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052A - System and method for file folder repair services in the p2p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file folder repair services in the p2p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052A
KR20090017052A KR1020070081472A KR20070081472A KR20090017052A KR 20090017052 A KR20090017052 A KR 20090017052A KR 1020070081472 A KR1020070081472 A KR 1020070081472A KR 20070081472 A KR20070081472 A KR 20070081472A KR 20090017052 A KR20090017052 A KR 20090017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file
folder
us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승희
김남현
Original Assignee
윤승희
김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희, 김남현 filed Critical 윤승희
Priority to KR102007008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052A/en
Publication of KR2009001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0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8Transfer of content, software, digital rights or licenses
    • G06F21/1085Content sharing, e.g. peer-to-peer [P2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A system and a method for file folder repair services in the P2P service are provided to immediately restore the necessary file or folder through the online. The user connects to the center server of the P2P recovery service through the P2P usage/offer terminal(S102). The user sets up the REPAIR FILE program in the P2P usage/offer terminal (S104). If there is the file to be restored in the P2P usage/offer terminal, the corresponding file is selected by utilizing the mouse(S110). If the file to be restored is already deleted, the user produces the text file (S110). The user edits the name and the extension name of the text file and performs the Drag & Drop(S112). The REPAIR FILE program produces the hash code of the corresponding file(S114). The user selects the displayed file and restores the corresponding file(S118).

Description

피투피를 통한 파일 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ile folder repair services in the P2P service}System and method for file folder repair services in the P2P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 서비스의 파일 복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1 is a flowchart of a file recovery method of a P2P recover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 서비스의 시스템 복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2 is a flowchart of a system recovery method of a P2P recover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초기 실행 화면1이고,3A is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initial execution scree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초기 실행 화면2이고,3b is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initial execution screen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초기 실행 화면3이고,3c is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initial execution screen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복구 1단계이고,Figure 4a is a first step in file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복구 2단계이고,4b is a second step in file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복구 3단계이고,Figure 4c is a three-step file recover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 복구이고,5 is a folder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뷰이고,6 is a setting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구 지점 생성 과정1이고,7A is a program recovery point creation proces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구 지점 생성 과정2이고,7b is a program recovery point creation process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구 지점 생성 과정3이고,7c is a program recovery point creation process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구 지점 생성 과정4이고,7d is a program recovery point creation process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구 과정1이고,8A is a program recovery proces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구 과정2이고,8b is a program recovery process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구 과정3이고,8c is a program recovery process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구 지점 삭제 과정1이고,9A is a process for deleting a program recovery poi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구 지점 삭제 과정2이고,9B is a process for deleting a program recovery point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구 지점 삭제 과정3이고,9C is a process for deleting a program recovery point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 P2P를 통한 파일 폴더 복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le folder recovery system via P2P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 P2P를 통한 파일 폴더 복구 시스템에서 중개서버의 상세구성도이다.11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diation server in a file folder recovery system via P2P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및 주요단어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couple in the drawings and explanation of the main words >>

- REPAIR FILE 프로그램 : 본 발명에 의한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의미-REPAIR FILE program: means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P2P 이용/제공 단말(1006, 1008, 1010, 1012, 1014, 1016)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1008, 1010, 1012, 1014, 1016)

: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PC), PDA, HPC, 핸드폰 등  : General personal computer (PC), PDA, HPC, mobile phone, etc.

- 해시코드 : 특정 파일의 데이터를 임의의 알고리즘으로 계산한 4~8byte의 결과 값으로 파일마다 특이한 값을 가짐-Hash code: 4 ~ 8byte result value that calculated data of specific file by random algorithm and has unique value for each file

- 복구 파일/폴더 : 복구할 파일 또는 폴더-Recover file / folder: File or folder to recover

- 복구 소스 파일/폴더 : 복구할 파일 또는 폴더의 소스가 되는 파일/폴더-Recovery source file / folder: File / folder that is the source of the file or folder to be recovered

- 복구 지정 폴더 : 사용자가 바로 복구할 폴더가 아닌, 상시로 복구해주어야 할 시스템 폴더.-Restored folder: System folder to be restored at all times, not folder to be restored by user.

- 공유 폴더 : 유저가 다른 유저에게 공유할 파일/폴더가 들어있는 폴더. Shared folder: A folder containing files / folders that a user will share with other users.

- 저장 폴더 : 복구된 파일/폴더를 저장하는 폴더.-Save folder: Folder to save recovered files / folders.

- 복구 폴더 : 복구된 파일/폴더가 저장될 폴더로 저장 폴더는 공유폴더로 바로 설정됨.-Recovery Folder: The folder where the restored files / folders will be saved. The save folder is directly set as the shared folder.

본 발명은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특정 다수의 P2P 이용/제공 단말이 인터넷 망을 통해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에 연결되어 불특정 다수의 P2P 이용/제공 단말이 복구를 요청함에 따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현해 내는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 fol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through P2P,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unspecified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s are connected to a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thus, a plurality of unspecified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 fol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through P2P that realizes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recovery upon request of this recovery.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나 각종 프로그램 파일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 프로그램에 의해 삭제되거나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에는 복구용 매체를 별도로 준비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복구하여 사용하고 있다. In general, the operating system or various program files of a computer system may be physically or logically damaged. It can also be deleted or corrupted by virus programs. Therefore,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a computer system, a recovery medium is separately prepared to recover and use the computer system.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 2001-0070803호<복구 및 백업 시스템과 그 방법>에서는 탈착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에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과 동일한 운영체제 및 복구 소프트웨어를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맞도록 백업하고,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 2003-0032558<온라인/오프라인으로 컴퓨터시스템의 장애를 복구하는 방법>에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장애를 복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컴퓨터에 사용하는 컴퓨터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별도로 저장된 시스템 정보와 비교하여 장애를 복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0070803 <Recovery and Backup System and Method>, the same operating system and recovery software as the user's computer system are backed up in a removable flash memory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user, and a failure occurs. There is proposed a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by using the flash memory, 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0032558 <How to recover the failure of the computer system online / offline> of the computer system online and offline In order to recover from a failure, a method of recovering a failure by storing system information of a computer used in a used computer and comparing the separately stored system informa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used computer system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 2001-0070803호는 상시로 복구 요구 조건에 맞게 백업하기가 쉽지가 않고, 백업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를 잃어버리면 복구작업을 전혀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과 복수개로 구성된 일정한 네트워크상 의 컴퓨터 시스템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각각 개별적인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해야 한다는 번거로움도 존재한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 2003-0032558호는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에 시스템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부분의 컴퓨터 시스템 공간을 차지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동시에 여러대의 컴퓨터 시스템을 온라인 상으로 복구해야 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의 부하로 인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상적으로 복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1-0070803 is not always easy to back up to meet the recovery requirements, and if the lost flash memory is not able to proceed with the recovery operation at all, and a plurality of constant network configuration There is also the hassle of having to have a separate flash memory to recover a computer system.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0032558 has a problem that occupies a large part of the computer system space because the system information must be stored separately in the computer system being used, and at the same time several computer systems online If it is necessary to recover, it takes a lot of time due to the load of the networ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restored normally.

위와 같은 경우에 대비하여 윈도우즈 XP 등의 운영체제는 자체적으로 <시스템복원>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도 컴퓨터 시스템 공간에 시스템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기도 하면서, 개개의 상용프로그램 하나하나를 복구할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전체를 복구하는 시점에 맞추어 복구가 되어버리는 단점도 존재한다.  In case of the above cases, operating systems such as Windows XP provide a service called <System Restoration>, but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cover each commercial program by storing system information separately in the computer system space. There is no. In general, in order to recover a single program, the user may recover the program at the time of restoring the entire program.

또한, 파일/폴더 하나가 손상된 경우에 대해서 파일 하나만 복구 시키고 싶은데 현재로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을 받아 덮어씌우는 방법 외에는 다른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Also, I want to recover only one file in case one file / folder is damaged. Currently, there is no method other than downloading and overwriting the Internet.

예를 들어, 네이버의 지식인에서 많은 유저들이 찾는 파일인 mfc70.dll, mfc70d.dll, msvcp70.dll,?msvcr70.dll,?msvcr70d.dll, msvcr80.dll 등은  For example, mfc70.dll, mfc70d.dll, msvcp70.dll, msvcr70.dll, msvcr70d.dll, msvcr80.dll, etc.

Microsoft C++ Runtime Library 로서, A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B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A프로그램을 시스템에서 삭제할 때, B프로그램과 공유하는 파 일도 함께 삭제될 수가 있다. As a Microsoft C ++ Runtime Library, when you install program A, install program B, and then delete A from the system, files shared with B can be deleted.

따라서, 이처럼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나 각종 프로그램 파일이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변경이나 삭제, 드라이브의 노화,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충돌, 바이러스 등에 의해서 데이터가 유실되었을 경우에도 각각의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손쉽게 원상복구 하기 위한 복구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Therefore, even if the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program files of the computer system installed in the computer are lost due to user's mistake of changing or deleting, aging of the drive, software crash, virus, etc. There is a need for a recovery system that can be easily restored to a desired point in time.

이에 본 발명은 이하에서 방법으로 기존의 기술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인터넷을 활용하는 유저들의 편의를 보다 한 차원 높일 수 있는 온라인 복구 시스템을 제공하려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echnologies in the following method, to provide an online recovery system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convenience of users utilizing the Intern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특정 다수의 P2P 이용/제공 단말이 중앙서버를 통하여 다른 불특정 다수의 P2P 이용/제공 단말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서로에게 필요한 파일/폴더를 온라인을 통하여 즉각에서 복구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nspecified number of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ganically with other unspecified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s through a central server to each other The goal is to provide an instant way to recover needed files / folders onlin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된 주요 프로그램 파일들의 해시코드를 백업해두면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P2P 이용/제공 단말과 불특정 다수의 P2P 이용/제공 단말과 상시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언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상기 백업된 시기의 상태의 파일로 주요 프로그램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lways connected to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and the unspecified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backs up the hash codes of the main program files installed in the user's computer, at any tim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for restoring a main program file to a file in a state of being backed up at a desired time poi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은 P2P 이용/제공 단말이 인터넷 망을 통해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에 연결된 후 P2P서비스 회원가입을 하고 상기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로 부터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P2P 이용/제공 단말로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한 후 로그인을 하여 상기 P2P 서비스 중앙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복구소스파일/폴더를 제공할 공유폴더, 복구된 파일/폴더를 저장할 저장폴더 및 사용자가 한 번의 설정만으로 지속적으로 복구할 복구지정폴더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공유폴더, 저장폴더, 복구지정폴더의 내부 파일들의 해시코드를 만드는 단계, 상기에서 만들어진 해시코드를 통하여 추후 프로그램파일/폴더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2P file / fol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2P use / provid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via the Internet network to join the P2P service membership and recover the P2P Downloading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from the service central server to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starting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nd logging in to connect to the P2P service central server; through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Setting a shared folder to provide a recovery source file / folder, a storage folder for storing the recovered file / folder, and a recovery designated folder for continuous recovery by the user only once, and the set shared folder, storage folder, and recovery designated folder. A hashcode of the internal files of the hash co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recovering the program file / folder later through.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은 P2P 이용/제공 단말이 인터넷 망을 통해 P2P 복구 서 비스 중앙서버에 P2P서비스 회원가입을 하고 상기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로부터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P2P 이용/제공 단말로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한 후 로그 을 하여 상기 P2P 서비스 중앙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마우스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복구하고 싶은 파일/폴더를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Drag & Drop 하는 단계; 사용자가 Drag & Drop한 파일/폴더에 대한 정보를 P2P 이용/제공 단말에서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파일에 대한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In addition, the file / fol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through the P2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P2P service member subscription to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via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P2P Downloading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from a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to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Starting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nd logging to access the P2P service central server; Dragging & dropping a file / folder to be restored to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such as a mouse; Generating, by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 hash code for the file from the P2P user / providing terminal with information about the file / folder dragged and dropped by the user;

초기 실행되었다면,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에 해당 P2P 이용/제공 단말의 IP등의 경로를 전달하여 주는 단계;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로 부터 다른 사용자들의 P2P 이용/제공 단말의 IP등의 경로를 전달받고 다른 사용자들의 P2P 이용/제공 단말에 접속하는 단계; If it is initially executed, delivering a path such as IP of the corresponding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to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Receiving a path such as an IP of a P2P use / providing terminal of other users from a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and accessing the P2P use / providing terminal of other users;

초기 실행이 아니라면,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P2P 이용/제공 단말의 DB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P2P 이용/제공 단말의 IP등의 경로로 접속하는 단계, If not the initial execution, connecting to the path of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IP of other users stored in the DB of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through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다른 사용자의 P2P 이용/제공 단말의 DB부에 저장되어 있는 또 다른 사용자들의 P2P 이용/제공 단말의 IP등의 경로를 전달 받고 해당 경로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사용자들의 P2P 이용/제공 단말의 공유폴더, 저장폴더, 복구지정폴더의 내부 파일들의 해시코드를 검색하는 단 계; 파일/폴더이름, 해시코드의 일치 여부, 해당 파일의 주소 비교 등의 주요사항을 점검하여 파일의 신뢰도를 신뢰도 계산모듈 이 계산하는 단계; 사용자의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설정 값에 따라 정해진 신뢰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내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폴더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에 선택된 파일/폴더를 소스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P2P 이용/제공 단말 내 저장폴더에 상기의 파일/폴더를 복구-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ceiving a path such as the IP of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of the other users stored in the DB of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of the other user and accessing the corresponding path, wherein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of the user Retrieving a hash code of internal files of a shared folder, a storage folder, and a recovery designated folder of a P2P user / provider terminal; Calculating reliability of the file by checking a major matter such as file / folder name, hash code match, and address comparison of the corresponding file; Indicating to the user's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based on a reliability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setting value; Selecting a file / folder desired by the user; Restoring-storing the file / folder in a storage folder in the P2P user / providing terminal of the user using the selected file / folder as a sourc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은 P2P 이용/제공 단말이 인터넷 망을 통해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에 P2P서비스 회원가입을 하고 상기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로 부터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P2P 이용/제공 단말로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한 후 로그인을 하여 상기 P2P 서비스 중앙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현재 유저가 가지고 있는 Point를 알려주는 단계, 상기의 단계에서 유저가 가지고 있는 Point가 유저가 복구하려는 파일/폴더의 복구 소모 Point 보다 작아 Point를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2P file / fol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P2P service member subscription to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via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P2P recovery Downloading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from the service central server to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starting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nd logging in to connect to the P2P service central server; through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Informing the Point which the current user has, and charging the Point by having the Point which the user has in the above step smaller than the recovery consumption point of the file / folder to be restored by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한편, 본 발명에 따른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은 P2P 회원 가입을 받고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회원 가입된 P2P 이용/제공 단말 로 다운로드 하고, 회원 가입된 다수 사용자의 IP주소 등의 목록을 저장/제공하는 P2P 복구 서비스 중앙 서버, 상기 P2P 복구 서비스 중앙 서버와 연동되어 P2P 서비스 가입자의 회원정보, 로그인 정보 및 IP주소정보, 과금정보, 복구 소스 파일정보, 복구 소스 파일 이용정보, 복구 소스파일 제공 정보 등을 저장하고, 이를 통계 데이터화하는 P2P 복구 서비스 DB서버와 과금, 결제 수단을 제공하는 과금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le and fol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through the P2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P2P membership registration, download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to the subscribed P2P user / providing terminal, the list of IP addresses, etc. of a plurality of registered users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for storing / providing the information, member information, login information and IP address information, billing information, recovery source file information, recovery source file usage information, recovery source of P2P service subscribers in conjunction with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And a billing server for storing file provis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a P2P recovery service DB server for making statistical data and a billing and payment method.

또한, P2P 이용/제공 단말간의 파일을 검색하고, 복구 서비스의 주요 기준이 될 해시코드에 대하여 본 발명은 그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등의 통신망으로 다수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온라인 환경 하에서 그 활용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또한 해시코드 생성 방법은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간단히 생성해 낼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해시코드에 대한 간단한 설명 외에 그 생성에 관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a hash code, which is to search for files between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s and serves as a main criterion of a recovery service, but in an online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computers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Since the method is disclosed, since the hash code generation method can be easily generated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fiel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eneration other than the brief description of the hash code is omitted. do.

해시코드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해시코드는 데이터를 인증하는 4바이트형 코드로써 우선적으로 해시테이블의 생성을 필요로 한다. 해시테이블은 256개의 4바이트배열로 0~255까지의 각 인덱스값에 16진수 '0xEDB88320'를 XOR, RSHIFT연산을 행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해시코드는 16진수 '0xFFFFFFFF'로 시작해 데이터의 각 바이트값과의 XOR연산을 한 결과를 미리 만들어진 해시테이블에서 다시 찾아 대입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모든 내용을 꼬아가며 계산한 값이다. 따라서 해 시코드는 데이터의 요소가 조금이라도 바뀌게 되면 결과 값이 천차만별로 바뀌는 연산 값으로써 두 해시코드가 같다는 것은 두 데이터가 <1/42억>의 확률과 같다는 것이다. In brief, the hash code is a 4-byte code for authenticating data, which requires the creation of a hash table. The hash table can be constructed by performing XOR and RSHIFT operations on hexadecimal '0xEDB88320' for each index value from 0 to 255 in 256 4-byte arrays. The hash code is calculated by twisting all the contents of the data by starting with the hexadecimal '0xFFFFFFFF' and retrieving the result of XOR operation with each byte value of the data in the pre-created hash table. Therefore, the hash code is an operation value that changes the result value only if the elements of the data are changed slightly. The fact that the two hash codes are the same means that the two data are equal to the probability of <1 / 2.4 bill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도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각각의 도면 부호는 도면의 번호와 순서에 따라 매겨져 있다. 중복되는 사항일 지라도 도면의 번호가 달라지면, 다른 도면 부호가 주어진다. In each figure, each reference numeral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gure is number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order of a figure. Duplicate numbers, even if duplicated, are given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도면의 성격에 따라, 도면 부호 앞에 첨자가 붙기도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면의 성격이 다른 도 1처럼 도면이 순서도일 경우 앞에 첨자 S를 붙이도록 한다.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drawings, subscripts may be attached before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awings are flowcharts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이하에서 REPAIR FILE 프로그램이라 한다. 또한, P2P 이용/제공 단말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를 지칭하나, 이는 PDA, HPC, 핸드폰 등으로 얼마든지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ferred to as a REPAIR FILE program hereinafter. In addition,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generally refers to a personal computer (PC),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applied to any number of changes, such as PDA, HPC, mobile phon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의 구성 중 인터넷으로 통신망이 구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general computer network system in which a communication network is configured on the Internet among the configurations of a file / folder recovery system via P2P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 P2P를 통한 파일 폴더 복구시스템에서 중개서버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ntermediary server in a file folder recovery system via P2P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1002,1104)에는 P2P 서비스 가입자의 회원정보, 로그인 정보 및 IP주소정보, 과금정보, 복구 소스 파일정보, 복구 소스 파일 이용정보, 복구 소스파일 제공 정보 등을 저장하고, 이를 통계 데이터화하는 P2P 복구 서비스 DB서버(1112)와 상기의 정보를 활용하여 유저들끼리 서로 접속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P2P중개 서비스부(1106), 회원관리 모듈(1108)과 과금서버(1114)와 연동되어 P2P 복구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기 위한 과금 클라이언트(1110)와, 과금 및 결제 수단을 제공하는 과금서버(1114) 등이 구비되어 있다.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1002, 1104) stores the member information, login information and IP address information, billing information, recovery source file information, recovery source file usage information, recovery source file provision information, etc. of the P2P service subscribers, and Interworking with P2P mediation service unit 1106, member management module 1108, and billing server 1114, which smoothly induces users to connect to each other by utilizing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And a billing client 1110 for processing billing for the P2P recovery service, and a billing server 1114 for providing billing and payment means.

상기의 구성을 바탕으로 도 10에서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1002)는 P2P 이용/제공 단말(1006, 1008, 1010, 1012, 1014, 1016)과 인터넷(1004)으로 일반적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이루고 있다.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1002)는 도 11을 참고로 설명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P2P 이용/제공 단말(1006, 1008, 1010, 1012, 1014, 1016)의 요청에 의하여 P2P 중개 서비스 부(1106)로부터 회원 가입된 P2P 이용 제공 단말(1006, 1008, 1010, 1012, 1014, 1016)이 서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고 유저가 자신의 P2P 이용 제공 단말(1006, 1008, 1010, 1012, 1014, 1016)내에서는 모든 기능을 제어 할 수 있는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in FIG. 10,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1002 is a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1008, 1010, 1012, 1014, 1016 and the Internet 1004. It is coming true.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1002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1, and the P2P mediation service unit (P2P mediation service unit) is requested by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s 1006, 1008, 1010, 1012, 1014, and 1016. P1P using providing terminal (1006, 1008, 1010, 1012, 1014, 1016) registered from 1106 to create an environment to act as a server and the user to his own P2P using providing terminal (1006, 1008, 1010, 1012) , 1014, 1016) provides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that can control all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 서비스의 <파일 복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le recovery method of a P2P recover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 file / folder through P2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dergo the following process.

유저가 P2P 이용/제공 단말(1006, 1008, 1010, 1012, 1014, 1016)을 통해 P2P복구 서비스의 중앙 서버에 접속(1002)한 후(S102),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의 안내에 따라 회원 가입 후 REPAIR FILE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 REPAIR FILE프로그램을 P2P 이용/제공 단말에 설치(S104)한다.  After the user connects to the central server of the P2P recovery service (1002) through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s (1006, 1008, 1010, 1012, 1014, 1016) (S102), follow the instructions of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to join the membership. After downloading the REPAIR FILE program, install the REPAIR FILE program to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S104).

유저가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실행하여, 로그인(S106)을 할 경우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은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1002)에 접속한 후 로그인 되어 있는 다른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8, 1010, 1012, 1014, 1016)의 IP를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1002)로부터 전달받고, 해당 IP로 접속한다.(S108) When the user installs the program and executes it to log in (S106), the user's P2P use / provision terminal 1006 accesses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1002 and then uses / provides the P2P of another user who is logged in. The IPs of the terminals 1008, 1010, 1012, 1014, and 1016 are received from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1002,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IPs (S108).

유저는 자신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 복구해야 할 파일이 있을 경우, 마우스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을 선택(S110)한 후 REPAIR FILE 프로그램으로 Drag & Drop하거나(S112) 복구해야 할 파일이 이미 삭제된 상태라면, 텍스트 파일을 생성(S110)하여 상기의 텍스트 파일의 이름과 확장자 명을 해당 파일명과 확장자명으로 수정하여 REPAIR FILE 프로그램으로 Drag & Drop 하여 해당 파일을 복구하려는 의사를 REPAIR FILE 프로그램에 전달한다.(S112) When the user has a file to be recovered in hi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the user selects the file using a mouse (S110) and then drags & drops to the REPAIR FILE program (S112) or the file to be recovered. If it is already deleted, create a text file (S110), modify the name and extension of the text file with the corresponding file name and extension name and drag and drop the file to the REPAIR FILE program to recover the file. (S112)

상기에서 유저의 복구 의사를 전달받은 REPAIR FILE 프로그램은 해당파일의 해시코드를 생성(S114)한 후 해당파일의 이름과 확장자명, 해시코드 및 유저의 세부설정을 기분으로 로그인 되어 있는 다른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8, 1010, 1012, 1014, 1016)에서 해당 복구소스파일을 찾아(S108)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 디스플레이 한다. The REPAIR FILE program, which has received the user's recovery intention, generates a hash code of the file (S114), and then P2P of another user who is logged in with the name and extension of the file, the hash code, and the detailed settings of the user. The recovery source file is found by the user / provider terminal 1008, 1010, 1012, 1014, 1016 (S108) and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er / provider terminal 1006.

유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파일을 선택함(S118)으로써, 해당 파일을 복구한다. 해당 파일의 복구가 종료되고, 추가적으로 복구할 파일이 없으면, 상기의 REPAIR FILE 프로그램은 복구파일에 대한 복구작업을 종료한다. The user recovers the file by selecting the displayed file (S118). When the recovery of the file is terminated and there are no additional files to recover, the REPAIR FILE program terminates the recovery of the recovered fi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 서비스의 시스템 복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의 순서도에 따른 파일복구 실시예인 도 4a, 도 4b, 도 4c, 도 5까지 설명한 후 하도록 한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ystem recovery method of a P2P recover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FIG. 2 will be provided after the file recove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1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4B, 4C, and 5.

도 3a, 3b, 3c 는 본 발명에 따른 REPAIR FILE 프로그램의 초기 실행 화면이다. 3A, 3B and 3C show an initial execution screen of the REPAIR FIL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3a, 3b, 3c 를 통하여 본 발명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하여 필요한 컨트롤 항목과 GUI를 소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취지와 비교하였을 때 중요성이 비교적 없는 부분에 대하여는 간단히 소개만 하고 지나가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items and the GUI required for realiz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3B, and 3C. Compared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s that are relatively insignificant are simply introduced and passed through.

물론 이는 일종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시키지는 않음은 당연하다. Of course, this is a kind of illustration, of course, i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저가 자신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를 통하여 REPAIR FILE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기본적으로 도3a가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 디스플레이 된다. When the user executes the REPAIR FILE program through his / her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basically, FIG. 3A is displayed on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of the user.

도3a에 도시된 항목들을 하나씩 살펴보면 시스템 복구(302)는 유저가 REPAIR FILE 프로그램을 이용하면서,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내의 주요프로그램들을 원하는 시점에 복구지점을 만들고, 추후 상기의 주요프로그램들의 파일들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복구 지점을 통하여 복구지점을 만든 시점으로 주요프로그램 파일들을 복구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Looking at the items shown in FIG. 3A one by one, the system recovery 302 creates a recovery point at a point in time when the user wants the main programs i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while using the REPAIR FILE program, and then the main If the files of the programs are damaged, it provides a function to restore the main program files to the point of time when the recovery point was made through the recovery point.

설정(304)은 도 6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항목을 살펴보면, 설정(304)내 폴더(602)항목은 복구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폴더(608)의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공유폴더(610)는 다른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8, 1010, 1012, 1014, 1016)이 유저로부터 복구소스파일을 요구할 때 제공할 복구소스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폴더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복구지정폴더(612)는 유저가 지정한 주요프로그램 항목들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해시코드를 생성하여, 상기의 주요프로그램의 파일들이 손상되었을 경우 신속하고 원활한 복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Setting 30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Referring to the item shown in FIG. 6, the folder 602 in the setting 304 provides a function of setting a path of the storage folder 608 for storing the recovered file, and the shared folder 610 is used by another user.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8, 1010, 1012, 1014, 1016 provides a function for setting a folder for sharing a recovery source file to be provided when a user requests a recovery source file from the user, and the recovery designated folder 612 is provided. Hash code is generated periodically for the main program items designated by the user, so that a quick and smooth recovery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files of the main program are damaged.

복구서버(604)는 동시에 복구할 수 있는 파일의 개수와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복구 소스파일의 개수를 한정시킴으로써, REPAIR FILE 프로그램이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의 하드웨어적 리소스를 활용하는 것을 유저가 스스로 제어하도록 하여 P2P 이용/제공 단말(1006)의 처리속도가 느려지거나 다른 프로그램들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The recovery server 604 limits the number of files that can be restored at the same time and the number of recovery source files that can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REPAIR FILE program utilizes the hardware resources of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By controlling the user himself to prevent the situation that the processing speed of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is slow or other programs are not performed smoothly.

다시, 도 3a로 돌아가, 도움말(306)은 REPAIR FILE 프로그램의 튜토리얼 모드에서부터 활용방법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REPAIR FILE 프로그램이 아직 익숙하지 않은 유저에게 도움을 주어 보다 손쉽게 REPAIR FILE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Again, returning to FIG. 3A, the help 306 provides assistance to users who are not yet familiar with the REPAIR FILE program in various ways, from the tutorial mode to the usage of the REPAIR FILE program.

복구목록(308)은 현재 유저가 복구하고 있는 파일/폴더의 목록을 보여주는 창이고 복구 목록(308)아이콘을 클릭하였을 경우 그림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중 목록(326)과 완료목록(328) 탭이 나타나 현재 복구중인 파일/폴더와 복구한 파일/폴더를 유저가 바로 확인할 수 있다.  The restore list 308 is a window showing a list of files / folders currently restored by the user, and when the restore list 308 icon is clicked, the restoration list 326 and the completion list 328 as shown in Fig. 3b. A tab will appear, allowing the user to see the files / folders currently being recovered and the files / folders that have been recovered.

탐색기(310)는 일반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활용하는 탐색기와 그 기능이 동일하며, 소스목록(312)은 다른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 1008, 1010, 1012, 1014, 1016)이 현재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소스파일의 목록을 나타내어준다. 파일명, 크기, 복구시간, 포인트로 구분되어 유저에게 정보가 제공된다. The explorer 310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explorer used in a general Windows operating system, and the source list 312 is a P2P user / provider terminal 1006, 1008, 1010, 1012, 1014, 1016 of another user. A list of source files being provided from the P2P use / provision terminal 1006 is shown.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divided into file name, size, recovery time, and points.

신뢰도(314)는 유저가 REPAIR FILE 프로그램을 통하여 파일을 복구할 시 복구소스파일을 검색하기위한 조건을 바탕으로 REPAIR FILE 프로그램이 계산한 값을 의미한다. 이 값이 클수록 유저가 원하는 파일일 확률은 일반적으로 높아져야 하고, 검색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파일명, 파일크기, 해시코드, 파일의 경로 비교 등이 주어질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주된 취지와는 큰 연관이 없으므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reliability 314 means a value calculated by the REPAIR FILE program based on a condition for searching for a recovery source file when the user recovers a file through the REPAIR FILE program. The larger the value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that the user wants the file should be, and the conditions for searching may be given a file name, file size, hash code, file path comparison, etc., but this is largely related to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such information, so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유저추천(316)은 검색되어진 복구소스파일들 중 다른 유저들이 가장 많이 추천한 순으로 검색결과를 보여주는 검색정렬기능이다. 파일/폴더명(318)은 유저추천과 신뢰도의 값과는 별개로, 해당 파일/폴더의 이름만을 검색의 조건으로 한다.  The user recommendation 316 is a search sorting function that displays search results in the order most recommended by other users among the searched recovery source files. The file / folder name 318 is a search condition only for the name of the file / folder, apart from user recommendation and reliability values.

파일맵(320)은 유저에게 보여지는 검색결과의 개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le map 320 serves to adjust the number of search results shown to the user.

500 point(322)는 현재 유저가 보유한 포인트 값을 나타내는 항목으로, 이 포인트는 유저가 파일/폴더를 복구할 시 차감되며, 복구소스파일을 다른 유저에게 제공할 때에는 포인트가 증가한다. 이런 포인트 차감과 증가는 유저들이 서로 상호 작용을 통하여 더 많은 복구 소스파일을 공유하도록 유도함에 있다. The 500 point 322 is an item representing the point value held by the current user. The point is deducted when the user restores the file / folder, and the point increases when the recovery source file is provided to another user. This point deduction and increase is inducing users to share more recovery source files through interaction with each other.

충전(324)는 현재 유저의 포인트가 파일/폴더를 복구할 값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신용카드, ARS, 핸드폰 인증, Cash Back(ex. OK Cash Bag)등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본 발명에 의한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업체의 영업적인 측면을 보완하도록 함에 그 주된 역할이 있다. The charging 324 provides a method of making a payment using a credit card, ARS, mobile phone authentication, cash back (ex. OK Cash Bag), etc., if the current user's point does not have enough value to recover a file / folder. The main role is to complement the business aspect of a company that provides a file / fol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through P2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복구를 도1에 도시된 순서도 단계에 따라 화면을 달리하여 파일의 복구 작업 진행을 도시한 실시 예이다. 단, 파일 다운 및 로그인들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4A, 4B, and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vering a file by changing a screen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1 according to the file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general description of file downloads and logins is omitted.

도 4a는 유저가 프로그램 설치/삭제 시 손상을 입은 msvcp70.dll(402) 파일(Microsoft C++ Runtime Library파일)을 복구시키기 위해 REPAIR FILE 프로그램으로 해당 파일을 Drag & Drop 한 후 복구 소스 파일들이 유저가 설정한 신뢰도 값에 의거하여 복구할 파일을 중심으로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이다.  Figure 4a shows that the recovery source files are set by the user after dragging and dropping the file with the REPAIR FILE program to recover the msvcp70.dll (402) file (Microsoft C ++ Runtime Library file) that was damaged when the user installed / deleted the program.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centering on a file to be restored based on a reliability value.

복구 소스 파일로는 유저가 복구하고 싶은 파일과 동일한 파일(404)외에도 유저의 검색 설정 값에 따라 파일 이름이 다른 파일(406, 408)도 검색되어 질 수 있어, 상황에 따라서 더욱 최근의 파일을 업데이트 받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same file 404 as the file that the user wants to recover, the recovery source file can also search for files 406 and 408 having different file names according to the user's search setting value. You can also get updates.

도 4b는 유저가 복구하고 싶은 파일과 동일한 파일(404)극 한번 클릭했을 때 나타내어지는 해당 파일에 대한 세부정보(410)가 디스플레이 된 화면이다. FIG. 4B is a screen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410 of a corresponding file displayed when the user clicks on the same file 404 once.

도 4c는 유저가 복구하고 싶은 파일을 복구 소스파일로 이름이 동일한 파일(404)선택 하였을 경우 복구목록창에 복구중인 파일의 목록의 정보와 복구 율이 디스플레이 된 화면이다. 해당 복구파일의 복구가 완료되면 완료된 복구 파일은 상기에서 설정한 저장폴더(608)의 위치에 저장되어 진다. FIG. 4C is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on a list of files being restored and a recovery rate when the user selects a file 404 having the same name as a recovery source file as a recovery source file. When recovery of the recovery file is completed, the completed recovery file is stored in the storage folder 608 set above.

도 5는 유저가 파일이 아닌 폴더(502)를 Drag & Drop한 경우로서, 이때는 파일을 Drag & Drop 한 경우와 달리 간단한 선택 창(504)이 Pop-Up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폴더를 바로 복구할 것인지, 복구폴더(612)로 지정하여 시스템 복구 측면에서 관리를 할 것인지 그 여부에 대하여 유저의 의사를 물어본 후 유저가 선택한 방식대로 복구되어진다. FIG. 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drags and drops a folder 502 rather than a file. In this case, unlike a case of dragging and dropping a file, a simple selection window 504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pop-up, and the corresponding folder is directly displayed. It will be restored in the manner selected by the user after asking the user's intention about whether or not to restore or to manage the system in terms of system recovery by designating a recovery folder 612.

이상으로 본 발명인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으로 파일과 폴더를 복구하는 방법을 여러 도면과 함께 살펴보았다, In the above, the method of recovering files and folders by the file / fol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P2P has been described with several drawings.

또한, 본 발명은 파일/폴더를 바로 복구하는 방법과 함께,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에 설치된 주요 프로그램을 원하는 시점에 빠르고 손쉽게 복구지점(백업)을 만드는 방법과 상기 복구지점으로 주요 프로그램을 되돌리는 방법에 대해서도 그 방법과 시스템을 제시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reating a recovery point (backup) quickly and easily at the desired time point with the main program installed i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along with a method for recovering the file / folder immediately and return the main program to the recovery point The method and the system are also presented.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 서비스의 시스템 복구 방법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ystem recovery method of a P2P recover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 서비스의 시스템 복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ystem recovery method of a P2P recover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2P를 통한 시스템 복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단,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1002)로의 접속 및 회원가입, 로그인, REPAIR FILE 프로그램설치 등 도 1에서 참조될 수 있는 공통적인 부분은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2, the system recovery method through P2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oe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However, common parts that may be referred to in FIG. 1, such as connection to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1002, membership registration, login, and installation of the REPAIR FILE program,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lso,

7a, 도 7b, 도 7c, 도 7d, 도 8a, 도 8b, 도 8c, 도 9a, 도 9b,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P2P 복구 서비스의 시스템 복구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므로, 도 2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해당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7A, 7B, 7C, 7D, 8A, 8B, 8C, 9A, 9B, and 9C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system recovery method of a P2P recover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drawings in the order shown in FIG. 2.

유저가 REPAIR FILE 프로그램의 시스템 복구(302)를 선택하면(S202),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는 도 7a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REPAIR FILE 프로그램은 시스템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S204)를 진행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system recovery 302 of the REPAIR FILE program (S202), the screen shown in FIG. 7A is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and the REPAIR FILE program is a task for performing system recovery. Proceed to S204.

이 단계에서 REPAIR FILE 프로그램은 유저에게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려하는지 유저에게 묻게 되고, 유저의 선택에 따라 복구지점 만들기(S206, 702), 이전 복구지점으로 주요프로그램 복구(S216, 704), 복구지점 없애기(S226, 706)의 작업을 수행한다. At this stage, the REPAIR FILE program asks the user what they want to do, creating a recovery point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S206, 702), restoring the main program to the previous recovery point (S216, 704), and removing the recovery point. Perform the operation of (S226, 706).

유저가 복구지점 만들기(S206, 702) 작업을 선택한 경우,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는 도 7b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단계는 복구지점을 만들어 놓을 프로그램 폴더를 선택하는 단계(S208)로서, 도 6에서 설정되어 있는 복구지정폴더(612)의 리스트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712) 유저는 상기의 선택이 맞으면, 다음(716) 버튼을 선택하고, 이전 선택과정으로 돌아가고 싶으면 뒤로(714) 버튼을 선택하고, 시스템 복구 과정을 취소하고 싶으면, 취소(718) 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a recovery point creation operation (S206, 702), the screen shown in Fig. 7B is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This step is a step of selecting a program folder for creating a recovery point (S208), in which the list information of the recovery designated folder 612 set in FIG. 6 is displayed together (712). Select the Next (716) button, select the Back (714) button to return to the previous selection process, or select the Cancel (718) button to cancel the system recovery process.

상기의 단계에서 복구 지점을 만들고자하는 폴더를 선택하고, 다음(716) 버튼을 선택하면,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는 도 7c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단계는 해당 복구 지점의 설명을 기입하는 단계(S210)로서, 시간이 해당 복구 시점을 설명하는 단어나 문구 등을 기입한다. 해당 복구 시점 정보에는 상기 유저가 기입한 단어나 문구 외에 기본적으로 현재 날짜와 시간정보가 추가로 저장될 수도 있다. 유저는 상기의 선택이 맞으면, 다음(724) 버튼을 선택하고, 이전 선택과정으로 돌아가고 싶으면 뒤로(722) 버튼을 선택하고, 시스템 복구 과정을 취소하고 싶으면, 취소(726) 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If the user selects a folder to create a recovery point in the above step and selects a next button 716, the user's P2P user / provider terminal 1006 displays the screen shown in FIG. 7C. This step is a step of writing a description of the recovery point (S210), in which a word or phrase describing a recovery point in time is entered. In addition to the word or phrase written by the user, the curr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ly stored in the recovery point information. The user can select the next 724 button if the selection is correct, select the back 722 button to return to the previous selection process, or select the cancel 726 button to cancel the system recovery process.

상기의 단계(S210)에서 다음(724) 버튼을 선택하면, REPAIR FILE 프로그램은 단계(S208)에서 유저가 선택한 폴더에 대하여, 해당 폴더 내의 파일들의 해시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212)를 수행한다.  If the next button 724 is selected in step S210, the REPAIR FILE program performs a step S212 of generating a hash code of the files in the folder for the folder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S208.

상기의 단계(S212) 작업이 완료되면,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는 도 7b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단계는 복구지점의 생성이 완료된 단계(S214)로서, 단계(S210)에서 유저가 기입한 해당 복구 시점의 설명(728)과 단계(S208)에서 유저가 선택한 폴더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유저는 상기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732)버튼을 누름으로써, 시스템 복구에서 복구지점 만들기(S206, 702)작업이 종료된다. When the operation of step S212 is completed, the screen shown in FIG. 7B is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This step is a step (S214) in which the creation of the recovery point is completed, the description 728 of the corresponding recovery time point written by the user in step S210 and the information on the folder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S208 are displayed. The user confirms the above information and presses the OK button 732, thereby completing the recovery point creation operation (S206, 702) in system recovery.

유저가 도 2의 단계(S204)에서 이전 시점으로 주요프로그램 복구(S216, 704) 작업을 선택한 경우,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는 도 8a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단계는 상기의 단계(S206)부터 단계(S214)를 거쳐 기존에 만들어 놓은 복구지점을 선택하는 단계(S218)로서, 현재까지 유저가 만든 복구 지점 리스트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802) 유저는 복구하고 싶은 지점을 선택하고, 상기의 선택이 맞으면, 다음(804) 버튼을 선택하고, 이전 선택과정으로 돌아가고 싶으면 뒤로(803) 버튼을 선택하고, 시스템 복구 과정을 취소하고 싶으면, 취소(806) 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main program recovery (S216, 704) operation to the previous time point in step S204 of FIG. 2, the screen shown in FIG. 8A is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This step is a step (S218) of selecting a recovery point previously made through step S206 to step S214, and the recovery point list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so far is displayed together. Select the point you want to restore, select the next (804) button if you are correct, select the back (803) button to return to the previous selection, or cancel (806) if you want to cancel the system recovery process. Simply select the button.

상기의 단계에서 복구하고자 하는 복구 지점 선택하고, 다음(806) 버튼을 선택하면,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는 도 8b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단계는 해당 복구 지점의 세부 정보가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S220)로서, 유저는 해당 복구 지점 시간에서 복구할 대상이 되는 시스템 폴더를 선택하고 한 후, 해당 복구 지점으로 복구하고 싶으면 다음(814) 버튼을 선택하고, 이전 선택과정으로 돌아가고 싶으면 뒤로(812) 버튼을 선택하고, 시스템 복구 과정을 취소하고 싶으면, 취소(816) 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In the above step, if the recovery point to be restored is selected and the next button 806 is selected,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8B is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This step is a step in which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ecovery point is displayed in detail (S220). The user selects a system folder to be recovered from the recovery point time, and then, if the user wants to recover to the recovery point, the next step (814). If you want to go back to the previous selection process, select the back button 812. If you want to cancel the system recovery process, select the cancel button 816.

상기의 단계(S220)에서 유저가 다음(814) 버튼을 선택한 경우 REPAIR FILE 프로그램은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1002)로부터 전달받은 IP주소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다른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 1008, 1010, 1012, 1014, 1016)에서 폴더명, 파일명, 파일의 크기, 해시코드 등을 비교하여 유저가 설정해 놓은 기준을 만족할 경우에만 복구를 완료하도록 한다. If the user selects the next button (814) in the step (S220), the REPAIR FILE program is a P2P use / providing terminal 1006 of another user connected through the IP address received from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1002. 1008, 1010, 1012, 1014, and 1016, the folder name, file name, file size, hash code, and the like are compared to complete the recovery only when the user sets the criteria.

상기의 단계(S220) 작업이 완료되면,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는 도 8c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단계는 유저가 선택한 복구지점으로의 복구가 완료된 단계(S224)이다. 이 단계는 유저가 확인(820) 버튼을 누름으로써, 시스템 복구에서 이점시점으로 주요 프로그램 복구(S216, 704) 작업이 완료된다. When the step S220 is completed, the screen shown in FIG. 8C is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This step is a step (S224) where the recovery to the recovery point selected by the user is completed. In this step, when the user presses the OK button 820, the main program recovery operations S216 and 704 are completed as an advantage point in system recovery.

유저가 도 2의 단계(S204)에서 복구지점 없애기(S226, 706) 작업을 선택한 경우,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는 도 9a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단계는 상기의 단계(S206)부터 단계(S214)를 거쳐 기존에 만들어 놓은 복구지점 중 앞으로 복구할 필요가 없는 프로그램(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한 경우)나, 해당 프로그램 폴더에 대하여 다른 복구지점을 만들어 놓은 경우 해당 복구 지점을 선택하는 단계(S228)로서, 현재까지 유저가 만든 복구 지점 리스트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902) 유저는 삭제하고 싶은 복구지점을 선택하고, 상기의 선택이 맞으면, 다음(904) 버튼을 선택하고, 이전 선택과정으로 돌아가고 싶으면 뒤로(903) 버튼을 선택하고, 시스템 복구 과정을 취소하고 싶으면, 취소(906) 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recovery point elimination (S226, 706) operation in step S204 of FIG. 2,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9A is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This step is to create a program that does not need to be restored in the future (steps deleted) or another recovery point for the program folder from the previously created recovery points through step S206 to step S214. If so, in step S228, the recovery point list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covery point list. (902) The user selects a recovery point to delete, and if the selection is correct, the next ( 904, select the button, select the Back button (903) if you want to go back to the previous selection process, or select the Cancel (906) button if you want to cancel the system recovery process.

상기의 단계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복구 지점 선택하고, 다음(906) 버튼을 선택하면,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는 도 9b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단계는 해당 복구 지점의 세부 정보가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S230)로서, 유저는 해당 복구 지점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의 복구지점을 삭제하고 싶으면 확인(912) 버튼을 선택하고, 복구지점 삭제과정을 종료하고 싶으면 취소(910) 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If the recovery point to be deleted is selected in the above step and the next button 906 is selected,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9B is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This step is to display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ecovery point in detail (S230), the user check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ecovery point, if you want to delete the recovery point, select the OK button (912), the recovery point If you want to end the deletion process, select the Cancel (910) button.

상기의 단계(S230) 작업이 완료되면, 유저의 P2P 이용/제공 단말(1006)에는 도 9c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단계는 복구지점의 삭제가 완료된 단계(S232)로서, 확인(916)버튼을 누름으로써, 시스템 복구에서 복구지점 삭제(S226, 706)작업이 종료된다. When the operation (S230) is completed, the screen shown in FIG. 9C is displayed o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1006. This step is the step of deleting the recovery point is completed (S232), by pressing the OK button 916, the recovery point deletion (S226, 706) operation in the system recovery is termina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어느 불특정 사용자의 운영체제 혹은 워드 편집기에 오류가 있을 경우, 굳이 해당 프로그램 제공자를 통하거나 CD등 대용량 저장소를 이용하여 오류가 있는 파일을 복구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서도, 다른 사용자의 동일한 파일을 통하여 손쉽게 복구를 받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n error in an operating system or a word editor of an unspecified user, the user does not need to recover an error file through the program provider or by using a mass storage such as a CD. You can easily recover from the same file.

이상에 살펴본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느 불특정 사용자의 운영체제 혹은 워드 편집기에 오류가 있을 경우, 굳이 해당 프로그램 제공자를 통하거나 CD등 대용량 저장소를 이용하여 오류가 있는 파일을 복구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서도,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동일한 파일을 통하여 손쉽게 복구를 받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n error in an operating system or a word editor of an unspecified user, the Internet does not have to go through the program provider or use a mass storage such as a CD without the trouble of recovering an error file. You can easily recover from the same file of another user connected to the.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는 대량의 데이터에 대하여 해시코드 생성한 후, 생성된 해시코드의 데이터만 자신의 대용량저장소 하드에 백업함으로써 기존 백업 방식과는 달리 아주 작은 용량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만을 준비하면 된다. 따라서 기존 백업의 하드웨어적 어려움에서 벗어나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인터넷 P2P를 이용하여 상시로 원하는 프로그램과 파일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fter the user generates a hash code for a large amount of data, the user prepares only a space capable of storing a very small capacity unlike the conventional backup method by backing up only the data of the generated hash code to his or her mass storage hard disk. Just do it. Therefore, anybody can use it easily from the hardware difficulties of the existing backup, and always use the Internet P2P to return the desired programs and files to the previous state.

Claims (3)

P2P 복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P2P 서비스 중앙 서버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P2P 이용/제공 단말이 온라인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온라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P2P 서비스 중앙 서버와 P2P 이용/제공 단말들이 서로 통신하면서 P2P를 이용한 파일/폴더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an online network system in which a P2P service central server providing a P2P recovery service and at least two P2P user / providing terminals are connected through an online communication network, the P2P service central server and the P2P user / providing terminal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method of performing folder recovery, P2P 이용/제공 단말이 인터넷 망을 통해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에 P2P서비스 회원가입을 하고 상기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로부터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P2P 이용/제공 단말로 다운로드 받는 단계; A P2P service / providing terminal joining a P2P service member to a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downloading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from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to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한 후 로그인을 하여 상기 P2P 서비스 중앙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Starting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nd logging in to access the P2P service central server; 마우스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복구하고 싶은 파일/폴더를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Drag & Drop 하는 단계; Dragging & dropping a file / folder to be restored to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such as a mouse; 사용자가 Drag & Drop한 파일/폴더에 대한 정보를 P2P 이용/제공 단말에서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파일에 대한 해시코드를 생성하고; Generating, by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 hash code for the file from the P2P user / providing terminal with information about the file / folder dragged and dropped by the user; 상기의 유저가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초기 실행한 것일 경우,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에 해당 P2P 이용/제공 단말의 IP등의 경로를 전달하여 주는 단계;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로 부터 다른 사용자들의 P2P 이용/제공 단말의 IP등의 경로를 전달받고 다른 사용자들의 P2P 이용/제공 단말에 접속하는 단계;When the user initially executes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transmitting a path such as an IP of the corresponding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to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Receiving a path such as an IP of a P2P use / providing terminal of other users from a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and accessing the P2P use / providing terminal of other users; 초기 실행이 아니라면,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P2P 이용/제공 단말의 DB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P2P 이용/제공 단말의 IP등의 경로로 접속하는 단계; If not the initial execution, accessing the path of the other users, such as the IP of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stored in the DB of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through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다른 사용자의 P2P 이용/제공 단말의 DB부에 저장되어 있는 또 다른 사용자들의 P2P 이용/제공 단말의 IP등의 경로를 전달 받고 해당 경로로 접속하는 단계; Receiving a path such as an IP of a P2P use / providing terminal of other users stored in a DB of the P2P use / providing terminal of another user and accessing the corresponding path; 상기 사용자의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사용자들의 P2P 이용/제공 단말의 공유폴더, 저장폴더, 복구지정폴더의 내부 파일들의 해시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Retrieving a hash code of internal files of a shared folder, a storage folder, and a recovery designated folder of another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by the user's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파일/폴더이름, 해시코드의 일치 여부, 해당 파일의 주소 비교 등의 주요사항을 점검하여 파일의 신뢰도를 값을 계산하는 단계; Calculating a reliability value of the file by checking major items such as file / folder name, hash code match, and address comparison of the corresponding file; 사용자의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값에 따라 정해진 신뢰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P2P이용/제공 단말에 상기에서 검색된 파일/폴더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Displaying the searched file / folder on the P2P user / providing terminal of the user based on a reliability determined according to a setting value of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of the user;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폴더를 선택하는 단계; Selecting a file / folder desired by the user; 상기에 선택된 파일/폴더를 소스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P2P 이용/제공 단말내의 저장폴더에 상기의 파일/폴더를 복구 후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 And recovering and storing the file / folder in a storage folder in the user's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using the selected file / folder as a source, and storing the file / folder through the P2P. Way. P2P 복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P2P 서비스 중앙 서버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P2P 이용/제공 단말이 온라인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온라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P2P 서비스 중앙 서버와 P2P 이용/제공 단말들이 서로 통신하면서 P2P를 이용한 파일/폴더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an online network system in which a P2P service central server providing a P2P recovery service and at least two P2P user / providing terminals are connected through an online communication network, the P2P service central server and the P2P user / providing terminal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method of performing folder recovery, P2P 이용/제공 단말이 인터넷 망을 통해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에 P2P서비스 회원가입을 하고 상기 P2P 복구 서비스 중앙서버로 부터 P2P 복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P2P 이용/제공 단말로 다운로드 받는 단계; A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registering a P2P service member with a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downloading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from the P2P recovery service central server to the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한 후 로그인을 하여 상기 P2P 서 비스 중앙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Starting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nd logging in to access the P2P service central server;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복구소스파일/폴더를 제공할 공유폴더, 복구된 파일/폴더를 저장할 저장폴더 및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복구할 복구지정폴더를 설정하는 단계; Setting a shared folder for providing a recovery source file / folder through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 storage folder for storing the recovered file / folder, and a recovery designated folder for continuous recovery through a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상기 설정된 공유폴더, 저장폴더, 복구지정폴더의 내부 파일들의 해시코드를 만드는 단계;  Creating a hash code of internal files of the set shared folder, storage folder, and recovery designated folder; 상기에서 만들어진 해시코드를 통하여 추후 P2P 서비스 중앙 서버 및 다수의 P2P 이용/제공 단말과 연결된 상태에서 프로그램파일/폴더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  Recovering a program file / folder in a state connected to the P2P service central server and a plurality of P2P using / providing terminal in the future through the generated hash code and the file / fol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through P2P.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한 후 로그인을 하여 상기 P2P 서비스 중앙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Starting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and logging in to access the P2P service central server; 상기 P2P 복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현재 유저가 가지고 있는 Point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Displaying a point that a current user has through the P2P recovery service application; 상기의 단계에서 유저가 가지고 있는 Point가 유저가 복구하려는 파일/폴더의 복구를 하기위한 소모 Point 보다 작아 Point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를 통한 파일/폴더 복구 시스템 및 방법.  File and folder recovery system and method through the P2P,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step to the point that the user has a point smaller than the consumption point for the recovery of the file / folder to be restored by the user.
KR1020070081472A 2007-08-13 2007-08-13 System and method for file folder repair services in the p2p service KR200900170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472A KR20090017052A (en) 2007-08-13 2007-08-13 System and method for file folder repair services in the p2p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472A KR20090017052A (en) 2007-08-13 2007-08-13 System and method for file folder repair services in the p2p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052A true KR20090017052A (en) 2009-02-18

Family

ID=4068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472A KR20090017052A (en) 2007-08-13 2007-08-13 System and method for file folder repair services in the p2p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705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174A1 (en) * 2011-08-05 2013-02-14 Neowiz Games Corporation Method for installing file based on online and device controlling thereof
KR101412201B1 (en) * 2012-12-27 2014-06-27 주식회사 안랩 Update apparatus based on p2p,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209332A (en) * 2019-05-31 2019-09-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174A1 (en) * 2011-08-05 2013-02-14 Neowiz Games Corporation Method for installing file based on online and device controlling thereof
KR101412201B1 (en) * 2012-12-27 2014-06-27 주식회사 안랩 Update apparatus based on p2p,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04601A1 (en)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안랩 P2p-based updat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p2p-based update device
CN110209332A (en) * 2019-05-31 2019-09-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71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ocuments between on-demand services
US9304808B2 (en) Updating a workflow when a user reaches an impasse in the workflow
US6633903B1 (en)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seamless integrated searching
US75744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to-peer file sharing
US79046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in electronic devices
US6446048B1 (en) Web-based entry of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and subsequent download of such information
US7895179B2 (en) Asynchronous updating of web page data views
US7567984B1 (en) Operating system and application deployment based on stored user state and organizational policy
US20110010244A1 (en) Sponsored application launcher suggestions
US20090100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offering an exchange database
US20120254118A1 (en) Recovery of tenant data across tenant moves
US88561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fil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utomated file processing features
US7702613B1 (en) System and methods for validating and distributing test data
US11451534B2 (en) Secure, cloud-based data collection tool
US8645944B2 (en) Deployment of a solution artifact to a client application
US991663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e-click financials
US20210382853A1 (en) Dynamically updating distributed content objects
US20090006619A1 (en) Directory Snapshot Browser
US9891902B2 (en) Performing administrative tasks associated with a network-attached storage system at a client
CN104067262A (en) Server-side minimal download and error failover
KR20090017052A (en) System and method for file folder repair services in the p2p service
CN115422514B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66984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titive online quotes web service
WO2004097591A2 (en) Personal computing environment system using mozilla
Dabrowski et al. DOLCe Project Report: Connecting the TDR Dataverse to TACC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