라 크게 안경(stereoscopic)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와 무안경(나안: auto-stereoscopic)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로 구분된다.
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관찰자가 특수한 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한다.
하지만, 무안경식 입체영상표시 장치는 상술한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도 직접 스크린에 표시되는 입체영상을 느낄 수 있어 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렌티큘러 (lenticular) 방식에 의한 장치와 패러랙스-배리어 (parallax-barrier) 방식에 의한 장치로 크게 구분된다.
종래의 패러랙스-배리어 방식에 의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패러랙스-배리어 방식에 의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좌/우 두 눈에 각각 대응하는 수직방향 (도 1b의 y-y' 방향)을 향하는 좌측영상(L)과 우측영상(R)을 수평방향(도 1b에서 x-x'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한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그 전단에 배리어(20; barrier)라 불리는 수직방향을 향하는 막대 형태의 차단막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좌측영상(L)에 해당하는 빛은 좌안으로만 입사되고, 우측영상(R)에 해당하는 빛은 우안으로만 입사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배리어(20)를 배치하며, 이를 통해 분할된 2개의 좌, 우 영상(L, R)이 분리 관측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은 배리어가 동시에 수직막대 형태로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나오는 광원을 일부 차단하여, 디스플레이의 원래 휘도를 상당 수준 감소시키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영상과 주기적인 패턴인 배리어가 공간적으로 겹쳐짐으로 인해 서로 간섭이 발생하여 모아레 무늬가 발생함으로 화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2D영상/입체영상을 동시 또는 표시 가능함은 물론 입체영상을 표시할 때 인접한 배리어 패턴을 소정 주기마다 교대로 구동시킴으로써 입체영상 표시 중에 발생하는 모아레(moire) 무늬를 제거할 수 있도록 창안한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D영상과 입체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패러랙스-배리어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입체영상 화면 모드/2D영상 화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현재 설정된 화면모드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화면의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식에 의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액정셀 컬럼이 구동되어 배리어 패턴을 형성하 는 액정부와, 사용자 설정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식에 따라 상기 액정셀부의 액정셀 컬럼에 대해 (4n+1)번째 액정셀 컬럼 전체와 (4n+3)번째 액정셀 컬럼 전체를 1/2주기로 온/오프시키거나 (4n+1)번째 셀컬럼 각각과 (4n+3)번째 셀컬럼 각각을(여기서, n은 0,1,2,3,...인 정수) 1/2주기로 순차 온/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액정부의 액정셀 컬럼을 구동하는 액정 구동부와, 상기 액정부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액정부에 형성되는 배리어 패턴을 시각화시키는 편광필름부와,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입체영상 화면 모드의 설정을 판단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화면의 입력정보를 판별하여 현재 설정된 입체영상 화면의 영역에 대응하는 배리어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액정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TFT-LCD, 유기 EL, FED, PDP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의 달성하기 위하여 2D영상과 입체영상을 동시에 또는 각각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입체영상 화면 모드가 설정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영상 화면 모드가 설정되면 그 입력영상 화면 모드에 대응되는디스플레이 제어방식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제어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입체영상을 동시에 표시함과 아울러
그 입체영상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중 인접 배리어를 시분할 방식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입체영상 표시 중에 발생하는 모아레 무늬를 제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체영상을 화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표시함에 있어서, 인접한 배리어 패턴을 소정주기마다 온오프하거나 인접한 배리어 패턴을 소정주기로 각각 교대로 온오프시킴으로써 입체영상 표시 중에 발생하는 모아레 무늬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배리어 패턴을 시분할적으로 순차 온오프시킴으로써 배리어 패턴 형성을 위한 액정셀의 크기가 인접 액정셀과 상이하거나 동일하여도 무관함으로 제작 난이도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작 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도면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이해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첨부한 도면으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대응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도2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가 되도록 수평,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액정셀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제어방식에 따라 수직방향의 셀컬럼 또는 수평방향의 셀컬럼이 전체 또는 일부분이 구동되어 배리어 패턴을 형성하는 액정부(210)와,
세그먼트 단자(S1~S11)가 상기 액정부(210)의 수직방향 셀컬럼 각각에 대응되는 세그먼트 단자(S1~S11) 각각에 다수의 구동 단자 각각이 연결되며, 수직방향 입체영상 화면의 경우 상기 세그먼트 단자(S1~S11)를 (4n+1)번째 세그먼트 단자 전체와 (4n+3)번째 세그먼트 단자 전체를 1/2주기로 온/오프시키거나 (4n+1)번째 세그먼트 단자 각각과 (4n+3)번째 세그먼트 단자 각각을(여기서, n은 0,1,2,3,...인 정수) 1/2주기로 순차 온/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액정부(210)의 액정셀 컬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1 액정 구동부(220)와,
상기 액정부(210)의 수평방향 셀컬럼 각각에 대응되는 콤온 단자(C1~C13) 각각에 다수의 구동 단자 각각이 연결되며, 수평방향 입체영상 화면의 경우 (4n+1)번째 콤온 단자 전체와 (4n+3)번째 콤온 단자 전체를 1/2주기로 온/오프시키거나 (4n+1)번째 콤온 단자 각각과 (4n+3)번째 콤온 단자 각각을(여기서, n은 0,1,2,3,...인 정수) 1/2주기로 순차 온/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액정부(210)의 액정셀 컬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2 액정 구동부(230)와,
입력장치(도면 미도시)에 의한 입체영상 전체화면 모드 또는 입체영상 부분화면 모드의 설정을 인식하며, 상기 입체영상 부분화면 모드의 설정 시에 디스플레이 장치(도면 미도시)의 화면에 입체영상 부분화면의 표시영역 설정을 위한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인식된 설정 모드와 상기 입력화면의 입력정보를 판별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방식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제어방식에 따라 상기 제1 액정 구동부(220)와 제2 액정 구동부(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입력장치(도면 미도시)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에서 액정부(210)의 13*11로 예시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 동작을 명료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액정부(210)는 TN-LCD, STN-LCD, TFT-MONO 등의 액정패널로 구성하며, 상기 액정패널을 이루는 다수의 액정셀의 크기는 인접한 액정셀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이한 크기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액정부(210)에 수직방향의 배리어를 형성하는 제어방식은 홀수번째 세그먼트 단자(S1, S3, S5,...)의 전체 또는 일부와 컴온 단자(C1~C13) 전체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상기 액정부(210)에 수평방향의 배리어를 형성하는 제어방식은 홀수번째 컴온 단자(C1, C3, C5,...) 전체 또는 일부와 세그먼트 단자(S1~S11) 전체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2D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액정부(210)에 배리어 패턴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1 액정 구동부(220)와 제2 액정 구동부(230)의 구동을 제어하며,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현재 결정된 디스플레이 제어 방식에 따라 상기 액정부(210)에 배리어 패턴이 (4n+1), (4n+3)번째 단자가 1/2주기로 순차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 액정 구동부(220)(23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모아레 무늬를 제거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수직방향의 입체영상의 경우 도3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부(210)의 수평방향의 (4n+1), (4n+3)번째 액정셀 컬럼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단자(S1, S3, S3,...)가 1/2주기마다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1 액정 구동 부(220)를 구동함으로써 모아레 무늬의 발생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과정을 도4 내지 도6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수직방향의 입체영상의 경우 제어부(240)는 도4의 파형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부(210)의 수평방향의 (4n+1), (4n+3)번째 액정셀 컬럼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단자(S1, S3, S3,...)가 1/2주기마다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1 액정 구동부(220)를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액정부(210)의 수직방향의 액정셀 컬럼에 대응하는 콤온 단자(C1,C2,C3,...) 전체를 구동하도록 제2 액정 구동부(230)를 구동함으로써 모아레 무늬를 제거하게 된다.
반대로, 수평방향의 입체영상의 경우 제어부(240)는 도5의 파형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부(210)의 수직방향의 (4n+1), (4n+3)번째 액정셀 컬럼에 대응하는 콤온 단자(C1, C3, C3,...)가 1/2주기마다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2 액정 구동부(230)를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액정부(210)의 수평방향의 액정셀 컬럼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단자(S1,S2,S3,...) 전체를 구동하도록 제1 액정 구동부(230)를 구동함으로써 모아레 무늬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의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홀수번째 세그먼트 단자 또는 홀수번째 콤온 단자를 1/2주기로 순차 온/오프시키는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도6의 파형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수번째 세그먼트 단자를 (4n+1)번째 단자와 (4n+3)번째 단자로 분리하여 교대로 온/오프시킴으로써 영상과 주기적인 배리어패턴 사이의 간섭을 제거하여 모아레 무늬를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도6의 파형도와 동일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화면(도면 미도시)이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경우에도 모아레 무늬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TFT-LCD, 유기EL, PDP, F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하여 즉시 입체영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리어를 한쪽 방향이 아닌 수평/수직 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도면 미도시)의 화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표시되는 입체영상 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표시되는 입체영상도 표시하는 것은 물론 배리어 패턴의 형성을 시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모아레 무늬의 제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은 충분히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예의 범위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실시형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1a 은 종래의 패러랙스-배리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1b 는 종래의 패러랙스-배리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2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 장치의 구조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시분할적 세그먼트 단자 구동을 보인 도면.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배리어 패턴 생성을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액정부 220, 230 : 액정 구동부
240 : 제어부

Claims (4)

  1. 2D영상과 입체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패러랙스-배리어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방식에 따라 배리어 패턴을 형성하는 액정수단과,
    상기 액정수단의 수직방향 셀컬럼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세그먼트 단자 각각과 상기 액정수단의 수평방향 셀컬럼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콤온 단자 각각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제어방식에 따라 인접한 세그먼트 단자 또는 인접한 콤온 단자를 순차 온/오프시키는 액정 구동 수단과,
    입력장치(도면 미도시)에 의한 입체영상 전체화면 모드 또는 입체영상 부분화면 모드의 설정을 인식하며, 그 인식결과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식에 따라 상기 액정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ㅎ하는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입체영상 화면 모드로 인식한 경우 해당 모드의 배리어 패턴 형성을 위한 액정셀 컬럼의 (4n+1)번째 액정셀 컬럼 전체와 (4n+3)번째 액정셀 컬럼 전체를 1/2주기로 온/오프시키도록 액정 구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상기에서 n은 0,1,2,3,...인 정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입체영상 화면 모드로 인식한 경우 해당 모드의 배리어 패턴 형성을 위한 액정셀 컬럼의 (4n+1)번째 액정셀 컬럼 각각과 (4n+3)번째 액정셀 컬럼 각각을 교대로 순차 온/오프시키도록 액정 구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상기에서 n은 0,1,2,3,...인 정수이다.
  4. 2D영상과 입체영상을 동시에 또는 각각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입체영상 화면 모드가 설정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영상 화면 모드가 설정되면 그 입력영상 화면 모드에 대응되는디스플레이 제어방식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제어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입체영상을 동시에 표시함과 아울러
    그 입체영상 화면에 대응되는 배리어 중 인접 배리어를 시분할 방식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입체영상 표시 중에 발생하는 모아레 무늬를 제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방법.
KR1020070091862A 2007-09-11 2007-09-11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4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862A KR101104172B1 (ko) 2007-09-11 2007-09-11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862A KR101104172B1 (ko) 2007-09-11 2007-09-11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836A true KR20090026836A (ko) 2009-03-16
KR101104172B1 KR101104172B1 (ko) 2012-01-12

Family

ID=4069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862A KR101104172B1 (ko) 2007-09-11 2007-09-11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457B1 (ko) 2014-12-05 2021-07-2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컬러 모아레 저감 방법, 컬러 모아레 저감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517B1 (ko) 2005-08-26 2006-11-23 (주)마스터이미지 셀 구조 패러랙스-배리어 및 이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172B1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517B1 (ko) 셀 구조 패러랙스-배리어 및 이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828364B (zh) 隔板装置、使用隔板装置的自动立体显示器及其驱动方法
EP2054752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JP5621501B2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方法
KR20080024901A (ko) 고해상도 다시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H0915532A (ja)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画像表示装置
CN102376242A (zh) 立体图像显示器及其驱动方法
CN103309096A (zh) 一种双层结构液晶透镜及三维显示装置
KR20120087647A (ko) 표시 장치
US20120113510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990490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309313B1 (ko) 화면이 분할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4200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17650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5621500B2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方法
KR20090026834A (ko) 입체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JPWO2005088386A1 (ja) 立体表示装置及び立体表示方法
KR1022331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Minami et al. Portrait and landscape mode convertible stereoscopic display using parallax barrier
KR101104172B1 (ko) 모아레를 제거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51297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958288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1307572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07860B1 (ko) 입체영상 부분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675845B1 (ko) 액티브 리타더 및 이를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