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595A -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595A
KR20090021595A KR1020070086228A KR20070086228A KR20090021595A KR 20090021595 A KR20090021595 A KR 20090021595A KR 1020070086228 A KR1020070086228 A KR 1020070086228A KR 20070086228 A KR20070086228 A KR 20070086228A KR 20090021595 A KR20090021595 A KR 20090021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scue
user terminal
disaster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식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8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1595A/ko
Priority to US12/073,624 priority patent/US20090061891A1/en
Publication of KR2009002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재난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재난 알림 서버 및 구조 센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가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알림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 센터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식 구조장치로부터 발신된 RF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구조 요청, 단말기, RF 모듈

Description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asking rescue by detecting signal of disaste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재난 발생시 구조 요청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난 발생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광범위한 보급과 함께 일반인들에게 이동통신 단말기는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순히 문자 혹은 음성 통화를 주고 받는 것을 넘어서서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추적 기능까지 가능해졌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말기 보유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 이동전화 기지국의 셀반경으로 위치가 파악되었으며, 보호 대상체의 특성상 단말기를 통해 자기의 위치를 정확히 표현하지 못해 긴급구조를 요청하더라도 시간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사항으로 인해 단말기 가입자가 신속성을 요하는 긴급구조 요청시 고도의 정확도를 가진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였다. 아울러, 재난자는 자기가 속한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긴급구조를 요청 하더라도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구호 기술은 긴급상황에 놓인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예를 들어, 긴급버튼 입력 등)을 통하여, 재난 발생을 외부로 알려줘야 하였다. 그러나, 위기 상황에 놓인 사용자는 그러한 간단한 조작조차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사고 등으로 사용자와 단말기간의 거리가 생겨 단말기를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재난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에게 재난이 발생한 경우, 단말기가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해당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는 RF 모듈을 구비한 구조대로부터 해당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버튼 조작 없이도 단말기가 자동으로 재난 신호를 감지하고, RF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재난에 처한 단말기 사용자의 구조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난 발생시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알림 서버 및 구조 센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가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알림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 센터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 식 구조장치로부터 발신된 RF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난 발생 신호는 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RF 신호는 구조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조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RF 신호는 특정 주파수 대역인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이동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인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조 센터는 상기 재난 알림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기지국 단위의 위치를 미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조 센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상기 구조 센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주변의 이동식 구조장치로부터 수신된 RF 응답신호에 포함된 RF 신호를 송출한 송출시간정보 및 상기 이동식 구조장치들이 상기 RF 신호를 수신한 시간에 대한 수신시간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RF 응답신호는 RF 신호 세기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 센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주변의 이동식 구조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RF 신호 세기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이동식 구조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RF 신호 세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이동식 구조장치 사이의 거리의 제곱, 거리의 세제곱 및 거리의 네제곱 중 어느 하나의 변수에 반비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RF 응답신호는 RF 신호의 위상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상기 RF 신호의 위상정보를 더 고려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이동식 구조장치는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난 발생시 구조 요청을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알림 서버 및 구조 센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알림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재난 발생 신호에 상응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생성하는 RF 신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RF 신호 출력부; 및 상기 RF 신호 생성 및 RF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는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신호 수신부는 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이동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인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통하여, 재난자는 별도의 단말기 조작 없이도 재난 상황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재난자가 재난물로 인해 은폐되어 있는 경우에도 단말기는 자체에 RF 모듈을 구비하여 재난 발생 신호 감지시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RF 모듈을 구비한 구조 장치를 이용하여 재난이 발생한 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재난자의 구조가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재난 알림 서버(120), 구조 센터(130) 및 이들을 연결시키는 이동통신망(11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핼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등이 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이동통신망(110)을 구성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예를 들어 긴급 버튼 입력)없이도 자동으로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고, 구조 요청을 위한 RF (radio frequency; 이하 "RF "라 한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F 란 무선 주파수로, 특히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일컫는다. RF 모듈이란 이러한 RF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로,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고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RF 모듈은 필터, 위상변조부 등으로 구성된 필터 뱅크(filter bank), 듀플렉서(duplexer), 듀얼 듀플렉서 등이 될 수 있다. 가령, 필터 뱅크란 특정 대역의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필터가 복수개 모듈화 된 것이며, 듀플렉서는 필터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 및 수신되는 RF 신호를 적절하게 분기하는 소자이다.
이동통신망(110)은 무선 기지국,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 및 데이터 코어망(DCN: Data Core Network)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100) 및 구조 센터(130)와 연결되며, 재난 알림 서버(120)에 연결되어 재난 알림 서버(120)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가 재난을 알리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구조 센터(130)는 해당 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식 구조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RF 신호의 출력세기, 송수신 시간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출하여 빠른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동식 구조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도 4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즉, 이동통신망(110)은 사용자 단말기(100)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해당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을 구비한 구조장치로 RF 신호를 송수신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특정 주파수 대역은 이동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용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거나 상용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가드 밴드(guard band)내에 주파수를 사용하여 일반 사용자의 밴드에 혼란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구조 메시지가 포함된 RF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조 메시지는 현재 재난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알림 서버(120)는 지역별로 구분되어 위치하며, 구분된 각 지역별로 재난이 발생한 경우, 재난 발생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여기서, 재난 알림 서버(120)는 재난 발생을 알리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전용 서버이거나 또는 기존의 타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의 일부분에 위치하여 재난 발생시 재난 발생을 알리기 위한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신호 송출 방식은 기존의 셀 방송 서비스 방식을 통하여 신 호를 송출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셀 방송 서비스는 기지국의 무선 채널 중에서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메시지 입력장치로부터 일정한 지역의 이동 통신 사용자 단말기들 또는 일정한 그룹의 이동 통신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메시지를 일시에 송출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셀 방송 서비스에 관한 기술은 공지 기술로써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조 센터(130)는 각종 긴급 구조 센터 또는 이동식 구조센터에 구비된 컴퓨터적 장치가 될 수 있다. 구조 센터(130)는 이동식 구조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이동식 구조장치는 재난 발생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구조 메시지를 포함한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을 구비한다. 이동식 구조장치(450)는 RF 모듈을 가지고 있는 별도의 설치물 또는 차량 등이 될 수 있다. 즉,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재난 알림 서버(120)으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대략적인 위치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에 접근한 후 이동식 구조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추출한다.
이하에서는 구조 센터(130)는 이동이 가능한 장치(예를 들어, 119 소방차, 구급차 등) 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서 구조 센터(130)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이동이 불가능한 건물(예를 들어, 소방서, 긴급 구조 센터 등)의 경우에도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식 구조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알림 서버(120)는 재난 발생 신호를 미리 구획된 지역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출하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구조 센터(1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해당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식 구조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조 센터(130)는 이동식 구조장치로부터 RF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험에 처한 사용자의 구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 없이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한 사용자 단말기(100)가 자동으로 RF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재난에 처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키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를 종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알림 서버(120)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탑재된 지피에스유닛을 이용하여 직접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구조 센터(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말기 제어부(210), 신호 수신부(220), RF 신호 생성부(230), RF 신호 출력부(240), 통신 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치정보 생성부(2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 제어부(210)는 재난 알림 서버(120)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RF 신호를 생성하고, RF 모듈을 구비한 구조 센터(130)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신호 감지부(220)는 재난 알리 서버(120)로부터 송출된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단말기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단말기 제어부(210)는 신호 감지부(220)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기(100)가 위험상황에 놓였음을 인지하고, RF 신호 생성부(230)로 재난에 처했음을 알리는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생성 명령을 전송한다.
RF 신호 생성부(230)는 단말기 제어부(210)로부터 RF 신호 생성 명령을 수신하여 단말기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RF 모듈을 구비한 구조 센터(130)로 송출하기 위한 RF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되는 RF 신호는 구조 메시지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고 단순히 재난을 알리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생성되는 RF 신호는 모스 부호와 같이 매우 단순한 신호이며, 미약한 신호로 발생시켜 배터리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도 있다.
RF 신호 출력부(240)는 RF 신호 생성부(230)로부터 생성된 RF 신호를 출력한 다. RF 신호 생성부(230)와 RF 신호 출력부(240)는 별도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포괄하여 하나의 RF 모듈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통신망(110)을 통하여 연결된 각종 장치(예를 들어, 재난 알림 서버(120), 구조 센터(130) 등)들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특히, 단말기 제어부(210)는 통신부(250)를 통하여 재난 알림 서버(120)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RF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50)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신호를 변복조(Modulation/Demodulation) 할 수 있는 모뎀(Modem), 안테나, 신호 증폭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위치정보 생성부(2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 생성부(270)는 지피에스수신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피에스 위성(예를 들어, 보충 위성 3개를 포함한 27개의 위성)으로부터 지피에스신호(지피에스 Signal)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생성부(270)는 지피에스신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위치정보 생성부(270)는 위치정보 생성명령에 상응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 생성부(270)는 단말기제어부(210)로부터 위치정보 생성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가입자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 생성부(200)는 오차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D지피에스(Differential 지피에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 생성부(200)에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RF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RF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사용자 단말기(100)로서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재난 알림 서버(120)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재난 알림 서버(120)로부터 이동통신망(110)을 통하여 재난 발생 신호는 수신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셀 방송 서비스를 통하여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재난 발생 신호는 재난 발생 메시지를 포함하며, 재난 발생 메시지는 재난 발생 알림, 발생한 재난의 유형(예를 들어, 화재, 지진, 태풍, 폭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를 생성한다. RF 신호는 단말기 제어부(210)의 RF 신호 생성 명령에 따라 RF 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RF 신호는 구조 요청을 의미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주파수 대역은 이동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용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거나 상용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가드 밴드(guard band)내에 주파수를 사용하여 일반 사용자의 밴드에 혼란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RF 신호는 구조 메시지를 포함하며, 구조 메시지는 재난 알림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발생 메시지와 구조 요청 메시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S32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생성된 RF 신호를 출력한다. RF 신호 출력부(240)는 단말기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RF 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RF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RF 신호 생성부(230)와 RF 신호 출력부(240)는 별도의 모듈로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RF 신호는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식 구조장치로 수신되고, 이동식 구조장치는 구조 센터(130)로 RF 응답신호를 발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지피에스를 탑재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RF 신호를 구조 센터(130)로 직접 발신할 수도 있다.
이로써, 재난에 처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이, 위기상황임을 주위에 알릴 수 있고, RF 모듈을 통한 RF 신호의 송수신을 통하여 구조 센터(130)의 구조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조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추적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식 구조장치(450-1, 450-2, 450-3, 이하 450으로 통칭한다)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를 수신한다.
구조 센터(1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한 제1 이동식 구조장치(450-1) 및 제1 이동식 구조장치 주변의 2이상의 다른 이동식 구조장치(450-2, 450-3)로부터 수신된 3개 이상의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식 구조장치(450)는 RF 모듈을 가지고 있는 별도의 설치물이 될 수 있다.
도 4에는 3개의 이동식 구조장치(45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1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 이때 당해 RF 신호를 송출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이하, '송출시간'이라 칭함)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식 구조장치(450)는 이를 수신하여 당해 RF 신호가 수신된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RF 응답신호를 구조 센터(130)로 발신한다. 여기서, 이동식 구조장치(450)에서 발신되는 RF 응답신호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송출된 시간에 대한 정보(이하, '송출시간정보'라 칭함) 및/또는 각 이동식 구조장치(450)에 수신된 시간에 대한 정보(이하, '수신시간정보'라 칭함)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RF 응답신호는 RF 신호의 세기, RF 신호의 위상차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구조 센터(130)에는 3개 이상의 RF 응답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후, 구조 센터(130)는 각각의 RF 응답신호의 송출시간정보 및 수신시간정보를 분석하여 당해 사용자 단말기(100)가 각각의 이동식 구조장치(450)들과 떨어져 있는 거리에 대한 정보(이하, '거리정보'라 칭함)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RF 응답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거리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은, 수신시간정보에서 송출시간정보를 차감하면 당해 RF 응답신호의 전송시간이 산출될 수 있고, RF 응답신호가 빛의 속도로 전파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거리정보는 전송시간과 빛의 속도를 곱한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RF 응답신호에 포함된 RF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은, RF 신호의 세기가 거리의 제곱(r^2)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상적인 진공의 경우라면 RF 신호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r^2)에 비례하여 감소하나, 도시환경에서는 대략 거리의 세제곱(r^3) 또는 거리의 네제곱(r^4)으로 신호의 세기가 감소한다. 따라서, RF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각각의 이동식 구조장치(45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까지의 거리정보를 산출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식 구조장치(450)는 수신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더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까지의 거리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이동식 구조장치(450)로 수신되는 RF 신호의 위상은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이동식 구조장치(450)는 수신한 RF 신호의 위상으로부터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 단말기(100)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즉, RF 신호의 주파수가 500MHz인 경우 그 파장은 약 60m이므로, RF 신호의 위상으로부터 거리정보를 추출하여 이동식 구조장치(450)와 사용자 단말기(100)간의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산출된 거리정보는 RF 응답신호가 굴절, 회절 등이 되지 아니하고, 주변이 진공인 상태 등 이상적인 경우를 가정하고 산출된 값이므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구조장치(450)의 개수를 늘리면 당해 오차 범위를 다소 줄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이동식 구조장치(450)를 중심으로 하고, 각 이동식 구조장치(450)에 상응하는 거리정보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이동식 구조장치(450)는 복수개의 원(이때, 원의 개수는 이동식 구조장치(450)의 수와 동일함)에 의하여 겹치는 하나의 지점을 위치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오차에 의하여 복수개의 원에 의하여 완전히 겹치는 지점이 존재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식 구조장치(450)는 가장 겹치는 부분이 많은 부분을 위치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구조 센터(130)가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상술한 방법은 예시에 불과하며, 위 치정보가 생성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가 생성되는 방법은 당해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술한 구조 센터(130)가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는 동작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피에스를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생성부(27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술한 동작은 수행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자를 구조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센터(130)에서의 이동식 구조 장치를 통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감지하여 재난자를 구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500에서 구조 센터(130)는 재난 알림 서버(120)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한다. 구조 센터(130)는 재난 알림 서버(120)로부터 통신망(110)을 통하여 재난 발생 신호는 수신할 수 있고, 셀 방송 서비스를 통하여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5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 S510에서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한 구조 센터(130)는 재난 지역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대략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대략적인 위치 정보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 이동 전화 교환국)와 결합된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레지스터) 또는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를 통해서 추출될 수 있다.
대략적인 기지국 단위가 가지는 범위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무선 측위 기술이 이용되며, 현재 무선 측위 기술은 기존 망을 활용하는 방향, 독자적인 새로운 망을 이용하는 방향 및 지피에스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개발 방향에 대해 무선 측위를 수행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망 기반(network-based), 사용자 단말기 기반(handset-based) 및 전용망에 의한 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위치 추적 기술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출원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파악되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는 기지국 단위이므로, 보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구조 센터(130)는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식 구조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GIS(지리정보체계: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조회하여 가입자의 정확한 위치를 지도상의 도로명, 행정구역명, 거리 등을 연계하여 파악할 수도 있다.
단계 S520에서 구조 센터(130)는 이동식 구조장치(45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RF 신호는 모스 부호와 같이 매우 단순한 신호이며, 미약한 신호로 발생시켜 배터리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구조 센터(130)는 이동식 구조장치(45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석하고, 해당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위기에 처한 사용자의 구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식 구조 장치(450)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도 4에서 전술한 바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 센터(130)는 지피에스를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가 포함된 RF 신호를 수신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RF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조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생성 방법에 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자를 구조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말기
110: 이동통신망
120: 재난 알림 서버
130: 구조 센터

Claims (19)

  1. 재난 알림 서버 및 구조 센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가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알림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 센터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식 구조장치로부터 발신된 RF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난 발생 신호는 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구조 요청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RF 신호는 구조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구조 요청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는 특정 주파수 대역인 구조 요청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이동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인 구조 요 청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센터는 상기 재난 알림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기지국 단위의 위치를 미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센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상기 구조 센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주변의 이동식 구조장치로부터 수신된 RF 응답신호에 포함된 RF 신호를 송출한 송출시간정보 및 상기 이동식 구조장치들이 상기 RF 신호를 수신한 시간에 대한 수신시간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응답신호는 RF 신호 세기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 센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주변의 이동식 구조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RF 신호 세기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이동식 구조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 세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이동식 구조장치 사이의 거리의 제곱, 거리의 세제곱 및 거리의 네제곱 중 어느 하나의 변수에 반비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RF 응답신호는 RF 신호의 위상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 센터는 상기 RF 신호의 위상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구조장치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요청 방법.
  14. 재난 알림 서버 및 구조 센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알림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하되,
    상기 구조 센터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모듈을 구비한 이동식 구조장치로부터 발신된 RF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5. 재난 알림 서버 및 구조 센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알림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재난 발생 신호에 상응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생성하는 RF 신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RF 신호 출력부; 및
    상기 RF 신호 생성 및 RF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는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는
    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이동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인 단말기.
KR1020070086228A 2007-08-27 2007-08-27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장치 KR20090021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28A KR20090021595A (ko) 2007-08-27 2007-08-27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장치
US12/073,624 US20090061891A1 (en) 2007-08-27 2008-03-07 Method for requesting rescue by receiving disaster alarm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28A KR20090021595A (ko) 2007-08-27 2007-08-27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95A true KR20090021595A (ko) 2009-03-04

Family

ID=4040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228A KR20090021595A (ko) 2007-08-27 2007-08-27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61891A1 (ko)
KR (1) KR200900215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0628B2 (en) 2018-03-30 2022-04-19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6373B2 (en) * 2009-04-22 2013-12-10 Elkhart Brass Manufacturing Company, Inc. Firefighting monitor and control system therefor
KR102256683B1 (ko) * 2014-05-16 202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재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145513A (zh) * 2019-12-25 2020-05-12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景区求救报警方法及系统
CN113309571B (zh) * 2021-05-20 2022-09-09 中国矿业大学 一种矿井巷网热动力灾害演化评估系统与预测救援方法
CN114785404A (zh) * 2022-04-21 2022-07-22 北京博识广联科技有限公司 野外救援智能灯杆
CN115731673A (zh) * 2022-12-06 2023-03-03 浙江力石科技股份有限公司 山体救援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147A (en) * 1992-03-04 1998-05-05 Motorola Inc Position locating rescue transceiver
US5515419A (en) * 1992-06-01 1996-05-07 Trackmobile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 movable object carrying a cellular phone unit, and integrated personal protection system incorporating the tracking system
US6813498B1 (en) * 2000-10-27 2004-11-02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recovery of missing wireless devices in communication systems
JP3874672B2 (ja) * 2002-02-25 2007-01-31 富士通株式会社 災害関連情報処理方法
US7135967B2 (en) * 2003-08-01 2006-11-14 Spectrum Tracking Systems, Inc. Method for locating an asset
WO2007067008A1 (en) * 2005-12-08 2007-06-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ing location of a moving beacon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and multi-frequencies
KR100868357B1 (ko) * 2006-08-29 200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0628B2 (en) 2018-03-30 2022-04-19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1891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042B1 (ko)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670935B2 (en) Tagging a location by pairing devices
KR20090021595A (ko)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장치
EP16309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n emergency rescue request using UWB signals
KR20030041659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향 및 위치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469406A (zh) 一种基于无线传感技术的移动定位标识
CN102469580A (zh) 一种基于无线传感技术的移动定位服务系统
CN102469500A (zh) 一种基于无线传感技术的移动定位服务方法
CN100442910C (zh) 定位提醒方法
CA2748882C (en) Tagging a location by pairing devices
JP2004104349A (ja) 無線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3024672A (zh) 根据手机信号强弱提示用户的方法
JP2010086133A (ja) 携帯端末を使用した災害情報収集システム
US9081078B2 (en) Technique for effectively communicat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KR100658573B1 (ko) 이동통신 단말 기반 위치측위 및 위치정보 획득 방법
WO2011091661A1 (zh) 定位方法和移动终端
KR1005290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CN102469581A (zh) 一种基于无线传感技术的移动定位装置
JP2000314771A (ja) Gps利用情報システム
KR101513658B1 (ko)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스캐닝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 위치결정 기반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205301595U (zh) 一种基于北斗卫星的定位设备
JP5176346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位置特定中間装置及び位置特定方法
KR102193557B1 (ko) Supl 기반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CN104105055A (zh) 一种通信处理方法及装置
KR100291074B1 (ko) 소출력무선기지국을이용한위치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