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539A - 이동통신단말기용 다전압 출력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용 다전압 출력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539A
KR20090015539A KR1020070079933A KR20070079933A KR20090015539A KR 20090015539 A KR20090015539 A KR 20090015539A KR 1020070079933 A KR1020070079933 A KR 1020070079933A KR 20070079933 A KR20070079933 A KR 20070079933A KR 20090015539 A KR20090015539 A KR 20090015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삼화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7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5539A/ko
Publication of KR20090015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5Converters combining the concepts of switch-mode regulation and linear regulation, e.g. linear pre-regulator to switching converter, linear and switching converter in parallel, same converter or same transistor operating either in linear or switch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30Fuel cell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전지 셀을 포함하고 전지 셀을 이용하여 제 1 전압 전원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제 1 전압 출력부 및 제 1 전압 출력부가 발생시킨 제 1 전압 전원을 입력 받아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하고 제 2 전압 전원을 출력하는 제 2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며, 제 1 전압 출력부가 발생시킨 제 1 전압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 1 출력 단자 및 제 2 전압 출력부가 발생시킨 제 2 전압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 2 출력 단자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를 구성한다. 따라서, 두 가지 이상의 전압을 입력 받아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의 부품들이 요구하는 구동전압에 맞추어 전압 변환을 할 수 있으므로 전압 변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 전압, 저전력, LDO, DC-DC 컨버터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다전압 출력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MULTI-VOLTAGE OUTPUT BATTERY FOR MI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전압 구동 반도체가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와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구들 중에서 중요한 두 가지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시간 증대에 대한 요구와 미려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시간 증대를 위한 해결책으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배터리의 고용량화와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의 주요 부품들의 저전력화를 들 수 있다.
배터리의 용량 측면에서는 리튬-이온(lithium-ion), 리튬-폴리머(lithium-polymer) 이차전지 셀(cell) 등을 채용하면서 작은 부피에서도 고용량이 가능하여졌으나, 통상적으로 배터리의 용량 증대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병행책으로 소모전력의 감소를 위한 부품의 재설계, 저전압 구동 등이 이루어졌으며, 최 근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이용되는 반도체 칩들의 경우는 최저 1.2V 정도의 구동 전압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내에 존재하는 부품들을 저전압만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기에는 난점이 있기에 부품 별로 다양한 구동전압을 요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배터리에서는 3~4.2V 정도의 전압을 공급하며,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전원장치에서 이를 다양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장착되는 전원장치로는 저 드롭아웃 전압 조정기(LDO: Low Drop Output Voltage Regulator) 등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존재하는 구성요소 별로 각자가 요구하는 구동전압에 맞추어 배터리의 공급전압을 변환하여 공급하도록 복수개의 LDO를 이용하여 전원부가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입출력 전압 차가 적을 때는 LDO가 제 역할을 하지만 입출력 전압 차이가 2~3V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LDO를 사용할 경우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즉, LDO에 대한 입력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LDO의 효율이 유리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LDO의 효율이 나빠지기 때문에 별도의 DC-DC 컨버터(DC-DC converter)가 사용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DC-DC 컨버터가 별개로 사용될 경우에는 DC-DC 컨버터를 이동통신단말기내에 실장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디자인의 미려함을 해치게 된다는 문 제점이 있다. 즉, 소형화 및 슬림화 되어가는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품 추세에 장애 요소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되는 전원부의 효율을 개선하면서도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림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는 전원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에 이용되는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 셀을 이용하여 제 1 전압 전원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제 1 전압 출력부 및 상기 제 1 전압 출력부가 발생시킨 제 1 전압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하고 제 2 전압 전원을 출력하는 제 2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압 출력부가 발생시킨 상기 제 1 전압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 1 출력 단자 및 상기 제 2 전압 출력부가 발생시킨 상기 제 2 전압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 2 출력 단자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지 셀로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셀 또는 리튬-폴리머 이차전지 셀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연료전지 셀이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용량을 특정하기 위한 저항이 연결된 배터리용량 인식 단자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전압의 전원을 입력 받는 제 1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의 전원을 입력 받는 제 2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전압 전원과 상기 제 2 전압 전원을 동시에 공급받아 동작하며, 내부에 DC-DC 컨버터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저 드롭아웃 전압 조정기(Low Dropout Output Voltage Regulator)를 구비하며, 상기 저 드롭아웃 전압 조정기는 상기 제 1 전압 전원 또는 상기 제 2 전압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포함된 부품소자들에 적합한 제 3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전압 출력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구현할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내에 존재하는 다용한 부품들이 요구하는 구동전압에 따라서 입력 전압을 선택하여 전압 변환을 할 수 있으므로 저 드롭아웃 전압조정기(LDO)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내에 DC-DC 컨버터를 포함시키지 않는 것에 의하여 최근의 슬림화 및 경량화 추세에 맞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100)는 제 1 전압 출력부(110)와 제 2 전압 출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압 출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전지 셀(111)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 셀을 이용하여 제 1 전압(예컨대, 4.2V) 전원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100)에 적용되는 전지 셀(111)로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셀 또는 리튬-폴리머 이차전지 셀 등의 통상적인 이차전지 셀 또는 연료전지 셀(fuel-cel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 2 전압 출력부(120)는 상기 제 1 전압 출력부(110)가 발생시킨 제 1 전압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예컨대, 3V)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121)를 구비하고 제 2 전압 전원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DC-DC 컨버터로는 벅(buck) 컨버터 형식의 소용량 강압형 컨버터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벅 컨버터는 일정한 주기로 스위칭하는(on/off를 반복하는)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펄스모양의 전압을 발생시키고 평활LC 필터를 통해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소자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100)에는 제 1 전압 출력부(110)가 출력하는 제 1 전압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 1 출력 단자(131)와 제 2 전압 출력부(120)가 출력하는 제 2 전압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 2 출력 단자(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제 1 출력 단자(131)와 제 2 출력단자(132)가 공통의 접지 단자(GND; 133)를 공유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개별적으로 접지 단자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100)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용량을 특정하기 위한 저항이 연결된 배터리 용량 인식 단자(BATT ID; 134)가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용량 인식 단자(134)와 접지 단자(133) 간에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용량을 특정하기 위한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소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가 고용량 배터리인지 표준형 배터리인지를 구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용량 인식 단자(134)는 충전기 등을 통한 충전 시에 배터리의 용량을 인식하여 충전 전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제 1 입력 단자(211) 및 제 2 입력 단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입력 단자(211)는 제 1 전압(예컨대, 4.2V)의 전원을 입력 받는 단자이다. 또한, 제 2 입력 단자(212)는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예컨대, 3V)의 전원을 입력 받는 단자이다. 따라서, 도 1에서 예시한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100)의 제 1 출력 단자(131)가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제 1 입력 단자(21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100)의 제 2 출력 단자(132)가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제 2 입력 단자(21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제 1 입력 단자(211)와 상기 제 2 입력 단자(212)로부터 동시에 상기 제 1 전압 전원과 상기 제 2 전압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내부에 DC-DC 컨버터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저 드롭아웃 전압 조정기(LDO: Low Drop Output Voltage Regulator; 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 드롭아웃 전압 조정기 각각은 상기 제 1 입력 단자(211)와 상기 제 2 입력 단자(212)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단말기내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1.2V의 구동전압을 요구하는 반도체 소자의 경우에는 제 2 입력 단자(212)로부터 입력된 저전압의 입력 전압을 1.2V의 전압으로 변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저 드롭아웃 전압 조정기가 입출력 전압 차이가 클 경우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
110: 제 1 전압 출력부 120: 제 2 전압 출력부
121: DC-DC 컨버터
131: 제 1 출력 단자 132: 제 2 출력 단자
133: 접지 단자 134: 배터리 용량 인식 단자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전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 셀을 이용하여 제 1 전압 전원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제 1 전압 출력부; 및
    상기 제 1 전압 출력부가 발생시킨 제 1 전압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하고 제 2 전압 전원을 출력하는 제 2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압 출력부가 발생시킨 상기 제 1 전압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 1 출력 단자; 및 상기 제 2 전압 출력부가 발생시킨 상기 제 2 전압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 2 출력 단자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셀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셀 또는 리튬-폴리머 이차전지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셀은 연료전지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용량을 특정하기 위한 저항이 연결된 배터리 용량 인식 단자를 추가로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
  5. 제 1 전압의 전원을 입력 받는 제 1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의 전원을 입력 받는 제 2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전압 전원과 상기 제 2 전압 전원을 동시에 공급받아 동작하며, 내부에 DC-DC 컨버터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저 드롭아웃 전압 조정기(Low Dropout Output Voltage Regulator)를 구비하며,
    상기 저 드롭아웃 전압 조정기는 상기 제 1 전압 전원 또는 상기 제 2 전압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포함된 부품소자들에 적합한 제 3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70079933A 2007-08-09 2007-08-09 이동통신단말기용 다전압 출력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90015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933A KR20090015539A (ko) 2007-08-09 2007-08-09 이동통신단말기용 다전압 출력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933A KR20090015539A (ko) 2007-08-09 2007-08-09 이동통신단말기용 다전압 출력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539A true KR20090015539A (ko) 2009-02-12

Family

ID=4068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933A KR20090015539A (ko) 2007-08-09 2007-08-09 이동통신단말기용 다전압 출력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55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1942B2 (ja) 充電制御回路への電源供給を行う電源回路、その電源回路を備えた充電装置及び充電制御回路への電源供給方法
US7692330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battery pack and load apparatus used in the same
US11606032B2 (en) Adaptive combination power supply circuit and charging architecture
US20080100143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with charger/boost controller
CN101682199B (zh) 用于在便携电信设备中使用的配电电路
US7129681B2 (en)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parallel connected switching and series regulators and method of operation
US9711975B2 (en) Power bank circuit and the method thereof
KR100725883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CN101404448B (zh) 直流-直流转换器
US11522466B1 (en) Power conversion structure, power conversion metho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 conversion structure, and chip unit
US11545896B1 (en) Power supply convers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19284B1 (ko) Dc-dc 컨버터 및 전원 장치
TWI505593B (zh) 可配置電源供應系統及電源供應配置方法
CN102882240A (zh) 电源管理电路和方法
JP4564940B2 (ja) 電子機器並びに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電池パック及び負荷装置
US11588391B1 (en) Power conversion structure, system, metho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 conversion structure, and chip unit
WO2022159927A1 (en) Multi-output switched-mode power supply for multi- cell-in-series battery charging
US20210249870A1 (en) Battery control circuit, batter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CN212112264U (zh) 一种电子设备及其供电电路
CN113497564B (zh) 电源适配器及其控制方法
CN115699500A (zh) 用于控制电芯的电路和电子设备
US20220231518A1 (en) Multi-output switched-mode power supply for multi-cell-in-series battery charging
KR20090015539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다전압 출력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101017297B1 (ko) 직류-직류 컨버터용 출력 리플 및 잡음 저감 회로
KR20080073029A (ko) 휴대용 기기의 전압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