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055A -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055A
KR20090017055A KR1020070081479A KR20070081479A KR20090017055A KR 20090017055 A KR20090017055 A KR 20090017055A KR 1020070081479 A KR1020070081479 A KR 1020070081479A KR 20070081479 A KR20070081479 A KR 20070081479A KR 20090017055 A KR20090017055 A KR 20090017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lient
area
encryption code
encryp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월유
Original Assignee
이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월유 filed Critical 이월유
Priority to KR102007008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055A/ko
Publication of KR2009001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Abstract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클라이언트에게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에서 재생될 콘텐츠에 제1암호화 코드를 삽입하고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의제1 영역을 암호화하는 단계, 제1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클라이언트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콘텐츠의 제2 영역에 삽입하고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제2 영역을 암호화 하는 단계; 및 제1 영역 및 제 2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2 암호화 코드는 인증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클라이언트에서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제 2영역을 복호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암호화를 이원화하여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의 부하를 줄이고 다양한 단말기에서 간단히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081479
로밍 단말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접속번호

Description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ncrypted content and and record media recoded program rea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시점을 다원화하고 클라이언트 정보를 콘텐츠에 삽입하여 암호화 하되 암화화된 영역 중 일부는 인증 서버로부터 암호화 키를 클라이언트가 수신하여 복호화 할 수 있도록 한 콘텐츠에 클라이언트 정보를 삽입하여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환경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이 생성되어 유통되고 있다. 특히 게임, 학원 등의 특화된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경우뿐 아니라 개인들도 준 전문적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제작, 배포하는 UCC(User Creative Content)가 선풍적인 인기를 구가하면서 콘텐츠의 종류와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콘텐츠를 제작한 콘텐츠 제공자의 저작권 보호가 문제되고 있다.
특히 Web 2.0의 시대가 도래한 만큼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유는 더욱더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는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저작권 보호 방법에 의하면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를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면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전송요청을 받은 경우 해당 콘텐츠를 암호화 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왔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매우 다양한 콘텐츠가 유통되는 상황에서는 콘텐츠 요청을 받을 때마다 실시간으로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저작권 보호 서비스 제공자 예를 들어 암호화 서버에 많은 부하를 줄 수 있다. 특히 영화, 강의 등의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암호화를 하는 대신 콘텐츠의 전송속도를 포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인증키를 받아 암호화하고 요청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클라이언트만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같은 클라이언트의 여러 개의 단말기간에는 호환이 되지 않고 다시 인증절차를 거쳐 그에 상응하는 인증키로 암호화된 콘텐츠를 새로 전송 받아야 하는 문제점 이 있었다.
본 발명은 데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시점을 다원화하여 저장함으로써 대용량의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암호화하는데 발생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된 콘텐츠 중 일부를 복호할 수 있는 암호화 코드를 인증 서버로부터 복수의 단말기가 전송 받아 복호할 수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클라이언트에게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재생될 콘텐츠에 제1암호화 코드를 삽입하고 상기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제1 영역을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제2 영역에 삽입하고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암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 2영역을 복호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DRM(Digital Right Management) 클라이언트 도구를 전송 받아서 상기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하되, 상기 DRM 클라이언트 도구는 상기 제1 암호화 코드가 상기 콘텐츠에 삽입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복수개의 단말기이되,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전송되는 단계이고,
상기 제2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복수개의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제2 영역을 복호화 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간에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PC, PDA, 이동통신단말기이며,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통하여 상기 PC 또는 PDA에 전송되고,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이동통신망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C 또는 MMSC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제1-a 영역, 제 1-b 영역, …, 제1-n 영역으로 이루어 지되, 상기 제1-a 영역, 제 1-b 영역, …, 제1-n 영역의 사이에는 암호화되지 않은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암호화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 이전에,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의 암호화된 제1영역을 복호화할 수 있는 제1암호화 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인증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인증값은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간에 전송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가 삽입되는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콘텐츠의 테이터 최전단 및 최후단의 데이터 블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에게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에 있어서,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전송 받아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1 영역을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모듈; 상기 제1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한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1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의 제2 영역에 삽입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모듈; 및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전송 요청, 상기 인증정보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클라이언트에게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재생될 콘텐츠에 제1암호화 코드를 삽입하고 상기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제1 영역을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제2 영역에 삽입하고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암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 2영역을 복호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DRM(Digital Right Management) 클라이언트 도구를 전송 받아서 상기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하되, 상기 DRM 클라이언트 도구는 상기 제1 암호화 코드가 상기 콘텐츠에 삽입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복수개의 단말기이되,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전송되는 단계이고,
상기 제2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복수개의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제2 영역을 복호화 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간에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PC, PDA, 이동통신단말기이며,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통하여 상기 PC 또는 PDA에 전송되고,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이동통신망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C 또는 MMSC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제1-a 영역, 제 1-b 영역, …, 제1-n 영역으로 이루어 지되, 상기 제1-a 영역, 제 1-b 영역, …, 제1-n 영역의 사이에는 암호화되지 않은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암호화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 이전에,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의 암호화된 제1영역을 복호화할 수 있는 제1암호화 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인증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인증값은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간에 전송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가 삽입되는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콘텐츠의 테이터 최전단 및 최후단의 데이터 블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를 암호화 하는 시점을 이원화 하여 실시간으로 암호화를수해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원화되어 암호화된 콘텐츠의 일부를 인증 서버를 통하여 복수개의 단말기에서 전송 받은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복호화 할 수 있어 복수의 단말기가 각각 인증 서버에 접속해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 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DRM Content Server), 인증 서버(120)(Authentication Server),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32, 134, 136), 콘텐츠 제공자(110)로 구성되어 있다.
콘텐츠 제공자(110)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클라이언트(130)에게 제공하며, 전문적으로 영화, 강의 등의 동영상을 제작하는 전문 콘텐츠 제작자가 운영하는 서버(Server)일 수 있으며, 일반 인터넷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 즉, UCC(User Created Content)를 제공하는 경우 일반 클라이언트의 PC(Personal Computer) 등이 콘텐츠 제공자(110)가 될 수 있다.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는 콘텐츠 제공자(110)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받아 콘텐츠 저장부(104)에 저장한다.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는 콘텐츠 제공자(110)로부터 전송 받은 콘텐츠를 암호화 하지 않고 그대로 콘텐츠 저장부(104)에 저장한다. 콘텐츠 저장부(104)는 다양한 콘텐츠가 주제별로 분류하여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DB : Data Base)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130)는 일반적인 서버-클라이언트의 관계에서 콘텐츠를 전송 받는 사용자(User)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UE : User Equipment)를 의미하는데 도 1에서 클라이언트는 콘텐츠를 전송 받아 재생하는 단말기를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130)는 복수개의 단말기(132, 134, 136) (UE :User Equipment)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130)는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이동통신단말기(Mobile Phone) 등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UE 1(132)이 PC라고 가정하면 클라이언트(130)가 PC(132)를 통하여 영화 동영상을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로부터 전송 받는 경우 먼저 클라이언트(130)는 PC(110)를 통하여 인증 서버(120)에 접속하여 클라이언트 인증을 하여야 한다.
이 후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는 인증 서버(120)와 연동되므로 인증 서버(120)로부터 클라이언트(130)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인증키를 전달받게 된다.
인증키(Authentication key)는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를 의미한다.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는 인증키를 전달받으면 인증키로 동영상 콘텐츠의 데이터 전부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는 콘텐츠 암호화부(106)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콘텐츠 암호화는 종래의 DES(Data Encryption Standard), 3DES(Triple DES) 또는 128비트의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등의 공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영상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동영상 콘텐츠의 데이터를 전부 암호화하는데 많은 데이터 처리량이 소요되므로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 또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의 중앙 처리부(미도시)에는 많은 부하 및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가 암호화된 동영상 콘텐츠를 클라이언트(130)로 전송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클라이언트(130)로서도 동영상 콘텐츠 전송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UE 1(132)이 인증 서버(120)를 통하여 인증절차를 거치면 인증 서버(120)은 인증키를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로 전송한다.
인증키를 전송 받은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한 콘텐츠를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가 UE 1(132)에 전송한다.
이 경우 UE 1(132)은 인증 서버(120)로부터 해당 인증키를 전송 받았기 때문에(A1, A2, A3)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 할 수 있지만 UE 2(134)에서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 할 수 없다.
따라서, UE 2(134)는 다시 인증 서버를 통하여 인증 절차를 거쳐 UE 1(132)과 마찬가지로 암호화된 콘텐츠를 다시 전송 받아야 한다(도 1에서 B1, B2, B3로 도시). 이는 UE 3(136)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도 1에서 C1, C2, C3로 도시).
따라서 동일한 콘텐츠 임에도 불구하고 UE 1(132), UE 2(134), UE 3(136)를 소유한 사용자는 UE 1(132), UE 2(134), UE 3(136)를 각각 사용하는 경우 UE 1(132), UE 2(134), UE 3(136)가 매번 인증 서버(120)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거친 후 각각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 받아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에 의하면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종래에 대용량의 콘텐츠를 클라이언트(130)로부터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마다 암호화하여 발생했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여러 클라이언트 단말기(132, 134, 136)가 매번 인증 서버(120)에 접속할 필요도 없다.
즉, 본 발명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는 대용량의 콘텐츠를 암호화 하는 시점 및 콘텐츠의 영역을 이원화 하여 암호화로 인한 암호화된 콘텐츠 제공장치의 과부하를 줄이고, 이원화 된 암호화 영역 중 일부는 같은 인증키를 가진 여러 클라이언트 단말기(132, 134, 136)가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적용된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은 도 1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100와 대비되는 것이나 본 발명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는 서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는 콘텐츠 제공자(210)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으면 콘텐츠 저장부(204)에 저장하기 전에 먼저 콘텐츠의 제1 영역을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 한다.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것은 암호화된 콘텐츠 제공장치에 포함되는 제1 암호화 모듈(202)이다. 제1 암호화 모듈 및 후술한 제2 암호화 모듈은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에 포함되는 제어부(미도시)에 포함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각각 별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 질 수 도 있다.
제1 암호화 모듈(202)은 제1 영역을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 한 뒤, 제1 암호화 코드를 암호화된 제1 영역의 전단에 제1 암호화 코드를 삽입한다.
제1 암호화 코드는 PK(Public Key)일 수 있으며, 제1 암호화 코드는 인증 서버(220)를 통하여 제공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클라이언트 도구를 전송 받은 클라이언트(130)에서도 생성될 수 있다. DRM 클라이언트 도구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 후 제1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는 콘텐츠 저장부(204)에 저장된다. 콘텐츠 저장부(204)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형식 으로 암호화된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130)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로 원하는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한편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와 연동하는 인증 서버(22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 등록부(222)에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콘텐츠 구매 정보 등을 등록한다.
등록된 정보는 인증 서버(220)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24)에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24)에는 선불 방식으로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선불액 중 잔액정보 등도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등록부(222)는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로 전송한다.
사용자 정보에는 앞서 언급한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콘텐츠 구매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인증한 경우 생성되는 제2 암호화 코드가 전송된다.
제2 암호화 코드는 개인키(Private Key)일 수 있으며 제2 암호화 코드를 사용하여 암호화한 데이터는 제2 암호화 코드를 사용하여 복호화가 가능하다.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에 포함되는 제2 암호화 모듈(206)은 콘텐츠 저장부(204)에서 제1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독출하여 인증 서버(220)로부터 전송 받은 사용자 정보를 콘텐츠의 제2 영역에 삽입한다.
제2 영역은 콘텐츠의 데이터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일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의 구조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암호화 모듈(206)은 사용자 정보가 삽입된 제2 영역을 인증 서버(220)로부터 전송 받은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 한다.
따라서, 콘텐츠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나뉘어 암호화 되고 암호화되는 시점도 제1 모듈이 암호화하는 것은 콘텐츠 제공자(210)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받는 경우와 클라이언트로(130)부터 콘텐츠 전송요청을 받은 경우의 두 가지로 이원화 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을 암호화 하는 것은 선암호화 방식(Pre-encryption) 방식으로 제1암호화 모듈(202)이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210)로부터 전송 받아 일괄적으로(Statically) 콘텐츠를 암호화한다.
이러한 제1 영역의 암호화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를 운영하는 여러 관리자에 의한 콘텐츠 유출방지는 물론 네트워크를 통해 침입하는 외부 해커(Hacker)들로부터의 공격에도 안전하게 방어가 가능하다.
또한 제2 영역을 암호화하는 것은 요청시점 암호화 방식(On-the-fly)방식으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전송요청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암호화해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에 따르면, 선암호화 방식과 요청시점 암호화 방식을 모두 사용하되 그 시점을 이원화 하고 구매자 정보가 포함된 제2영역만을 제 2암호화 모듈이 On-the-fly 방식으로 암호화 하여 전송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에 발생하는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30)의 전송요청을 받은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는 제2 영역의 암호화를 마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130)로 전송한다.
전송 받은 클라이언트(130)는 사용자가 소유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UE 1(132))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UE 1(132)을 이용하여 전송 받은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UE 1(132)에서 콘텐츠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서로 다른 암호화 코드로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이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제1 암호화 코드 및 제2 암호화 코드가 필요하다.
이 경우 UE 1(132)은 제2 암호화 코드는 클라이언트(130)가 접속하였던 인증 서버(220)의 인증 키(Authentication Key) 및 DRM 클라이언트 도구 전송부(226)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
즉, 제2 암호화 코드는 인증 키(Authentication Key)이며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도 클라이언트(130)가 인증 서버(220)를 통하여 인증절차를 거친 경우 인증 서버 (220)로부터 인증 키 즉, 제2 암호화 코드를 전송 받아 제2 영역을 암호화한 것이므로 클라이언트(130) 또한 인증 서버(220)로부터 제2 암호화 코드를 전송 받아 콘텐츠의 제2 영역을 복호화 할 수 있다.
제1 암호화 코드로 암호화된 제1 영역은 제1 암호화 코드로 복호화될 수 있는데 제1 암호화 코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영역의 전단에 삽입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130)는 제1 암호화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전 단의 위치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제1 암호화 영역이 콘텐츠의 데이터 영역 전체 중 어느 영역인지를 알 수 있어야만 제1 암호화 코드를 추출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를 인증 서버(220)로부터 전송 받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증 서버(220)의 인증 키 및 DRM 클라이언트 도구 전송부(226)는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전송한다. 즉, DRM 클라이언트 도구 전송부(226)는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제1 영역과 제1 암호화 코드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30)는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1 암호화 방식에 대한 프로토콜을 인식할 수 있어 콘텐츠로부터 제1 암호화 코드를 추출하여 제1 암호화 영역을 복호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UE 1을 통하여 인증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한 후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UE 2(134), …,UE n(136) 에 대한 기기정보를 모두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기기와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인증 서버(220)는 인증된 UE1(132), UE 2(134), …,UE n(136)로 동시 또는 이시에 위에서 설명한 제2 암호화 코드 및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1(132)이 PC 이고, UE 2(134)는 이동통신단말기라고 가정하면 PC(132)가 먼저 인증 서버(220)에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134)에 대한 기기 정보 등을 전송하여 등록하고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에 콘텐츠 전송요청을 한 다.
이 경우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이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영역을 암호화한 콘텐츠를 PC(132)로 전송한다.
PC(132) 및 이동통신 단말기(134)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거나 전송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PC(132)가 전송 받은 데이터는 암호화된 상태로 PC(132)에서 이동통신단말기(134)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PC(132) 및 이동통신단말기(134)에서는 제2 암호화 코드 및 DRM 클라이언트 도구만 보유하면 해당 콘텐츠를 복호화 할 수 있다.
인증 서버(220)는 PC(132)와 이동통신단말기(134)에 제2 암호화 코드 및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동시 또는 이시에 전송한다.
즉, 인증된 사용자 정보 및 기기정보에 근거하여 PC(132)에는 제2 암호화 코드 및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이메일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이메일 형식으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134)에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미도시)과 연동되는 SMSC(미도시)(Short Message Center)를 통하여 단문 메시지 형식 또는 MMSC(미도시) (Multimedia Message Center)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제2 암호화 코드 및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PC(132) 및 이동통신단말기(134) 각각은 제2 암호화 코드 및 제1 암호화 코드를 추출할 수 있는 도구를 확보하여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 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PC(132)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4)를 통하여 각각 인증 및 콘텐츠의 전송을 받을 필요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전송하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는 최초로 콘텐츠 제공자(210)로부터 암호화 되지 않은 원본의 콘텐츠를 전송 받는다.
콘텐츠 전송장치(200)의 제1 암호화 모듈(202)은 콘텐츠(300)의 제1 영역을 암호화 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하나의 영역일 수 도 있으며 복수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영역일 수도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암호화된 블록인 콘텐츠 데이터 암호화 블록은 302-b, 304-b, 306-b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제1 영역은 예를 들어 세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 진 영역일 수 있다.
302-b, 304-b, 306-b의 암호화된 블록은 제1 암호화 모듈(202)이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한 콘텐츠의 제1 영역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의 제1 암호화 모듈(202)이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제1 영역은 반드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은 콘텐츠의 전(全) 영역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콘텐츠의 데이터 총 크기의 50%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암호화 모듈(202)이 암호화 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200)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300)의 최전단과 최후단에는 사용자 정보가 삽입되어 암호화 되어있다. 즉 사용자 정보가 삽입되어 암호화된 사용자 암호화 블록(308 및 309)은 도 2에서 설명한 제2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30)는 인증 서버(220)로부터 전송 받은 제 2 암호화 코드(또는 인증 키)를 통하여 제2 영역을 복호화 할 수 있다. 복호화가 이루어지면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되며 클라이언트(13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RM 클라이언트 도구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입력되도록 미리 설정함으로써 제1 영역을 복호화 할 수 있는 제1 암호화 코드를 추출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콘텐츠 제1 암호화 코드(302-a, 304-a, 304-a)는 제1 암호화 영역(302-b, 304-b, 304-b)의 전단에 위치함으로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통하여 제1 암호화 코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제1 암호화 영역을 복호화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30)는 암호화된 동영상을 전송 받아 인증 서버(220)를 통하여 전송 받은 제2 암호화 코드 및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이용하여 복호화 하고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 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적용된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전송하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Claims (10)

  1.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클라이언트에게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재생될 콘텐츠에 제1암호화 코드를 삽입하고 상기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1 영역을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제2 영역에 삽입하고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암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 2영역을 복호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DRM(Digital Right Management) 클라이언트 도구를 전송 받아서 상기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하되,
    상기 DRM 클라이언트 도구는 상기 제1 암호화 코드가 상기 콘텐츠에 삽입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복수개의 단말기이되,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전송되는 단계이고,
    상기 제2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단말에 전송되어 상기 복수개의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제2 영역을 복호화 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간에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이동통신단말기(Mobile Phone)이며,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통하여 상기 PC 또는 PDA에 전송되고,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이동통신망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또는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제1-a 영역, 제 1-b 영역, …, 제1-n 영역으로 이루어 지되,
    상기 제1-a 영역, 제 1-b 영역, …, 제1-n 영역의 사이에는 암호화되지 않은 영역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에 전송되어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가 삽입되는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콘텐츠의 테이터 최전단 및 최후단의 데이터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8. 클라이언트에게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에 있어서,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전송 받아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1 영역을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모듈;
    상기 제1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한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1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의 제2 영역에 삽입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모듈; 및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전송 요청, 상기 인증정보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9.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가 클라이언트에게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재생될 콘텐츠에 제1암호화 코드를 삽입하고 상기 제1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제1 영역을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제2 영역에 삽입하고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암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제2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 2영역을 복호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 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DRM(Digital Right Management) 클라이언트 도구를 전송 받아서 상기 DRM 클라이언트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하되,
    상기 DRM 클라이언트 도구는 상기 제1 암호화 코드가 상기 콘텐츠에 삽입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81479A 2007-08-13 2007-08-13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090017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479A KR20090017055A (ko) 2007-08-13 2007-08-13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479A KR20090017055A (ko) 2007-08-13 2007-08-13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055A true KR20090017055A (ko) 2009-02-18

Family

ID=4068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479A KR20090017055A (ko) 2007-08-13 2007-08-13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70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735B1 (ko) * 2014-12-31 2016-03-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콘텐츠 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18225963A1 (ko) * 2017-06-08 2018-12-13 주식회사 엘팩토리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액자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735B1 (ko) * 2014-12-31 2016-03-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콘텐츠 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18225963A1 (ko) * 2017-06-08 2018-12-13 주식회사 엘팩토리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액자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5312B2 (en) Token passing technique for media playback devices
US7224805B2 (en) Consumption of content
US743405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 encrypted payload data stream and method and device for decrypting an encrypted payload data stream
KR100753932B1 (ko) 컨텐츠 암호화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485096B2 (en) Encryption / decryption of data with non-persistent, non-shared passkey
US20100017599A1 (en) Secure digital content management using mutating identifiers
CN101977190B (zh) 数字内容加密传送方法以及服务器端
JP2005526320A (ja) デジタル著作権管理における安全なコンテンツの共有
KR20070014133A (ko) 전자 콘텐츠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224262B2 (ja) デジタル情報保護システム、記録媒体装置、送信装置及び再生装置
US20070064936A1 (en) Content data delivery method and content data delivery system and handheld device for use therein
JP2000156676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ト用の安全配布システム
CN101189633A (zh) 用于在内容分发系统中进行权利发放者授权的方法和装备
CN103237010B (zh) 以加密方式提供数字内容的服务器端
CN101547101B (zh) 分别用于生成、传输以及接收权限对象的方法和装置
JP4791425B2 (ja) DRM(DigitalRightsManagement)デバイスを用いてDRM機能と付加機能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CN103237011B (zh) 数字内容加密传送方法以及服务器端
US201000774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ntent management
US8755521B2 (en)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media playback devices
KR20090017055A (ko) 암호화된 콘텐츠 전송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EP1412833A1 (en) Consumption of digital data content with digital rights management
CN108243198A (zh) 一种数据分发、转发方法及装置
JP5524601B2 (ja) プログラム、電子機器、サーバ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CN101667995A (zh) 数字版权管理方法、系统、硬件安全单元及计算机
JP2000298622A (ja) 暗号化ファイルの生成及び閲覧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子情報交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