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615A - 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for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and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using it - Google Patents

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for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and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615A
KR20090021615A KR1020070086256A KR20070086256A KR20090021615A KR 20090021615 A KR20090021615 A KR 20090021615A KR 1020070086256 A KR1020070086256 A KR 1020070086256A KR 20070086256 A KR20070086256 A KR 20070086256A KR 20090021615 A KR20090021615 A KR 20090021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ight
optical modulator
driving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승도
아나톨리 렙척
윤상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1615A/en
Publication of KR2009002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6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1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interference in an adjustable optical cav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02B26/085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the reflecting means being moved or deformed by piezoelectr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Abstract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and a driving method for an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and an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reduce the quantity of light error of the modulated photo generated according to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 The voltage-quantity of light property between the applied voltage and the light emission amount at the light modulator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Hysteresis of the piezoelectric layer are measured. The voltage-quantity of light property shows up as the Hysteresis curve shaped having the other voltage value about the same light intensity.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ntensity of radiation of the diffracted light of two is extracted from the measured voltage-quantity of light property. One of two voltage values is calculated to the driving voltage about the target intensity of radiation.

Description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과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변조 장치{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for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and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using it}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driving method of optical modulator, and optical modulator using same {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for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and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using it}

본 발명은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과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변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 있어서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 곡선(분극 이력 곡선)으로부터 목표 광량에 상응하는 2개의 전압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이를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계조 전압)으로서 이용하는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과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변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alculating a driving voltage of an optical modulator, a driving method of an optical modulator, and an optical modulator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steresis characteristic curve (polarization hysteresis curve) generated in a piezoelectric type optical modul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voltage calculation method of an optical modulator using an average value of two voltage values corresponding to a light amount and using the same as a driving voltage (gradation voltage) of an optical modulator, a driving method of an optical modulation device, and an optical modulation device using the same.

압전 소자는 인가된 구동 전압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압전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위치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는 대상(이하, 이를 변위 대상이라 함)의 변위 발생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마이크로 머신(Micromachine)이다. 압전 소자 는 주사 현미경, 광학 프로브, 광변조기,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의 다양한 멤스 소자(MEMS :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The piezoelectric element is a micromachine that gives a driving force for generating displacement of an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splacement object) to induce a position change by using characteristics of a piezoelectric material that contracts or expands according to an applied driving voltage. to be. Piezoelectric devic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MEMS devices, such as scanning microscopes, optical probes, optical modulators, and data storage devices.

이러한 압전 소자는 인가된 구동 전압과 그에 따라 변위 대상에 발생되는 변위 간의 전압-변위 관계가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압전 소자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은 구동 전압의 인가에 따른 압전 소자에서의 압전 효과(즉, 압전층의 분극(polarization)에 따른 수축 또는 팽창)와 관련된 분극 이력 현상에 의해 발생한다. 이를 도 1a을 중심으로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b는 압전 소자에 인가되는 계단 형태의 구동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구동 전압이 압전 소자에 인가되었을 경우 압전 소자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따라 변위 대상에 발생하는 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Such a piezoelectric element exhibits a hysteresis characteristic such that the voltage-displac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ed driving voltage and thus the displacement generated at the displacement object is shown in Fig. 1A.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caused by a polarization hysteresis phenomenon related to the piezoelectric effect (ie, shrinkage or expansion due to polariza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due to the application of a driving voltage.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B and 1C with reference to FIG. 1A. Here, 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ped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FIG. 1C is a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displacement target according to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when the driving voltage shown in FIG. 1B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figure which shows.

도 1a에 도시된 압전 소자의 히스테리시스 특성 곡선을 살펴보면, 압전 소자에 구동 전압을 점점 증가시켜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1 특성 곡선(11)을 따라 변위 대상의 위치가 변화하고, 압전 소자에 구동 전압을 점점 감소시켜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2 특성 곡선(12)을 따라 변위 대상의 위치가 변화한다. 즉, 압전 소자의 히스테리시스 특성(분극 이력 현상)에 의하여 전압-변위 관계는 구동 전압의 증가 방향과 감소 방향에 대해 다른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 1b에 도시된 계단 형태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압전 소자에는 동일 크기의 구동 전압이 인가됨에도 불구하고, 그때에 변위 대상에 발생하는 변위는 구동 전압이 증가하는 방향에 있느냐와 감소하는 방향에 있느냐에 따라 그 변위값이 상이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도 1b 및 도 1c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압전 소자에 동일한 크기의 구동 전압인 V2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구동 전압이 V1으로부터 V2로 증가하는 경우 변위 대상에 발생하는 변위는 S21로 나타나고, 구동 전압이 Vmax로부터 V2로 감소하는 경우 변위 대상에 발생하는 변위는 S22로 나타나서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 curv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shown in FIG. 1A, when the driving voltage is gradually increased and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position of the displacement target is changed along the first characteristic curve 11, and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In the case of gradually decreasing and apply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cement object changes along the second characteristic curve 12. That is, due to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polarization hysteresi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voltage-displacement relationship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increase direction and the decrease direction of the driving voltage. For this reason, when the driving voltage having the stepped shape shown in FIG. 1B is applied, although the driving voltage of the same magnitud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displacement occurring at the displacement target at that time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voltage increases and de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placement value i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direction. Referring to FIGS. 1B and 1C, even when the same voltage V 2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when the driving voltage increases from V 1 to V 2 , the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displacement target is S 21 , and when the driving voltage decreases from V max to V 2 ,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displacement target is represented by S 22 and has different values.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동일 크기의 구동 전압을 인가함에도 불구하고 압전 소자의 히스테리시스 특성 문제에 의하여 변위 대상의 변위가 서로 다른 변위값을 갖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압전 소자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 소자 및 장치(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은 광변조기)에 있어서 그 동작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even when the driving voltage of the same magnitude is applied, the displacement of the displacement target may have different displacement values due to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 problem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us, various application elements utiliz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In a device (especially an optical modulato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ts operation cannot be determined.

따라서, 본 발명은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히스테리시스 문제를 해결하여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다양한 응용 장치에 있어서 그 동작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기할 수 있는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과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변조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hysteresis problem in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and includes a display device using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A method, a method of driving an optical modulator, and an optical modulato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변조광의 광량 오차를 크게 줄임으로써 보다 고화질, 고선명의 영상을 구현 할 수 있는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과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변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alculating a driving voltage of an optical modulator and a driving of an optical modulator capable of realizing a higher quality and higher definition image by greatly reducing the light quantity error of modulated light generated according to hysteresis characteristics in a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A method and an optical modulation devic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간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른 압전층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변위 대상의 위치 변화가 유도되고, 상기 변위 대상에 유도된 변위에 상응하여 입사광을 회절시킨 회절광을 출력하는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압전층의 분극 이력에 따른 상기 광변조기에서의 인가 전압과 출력 광량 간의 전압-광량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전압-광량 특성으로부터 상기 회절광의 목표 광량에 상응하는 2개의 전압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된 2개의 전압값 사이의 일 전압값을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osition change of the displacement target is induced by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s, and diffracted light diffracted incident light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induced on the displacement target A method of calculating a driving voltage of an optical modulator for outputting, the method comprising: (a) measuring a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between an applied voltage and an output light quantity in th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history of the piezoelectric layer; (b) extracting two voltage values corresponding to a target light quantity of the diffracted light from the measured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And (c) calculating one voltage value between the extracted two voltage values as a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amount of light.

여기서, 상기 전압-광량 특성은 상기 분극 이력에 의해 인가 전압이 증가되는 방향과 감소되는 방향에 따라 동일 광량에 대하여 다른 전압값을 갖는 히스테리시스 곡선 형태로 나타나고, 상기 단계 (b)에서 추출되는 상기 2개의 전압값은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하여 상기 히스테리시스 곡선 중 각각 증가 방향과 감소 방향에 상응하여 얻어지는 전압값일 수 있다.Here, the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is represented by a hysteresis curve having different voltage values for the same light quantity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lied voltage increases and decreases due to the polarization history, and the 2 extracted in the step (b). Voltage values may be voltage values obtained corresponding to increasing and decreasing directions of the hysteresis curve with respect to the target amount of light.

여기서, 상기 일 전압값은 상기 추출된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값일 수 있다.Here, the one voltage value may be an arithmetic mean value of the extracted two voltage values.

본 발명은 상기 단계 (c) 이후에, (d)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구동 전압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fter step (c), (d) storing the driving voltage calculated for the target amount of ligh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간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른 압전층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변위 대상의 위치 변화가 유도되고, 상기 변위 대상에 유도된 변위에 상응하여 입사광을 회절시킨 회절광을 출력하는 광변조기와 상기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광변조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압전층의 분극 이력에 따른 상기 광변조기에서의 인가 전압과 출력 광량 간의 전압-광량 특성 곡선으로부터 상기 회절광의 목표 광량에 상응하여 추출되는 2개의 전압값 사이의 일 전압값을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 발생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을 상기 전극간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osition change of the displacement target is induced by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s, diffracted light diffracted incident light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induced on the displacement target A method of driving an optical modulator comprising an optical modulator for outputting and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the driving voltage, the method comprising: (a) a voltage-light quantity between an applied voltage and an output light quantity in th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history of the piezoelectric layer; Generating one voltage value between two voltage values extracted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ight amount of the diffracted light from the characteristic curve as a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light amount; And (b) applying a driving voltage with respect to the target amount of light between the electrodes.

여기서, 상기 일 전압값은 상기 추출된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값일 수 있다.Here, the one voltage value may be an arithmetic mean value of the extracted two voltage value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간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른 압전층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변위 대상의 위치 변화가 유도되고, 상기 변위 대상에 유도된 변위에 상응하여 입사광을 회절시킨 회절광을 출력하는 광변조기; 및 상기 전극간 인가될 상기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압전층의 분극 이력에 따른 상기 광변조기에서의 인가 전압과 출력 광량 간의 전압-광량 특성 곡선으로부터 상기 회절광의 목표 광량에 상응하여 추출되는 2개의 전압값 사이의 일 전압값을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osition change of the displacement target is induced by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s, diffracted light diffracted incident light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induced on the displacement target An optical modulator outputting the light; And a driving unit generating the driving voltage to be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s, wherei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target light amount of the diffracted light from a voltage-light-quantity characteristic curve between an applied voltage and an output light amount in th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history of the piezoelectric layer. An optical modulation device may be provided that generates one voltage value between two voltage values extracte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light amount.

여기서, 상기 일 전압값은 상기 추출된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값일 수 있다.Here, the one voltage value may be an arithmetic mean value of the extracted two voltage values.

본 발명에 따른 광변조기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변조 장치에 의하면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히스테리시스 문제를 해결하여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다양한 응용 장치에 있어서 그 동작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ptical modulator driving method and the optical modulato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lve the hysteresis problem in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and include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trusted.

또한, 본 발명은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변조광의 광량 오차를 크게 줄임으로써 보다 고화질, 고선명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alizing a higher-quality, high-definition image by greatly reducing the light amount error of the modulated light generated by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기 구동 방법 및 광변조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광변조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 및 이의 일 응용례로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먼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describing the optical modulator driving method and th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and an application example thereof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optical modulator. The color display device will first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적용 가능한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의 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적용 가능한 압전 방식의 광 변조기의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광 변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to which the driving method of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and FIG. 3 is a piezoelectric method to which the driving method of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optical modulator,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 modulation principle in the piezoelectric type optical modulator shown in FIG. 3.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는 기판(110), 절연층(120), 희생층(130), 리본층(140) 및 압전 소자(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본층(140)의 중앙 부분(이하, 이를 리본이라 함)에는 복수개의 홀(hole)(도 2의 140(b) 또는 도 3의 140(d))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리본 중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상에는 상부 광반사층(도 2의 140(a) 또는 도 3의 140(c))이 형성되고, 홀의 위치와 대응되는 절연층(120) 상에는 하부 광반사층(도 2의 120(a) 또는 도 3의 120(b))이 형성된다.2 and 3,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includes a substrate 110, an insulating layer 120, a sacrificial layer 130, a ribbon layer 140, and a piezoelectric element 150. Here, a plurality of holes (140 (b) of FIG. 2 or 140 (d) of FIG. 3) are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ribbon layer 1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ibbon). In addition, an upper light reflection layer (140 (a) of FIG. 2 or 140 (c) of FIG. 3) is formed on a portion where no hole is formed in the ribbon, and a lower light reflection layer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1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le. (120 (a) of FIG. 2 or 120 (b) of FIG. 3) is formed.

또한, 압전 소자(150)는 2개의 전극(즉, 하부 전극(151) 및 상부 전극(153))간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압전층(152)의 수축 또는 팽창 정도에 따라 리본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압전 소자(150)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 리본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 위치(즉, 절연층(120)과 이격 거리 Smin인 위치)에 있다가, 임의의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가 전압에 상응하는 소정 위치(즉, 절연층(120)과 소정 이격 거리 S1인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element 150 vertically moves the ribb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152 generated by the driving voltage appli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ie, the lower electrode 151 and the upper electrode 153). It gives driving force to move. For example, when no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150, the ribbon is in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4 (ie, the position S min from the insulating layer 120).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voltage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ed voltage (ie, a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S 1 from the insulating layer 120).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즉, 압전 회절형 광변조기)에서의 광변조 원리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후술할 도 7의 BB'선을 기준선으로 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light modulation principle in the piezoelectric type optical modulator (that is, piezoelectric diffraction type optical modula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B 'line of FIG. 7 to be described later as a reference line.

먼저 도 6의 (a)에서, 광변조기로 입사된 빛의 파장이 λ인 경우 상부 광반사층(140(a))이 형성된 리본과 하부 광반사층(120(a))이 형성된 절연층(120)간의 간격이 (2n)λ/4(n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제1 구동 전압이 압전 소자(150)에 인 가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0차 회절광의 경우 상부 광반사층(140(a))에서 반사된 광과 하부 광반사층(120(a))에서 반사된 광 사이의 전체 경로차는 nλ와 같아서 보강 간섭을 하여 회절광은 최대 휘도를 가지며, +1차 및 -1차 회절광의 경우 광의 휘도는 상쇄 간섭에 의해 최소 휘도를 갖는다.First, in FIG. 6A, when the wavelength of light incident on the light modulator is λ, the insulating layer 120 having the ribbon on which the upper light reflection layer 140 (a) is formed and the lower light reflection layer 120 (a) are formed. It is assumed that a first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150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m becomes (2n) λ / 4 (n is a natural number).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zero-order diffracted light, the total path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upper light reflecting layer 140 (a)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light reflecting layer 120 (a) is equal to nλ. Luminance, and in the case of + 1st and -1st diffraction light, the brightness of light has a minimum brightness due to destructive interference.

도 6의 (b)에서, 상부 광반사층(140(a))이 형성된 리본과 하부 광반사층(120(a))이 형성된 절연층(120)간의 간격이 (2n+1)λ/4(n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제2 구동 전압이 압전 소자(150)에 인가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0차 회절광의 경우 상부 광반사층(140(a))에서 반사된 광과 하부 광반사층(120(a))에 반사된 광 사이의 전체 경로차는 (2n+1)λ/2와 같아서 상쇄 간섭을 하여 회절광은 최소 휘도를 가지며, +1차 및 -1차 회절광의 경우 보강 간섭에 의해 광의 휘도는 최대 휘도를 갖는다.In FIG. 6B, the distance between the ribbon on which the upper light reflection layer 140 (a) is formed and the insulating layer 120 on which the lower light reflection layer 120 (a) is formed is (2n + 1) λ / 4 (n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driving voltage to be a natural number)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150. In this case, in the case of zero-order diffracted light, the total path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upper light reflecting layer 140 (a)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light reflecting layer 120 (a) is equal to (2n + 1) λ / 2 to cancel. The interference light has the minimum luminance, and in the case of the + 1st and -1st diffraction light, the brightness of the light has the maximum brightness due to constructive interference.

이와 같이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는 압전 소자에 인가된 구동 전압에 따라 상부 광반사층(140(a)) 및 하부 광반사층(120(a))에 의해 각각 반사된 반사광의 간섭의 결과를 이용하여 반사광 또는 회절광의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신호를 빛에 실을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는 리본과 절연층(120)간의 간격이 (2n)λ/4 또는 (2n+1)λ/4가 되도록 하는 2가지 구동 전압을 인가한 경우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입사광의 반사 또는 회절에 의해 간섭되는 회절광의 세기(즉, 광량)를 조절할 수 있는 간격을 가지고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구동 전압이 압전 소자에 인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 픽셀별로 광변조를 위해 그 광강도 값을 0 ~ 255 단계로 구분하는 경우를 가 정(즉, 1 픽셀을 8비트 영상 데이터로 표현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총 256개의 구분되는 전압값(즉, 계조 전압값)을 갖는 구동 전압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의 구동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제어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구동 방식, 구동 신호에 의하여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가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iezoelectric type optical modulator reflects the reflected light using the result of the interference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upper light reflecting layer 140 (a) and the lower light reflecting layer 120 (a)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Alternatively, the signal can be loaded on the light by adjusting the amount of diffracted light. 6 illustrates only the case where two driving voltages are appli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ibbon and the insulating layer 120 is (2n) λ / 4 or (2n + 1) λ / 4. It is apparent that various sizes of driving voltages can b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s, which can be driven at intervals that can control the intensity (ie, amount of light) of the diffracted light interfered by the diffraction. For example, in the piezoelectric type optical modulato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the light intensity value is divided into 0 to 255 steps for light modulation for each pixel (i.e., 1 pixel is divided into 8 bit image data). Assuming a case of expression), a driving voltage having a total of 256 distinct voltage values (that is, gray scale voltage values) may be us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voltage control method for applying a voltage in driving a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but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may be driven by various driving methods and driving signals.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리본에 복수개의 홀이 구비된 광변조기를 중심으로 도시하였지만, 광 회절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전극간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여 변위 대상인 리본에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라면 아무런 제한없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4 to 6 illustrate the optical modulato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n the ribbon, the upper and lower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ribbon to be displaced by contracting and expanding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s in order to realize the optical diffraction characteristics. If the piezoelectric type optical modulator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to generate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out any limitation.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로 구성된 광변조기 어레이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광변조기 어레이의 일 응용례로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스크린에 투사되는 1 프레임의 영상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8의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 어레이의 일 응용례로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FIG. 7 is a plan view of an optical modulator array including the piezoelectric type optical modulator shown in FIG. 2, and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lor display apparatus a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optical modulator array of FIG. 7. FIG.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alizing an image of one frame projected on a screen according to the color display device of FIG. 8. Hereinafter, a color displa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piezoelectric type optical modulator array of FIG. 8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9.

도 8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3색 광원(210), 조명 광학계(220), 광변조기 어레이(230), 구동부(235), 릴레이 광학계(240), 스캐너(250), 투사 광학계(260), 스크린(270), 영상 제어 회로(280)을 포함한다. 여기서, 3색 광원(210), 조명 광학 계(220), 릴레이 광학계(240), 투사 광학계(260)는 프로젝션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일반적인 구성부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lor display device of FIG. 8 includes a three-color light source 210, a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220, an optical modulator array 230, a driver 235, a relay optical system 240, a scanner 250, a projection optical system 260, and a screen. 270, an image control circuit 280. Here, the three-color light source 210, the illumination optical system 220, the relay optical system 240, 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260 are common components in a display device such as a projection devic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3색 광원(210)은 영상 제어 회로(280)로부터 전달되는 소정의 광원 제어 신호(212, 214 또는 216)에 해당하는 색광을 조사하며, 이는 조명 광학계(220)를 거쳐 광변조기 어레이(230)로 입사된다.The three-color light source 210 irradiates color light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light source control signal 212, 214, or 216 transmitted from the image control circuit 280, which passes through the illumination optical system 220 and the light modulator array 230. Incident.

광변조기 어레이(230)는 도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광변조기 어레이(230)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 화소(pixel #1), 제2 화소(pixel #2), …, 제m 화소(pixel #m)를 각각 하나씩 담당하는 m개의 광변조기(100-1, 100-2, …, 100-m)로 구성됨으로써, 수직 주사선 혹은 수평 주사선에 해당하는 1차원 영상의 구현을 위한 광변조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에 구현되는 영상이 도 9와 같이 640(수평 픽셀수) ㅧ 480(수직 픽셀수) 해상도를 갖고, 광변조기 어레이(230)가 수직 주사선에 해당하는 1차원 영상의 구현을 위한 광변조를 담당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광변조기 어레이(230)는 상기 수직 픽셀수에 대응되는 총 480개의 광변조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tical modulator array 23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7. That is, the optical modulator array 230 includes the first pixel (pixel # 1), the second pixel (pixel # 2), ... as shown in FIG. And m optical modulators 100-1, 100-2,..., And 100-m each responsible for one m-th pixel (pixel #m), thereby realizing a 1D image corresponding to a vertical scan line or a horizontal scan line. Light modulation is performed for. For example, an image implemented on a screen has a resolution of 640 (horizontal pixels) ㅧ 480 (vertical pixels) as shown in FIG. 9, and the optical modulator array 230 is used to implement a 1D image corresponding to a vertical scan line. Assuming the case of light modulation, the light modulator array 230 may be configured with a total of 480 light modulato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ertical pixels.

이때, 광변조기 어레이(230)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변조기는 수직 주사선을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에 대한 광강도 정보에 따라 입사된 색광에 대한 광변조를 수행하여 회절광을 생성한다. 여기서, 광강도 정보는 영상 제어 회로(280)로부터 전달(도 8의 광변조기 제어 신호 참조)되며, 구동부(235)는 전달된 해당 광강도 정보에 상응하는 소정 크기의 구동 전압을 각각의 광변조기(정확하게는 각 광변조기에 포함된 압전 소자)에 인가함으로써, 광변조기 어레이(230)가 1차원 영상의 구현을 위한 광변조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each optical modulator constituting the optical modulator array 230 performs light modulation on the incident color light according to the light intensity information for each pixel constituting the vertical scanning line to generate diffracted light. Herein, the light intensi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image control circuit 280 (see the light modulator control signal of FIG. 8), and the driving unit 235 transmits a driving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information of each light modulator. By applying to the piezoelectric elements included in each optical modulator, the optical modulator array 230 can perform optical modulation for realizing a 1D image.

스캐너(250)는 광변조기 어레이(230)로부터 전달된 변조광(즉, 회절광)을 영상 제어 회로(280)로부터 전달된 스캐너 제어 신호에 따라 스크린(270) 상에 스캔한다. 예를 들어, 스캐너(250)는 도 9와 같이 광변조기 어레이(230)로부터 전달된 각각의 수직 주사선(제1 수직 주사선 내지 제n 수직 주사선)에 해당하는 1차원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스캔함으로써 스크린(280) 상에 2차원 영상이 표시될 수 있게 한다.The scanner 250 scans the modulated light (ie, diffracted light)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modulator array 230 on the screen 270 according to the scanner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control circuit 280. For example, the scanner 250 scans, in a horizontal direction, a one-dimensional image corresponding to each vertical scan line (first vertical scan line to nth vertical scan line)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modulator array 230 as shown in FIG. 9. A two-dimensional image may be displayed on 280.

상술한 색광의 광변조 및 스캔 과정을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에 대하여 각각 1회씩 수행하게 되면, 스크린(280) 상에는 1 프레임의 컬러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에 대한 광변조에 걸리는 총 시간은 1/(텔레비전 방송 방식에 따른 필드 주파수) 내 이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빛의 3원색인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와 다른 색광의 조합에 의해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When the light modulation and scanning process of the color light is performed once for the red light, the green light, and the blue light, the color image of on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280. Here, the total time for light modulation for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should be within 1 / (field frequency according to the television broadcasting metho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lor image is implemented using red, green, and blue light, which are three primary colors of light, as an example.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color image may be realized by a combination of different color lights.

텔레비전 방송 방식에 따른 필드 주파수는 사람이 시각적으로 동영상 화면의 끊김을 감지할 수 없는 최소 주파수를 의미한다.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텔레비전 방송방식은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 PAL(phase alternation by line) 방식 등이 있다. NTSC 방식은 적색, 녹색, 청색의 삼원색 신호를 하나의 휘도신호(Y)와 두 개의 색차신호(I, Q)로 행렬변환한 다음 다중화하여 6MHz의 주파수 대역폭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PAL 방식은 NTSC 방식의 단점인 색 상의 전송방식을 보완한 방식이다. NTSC 방식은 주사선이 525개, 필드 주파수가 60Hz로 구성되어 있으며, PAL 방식은 주사선이 625개, 필드 주파수가 50Hz로 구성되어 있다.The field frequency according to the television broadcasting method means a minimum frequency at which a human cannot visually detect a break in the moving picture screen. As a color display apparatus, a television broadcasting method includes an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method, a PAL (phase alteration by line) method, and the like. The NTSC method converts the three primary color signals of red, green, and blue into one luminance signal (Y) and two color difference signals (I, Q), and then multiplexes and transmits them in a frequency bandwidth of 6 MHz. The PAL method complements the color transmission method,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NTSC method. The NTSC system consists of 525 scan lines and 60 Hz field frequency. The PAL method consists of 625 scan lines and 50 Hz field frequency.

따라서, 필드 주파수에 따라 빛의 3원색인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에 대한 각각의 변조광이 1/(필드 주파수, 예를 들어 NTSC 방식의 경우 60Hz, PAL 방식의 경우 50Hz) 시간내에 한 화면 상에 각각 한번씩 투사되면 사람의 눈은 동시에 적색, 녹색, 청색을 모두 포함하는 풀 컬러 영상이 표현된 화면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즉, 적색, 녹색, 청색에 대한 총 3개의 서브 프레임이 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1 프레임의 컬러 영상이 구현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field frequency, each modulated light for the three primary colors of light,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is displayed on one screen within 1 / (field frequency, for example, 60 Hz for NTSC, 50 Hz for PAL). Once projected once, the human eye recognizes that a screen in which a full color image including red, green, and blue is simultaneously formed is formed. That is, a total of three subframes of red, green, and blue are displayed on one screen to realize a color image of one frame.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 있어서의 그 구동 전압 산출 방법과 이에 따른 구동 방법 및 광변조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voltage calculation method, the driving method, and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in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 장치는 전극간(예를 들어,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의 하부 전극(151) 및 상부 전극(153) 참조)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압전층(도 2 내지 도 5의 식별번호 152 참조)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변위 대상의 위치 변화가 유도되고, 변위 대상에 유도된 변위에 상응하여 입사광을 회절시킨 회절광을 출력하는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도 2 내지 도 5 참조)와, 전극간 인가될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도 8의 식별번호 23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압전 소자, 광변조기, 구동부는 상술한 도 2 내지 도 9에서 사용한 식별번호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ezoelectric layer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s (for example, the lower electrode 151 and the upper electrode 153 of FIGS. 2 to 5 described above).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outputs diffraction light diffracted by incident light in response to the displacement induced by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of (see identification number 152 of FIGS. 2 to 5) and the displacement induced on the displacement object. 2 to 5, and a driving unit (see identification number 235 of FIG. 8) for generating a driving voltage to be applied between electrodes.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optical modulator, and the driving unit use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s as those used in FIGS. 2 to 9.

도 10은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인가 전압과 출력 광량 간의 전압-광량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에 이용되는 목표 광량에 대한 산출 구동 전압에서의 광량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s between an applied voltage and an output light quantity in a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and FIG. 11 is a calculation of a target light quantity used in a method of driving an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light quantity error in a drive voltage.

도 10 및 도 11에는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인가 전압과 출력 광량 간의 전압-광량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곡선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여기서, 전압-광량 특성 곡선의 수평축은 인가 전압을, 수직축은 그에 따른 회절광의 광량을 나타낸다.10 and 11 show examples of characteristic curves showing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s between an applied voltage and an output light amount in a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Here, the horizontal axis of the voltage-light-quantity characteristic curve represents the applied voltag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light quantity of the diffracted light accordingly.

즉, 도 10 및 도 11은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 2개의 전극(즉, 하부 전극(151) 및 상부 전극(153))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변화된 절연층(120)(보다 정확히는 절연층(120) 상에 형성된 하부 광반사층)과 변위 대상인 리본(보다 정확히는 리본 상에 형성된 상부 광반사층) 간의 이격 간격에 의하여 입사광이 회절되어 출력된 회절광의 광량(즉, 출력 휘도)의 출력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That is, FIGS. 10 and 11 illustrate an insulating layer 120 (or more precisely, an insulating layer) changed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wo electrodes (ie, the lower electrode 151 and the upper electrode 153) in a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120 show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amount of light (ie, output luminance) of diffracted light which is diffracted by incident light due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wer light reflection layer formed on 120) and the ribbon to be displaced (more precisely, the upper light reflection layer formed on the ribbon). have.

이러한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전압-광량 특성은 앞서 설명한 압전층(152)에서 발생하는 인가 전압에 따른 분극 현상과 관련되어 도 1에 예시된 분극 이력 곡선과 유사한 형태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지 아니하고서도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왜냐하면, 광변조기로부터 출력 되는 회절광의 휘도 세기(즉, 광량)는 인가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절연층(120)과 리본 간의 이격 간격에 의해 결정되는 것임을 앞서 도 6에서 설명하였고, 또한 이러한 이격 간격(즉, 변위)는 압전층(152)의 분극에 따라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분극 이력 특성(즉, 전압-변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In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the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is similar to the polarization hysteresis curve illustrated in FIG. 1 in relation to the polarizat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layer 152 described above. You can check it. This is a content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a separate 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is is because the luminance intensity (ie, the amount of light) of the diffracted light output from the optical modulator is determined by the separation interval between the ribbon and the insulating layer 120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That is, the displacement) indicates polarization hysteresis characteristics (ie, voltage-displacement characteristics) as illustrated in FIG. 1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152.

즉,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전압-광량 특성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 전압이 증가하는 방향에서의 특성에 따른 증가 곡선(식별번호 50 참조)과 인가 전압이 감소하는 방향에서의 특성에 따른 감소 곡선(식별번호 60 참조)의 2가지 형태를 갖게 된다. 이는 앞서 누차 설명한 바와 같이 압전층(152)의 분극 이력 곡선과 유사하게 일반적인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의 전압-광량 특성 곡선을 참조하면, 동일 수치를 갖는 출력 광량에 대하여 이에 대응되는 인가 전압값은 증가 곡선(50) 및 감소 곡선(60)에 의하여 각각 1개씩 총 2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서 출력 광량의 크기(또는 출력 휘도의 세기) P4에 해당하는 인가 전압값은 증가 곡선(50)에 대응하여 V1과 감소 곡선(60)에 대응하여 V2가 존재하고 있다. 결국 이는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전압-광량 특성이 압전층(152)의 분극 이력 특성에 상응하는 곡선의 형태를 가지게 됨으로써, 서로 다른 전압값(즉, V1과 V2)이 전극간에 인가됨에도 광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회절광의 광량은 동일 수치(즉, P4)를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That is, the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of the piezoelectric type optical modulator is an increase curv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lied voltage increases as shown in FIGS. 10 and 11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lied voltage decreases. There are two forms of decay curves (see Ident. No. 60)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hysteresis curve has a general shape similar to the polarization hysteresis curv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52. Therefore, referring to the voltage-light-quantity characteristic curves of FIGS. 10 and 11, for the output light quantity having the same value, the applied voltage values corresponding thereto are each one by the increase curve 50 and the decrease curve 60. There is a dog. For example, in FIGS. 10 and 11, the applied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r intensity of output luminance) P 4 of the output light quantity is V 1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curve 50 and V corresponding to the decrease curve 60. 2 is present. As a result, the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of the piezoelectric type optical modulator has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hysteresis characteristic of the piezoelectric layer 152, so that different voltage values (ie, V 1 and V 2 ) are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s. This means that the amount of diffracted light output from the optical modulator will have the same value (ie, P 4 ).

상술한 전압-광량 특성에 따라서 광변조기에 구동 전압을 인가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즉, 실제 목표하는 광량을 갖는 회절광을 정확히 생성해내기 위해서는 전압-광량 특성에 따라 인가 전압이 증가되는 방향을 가질때와 감소하는 방향을 가질때를 분리 고려하여 각각에 상응하는 전압값을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으로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인가 전압의 증가 방향과 감소 방향을 분리 고려하여 구동 전압을 광변조기에 인가하는 방식은 그 구동부의 설계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광변조 장치의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를 아울러 발생시키게 된다. 결국, 광변조 장치의 설계, 구성 및 비용상의 문제를 고려할 때 목표하는 광량치를 구현하기 위한 실제 구동 전압으로서는 어느 하나의 전압값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압-광량 특성 곡선에서의 증가 곡선(50) 및 감소 곡선(60) 중 어느 하나의 곡선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전압값(즉, V1 또는 V2)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목표 광량을 기준으로 큰 광량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voltage-light-quantity characteristic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problems are encountered in applying the driving voltage to the optical modulator. That is, in order to accurately generate the diffracted light having the actual target amount of light,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ight modulators is separately considered when the applied voltage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the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s. There is a problem that should be used as the driving voltage. However, the method of applying the driving voltage to the optical modulator in consideration of the increase direction and the decrease direction of the applied voltage in this way complicates the design of the driving unit,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optical modulator increases. .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design, configuration, and cost of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it is preferable to apply any one of the voltage values as the actual driving voltage for realizing the target light quantity value, and to increase the curve 50 in the voltage-light intensity characteristic curve. In the case of selecting any one of the voltage values (that is, V 1 or V 2 )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curves and / or the reduction curve 60,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light quantity error occurs based on the target light quantity.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1.

예를 들어, 도 11에서 목표 광량 P4를 구현하기 위한 구동 전압으로서 전압-광량 특성 곡선 중 감소 곡선(60)에 해당하는 전압값인 V2를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광변조기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이 감소 방향에 있을 때에는 감소 곡선(60)에 따라 광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회절광의 출력 광량이 원래 의도하는 목표 광량치인 P4를 정확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광변조기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이 증가 방향에 있을 때를 가정하게 되면, 증가 곡선(50)에 따라 회절광의 목표 광량이 원래의 의도와는 달리 목표 광량치인 P4에 훨씬 못미치는 임의의 값(도 11의 식별부호 PK 참조)을 갖게 된다. 이때의 광량 오차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ΔP0만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가정에 있어서 인가 전압이 증가 방향에 있게 되면, 광변조기로부터 출력된 회절광의 휘도가 의도하는 목표치를 갖지 못하게 되어 이를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스크린 상에 실제 의도하는 컬러와 큰 차이를 갖는 의도하지 않은 컬러에 의한 왜곡된 컬러 영상이 구현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For example, assume a case in which V 2 , which is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duction curve 60, is selected from the voltage-light-quantity characteristic curves as a driving voltage for implementing the target light quantity P 4 in FIG. 11. In this case, when the applied voltage applied to the optical modulator is in the decreasing direction, the output light quantity of the diffracted light output from th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reduction curve 60 can accurately realize P 4 , which is a target light quantity value originally intended. On the contrary, on the contrary, assuming that the applied voltage applied to the optical modulator is in the increas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curve 50, the target light amount of the diffracted light is much lower than the target light amount P 4 , which is contrary to the original intention. values (see the identification code K P in Fig. 11) is given. At this time, the amount of light error is generated by ΔP 0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assumption, when the applied voltage is in the increasing direction, the luminance of the diffracted light output from the optical modulator does not have the intended target value. It causes a problem that a distorted color image due to an unintended color having a difference is realiz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변조 장치는 아래와 같은 구동 방식을 채용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driving method and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following driving metho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광변조기에서의 전압-광량 특성 곡선으로부터 목표하는 회절광의 출력 광량에 상응하여 각각 증가 곡선(50) 및 감소 곡선(60)에서 추출되는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치를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 산출하여 이를 광변조기(보다 정확히는 2개의 전극)에 인가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That is, the driving method of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racted from the increase curve 50 and the reduction curve 60 corresponding to the output light amount of the target diffraction light from the voltage-light intensity characteristic curve in the optical modulator, respectively. The arithmetic mean value of the two voltage values to be calculated as a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light amount is applied to the optical modulator (more precisely two electrodes).

이를 도 1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서 목표 광량 P4를 구현하기 위한 구동 전압으로서 전압-광량 특성 곡선 중 각각 증가 곡선(50)에 해당하는 전압값인 V1과 감소 곡선(60)에 해당하는 전압값인 V2의 산술 평균값인 Vmean(즉, Vmean = {V1 + V2}/2)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와 같이 산술 평균값인 Vmean을 목표 광량 P4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 선택하게 되면, 인가 전압이 증가 방향에 있든지 그리고 감소 방향에 있는지에 상관없이 실제 목표하는 목표 광량 P4를 구현할 수는 없다. 하지만, 목표 광량 P4를 기준으로 할 때의 목표 광량과 실제 출력 광량 간의 광량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즉, 목표 광량 P4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서 Vmean을 인가하는 경우, 광변조기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이 증가 방향에 있을 때의 광량 오차는 ΔP1만큼 발생하고, 광변조기에 인가되는 인가 전압이 감소 방향에 있을 때의 광량 오차는 ΔP2만큼 발생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전압-광량 특성 곡선에서 인가 전압이 증가 방향에 있든, 감소 방향에 있든 목표 광량과 비교하였을 때 광량 오차가 발생하게 되지만, 이때의 광량 오차(도 11의 경우 ΔP1 또는 ΔP2)는 종래의 방식에 따라 증가 곡선(50) 또는 감소 곡선(60)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전압값을 구동 전압으로 사용하였을 때의 광량 오차(도 11의 경우 ΔP0)에 비하여 대략 절반으로 줄어들게 된다(아래의 수학식 1 참조).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as an example. In FIG. 11, arithmetic expressions of a voltage value V 1 corresponding to an increase curve 50 and a voltage value V 2 corresponding to a decrease curve 60 are shown as driving voltages for implementing the target light amount P 4 in FIG. 11. Assume that the average V mean (that is, V mean = {V 1 + V 2 } / 2) is selected. When the arithmetic mean value V mean is selected as the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light amount P 4 , the actual target light amount P 4 cannot be realized regardless of whether the applied voltage is in the increasing direction or the decreasing direction. However, the light quantity error between the target light quantity and the actual output light quantity when the target light quantity P 4 is referred to can be reduced. That is, when V mean is applied as the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light amount P 4 , the light amount error when the applied voltage applied to the optical modulator is in the increasing direction occurs by ΔP 1 , and the applied voltage applied to the optical modulator decreases. The light quantity error when in the direction occurs by ΔP 2 . That is, whe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light quantity error occurs when the applied voltage in the voltage-light-quantity characteristic curve is in the increasing direction or the decreasing direction compared to the target light quantity. The light quantity error (ΔP 1 or ΔP 2 in the case of FIG. 11) is a light quantity error when one of the volt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curve 50 or the decrease curve 60 is used as a driving voltag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case of 11, it is reduced by about half compared to ΔP 0 ) (see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7062301137-PAT00001
Figure 112007062301137-PAT00001

따라서, 전압-광량 특성 곡선으로부터 추출되는 목표 광량에 상응하는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치를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서 인가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설계자가 의도하는 실제 목표 광량과는 약간의 오차가 있는 출력 광량을 갖는 회절광을 광변조기로부터 생성 출력시키게 되지만, 종래 방식에 비하여 그 광량 오차를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응용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회절광의 광량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아주 정확한 컬러 영상을 구현하지는 못하지만, 종래에 비하여 그 오차가 훨씬 줄어들게 되므로 보다 선명하고 목표 색상에 보다 근접한 화질, 색상을 갖는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ithmetic mean value of two volt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ight quantity extracted from the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curve is applied as the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light quantity. Although the diffracted light having the output light amount having a slight error from the intended actual target light amount is generated and output from the optical modulator, the light amount error can be reduced by about half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fore, assuming that the driving method of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lor display device, a very accurate color image to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diffracted light is not realized, but the error is much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of realizing a color image having a vivid, closer image quality and color closer to the target color.

이하, 도 12의 순서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에 적용되는 구동 전압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riving voltage calculation method applied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optical mod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12.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voltage calculation method of an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단계 S110을 참조하면, 먼저 광변조기에서 인가 전압과 출력 광량 간의 전압-광량 특성을 측정한다. 본 단계를 통하여 제작된 광변조기에서의 압전층(152)의 분극 이력에 따라 발생하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은 전압-광량 특성 곡선이 얻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단계에서는 소정의 정격 전압을 광변조기의 전극간에 증가하는 방향으로 또한 감소하는 방향으로 각각 인가해보면서 이에 따라 출력되는 회절광의 출력 광량(즉, 회절광의 휘도 세기)를 측정하여 제작된 광변조기가 나타내는 전압-광량 특성 곡선(또는 이에 상응하는 전압-광량 특성 테이블)을 구하게 된다.Referring to step S110 of FIG. 12, first, a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between an applied voltage and an output light quantity is measured in an optical modulator. Through this step, the voltage-light-quantity characteristic curves as shown in FIGS. 10 and 11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history of the piezoelectric layer 152 in the fabricated optical modulator can be obtained. That is, in this step, a predetermined rated voltage is applied to each of the electrodes of the optical modulator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respectively, and the output light of the diffracted light (i.e., the luminance intensity of the diffracted light) is measured. The voltage-light intensity characteristic curve (or the corresponding voltage-light intensity characteristic table) indicated by the modulator is obtained.

도 12의 단계 S120을 참조하면, 앞선 단계를 통하여 측정된 광변조기의 전압-광량 특성으로부터 회절광의 목표 광량에 상응하는 2개의 전압값을 추출한다. 즉, 앞서 도 10 및 도 11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단계를 통하여서는 어느 임의의 목표 광량에 상응하여 전압-광량 특성 곡선에서 각각 증가 곡선(50) 및 감소 곡선(60)에 해당하는 각 전압값을 추출하게 된다.Referring to step S120 of FIG. 12, two voltag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mount of diffracted light are extracted from the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of the optical modulator measured through the previous step. Tha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through this step, each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curve 50 and the decrease curve 60 in the voltage-light intensity characteristic curve,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ny desired target amount of light. The value will be extracted.

도 12의 단계 S130을 참조하면, 전압-광량 특성 곡선으로부터 목표 광량에 상응하여 추출된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치를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서 산출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은 전압-광량 특성 곡선으로부터 목표 광량에 상응하여 추출된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치에 해당하는 대체 전압값을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술 평균치에 해당하는 대체 전압을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 이용함으로써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발생하는 광량 오차를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다.Referring to step S130 of FIG. 12, an arithmetic mean value of two voltage values extracted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ight quantity from the voltage-light intensity characteristic curve is calculated as the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light quantity. That is, the driving voltage calculation method of th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replacement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arithmetic mean value of two voltage values extracted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ight quantity from the voltage-light intensity characteristic curve for the target light quantity. It is used as a voltage.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substitut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arithmetic mean as the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light amount, the light amount error generat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can be reduced by about half.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 및 이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는 전압-광량 특성 곡선으로부터 추출된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치에 해당하는 대체 전압을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 로서 이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산술 평균치 이외에도 상기 2개의 전압값 사이의 어느 일 전압값(예를 들어, 기하 평균값 등)에 해당하는 대체 전압을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광량 오차가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줄어듬을 당업자는 상술한 설명을 통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driving voltage of the optical modulator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voltage is a target of an alternative voltage corresponding to an arithmetic mean value of two voltage values extracted from the voltage-light intensity characteristic curve. Although a description has been made mainly on the case of using as a driving voltage for the light quantity, in addition to the arithmetic mean value, an alternative voltage corresponding to one voltage value (for example, geometric mean value, etc.) between the two voltage values is a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light quantity.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as an example, and in this case,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that the light quantity error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본 단계를 통하여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서 산출된 대체 전압값은 별도 저장 장치(예를 들어, 이러한 대체 전압의 저장을 위한 저장 장치는 도 8의 영상 제어 회로(280)의 내부 또는 별도 구비될 수 있음)에 저장되어 이후 광변조기의 구동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12의 단계 S140 참조).The alternative voltage value calculated as the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light amount through this step may be a separate storage device (for example,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replacement voltage may be provided inside or separately of the image control circuit 280 of FIG. 8). It can be stored in the) and then used to drive the optical modulator (see step S140 of Figure 12).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도 1a는 압전 소자에 인가된 구동 전압에 따른 변위 대상에 발생된 변위에 나타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예시한 도면.1A is a diagram illustrating hysteresis characteristics in displacements generated at displacement objects according to driving voltages applied to piezoelectric elements.

도 1b는 압전 소자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일 예로서 계단 형태의 전압을 나타낸 도면.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ped voltage as an example of a driving voltage applied to a piezoelectric element.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구동 전압이 압전 소자에 인가되었을 경우 압전 소자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따라 변위 대상에 발생하는 변위를 나타낸 도면.FIG. 1C is a view showing a displacement occurring in a displacement target according to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when the driving voltage shown in FIG. 1B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적용 가능한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의 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structure of a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to which the driving method of th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적용 가능한 압전 방식의 광 변조기의 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a piezoelectric light modulator to which a method of driving an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의 리본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ribbon when no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shown in FIG. 3.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 경우의 리본의 위치를 예시한 도면.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ribbon when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shown in FIG. 3.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광 변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 modulation principle in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shown in FIG.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로 구성된 광변조기 어레이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n optical modulator array including the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shown in FIG.

도 8은 도 7의 광변조기 어레이의 일 응용례로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 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lor display device a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optical modulator array of FIG. 7.

도 9는 도 8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스크린에 투사되는 1 프레임의 영상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9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alizing an image of one frame projected on a screen according to the color display device of FIG. 8; FIG.

도 10은 압전 방식의 광변조기에서의 인가 전압과 출력 광량 간의 전압-광량 특성을 나타낸 도면.10 is a diagram showing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s between an applied voltage and an output light quantity in a piezoelectric optical modulato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에 이용되는 목표 광량에 대한 산출 구동 전압에서의 광량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 amount error in a calculated driving voltage with respect to a target light amount used in a method of driving an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voltage calculation method of an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50 : 압전 소자 151 : 하부 전극150 piezoelectric element 151 lower electrode

152 : 압전층 153 : 상부 전극152: piezoelectric layer 153: upper electrode

230 : 광변조기 어레이 235 : 구동부230: optical modulator array 235: drive unit

Claims (8)

전극간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른 압전층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변위 대상의 위치 변화가 유도되고, 상기 변위 대상에 유도된 변위에 상응하여 입사광을 회절시킨 회절광을 출력하는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에 있어서,Position change of the displacement target is induced by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applied between electrodes, and the driving voltage of the optical modulator outputs diffracted light diffracted incident light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induced on the displacement target. In the method, (a) 상기 압전층의 분극 이력에 따른 상기 광변조기에서의 인가 전압과 출력 광량 간의 전압-광량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a) measuring a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between an applied voltage and an output light amount in th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history of the piezoelectric layer; (b) 상기 측정된 전압-광량 특성으로부터 상기 회절광의 목표 광량에 상응하는 2개의 전압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b) extracting two voltage values corresponding to a target light quantity of the diffracted light from the measured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And (c) 상기 추출된 2개의 전압값 사이의 일 전압값을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 산출하는 단계(c) calculating one voltage value between the extracted two voltage values as a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amount of light; 를 포함하는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Driving voltage calculation method of the optical modulat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압-광량 특성은 상기 분극 이력에 의해 인가 전압이 증가되는 방향과 감소되는 방향에 따라 동일 광량에 대하여 다른 전압값을 갖는 히스테리시스 곡선 형태로 나타나고, 상기 단계 (b)에서 추출되는 상기 2개의 전압값은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하여 상기 히스테리시스 곡선 중 각각 증가 방향과 감소 방향에 상응하여 얻어지는 전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The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is in the form of a hysteresis curve having different voltage values for the same light quantit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lied voltage increases and decreases due to the polarization history, and the two voltages extracted in step (b). And a value is a voltage value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direction and the decrease direction of the hysteresis curve with respect to the target amount of light,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 전압값은 상기 추출된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And said one voltage value is an arithmetic mean value of said two extracted voltage valu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 (c) 이후에,After step (c), (d)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구동 전압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기의 구동 전압 산출 방법.and (d) storing the driving voltage calculated for the target amount of light. 전극간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른 압전층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변위 대상의 위치 변화가 유도되고, 상기 변위 대상에 유도된 변위에 상응하여 입사광을 회절시킨 회절광을 출력하는 광변조기와 상기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광변조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Position change of the displacement target is induced by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optical modulator for outputting diffracted light diffracted incident light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induced in the displacement target and the driving voltage In the method for driving an optical modulator comprising a drive unit for generating a; (a) 상기 압전층의 분극 이력에 따른 상기 광변조기에서의 인가 전압과 출력 광량 간의 전압-광량 특성 곡선으로부터 상기 회절광의 목표 광량에 상응하여 추출되는 2개의 전압값 사이의 일 전압값을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 발생 시키는 단계; 및(a) The target voltage value between two voltage values extracted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ight amount of the diffracted light from the voltage-light-quantity characteristic curve between the applied voltage in the optical modulator and the output light amount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history of the piezoelectric layer. Generating a driving voltage for the amount of light; And (b)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을 상기 전극간에 인가하는 단계(b) applying a driving voltage for the target amount of light between the electrodes; 를 포함하는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Method of driving an optical modulator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일 전압값은 상기 추출된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 장치의 구동 방법.And said one voltage value is an arithmetic mean value of said two extracted voltage values. 전극간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른 압전층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변위 대상의 위치 변화가 유도되고, 상기 변위 대상에 유도된 변위에 상응하여 입사광을 회절시킨 회절광을 출력하는 광변조기; 및An optical modulator for induc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displacement target by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according to a driving voltage applied between electrodes, and outputting diffracted light diffracted by incident light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induced in the displacement target; And 상기 전극간 인가될 상기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A driving unit generating the driving voltage to be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s,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압전층의 분극 이력에 따른 상기 광변조기에서의 인가 전압과 출력 광량 간의 전압-광량 특성 곡선으로부터 상기 회절광의 목표 광량에 상응하여 추출되는 2개의 전압값 사이의 일 전압값을 상기 목표 광량에 대한 구동 전압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 장치.The driving unit targets one voltage value between two voltage values extracted corresponding to a target light amount of the diffracted light from a voltage-light quantity characteristic curve between an applied voltage and an output light amount in the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history of the piezoelectric layer. An optical modulator,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ed by the driving voltage for the amount of ligh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일 전압값은 상기 추출된 2개의 전압값의 산술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조 장치.And said one voltage value is an arithmetic mean value of said two extracted voltage values.
KR1020070086256A 2007-08-27 2007-08-27 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for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and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using it KR200900216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56A KR20090021615A (en) 2007-08-27 2007-08-27 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for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and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56A KR20090021615A (en) 2007-08-27 2007-08-27 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for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and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us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615A true KR20090021615A (en) 2009-03-04

Family

ID=4069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256A KR20090021615A (en) 2007-08-27 2007-08-27 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for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and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161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6541A (en) * 2015-04-27 2016-12-08 株式会社リコー Optical deflector, two-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6541A (en) * 2015-04-27 2016-12-08 株式会社リコー Optical deflector, two-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665B1 (en) Compensating data calcul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7079577A (en) Color display device using bi-directional scanning method
KR100906799B1 (en) Driving method for piezoelectric element and optical modulatior and record medium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KR20090021615A (en) Method for calculating driving voltage of optical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for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and optical modulating apparatus using it
KR100906798B1 (en) Piezoelectric actuatating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optical modulating device using it
KR100827619B1 (en) Method for correcting image distort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0861344B1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optical modulator and image controlling method
KR100812644B1 (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patial optical modulator and spatial optical modulator compensating method
KR100831925B1 (en) Scanning colo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ur color
KR20090021612A (en) Display device for compensating optical modulator&#39;s displacement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variation
KR100892068B1 (en) Scanning color display apparatus which can control gamma, color image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able medium thereof
KR100782004B1 (en) Color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color images
KR100851070B1 (en) Scanning colo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ur color,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color image
KR20090021622A (en) Apparatus for calibrating optical modulator
KR100815332B1 (en) White Balance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System having Individual Red, Green and Blue Laser Diode Light Source
US7515328B2 (en) Apparatus for resetting location of reflective part of diffractive optical modulator
KR100718505B1 (en) Color display apparatus using two panels
KR100861064B1 (en) Color display apparatus using bi-direction scanning method
KR100803753B1 (en) Colo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lor images
KR100879054B1 (en) Scanning color display apparatus which can control gamma, color image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able medium thereof
KR100818190B1 (en) Method for compensating a physical variation of optical modulator and display apparatus appling the method
KR100906801B1 (en) Optical modulator having multiple ribbon structure
KR100865541B1 (en) Method for correcting inhomogeneous pixels of optical modulator and Apparatus thereof
KR100892339B1 (en) Displaying apparatus for correcting image distortion including meander type transparent glass
KR20070034666A (en) Image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and scanning display device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