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796A -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796A
KR20090020796A KR1020070085375A KR20070085375A KR20090020796A KR 20090020796 A KR20090020796 A KR 20090020796A KR 1020070085375 A KR1020070085375 A KR 1020070085375A KR 20070085375 A KR20070085375 A KR 20070085375A KR 20090020796 A KR20090020796 A KR 20090020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unit
lock unit
key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473B1 (ko
Inventor
송계원
임성대
Original Assignee
송계원
임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계원, 임성대 filed Critical 송계원
Priority to KR102007008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4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는 도어록유닛과 키유닛을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도어록유닛이 상기 키유닛으로부터 상기 키유닛의 아이디정보를 획득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이 난수를 생성하여 상기 키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키유닛에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도어록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에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제4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이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한 난수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일치하면 상기 도어록유닛이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4GHz의 ISM대역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인식거리를 넓힐 수 있고,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한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을 포함하는 인증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송수신 데이터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도어록, 암호화

Description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Digital door-lock system using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한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을 포함하는 인증절차를 거침으로써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킨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파트나 사무실의 현관에 설치되었던 기계식 도어록은 사용자가 일일이 키를 사용하여 자물쇠를 해제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키가 아닌 다른 도구에 의해 쉽게 잠금 장치가 해제되어 도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도어록의 출현으로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생명이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쉽게 잠금 장치를 해제 할 수 없도록 기본적인 요구 사항인 안전성에 있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여 많은 성장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부분의 신축 건물에 설치될 정도로 디지털 도어록이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긴급 상황 발생에 따른 편리성이 추구됨에 따라 자석식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방식으로 발전을 거듭하여 사용하는데 좀더 편리하도록 진화하고 있다.
자석식은 주변 자성체로 인해 기능이 상실하거나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 인식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RFID방식의 도어록으로 전환되는 추세다.
RFID방식도 초기에는 125kHz 의 낮은 주파수로 동작하는 것에서 13.56MHz의 주파수로 동작하여 교통카드나 은행카드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개되고 있다.
RFID방식은 도어록유닛의 RF리더에 RF태그가 부착된 카드형태의 키유닛을 근접시키면 RF리더가 RF태그로부터 획득한 ID정보와 등록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종래 RFID방식의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도 1의 개략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록유닛과 키유닛(30)을 포함한다.
도어록유닛은 통상 보안상의 이유로 실내측의 제1도어록유닛(10)과 실외측의 제2도어록유닛(20)으로 구분된다.
제1도어록유닛(10)에는 자물쇠모듈(11), 마이컴(12), 리모컨 RF모듈(13), 전원부(14) 등이 설치된다.
자물쇠모듈(11)은 자물쇠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구동모터, 모터컨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마이컴(12)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도어록시스템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한편 키유닛(30)으로부터 수신한 ID가 등록된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자물쇠모듈(11)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관련 프로그램과 사용할 키유닛(30)의 ID를 저장하는 저장부, 주변회로와의 신호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등을 구비한다.
리모컨RF모듈(13)은 실내의 비디오폰이나 인터폰에 장착되거나 별도로 제공되는 리모컨 키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433MHz의 주파수로 동작한다.
전원부(14)는 제1도어록유닛(10)의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DC전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제2도어록유닛(20)의 각 구성요소에도 전원을 제공한다.
이밖에 사용자가 실내에서 수동으로 자물쇠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레버(미도시)가 설치된다.
제2도어록유닛(20)에는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입력부(21)와 키유닛(30)과의 무선송수신을 위한 RF 모듈(22)이 설치되며, 상기 RF모듈(22)의 동작 주파수는 통상 13.56MHz로 설정된다.
키유닛(30)은 ID가 저장된 반도체칩과 RF송신회로 및 안테나를 내장하며, 예를 들어 카드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키유닛(30)을 제2도어록유닛(20)의 RF모듈(22)에 근접시키면 키유 닛(30)에 저장된 ID정보가 RF송신회로를 통해 RF모듈(22)로 전송되며, 제1도어록유닛(10)의 마이컴(12)은 수신된 ID와 등록된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자물쇠모듈(11)을 제어하여 자물쇠를 해제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RFID방식의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인식가능 거리가 15cm 내외로 매우 제한적이어서 사용자가 키유닛(30)을 제2도어록유닛(20)의 RF모듈(22)에 반드시 근접시켜야만 자물쇠를 해제할 수 있는 불편이 있다.
또한 하나의 도어록 시스템에 각각 다른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2개의 RF모듈, 즉, 키유닛(30)과의 무선통신을 위해 제2도어록유닛(20)에 설치되는 RF모듈(22)과 리모컨 키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제1도어록유닛(10)에 설치되는 리모컨 RF모듈(13)을 설치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가 키유닛(30)을 꺼내지 않고도 도어록유닛(20)과의 무선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인식거리를 확장하기 위하여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예, 2.4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식이 소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인식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키유닛(30)에서 송출되는 ID정보가 도청될 수 있는 보안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식거리를 확장시키면서도 송수신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하나의 키유닛을 외부에서 자물쇠를 해제시키는 본연의 용도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리모컨 키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고가의 리모컨 키를 구입할 필요를 없앰으로써 가격경쟁력과 사용편의성이 높은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는 도어록유닛과 키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유닛이 상기 키유닛으로부터 상기 키유닛의 아이디정보를 획득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이 난수를 생성하여 상기 키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키유닛에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도어록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에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제4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이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한 난수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일치하면 상기 도어록유닛이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도어록유닛에 설치된 웨이크업(wake-up)버튼을 누르는 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이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키 유닛에 저장된 상기 아이디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키유닛에 설치된 스위치부를 누르면, 상기 키유닛에서 상기 도어록유닛으로 웨이크업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이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키유닛에 저장된 상기 아이디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도어록유닛이 감시용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키유닛이 상기 감시용 무선신호에 응하여 상기 아이디정보를 상기 도어록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무선송수신부, 자물쇠를 개폐하는 자물쇠모듈,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며, 복호화된 데이터와 원래의 난수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는 도어록유닛마이컴, 사용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마이컴을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시키는 웨이크업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도어록유닛; 상기 도어록유닛의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와 무선통신하는 제2무선송수신부, 고유ID를 저장하며, 상기 도어록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난수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키유닛마이컴,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키유닛을을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록유닛에는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누른 사람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유닛은 상기 도어록유닛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도어록유닛을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록유닛은 도어의 실내측에 장착되는 1도어록유닛과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장착되는 제2도어록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2도어록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는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은 상기 제1도어록유닛 또는 상기 제2도어록유닛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록유닛에는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키유닛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실내안테나가 설치되며, 상기 실내안테나는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의 동작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유닛의 상기 고유ID는 실내 및 실외에서 자물쇠 해제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키용ID 와 실내에서 리모컨 키로만 사용하기 위한 리모컨용 ID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유닛의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의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에 서 상기 키유닛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한 신호의 강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3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여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유닛의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키유닛과의 무선송수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키유닛과의 무선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웨이크업 버튼을 누른 사람을 촬영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되는 제1단계; 상기 제1도어록유닛의 상기 실내안테나 또는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에서 상기 키유닛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실내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신호와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강도를 비교하는 제3단계; 상기 실내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강도보다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강도가 더 큰 경우에 한하여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여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1도어록유닛의 상기 실내안테나를 통한 신호수신을 차단하고,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에서 상기 키유닛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여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1도어록유닛의 상기 실내안테나를 통한 신호수신을 차단하고,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에서 상기 키유닛으로부터 상기 고유ID를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고유ID가 키용ID인지 리모컨 키용 ID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고유ID가 리모컨 키용 ID이면 상기 마이컴이 절차를 중단하고, 키용ID이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여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2.4GHz의 ISM대역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인식거리를 넓힐 수 있고,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한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을 포함하는 인증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송수신 데이터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키유닛을 외부에서 자물쇠를 해제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실내용 리모컨 키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편의성이 증진된다. 또한 도어록 유닛의 실내측에 리모컨 RF모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품단가를 낮추어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도 2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유닛(100)과 도 3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록유닛(100)은 도어록유닛마이컴(110), 자물쇠모듈(120), 제1무선송수신부(130), 입력부(140), 전원부(150) 등을 구비한다.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도어록시스템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저장부와, 주변회로와의 신호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등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키유닛(200)의 인증을 위해 소정 방식으로 난수를 생성하여 제1무선송수신부(130)를 통해 키유닛(200)으로 전송하는 기능, 키유닛(200)이 암호화하여 송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기능, 복호화된 데이터가 원래 전송했던 난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판단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난수발생, 복호화, 비교연산 기능은 모두 프로그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수발생부(111), 복호화부(112) 또는 비교연산부(113)를 별도의 블록이나 모듈로 구현할 수도 있다.
난수발생부(111)는 사용시마다 항상 새로운 난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감시용 무선신호를 통해 키유닛(200)의 접근을 인식할 때마다 새로운 난수를 생성할 수도 있고, 도어록유닛(100)이 웨이크업될 때마다 새로운 난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이 난수발생부(111)를 통해 항상 새로운 난수를 생성하여 키유닛(200)으로 송신하면 예를 들어 2.4GHz대역의 주파수를 이용 하여 도어록 시스템의 인식거리가 확장된다고 하더라도 도청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복호화부(112)는 키유닛(200)이 암호화하여 송신한 데이터를 원래의 난수로 복호화하며, 복호화 방식은 키유닛(200)에서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의 내부에 탑재될 수도 있고 별도의 메모리 칩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롬(ROM)과 램(RAM)을 포함한다. 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알고리즘, 비교연산 알고리즘 등이 저장된다. 또한 롬에는 사용자 또는 제조사가 등록한 키유닛(200)의 고유ID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물쇠모듈(120)은 도어에 설치된 자물쇠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모터컨트롤러, 구동모터 등을 포함한다.
제1무선송수신부(130)는 키유닛(200)의 제2무선송수신부(2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어록유닛마이컴(110)에서 생성한 난수를 송신하고, 키유닛(200)에서 전송하는 ID정보 또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키유닛(200)에 대한 인식거리를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130)가 예를 들어 2.4GHz의 ISM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주파수대역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40)는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어록 시스템의 셋팅을 위해 설정값을 입력하거나 수동으로 자물쇠를 해제하는 경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40)에는 대기상태에 있는 도어록유닛(100)을 감시용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웨이크업(wake-up) 상태로 전환시키는 웨이크업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록유닛(100)은 감시용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여 키유닛(200)의 접근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전원낭비가 매우 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웨이크업 버튼을 설치해 두면, 비록 사용자가 웨이크업 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이 있긴 하지만 도어에 접근한 사용자가 웨이크업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이후의 과정은 자동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그다지 저해하지는 않으면서도 소모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원부(150)는 도어록유닛(100)의 각 구성요소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건전지 등의 DC 전원이 이용된다.
키유닛(200)은 키유닛마이컴(210), 제2무선송수신부(220), 스위치부(230), 전원부(240) 등을 포함한다.
키유닛마이컴(210)은 키유닛(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도어록유닛(100)의 제1무선송수신부(130)에서 송신한 난수를 제2무선송수신부(220)를 통해 수신한 후에 이를 암호화하여 다시 도어록유닛(100)으로 전송한다.
키유닛마이컴(210)의 이러한 기능은 프로그램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화부(211)를 별도의 블록 또는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키유닛마이컴(210)은 수신한 난수만을 이용하여 암호화 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저장부(212)에 저장된 데이터(ID 및/또는 패스워드)와 수신한 난수를 모두 이용하여 암호활 수도 있다.
키유닛마이컴(210)에는 키유닛(200)의 ID정보, 암호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롬(ROM)과 임시 저장공간인 RAM을 포함하는 저장부(212)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212) 또는 암호화부(212)는 키유닛마이컴(21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무선송수신부(220)는 도어록유닛(100)의 제1무선송수신부(130)와 예를 들어 2.4GHz대역에서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스위치부(23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키유닛(200)에서 도어록유닛(100)으로 웨이크업 신호 또는 소정의 ID정보를 능동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부(240)는 키유닛(200)의 각 구성요소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 건전지 등의 DC 전원이 이용된다.
한편, 도어록유닛(100)의 제1무선송수신부(130)와 키유닛(200)의 제2무선송수신부(220)의 인식거리는 ISM대역(예, 2.4GHz)에서 수십 m에 이를 수 있으나, 사용환경이나 필요에 따라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인식거리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어록유닛(100)은 보안상의 이유로 실내측의 제1도어록유 닛과 실외측의 제2도어록유닛으로 분리하여 설치되므로, 본 발명의 도어록유닛(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유닛마이컴(110), 자물쇠모듈(120) 및 전원부(150)를 포함하는 실내측의 제1도어록유닛(100a)과, 제1무선송수신부(130) 및 입력부(140)를 포함하는 제2도어록유닛(100b)으로 구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제2도어록유닛(100b)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시스템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기존 설치되어 있는 도어록 시스템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방식을 간단히 접목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실내측의 제1도어록유닛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모듈(120), 제1도어록유닛마이컴(110a) 및 전원부(150)가 이미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외측의 제2도어록유닛을 본 발명에 따른 제품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제2도어록유닛(20)을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제2도어록유닛(100b)으로 교체하면 된다.
상기 제2도어록유닛(100b)에는 실내측의 제1도어록유닛마이컴(110a)과 구분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난수발생, 복호화, 비교연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b), 제1무선송수신부(130), 입력부(140)가 설치된다.
이때 제2도어록유닛(100b)의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전원은 제1도어록유닛(100a)의 전원부(150)에서 제공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도어록유닛(100b)에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b)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제1도어록유닛(100a)에 이미 설치된 제1도어록유닛마이컴(110a)에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난수발생, 복호화 및 비교연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일 기존 설치된 제품의 실외측의 제2도어록유닛만을 교체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제1도어록유닛마이컴(110a)과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b)을 통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사용자가 실내에서 수동으로 자물쇠를 해제하는 해제버튼(미도시)은 제1도어록유닛(100a)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의 신호흐름도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어록유닛(100)의 제1무선송수신부(130)가 설정된 주기마다 소정의 무선신호(일종의 파일럿신호)를 전송하여 키유닛(200)의 접근여부를 감시하는 것은 전력낭비가 심할 수밖에 없으므로, 여기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록유닛(100)의 입력부(140)에 설치된 웨이크업버튼이 눌려지면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이 웨이크업되어 소정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렇다고 해서 본 발명이 도어록유닛(100)의 제1무선송수신부(130)가 설정된 주기마다 소정의 무선신호(일종의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키유닛(200)을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록유닛(100)에 접근하여 입력부(140)에 구비된 웨이크업버튼을 누르면,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되어 소정의 무선신호를 제1무선송수신부(130)를 통해 송신하고 키유닛마이컴(210)은 이에 응하여 저장부(212)에 저장된 ID정보를 도어록유닛(100)으로 전송한다. (ST11, ST12)
이어서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수신된 ID정보와 저장부(114)에 저장된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음 또는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안내멘트를 발생시킨다.
다만 이러한 ID인증절차는 후술하는 ST20단계(복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난수와 비교하는 단계)에서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ST13, ST14)
상기 ID인증단계(ST13)에서 ID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난수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난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난수를 키유닛(200)으로 전송한다. (ST15, ST16)
키유닛마이컴(210)은 수신한 난수를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하며, 암호화 데이터를 도어록유닛(100)으로 전송한다. (ST17, ST18)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복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화한다. (ST19)
이어서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복호화된 데이터가 ST15 단계에서 생성된 난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도어록유닛마이컴(110) 은 자물쇠모듈(120)로 해제신호를 전송하여 자물쇠를 해제한다. (ST20, ST21)
만일 상기 ST20단계에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경고음 또는 소정의 안내멘터를 발생시키며(ST14), 따라서 처음단계(ST11)부터 전술한 과정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
만일ST21단계에서 자물쇠가 해제되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물쇠모듈(120)을 다시 작동시켜 자물쇠를 잠그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에는 전술한 단계가 처음(ST11)부터 수행된다.
한편 난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T20)에서는 ID일치여부를 함께 판단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만일 둘 중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ST14), 처음단계부터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도어에 접근하여 웨이크업 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까지 접근하지 않더라도 원격에서, 예를 들어 엘리베이트에서 내리기 직전에, 도어록유닛(100)을 웨이크업 시키는 것이 편리할 수도 있다.
즉, 도 7의 신호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유닛(200)에 구비된 스위치부(230)를 누르면 소정 형식의 웨이크업 신호가 키유닛(200)에서 도어록유닛(100)으로 전송된다.
이때 키유닛(200)의 저장부(212)에 저장된 ID정보도 함께 도어록유닛(100) 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된 도어록유닛(100)이 감시용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ID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ST31, ST32)
이어서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수신된 ID정보와 저장부(114)에 저장된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음 또는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안내멘트를 발생시킨다.
다만 이러한 ID인증절차는 후술하는 ST40단계(복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난수와 비교하는 단계)에서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ST33, ST34)
상기 ID인증단계(ST33)에서 ID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소정의 난수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난수를 생성하여 키유닛(200)으로 전송한다. (ST35, ST36)
키유닛마이컴(210)은 수신한 난수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한 후에 암호화 데이터를 도어록유닛(100)으로 전송한다. (ST37, ST38)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복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화한다. (ST39)
이어서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복호화된 데이터가 ST35 단계에서 생성된 난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결과 일치하면 도어록유닛마이컴(110)은 자물쇠모듈(120)로 해제신호를 전송하여 자물쇠를 해제한다. (ST40, ST41)
상기 ST40단계에서 만일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음 또는 소정의 안내멘터를 발생시키며(ST34), 따라서 처음단계(ST31)부터 전술한 과정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난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T40)에서는 ID일치 여부를 함께 판단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만일 둘 중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ST44), 처음단계부터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키유닛(200)에 도어록유닛(100)의 웨이크업을 위한 스위치부(23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문자가 비디오폰 또는 인터폰을 눌렀을 때 실내에서 도어를 열어주는 리모컨 대용으로 키유닛(200)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제1무선송수신부(130)는 실외측의 제2도어록유닛(100b)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키유닛(200)을 실내에서 리모컨처럼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내에 위치하는 키유닛(200)이 실외에 위치하는 제1무선송수신부(130)와 원활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도어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도어 때문에 송수신신호가 약20dB이상 감쇄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원활한 송수신을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의 제1도어록유닛(100a)에 키유닛(200)의 제2무선송수신부(220)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실내안테나(170)를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실내안테나(170)를 실외측의 제2도어록유닛(100b)의 제1무선송수신부(130)에 연결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무선송수신부(130)와 키유닛(200)이 예를 들어 2.4GHz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안테나(170)도 상기 2.4GHz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RFID방식의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서 비디오폰 또는 인터폰과 연동하는 리모컨 키의 433MHz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RF모듈(13)이 제1도어록유닛(10)에 설치되고, 키유닛(30)의 13.56MHz신호를 수신하는 RF모듈(22)이 제2도어록유닛(20)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제품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의 제2도어록유닛(100b)에 설치되어2.4GHz 대역의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1무선송수신부(130)를 실내측의 제1도어록유닛(100a)의 실내안테나(170)와 연결시켜 두면 사용자가 실내에서 키유닛(200)의 스위치부(230)를 누르기만 하면 전술한 도 7의 알고리즘에 따라 자물쇠를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리모컨 키를 별도로 구입하거나 이를 위한 RF모듈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하나의 키유닛(200)을 실외뿐만 실내에서 리모컨 키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록유닛(100)의 실외측 제2도어록유닛(100b)에 웨이크업 버튼이 설치된 경우에는 키유닛(200)이 실내에 있을 때 밖에서 누가 입력부(140)의 웨이크업 버튼을 누르기만 해도 자동으로 전술한 도 6의 알고리즘이 수행되어 자물쇠모듈이 해제되어 버리는 불합리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5에서 실외에 설치되는 제2도어록유닛(100b)의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b)이 웨이크업 버튼에 의해 웨이크업 되더라도 실외에 위치하는 키유닛(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만 응답하고 실내에 위치하는 키유닛(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는 응답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첫번째 방법으로는, 제1무선송수신부(130)에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기능, 즉 수신신호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거나 별도의 수신신호강도 감지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제 도어가 설치된 경우에는 실외측 제2도어록유닛(100b)의 제1무선송수신부(130)와 실내에 위치하는 키유닛(200) 사이의 무선신호는 키유닛(20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약20dB이상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a, 110b)은 제1무선송수신부(130)에서 수신한 신호의 강도와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만일 기준값보다 낮은 강도의 신호가 수신되면 키유닛(20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비록 외부에서 누가 웨이크업 버튼을 누르더라도 도 6의 자물쇠해제 절차를 진행하지 않도록 설정하면 된다.
이러한 RSSI기능은 제1무선송수신부(130)가 아니라 제1 또는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a, 110b)에 탑재될 수도 있다.
만일 키유닛(200)을 리모컨 키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의 제1도어록유닛(100a)에 실내안테나(170)를 설치한 경우에는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졌을 때 상기 실내안테나(170)에서 수신된 신호의 강도와 실외측의 제1무선송수신부(130)에서 수신한 신호의 강도를 비교함으로써 키유닛(200)이 실내에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졌을 때, 실내안테나(170)에서 수신한 신호강도가 더 크면 키유닛(200)이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 6의 자물쇠 해제 알고리즘을 진행시키지 않고, 만일 실외측의 제1무선송수신부(130)에서 수신한 신호강도가 더 크면 키유닛(200)이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 6의 알고리즘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신호강도 비교절차는 적어도 도 6의 ST15단계(난수 생성 단계)의 이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두번째 방법으로는, 도 9의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가 외부에서 입력부(140)의 웨이크업 버튼을 누르면(ST11), 제1 또는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a, 110b)이 실내측의 제1도어록유닛(100a)의 실내안테나(17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차단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무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ST11-1)
즉, 외부에서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졌을 때 실내에 위치한 키유닛(200)과 실외측의 제1무선송수신부(130) 간의 무선신호를 차단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무시함으로써 이후의 자물쇠 해제 알고리즘이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실내에 위치한 키유닛(200)의 무선신호가 금속제 도어를 통과하여 제1무선송수신부(130)로 직접 전송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1무선송수신부(130)의 신호강도나 전송거리를 미리 적절히 조절해 두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올 때마다 키유닛(200)을 도어 근처에 두지 말라는 안내멘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실내에 키유닛(200)이 위치하더라도 만일 웨이크업 버튼을 누른 자가 등록된 다른 키유닛(200)을 소지한 경우에는 실외에 위치하는 키유닛(200)의 고유ID를 제1무선송수신부(130)를 통해 수신하여 ST12단계 이후의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그런데 적은 평수의 아파트나 사무실에서는 리모컨 키 대용으로 사용되는 키유닛(200)과 도어의 거리가 매우 가까우므로 제1도어록유닛(100a)의 실내안테나(170)에서의 신호수신을 차단하고 제1무선송수신부(130)의 신호강도나 전송거리를 조절하는 것 만으로는 외부에서 웨이크업 버튼을 눌렀을 때 실내의 키유닛(200)과의 무선송수신을 통해 자물쇠가 해제되는 위험을 완전히 막기는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리모컨 용으로 사용할 키유닛(200)을 별도로 도어록유닛(100)에 등록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록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초에 사용하고자 하는 다수의 키유닛(200)의 각 고유ID를 도어록유닛(100)에, 구체적으로는 제1 또는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a, 110b)에 등록해 두어야 하는데, 이때 리모컨 전용으로 사용할 키유 닛(200)을 일반 키유닛과는 구분하여 등록해 두면 된다.
예를 들어 ID등록단계에서 입력부(140)의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수신된 키유닛(200)의 ID는 키용 ID로 등록하고,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수신된 키유닛(200)의 ID는 리모컨 용 ID로 등록하는 방식으로 키유닛(200)의 ID를 용도별로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다.
만일 리모컨 용으로 등록된 키유닛(200)이 실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제1무선송수신부(130)가 실내의 키유닛(200)으로부터 ID를 수신하고, 제1 또는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a, 110b)에서는 수신된 ID가 리모컨 용 ID인지 아니면 키용 ID인지를 판단하여 만일 리모컨 용 ID인 경우에는 자물쇠 해제절차를 진행하지 않도록 설정하면 된다.
만일 수신된 ID가 키용 ID이면 도 6의 절차를 거치도록 하되, 무단으로 자물쇠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ST15단계의 이전에 수신된 신호강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 한하여 키유닛(200)이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의 자물쇠 해제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수신된 신호강도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키용의 키유닛(200)이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절차를 중지한다.
한편, 키유닛(200)을 소지하지 않은 외부인이 도어록유닛의 웨이크업 버튼을 누를 때는 불순한 의도를 가진 경우가 많으므로 도난사고를 방지하거나 사후의 범인검거를 위해서 실외측의 제2도어록유닛(100b)에 카메라모듈(미도시)을 설치하 여 웨이크업 버튼이 눌러질 때마다 영상을 촬영하여 제1 또는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a, 110b)에 저장해 둘 수도 있다.
이때 제1 또는 제2도어록유닛마이컴(110a, 110b)에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인터페이스를 제1 또는 제2도어록유닛(100a, 100b)에 별도로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다만 웨이크업 버튼을 누르는 모든 사람을 촬영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진 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키유닛(200)과의 무선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키유닛(200)의 고유ID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한하여 카메라모듈을 구동하여 누른 사람을 촬영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진 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키유닛(200)과의 무선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키유닛(200)의 고유ID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진다는 경고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어떠한 변형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RFID방식 도어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어록유닛이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분되어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어록유닛이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분되어 설치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어록유닛의 웨이크업 버튼을 눌러 자물쇠를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도 7은 키유닛의 스위치부를 눌러 자물쇠를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도 8은 실내측의 제1도어록유닛에 실내안테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웨이크업 버튼을 눌렀을 때 실내안테나가 차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어록 유닛 110: 도어록유닛마이컴
111: 난수발생부 112: 복호화부
113: 비교연산부 114: 저장부
120: 자물쇠모듈 130: 제1무선 송수신부
140: 입력부 150: 전원부
170: 실내안테나 200: 키유닛
210: 키유닛마이컴 211: 암호화부
212: 저장부 220: 제2무선송수신부
230: 스위치부 240: 전원부

Claims (19)

  1.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는 도어록유닛과 키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유닛이 상기 키유닛으로부터 상기 키유닛의 아이디정보를 획득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이 난수를 생성하여 상기 키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키유닛에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도어록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에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제4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이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한 난수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일치하면 상기 도어록유닛이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도어록유닛에 설치된 웨이크업(wake-up)버튼을 누르는 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이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키유닛에 저장된 상기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키유닛에 설치된 스위치부를 누르면, 상기 키유닛에서 상기 도어록유닛으로 웨이크업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이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키유닛에 저장된 상기 아이디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도어록유닛이 감시용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키유닛이 상기 감시용 무선신호에 응하여 상기 아이디정보를 상기 도어록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키유닛의 아이디정보가 상기 도어록유닛에 등록된 아이디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결과 아이디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2단계 이후의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도어록유닛은 상기 키유닛과의 무선통신을 위하여 웨이크업 될 때마다 항상 새로운 난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키유닛의 아이디정보가 상기 도어록유닛에 등록된 아이디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디정보가 등록된 아이디와 일치하고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난수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도어록유닛이 상기 자물쇠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1무선송수신부,
    자물쇠를 개폐하는 자물쇠모듈,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며, 복호화된 데이터와 원래의 난수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는 도어록유닛마이컴,
    사용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마이컴을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시키는 웨이크업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도어록유닛;
    상기 도어록유닛의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와 무선통신하는 제2무선송수신부,
    고유ID를 저장하며, 상기 도어록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난수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키유닛마이컴,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키유닛;
    을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유닛에는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누른 사람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유닛은 상기 도어록유닛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도어록유닛을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유닛은 도어의 실내측에 장착되는 1도어록유닛과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장착되는 제2도어록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2도어록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는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은 상기 제1도어록유닛 또는 상기 제2도어록유닛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록유닛에는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키유닛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실내안테나가 설치되며, 상기 실내안테나는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의 동작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유닛의 상기 고유ID는 실내 및 실외에서 자물쇠 해제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키용ID 와 실내에서 리모컨 키로만 사용하기 위한 리모컨용 ID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14. 제8항의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유닛의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의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에서 상기 키유닛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한 신호의 강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3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여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9항의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유닛의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키유닛과의 무선송수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키유닛과의 무선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웨이크업 버튼을 누른 사람을 촬영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경고음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될 수 있다는 경고멘트를 함께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12항의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되는 제1단계
    상기 제1도어록유닛의 상기 실내안테나 또는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에서 상기 키유닛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실내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신호와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강도를 비교하는 제3단계
    상기 실내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강도보다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강도가 더 큰 경우에 한하여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여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제12항의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 컴이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1도어록유닛의 상기 실내안테나를 통한 신호수신을 차단하고,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에서 상기 키유닛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여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제13항의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대기상태에서 웨이크업 되는 제1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1도어록유닛의 상기 실내안테나를 통한 신호수신을 차단하고, 상기 제2도어록유닛의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에서 상기 키유닛으로부터 상기 고유ID를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고유ID가 키용ID인지 리모컨 키용 ID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고유ID가 리모컨 키용 ID이면 상기 마이컴이 절차를 중단하고, 키용ID이면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도어록유닛마이컴이 상기 자물쇠모듈을 제어하여 자물쇠를 해제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70085375A 2007-08-24 2007-08-24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90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375A KR100908473B1 (ko) 2007-08-24 2007-08-24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375A KR100908473B1 (ko) 2007-08-24 2007-08-24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796A true KR20090020796A (ko) 2009-02-27
KR100908473B1 KR100908473B1 (ko) 2009-07-21

Family

ID=4068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375A KR100908473B1 (ko) 2007-08-24 2007-08-24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4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1444A (zh) * 2011-03-23 2012-09-26 全亿数位科技股份有限公司 可远程控制的锁具管理方法
KR101311444B1 (ko) * 2012-03-30 2013-09-25 김영수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
KR20150053281A (ko) * 2013-11-07 2015-05-18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US11941930B2 (en) 2020-12-30 2024-03-26 Psdl Door lock, device for controlling door lock, program for controlling door lock and server for managing door lo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047A (ko) 2001-06-01 2002-12-11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일회용 비밀 번호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를이용한 일회용 비밀 번호 제공 장치
KR100483236B1 (ko) * 2003-04-28 2005-04-15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도어록 개폐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1444A (zh) * 2011-03-23 2012-09-26 全亿数位科技股份有限公司 可远程控制的锁具管理方法
KR101311444B1 (ko) * 2012-03-30 2013-09-25 김영수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
KR20150053281A (ko) * 2013-11-07 2015-05-18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US11941930B2 (en) 2020-12-30 2024-03-26 Psdl Door lock, device for controlling door lock, program for controlling door lock and server for managing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473B1 (ko)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5961B1 (en) Wireless door lock device and biometric door lock controlling system having the wireless door lock device
US11962944B2 (en) Electronic lock with remote monitoring
US200400365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US114237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electronic lockers
US20150379795A1 (en) Active Detection Typ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mart Door Lock Controller
US200801942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operating keyless entry systems
KR20160132168A (ko) 스마트 도어락
JP2007162309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キーシステム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0908473B1 (ko)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EP3748588A1 (en) Access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N101201944A (zh) 一种指纹箱包及其控制方法
KR101208744B1 (ko) 지능형 보안 도어락 및 그를 이용한 운용 방법
CN111862431A (zh) 权限控管系统
KR100596690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CN107464393A (zh) 门窗安防系统及其方法
KR20120134607A (ko) 해킹 방지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키 인증 방법
KR100728656B1 (ko) 조작부와 잠금 장치가 분리된 디지털 도어락 및 그 방법
WO2005045779A1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キーユニット
CN210924713U (zh) 基于iBeacon技术的门禁系统
KR20040043550A (ko) 도어락 장치
TW201704610A (zh) 智慧型門禁裝置
US9761105B1 (en) Control system providing a real-time remote alarm
KR101311444B1 (ko)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
KR10089028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