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420A -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420A
KR20090026420A KR1020070091366A KR20070091366A KR20090026420A KR 20090026420 A KR20090026420 A KR 20090026420A KR 1020070091366 A KR1020070091366 A KR 1020070091366A KR 20070091366 A KR20070091366 A KR 20070091366A KR 20090026420 A KR20090026420 A KR 20090026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circuit board
bare cel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8332B1 (en
Inventor
서경원
권용걸
곽은옥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332B1/en
Publication of KR2009002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4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3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A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to prevent an RFID antenna and a circuit board from being disconnected or pressed down and to realize the optimum size. A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bare cell(100), a circuit board, a resin part(300), and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RFID antenna)(400). The circuit board comprises an antenna terminal(2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re cell. The resin part covers the circuit board and has an antenna connector exposing at least a part of the antenna part. The RFID antenna has an antenna lead(410)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exposed to the antenna connector an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re cell.

Description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Secondary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적층하여 권취된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캔에 수납하고, 이 캔의 상단 개구부를 캡 조립체에 의해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is formed by stack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and storing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in a can formed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nd sealing the top opening of the can with a cap assembly.

상기 이차 전지는 외부 단락이나 기계적인 충격에 의한 내부 단락 또는 과충전 및 과방전 등의 경우, 전압이 급상승하여 전지가 파열되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통상 이차 전지는 양성온도소자(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멀 퓨즈(Thermal Fuse) 등과 같은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보호회로기판(Protecting Circuit Board)과 베어 셀이 전기 적으로 연결된 채 팩킹되어 전지팩 형태로 완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리드 플레이트라 불리는 도체구조에 의해 베어 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연결되며, 전지의 고온상승이나 과도한 충방전 등으로 전지의 전압이 급상승하는 경우 전류를 차단해 전지의 파열 등 위험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수지로 이루어진 판넬에 회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외측 표면에 외부단자 등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회로기판의 내측면에는 회로부가 구비되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베어 셀과 보호회로기판 사이에는 리드 및 절연플레이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is exposed to a risk that the battery ruptures due to a sudden voltage increase in the case of an internal short circuit due to an external short circuit or a mechanical shock, or an overcharge or overdischarge. In order to alleviate such risks, a secondary battery typically includes a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a bare cell that include safety devices such as a positive temperature element (PTC) and a thermal fuse. It is seal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end, and is completed in the form of a battery pack. In this case,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of the bare cell by a conductor structure called a lead plate, and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rises rapidly due to high temperature rise or excessiv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the current is cut off. Prevent risks such as rupture.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is formed of a circuit on a panel made of resin, and an external terminal or the lik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 circuit par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In addition, a lead and an insulation plat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re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상기 전지팩은 외부 형태에 따라 두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즉,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단자가 노출된 상태로 전지의 외면에 플라스틱 수지의 하우징이 일체로서 성형되어 있는 형태인 하드팩 전지와, 외부단자가 노출된 상태로 전지의 외면에 플라스틱 수지의 하우징이 별도로 성형되어 있지 않은 형태인 이너팩 전지가 있다. The battery pack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m. That is, a hard pack battery in which a plastic resin housing is integrally mol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while the external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s exposed, and the plastic resi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with the external terminal exposed. There is an inner pack battery in which the housing is not molded separately.

이러한 전지팩에서는 베어 셀의 전극단자가 형성된 면에 보호회로기판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어 셀과 보호회로기판의 간극이 핫멜트 수지의 몰딩에 의해 충진된다. 이때, 상기 핫멜트 수지가 보호회로기판의 바깥면까지 덮을 수 있으나 상기 외부단자는 외부로 노출된다. In such a battery pack, a protective circuit boar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a surface on which a bare cell electrode terminal is formed, and a gap between the bare cell and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is filled by molding of a hot melt resin. In this case, the hot melt resin may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but the external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보호회로기판에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가 연결되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is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to transmit and process information of a thing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t a radio frequency.

종래의 상기 이차 전지는 먼저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의 안테나 리드가 상기 보호회로기판에 형성된 안테나 단자에 연결된 다음, 상기 핫멜트 수지의 몰딩에 의해 그 결합이 고정된다. 핫멜트 수지는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와 보호회로기판의 결합부위에 외력으로 작용함으로써,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와 보호회로기판의 결합부위에 단선이나 눌림현상을 발생시켜 전기 접속을 불량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the antenna lead of the RFID ANTENNA is first connected to an antenna terminal formed on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then the coupling thereof is fixed by molding of the hot melt resin. The hot melt resin acts as an external force o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F ANTENNA and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thereby causing disconnection or crushing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F ANTENNA and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thereby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akes it bad.

또한, 상기 핫멜트 수지의 몰딩이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와 보호회로기판이 결합된 이후에 노출된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를 커버하도록 진행되기 때문에 전지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부피 대비 용량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lding of the hot melt resin proceeds to cover the exposed RF antenna after the RF ANTENNA and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are combined, the volume of the battery becomes large,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pacity is reduc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와 회로기판 간의 단선이나 눌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disconnection or crushing between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and a circuit board.

또한, 본 발명은 최적 사이즈를 가질 수 있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having an optimum siz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베어 셀; 안테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단자를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는 안테나 연결부를 구비하는 수지부; 및 상기 안테나 연결부에 노출된 안테나 단자에 연결되는 안테나 리드를 구비하며, 상기 베어 셀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e cell; A circuit board including an antenna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re cell; A resin part formed to cover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an antenna connection part exposing at least a part of the antenna terminal; And an antenna lead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exposed to the antenna connection unit, and includes an RF ANTENN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re cell.

상기 수지부는 상기 베어 셀과 상기 회로 기판 사이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resin part may be formed between the bare cell and the circuit board an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상기 수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안테나 단자 노출홀과 상기 수지부의 측면에 형성된 안테나 관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 리드는 상기 안테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안테나 단자 노출홀에서 상기 안테나 단자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antenna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n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sin part and an antenna through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sin part, and the antenna lead may pass through the antenna through hole and be disposed at the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It can be coupled by welding with the antenna terminal.

또한,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상기 수지부의 상면 및 측면에 걸쳐 상기 수지부의 상면 및 측면에서 내부로 들어가는 홈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수지부의 상면으로 상기 안테나 단자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단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 리드는 상기 수지부의 상면에서 상기 단차부에 노출된 상기 안테나 단자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that enters from the top and side of the resin portion inside the top and side of the resin portion, and is made of a stepped portion formed so that the antenna terminal is exposed to the top surface of the resin portion, The antenna lead may be coupled by welding to the antenna terminal exposed to the stepped por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sin portion.

또한,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상기 수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단자를 노출시키는 결합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테나 리드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수지부의 측면에서 상기 안테나 단자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resin portion to form a coupling hole for exposing the antenna terminal, the antenna lea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o be coupled by welding with the antenna terminal at the side of the resin portion. Can be.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는 루프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프 안테나와 상기 베어 셀 사이에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는 절연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may be a loop antenna. An insulation memb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oop antenna and the bare cell to prevent a short circuit. The insulating member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tape.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와 상기 베어 셀은 라벨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and the bare cell may be covered by a labe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은 안테나 단자를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베어 셀을 결합하여 코어 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어 팩을 수지로 몰딩하여 상기 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수지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지부에 상기 회로기판의 안테나 단자를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는 안테나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어 셀의 일 측면에 안테나 리드를 구비하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를 설치하되 상기 안테나 리드를 상기 안테나 단자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core pack by combining a bare board with a circuit board having an antenna terminal; Molding the core pack with a resin to form a resin part covering the circuit board, wherein forming an antenna connection part exposing at least a part of the antenna terminal of the circuit board to the resin part; And install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having an antenna lead on one side of the bare cell, and connecting the antenna lead to the antenna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를 상기 베어 셀의 일 측면에 설치한 후 라벨에 의해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와 상기 베어 셀을 커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ver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and the bare cell by a label after install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on one side of the bare cell. .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를 미리 형성된 수지부의 안테나 연결부를 통해 회로기판과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가 먼저 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수지부에 의해 커버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의 단선이나 눌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is combined with a circuit board through an antenna connection part of a preformed resin part, whereby a conventional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is first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and covered by the resin par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connection or depression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이차 전지는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의 사이즈만 추가된 최적 사이즈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can have an optimal size added only the size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이차 전지 중 베어 셀 및 회로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c는 도 1b의 베어 셀 및 회로부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1d는 도 1a의 라벨이 부착되기 전 상태의 이차 전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d에 도시된 무선주파수식 별 안테나(RFID ANTENNA)의 모식도들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re cell and a circuit memb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FIG. 1A, and FIG. 1C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bare cell and a circuit member of FIG. 1B. 1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in a state before the label of FIG. 1A is attached, and FIGS. 2A and 2B are schematic views of the RFID ANTENNA shown in FIG. 1D.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600)는 베어 셀(100), 회로기판(200), 수지부(300),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 400), 및 라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차 전지(600)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미리 형성된 수지부(300)의 안테나 연결부를 통해 회로기판(200)과 결합시켜 형성됨으로써,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가 먼저 회로기판(200)에 결합되고 수지부(300)에 의해 커버되는 경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와 회로기판(200)의 결합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의 단선이나 눌림현상을 방지하는 작용이 있다. 1A to 1D, a secondary battery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re cell 100, a circuit board 200, a resin unit 300, and an RF antenna 400. ), And a label 500. The secondary battery 600 is formed by combin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with the circuit board 200 through the antenna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formed resin unit 300, whereby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is first a circuit board ( When coupled to the 200 and covered by the resin unit 300 to prevent the disconnection or pressing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that may occur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and the circuit board 200. There is an action.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600)의 베어 셀(1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bare cell 100 of the secondary battery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 셀(100)은 전극 조립체(10)와, 상기 전극 조립체(10)와 전해액(미도시)이 수용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B, the bare cell 100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10, a case 20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an electrolyte (not shown) are accommodated, and an upper opening of the case 20. And a cap assembly 30 for sealing.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양극(11), 음극(12), 상기 양극(11)과 상기 음극(12)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3)를 와형으로 권취하여 형성된다.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formed by winding a positive electrode 11, a negative electrode 12, a separator 13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12 in a thin plate shape or a film shape.

상기 양극(11)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컨대 알미늄 호일로 된 양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리튬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극(11)에는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의 영 역에 양극탭(14)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positive electrode 11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thin metal plate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foil,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inly composed of lithium-based oxides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reg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formed.

상기 음극(12)은 전도성의 금속 박판, 이를테면 구리 호일로 된 음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탄소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음극(12)에도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의 영역에 음극 탭(15)이 접속된다. The negative electrode 12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conductive metal sheet, such as a copper foi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inly composed of a carbon material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The negative electrode tab 15 is also connected to a reg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formed.

상기 양극(11) 및 상기 음극(12)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양극탭(14) 및 상기 음극탭(15)이 상기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인출되는 경계부에는 상기 두 전극(11,12)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테이프(18)가 각각 감겨져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12 may be arranged with different polarities. Insulating tapes 18 are wound around the boundary portions from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ab 14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5 are drawn out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two electrodes 11 and 12.

상기 세퍼레이터(13)는 폴리 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3)는 상기 양극(11) 및 상기 음극(12))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극판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The separator 13 is mad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a copolymer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The separator 13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positive electrode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12, which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상기 케이스(2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상기 전극 조립체(10)가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전극 조립체(10) 및 전해액의 용기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케이스(20)는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20)와 용접으로 결합되는 상기 캡 조립체(30)의 캡 플레이트(31)가 양극단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e case 20 is formed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accommodated through the open top of the case 20 so that the case 20 serves as a contain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The case 20 may itself serve as a terminal, and in this embodiment, the cap plate 31 of the cap assembly 30, which is coupled to the case 20 by welding, serves as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Done.

상기 캡 조립체(30)는 상기 캡 플레이트(31), 가스켓(34), 절연 플레이 트(35), 단자 플레이트(36), 및 전극 단자(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ap assembly 30 includes the cap plate 31, the gasket 34, the insulating plate 35, the terminal plate 36, and the electrode terminal 37.

상기 캡 플레이트(31)는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단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31)의 중앙부에는 상기 전극 단자(37)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단자용 통공(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31)의 일측에는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구(33)가 형성된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33)에는 전해액이 상기 케이스(20)에 주입된 다음에 상기 전해액 주입구(33)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마개(50)가 설치된다.The cap plate 31 is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 upper end of the case 20. The through hole 32 for the terminal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ap plate 31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37 can pass therethrough. In addition,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33 for injecting an electrolyt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p plate 31. A stopper 50 is installed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33 to seal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33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20.

상기 가스켓(34)은 상기 캡 플레이트(31)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상기 전극 단자(37) 외측에 상기 전극 단자(37)와 상기 캡 플레이트(31)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튜브 형상으로 설치된다. The gasket 34 is installed in the shape of a tube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electrode terminal 37 from the cap plate 31 outside the electrode terminal 37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 plate 31.

상기 절연 플레이트(35)는 상기 캡 플레이트(31)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캡플레이트(31)와 상기 단자 플레이트(36)를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insulating plate 35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31 to insulate the cap plate 31 from the terminal plate 36.

상기 단자 플레이트(36)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35)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 단자(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terminal plate 36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35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37.

상기 전극 단자(37)는 상기 가스켓(34)이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단자용 통공(32)을 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전극 단자(37)의 저면부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35)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 단자(37)는 음극단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양극단자로서 역할을 하는 상기 캡 플레이트(31)와 음극단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상기 전극 단자(37)는 서로 극성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단자(37)의 하 단부에는 상기 음극(12)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음극탭(15)이 사행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용접되며, 상기 캡 플레이트(31)의 하면에는 상기 양극(11)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양극탭(14)이 용접된다.The electrode terminal 37 is inserted through the terminal hole 32 while the gasket 34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bottom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3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 36 in a state of interposing the insulating plate 35. Here, the electrode terminal 37 serves as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f cour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ap plate 31 serving as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electrode terminal 37 serving as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from each other. The negative electrode tab 15 drawn from the negative electrode 12 is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37 in a meandering st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31 is drawn from the positive electrode 11. The positive electrode tab 14 is welded.

한편,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상면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10)와 상기 캡 조립체와(30)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절연 케이스(40)가 설치된다. 상기 절연 케이스(40)의 중앙에는 상기 음극탭(15)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음극탭용 홀(4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양극탭(14)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극탭용 홀(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 케이스(40)의 타측에는 전해액(미도시)의 흐름 통로가 되는 전해액 통과공(43)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for the electrical insul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cap assembly 30, and at the same time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40) is installed. A negative electrode tab hole 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sulating case 40 to allow the negative electrode tab 15 to pass therethrough, and a positive electrode tab hole 42 is formed at one side to allow the positive electrode tab 14 to pass therethrough. Is formed. In addition, an electrolyte passage hole 43 serving as a flow path of an electrolyte (not shown)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insulating case 40.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상기 캡 플레이트(31)의 주변부와 상기 케이스(20)의 측벽이 용접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어 셀 전지(100)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상기 베어 셀(100)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플레이트(70, 80)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bare cell battery 100 is completed by welding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ap plate 31 and the side wall of the case 20 to be welded to each other. The completed bare cell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0 through lead plates 70 and 80, as shown in FIG. 1C.

상기 리드 플레이트(70, 80)는 양극 역할을 하는 양극 리드 플레이트(70)와 음극 역할을 하는 음극 리드 플레이트(80)로 구분된다. The lead plates 70 and 80 are divided into an anode lead plate 70 serving as an anode and a cathode lead plate 80 serving as a cathode.

상기 양극 리드 플레이트(70)는 일측이 상기 캡 플레이트(31)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극 리드 플레이트(80)는 일측이 음극 단자 역할을 하는 상기 전극 단자(37)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음극 리드 플레이트(80)와 상기 전극 단자(37)의 연결 시, 상기 음극 리드 플레이트(80)와 양극 단자 역할을 하는 상기 캡 플레이트(31)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상기 음극 리드 플레이트(80)와 상기 캡 플레이트(31) 사이에 접착테이프 재질로 형성된 절연판(60)이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음극 리드 플레이트(80)는 상기 절연판(60)에 부착되면서 상기 베어 셀(100)의 상기 전극 단자(3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양극 리드 플레이트(70)와 상기 음극 리드 플레이트(80)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어 니켈, 니켈 합금 혹은 니켈 도금된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어 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양극 리드 플레이트(70)와 상기 음극 리드 플레이트(80)는 용접등의 방법으로 상기 회로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anode lead plate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p plate 31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cathode lead plate 80 has one side of the electrode terminal 37 serving as a cathode terminal. It is connected by welding or the lik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is case, when the negative lead plate 80 and the electrode terminal 37 are connecte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is electrically insulated between the negative lead plate 80 and the cap plate 31 serving as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 insulating plate 60 formed of an adhesive tap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late 80 and the cap plate 31. Accordingly, the negative lead plate 80 is attached to the insulating plate 6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37 of the bare cell 100. The anode lead plate 70 and the cathode lead plate 8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nickel, nickel alloy, or nickel plated stainless steel. As such, the positive lead plate 70 and the negative lead plate 8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re cell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0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회로기판(200)은 수지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되며, 전지에 대하여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함으로써 충전 상태를 균일하게 하는 회로(미도시), 또는 과방전 및 과충전을 방지하는 회로와 같은 보호회로(미도시)가 형성된다. 도면에 표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회로기판(200)에는 충·방전 회로(미도시) 및 보호 회로(미도시)의 구현을 위해 회로소자(미도시)들이 형성된다. The circuit board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made of a resin, and a protection circuit such as a circuit (not shown) for uniformizing the state of charge by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with respect to a battery, or a circuit for preventing over-discharge and overcharging ( Not shown) is form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circuit elements 200 are formed on the circuit board 200 to implement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not shown) and protection circuits (not shown).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면 일측에 상기 회로기판(200)과 외부 전자기기(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외부 입출력 단자부(210)를 구비하고, 상면 타측에 이차 전지를 라벨로 라벨링하여 완성하기 전에 이차 전지의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테스트 단자(220)를 구비하고, 상면 중앙부에 후술될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와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230)를 구비한다.The circuit board 200 includes an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21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ircuit board 20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not shown)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labels the secondary battery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with a label. Before completion, the test terminal 220 is provided to perform a performance test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has an antenna terminal 230 connected to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상기 회로기판(200)은 하면에 상기 베어 셀(100)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양 극 접속단자(240) 및 음극 접속단자(250)를 구비한다. 상기 양극 접속단자(240) 및 상기 음극 접속단자(250)는 상기 캡 플레이트(31) 상부에 설치된 상기 양극 리드 플레이트(70) 및 상기 음극 리드 플레이트(80)와 전기 접속을 위해 대략 'L'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리드 플레이트(70,80)와 상기 접속단자(240, 250)는 일반적으로 스폿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The circuit board 200 includes a cathode connection terminal 240 and a cathode connection terminal 250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bare cell 100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4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250 are approximately 'L' shap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ositive electrode lead plate 70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plate 80 installed on the cap plate 31. It is formed into a structure. The lead plates 70 and 80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240 and 250 are generally joined by spot welding.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기 리드 플레이트(70, 8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어팩 전지를 이루며, 이러한 코어팩 전지는 수지부(300)와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와 결합된다. The bare cell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lead plates 70 and 80 to form a core pack battery, and the core pack battery is a resin part 300. And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상기 수지부(300)는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회로기판(200) 사이 간극에 핫멜트 수지를 채워 몰딩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수지부(300)는 회로기판(200)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수지부(300)는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회로기판(200) 사이 및 상기 회로 기판(200)의 상면에 형성된다. The resin part 300 is formed by filling and molding a hot melt resin in a gap between the bare cell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In this case, the resin part 300 is formed to cover the circuit board 200. In other words, the resin part 300 is formed between the bare cell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0.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부(300)는, 외관이 상기 회로기판(200)의 상면에 대응되는 상면(310) 및 상면(310)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베어 셀(100) 방향으로 상기 회로기판(200)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측면(320)으로 이루어진다. In detail, the resin part 300 has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an upper surface 310 of the circuit board 200 and an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310 in the direction of the bare cell 100 to the circuit board 200. And a side surface 320 formed to cover the side surface thereof.

상기 수지부(300)의 상면(310)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가 상기 회로기판(200)의 상면을 덮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면(310)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부(210)를 노출시키기 위한 외부 입출력 단자부 노출홀(311)이 형성되며, 이러한 외부 입출력 단자부 노출홀(311)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200)과 외부 전자기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310)의 타측에는 상기 테스트 단자(220)를 노출시키기 위한 테스트 단자 노출홀(312)이 형성되며, 이러한 테스트 단자 노출홀(312)을 통해 상기 테스트 단자(220)를 이용한 전지의 성능 테스트가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310)의 중앙부에는 상기 안테나 단자(230)를 노출시키기 위한 안테나 단자 노출홀(3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테나 단자 노출홀(313)을 통해, 상기 안테나 단자(230)와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의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D,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resin portion 300 is a portion in which resin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0. An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exposing hole 3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310 to expose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210, and through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exposing hole 311,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circuit board 200 are exposed. External electronic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a test terminal exposure hole 312 for exposing the test terminal 220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310, and the battery using the test terminal 220 through the test terminal exposure hole 312. The performance test of can be conducted. In addition, an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313 for exposing the antenna terminal 2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310. Through the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313, welding of the antenna terminal 23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may be performed.

상기 수지부(300)의 측면(320)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가 상기 회로기판(200)의 측면을 덮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지부(300)의 측면(320) 가운데 상기 안테나 단자 노출홀(313)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삽입시켜 상기 안테나 단자(230)에 접속시키기 위한 안테나 관통홀(321)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D, the side surface 320 of the resin part 300 is a portion in which resin is formed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0. An antenn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in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313 among the side surfaces 320 of the resin part 300 to connect to the antenna terminal 230 ( 321 is formed.

상기 수지부(300)의 상면(310)에 형성되는 안테나 단자 노출홀(313)과 상기 수지부(300)의 측면(320)에 형성되는 상기 안테나 관통홀(321)은 상기 안테나 단자(2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켜 상기 안테나 단자(230)와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연결시키는 안테나 연결부를 이루게 된다.The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313 formed in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resin part 300 and the antenna through hole 321 formed in the side surface 320 of the resin part 300 are the antenna terminal 230.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ntenna terminal 23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to form an antenna connection portion.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는 상기 안테나 연결부를 통해 회로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무선주파수를 통해 회로기판(200)과 외부 전자기기(무선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는 회로기판(200)으로부터 이차 전지(600)의 종류, 형태 및 출시날짜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무선 주파수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무선 단말기)로 전송하여, 외 부 전자기기(무선 단말기)가 이차 전지(600)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무선주파수 식별 안테나(400)의 무선주파수식별 기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0 through the antenna connection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circuit board 20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radio frequency. Accordingly,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form, and release date of the secondary battery 600 from the circuit board 200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wireless terminal) through a radio frequenc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wireless terminal) may recognize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6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function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는, 구체적으로, 베어 셀(1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안테나 리드(410)가 회로기판(200)의 안테나 단자(230)에 용접됨으로써 회로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안테나 리드(410)가 안테나 관통홀(321)을 관통하여 안테나 단자 노출홀(313)로 노출된 안테나 단자(230)에 용접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와 회로기판(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안테나 리드(410)와 안테나 단자(23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용접은 상기 수지부(300)의 상면(310)에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RF antenna 4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re cell 100, and an antenna lead 410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RF antenna 400 may include a circuit board 20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0 by welding to the antenna terminal 230 of the. In other words, the antenna lead 410 is welded and coupled to the antenna terminal 230 exposed through the antenna through hole 321 and exposed to the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313, whereby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and the circuit board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Here, welding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lead 410 and the antenna terminal 230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resin part 300.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수지 기재 상에 안테나 선이 수차례 권선되어 있으며, 상단에 안테나 리드(4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는 얇은 판상의 소재로서,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가 부착되는 부위의 형상에 따라 완만하게 굴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루프 안테나로 도시되었으나, 칩형 안테나 및 기타 구조의 안테나 모두 사용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 안테나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an antenna line is wound several times on a plastic resin substrate, and an antenna lead 41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F antenna 400. The base material is a thin plate-like material, it may be gently bent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portion to which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is attached. On the other h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is shown as a loop antenn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can be used both the chip-type antenna and other antennas of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antenna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와 베어 셀(100) 사이에는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부재(450)가 개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절연부 재(450)는 절연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n insulating member 4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and the bare cell 100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circuit, and the insulating member 45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tape. have.

상기와 같이 베어 셀(100)과 회로기판(200)을 결합시켜 이루어진 코어팩에 수지부(300)와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결합시킨 후, 베어 셀(100)과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커버하도록 라벨(500)을 부착하면, 이차 전지(600)가 완성된다.After coupling the resin unit 3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to the core pack formed by coupling the bare cell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as described above, the bare cell 1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 When the label 500 is attached to cover 400, the secondary battery 600 is completed.

상기 라벨(500)은,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커버하도록, 상기 베어 셀(100)의 외면과 안테나 관통홀(321)에 일체로 부착되며, 또한, 안테나 단자 노출홀(312)에 라벨(510)이 별도로 부착된다. 또한, 테스트 단자(220)를 통한 전지 성능 테스트 후 테스트 단자(22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 단자 노출홀(313)에 라벨(520)이 별도로 부착된다.Referring to FIG. 1A, the label 50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re cell 100 and the antenna through hole 321 to cover the bare cell 1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In addition, a label 510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312. In addition, a label 520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test terminal exposing hole 313 to prevent the test terminal 220 from being exposed after the battery performance test through the test terminal 22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600)는, 코어팩에 수지부(300)가 형성된 후 형성된 수지부(300)의 안테나 관통홀(321)과 안테나 단자부 노출홀(313)로 이루어진 안테나 연결부를 통해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와 회로기판(200)의 안테나 단자(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가 회로기판과 먼저 결합되고 수지부에 의해 커버되는 경우에서 발생되었던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의 단선 및 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battery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through hole 321 and the antenna terminal exposed hole 313 of the resin portion 300 formed after the resin portion 300 is formed in the core pack. Since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and the antenna terminal 230 of the circuit board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is first combined with the circuit board and covered by the resin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onnection and depression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that occurred in the cas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600)는, 코어팩에 수지부(300)가 형성된 후 베어 셀(100)의 일 측면에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가 결합되고 노출된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가 얇은 두께의 상기 라벨(500)에 의 해 커버되기 때문에,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가 회로기판과 먼저 결합되고 노출된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가 라벨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수지부에 의해 커버되는 경우보다 전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600)는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구비함에 있어서 부피 대비 용량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esin portion 300 is formed in the core pack,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is coupled and exposed to one side of the bare cell 100. Since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is covered by the label 500 having a thin thickness,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is first combined with the circuit board, and the expos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labe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battery than when covered by. Therefore, the secondary battery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rease the capacity to volume in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라벨이 부착되기 전 상태의 이차 전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echargeable battery in a state before the label of FIG. 3A is attach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비교하여 수지부와 라벨의 구성만 다를 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를 갖는 이차 전지의 수지부 및 라벨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y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sin portion and the label as compared to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and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portion and the label of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a difference fro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600)는 베어 셀(100), 회로기판(200), 수지부(1300),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 400), 및 라벨(1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A and 3B, a secondary battery 16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re cell 100, a circuit board 200, a resin unit 1300, and an RF antenna 400. ), And a label 1500.

상기 수지부(1300)는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회로기판(200) 사이 간극에 핫멜트 수지를 채워 몰딩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수지부(1300)는 회로기판(200) 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resin part 1300 is formed by filling and molding a hot melt resin in a gap between the bare cell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In this case, the resin part 1300 is formed to cover the circuit board 200.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부(1300)는, 외관이 상기 회로기판(200)의 상면에 대응되는 상면(1310) 및 상면(1310)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베어 셀(100) 방향으로 상기 회로기판(200)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측면(1320)으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resin unit 1300 may have an outer surface 1310 correspon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0 and an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310 toward the bare cell 100 in the direction of the bare substrate 100. And a side surface 1320 formed to cover the side surface thereof.

상기 수지부(1300)의 상면(131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가 상기 회로기판(200)의 상면을 덮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지부(1300)의 상면(1310)에는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부(210)를 노출시키기 위한 외부 입출력 단자부 노출홀(311)이 형성되며, 이러한 외부 입출력 단자부 노출홀(311)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200)과 외부 전자기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부(1300)의 상면(1310)에는 상기 테스트 단자(220)를 노출시키기 위한 테스트 단자 노출홀(312)이 형성되며, 이러한 테스트 단자 노출홀(312)을 통해 상기 테스트 단자(220)를 이용한 전지의 성능 테스트가 실시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3B, the upper surface 1310 of the resin part 1300 is a part in which resin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0. An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part exposing hole 311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1310 of the resin part 1300 to expose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part 210, and through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part exposing hole 311,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a test terminal exposing hole 312 for exposing the test terminal 2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310 of the resin part 1300, and the test terminal 220 is provided through the test terminal exposing hole 312. The performance test of the battery using) can be carried out.

상기 수지부(1300)의 측면(132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가 상기 회로기판(200)의 측면을 덮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3B, the side surface 1320 of the resin unit 1300 is a portion in which resin is formed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0.

상기 수지부(1300)는 상기 수지부(1300)의 상면(1310) 및 측면(1320)에 걸쳐상기 수지부(1300)의 상면(1310) 및 측면(1320)에서 내부로 들어가는 홈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수지부(1300)의 상면(1310)으로는 회로기판(200)의 안테나 단자(230)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단차부(1330)를 포함한다.The resin part 13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which enters from the upper surface 1310 and the side surface 1320 of the resin part 1300 over the upper surface 1310 and the side surface 1320 of the resin part 1300. The upper surface 1310 of the resin part 1300 includes a stepped part 1330 formed to expose the antenna terminal 230 of the circuit board 200.

상기 단차부(1330)는 상기 안테나 단자(2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켜, 상기 안테나 단자(230)와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연결시키는 안테나 연 결부를 이루게 된다. 즉, 베어 셀(100)의 일 측면에 결합된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의 안테나 리드(410)가 상기 단차부(1330)를 통해 노출된 회로기판(200)의 안테나 단자(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안테나 리드(410)와 안테나 단자(230)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수지부(1300)의 상면(1310)에서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stepped portion 1330 exp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ntenna terminal 230 to form an antenn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antenna terminal 23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That is, the antenna lead 410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re cell 10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230 of the circuit board 200 exposed through the stepped portion 1330. Electrically connected. Her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lead 410 and the antenna terminal 230 is made by welding on the upper surface 1310 of the resin portion 1300.

한편, 무선주파수 식별 안테나(400)와 베어 셀(100) 사이에는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부재(450)가 개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절연부재(450)는 절연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and the bare cell 100 may be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ember 450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the insulating member 45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tape. .

상기와 같이 베어 셀(100)과 회로기판(200)을 결합시켜 이루어진 코어팩에 수지부(1300)와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결합시킨 후, 베어 셀(100)과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커버하도록 라벨(1500)을 부착하면, 이차 전지(1600)가 완성된다.After combining the resin unit 13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to the core pack formed by coupling the bare cell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as described above, the bare cell 1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 When the label 1500 is attached to cover 400, the secondary battery 1600 is completed.

상기 라벨(1500)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커버하도록 상기 베어 셀(100)의 외면과 단차부(1330)에 일체로 부착된다. 또한, 테스트 단자(220)를 통한 전지 성능 테스트 후 테스트 단자(22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 단자 노출홀(313)에 라벨(1510)이 별도로 부착된다.Referring to FIG. 3A, the label 1500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re cell 100 and the stepped portion 1330 to cover the bare cell 1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 In addition, a label 1510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test terminal exposing hole 313 to prevent the test terminal 220 from being exposed after the battery performance test through the test terminal 22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600)는, 안테나 연결부가 수지부(1300)의 상면(1310)과 측면(1320)에서 내부로 들어가는 홈형태의 단차부(1330)로 이루어져 이러한 안테나 연결부를 통해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 나(400)와 상기 회로기판(200)의 안테나 단자(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와 비교하여 총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battery 1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connection portion to the stepped portion 1330 of the groove shape that enters the interior from the upper surface 1310 and side surface 1320 of the resin portion 1300. Since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and the antenna terminal 230 of the circuit board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antenna connection portion, the total height compared to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완성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라벨이 부착되기 전 상태의 이차 전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before the label of Figure 4a is attached.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비교하여 수지부, 무선안테나식별 안테나, 및 라벨의 구성만 다를 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를 갖는 이차 전지의 수지부, 무선안테나식별 안테나 및 라벨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resin portion, the wireless antenna antenna, and the labe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has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portion, the wireless antenna identification antenna and the label of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a difference fro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600)는 베어 셀(100), 회로기판(200), 수지부(2300),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 2400), 및 라벨(2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A and 4B, a rechargeable battery 26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re cell 100, a circuit board 200, a resin part 2300, and an RF antenna 2400. ), And a label 2500.

수지부(2300)는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회로기판(200) 사이 간극에 핫멜트 수지를 채워 몰딩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수지부(2300)는 회로기판(200)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resin part 2300 is formed by filling and molding a hot melt resin in a gap between the bare cell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In this case, the resin part 2300 is formed to cover the circuit board 200.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부(2300)는, 외관이 상기 회로기판(200)의 상면에 대응되는 상면(2310) 및 상면(2310)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베어 셀(100) 방향으로 상기 회로기판(200)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측면(2320)으로 이루어진다. In detail, the resin part 2300 may have an outer surface 2310 corresponding to the top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0 and an edge portion of the top surface 2310 toward the bare cell 100 in the direction of the bare substrate 100. And a side surface 2320 formed to cover the side surface thereof.

상기 수지부(2300)의 상면(231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가 상기 회로기판(200)의 상면을 덮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지부(2300)의 상면(2310)에는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부(210)를 노출시키기 위한 외부 입출력 단자부 노출홀(311)이 형성되며, 이러한 외부 입출력 단자부 노출홀(311)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200)과 외부 전자기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부(2300)의 상면(2310)에는 상기 테스트 단자(220)를 노출시키기 위한 테스트 단자 노출홀(312)이 형성되며, 이러한 테스트 단자 노출홀(312)을 통해 상기 테스트 단자(220)를 이용한 전지의 성능 테스트가 실시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4B, the upper surface 2310 of the resin portion 2300 is a portion in which resin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0. An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part exposing hole 3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310 of the resin part 2300 to expose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part 210, and through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part exposing hole 311,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a test terminal exposing hole 312 for exposing the test terminal 22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2310 of the resin part 2300, and the test terminal 220 is provided through the test terminal exposing hole 312. The performance test of the battery using) can be carried out.

상기 수지부(2300)의 측면(232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가 상기 회로기판(200)의 측면을 덮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지부(2300)의 측면(2320)에는 상기 안테나 단자(230)를 노출시키기 위한 결합홀(2321)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B, the side surface 2320 of the resin portion 2300 is a portion in which resin is formed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0. A coupling hole 2321 for exposing the antenna terminal 230 is formed in a side surface 2320 of the resin part 2300.

상기 결합홀(2321)은 상기 안테나 단자(230)를 적어도 일부 노출시켜, 상기 안테나 단자(230)와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2400)를 연결시키는 안테나 연결부를 이루게 된다. 즉, 베어 셀(100)의 일 측면에 결합된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2400)의 안테나 리드(2410)가 상기 결합홀(2321)를 통해 노출된 회로기판(200)의 안테나 단자(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결합홀(2321)은 평 면형상이 사각인 형태로 형성되었지만, 결합홀의 평면형상을 한정하는 것을 아니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 리드(410)와 안테나 단자(230)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수지부(2300)의 측면(2320)에서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coupling hole 2321 exp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ntenna terminal 230 to form an antenn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antenna terminal 230 to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2400. That is, the antenna lead 2410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2400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re cell 10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230 of the circuit board 200 exposed through the coupling hole 2321. Electrically connected. Here, although the coupling hole 2321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e coupling hole 2321 does not limit the plane shape of the coupling hole. In additio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lead 410 and the antenna terminal 230 is made by welding at the side surface 2320 of the resin part 2300.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2400)는 베어 셀(1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홀(2321)에 삽입되어 안테나 단자(23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안테나 리드(2410)를 구비한다. 상기 안테나 리드(2410)는 상기 결합홀(2321)에서 안테나 단자(230)와의 용이한 용접을 위해 안테나 단자(230)와 면-접촉되도록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의 가장자리로부터 두번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24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re cell 100 and includes an antenna lead 2410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321 and coupled to the antenna terminal 230 by welding. The antenna lead 2410 is bent twice from the edge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to be in surface-contact with the antenna terminal 230 for easy welding with the antenna terminal 230 in the coupling hole 2321. Is formed.

한편, 무선주파수 식별 안테나(2400)와 베어 셀(100) 사이에는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부재(2450)가 개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절연부재(2450)는 절연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n insulating member 24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2400 and the bare cell 100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circuit, and the insulating member 245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tape. .

상기와 같이 베어 셀(100)과 회로기판(200)을 결합시켜 이루어진 코어팩에 수지부(2300)와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2400)를 결합시킨 후, 베어 셀(100)과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2400)를 커버하도록 라벨(2500)을 부착하면, 이차 전지(2600)가 완성된다.After combining the resin unit 23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2400 to the core pack formed by coupling the bare cell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as described above, the bare cell 1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 When the label 2500 is attached to cover the 2400, the secondary battery 2600 is completed.

상기 라벨(2500)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2400)를 커버하도록 상기 베어 셀(100)의 외면과 결합홀(2321)에 일체로 부착된다. 또한, 테스트 단자(220)를 통한 전지 성능 테스트 후 테스트 단자(22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 단자 노출홀(313)에 라벨(2510)이 별도로 부착된다.Referring to FIG. 4A, the label 2500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re cell 100 and the coupling hole 2321 to cover the bare cell 1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2400. . In addition, a label 2510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test terminal exposing hole 313 to prevent the test terminal 220 from being exposed after the battery performance test through the test terminal 22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600)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2400)의 안테나 리드(2410)가 수지부(2300)의 측면(1320)에 형성된 결합홀(2321)에서 회로기판(200)의 안테나 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의 리드가 수지부의 상면에서 회로기판의 안테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보다, 짧은 길이의 안테나 리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600)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에 대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ary battery 2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hole 2321 in which the antenna lead 2410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2400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1320 of the resin part 2300. In this case, the lead of the RF antenna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230 of the circuit board 200. Shorter length antenna leads can be used than if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s of the circuit board on the top of the branch. Therefore, the secondary battery 2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for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은 코어 팩 형성단계(S510), 수지부 형성단계(S520), 및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 연결단계(S5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은 라벨 부착단계(S54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pack forming step (S510), a resin forming step (S520), and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connecting step (S530).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abeling step S540.

상기 코어 팩 형성단계(S510)는,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와, 상기 전극 조립체(10)가 수용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30)가 포함되어 구성된 베어 셀(100)과 안테나 단 자(230)가 구비된 회로기판(20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1B and 1C, the core pack forming step S510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10, a case 20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accommodated, and an upper opening of the case 20. A step of coupling the bare cell 100 including the cap assembly 30 to be sealed and the circuit board 200 provided with the antenna terminal 230 is provided.

상기 수지부 형성단계(S520)는, 상기 코어 팩을 수지로 몰딩하여 상기 코어 팩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수지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수지부는 금형상에서 미리 가공되어 상기 회로기판(200)의 안테나 단자(230)를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는 안테나 연결부가 포함된다.The resin part forming step (S520) is a step of forming a resin part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core pack by molding the core pack with a resin. In this case, the resin part is processed in advance in the mold includes an antenna connection portion for exposing at least part of the antenna terminal 230 of the circuit board 200.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지부(300)의 상면(310)에 상기 안테나 단자(230)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안테나 단자 노출홀(313)과 상기 수지부(300)의 측면(320)에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의 안테나 리드(410)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안테나 관통홀(3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지부(1300)의 상면(1310)과 측면(1320)에 걸쳐 형성되되 상면(1310)으로 상기 안테나 단자(230)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단차부(1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부(2300)의 측면(2320)에 상기 안테나 단자(210)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결합홀(2321)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D, the antenna connection part includes an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313 and the resin part 300 formed to expose the antenna terminal 230 on an upper surface 310 of the resin part 300. An antenna lead hole 321 formed to penetrate the antenna lead 410 of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320 of the antenna 320. In addition, the antenna connection portion, as shown in Figure 3b, is formed over the upper surface 1310 and the side surface 1320 of the resin portion 1300 to expose the antenna terminal 230 to the upper surface 1310. The stepped portion 1330 may be form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the antenna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coupling hole 2321 formed to expose the antenna terminal 210 on the side surface 2320 of the resin part 2300.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 연결단계(S530)는, 상기 베어 셀(100)의 일 측면에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를 설치하되 안테나 리드를 상기 안테나 단자(230)에 접속시키는 단계이다.The RFID ANTENNA connection step (S530) is a step of install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on one side of the bare cell 100, but connecting an antenna lead to the antenna terminal 230.

상기 안테나 리드(41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관통홀(321)에 삽입되어 상기 안테나 단자 노출홀(313)에서 상기 안테나 단자(23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부(1330)에 노출된 상기 안테나 단자(23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홀(2321)에 삽입되어 상기 안테나 단자(23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D, the antenna lead 410 is inserted into the antenna through hole 321 and coupled to the antenna terminal 230 by welding at the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313, or FIG. 3B. As shown in FIG. 4, the antenna terminal 230 exposed to the stepped portion 1330 is welded or as shown in FIG. 4B, and the antenna terminal 2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321. ) And by welding.

상기 라벨 부착단계(S540)는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를 상기 베어 셀(100)의 일 측면에 설치한 후 라벨에 의해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와 상기 베어 셀(100)을 커버하는 단계이다.The labeling step (S540) is a step of cover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and the bare cell 100 by a label after install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on one side of the bare cell 100.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커버하도록 상기 베어 셀(100)의 외면과 안테나 관통홀(321)에 라벨(500)이 일체로 부착되며, 또한, 안테나 단자 노출홀(312)에 라벨(510)이 별도로 부착된다. 또한, 테스트 단자(220)를 통한 전지 성능 테스트 후 테스트 단자(22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 단자 노출홀(313)에 라벨(520)이 별도로 부착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A, the label 500 is integ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re cell 100 and the antenna through hole 321 to cover the bare cell 1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Also, the label 510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312. In addition, a label 520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test terminal exposing hole 313 to prevent the test terminal 220 from being exposed after the battery performance test through the test terminal 220.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400)를 커버하도록 상기 베어 셀(100)의 외면과 단차부(1330)에 라벨(1500)이 일체로 부착된다. 또한, 테스트 단자(220)를 통한 전지 성능 테스트 후 테스트 단자(22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 단자 노출홀(313)에 라벨(1510)이 별도로 부착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A, the label 150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re cell 100 and the stepped portion 1330 to cover the bare cell 1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400. Attached. In addition, a label 1510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test terminal exposing hole 313 to prevent the test terminal 220 from being exposed after the battery performance test through the test terminal 220.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 셀(100)과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2400)를 커버하도록 상기 베어 셀(100)의 외면과 결합홀(2321)에 일체로 부착된다. 또한, 테스트 단자(220)를 통한 전지 성능 테스트 후 테스트 단자(22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 단자 노출홀(313)에 라벨(2510)이 별도로 부착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A, the bare cell 100 an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2400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re cell 100 and the coupling hole 2321 to cover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2400. In addition, a label 2510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test terminal exposing hole 313 to prevent the test terminal 220 from being exposed after the battery performance test through the test terminal 220.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나 도면에 기재된 내용에 그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specific embodiments or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의 이차 전지 중 베어 셀 및 회로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re cell and a circuit memb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FIG. 1A.

도 1c는 도 1b의 베어 셀 및 회로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FIG. 1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re cell and a circuit member of FIG. 1B.

도 1d는 도 1a의 라벨이 부착되기 전 상태의 이차 전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D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in a state before the label of FIG. 1A is attached.

도 2a 및 도 2b는 도 1d에 도시된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의 모식도들이다.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shown in FIG. 1D.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라벨이 부착되기 전 상태의 이차 전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in a state before the label of FIG. 3A is attached.

도 4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완성 사시도이다.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4a의 라벨이 부착되기 전 상태의 이차 전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in a state before the label of FIG. 4A is attach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베어 셀 200: 회로기판100: bare cell 200: circuit board

210: 외부 입출력 단자 220: 테스트 단자210: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220: test terminal

230: 안테나 단자 300, 1300, 2300: 수지부230: antenna terminals 300, 1300, 2300: resin part

310, 1310, 2310: 수지부의 상면 311: 외부 입출력 단자 노출홀310, 1310, 2310: Top surface of resin portion 311: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exposure hole

312: 테스트 단자 노출홀 313: 안테나 단자 노출홀312: test terminal exposed hole 313: antenna terminal exposed hole

320, 1320, 2320: 수지부의 측면 321: 안테나 관통홀320, 1320, 2320: side surface of resin part 321: antenna through hole

400: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400: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410, 2410: 안테나 리드 500, 1500, 2500: 라벨410, 2410: antenna lead 500, 1500, 2500: label

600, 1600, 2600: 이차 전지 1330: 단차부600, 1600, 2600: secondary battery 1330: stepped portion

2321: 결합홀2321: coupling hole

Claims (11)

베어 셀;Bare cells; 안테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A circuit board including an antenna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re cell; 상기 회로기판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단자를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는 안테나 연결부를 구비하는 수지부; 및A resin part formed to cover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an antenna connection part exposing at least a part of the antenna terminal; And 상기 안테나 연결부에 노출된 안테나 단자에 연결되는 안테나 리드를 구비하며, 상기 베어 셀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nd a antenna lead connected to an antenna terminal exposed to the antenna connection unit, and includ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re ce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지부는 상기 베어 셀과 상기 회로 기판 사이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nd the resin part is formed between the bare cell and the circuit board an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상기 수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안테나 단자 노출홀과 상기 수지부의 측면에 형성된 안테나 관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The antenna connection part includes an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sin part and an antenna through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sin part. 상기 안테나 리드는 상기 안테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안테나 단자 노출홀에서 상기 안테나 단자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The antenna lead penetrates through the antenna through hole and is coupled to the antenna terminal by welding at the antenna terminal exposure ho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상기 수지부의 상면 및 측면에 걸쳐 상기 수지부의 상면 및 측면에서 내부로 들어가는 홈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수지부의 상면으로 상기 안테나 단자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단차부로 이루어지며,The antenna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that enters from the top and side of the resin portion inside the top and side of the resin portion, and consists of a stepped portion formed so that the antenna terminal is exposed to the top surface of the resin portion, 상기 안테나 리드는 상기 수지부의 상면에서 상기 단차부에 노출된 상기 안테나 단자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antenna lead is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antenna terminal exposed to the step portion by wel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in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상기 수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단자를 노출시키는 결합홀로 이루어지고, The antenna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sin portion made of a coupling hole for exposing the antenna terminal, 상기 안테나 리드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수지부의 측면에서 상기 안테나 단자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nd the antenna lea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coupled to the antenna terminal by welding at the side of the resin part.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는 루프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oop antenna.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루프 안테나와 상기 베어 셀 사이에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nd a insula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loop antenna and the bare cell to prevent a short circuit.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절연부재는 절연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The insulating member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insulating tape.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와 상기 베어 셀은 라벨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nd the bare cell is covered by a label. 안테나 단자를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베어 셀을 결합하여 코어 팩을 형성하는 단계;Coupling a bare circuit to a circuit board having an antenna terminal to form a core pack; 상기 코어 팩을 수지로 몰딩하여 상기 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수지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지부에 상기 회로기판의 안테나 단자를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는 안테나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Molding the core pack with a resin to form a resin part covering the circuit board, wherein forming an antenna connection part exposing at least a part of the antenna terminal of the circuit board to the resin part; And 상기 베어 셀의 일 측면에 안테나 리드를 구비하는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를 설치하되 상기 안테나 리드를 상기 안테나 단자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And install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having an antenna lead on one side of the bare cell, and connecting the antenna lead to the antenna terminal.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를 상기 베어 셀의 일 측면에 설치한 후 라벨에 의해 상기 무선주파수식별 안테나(RFID ANTENNA)와 상기 베어 셀을 커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And install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on one side of the bare cell and cover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RFID ANTENNA) and the bare cell by a label. Method of preparation.
KR1020070091366A 2007-09-10 2007-09-10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083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66A KR101308332B1 (en) 2007-09-10 2007-09-10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66A KR101308332B1 (en) 2007-09-10 2007-09-10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20A true KR20090026420A (en) 2009-03-13
KR101308332B1 KR101308332B1 (en) 2013-09-17

Family

ID=4069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366A KR101308332B1 (en) 2007-09-10 2007-09-10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33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332B1 (en) * 2007-09-10 2013-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145113A (en) * 2021-04-26 2021-12-01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230007298A (en) * 2014-03-28 2023-01-12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011B1 (en) * 2014-03-28 2021-05-03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1323B2 (en) * 2001-02-27 2003-12-02 京セラ株式会社 Battery and mobile device with this
KR100670472B1 (en) * 2004-10-2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944989B1 (en) * 2004-12-16 2010-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ntenna
KR101308332B1 (en) * 2007-09-10 2013-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332B1 (en) * 2007-09-10 2013-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007298A (en) * 2014-03-28 2023-01-12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210145113A (en) * 2021-04-26 2021-12-01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332B1 (en)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887B1 (en) Secondary battery
KR100922474B1 (en) Rechageable battery
US7811686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824898B1 (en) Pack type battery
US8530078B2 (en) Secondary battery
US8137836B2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with resin molding part and outer covers
KR100839785B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228033B2 (en) Protective circuit board having groov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0938896B1 (en) Battery pack
US20090098418A1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030900B1 (en) Secondary Battery
KR101030915B1 (en) Battery Pack
KR20050000594A (en) Pouched-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US8652663B2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KR20120095158A (en) Rechargeable battery
KR20080032912A (en) Rechageable battery
KR20050074198A (en) Secondary battery
US8586221B2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protective circuit board lead plates connection
KR101308332B1 (en)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038663A (en) Secondary battery
KR101308311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264462B1 (en) Rechargeable battery riveting lead plate and bare cell
KR100571232B1 (en) Lead plate and can typ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080036737A (en) Secondary battery
KR20090030711A (en) Bare cell and rechageable battery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