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869A - 토출형 액상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토출형 액상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869A
KR20090022869A KR1020070088533A KR20070088533A KR20090022869A KR 20090022869 A KR20090022869 A KR 20090022869A KR 1020070088533 A KR1020070088533 A KR 1020070088533A KR 20070088533 A KR20070088533 A KR 20070088533A KR 20090022869 A KR20090022869 A KR 20090022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d
hole
piston
lower bod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청하
Original Assignee
박청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청하 filed Critical 박청하
Priority to KR102007008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869A/ko
Publication of KR2009002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65D83/0016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the contents being forced out through the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으로 된 파운데이션 혹은 립스틱과 같은 화장품을 저장하여 필요시 화장품을 강제로 토출시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용기(1)를 구성하는 하부동체(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동체(1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36)이 스크류봉(30)을 타고 하강하면서 하부동체(10)의 내부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스크류봉(30)의 내측 상부로 형성된 상부내측홀(31)에 삽설된 역지변(31a)을 상부로 밀어주어 관통홀(32)을 개방시켜 하부동체(10)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화장품(3)을 스크류봉(30)의 내측으로 형성된 수직홀(33)과 관통홀(32) 및 상부내측홀(31)을 지나 토출구(40)를 형성하는 유액이송관(41)을 통하여 브러시(50)측으로 일정량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동체(10)의 회전을 멈춤으로써 하부동체(10)의 내부 압력이 낮아져 상기 스크류봉(3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내측홀(31)에 삽입 설치된 스프링(31b)의 탄발력에 의하여 역지변(31a)이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관통홀(32)이 폐쇄되어 액상화장품(3)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동체(10)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36)이 스크류봉(30)을 타고 하강하면서 역지변(31a)에 압력을 가하여 관통홀(32)을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액상화장품(3)의 토출 및 차단을 자유로이 조절함은 물론 압력 전달을 정확하게 하여 정량의 액상화장품(3)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소음발생이 없으며, 부품의 간편화에 따른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 경제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토출형 액상 화장품 케이스{Cosmetic Case}
본 발명은 액상으로 된 파운데이션 혹은 립스틱과 같은 화장품을 저장하여 필요시 액상화장품을 강제로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용기를 구성하는 하부동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동체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이 스크류봉을 타고 하강하면서 하부동체의 내부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스크류봉의 내측 상부로 형성된 상부내측홀에 삽설된 역지변을 상부로 밀어 주어 관통홀을 개방시켜 하부동체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스크류봉의 내측으로 형성된 수직홀과 관통홀 및 상부내측홀을 지나 토출구를 형성하는 용액이송관을 통하여 브러시측으로 일정량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동체의 회전을 멈춤으로써 하부동체의 내부 압력이 낮아져 상기 스크류봉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내측홀에 삽입 설치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역지변이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관통홀이 폐쇄되어 액상화장품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동체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이 스크류봉을 타고 하강하면서 역지변에 압력을 가하여 관통홀을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액상화장품의 토출 및 차단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고체 및 분말 혹은 액체 상태의 화장품으로 나누어 지 며, 근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파운데이션 혹은 립스틱과 같은 화장품이 액상으로 공급되고 있는데, 대략 펜슬형상으로 된 원통형의 용기내에 액상의 화장품을 충진시켜 사용시 용기의 어느 한 부분을 회전시키면 내부에 압력이 가해져 용기내의 화장품이 상부 화장솔 설치 부분으로 토출되어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그 구조가 다양하게 제안 사용되고 있다.
종래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의 일예를 살펴보면 도6 내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용기는 대략 액상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몸체(101), 화장품이 토출되어 화장을 할 수 있는 화장솔(102) 및 화장솔(102)을 보호하는 뚜껑(103)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용기몸체(101)내에는 수용된 액상 화장품을 화장솔(102)측으로 밀어내는 피스톤(103)을 갖는 로드(104)와, 상기 로드(104)에 나사 결합되고 동시에 몸체(101)벽에 고정되어 로드(104)의 가동(상측으로 이동)을 도와 주는 너트부재(105a)와 너트부재(105a)에 대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방향회전안내부재(105b)로 이루어진 가동체(105) 및 상기 로드(104)를 회전시키는 로드가동캡(10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액상 화장품 용기는, 로드(104)의 선단부로 결합되는 피스톤(103)이 로드(104)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04a)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므로 로드(104)로부터 피스톤(103)의 유동이 심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로드(104)의 후단으로 끼워져 일 방향회전안내부재(105b)에 반발력을 가하는 스프링(107)의 일단이 로드가동캡(106)에 직접 지지되어져 있어 로드가동캡(106)을 회동시킬 때 스프링(107)의 일단이 로드가동캡(106)에 간섭이 일어나 로드가동캡(106)의 회전이 원활하게 못하며, 소리가 발생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너트부재(105a)와 너트부재에 대하여 일방향 회전하는 일방향회전안내부재(105b)로 이루어진 가동체(105)에 의하여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고 역회전이 불가능하여 약간의 충격이나 압력 또는 꺼꾸로 위치할 때 액상화장품이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용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을 가져왔던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액상 화장품 용기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품용기를 구성하는 하부동체의 내측으로 스크류봉에 나사 결합되는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봉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상부내측홀 내에 스프링과 역지변을 삽설하여 하부동체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하부동체의 내부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스크류봉의 내측 상부로 형성된 상부내측홀에 삽설된 역지변에 압력을 가하여 관통홀을 개폐함으로써, 액상화장품의 토출 및 차단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액상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하부동체, 상부동체 및 토출구와 스크류봉 등의 간단한 구성으로 하부동체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하부동체 내부로 압력을 가하여 액상화장품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피스톤을 나사식으로 된 스크류봉에 의해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액상화장품의 토출 및 차단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압력전달을 정확하게 하여 정량의 액상화장품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소음발생이 없으며, 부품의 간편화에 따른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 경제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상화장품용기(1)의 특징은 화장품용기(1)를 구성하는 하부동체(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동체(1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36)이 스크류봉(30)을 타고 하강하면서 하부동체(10)의 내부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스크류봉(30)의 내부상부로 형성된 상부내측홀(31)에 삽설된 역지변(31a)을 상부로 밀어 주어 관통홀(32)을 개방시켜 하부동체(10)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화장품(3)을 스크류봉(30)의 내측으로 형성된 수직홀(33)과 관통홀(32) 및 상부내측홀(31)을 지나 토출구(40)를 형성하는 용액이송관(41)을 통하여 브러시(50)측으로 일정량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동체(10)의 회전을 멈춤으로써 하부동체(10)의 내부 압력이 낮아져 상기 스크류봉(3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내측홀(31)에 삽입 설치된 스프링(31b)의 탄발력에 의하여 역지변(31a)이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관통홀(32)이 폐쇄되어 액상화장품(3)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동체(10)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36)이 스크류봉(30)을 타고 하강하면서 역지변 (31a)에 압력을 가하여 관통홀(32)을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액상화장품(3)의 토출 및 차단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상화장품(3)이 저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부동체(10)의 상부로 상부동체(20)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하부동체(10)와 상부동체(20)의 내부에는 브러시(50) 및 토출구(40)가 결합되어 피스톤(36)이 구비된 스크류봉(30)이 내설 장착되며, 상기 상부동체(20)의 상부로는 뚜껑(60)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동체(10)는 하부는 막히고 상부는 트인 컵형상으로서 실린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부에 액상화장품(3)이 저장되며, 상부 외측 둘레면에는 상부동체(20)의 결합시 상부동체(20)가 이탈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외향돌환(11)이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동체(10)와 결합되는 상부동체(20)는 하부 내측둘레면에 상기 하부동체(10)의 외향돌환(11)과 접속되는 내향륜(21)이 형성되고, 상기 내향륜(21)의 근접부 상부에는 후술하는 스크류고정판(34)의 둘레부에 형성된 요홈(34a)이 끼워져 고정되는 요돌부(22)가 형성되고, 상부로는 개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부동체(20)의 내측으로는 토출구(40)의 상부로 브러시판(51)의 상부로 고정된 브러시(50)가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23)로 노출되도록 내설된다.
또, 상기의 토출구(40)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지지판(42)의 상부로 용액이송관(41)이 형성되고 하부로 끼움부(4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토출구(40)의 하부로는 스크류봉(30)이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봉(30)의 상부로 상부내측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내측홀(31)의 내측 하단부로는 관통홀(32) 및 수직홀(33)이 형성되어 스크류봉(30)의 내측이 연통되어지고, 상기 스크류봉(30)의 상부 적정 위치의 외측둘레부로 스크류고정판(34)이 일체화로 형성되며, 하부의 스크류봉(30)의 둘레부로는 피스톤(36)이 나사결합되어 스크류고정판(34)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상기의 피스톤(36) 하부 내측으로는 오링(36a)이 끼움 형성된 상태로 스크류봉(30)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스크류봉(30)은 상부로 형성된 상부내측홀(31)의 내측으로는 액상화장품(3)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액상화장품(3)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31b)과 역지변(31a)이 삽설된 상태로 상부로 위치한 토출구(40)의 하부로 형성된 끼움부(43)로 상부내측홀(31)이 형성된 스크류봉(30)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브러시(50)와 토출구(40) 및 스크류봉(30)이 결합되어 내설된 상부동체(20)의 하부로 하부동체(10)가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봉(30)의 둘레부로 나사 결합된 피스톤(36)은 하부동체(10)의 내측으로 빡빡한 맞춤상태로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작용을 실제 사용상태를 들어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최초 조립시에는 도3과 같이 결합구성된 것으로, 하부동체(10)에는 적정량의 액상화장품(3)이 저장되고, 브러시(50)와 토출구(40) 및 스크류봉 (30)이 결합되어 내설된 상부동체(20)의 내향륜(21)이 하부동체(10)에 형성된 외향돌환(11)에 접속되므로서 하부동체(10)와 상부동체(20)는 회전이 가능하게 일체화로 결합된다.
이와 더불어 스크류봉(30)의 하단에 피스톤(36)이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스크류봉(30)의 상부 적정 위치에 형성된 스크류고정판(34)은 상부동체(20)의 내측으로 형성된 요돌부(22)에 요홈(34a)이 끼워져 고정되므로서, 회전이 억제된 상태로서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액상화장품(10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뚜껑(80)을 열은 후 일측 손으로 상부동체(20)를 잡고 타측 손으로는 하부동체(10)를 잡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스톤(36)이 하부동체(10)와 동시에 회전을 하면서 스크류봉(30)에 형성된 나사선을 따라 상향 이동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의 피스톤(36) 내측이 스크류봉(30)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외측 둘레부는 하부동체(10)의 내측 둘레부에 밀접하고 있어, 하부동체(10)가 회전을 하면 밀접하고 있는 피스톤(36)도 함께 회전을 하면서 스크류봉(30)의 나사선을 타고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피스톤(36)의 하향이동으로 인하여 액상화장품(3)이 충진된 하부동체(10)의 내부로 압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그 압력에 의해 스크류봉(30)의 상부내측홀(31)에 삽설되어 스프링(31b)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는 역지변(31a)이 밀리면서 관통홀(32)이 개방되어 하부동체(10)의 내부에 있는 액상화장품(3)이 스크류봉(30)의 하부로 형성된 수직홀(33)을 지나 관통홀(32) 및 상부내측홀(31)로 이송 되어 용액이송관(41)의 상부에 끼움 고정된 브러시(50)측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하부동체(10)의 회전시킴 정도에 따라 하부동체(10) 내부에 충진된 액상화장품(3)이 브러시(50)측으로 토출되어 사용자가 화장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액상화장품(3)을 토출하기 위하여 하부동체(10)를 회전시켜 멈춤으로서, 하부동체(10) 내에 압력이 가해져 액상화장품(3)이 브러시(50)측으로 토출되고, 하부동체(10) 내의 압력이 약해지면서 스크류봉(30)의 상단 상부내측홀(31)에 내설된 스프링(31b)이 탄발하여 역지변(31a)을 복귀시켜 관통홀(32)을 폐쇄함으로써, 액상화장품(3)의 토출을 막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상 화장품 용기는 하부동체(10)의 회전시에만 액상화장품(3)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정지시에는 전혀 토출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액상화장품(3)의 토출을 위해 하부동체(10)를 과다게 회전을 시켜 액상화장품(3)이 과다 토출될 때에는 하부동체(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스크류봉(30)에 나사 결합된 피스톤(36)이 역회전 하면서 하부동체(10) 내부를 진공 상태를 만들면서 상부내측홀(31)에 삽설된 역지변(31a)을 끓어 당겨 관통홀(32)을 폐쇄시켜 액상화장품(3)이 과다 토출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있는 양만큼의 액상화장품(3)의 토출 및 차단이 가능하고, 온도변화나 하부동체(10)의 내부 압력이 팽창, 변화하더라도 역지변(31a)에 의해 액상화장품(3)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결합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상태도로서 피스톤이 하강하여 하부동체 내에 저장된 화장품이 완전 소진된 상태도.
도5는 도4의 A부의 확대단면도.
도6은 종래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7은 종래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화장품용기 3 액상화장품
10 하부동체 11 외향돌환
20 상부동체 21 내향륜
22 요돌부 23 개방부
30 스크류봉 31 상부내측홀
31a 역지변 31b 스프링
32 관통홀 33 수직홀
34 스크류고정판 34a 요홈
36 피스톤 36a 오링
40 토출구 41 용액이송관
42 지지판 43 끼움부
50 브러시 51 브러시판
60 뚜껑

Claims (3)

  1. 하부동체(10)와 상부동체(20)로 결합 구성되어 상기 상부동체(20)의 상부로 뚜껑(6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동체(20)의 내측 개방부(23)로 브러시(50)가 노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50)의 하부로 용액이송관(41) 및 끼움부(43)를 갖는 토출구(40)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40)의 하부로 형성된 끼움부(43)로 피스톤(36)이 나사 결합된 스크류봉(30)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36)이 결합 형성된 스크류봉(30)이 하부동체(10)에 내설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30)은 상부로 상부내측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내측홀(31)의 내측 하단부로는 관통홀(32) 및 수직홀(33)을 연통시켜 형성하며, 둘레부로 피스톤(36)을 나사 결합시켜 상기 하부동체(10)의 회전시에 피스톤(36)이 하강하면서 하부동체(10) 내부에 저장된 액상화장품(3)을 수직홀(33), 관통홀(32) 및 상부내측홀(31)을 통하여 이송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30)의 상부로 형성된 상부내측홀(31)의 내부로는 스프링(31b) 과 역지변(31a)이 삽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KR1020070088533A 2007-08-31 2007-08-31 토출형 액상 화장품 케이스 KR20090022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533A KR20090022869A (ko) 2007-08-31 2007-08-31 토출형 액상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533A KR20090022869A (ko) 2007-08-31 2007-08-31 토출형 액상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869A true KR20090022869A (ko) 2009-03-04

Family

ID=4069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533A KR20090022869A (ko) 2007-08-31 2007-08-31 토출형 액상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28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216B1 (ko)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KR101383079B1 (ko) 회전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EP3287039B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hiding/revealing pump outlet
ES2832473T3 (es) Dosificador de fluidos
KR101486198B1 (ko)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ES2549966T3 (es) Frasco rellenable dispensador de un producto fluido
US10398211B2 (en) Bottle cap with cosmetic kit
KR20090059607A (ko) 토출이 용이한 액상화장품용기
US3095598A (en) Dispensing container
KR20160033418A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US2997731A (en) Ball-type dispenser
EP3314219B1 (en) Measured dose dispenser
KR101689389B1 (ko) 펌프 타입 콤팩트 용기
JP5184064B2 (ja) 繰り出し容器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US11076676B2 (en) Device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cosmetic or care product
JP6084390B2 (ja) 液体吐出容器
US20080310908A1 (en) Metered Dispensing Device
JP6385203B2 (ja) 塗布容器
KR20090022869A (ko) 토출형 액상 화장품 케이스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JP6942316B2 (ja) 定量注出容器
KR101932094B1 (ko) 이종 내용물 화장품 용기
RU2005130165A (ru) Карандаш-дозатор
KR20150001759U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