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365A -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365A
KR20090016365A KR1020070080947A KR20070080947A KR20090016365A KR 20090016365 A KR20090016365 A KR 20090016365A KR 1020070080947 A KR1020070080947 A KR 1020070080947A KR 20070080947 A KR20070080947 A KR 20070080947A KR 20090016365 A KR20090016365 A KR 20090016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key button
letter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6365A/ko
Publication of KR20090016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은,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키 버튼이 입력되면 키 버튼에 할당된 처음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처음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고 다음 문자의 입력 순서가 설정된 키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순서에 대응하는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 입력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단말기와 같이 제한된 수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영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하나의 키 버튼에 복수개의 영문자가 설정되고 키 버튼을 누른 횟수에 따라 영문자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동일한 키 버튼을 반복하여 누르는 형식으로서 문자의 입력 속도가 느리고 오타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영문자 "HIGH"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GHI가 설정된 하나의 키 버튼을 이용하게 되는데, 먼저 영문자 H를 입력하기 위해 키 버튼을 두번 눌러야되며 영문자 I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소정 시간을 기다리거나 다른 버튼을 한번 누른 후에 다시 키 버튼을 세번 눌러야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시간을 기다리지 않으면 먼저 입력된 영문자 H가 키 버튼을 누름 에 따라 I로 변경되고 다시 H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GHI가 설정된 키 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야되기 때문에 문자입력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동일한 키 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결하여 사용자에게 문자 입력시에 편의성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키 버튼이 입력되면 키 버튼에 할당된 처음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처음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고 다음 문자의 입력 순서가 설정된 키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순서에 대응하는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의하면, 영문자의 입력순서가 설정된 키 버튼을 누름으로써 키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영문자 중 원하는 순서의 영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형 영문자와 그 파생된 영문자를 각각 정의하고 입력을 위한 키 버튼을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영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키 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타를 감소시킬 수 있어 문자 입력시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은,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키 버튼이 입력되면 키 버튼에 할당된 처음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처음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고 다음 문자의 입력 순서가 설정된 키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순서에 대응하는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처음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고 소정시간 대기 후 입력 순서가 설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문자 입력 커서를 시프트시켜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해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의 기본형과 상기 기본형에서 파생된 문자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문자의 기본형이 할당된 키 버튼이 입력되면 할당된 기본형 문자가 입력되고, 파생된 문자를 입력하는 키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기본형 문자에서 파생된 문자로 변경되어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생된 문자는 기본형 문자에서 획이 추가된 문자 또는 기본형 문자를 통해 연상 가능한 변형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문자 입력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상기 영문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국문자 및 다른 다양한 문자 입력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문자 입력 명령이 요청되면 키 버튼에 설정된 영문자를 입력 받기위해 대기한다(S11).
이후, 키 버튼이 눌러지는지 판단하고(S12), 눌러진 키 버튼에 설정된 첫번째 영문자가 입력된다(S13).
예를 들면, 도 2a와 같이 2번 키 버튼에는 영문자 A,B,C가 할당되고 3번 키 버튼에는 D,E,F가 할당되는 형식으로 각각의 키 버튼에는 복수개의 영문자가 순차적으로 할당되어 있으며 키 버튼을 누르게 되면 첫번째 할당되어 있는 영문자가 입력된다. 즉, 2번 키 버튼을 누르게 되면 첫번째 할당되어 있는 영문자 A가 입력된다
이후, 첫번째 영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 버튼이 눌러지면(S14), 이전에 입력된 영문자를 지우고 키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두번째 영문자를 입력한다(S15).
예를 들면, 2번 키 버튼을 눌러 영문자 A가 입력된 상태에서 * 버튼을 누르면 입력되었던 영문자 A를 지우고 순차적으로 두번째 할당된 영문자 B가 입력된다.
여기서, 첫번째 영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 버튼이 눌러지면(S16), 이전에 입력된 영문자를 지우고 키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세번째 영문자를 입력한다(S17).
예를 들면, 2번 키 버튼을 눌러 영문자 A가 입력된 상태에서 # 버튼을 누르면 이전에 입력되었던 영문자 A를 지우고 순차적으로 세번째 할당된 영문자 C가 입력된다.
이후, 문자 입력을 종료하는 버튼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18), 문자 입력이 종료될 때 까지 상기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문자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키 버튼에 영문자 입력 순서를 설정하고, 상기 키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설정된 순서에 해당하는 키 버튼에 할당된 영문자가 입력되도록 하여 키 버튼을 반복하여 누를필요 없이 영문자 입력 순서가 설정된 키 버튼을 누름으로써 손쉽게 원하는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를 예로 들어 자세히 설명하면, "SKI"라는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도2a와 같이 8번 키 버튼을 누르게 되고 이때 화면창에는 상기 8번 키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첫번째 영문자인 S가 입력된다.
이후, 영문자 K를 입력하기 위해서 영문자 K가 할당되어 있는 5번 키 버튼을 누르면 도 2b와 같이 화면창에는 5번 키 버튼에 할당된 첫번째 영문자인 J가 입력된다.
이때, 영문자 J가 입력된 상태에서 도 2c와 같이 * 버튼을 누르게 되면 화면창에 표시된 영문자 J가 지워지고 상기 5번 키 버튼에 두번째 할당된 영문자 K가 입력된다.
이후, 영문자 I를 입력하기 위해서 영문자 I가 할당되어 있는 4번 키 버튼을 누르면 도 2d와 같이 화면창에는 4번 키 버튼에 할당된 첫번째 영문자인 G가 입력 된다.
이때, 영문자 G가 입력된 상태에서 도 2e와 같이 # 버튼을 누르게 되면 화면창에 표시된 영문자 G가 지워지고 상기 4번 키 버튼에 세번째 할당된 영문자 I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키 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 영문자를 입력할 필요없이 영문자의 입력 순서가 설정된 키 버튼을 누름으로써 손쉽게 원하는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입력을 위해 키 버튼이 눌러지면 첫번째 할당된 영문자가 화면에 입력되고 소정시간 대기 후 * 버튼 또는 # 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문자입력 커서가 옆으로 시프트되어 다음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해 대기한다.
또한, * 버튼과 # 버튼에 제한되지 않고 영문자가 할당되지 않은 키 버튼에 영문자 입력 순서를 설정하여 원하는 순서의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영문자를 기본형과 획이 추가된 영문자, 변형된 영문자로 구분하고 영문자가 할당되지 않은 키 버튼에 획이 추가된 영문자, 변형된 영문자의 입력을 설정하여 손쉽게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영문자 기본형과 상기 기본형에서 파생된 획이 추가된 영문자와 변형된 영문자를 정의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영문자 C는 획이 추가된 영문자로 G가 정의되고 변형된 영문자로 L이 정의된다.
즉, 영문자 C에 획을 추가하면 G가 연상되고 유사하게 변형되는 영문자로 L 이 연상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형식으로 영문자 A,C,F,I,N,O,P,S,V,Y를 기본형으로 할당하고 상기 기본형 영문자에 대해 획이 추가된 영문자와 변형된 영문자를 정의하고, 상기 획이 추가된 영문자와 변형된 영문자로 변경할 수 있는 키 버튼을 각각 설정한다.
예로 들면, 도 4와 같이 키 버튼에는 영문자의 기본형이 할당되어 있으며 # 버튼이 획이 추가된 영문자로 변경하기 위한 키 버튼으로 설정되고 * 버튼이 변형된 영문자로 변경하기 위한 키 버튼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정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SKI"라는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도 4a와 같이 8번 키 버튼을 누르면 영문자 S가 화면창에 입력된다.
이후, 영문자 K를 입력하기 위해서 도 4b와 같이 3번 키 버튼을 눌러 기본형 영문자인 F를 입력하고 이때 도 c와 같이 * 버튼을 누르면 영문자 F를 지우고 변형된 영문자로 정의된 영문자 K를 입력한다. 이후, 도 4c와 같이 4번 키 버튼을 눌러 영문자 I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기본형 영문자를 정의하고 기본형 영문자에서 파생된 획이 추가된 영문자와 변형된 영문자를 정의하여 손쉽게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문자 입력을 위해 키 버튼이 눌러지면 기본형으로 할당된 영문자가 화면에 입력되고 소정시간 대기 후 # 버튼 또는 * 버튼 등의 키 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기본형 영문자에서 파생된 획이 추가된 영문자 또는 변형된 영문자가 입력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문자를 실시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국문자를 포함하여 다 양한 문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영문자의 대/소문자 변경 키 버튼 및 국문자 입력 전환 키 버튼, 특수문자 입력 키 버튼 등이 추가로 더 구성되어 문자 입력시에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문자의 입력순서가 설정된 키 버튼을 누름으로써 키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영문자 중 원하는 순서의 영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본형 영문자와 그 파생된 영문자를 각각 정의하고 입력을 위한 키 버튼을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영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키 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타를 감소시킬 수 있어 문자 입력시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본형 문자와 그 파생된 문자를 정의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4)

  1.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된 키 버튼이 입력되면 키 버튼에 할당된 처음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처음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고 다음 문자의 입력 순서가 설정된 키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순서에 대응하는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음 순서의 문자가 입력되고 소정시간 대기 후 입력 순서가 설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문자 입력 커서를 시프트시켜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해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3. 문자의 기본형과 상기 기본형에서 파생된 문자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문자의 기본형이 할당된 키 버튼이 입력되면 할당된 기본형 문자가 입력되고, 파생된 문자를 입력하는 키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기본형 문자에서 파생된 문자로 변경되어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생된 문자는 기본형 문자에서 획이 추가된 문자 또는 기본형 문자를 통해 연상 가능한 변형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1020070080947A 2007-08-10 2007-08-10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90016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947A KR20090016365A (ko) 2007-08-10 2007-08-10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947A KR20090016365A (ko) 2007-08-10 2007-08-10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65A true KR20090016365A (ko) 2009-02-13

Family

ID=4068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947A KR20090016365A (ko) 2007-08-10 2007-08-10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63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9029A1 (ko) * 2013-11-11 2015-05-14 배석균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9029A1 (ko) * 2013-11-11 2015-05-14 배석균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CN105765493A (zh) * 2013-11-11 2016-07-13 裴锡均 触摸板文字输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343B1 (ko) 숫자키에의한언어별글자입력방법및장치
US7075519B2 (en) Method for entering a character sequence into an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id method
KR20060122634A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90775B1 (ko) 특수키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060101367A (ko)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KR10036484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0628187B1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02422621B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CN102520875A (zh) 一种点划兼用的汉字拼音输入法
KR20090016365A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65274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CN1936787A (zh) 移动电话的文字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KR20030043532A (ko) 소형 기기에서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678196B1 (ko) 키 배열 및 입력방법
KR1006614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518003B1 (ko) 핸드폰에서의 중국어 입력방법
KR100990242B1 (ko) 키패드 어셈블리
KR100983727B1 (ko) 휴대폰의 영어 문자 입력방법
KR100846661B1 (ko) 간편한 기호 입력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CN101655742B (zh) 移动通信终端按键输入方法
KR100622569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2004002959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