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179A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179A
KR20090022179A KR1020070087299A KR20070087299A KR20090022179A KR 20090022179 A KR20090022179 A KR 20090022179A KR 1020070087299 A KR1020070087299 A KR 1020070087299A KR 20070087299 A KR20070087299 A KR 20070087299A KR 20090022179 A KR20090022179 A KR 20090022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shutter release
release button
press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11909B1 (en
Inventor
백인열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909B1/en
Publication of KR20090022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digital imag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hotograph an image at a hand-shake prevention mode by enabling a hand-shake prevention function to recognize necessary thing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state of a user. A lens barrel which receives an image from the outside, a pickup unit, etc. are placed at a body of a digital camera(100). In addition, a shutter release button(120), a holding sensor(130) and a display panel(140) are mounted at an external portion of the body. Through the shutter release button, a user is able to operate a shutter with one hand. The holding sensor senses the other hand of the user holds the body. A hand-shake detection sensor is mounted at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셔터 릴리즈 버튼이 눌려지는 것에 의하여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을 획득(capture)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apturing an image input through an imaging device by pressing a shutter release butt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란,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In general,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ny apparatus that processes an image of a digital camera,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hone camera, a PC camera, or uses an image recognition sensor.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을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획득(capture)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In such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mage input through an image pickup device may be displayed on a video display device.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the user may capture and store the desired image as an image file.

이때,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을 누를 때,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하여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흔들릴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때, 이러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이 흔들려, 촬영이 실패될 수 있다. 즉, 셔터 릴리즈 버튼을 누름에 따른 손떨림에 의한 촬영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camera may shake due to the shaking of the user. When the user captures a desired image, the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pickup device may be shaken due to such a shake, and thus the shooting may fail. That is, a photographing failure may occur due to camera shake caused by press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특히, 최근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소형화 및 슬림화 경향에 따라 셔터 릴리즈 버튼 누름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더욱 흔들리기 쉬워진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고배율 및 고화소화 경향에 따라, 셔터 릴리즈 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른 손떨림에 의한 촬영 실패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recent trend toward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kes it easier to shake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by press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In addition, according to a high magnification and a high pixel tren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photographing failure probability due to hand shake due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may be increased.

이처럼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을 누를 때의 손떨림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떨림 감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손떨림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손떨림의 양을 측정하고,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user does not acquire the desired image due to the hand shake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the hand shake detection sensor may be used. That is, the amount of hand shake may be measured using the hand shake sensor, and hand shake may be corrected.

하지만, 손떨림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손떨림 방지 모드를 선택하는 별도의 작동이 필요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일일이 일반 촬영 모드에서 손떨림 방지 모드로 전환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using a shake detection sensor, a separate operation of selecting a shake prevention mode by the user is required. In this case, since the user has to switch from the normal shooting mode to the image stabilizer mode,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촬영 상태에 따라 손떨림 방지 기능이 필요한 것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손떨림 방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that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s required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state of a user and switching to an image stabilization mod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바디; 사용자의 한 손의 조작에 의하여 셔터가 작동되도록 하는 셔터 릴리즈; 및 사용자의 다른 한 손이 상기 바디를 파지하는 것을 감지하는 파지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바디의 파지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셔터 릴리즈가 선택되면, 손떨림 방지 기능이 선택되어 촬영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A shutter release for operating the shutter by a user's one hand; And a gripping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the other hand of the user gripping the body, and when the shutter release is selected in a state in which gripping of the body is detected by the gripping detector,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s selected and photographed. It provide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2단으로 눌려지는 셔터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는 손에 대하여 다른 한 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다른 한 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손떨림 방지 모드가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다른 한 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촬영 준비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grip of the body by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hand for operat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pressed in two stages; Sensing that the body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such that the image stabilization mode is set; Sensing that the body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to perform a preparation for photographing; Detecting that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one step; And detecting photographing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being pressed in one step, and performing photographing.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촬영 상태에 따라 손떨림 방지 기능이 필요한 것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손떨림 방지 모드 촬영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at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shooting stat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take the image stabilization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바디(110)의 배면(110b)과 상면(110c)을 포함한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FIG. 1 illustrates an external shape including a rear surface 110b and an upper surface 110c of a body 110 of a digital camera, which is an embodiment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바디(110); 셔터 릴리즈 버 튼(120); 및 파지 감지부(130)를 구비한다. 바디(110)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경통 및 촬상 소자 등이 장착되고, 외부에 셔터 릴리즈 버튼(120), 파지 감지부(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 등이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body 110; Shutter release button 120; And a gripping detector 130. The body 110 corresponds to the body of the digital camera 100, and a barrel and an image pickup device for receiving an image from the outside are mounted therein, and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and the grip detector 130 are mounted outside. And a display panel 140 may be mounted.

셔터 릴리즈 버튼(120)은 사용자의 한 손의 조작에 의하여 셔터가 작동되도록 한다. 파지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다른 한 손이 바디(110)를 파지하는 것을 감지한다. 이때, 파지 감지부(130)에 의하여 바디(110)의 파지를 감지한 상태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20)이 선택되면, 손떨림 방지 기능이 선택되어 촬영이 수행된다.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allows the shutter to b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one hand of the user. The grip detector 130 detects that the other hand of the user grips the body 110. In this case,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is sel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sensor 130 detects the gripping of the body 110,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s selected to perform shooting.

한편,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을 누를 때,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하여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가 흔들릴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20)을 누를 때의 손떨림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such as a digital camera may shake due to the shaking of the user. As such, the user may not acquire the desired image due to the shaking of the user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는 손떨림 방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그 일 실시예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 손떨림 감지 센서가 탑재되고, 손떨림 감지 센서에 의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20)을 누를 때의 손떨림 양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입력된 영상에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with a camera shake prevention function. In one embodiment, a shake detection sensor is mounted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shake detection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hand shake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is pressed, thereby correcting hand shake on the input image. can do.

다른 실시예로서, 손떨림 감지 센서 없이도 소프트웨어 적으로 복수개의 영상을 입력받아 가장 손떨림이 적은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a method of acquiring a plurality of images by software and obtaining the smallest image without using a shake detection sensor may be used.

한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시에 손떨림이 발생하기 쉬운 서투른 사 람의 경우 양손으로 바디(110)를 잡고 촬영을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촬영 조건이 좋지 아니하여 손떨림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에서는 두 손으로 바디(110)를 파지하고서, 촬영을 하는 경우가 많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lumsy person who is susceptible to hand shake when shooting with a digital camera, the hand holding the body 110 with both hands is often taken. In addition, in a situation in which shooting conditions are not good and camera shake is apt to occur, the body 110 is gripped with both hands to take a pictur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서는 셔터 릴리즈 버튼(120)을 조작하는 손(예를 들어 왼손)에 대하여 다른 손(예를 들어 오른손)이 바디(110)를 파지하는 위치에 파지 감지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두 손을 사용하여 바디(110)를 파지하는 경우에, 파지 감지부(130)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손떨림 방지 모드에서 촬영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right hand) grips the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hand (for example, the left hand) for operat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The grip detec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when the user intentionally or unknowingly grips the body 110 by using both hands, the grip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this, so that the photographing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in the anti-shake mode. .

즉,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서는 손떨림 방지 모드가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손떨림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손떨림 방지 모드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일이 설정하지 아니하여도 손떨림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을 감지하여, 손떨림 방지 모드 촬영이 가능하다. That is, even when the image stabilizer mode is not set,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detects a situation where hand shake is likely to occur so that the image stabilizer mode may be automatically set. 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set up one by one, it is possible to detect a situation in which hand shaking is likely to occur, and thus, the image stabilizer mode can be photographed.

셔터 릴리즈 버튼(120)은 사용자의 한 손,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오른손, 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120)은 2단으로 눌려질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120)이 1단으로 눌려지면 촬영 준비 작업이 수행되고, 셔터 릴리즈 버튼(120)이 2단으로 눌려지면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may be operated by one hand of the user, the right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may be pressed in two stages.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is pressed in the first stage, a shooting prepar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is pressed in the second stage, the shooting may be per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 릴리즈 버튼(120)이 2단으로 눌려지는 버튼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터치식 또는 비접촉식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120)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1단식 버튼 또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button type in which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is pressed in two stages may be appl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touch type or a non-contact type sensor may be used. In additio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may include two or more single-stage buttons or sensors.

바디(110)의 배면(110b)의 우측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부분에 그립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120)은 바디(110)의 상면(110c)의 그립부(111)를 파지하는 오른 손의 손가락이 오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The grip part 111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gripped by the right hand of the rear surface 110b of the body 110.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where a finger of the right hand holding the grip 111 of the upper surface 110c of the body 110 comes.

이때, 바디(110)에서 렌즈가 영상을 입력받는 면이 전면(110a)이 되고, 그 반대면이 배면(110b)이 될 수 있다. 바디(110)의 전면(110a) 대하여 윗면이 상면(110c)이 되고, 좌측의 측면이 좌측면(110d)이 되고, 우측의 측면이 우측면(110e)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rface in which the lens receives an image in the body 110 may be the front surface 110a, and the opposite surface may be the rear surface 110b. The upper surface may be the upper surface 110c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110a of the body 110, the left side may be the left side 110d, and the right side may be the right side 110e.

따라서, 촬영 작업 시에 사용자의 오른손은 배면(110b)에 배치되는 그립부(111), 바디(110)의 우측면(110e), 및 바디(110)의 전면(110a)의 우측 끝단부를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오른손의 하나의 손가락이 셔터 릴리즈 버튼(120)에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s right hand may hold the grip 111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110b, the right side surface 110e of the body 110, and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110a of the body 110 during the photographing operation. . In this case, one finger of the right hand may be positioned o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또한, 촬영 작업 시에 사용자의 왼손은 바디(110)의 배면(110b)의 좌측 끝단부, 바디(110)의 좌측면(110d), 및 바디(110)의 전면(110a)의 좌측 끝단부를 파지할 수 있다. 파지 감지부(130)는 바디(110)의 왼손이 위치되는 좌측면(110d)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s left hand grips the left end of the rear surface 110b of the body 110, the left end 110d of the body 110, and the left end of the front surface 110a of the body 110 during the photographing operation. can do. The grip detection unit 13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110d at which the left hand of the body 110 is located.

따라서, 촬영 시에 사용자의 왼손이 바디의 좌측면(110d)을 파지하면, 파지 감지부(130)가 사용자의 왼손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파지 감지부(130)는 버튼이 될 수 있으며,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가 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s left hand grips the left side 110d of the body at the time of shooting, the grip detector 130 may detect the user's left hand. In this case, the grip detection unit 130 may be a button and may be a contact or non-contact sensor.

파지 감지부(130)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인 경우에, 사용자의 왼손이 바디(110)를 파지하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손떨림 방지 모드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gripping sensor 130 is a contact or non-contact sensor, when the user's left hand grips the body 110, the gripping detection unit 130 may automatically recognize it so that the anti-shake mode may be selected.

또한, 파지 감지부(130)가 사용자의 왼손으로 눌려지는 버튼인 경우에, 사용자가 왼손으로 바디(110)를 파지하는 경우에 힘을 주는 정도에 따라 손떨림 방지 모드의 선택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grip detection unit 130 is a button pressed by the user's left hand, the user may select whether to select the image stabilizer mode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when the user grips the body 110 with his left hand.

한편, 파지 감지부(130)가 왼손이 바디(110)를 파지한 것을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20)이 1단으로 눌려지면 촬영 준비 작업이 수행되고, 셔터 릴리즈 버튼(120)이 2단으로 눌려지면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grip detection unit 130 does not detect that the left hand grips the body 110,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is pressed in one step, a shooting prepa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When pressed in two stages, photography can be performed.

이때, 촬영 준비 작업은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 노출 설정, 화이트 밸런스 설정 등 촬영하기 위한 설정 및 준비 작업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작업 시에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픽셀 단위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저장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이를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preparation operation may correspond to a setting and preparation operation for photographing such as auto focusing, exposure setting, white balance setting, and the like. I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raw data input through the imaging devic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in units of pixels, a data format suitable for compression and storage is converted, and stored in a storage medium.

파지 감지부(130)가 왼손이 바디를 파지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촬영 준비 작업이 수행되고, 그 상태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20)이 1단으로 눌려지면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셔터 릴리즈 버튼(120)이 2단으로 눌려질 때, 손떨림이 커지므로, 셔터 릴리즈 버튼(120)이 1단으로만 눌려져도 촬영이 수행되므로, 손떨림이 완화될 수 있다. When the grip detection unit 130 detects that the left hand grips the body, the shooting prepa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is pressed to the first stage in this state, the shooting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is pressed in two stages, the camera shake is increased. Therefore, even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20 is pressed in only one stage, shooting is performed, so that the camera shake may be alleviated.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감지부(230)가 바디(110)의 상면(210c)의 왼손으로 바디(210)를 파지하는 경우에 왼손이 미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200)인 디지털 카메라의 바디(210)의 배면(210b)과 상면(210c)을 포함한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grip detector 230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left hand when the grip 210 holds the body 210 with the left hand of the upper surface 210c of the body 110. 2 illustrates an external shape including a rear surface 210b and an upper surface 210c of a body 210 of a digital camera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는 파지 감지부(230)의 위치가 바디(210)의 상면(210d)의 좌측부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서와 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illustrated in FIG. 2 is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of FIG. 1 except that the position of the grip detector 230 is disposed at the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210d of the body 210. Is the same as Therefore,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us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of FIG. 1 for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200)에서는 파지 감지부(230)가 상면(210d)에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손떨림 방지 모드의 사용 여부를 선택하기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 since the grip detector 23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210d, it may be easier for a user to select whether to use the image stabilizer mode.

도 3에는 도 1 내지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장치(5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500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of FIGS. 1 and 2.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an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a lens unit and a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When the user presses the wide-angle zoom button W or the tele-zoom button T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input to the microcontroller 512.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Accordingly, as the microcontroller 512 controls the lens driver 510, the zoom motor M Z is driven to move the zoom lens. That is, when the wide-zoom button W is 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is shortened to widen the angle of view, and when the tele-zoom button T is 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becomes long and the angle of view is narrowed.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Meanwhile, in the auto focus mode, the focus motor M F is driven by the main controller embedd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ntrolling the lens driver 510 through the microcontroller 512. The compensation lens compensates for the overall refractive index and is not driven separately. Reference numeral M A denotes a motor for driving an aperture (not shown).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In the filter section of the optical system OPS, an optical low pass filter removes optical noise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Infra-Red cut filter cuts the infrared component of the incident light.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may include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converts light from the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may include a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CDS-ADC) device 501.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removes the high frequency noise, adjusts the amplitude, and converts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502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and the analog-digital converter 501.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real time clock 503 provides time information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from the CDS-ADC element 501 to generate a digital image signal classified into luminance and chroma signals.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방향 버튼(21), 광각-줌 버튼(W) 및 망원-줌 버튼(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512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built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ncludes a self-timer lamp, an auto-focus lamp, a mode indicating lamp, a flash standby lamp,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The user input unit INP may include a direction button 21, a wide-angle zoom button W, a telephoto-zoom button T, and the like.

또한,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제1 버튼 입력부(515), 제2 버튼 입력부(516), 파지 신호 입력부(51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버튼 입력부(515) 및 제2 버튼 입력부(516)는 도 1 내지 도 2의 셔터 릴리즈 버튼의 신호 입력을 받아들인다.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INP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tton input unit 515, a second button input unit 516, and a grip signal input unit 517. The first button input unit 515 and the second button input unit 516 accept a signal input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of FIGS.

제1 버튼 입력부(515)는 셔터 릴리즈 버튼 1단으로 눌려지는 경우의 제1 입력신호를 받아들인다. 제2 버튼 입력부(516)는 셔터 릴리즈 버튼 2단으로 눌려지는 경우의 제2 입력신호를 받아들인다. 파지 신호 입력부(517)는 도 1 내지 도 2의 파지 감지부(130, 23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파지 신호를 받아들인다. The first button input unit 515 receives a first input signal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 is pressed. The second button input unit 516 receives a second input signal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two stages. The gripping signal input unit 517 receives a gripping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gripping detectors 130 and 230 of FIGS. 1 and 2.

파지 감지부(130)가 왼손이 바디(110)를 파지한 것을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제어기(512)에서 그 입력을 처리하여 오토 포커싱 등의 촬영 준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2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에서 마이크로 제어기(512)에서 그 입력을 처리하여 촬영 작동이 이루어지 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grip detection unit 130 does not detect that the left hand grips the body 110, when the first input signal is input, the microcontroller 512 processes the input to prepare for shooting such as auto focusing. Control to lose.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is input, the microcontroller 512 may process the input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파지 감지부(130)가 왼손이 바디(110)를 파지한 것을 감지하면, 파지 신호가 입력되고, 마이크로 제어기(512)에서 그 입력을 처리하여 오토 포커싱 등의 촬영 준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에서 마이크로 제어기(512)에서 그 입력을 처리하여 촬영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grip detection unit 130 detects that the left hand grips the body 110, a grip signal is input, and the microcontroller 512 processes the input to control the preparation for shooting such as auto focusing. In this case, when the first input signal is input, the microcontroller 512 may process the input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 Th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such as a boot program and a key input program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n the memory card interface 506, a user's memory card is detached.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s input to the display panel driver 514, whereby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5.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via the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31a or the RS232C interface 508 and its connection 31b, and the video filter ( 509 and video output 31c may be transmitted as a video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may have a microcontroller therein.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 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The audio processor 5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to the speaker SP. .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4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S400)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은 파지 감지단계(S410); 손떨림 방지 모드 설정단계(S420); 촬영 준비단계(S430, S460); 셔터 릴리즈 버튼 1단 감지단계(S440, S450); 셔터 릴리즈 버튼 2단 감지단계(S470); 및 촬영 단계(S48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trol method (S4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grip detection step (S410); Stabilization mode setting step (S420); Shooting preparation step (S430, S460); Shutter release button first step detection (S440, S450); Shutter release button two-stage detection step (S470); And a photographing step (S480).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에서는 셔터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는 손(예를 들어 왼손)에 대하여 다른 손(예를 들어 오른손)이 바디를 파지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손떨림 방지 모드에서 촬영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method (S4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right hand) grips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hand (for example, the left hand) operat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and automatically shakes the hand. Shooting can be performed in the prevention mode.

따라서, 사용자의 촬영 상태에 따라 손떨림 방지 기능이 필요한 것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손떨림 방지 모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손떨림 없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mage stabilizer function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ccording to the user's shooting state to enable the image stabilization mode shooting, and thus, the image without the camera shake can be more easily taken.

파지 감지단계(S410)에는 2단으로 눌려지는 셔터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는 손(예를 들어 오른손)에 대하여 다른 한 손(예를 들어 왼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것을 감지한다. 즉, 양손으로 바디를 파지하는 지를 감지하여, 손떨림 방지 기능이 필요한 상태인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grip detection step S410, the body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left hand) with respect to the hand (for example, the right hand) operat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pressed in two stages. That is, by detecting whether the body is held by both hand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s required.

이를 위하여 바디의 셔터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는 손(예를 들어 오른손)에 대하여 다른 한 손(예를 들어 왼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위치에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나 파지 감지 버튼이 구비되고, 다른 한 손(예를 들어 왼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경우에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 contact or non-contact sensor or a grip detection button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body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left hand) with respect to the hand (for example, the right hand) that operat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of the body. When the body is gripped by one hand (for example, the left hand), it can be automatically detected.

손떨림 방지 모드 설정단계(S420)에는 파지 감지단계(S410)에서 다른 한 손(예를 들어 왼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손떨림 방지 모드가 설정되도록 한다. 즉, 양손으로 바디가 파지되는 경우에 손떨림 방지 기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촬영 시에 손떨림 방지 모드 하에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In the anti-shake mode setting step S42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body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left hand) in the grip detection step S410, the anti-shake mode is set. That is, when the body is gripped by both hands,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s required, and the camera is set to perform shooting under the image stabilization mode at the time of shooting.

촬영 준비단계(S430, S460)에는 촬영 준비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바디가 한 손으로 파지된 상태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 1단 감지 단계(S450)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면, 그에 따라 촬영 준비 작업이 수행된다(S460). In the shooting preparation steps S430 and S460, a shooting prepa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is case,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detected to be pressed in the first step in the first step of detect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in the state in which the body is held by one hand (S450), the preparation for shooting is performed accordingly (S460).

다른 한 손(예를 들어 왼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경우, 즉 바디가 양손으로 파지되는 경우에는, 촬영 준비 지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촬영을 위하여 필요한 설정 등의 준비 작업을 수행한다(S430). 다른 한 손(예를 들어 왼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센서 또는 버튼의 입력에 의하여, 통상의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이 눌려지는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When the body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left hand), that is, when the body is gripped by both hands, it is determined that the shooting preparation instruction is input, and the preparation work such as necessary setting for shooting is performed ( S430). By the input of a sensor or a button installed to sense that the body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left hand), the normal shutter release button may be process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first stage is pressed.

이때, 촬영 준비 작업은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 노출 설정, 화이트 밸런스 설정 등 촬영하기 위한 설정 및 준비 작업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preparation operation may correspond to a setting and preparation operation for photographing such as auto focusing, exposure setting, white balance setting, and the like.

셔터 릴리즈 버튼 1단 감지단계(S440, S450)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 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한다. 바디가 양손으로 파지된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면(S440), 한 손으로 바디를 파지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의 셔터 릴리즈 버튼이 2단으로 눌려지는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바디가 양손으로 파지된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면(S440), 촬영 단계(S480)가 수행될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of detect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S440 and S450),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detected to be pressed to the first step.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detected to be pressed in the first stage when the body is held by both hands (S440),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hel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shutter is released in the second stage when the body is held by one hand. Can be processed. That is, when detecting that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one step when the body is held by both hands (S440), the photographing step (S480) may be performed.

바디가 한 손으로 파지된 경우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면(S450), 그에 따라 촬영 준비 작업(S460)이 수행되도록 한다. When the body is gripped with one hand,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detected to be pressed in one step (S450), the shooting preparation operation (S460) is performed accordingly.

셔터 릴리즈 버튼 2단 감지단계(S470)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이 2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한다. In the second step of detect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S470),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detected to be pressed in two steps.

촬영 단계(S480)에서, 바디가 한 손으로 파지된 경우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이 2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여(S470), 촬영 작업이 수행된다. 또한, 바디가 한 손으로 파지된 경우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여(S470), 촬영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hotographing step S480, when the body is held by one hand,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sensed to be pressed in two steps (S470), and the photograph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body is held by one hand,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sensed to be pressed in one step (S470), and a photograph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촬영 작업 시에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픽셀 단위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저장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이를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I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raw data input through the imaging devic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in units of pixels, a data format suitable for compression and storage is converted, and stored in a storage medium.

본 발명에 따르면, 손떨림 방지 모드가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손떨림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손떨림 방지 모드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일일이 설정하지 아니하여도 손떨림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을 감지하여, 손떨림 방지 모드 촬영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image stabilizer mode is not set, it is possible to detect a situation where hand shake is likely to occur so that the image stabilizer mode can be automatically set. In other words, even if the user does not set one by one, it is possible to detect a situation in which hand shake is likely to occur, and thus, the image stabilizer mode can be photographed.

따라서, 사용자가 간과한 경우에도 손떨림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에서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손떨림 방지 모드에서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손떨림이 없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Therefore, when shooting is performed in a situation where camera shake is likely to occur even when the user is overlooked, a picture without shaking is obtained by automatically shooting in the shake prevention mode.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은 도 1 또는 도 2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 200)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해당한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은 도 3의 제어장치에서 제어부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및/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S4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rresponds to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or 200 of FIG. 1 or 2. Therefore, the control method S4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perform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and / or the micro controller 512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r in the control apparatus of FIG. 3.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aliz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I can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바디의 배면과 상면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shape of a rear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a body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바디의 배면과 상면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shape of a rear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 내지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of FIGS. 1 and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00: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10, 210: 바디, 100, 200: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110, 210: body,

120, 220: 셔터 릴리즈 버튼, 130, 230: 파지 감지부.120, 220: shutter release button, 130, 230: grip detection unit.

Claims (10)

바디; body; 사용자의 한 손의 조작에 의하여 셔터가 작동되도록 하는 셔터 릴리즈; 및 A shutter release for operating the shutter by a user's one hand; And 사용자의 다른 한 손이 상기 바디를 파지하는 것을 감지하는 파지 감지부를 구비하고, It is provided with a grip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ther hand of the user gripping the body, 상기 파지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바디의 파지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셔터 릴리즈가 선택되면, 손떨림 방지 기능이 선택되어 촬영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when the shutter release is selected while the grip detection unit detects the grip of the body,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s selected to perform shoot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지 감지부가 상기 바디가 파지되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감지 센서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the touch sensing unit is a touch or non-contact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at the body is hel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지 감지부가 상기 바디의 파지 시에 상기 다른 한 손에 의하여 눌려지는 버튼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the gripping sensor is a button pressed by the other hand when gripping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셔터 릴리즈가, 상기 바디의 렌즈가 영상을 입력받는 전면에 대하여, 상기 바디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the shutter release is disposed at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with respect to a front surface of which the lens of the body receives an image.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파지 감지부가 상기 바디의 상면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The gripping sensor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파지 감지부가 상기 바디의 상기 다른 한 손이 위치되는 측면에 배치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the grip detector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body on which the other hand is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셔터 릴리즈가 2단으로 눌려지는 셔터 릴리즈 버튼이고, The shutter release is a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two stages,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면 촬영 준비 작업이 수행되고,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2단으로 눌려지면 촬영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The photographing prepa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the first stage, and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the second stag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지 감지부가 상기 다른 한 손이 상기 바디를 파지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촬영 준비 작업이 수행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면 촬영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nd if the grip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other hand grips the body, the photographing prepa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photographing is performed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the first stage. 2단으로 눌려지는 셔터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는 손에 대하여 다른 한 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Detecting that the body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hand that operat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pressed in two steps; 상기 다른 한 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손떨림 방지 모드가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 Sensing that the body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such that the image stabilization mode is set; 상기 다른 한 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촬영 준비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Sensing that the body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to perform a preparation for photographing;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및 Detecting that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one step; And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And photographing by sensing that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one step.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다른 한 손에 의하여 바디가 파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1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여, 촬영 준비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Detecting that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in one step while the body is not gripped by the other hand, so that a photographing prepa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2단으로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And sensing photographing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being pressed in two stages.
KR1020070087299A 2007-08-29 2007-08-29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11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299A KR101411909B1 (en) 2007-08-29 2007-08-29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299A KR101411909B1 (en) 2007-08-29 2007-08-29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179A true KR20090022179A (en) 2009-03-04
KR101411909B1 KR101411909B1 (en) 2014-06-26

Family

ID=4069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299A KR101411909B1 (en) 2007-08-29 2007-08-29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9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7616A (en) * 2017-06-30 2017-11-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opening stabilization patter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4336A (en) * 1999-03-30 2000-10-13 Ricoh Co Ltd Camera provided with camera shake correcting function
JP4119673B2 (en) * 2002-04-26 2008-07-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Imag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7616A (en) * 2017-06-30 2017-11-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opening stabilization pattern
CN107357616B (en) * 2017-06-30 2020-06-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Method for starting anti-shake mode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909B1 (en)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7430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477542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98475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9429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00056280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613529B1 (en) camera module
KR10151010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11909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4259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148346A (en) Digital camera
KR20080055028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ttitude thereof and method of photographing self-image using the same
KR20050045206A (en) Digital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096521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10106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87406B1 (en) Apparatus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KR101288914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101436834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3623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attitude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using automatic focusing
KR101284038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9988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85959B1 (en) Portabl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determined direction when power is ON or OFF,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100070053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10056102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669198B1 (en)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Zoom
KR20110056865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