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428A -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428A
KR20090022428A KR1020070087770A KR20070087770A KR20090022428A KR 20090022428 A KR20090022428 A KR 20090022428A KR 1020070087770 A KR1020070087770 A KR 1020070087770A KR 20070087770 A KR20070087770 A KR 20070087770A KR 20090022428 A KR20090022428 A KR 20090022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udent
room
information
shor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겸
Original Assignee
김덕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겸 filed Critical 김덕겸
Priority to KR1020070087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428A/ko
Publication of KR2009002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2Message structure or message content, e.g. message protocol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생 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 양호실에 비치되어 상기 RF-ID카드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학생의 정보를 수신하는 카드리더기, 해당 학생의 양호실 입실 의뢰를 입력받아 서버에 전송하고,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교사단말기, 해당 학생의 양호실 입실 의뢰를 전송받거나 단문 메시지로 수신하고, 해당학생의 양호실 조치사항을 입력받아 서버에 전송하는 양호실 단말기, 상기 교사단말기의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라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모듈,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입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 상기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에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 및,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카드리더기, 양호실단말기, 서버, 및 교사단말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호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양호실 입/퇴실 관리뿐만 아니라 퇴실 후 교실입실이나, 병원치료 또는 조퇴 등의 판단에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F-ID, 양호실, 입실, 퇴실

Description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A SCHOOL INFIRMARY}
본 발명은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호실 입/퇴실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학생의 소재파악 및 상태파악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퇴실 후 교실입실이나, 병원치료 또는 조퇴 등의 판단에 이를 활용할 수 있고, 양호실 퇴실 후의 교실입실이나 병원 치료 또는 조퇴 등의 기록 내용을 RFID(무선 주파수 인식기술)과 단문 메시지(SMS) 모바일 전송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RFID를 이용한 작업실 출입 관리의 경우에는 단순히 작업실 출입여부의 기록 및 작업시간 관리 등을 수행하는 정도였으나, 본 발명의 양호실 관리 시스템의 경우에는 이러한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관리 시스템과는 많이 다른 개념이다.
즉, 일반적으로 학생이 양호실에 입실하기 위한 절차로는 담임면담을 실시하고, 입실을 허가는 경우에 양호실 입실증을 지참하여 양호실에 입실하고, 양호 선 생님으로부터 적절한 조치를 받은 후에 상태가 양호해지면 퇴실하는 등의 절차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절차의 진행에 있어서 학생의 최종 책임자인 담임선생님은 양호실로부터의 퇴실이 언제 이루어졌고, 양호실에서 어떠한 조치를 받았는지 양호실에 전화나 방문을 하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퇴를 결정한 경우에 학부모는 학생의 소재를 파악할 수 없고, 조퇴여부를 알 수 없으며, 조퇴 이후에 병원에서 추가조치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 양호실에서 어떠한 조치를 받았는지 알 수 없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기 전에 일일이 양호선생님과 상담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효율적인 양호실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양호실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양호실 입/퇴실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학생의 소재파악 및 상태파악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퇴실 후 교실입실이나, 병원치료 또는 조퇴 등의 판단에 이를 활용할 수 있고, 양호실 퇴실 후의 교실입실이나 병원 치료 또는 조퇴 등의 기록 내용을 RFID(무선 주파수 인식기술)과 단문 메시지(SMS) 모바일 전송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학생 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
양호실에 비치되어 상기 RF-ID카드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학생의 정보를 수신하는 카드리더기;
해당 학생의 양호실 입실 의뢰를 입력받아 서버에 전송하고,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교사단말기;
해당 학생의 양호실 입실 의뢰를 전송받거나 단문 메시지로 수신하고, 해당학생의 양호실 조치사항을 입력받아 서버에 전송하는 양호실 단말기;
상기 교사단말기의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라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모듈,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입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 상기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나, 퇴실하는 경우에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 및,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카드리더기, 양호실단말기, 서버, 및 교사단말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호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사단말기를 통하여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른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교사단말기의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라 서버가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
해당학생의 RF-ID 카드로부터 양호실에 비치된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해당학생의 입실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서버가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나 퇴실하는 경우에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서버가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서버가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호실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따르면, 양호실 입/퇴실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학생의 소재파악 및 상태파악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퇴실 후 교실입실이나, 병원치료 또는 조퇴 등의 판단에 이를 활용할 수 있고, 양호실 퇴실 후의 교실입실이나 병원 치료 또는 조퇴 등의 기록 내용을 RFID(무선 주파수 인식기술)과 단문 메시지(SMS) 모바일 전송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양호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학생 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 양호실에 비치되어 상기 RF-ID카드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학생의 정보를 수신하는 카드리더기, 해당 학생의 양호실 입실 의뢰를 입력받아 서버에 전송하고,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교사단말기, 해당 학생의 양호실 입실 의뢰를 전송받거나 단문 메시지로 수신하고, 해당학생의 양호실 조치사항을 입력받아 서버에 전송하는 양호실 단말기, 상기 교사단말기의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라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모듈,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입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 상기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에나 퇴실하는 경우에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 및,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카드리더기, 양호실단말기, 서버, 및 교사단말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관리방법은 교사단말기를 통하여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른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교사단 말기의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라 서버가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 해당학생의 RF-ID 카드로부터 양호실에 비치된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해당학생의 입실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서버가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나 퇴실하는 경우에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서버가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서버가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다. 즉,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실 관리 시스템은 RFID 및 SMS 전송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 RFID카드는 통상의 RFID카드로서 여기에는 양호실을 이용하는 각 학생의 정보가 저장되어진다.
또한 이러한 RFID카드를 통하여 학생의 양호실 입실 및 퇴실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양호실에는 상기 RFID카드로부터 학생정보를 읽을 수 있는 카드리더기가 설치된다. 상기 카드리더기는 입실 및 퇴실 통로에 각각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고, 양호실 단말기 등의 컴퓨터에서 입실 또는 퇴실을 선택한 이후에 카드를 읽도록 하면 각각 입실 및 퇴실을 구분하여 학생정보를 수신하여 입실 및 퇴실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학생의 출입관리를 통제할 수 있다.
상기 양호실에는 상기 카드리더기와 일체 또는 분리된 형태의 양호실 단말기 가 구비된다. 상기 양호실 단말기는 통상의 컴퓨터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단말기가 이에 해당할 수 있고, 이는 양호실에서 실행되는 각 학생의 조치사항을 기록할 수 있는 기능과 단문 메시지(여기서 단문메시지라 함은 통상의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SMS 서비스뿐만 아니라, 메신저, 네이트온 등의 서비스를 통하여 문자를 송부하는 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이다.)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양호실 단말기는 이러한 기능을 일체로 진행할 수 있는 단말기, 예를 들면 PDA 등이거나, 상기 각 학생에 대한 조치사항을 기록하는 단말기,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와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기, 예를 들면 휴대폰이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양호실 단말기는 카드리더기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있을 수도 있고, 서버를 통하여 카드리더기와 접속되어있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학생(양호실에 입실 의뢰된 학생)의 양호실 입실 의뢰를 전송받거나 단문 메시지로 수신하고(통상의 단말기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에 의하여 이를 수신하거나, 휴대폰 단말기를 통하여 단문메시지로 수신 받는 것을 의미하며, 이들을 모두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을 받음과 동시에 단문메시지도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해당학생의 양호실 조치사항을 입력받아 서버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양호실 단말기는 학생들에 대한 이전 치료정보, 특이체질 정보, 기타 신상정보 등이 저장되어진 학생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진 서버에 연결되어 각 학생의 조치에 서버에 연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해당학생에 대한 치료 및 조치시에 이를 참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사의 경우도 교사단말기를 통하여 양호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교사단말기도 상기 양호실 단말기와 같이, 통상의 컴퓨터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단말기가 이에 해당할 수 있고, 이는 교실에서 양호실에 입실을 의뢰할 해당 학생의 양호실 입실의뢰를 입력하여 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기능(여기서의 전송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데이터 전송 또는 단문메시지를 통한 전송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를 의미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데이터 전송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서버에 저장되어진 각 학생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이에 따라 해당학생을 조회하여 입실을 의뢰할 수 있다.)과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교사 단말기도 이러한 기능을 일체로 진행할 수 있는 단말기, 예를 들면 PDA 등이거나, 상기 해당학생의 입실의뢰를 입력하는 단말기,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와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기, 예를 들면 휴대폰이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문메시지라 함은 통상의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SMS 서비스뿐만 아니라, 메신저, 네이트온 등의 서비스를 통하여 문자를 송부하는 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입실의뢰는 정형화된 입실의뢰 프로그램에 해당항목을 입력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기술한 단문메시지를 통하여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후에 해당학생에 대한 상황보고는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체적인 시스템의 제어는 상기 기술한 단말기 및 RFID 카드리더기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서버는 상기 교사단말기의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라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 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모듈,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입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 상기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나 퇴실하는 경우에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 및,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호실 관리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교사단말기를 통하여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른 해당학생의 입실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교사단말기의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라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모듈을 통하여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해당학생의 RF-ID 카드로부터 양호실에 비치된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해당학생의 입실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입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을 통하여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입실되어진 해당학생에 대하여 양호선생님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서버에 등록되어진 학생의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필요한 조치(휴식, 투약, 주사, 조퇴, 병원방문 지시 등)를 취하게 되고, 양호선생님은 이를 양호실 단말기 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나 퇴실하는 경우에는 상기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나 퇴실하는 경우에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을 통하여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서버가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즉시 이를 통보할 수도 있고, 또는 조치사항이후에도 해당학생이 양호실에 머무는 동안에는 양호선생님의 관할하에 있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학생이 퇴실하는 경우에 이를 통보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조치 후에 해당학생이 퇴실하는 경우,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을 통하여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서버가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이와 같은 학생의 건강문제 및 학생의 소재파악 문제는 학부모에게도 매우 중요한 문제이므로 이러한 사항을 학부모에게도 통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학부모 단말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되는 단문메시지를 동일하게 상기 학부모 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학부모도 교사와 동일한 내용을 전달받아 학생의 소재 및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시간 단문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학생의 건강상태 및 소재파악(퇴실 후 교실 입실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사가 학생의 조퇴여부를 결정하는데 이를 즉각적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에 병원에서 추가 조치를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양호실에서 진행한 조치사항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바로 다음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중복되는 조치나 중복되는 투약을 피할 수 있고, 이전 조치의 불명확함에 따른 다음 처치에 대한 미온대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양호실 단말기에서의 이러한 조치사항의 입력, 각 학생의 입실 및 퇴실 로그 등은 바로 양호실일지의 작성에 활용될 수 있으므로 양호실 사무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RF-ID 및 SMS를 이용한 양호실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는 교사단말기를 통하여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른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교사단말기의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라 서버가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 해당학생의 RF-ID 카드로부터 양호실에 비치된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해당학생의 입실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서버가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나 퇴실하는 경우에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서버가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 사단말기에 서버가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관리시스템에 기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이와 같은 양호실 관리방법의 경우에도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학부모에게 이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양호실 관리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되는 단문메시지를 동일하게 학부모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시스템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학생 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
    양호실에 비치되어 상기 RF-ID카드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학생의 정보를 수신하는 카드리더기;
    해당 학생의 양호실 입실 의뢰를 입력받아 서버에 전송하고,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교사단말기;
    해당 학생의 양호실 입실 의뢰를 전송받거나 단문 메시지로 수신하고, 해당학생의 양호실 조치사항을 입력받아 서버에 전송하는 양호실 단말기;
    상기 교사단말기의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라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모듈,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입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 상기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나 퇴실하는 경우에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 및,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카드리더기, 양호실단말기, 서버, 및 교사단말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호실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단말기 및 양호실 단말기는 각각 전송용 단말기와 단문메시지 수신용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호실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학부모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되는 단문메시지를 동일하게 상기 학부모 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호실 관리 시스템.
  4. 교사단말기를 통하여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른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교사단말기의 양호실 입실 의뢰에 따라 서버가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양호실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양호실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
    해당학생의 RF-ID 카드로부터 양호실에 비치된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학생의 입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해당학생의 입실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서버가 입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양호실 단말기로부터 양호실 조치사항이 입력되는 경우나 퇴실하는 경우에 조치사항 단문 메시지를 서버가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해당 학생의 퇴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퇴실정보 단문 메시지를 상기 교사단말기에 서버가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호실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교사단말기에 송신되는 단문메시지를 동일하게 학부모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호실 관리방법.
KR1020070087770A 2007-08-30 2007-08-30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090022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770A KR20090022428A (ko) 2007-08-30 2007-08-30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770A KR20090022428A (ko) 2007-08-30 2007-08-30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428A true KR20090022428A (ko) 2009-03-04

Family

ID=4069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770A KR20090022428A (ko) 2007-08-30 2007-08-30 양호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24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0950B2 (en) Expert locator based on user polling
CN103353959A (zh) 一种用于急诊预检分诊的移动终端、系统及方法
Simpson Twenty-first century contact: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internet by young people in care
Gray et al. ‘Confidentiality smokescreens’ and carers for people with mental health problems: the perspectives of professionals
US201902746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Interacting, and Updating of Guardian Actions Within a School System
KR101346745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학교 생활 관리 시스템
Bisel et al. Denying what workers believe are unethical workplace requests: Do workers use moral, operational, or policy justifications publicly?
Torabi et al. Barriers to ethical decision-making for pre-hospital care professionals
US20190274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Interacting, and Updating of Student, Guardian, Teacher, and Administrator Interactions Within a School System
CN101119514A (zh) 特定人群多媒体通讯系统方法
Kinsella et al. Enablers and challenges to international practice education: A case study
CN108985038A (zh) 一种应用程序的登录方法及系统、终端
Hunt et al. Adapting breastfeeding support in area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a case study approach
CN107038671A (zh) 促进医疗卫生志愿服务的系统和方法
Aspden et al. Identification and referral for early intervention services in new zealand: A look at teachers’ perspectives–past and present
Christopoulos et al. Lessons learn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seek, test, treat, retain interventions using mobile phones and text messaging to improve engagement in HIV care for vulnerable pop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Berge How do we understand partnership working? Experiences from a telecare project
Barnett et al. Innovation driving care systems capability: Final Report
Ainslie Seeing and believing: Observing desistance-focused practice and enduring values in the National Probation Service
CN105849767A (zh) 福利支援管理系统、福利支援管理方法
Bettencourt et al. Understanding how student support practitioners navigated ideal worker norms during COVID-19: The role of job-crafting
JP2006236010A (ja) 外国人の管理方法
Mikos Monitoring handoffs for standardization
Ahuja et al. Telling stories: learning from patients' and families' experiences of specialist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services
US201902746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Interacting, and Updating of Student Actions Within a Scho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