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103A - Cupping jar with lamp - Google Patents

Cupping jar with l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103A
KR20090021103A KR1020080082450A KR20080082450A KR20090021103A KR 20090021103 A KR20090021103 A KR 20090021103A KR 1020080082450 A KR1020080082450 A KR 1020080082450A KR 20080082450 A KR20080082450 A KR 20080082450A KR 20090021103 A KR20090021103 A KR 20090021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amp
ignition
cupp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연상
Original Assignee
조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연상 filed Critical 조연상
Publication of KR2009002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1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1Cera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Abstract

A fire cupping glass equipped with a lamp is provided, in which the danger of fire burn is reduced and the lamp of the fire cupping glass can be ignited conveniently. A fire cupping glass comprises: a cup portion; a lamp body which is installed at the inside of the fire cupping glass and functions as the storage in which the absorbent absorbing the volatility ignitable material is filled; and an ignition part. The ignition part comprises a lamp consisting of the porous ceramic. In the floor side of the ignition part, a contact hole(1282) for inserting the connecting bolt(1280) is formed to connect the cup portion and ignition part.

Description

램프가 내설되어 있는 불 부항컵{CUPPING JAR WITH LAMP}Cup cup with built-in lamp {CUPPING JAR WITH LAMP}

본 발명은 내부에 램프를 구비하는 불 부항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램프가 휘발성 인화물질을 흡수하는 흡수제가 채워지는 저장부로서 기능하는 램프의 본체 및 램프의 점화부를 포함하는 불 부항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ping cup having a lamp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ping cup including a main body of a lamp and an ignition part of a lamp, which function as a storage part filled with an absorbent absorbing volatile flammables. will be.

부항요법이란 열 또는 음압장치에 의하여 부항단지 안에 음압을 조성하여 살갗에 붙임으로써 피를 뽑거나 울혈을 일으키고 또는 물리적 자극을 주어 병을 치료하는 치료방법이다. 부항은 작은 그릇 모양의 기구이며, 적용 범위도 단순 타박 등 외상성 질환뿐만 아니라 만성적인 내과 질환에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Cupping therapy is a treatment method to treat the disease by bleeding blood or causing congestion or giving physical stimulus by forming a negative pressure in the cupping complex by heat or negative pressure device to the skin. Cupping is a small bowl-shaped device, and the range of application is widely used for chronic medical diseases as well as traumatic diseases such as simple bruises.

부항요법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부터 민간에서 많이 애용해온 기록이 있는데, 동양에서는 오래 전부터 한방치료의 방법으로 불 부항요법이 사용되어 왔고, 서양에서는 로마, 그리스 시대부터 부항요법이 활용된 기록이 있다.Cupping has been widely used in civilian history since ancient times, both East and West. In East Asia, cupping has been used as a method of oriental medicine, and in the West, cupping has been used since Roman and Greek times. .

부항 요법의 효과는 첫째, 가스 교환에 의해 신진대사와 혈액 정화(淨化)가 활발해지고, 혈액 순환과 조혈 작용이 증강되며, 노폐물이나 독소가 배설된다. 이밖에도 체액의 산·염기의 평형, 면역 기능의 증진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effect of cupping is first, metabolism and blood purification (정화 化) is active by gas exchange, blood circulation and hematopoietic action is enhanced, waste products and toxins are excreted. In addition, it is known to have a good effect on the balance of acid and base of body fluids and the enhancement of immune function.

오랫동안 부항치료에 사용되었던 불 부항컵은 불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어 진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자기, 동물의 뿔, 대나무 등 한쪽 면이 막힌 용기 안에 불을 붙인 솜 등을 넣은 후 피부에 부착하면 컵 내부에 있던 산소와 수소가 연소되어 자연스럽게 내부공기 밀도가 낮아짐으로 부항용기가 피부에 고정되면서 온열효과, 가스교환 및 음압효과 등이 발생되었다.The fire cupping cup, which has been used for cupping for a long time, is a vacuum that is heated by the air to form a vacuum.If you put a cotton ball on the surface of one side such as porcelain, animal horn, bamboo, etc. As the oxygen and hydrogen inside were burned and the internal air density naturally decreased, the cupping container was fixed to the skin, resulting in the effect of heat, gas exchange and negative pressure.

최근에 와서, 불 부항컵 내부에 알콜 흡수성이 좋은 규조토와 다공성 물질을 부착시키거나 부항용기 내부에 철사를 이용하여 점화솜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시술시 알콜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개선되기도 하였다.Recently, alcohol-absorbing diatomaceous earth and a porous material are attached to the cup cup, or the wire is fixed inside the cup container by using a wire to fix the ignition so that the alcohol may not flow down.

그러나 이러한 불 부항컵은 용기 내부에 흡수된 알콜의 양에 따라 화력이 다르며 반복하여 알콜을 재보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부항컵 내부에서 점화솜 등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 및 열에 의해 화상이 입을 수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fire cups have different firepower depending on the amount of alcohol absorbed in the container and have the inconvenience of replenishing alcohol repeatedly, and may cause burns due to the flame and heat generated by the ignition cotton. There was such a disadvantage.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된 알콜의 양과 관계없이 오랫동안 일정한 불꽃을 유지할 수 있고 수회 사용이 가능한 불 부항컵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cup which can maintain a constant flame for a long tim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alcohol absorbed and can be used several times.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불 부항컵의 램프가 간편하게 점화될 수 있는 불 부항컵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cupping cup in which the lamp of the fire cupping cup can be easily ignited.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불 부항컵 사용시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불 부항컵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cupping cup which can reduce the risk of burns when using the cup cu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램프가 내설되어 있는 불 부항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불 부항컵은 부항컵 내부에 알콜램프 원리와 같은 램프가 내설되어 있고, 상기 램프는 알콜과 같은 휘발성 인화물질을 흡수하는 흡수제가 채워질 수 있어 저장부로서 기능하는 램프 본체 및 램프의 점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화부에서 인화물질, 예를 들면 알콜의 연소가 이루어지며 점화부에 일정한 양의 알콜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일정한 화력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알콜의 추가 보충 없이 수회 반복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부항컵 내부에서 일정한 화력을 유지함으로써 부항컵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부항컵 내부 공기 중의 산소와 수소 등을 태워 없앰으로써 음압효과도 높이는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부항컵 내부의 램프의 구조는 내부의 액체 인화물질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나의 부항컵이 그 내부에 복수의 램프 및/또는 복수의 점화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cup in which the lamp is built. In the cupping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mp, such as an alcohol lamp principle, is installed inside the cupping cup, and the lamp may be filled with an absorbent absorbing volatile flammable substances such as alcohol, and thus, the lamp body and the lamp ignition functioning as a storage unit. It is made of a negative portion, the combustion of the flammable material, for example alcohol is made in the ignition unit and a constant fire power is maintained by continuously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alcohol in the ignition unit. This allows for repeated use several times without additional supplementation of alcohol. By maintaining a constant fire power inside the cupping cup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cupping cup and burn the oxygen and hydrogen in the air inside the cupping cup to increase the negative pressure effect. The structure of the lamp inside the cupping cup has a structure to prevent the liquid flammables from flowing out. One cupping cup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s and / or a plurality of ignitions therein.

본 발명의 점화부는 다공성세라믹 심지일 수 있고, 램프의 내부에는 인화물질을 다량으로 흡수할 수 있는 흡수제, 예를 들면 천연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화부에 불이 붙이거나 및/또는 불이 붙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점화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화코일에는 건전지가 연결되어 점화부가 전기적으로 점화되게 할 수 있다.The igni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rous ceramic wick, and the inside of the lamp may include an absorbent capable of absorbing a large amount of flammable substances, for example, natural cotton. The ignition coil may also be provided with an ignition coil for checking whether the ignition portion is lit and / or lit. In this case, a battery may be connected to the ignition coil so that the ignition unit may be electrically ignited.

본 발명에 따른 불 부항컵은, 내부에 램프를 내설하고 불이 점화되는 불 부항컵을 채택하였으며 흡수재가 내부에 삽입되어 인화물질을 안정적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램프는 삽입된 인화물질이 흘러나오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다공성 소재인 점화부는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며 인화물질을 흡수하여 점화부에서 인화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점화부에 설치된 점화코일은 건전지와 연결되어 점화부를 점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점화부에 불이 붙은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The fire cupping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fire cupping cup in which a lamp is placed inside and a fire is ignited, and an absorbent material is inserted therein to stably contain flammable substances, and the lamp does not flow out the inserted flammable material. Has a structure. The ignition unit, which is a porous material, is exposed to the air and absorbs the flammable material so that the ignition unit can be ignited. In addition, the ignition coil installed in the igni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and used to ignite the ignition unit and / or to easily identify that the ignition unit is lit.

또한, 램프 및/또는 컵부의 재료로서 열경화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을 감소시켜준다.In addition, the use of a thermosetting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lamp and / or cup portion reduces the risk of a user getting burned.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불 부항컵"이란 부항컵 내부의 진공이 불에 의해 생성되는 부항컵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fire cupping cup” means a cupping cup in which a vacuum inside the cup cup is generated by fire.

본 발명의 불 부항컵은, Fire cupping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컵부, 및Cup part, and

상기 불 부항컵의 안쪽에 설치되는 램프로서, 휘발성 인화물질을 흡수하는 흡수제가 채워지는 저장부의 기능을 하는 램프 본체 및 램프의 점화부로 이루어지는 램프,A lamp installed inside the cup cup, the lamp comprising a lamp body and a ignition unit of the lamp functioning as a storage unit filled with the absorbent absorbing volatile flammables,

를 포함한다.It includes.

하나의 구현예에서, 불 부항컵은 부항치료시 부항컵 자체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시술자가 맨손으로 부항컵을 잡을 경우 뜨겁거나 땀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부항컵의 컵부의 상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컵부과 재질을 달리하는 손잡이부를 나사와 나사 고정용 인서트를 이용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킬 수도 있고, 또는 부항컵의 상부가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p cup is hot or sweat occurs when the operator is holding the cup cup with bare hands because the cup cup temperature rises during cupping treatment to improve this The handle part is formed. The handle portion having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cup portion may be attached using a screw and a screw fixing insert or using an adhesive, or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cup may form a handle portion.

또 하나의 구현예에서, 램프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된 램프는 컵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램프는 손잡이부가 아닌 컵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the lamp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andle portion, and the lamp installed inside the handle portion may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up portion. The lamp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up portion, not the handle portion.

또한 부항컵의 일정지점에 환기구를 구비할 수 있는데, 부항컵 내외부로 적정량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부항컵이 피부에 탈부착시 편리하게 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환기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개폐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환기구 개폐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ventilation opening at a certain point of the cupping cup,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ai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cupping cup to facilitate the function when the cupping cup detachable to the skin, opening and closing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ilation port As means, for example, a ventilation opening / closing button may be provided.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발명의 부항컵은 램프의 내부에는 솜과 같은 흡수제가 채워져 있으며 알콜이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알콜흡수구를 구비한다.In one embodiment,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an absorbent such as cotton inside the lamp and has an alcohol absorbing port so that alcohol can be easily absorbed.

본 발명의 부항컵은, 필요에 따라 점화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점화부에 불을 점화하기 위한 별도의 점화도구가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화장치의 예로, 가스라이터의 원리를 이용한 점화장치, 및 점화코일에 연결된 전원(예를 들면, 건전지)을 이용한 점화 장치 등을 들 수 있다.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gnition device as necessary so that a separate ignition tool for igniting a fire is not required. Examples of the ignition device include an ignition device using the principle of a gas lighter, and an ignition device using a power source (for example, a battery) connected to the ignition coil.

바람직하게는 부항컵의 내부에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바이오세라믹스 (bioceramics)로 된 물질이나 옥과 같은 석재형 소재를 부착할 수 있다.Preferably, a material made of bioceramics or a stone material such as jade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upping cup.

본 발명의 램프의 본체의 재료로는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도자기, 또는 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멜라민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는 도자기 등의 기존의 램프 재료를 사용한 경우보다 열전도성이 낮은 이점이 있다. 열전도성이 높으면 부항기 사용시에 화상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멜라민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는 또한 열보온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열을 이용하는 불 부항컵 사용의 효과가 높아진다.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열성 및 내구성이 강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As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of th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phenol resin, urea resin, melamine resin, porcelain, or metal such as iron or stainless may be used. Preferably, a thermosetting resin may be used, in particular,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melamine resin has an advantage of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when using a conventional lamp material such as ceramics. If the thermal conductivity is high, there may be a risk of burns and the like when using the cupping machine.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melamine resins also have the advantage of high thermal insulation. As a result, the effect of using a cupping cup using heat increases. When using a metal has the advantage that the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is strong.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열경화성 수지”란 열을 가하여 경화 성형하면 다시 열을 가해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 수지로 일반적으로 내열성, 내용제성,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전기절연성이 좋다. 열경화성 수지는 축중합형과 첨가중합형으로 나뉘는데 축중합형에는 페놀수지·요소수지·멜라민수지, 첨가중합형에는 에폭시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이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thermosetting resin” refers to a resin that does not change its shape after being heated and cured by heat, and generally has good heat resistance, solven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and electrical insulation. Thermosetting resins are divided into condensation polymerization type and addition polymerization type. The condensation polymerization type includes phenol resin, urea resin, melamine resin, and addition polymerization type epoxy resin and polyester resin.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멜라민 수지"란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만드는 열경화성 수지로 요소수지와 함께 아미노플라스틱이라 통칭된다. 멜라민 수지는 열·산·용제에 대하여 강한 특성이 있다.The term "melamine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osetting resin made by reacting melamine with formaldehyde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minoplastic together with urea resin. Melamine resin has strong characteristics against heat, acid, and a solvent.

본 발명의 불 부항컵은 하나의 구체예에서, 컵부의 상부 면의 중심부가 컵부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게 되고, 그 중심부에 볼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홈은 컵부의 상부 면을 관통할 수도 있고,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램프의 본체는 그 옆면이 벽으로 둘러싸이고 점화부(심지)가 끼워질 곳에 점화부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의 개방부가 형성되며, 컵부와 연결시 컵부의 상부가 램프의 하단을 폐쇄하게 되거나 또는 별개의 밑면을 둘러싸는 벽을 구비할 수도 있다. 컵부와 연결시 램프의 내부에는 컵부의 상부 면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위치되며, 상기 컵부와의 연결은, 점화부의 바닥에 위치한 연결구멍을 통과한 연결볼트가 상기 돌출부의 내부 홈으로 삽입되어 점화부를 컵부에 부착시키고, 점화부와 위쪽 벌어진 부분과 램프의 측벽 사이에 끼인 스프링이 램프 본체를 컵부 쪽으로 압착시키게 된다. 램프 본체의 옆면의 벽은 점화부가 삽입되는 쪽에서 점화부 쪽으로 경사질 수 있고, 그 단부의 부근에서는 램프 내부 쪽 (즉, 컵부의 상부 면 쪽)으로 꺾여 들어가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이는 불 부항컵을 피부 위에 올려놓았을 때 알코올과 같은 인화물질이 피부 쪽으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protrudes inward of the cup portion, and may have a structure having a groove so that a bolt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up portion. The groove may or may not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The main body of the lamp is formed with an opening having a size and a shape in which the side is surrounded by a wall and the ignition part can be inserted where the ignition part is fitted, and the upper part of the cup part closes the lower end of the lamp when connected to the cup part, or It may be provided with a wall surrounding a separate base. In the connection with the cup part, a proj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part is located inside the lamp. In the connection with the cup part, a connecting bolt passing through a connection hol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gni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of the projection part so that the igni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cup part. And a spring sandwiched between the ignition section and the top bulge and the side wall of the lamp squeeze the lamp body towards the cup section. The wall of the side surface of the lamp body may be inclined toward the ignition portion from the side where the ignition portion is inserted, and may be configured to be bent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lamp (ie,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up portion) near the end thereof. This prevents flammable substances such as alcohol from flowing down the skin when the cup is placed on the skin.

본 발명의 부항기의 컵부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도자기 등의 기존의 부항기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부항기의 재료로 멜라민 수지 등 열경화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램프의 재료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효과, 즉 부항기 사용시에 화상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열 보온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The cup portion of the cupp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referably use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melamine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existing cupping material such as ceramics may be used. In the case of using a thermosetting material such as melamine resin as the material of the cupping machine, the same effects as those described in the material of the lamp, that is, the use of the cupping machine, can reduce the risk of burns and the like, and have the advantage of high thermal insulation.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으로, 본 발명의 램프는 점화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점화코일에 전원이 연결된 경우 점화부를 점화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전원으로서는 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원으로부터 점화코일의 연결은 양극으로부터 나온 전선 및 음극으로부터 나온 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회로의 단락을 제어하는 연결스위치가 중간에 배치된다. 건전지는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으며, 손잡이부등 열을 덜 받는 곳에 매입시킬 수도 있다. 전지가 컵부의 외부에 있는 경우, 양극 전선 및 음극 전선은 컵부를 관통하거나 또는 손잡이부 내부에서 컵부 쪽으로 관통된 구멍을 통해 점화코일과 연결될 수 있고, 점화코일과의 연결은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화코일과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컵 내부의 램프의 점화부에 불을 붙인 경우, 주위가 밝은 경우에는 불이 붙었는지 확인이 어렵다. 본 발명의 점화코일은 램프에 점화가 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램프가 점화가 된 경우, 코일은 불에 접촉되어 뜨거워지고 코일이 붉게 변하게 되어 점화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코일의 재료는 전열선으로 이루어지고, 니크롬선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니켈크롬선, 니크롬선, 크롬선, 스테인레스 등 불에 의해 변색되어 점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재료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amp of the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ignition coil. When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coil, it can function to ignite the ignition unit. As the power source, a battery can be used, and the connection of the ignition coil from the power source can be connected by a wire from the positive electrode and a wire from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connection switch for controlling a short circuit is disposed in the middle. Batterie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y may be buried in places that receive less heat, such as handles. When the battery is outside the cup por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wires may be connected with the ignition coil through a hole penetrating the cup portion or through the inside of the handle portion toward the cup portion, and the connection with the ignition coil may be used in any manner. have. For example, the ignition coil may be connected by welding. In addition, when the ignition part of the lamp inside the cup is lit,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it is lit when the surroundings are bright. The ignition coi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rve to make it easy to check whether the lamp is ignited. When the lamp is ignited, the coil is heated to the fire and the coil turns red, indicating that the ignition has occurred. The material of the coil is made of a heating wire, preferably a nichrome wi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capable of confirming ignition by discoloration by fire such as nickel chrome wire, nichrome wire, chromium wire, or stainless steel can be used.

본 발명의 점화부는 다공성세라믹 심지일 수 있다. 알코올 램프 본체에 있 는 알코올은 다공성세라믹 심지의 세공으로 스며들게 된다.The igni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rous ceramic wick. Alcohol in the alcohol lamp body penetrates into the pores of the porous ceramic wick.

점화부의 구조는 점화부가 램프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쪽의 반대쪽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 알코올 램프 내부로 삽입되는 쪽의 단부에는 점화부를 컵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연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있으며, 이때 램프 본체와 점화부의 바깥쪽으로 벌어진 구조 사이에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램프 본체를 컵부 쪽으로 압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연결 볼트를 사용하여 점화부를 컵부에 고정시키는 경우, 점화부와 램프 본체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이 램프 본체를 밀어주게 되어 램프가 컵부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점화부가 램프 본체를 폐쇄하게 되어 램프 내의 솜 등의 흡수제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된다. The structure of the ignition uni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opposite end of the side where the igni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lamp body is opened outward. At the end of the side that is inserted into the alcohol lamp, there is a hole into which the connecting bolt is inserted to fix the ignition part to the cup part, and at this time, a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lamp body and the structure that is outwardly ignited to press the lamp body toward the cup part. can do. When the ignition part is fixed to the cup part using a connecting bolt, a spring located between the ignition part and the lamp body pushes the lamp body so that the lamp is firmly fixed to the cup part. In addition, the ignition unit closes the lamp body so that absorbents such as cotton in the lamp do not escap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불 부항컵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upping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부항컵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램프 본체(106)가 손잡이(102)부 내측에 형성된다. 램프 본체(106) 내부에는 알콜솜(109)이나 다공성 물질로 채워져 있어 많은 양의 알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점화부(103)와 알콜솜(109)이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램프 내부의 벽면이 요철 모양으로 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음). 점화부(103)는 일정한 길이가 램프 본체(106)의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불 부항컵의 내부에서 일정한 불꽃이 유지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p body 106 is formed inside the handle 102. The lamp body 106 is filled with an alcohol batting 109 or a porous material to maintain a large amount of alcohol stably. In order to allow the ignition unit 103 and the alcohol batting 109 to be stably fixed, the wall surface inside the lamp may have an uneven shape (not shown). The ignition unit 10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amp body 106 of a certain length to maintain a constant flame inside the cup cup.

도 2는 본 발명의 부항컵의 램프의 일실시예의 설명도로서 램프 본체(206)가 부항컵 손잡이부(202) 내부에 구성되지 않고 컵부(201)의 내부에 구성될수 있으 며 점화부도 다공성 경질 소재인 점화부(203)이 알콜과 같은 인화물질을 흡수하고 있는 알콜솜(209)과 연결되어 있어 램프 본체(206) 내부에 있는 알콜을 안정적으로 연소할수 있다.Figure 2 is an explanatory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lamp of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p body 206 may be configured in the cup portion 201 without the inside of the cup cup handle 202, the ignition portion is also porous hard The ignition unit 203, which is a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alcohol batting 209 that absorbs flammable substances such as alcohol, thereby stably burning the alcohol in the lamp body 206.

도 3는 알콜 저장부를 갖는 별도의 금속램프를 구비한 부항컵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손잡이부 내부에 알콜을 저장하고 별개의 금속 램프 본체(306)가 내설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의 끝단부는 밀봉효과가 우수하면서 개폐가 가능한 뚜껑(308)이 있어 필요시 알콜솜(309)이나 알콜을 보충할 때 뚜껑(308)을 열수 있도록 하였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up cup having a separate metal lamp having an alcohol reservoir. The alcohol is stored inside the handle portion, and a separate metal lamp body 306 is installed internally fixed. The end of the handle has an excellent sealing effect and has a lid 308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lid 308 can be opened when the alcohol cotton 309 or alcohol is replenished, if necessary.

도 4a 및 도 4b는 부항컵에 내설 고정되는 금속 램프 본체(306)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내부는 알콜과 같은 인화물질을 흡수하는 재질인 알콜솜(309)이 채워져 있으며 공기중에 노출되는 점화부(303)의 재질은 솜과 같은 섬유재 뿐만 아니라 다공성 경질 점화부(303)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금속램프의 몸체에는 알콜을 보충하는 알콜흡수구(307)도 필요시 구성할 수 있다.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ne embodiment of a metal lamp body 306 fixedly installed in the cup cup. The inside is filled with alcohol cotton 309, which is a material that absorbs flammable substances such as alcohol, and the material of the ignition unit 303 exposed to air may be composed of a porous hard ignition unit 303 as well as a fiber material such as cotton. The body of the metal lamp may also be configured, if necessary, alcohol absorbing port 307 to replenish the alcohol.

도 5은 상기 램프 마개(510)에 대한 설명도로서 부항컵 내부에 설치된 램프 본체(506)와 알콜의 증발을 예방하기 위하여 점화부(503)에 고정시키는 램프마개(5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부항컵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램프 본체(506)의 내부에 잔존해 있는 알콜의 증발을 예방함으로써 알콜의 추가 보충없이 반복적으로 부항시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lamp stopper 510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a lamp stopper 510 fixed to the ignition unit 503 to prevent the evaporation of alcohol and the lamp body 506 installed inside the cup cup. For this purpose, when the cup is not used for a long time, it prevents the evaporation of the alcohol remaining in the lamp body 506,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that the cupping procedure can be repeatedly performed without supplementing the alcohol.

도 6은 본 발명의 부항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컵부(601)과 소재를 달리하는 손잡이부(602)가 나사에 의해 연결된 형태와 부항컵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구 개폐장치(620) 설치예를 보여준다.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up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portion 601 and the handle portion 602 is different from the material connected by the screw and the air inlet opening and closing device 620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cup cup ) Shows an example of install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부항컵의 환기구 개폐장치(620)의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환기구(604)는 부항컵 내부에 필요시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부항컵의 일정부분에 일정한 직경으로 펀칭되어진 것이며 간단한 스위치 원리 등을 이용해 환기구(604)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환기구의 개폐버튼(620)등을 작동시키면 밀폐링(630)이 벌어지며 공기의 흐름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air vent opening and closing device 620 of the cup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port 604 has a constant diameter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up cup to enable the flow of air when necessary inside the cup cup. It was punched and used to close the ventilation opening 604 using a simple switch principle,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620 of the ventilation opening opens the sealing ring 630 to enable the flow of air. An example is shown.

도 8은 본 발명의 부항컵의 점화장치 부착 설명도이다. 부항컵은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는 건전지(755)를 포함하고 있다. 불 부항컵의 내부에 있는 점화부에 시술자가 편리하게 불을 점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전지(755)를 이용한 전원장치에 연결하여 양극전원선(750)과 음극전원선(760)을 점화부 끝단에 위치한 점화코일(770)에 연결시켜, 연결스위치(740)를 누를 경우 양극전원선(750)과 음극전원선(760)을 통해 전열선으로 이루어진 점화코일에 전기가 공급되고 점화코일(770)이 빨갛게 달구어져서 알코올이 묻어있는 점화부가 점화된다.8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ignition device attached to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ping cup includes a handle part, and includes a battery 755 inside the handle part. In order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ignite the fire in the ignition part inside the fire cupping cup, the positive power line 750 and the negative power line 760 ar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sing a battery 755. Connected to the ignition coil 770 located in, when pressing the connection switch 740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ignition coil consisting of a heating wire through the positive power line 750 and the negative power line 760 and the ignition coil 770 is It burns red and ignites the ignition section with alcohol.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부항컵의 램프의 일실시예 설명을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램프 본체(806)의 내부에 일정량의 알콜솜(809)을 고정시키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램프 본체(806)의 외부로 알콜솜(809)이 노출됨으로써 점화부(803)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lamp of the cup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pace for fixing a certain amount of alcohol batting 809 inside the lamp body 806 is provided. The alcohol batting 809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y be able to function as the ignition unit (803).

도 10은 부항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바이오 세라믹 재질이나 옥돌과 같은 기능성 재질의 물질을 부항컵의 내외부에 부착하여 부항컵 온도유지와 같은 효과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n action of increasing an effect such as maintaining a cup cup temperature by attaching a material of a functional material such as a bio-ceramic material or jade to generate far-infrared ray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cupping treatment. .

도 11은 금속램프가 부항컵 손잡이부가 아닌 컵부(1001)의 내부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된 부항컵을 나타낸다. 금속 램프 본체(1006) 하단부 요철홈이 부항컵의 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램프의 재질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몸체에는 알콜흡수구(1007)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알콜솜(1009)과 점화부(1003)로 구성되어 있다.FIG. 11 illustrates a cup cup in which a metal lamp protrudes into the cup part 1001 instead of the cup cup handle part. Metal lamp body 1006 lower end uneven groove is fixed to the body of the cupping cup, the material of the lamp is made of metal, the body is formed with an alcohol intake (1007) and the alcohol bat (1009) and the ignition part (1003) inside Consists of

도 12는 본 발명의 부항컵 램프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로서 램프(1103)의 모형이 알콜램프와 같은 병모양과 같이 일반적으로 설치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자형 원통으로도 구성될 수 있고 램프 본체(1106)의 내부 벽면은 요철모양으로 하여 점화부(1103)과 알콜솜(1109)이 빠지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예로 홈 모양의 요철홈이 도시된다(도 12a). 도 12c는 하나의 부항컵에 두 개의 램프 및 점화부가 설치된 예를 보여준다.12 is an explanatory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cup cup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l of the lamp 1103 is generally installed, such as a bottle shape such as an alcohol lamp,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configured as a straight cylinder and the lamp body ( The inner wall surface of 1106 may have an uneven shape to prevent the ignition part 1103 and the alcohol batting 1109 from falling out, for example, a groove-shaped uneven groove is shown (FIG. 12A). 12C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lamps and an ignition unit are installed in one cup.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부항컵 및 그 내부의 램프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컵부(1201)의 상부 면의 중앙부분은 돌출되고 그 내부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홈(1281)을 갖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분 주변으로 램프가 제자리를 잡기 위한 수개의 작은 돌출부가 배치된다. 점화부(1203)는 다공성세라믹 재질로 만들어지고, 컵부(1201)와는 연결 볼트(1280)에 의해 컵부의 상부 면에 부착되게 된다. 점화부(1203)와 컵부(1201) 사이에 끼어있는 것과 같은 상태인 램프 본체 본체(1206)는, 점화부(1203)의 상부와 램프 본체(1206) 사이에 놓은 스프 링(1290)에 의해 컵부(1201) 쪽으로 압착되게 된다. 점화부(1203)의 구조는 점화부가 램프 본체(1206)의 내부로 삽입되는 쪽의 반대쪽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구조를 하고 있다. 램프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쪽의 단부에는 점화부를 컵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볼트가 관통되기 위한 연결구멍(1282)이 있으며, 이곳을 통해 연결 볼트(1280)가 삽입되고 컵부(1201)의 상부 면의 중앙에서 돌출된 부분의 연결홈(1281) 내부로 삽입되게 되어, 점화부(1203)가 컵부(1201)에 부착되게 된다. 램프(1206)의 내부에는 천염솜(1209)이 들어있으며, 이것은 알콜을 흡수하고 있게 된다. 램프 본체(1206)는 컵부(1201) 측면이 멜라민 수지로 된 벽으로 되어 있고, 램프 본체(1206)가 컵부(1201)의 상부면으로 압착됨에 따라 컵부의 상부면이 램프 본체의 바닥을 이루는 벽의 역할을 하게 된다. 램프 본체의 상부는 점화부가 꽂혀질 수 있도록 점화부의 크기 및 형상과 들어맞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면은 점화부(1203) 쪽으로 갈 때 점화부 쪽으로 경사지고, 그 단부 쪽에서 램프 본체(1206)의 안쪽으로 휘어들어가서 부항 시술시 알코올이 피부 쪽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점화부(1203)의 위쪽에는 점화부를 점화시키고 및/또는 불이 점화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점화코일(1270)이 장착될 수 있다. 점화코일(1270)의 장착은 코일의 한쪽이 연결볼트(1280)의 머리 밑면을 통과하여 연결볼트와 삽입과 함께 고정되게 되는 구조이다. 점화코일(1270)은 니크롬선으로 제작되었으며, 불이 붙은 경우 빨간색으로 되어 불이 붙었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13 and 14 show an embodiment of the cup cup and the lamp therei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1201 has a structure having a connecting groove 1281, which protrudes and into which a bolt can be inserted. Several small protrusions are arranged around the protrusions to hold the lamp in place. The ignition part 1203 is made of a porous ceramic material, and the cup part 1201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part by a connecting bolt 1280. The lamp main body 1206, which is in the same state as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ignition portion 1203 and the cup portion 1201, is formed by a spring 1290 plac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ignition portion 1203 and the lamp body 1206. To be pressed toward 1201. The structure of the ignition part 120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pposite end of the side on which the igni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lamp main body 1206 opens outward. At the end of the side that is inserted into the lamp body, there is a connecting hole 1282 for penetrating the connecting bolt for fixing the ignition part to the cup part,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bolt 1280 is inser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part 1201. I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281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the ignition portion 1203 is attached to the cup portion 1201. The inside of the lamp 1206 contains a cloth batting 1209, which absorbs alcohol. The lamp body 1206 is a wall made of melamine resin on the side of the cup portion 1201, and the top surface of the cup portion forms the bottom of the lamp body as the lamp body 1206 is pressed onto the top surface of the cup portion 1201. It will play the rol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amp body is configured to fit the size and shape of the ignition portion so that the ignition portion can be plugged in. The side surface is inclined toward the ignition portion when going toward the ignition portion 1203, and is bent from the end side to the inside of the lamp body 1206 to prevent alcohol from flowing out toward the skin during the cupping procedure. An ignition coil 1270 may be mounted above the ignition unit 1203 to ignite the ignition unit and / or confirm whether the fire is ignited. The mounting of the ignition coil 1270 i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of the coil passes through the bottom of the head of the connection bolt 1280 and is fixed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bolt and the insertion. The ignition coil 1270 is made of nichrome wire, and if it is caught, it becomes red to make it easy to check that the fire is on.

도 15는 상기 도 13에서 설명한 부항기에 손잡이부 및 점화장치를 더 구비한 불 부항컵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손잡이부 내부에는 건전지(1255)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건전지(1255)로부터의 양극전원선(1250)과 음극전원선(1260)을 점화부(1203) 끝단에 위치한 점화코일(127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극전원선(1250) 및 음극전원선(1260)은 컵부(1201)의 상부 면의 중앙에 위치한 돌출부 내의 연결 볼트가 삽입되는 홈 및 점화부 내의 역시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통해 점화코일(1270)과 연결되어 있다. 점화코일과의 연결은 용접에 의하고 있다. 양극전원선(1250) 및 음극전원선(1260)은 일반적으로 전선에 사용되는 구리로 되어 있고, 점화코일(1270)은 니크롬선으로 되어 있어, 전기가 흐를 때, 양극 및 음극 전원선(1250, 1260)에서는 저항이 크지 않고 전기가 흘러가고, 점화코일(1270)에서는 전기저항이 커서 발열이 일어나게 된다. 음극전원선(1260)에는 회로를 개폐하는 연결스위치(1240)가 배치되어, 연결스위치(1240)를 누를 경우 양극전원선(1250)과 음극전원선(1260)을 통해 전열선으로 이루어진 점화코일에 전기가 공급되고 점화코일(1270)이 빨갛게 달구어져서 알코올이 묻어있는 점화부(1203)가 점화된다. 연결스위치(1240)는 양극전원선(1250)에 연결될 수도 있다.FIG. 15 shows an embodiment of a fire cupping cup further including a handle part and an ignition device in the cupping machine described in FIG. 13. A battery 1255 is included in the handle part, and the positive power line 1250 and the negative power line 1260 from the battery 1255 are connected to the ignition coil 1270 located at the end of the ignition unit 1203. have. The anode power line 1250 and the cathode power line 1260 have an ignition coil 1270 through a groove into which a connection bolt is inserted in a protrus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1201 and a hole into which the bolt is inserted in the ignition portion. ) The connection with the ignition coil is by welding. The anode power line 1250 and the cathode power line 1260 are generally made of copper used for electric wire, and the ignition coil 1270 is made of nichrome line, so that when the electricity flows, the anode and cathode power lines 1250, In 1260, electricity flows without a large resistance, and in the ignition coil 1270,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large and heat is generated. A connection switch 1240 for opening and closing a circuit is disposed on the cathode power line 1260, and when the connection switch 1240 is pressed,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ignition coil formed of a heating wire through the anode power line 1250 and the cathode power line 1260. Is supplied and the ignition coil 1270 is heated red to ignite the ignition unit 1203 in which the alcohol is buried. The connection switch 1240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line 1250.

도 1은 본 발명의 불 부항컵의 일실시예를 나타내 단면도 및 사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불 부항컵의 램프의 일실시예 설명도,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lamp of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 불 부항컵의 금속램프 설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tal lamp installation cup fire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불 부항컵의 금속램프 구조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tal lamp structur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up cup

도 5은 본 발명 불 부항컵의 램프 마개 설명도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mp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cupping cup

도 6은 본 발명의 불 부항컵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본 발명의 불 부항컵의 환기구 개폐장치의 일실시예 설명도 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vent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불 부항컵의 점화장치 부착 설명도 8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ignition device attached to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불 부항컵의 램프의 일실시에 설명을 위한 단면도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lamp of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불 부항컵 내외측에 기능성 물질을 고정 설치하는 불 부항컵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e cup cup for fixing the functional material to the inside and outside the fir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는 본 발명의 금속재질의 램프가 돌출된 불 부항컵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cup protruding from the metal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램프의 모형을 달리하는 불 부항컵의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e cup with different models of th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불 부항컵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cup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상기 도 13에 설명된 불 부항컵의 내부의 램프의 단면도이다.FIG. 14 is a sectional view of a lamp inside the fire cup described in FIG.

도 15는 상기 도 13에 설명된 불 부항컵에 손잡이부 및 점화장치가 더 구비된 불 부항컵의 단면도이다.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e cupping cup further provided with a handle and an ignition device in the fire cup described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1,301,501,601,701,901,1001,1201: 컵부 101,301,501,601,701,901,1001,1201: Cup part

102,602,702,1002: 손잡이부 102,602,702,1002: handle

103,203,303,403a,503,603,803,1003,1103,1203: 점화부 103,203,303,403a, 503,603,803,1003,1103,1203: ignition unit

604: 환기구 604: vent

605: 나사 605: screw

106, 206,306,406,506,606,706,806,1006,1106,1206: 램프 본체 106, 206,306,406,506,606,706,806,1006,1106,1206: lamp body

207,407,607,807,1007,1107: 알콜흡수구 207,407,607,807,1007,1107: alcohol intake

108,208,308,508: 뚜껑 108,208,308,508: lid

209,309,409,609,809,1009,1209: 솜 209,309,409,609,809,1009,1209: Cotton

510: 램프마개 510: lamp stopper

620: 개폐버튼 620: opening and closing button

630: 밀폐링 630: sealing ring

740,1240: 연결스위치 740,1240: connection switch

750,1250: 양극전원선 750,1250: positive power line

755,1255: 건전지755,1255: battery

760,1260: 음극전원선 760,1260: cathode power line

770,1270: 점화코일770,1270: ignition coil

1280: 연결볼트1280: connecting bolt

1281: 연결홈1281: connecting groove

1282: 연결구멍1282: connection hole

1290: 스프링1290: spring

Claims (6)

불 부항컵에 있어서, In the fire cupping cup, 컵부, 및Cup part, and 상기 불 부항컵의 안쪽에 설치되는 램프로서, 휘발성 인화물질을 흡수하는 흡수제가 채워지는 저장부로서 기능하는 램프 본체 및 점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화부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된 것인 램프,A lamp installed inside the cup cup, comprising a lamp body and an ignition unit which functions as a storage unit filled with an absorbent absorbing volatile flammables, wherein the ignition unit is made of porous ceramics,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불 부항컵.Fire cupping cup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컵부와 상기 점화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볼트(1280)를 삽입하기 위한 연결구멍(1282)이 있고, 상기 컵부의 상부 면에는 상기 연결볼트(1280)을 삽입하기 위한 연결홈(1281)이 있으며, 상기 연결볼트(1280)는 상기 점화부의 연결구멍(1282)을 관통하고, 상기 연결홈(1281)에 삽입되어 상기 점화부를 상기 컵부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부항컵.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ignition portion has a connection hole (1282) for inserting the connection bolt 1280 for connecting the cup portion and the ignition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the connection bolt 1280 There is a connection groove 1281 for insertion, and the connection bolt 1280 penetrat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282 of the ignition unit, a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281 to attach the ignition unit to the cup. Fire cupping cup.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점화부에 점화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부항컵.The cupping cup of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n ignition coil in an ignition portion of the lamp. 청구항 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점화코일에 전선(1250, 1260)으로 연결되는 건전지(1255); 및 A battery 1255 connected to the ignition coil by wires 1250 and 1260; And 상기 건전지(1255)와 상기 점화코일(1270) 간의 연결을 개폐하는 연결스위치(1240),A connection switch 1240 for opening and closing a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1255 and the ignition coil 1270, 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부항컵.Fire cupp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gnition device consisting of.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본체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인 불 부항컵.The cupping cup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in body of the lamp is made of a thermosetting resi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한개의 불 부항컵에 복수개의 램프 본체(1106) 또는 복수개의 점화부(110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 부항컵.The cupping cup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lurality of lamp bodies (1106) or a plurality of ignition sections (1103) are provided in one cup cup.
KR1020080082450A 2007-08-24 2008-08-22 Cupping jar with lamp KR2009002110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276 2007-08-24
KR20070085276 2007-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103A true KR20090021103A (en) 2009-02-27

Family

ID=4068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450A KR20090021103A (en) 2007-08-24 2008-08-22 Cupping jar with la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110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365B1 (en) * 2009-05-29 2011-07-19 이호영 Easy to use cupping machine
CN105287195A (en) * 2015-10-24 2016-02-03 泰州市姜堰奥威机械有限公司 Cupping jar available for simultaneous application of acupuncture, moxibustion and med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365B1 (en) * 2009-05-29 2011-07-19 이호영 Easy to use cupping machine
CN105287195A (en) * 2015-10-24 2016-02-03 泰州市姜堰奥威机械有限公司 Cupping jar available for simultaneous application of acupuncture, moxibustion and med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498589U (en) Atomization core and electronic cigarette
RU110608U1 (en) ELECTRONIC CIGARETTE
RU2620951C1 (en) Electronic cigarette
RU115629U1 (en) ELECTRONIC CIGARETTE
US9301549B2 (en) Electronic cigarette device, electronic cigarette and atomization device thereof
US9848652B2 (en) Cotton-free electronic cigarette preventing liquid spill
CN105852223B (en) A kind of non-burning heating portable rolling apparatus for cigarette
WO2016061859A1 (en) Heating component for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US20150150307A1 (en) Electronic cigarette
WO2014028337A1 (en) Portable vaporizer
WO2020176901A3 (en) Vaporizer device with vaporizer cartridge
WO2022089666A1 (en) Atomizing core with atomizing channel
JP2023520438A (en) Electric heating aerosol generator
RU129368U1 (en) PORTABLE ELECTRONIC INHALER
KR20090021103A (en) Cupping jar with lamp
CN115039923A (en) Electromagnetic heating structure and atomizing device
RU110607U1 (en) ELECTRONIC CIGARETTE
US9254344B2 (en) Mobile power pack with fragrance feature
JP2008062056A (en) Fire inhaling square glass which has internally installed lamp
CN210673766U (en) Moxa cone ignition device
CN209916666U (en) Moxibustion pot
RU125433U1 (en) PORTABLE ELECTRONIC INHALER
CN210020329U (en) Moxibustion jar ignition
CN209916665U (en) Moxibustion component
CN217886551U (en) Moxa cone combustion bin capable of achieving sufficient combus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