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559A - 휴대 통신 단말 및 통신 서버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단말 및 통신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559A
KR20090023559A KR1020087027134A KR20087027134A KR20090023559A KR 20090023559 A KR20090023559 A KR 20090023559A KR 1020087027134 A KR1020087027134 A KR 1020087027134A KR 20087027134 A KR20087027134 A KR 20087027134A KR 20090023559 A KR20090023559 A KR 20090023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data
character
terminal
external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손
Original Assignee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42574A external-priority patent/JP4945169B2/ja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Abstract

문자 입력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입력 문자와 변환 문자를 관련시키는 변환사전을 기억·유지하는 사전 데이터베이스(104)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 문자로서 취득하고, 변환사전을 참조하여 상기 취득된 입력 문자를 변환하여 변환 문자로서 출력하는 문자 변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FEP 처리부(103)와, 변환사전 및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여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는 FEP 관리부(105)와, 변환사전,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동작 설정 데이터를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 전송 출력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07)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휴대전화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서, 구단말에서 신단말로 기종변경을 행할 경우에 구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환경을 신단말에서 용이하게 이어받을 수 있도록 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사전 데이터베이스, FEP 처리부, 통신 인터페이스

Description

휴대 통신 단말 및 통신 서버{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ERVER}
본 발명은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휴대가능한 휴대 통신 단말 및 통신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휴대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정보 단말이 보급되어 있고, 이 휴대 정보 단말에서는 전자메일의 작성이나 주소록의 입력 외에 스케줄 등의 악세사리에서의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각 기능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별로 그룹화한 계층구조를 이루는 메뉴 화면 등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로부터 휴대전화 등에서는 구(舊)단말에서 신(新)단말로 기종변경을 행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그 때의 시스템 이행에 대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러나, 종래, 구단말에서 신단말로 기종변경을 행하는 차이의 시스템 이행에 있어서는, 구단말에서 이용하던 문자 입력 환경이나 메뉴 화면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신단말에서 이용하는 메카니즘이 없었기 때문에, 신단말에서의 문자 입력의 사용편의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특개2001-359160호 공보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전화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서, 구단말에서 신단말로 기종변경을 행할 경우, 구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환경이나 유저 인터페이스를 신단말에서 용이하게 이어받을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서는 신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환경의 개선도 도모할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 및 통신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휴대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문자 입력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입력 문자와 변환 문자를 관련시키는 변환사전을 기억·유지하는 사전 데이터베이스와,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 문자로서 취득하고, 변환사전을 참조하여 상기 취득된 입력 문자를 변환하여 변환 문자로서 출력하는 문자 변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FEP 처리부와, 변환사전 및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여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는 FEP 관리부와, 변환사전,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동작 설정 데이터를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 전송 출력하는 전송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휴대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문자 입력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입력 문자와 변환 문자를 관련시키는 변환사전을 기억·유지하는 사전 데이터베이스와,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 문자로서 취득하고, 변환사전을 참조하여 상기 취득된 입력 문자를 변환하여 변환 문자로서 출력하는 문자 변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FEP 처리부와, 변환사전 및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여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는 FEP 관리부와,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외부 변환사전, 외부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외부 동작 설정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유지하는 외부 FEP 기억부와, 외부 FEP 기억부에 기억·유지된 외부 변환사전, 외부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외부 동작 설정 데이터를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동작 설정 데이터에 우선시켜서 실행시키는 외부 FEP 실행부를 구비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FEP 관리부는 취득된 외부 동작 설정 데이터에 대해서 환경 설정을 추가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FEP 관리부는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변환사전의 버젼을 기억·유지하는 버젼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전송 인터페이스는 전송처의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변환사전의 버젼과 버젼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유지된 버젼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전송 인터페이스는 비교 결과에 따라서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변환사전의 차이만큼만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FEP 실행부는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부터 취득되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구축되는 유사 환경을 통해서, 외부 구성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구비한 구단말 및 신단말과 접속가능한 통신 서버로서, 상기 구단말의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변환사전,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변환사전,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설정 데이터를 상기 신단말의 상기 외부 FEP 기억부로 전송하는 전송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구단말 및 신단말의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변환사전의 버젼을 비교하는 전송 판정부를 구비하고, 전송기능은 전송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구단말의 변환사전,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동작 설정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송기능은 전송 판정부의 결과에 근거하여 전송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한 변환사전,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동작 설정 데이터를 최신 버젼의 데이터로 바꿔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발명은, 휴대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복수의 화면이 계층구조를 이루고, 각 화면에서 유저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유저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계층구조 및 각 화면의 표시 정보에 관한 구성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는 UI 구성 데이터베이스와, 구성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계층구조를 구성하는 UI 처리부와, 구성 설정 데이터 및 유저 인터페이스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유지하여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UI 관리부와, 구성 설정 데이터, 동작 프로그램을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 전송 출력하는 전송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다른 발명은, 휴대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복수의 화면이 계층구조를 이루고, 각 화면에서 유저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유저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계층구조 및 각 화면의 표시 정보에 관한 구성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는 UI 구성 데이터베이스와, 구성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계층구조를 구성하는 UI 처리부와, 구성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여 해당 구성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UI 관리부와,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외부 구성 설정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유지하는 외부 UI 기억부와, 외부 UI 기억부에 기억·유지된 외부 구성 설정 데이터를 구성 설정 데이터에 우선시켜서 실행시키는 외부 UI 실행부를 구비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UI 관리부는 취득된 외부 구성 설정 데이터에 대하여 환경 설정을 추가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UI 관리부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특정하는 UI 시스템 식별자를 기억·유지하는 UI 구성 설정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는 전송처의 UI 시스템 식별자와 UI 구성 설정 데이터베이스 버젼에 기억·유지된 UI 시스템 식별자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외부 UI 실행부는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부터 취득되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구축되는 유사 환경을 통해서, 외부 구성 데이터를 참조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발명은, 상기 통신 단말을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로 하여 이들과 접속가능한 통신 서버로서, 제 1 단말의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구성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구성 설정 데이터를 상기 제 2 단말의 상기 외부 UI 기억부로 전송하는 전송기능을 갖는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의 상기 시스템 식별자를 비교하는 전송 판정부를 구비하고, 전송기능은 상기 전송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전송해야 할 구성 설정 데이터에, 전송처의 외부 UI 실행부 상에 해당 구성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유사 환경을 구축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을 부가하여 전송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소프트웨어 접속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의한 소프트웨어 접속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메뉴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의한 소프트웨어 접속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 1 실시형태]
(통신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단말(1;1a 및 1b)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휴대가능 한 전화기이고, 기지국 등의 중계점과 휴대전화기가 무선으로 통신하여 통화나 데이터 통신 등의 통신 서비스를 이동하면서 받을 수 있다. 이 휴대전화기의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FDMA방식, TDMA방식, CDMA방식, W-CDMA방식 외에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휴대전화기는 디지털카메라 기능,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의 실행 기능 혹은 GPS 기능 등의 기능을 탑재할 수 있고, 휴대전화기의 형태 외에 예를 들면 휴대 정보 단말(PDA) 등의 모바일 컴퓨터가 포함된다.
이 통신 단말(1;1a 및 1b)은,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11)와, 입력 문자와 변환 문자를 관련시키는 변환사전을 기억·유지하는 사전 데이터베이스(104)와, 유저 인터페이스(11)에 의해 입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 문자로서 취득하고, 변환사전을 참조하여 상기 취득된 입력 문자를 변환하여 변환 문자로서 출력하는 문자 변환 프로그램(FEP)을 실행하는 FEP 처리부(103)와, 변환사전 및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여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는 FEP 관리부(105)와, 변환사전,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동작 설정 데이터를 해당 통신 단말(1)의 외부로 전송 출력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07)를 구비한다.
유저 인터페이스(11)는 유저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유저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시키는 모듈이고, 장치 본체 표면에 배치된 표시 화면이나 조작 버튼 등으로 구성되며, 각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이나 문자 입력을 위한 조작을 행한다.
FEP 관리부(105)는 공장 출하 시에 도입된 초기 설정 데이터와 통신 단말(1) 의 외부(다른 통신 단말이나 통신 서버(2))로부터 외부 설정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유지하는 동시에, 이들 설정 데이터에 대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1)에 의한 유저 조작에 따른 환경 설정을 추가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FEP 관리부(105)는 유저 인터페이스(11)에 의한 유저 조작에 따라서 초기 설정과 유저 설정(외부 설정)을 선택하여 FEP 처리부(103)를 제어한다. 이 기능에 의해, 유저의 기호에 따라서 유저 설정(외부 설정)을 초기 동작 설정 데이터에 우선시켜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FEP 관리부(105)는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변환사전의 버젼을 기억·유지하는 버젼 데이터베이스(106)를 구비하고, FEP 관리부(105)는 전송처의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변환사전의 버젼과 버젼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유지된 버젼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107)에 전송을 실행시킨다. 또한, 이 때, FEP 관리부(105)는 버젼 비교 결과에 따라서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변환사전의 차이 만큼만 전송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07)는 변환사전이나 FEP, 설정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 외에, 외부로부터 입력(수신)된 외부 사전이나 외부 FEP, 외부 설정 데이터를 사전 데이터베이스(104)나 FEP 처리부(103), FEP 관리부(105)의 각각에 전송하여 기억·유지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데이터나 프로그램의 수신 시에 초기 데이터나 초기 프로그램에 추가하도록 이들을 기억·유지하지만, 초기 데이터 등에 덮어쓰기하도록 기억·유지해도 된다. 이러한 덮어쓰기의 경우에는 덮어쓰기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초기 데이터 또는 초기 프로그램으로 서 취급한다. 또한, 덮어쓰기할 때 수신된 데이터나 프로그램 중 초기 데이터나 초기 프로그램에 상당하는 부분만 덮어쓰기하고, 다른 부분은 외부 데이터나 외부 프로그램으로서 추가적으로 기억·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의 각 부는 소프트웨어 접속부(102)를 통해서 시스템 소프트웨어(101)와 연계된다. 이 소프트웨어 접속부(102)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선택적으로 독출하여 CPU 상에서 실행시킴으로써,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적으로 시스템 소프트웨어(101)에 연결하는 모듈이다. 이 소프트웨어 접속부(102)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FEP 관리부(105)의 제어에 따라서 초기 FEP 또는 외부 FEP을 동적으로 선택하여 FEP 처리부(103)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FEP 처리부(103)는 FEP를 실행 처리하는 동시에 FEP의 실행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이고, 공장 출하 시에 도입되어 있는 초기 FEP 외에 다른 통신 단말이나 통신 서버(2)로부터 도입된 외부 FEP도 실행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 복수의 FEP를 소프트웨어 접속부(102)에 의해 동적으로 선택하여 임의의 FEP를 실행한다. 또한, 이 FEP 처리부(103)는 FEP의 실행 시에 FEP 관리부(105)로부터 제공되는 설정 데이터를 독출하고, 초기 설정 또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유저 설정(또는 다른 통신 단말이나 통신 서버(2)로부터 취득된 외부 설정 데이터)을 독출하여 각종 설정을 반영시키는 동시에, 설정 데이터에 의해 특정된 변환사전(초기 사전 또는 다른 통신 단말이나 통신 서버(2)로부터 취득된 외부 사전)을 사용하여 문자변환을 행한다.
변환사전으로서는 일반사전 및 개인사전이 포함되고, 이 통신 인터페이 스(107)에 의한 전송 시에는 일반·개인사전 쌍방을 일괄 전송해도 되며, 또한, 개인사전 또는 버젼에 의한 차이 등 일부만을 전송해도 된다. 또한, 전송에 관련된 FEP는 구단말과 신단말 사이에서 호환성 있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구단말과 동등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어도 되며, 나아가서는 구단말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신규로 기능을 추가하거나 혹은 일부 기능을 생략한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이 신규로 기능을 추가한 프로그램(FEP)을 도입하기 위한 메카니즘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접속부(102)를 시스템 접속부(102a)와 스크립트 처리부(102b)로 구성하고, 외부로부터 취득되는 스크립트에 의해 구축되는 유사환경을 통해서 외부 FEP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시스템 접속부(102a)는 상술한 소프트웨어 접속부(102)에 상당하는 모듈이지만, 이 소프트웨어 접속부로서의 기능에 더해 스크립트 처리부(102b)에 의해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크립트 처리부(102b)에 의해 실행된 스크립트로 구성된 새로운 기능에 관련된 모듈은 시스템 접속부(102a)를 통해서 시스템 소프트웨어(101)에 연결시킨다.
이 스크립트 처리부(102b)는 Java(등록상표)나 XML이나 HTML 등의 마크업 언어로 기술된 스크립트(102c)를 실행 처리하고, 그 스크립트 등으로 실현되는 구단말의 화면 구성을 시스템 소프트웨어(101) 상에서 에뮬레이트(emulate)한다.
그리고, 시스템 접속부(102a)는, 초기 FEP를 실행할 경우에는 시스템 접속부(102a)로부터 직접 FEP 처리부(103) 상의 FEP를 실행하고, 외부 FEP를 실행할 경우에는 스크립트 처리부(102b) 상에서 스크립트(102c)를 실행하여 에뮬레이트된 가 상환경을 통해 외부 FEP를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연결시킨다. 이것에 의해, 외부 FEP를 시스템 소프트웨어(101)에 직접 연결할 수 없는 기능이 갖춰진 경우라도 신단말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예에 따르면, 구단말과 신단말은 FEP를 실행하기 위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질 필요가 없고, 외부 FEP 및 기종에 대응한 스크립트를 입수함으로써 모든 FEP가 실행가능해진다. 이 스크립트의 배포는 예를 들면, 상술한 통신 서버(2)에서 각 유저의 기종변경시에 구단말 및 신단말의 기종을 등록·관리함으로써, 전송에 관련된 FEP 환경에 적응한 스크립트를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통신 서버)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단말(1a)과 신단말(1b)과 무선기지국(5) 및 통신망(4)을 통해 접속가능한 통신 서버(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신 서버(2)는 개인의 FEP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개인 데이터베이스(201)와, 최신 버젼 FEP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FEP 다운로드부(202)와, 구단말과 신단말간의 FEP 환경의 전송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203)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서버(2)의 전송 제어부(203)는, 구단말(1a)의 전송 인터페이스로부터 변환사전,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동작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변환사전,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동작 설정 데이터를 신단말(1b)의 외부 FEP 기억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전송에 대해서는 구단말로부터의 액세스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실행해도 되고 유저 조작에 따라서 실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 서버(2)의 전송 제어부(203)는 구단말(1a)과 신단말(1b)의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변환사전의 버젼을 비교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버젼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구단말(1a)의 변환사전,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동작 설정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한다. 또한 전송 제어부(203)는 버젼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구단말(1a)로부터 수신한 변환사전,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동작 설정 데이터를 최신 버젼의 데이터로 바꿔서 전송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작용·효과)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단말(1b)이 처음 기동되었을 때 FEP 관리부(105)가 201로부터 개인 FEP 설정내의 버젼 정보를 문의한다. 이것을 버젼 데이터베이스(106)에 출하 시에 기록된 버젼 데이터베이스(106)의 버젼 정보와 비교한다. 여기서, FEP 처리부 번호가 다르면 FEP 다운로드부(202)를 통해서 개인 데이터베이스(201)에 설정된 버젼의 FEP와 사전을 다운로드하고, FEP 처리부(103) 및 사전 데이터베이스(104)에 기록한다. 한편, FEP의 버젼이 동일하고 사전 버젼만 다른 경우에는 일반사전을 다운로드하여 사전 데이터베이스(104)에 기록한다. 개인 데이터베이스(201)로부터 개인사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사전 데이터베이스(104)에 기록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단말(1a)에서 신단말(1b)로 기종변경을 행할 경우, 구단말(1a)에서의 문자 입력 환경을 신단말(1b)에서 용이하게 이어받을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는 통신 서버(2)에 의해 각 데이터를 최신 버젼으로 바꿈으로써 신단말(1b)에서의 문자 입력 환경의 개선도 도모할 수 있다.
(변경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트리거로서는 예를 들면 신단말을 처음 기동하는 경우 외에, 유저에 의해 설정 인계 기능이 기동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FEP 프로그램이나 일반사전은 FEP 다운로드부(202)로부터의 다운로드가 아니라,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홈페이지 등으로부터 직접 다운로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개인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할 데이터는 자동 혹은 유저가 저장 처리를 기동한 타이밍에서 업로드해도 된다. 또한, 업로드할 때 개인사전 정보는 전회의 업 로드로부터의 차이 만큼만 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통신 시스템의 구성)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기능 등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단말(1; 1a 및 1b)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무선통신을 이용한 휴대가능한 전화기이고,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문자 입력을 위한 각 모듈에 더해, 메뉴 표시에 관한 구성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는 UI 구성 설정 데이터베이스(116)와, 구성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메뉴 화면을 구성하는 UI 처리부(113)와, 유저 인터페이스(11)의 동작을 제어하는 UI 관리 부(115)를 더 구비한다.
UI 처리부(113)는 메뉴를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이 메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화면이 계층구조를 이루고, 각 화면에서 유저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유저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UI 관리부(115)는 UI에 대해서 공장 출하 시에 도입된 초기 구성 설정 데이터와 통신 단말(1)의 외부(다른 통신 단말이나 통신 서버(2))로부터 취득한 외부 구성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는 UI 구성 설정 데이터베이스(116)를 갖는 동시에, 각 구성 설정 데이터에 대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1)에 의한 유저 조작에 따른 환경 설정을 추가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UI 관리부(115)는 유저 인터페이스(11)에 의한 유저 조작에 따라 초기 설정과 유저 설정(외부 설정)을 선택하고, 그 선택에 따라서 UI 처리부(113)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능에 의해, 유저의 기호에 따라서 유저 설정(외부 설정)을 초기 구성 설정 데이터에 우선시켜서 실행시킬 수 있다.
UI 처리부(113)는 UI 시스템(UI의 프로그램 및 구성 설정 데이터)의 종류 및 버젼을 특정하는 UI 시스템 식별자를 저장하는 UI 구성 데이터베이스(114)를 구비하고, UI 관리부(115)는 전송원의 UI 시스템 식별자와 UI 구성 데이터베이스(114)에 기억·유지된 UI 시스템 식별자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107)에 전송을 실행시킨다. 이 때, UI 관리부(115)는 UI 시스템 식별자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UI 프로그램 또는 UI 구성 설정 데이터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차분 데이터만을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07)는 UI 프로그램, 구성 설정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 외에, 외부로부터 입력(수신)된 외부 UI 프로그램, 외부 구성 설정 데이터를 UI 구성 설정 데이터베이스(116)나 UI 처리부(113)의 각각으로 전송하여 기억·유지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데이터나 프로그램의 수신 시에는 초기 데이터나 초기 프로그램에 추가하도록 이들을 기억·유지하지만, 초기 데이터 등에 덮어쓰기하도록 기억·유지해도 된다. 이러한 덮어쓰기의 경우에는 덮어쓰기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초기 데이터 또는 초기 프로그램으로서 취급한다. 나아가, 덮어쓰기할 때 수신된 데이터나 프로그램 중 초기 데이터나 초기 프로그램에 상당하는 부분 만을 덮어쓰기하고, 다른 부분은 외부 데이터나 외부 프로그램으로서 추가적으로 기억·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 각 부는 소프트웨어 접속부(102)를 통해서 시스템 소프트웨어(101)와 연계된다. 이 소프트웨어 접속부(102)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선택적으로 독출하여 CPU 상에서 실행시킴으로써,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적으로 시스템 소프트웨어(101)에 연결하는 모듈이다. 이 소프트웨어 접속부(102)에 의해 UI 관리부(115)의 제어에 따라서 초기 UI 또는 외부 UI를 동적으로 선택하여 UI 처리부(113)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UI 처리부(113)는 UI를 실행 처리하는 동시에 UI의 실행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이고, 공장 출하 시에 도입되어 있는 초기 UI 외에 다른 통신 단말이나 통신 서버(2)로부터 도입된 외부 UI도 실행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 복수의 UI를 소프트웨어 접속부(102)에 의해 동적으로 선택하여 임의의 UI를 실행한다. 또 한, 이 UI 처리부(113)는 UI의 실행 시에 UI 관리부(115)로부터 제공되는 설정 데이터를 독출하고, 초기 설정 또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유저 설정(또는 다른 통신 단말이나 통신 서버(2)로부터 취득된 외부설정 데이터)을 독출하여 각종 설정을 반영시킨다.
또한, 전송에 관련된 UI 시스템은 구단말과 신단말 사이에서 호환성 있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구단말과 동등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어도 되며, 나아가서는 구단말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신규로 기능을 추가하거나 혹은 일부 기능을 생략한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신규로 기능을 추가한 프로그램(UI)을 도입하기 위한 메카니즘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접속부(102)를 시스템 접속부(102a)와 스크립트 처리부(102b)로 구성하고, 외부로부터 취득되는 스크립트에 의해 구축되는 유사환경을 통해서 외부 UI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시스템 접속부(102a)는 상술한 소프트웨어 접속부(102)에 상당하는 모듈이지만, 이 소프트웨어 접속부로서의 기능에 더해 스크립트 처리부(102b)에 의해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크립트 처리부(102b)에 의해 실행된 스크립트로 구성된 새로운 기능에 관련된 모듈은 시스템 접속부(102a)를 통해 시스템 소프트웨어(101)에 연결시킨다.
이 스크립트 처리부(102b)는 Java(등록상표)나 XML이나 HTML 등의 마크업 언어로 기술된 스크립트(102c)를 실행 처리하고, 그 스크립트 등으로 실현되는 구단말의 화면 구성을 시스템 소프트웨어(101) 상에서 에뮬레이트한다. 그리고, 시스템 접속부(102a)는 초기 UI를 실행할 경우에는 시스템 접속부(102a)로부터 직접 UI 처리부(113) 상의 UI를 실행하고, 외부 UI를 실행할 경우에는 스크립트 처리부(102b) 상에서 스크립트(102c)를 실행하고 에뮬레이트된 가상환경을 통해 외부 UI를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연결시킨다. 이것에 의해, 외부 UI를 시스템 소프트웨어(101)에 직접 연결할 수 없는 기능이 갖춰진 경우라도 신단말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예에 따르면, 구단말과 신단말은 UI를 실행하기 위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질 필요가 없고, 외부 UI 및 기종에 대응한 스크립트를 입수함으로써 모든 UI가 실행 가능해진다. 이 스크립트의 배포는 예를 들면, 상술한 통신 서버(2)에서 각 유저의 기종변경시에 구단말 및 신단말의 기종을 등록·관리함으로써, 전송에 관련된 UI 환경에 적응한 스크립트를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통신 서버)
본 실시형태에서도, 구단말(1a)과 신단말(1b)과 무선기지국(5) 및 통신망(4)을 통해 접속가능한 통신 서버(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서버(2)는 상술한 개인 데이터베이스(201)와, 최신 버젼 UI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UI 다운로드부(212)와, 구단말과 신단말간에서의 UI 환경의 전송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20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통신 서버(2)의 전송 제어부(203)는 구단말(1a) 및 신단말(1b)의 UI 시스템 식별자를 비교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UI 시스템 식별자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구단말(1a)의 유저 설정이나 UI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 한다. 나아가, 전송 제어부(203)는 UI 시스템 식별자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구단말(1a)로부터 수신한 UI 프로그램 및 구성 설정 데이터를 최신 버젼의 데이터로 바꾸거나 에뮬레이션용 스크립트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작용·효과)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단말(1b)이 처음 기동되었을 때 UI 관리부(115)가 201로부터 개인 UI 설정내의 버젼 정보를 문의한다. 이것을 UI 구성 데이터베이스(114)의 UI 시스템 식별자와 비교한다. 여기서, UI 처리부 번호가 다르면 UI 다운로드부(212)를 통해서 개인 데이터베이스(201)에 설정된 UI 시스템 식별자와 유저 설정을 다운로드하고, UI 처리부(113) 및 UI 구성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한다. UI의 버젼이 동일하고 유저 설정만 다른 경우에는 유저 설정만 다운로드하여 UI 구성 설정 데이터베이스(116)에 기록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단말(1a)에서 신단말(1b)로 기종변경을 행할 경우, 구단말(1a)에서의 메뉴 구성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신단말(1b)에서 용이하게 이어받을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는 통신 서버(2)에 의해 각 데이터를 최신 버젼으로 바꿈으로써 신단말(1b)에서의 문자 입력 환경의 개선도 도모할 수 있다.
(변경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트리거로서는 예컨대 신단말을 처음 기동하는 경우 외에 유저에 의해 설정 인계 기능이 기동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UI 프로그램이나 설정 데이터는 UI 다운로드부(212)로부터의 다운로드가 아니라,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홈페이지 등으로부터 직접 다운로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개인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할 데이터는 자동 혹은 유저가 저장 처리를 기동한 타이밍에서 업로드해도 된다. 또한, 업로드할 때 개인사전 정보는 전회의 업로드로부터의 차이 만큼만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전화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서, 구단말(제 1 단말)에서 신단말(제 2 단말)로 기종변경을 행할 경우에, 구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환경이나 메뉴 구조를 신단말에서 용이하게 이어받을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는 신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환경의 개선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6)

  1. 휴대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문자 입력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입력 문자와 변환 문자를 관련시키는 변환사전을 기억·유지하는 사전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 문자로서 취득하고, 상기 변환사전을 참조하여 취득된 입력 문자를 변환하여 변환 문자로서 출력하는 문자 변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FEP 처리부와,
    상기 변환사전 및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여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는 FEP 관리부와,
    상기 변환사전,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설정 데이터를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 전송 출력하는 전송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2. 휴대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문자 입력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입력 문자와 변환 문자를 관련시키는 변환사전을 기억·유지하는 사전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 문자로서 취득하고, 상기 변환사전을 참조하여 상기 취득된 입력 문자를 변환하여 변환 문자로서 출력하는 문자 변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FEP 처리부와,
    상기 변환사전 및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여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는 FEP 관리부와,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외부 변환사전, 외부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외부 동작 설정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유지하는 외부 FEP 기억부와,
    상기 외부 FEP 기억부에 기억·유지된 상기 외부 변환사전, 상기 외부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외부 동작 설정 데이터를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설정 데이터에 우선시켜서 실행시키는 외부 FEP 실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FEP 관리부는, 취득된 외부 동작 설정 데이터에 대하여 환경 설정을 추가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EP 관리부는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변환사전의 버젼을 기억·유지하는 버젼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는 전송처의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변환사전의 버젼과 상기 버젼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유지된 버젼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에 따라서 상기 전송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변환사전의 차이만큼만 전송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FEP 실행부는,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부터 취득되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구축되는 유사환경을 통해서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7. 휴대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복수의 화면이 계층구조를 이루고, 각 화면에서 유저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유저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계층구조 및 각 화면의 표시 정보에 관한 구성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는 UI 구성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구성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계층구조를 구성하는 UI 처리부와,
    상기 구성 설정 데이터 및 유저 인터페이스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유지하여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UI 관리부와,
    상기 구성 설정 데이터, 상기 동작 프로그램을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 전송 출력하는 전송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8. 휴대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복수의 화면이 계층구조를 이루고, 각 화면에서 유저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유저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계층구조 및 각 화면의 표시 정보에 관한 구성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는 UI 구성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구성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계층구조를 구성하는 UI 처리부와,
    상기 구성 설정 데이터를 기억·유지하여 해당 구성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UI 관리부와,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외부 구성 설정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유지하는 외부 UI 기억부와,
    상기 외부 UI 기억부에 기억·유지된 외부 구성 설정 데이터를 상기 구성 설정 데이터에 우선시켜서 실행시키는 외부 UI 실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I 관리부는 취득된 외부 구성 설정 데이터에 대하여 환경 설정을 추가 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UI 관리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특정하는 UI 시스템 식별자를 기억·유지하는 UI 구성 설정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는 전송처의 UI 시스템 식별자와 상기 UI 구성 설정 데이터베이스 버젼에 기억·유지된 UI 시스템 식별자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송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UI 실행부는 해당 통신 단말의 외부로부터 취득되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구축되는 유사환경을 통해서, 상기 외부 구성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12. 청구항 1에 기재된 휴대 통신 단말(이하, 「구단말」이라 함)과 청구항 2에 기재된 휴대 통신 단말(이하, 「신단말」이라 함)과 접속가능한 통신 서버로서,
    상기 구단말의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변환사전,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변환사전,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설정 데이터를 상기 신단말의 상기 외부 FEP 기억부로 전송하는 전송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단말 및 상기 신단말의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변환사전의 버젼을 비교하는 전송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기능은, 상기 전송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구단말의 상기 변환사전,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설정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능은, 상기 전송 판정부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변환사전, 상기 문자 변환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설정 데이터를 최신 버젼의 데이터로 바꿔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15. 청구항 7에 기재된 휴대 통신 단말(이하, 「제 1 단말」이라 함)과 청구항 8에 기재된 휴대 통신 단말(이하, 「제 2 단말」이라 함)과 접속가능한 통신 서버로서,
    상기 제 1 단말의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구성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구성 설정 데이터를 상기 제 2 단말의 상기 외부 UI 기억부로 전송하는 전송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의 상기 시스템 식별자를 비교하는 전송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기능은 상기 전송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전송해야 할 구성 설정 데이터에, 전송처의 외부 UI 실행부 상에 해당 구성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유사환경을 구축시키는 동작 프로그램을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KR1020087027134A 2006-05-23 2007-05-22 휴대 통신 단말 및 통신 서버 KR20090023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42574 2006-05-23
JP2006142574A JP4945169B2 (ja) 2006-04-19 2006-05-23 携帯通信端末及び通信サー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559A true KR20090023559A (ko) 2009-03-05

Family

ID=3872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134A KR20090023559A (ko) 2006-05-23 2007-05-22 휴대 통신 단말 및 통신 서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35731A1 (ko)
KR (1) KR20090023559A (ko)
CN (1) CN101449490A (ko)
TW (1) TW200806001A (ko)
WO (1) WO2007136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8985B2 (ja) * 2009-02-25 2014-10-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提供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TWI474709B (zh) * 2009-04-10 2015-02-21 Chi Mei Comm Systems Inc 電話傳真資訊管理系統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5153B2 (ja) * 1993-03-03 2002-04-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辞書分散システム及び辞書分散管理方法
ES2153455T3 (es) * 1995-08-04 2001-03-01 Belle Gate Invest B V Sistema de intercambio de datos que incluye unidades portatiles de procesamiento de datos.
JPH11265357A (ja) * 1998-03-16 1999-09-28 International Intelligent Infomation:Kk 情報機器の使用環境転送システム
JP2002259367A (ja) * 2001-03-02 2002-09-13 Denso Corp 電子機器の情報登録方法及び電子機器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342319A (ja) * 2001-05-21 2002-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3307422A (ja) * 2002-04-15 200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情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35731A1 (en) 2010-09-16
TW200806001A (en) 2008-01-16
WO2007136045A1 (ja) 2007-11-29
CN101449490A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5527B2 (en) Selective update of core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through application marketplace
JP4945169B2 (ja) 携帯通信端末及び通信サーバ
KR100972880B1 (ko)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관리 서버 장치
US7035629B2 (en)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JP2013004081A (ja) 携帯端末機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併合方法及び装置
US7496369B2 (en) Imaging apparatus
US774258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438690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090023559A (ko) 휴대 통신 단말 및 통신 서버
KR100411891B1 (ko)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KR101392907B1 (ko)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관리 방법
US2008023400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backgroud picture during communication
KR101312106B1 (ko) 브라우저 기술에 기반한 모바일 전화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JP4138591B2 (ja) 端末装置
JP2006259849A (ja) 携帯端末装置
JP3531564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用電話端末
JP2011248915A (ja) 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
KR101250240B1 (ko) 정보공유 휴대단말기
KR20090011150A (ko)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스템과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28576A (ko) 이동 단말기의 시험 방법
KR10072371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컨텐츠별 메뉴 리스트 동적 변경 방법 및시스템
KR200800522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100605640B1 (ko) 음력정보 수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34335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
KR2007001369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