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411A - 아이씨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이씨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411A
KR20090014411A KR1020090002965A KR20090002965A KR20090014411A KR 20090014411 A KR20090014411 A KR 20090014411A KR 1020090002965 A KR1020090002965 A KR 1020090002965A KR 20090002965 A KR20090002965 A KR 20090002965A KR 20090014411 A KR20090014411 A KR 20090014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application
client terminal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90002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4411A/ko
Publication of KR2009001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05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a holding device, e.g. an arrangement that makes the record carrier fit into an etui or a ca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또는 요청 정보와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스마트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또는 요청 정보를 근거로,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 또는 요청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또는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부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추출 또는 생성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클라이언트 소유 IC카드에 탑재되도록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스마트 카드, 애플리케이션

Description

아이씨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System for Loading Data(or Application) for IC Card}
도1은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에 대한 실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이 서비스제공자 서버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은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는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4는 관리서버가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에 대한 실시 도면이다.
도5는 관리서버(420)가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는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관리서버 105 : 원격 탑재부
110 : 스마트카드 정보 D/B 115 : 추출/생성부
120 : 서비스제공자 서버 125 : 회원 정보 D/B
130 : 처리부 135 : 클라이언트 단말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또는 요청 정보와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스마트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또는 요청 정보를 근거로,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 또는 요청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또는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부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추출 또는 생성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클라이언트 소유 IC카드에 탑재되도록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카드는 중앙처리장치와 다양한 메모리 소자들을 내장하여 각종 디지털 정보를 저장 및 연산 처리할 수 있는 IC(Integrated Circuit)로서, 소정의 연산장치에 해당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소정의 저장장치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그리고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출력장치가 없는 소형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상기 스마트카드는 카드발행기관에 관계없이 프로그램 수행이 가능하여 플랫폼에 독립적이고, 카드 발급 후에도 프로그램의 설치와 삭제가 가능한 개방형 플랫폼(Open Platform)을 지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개방형 플랫폼의 특징은 카드 제조사에서 제작된 스마트카드가 카드발행기관을 통해 사용자에게 발행된 후에도 수시로 변하는 카드발행기관의 협력업체 및 서비스 제공기관, 그리고 각각의 사용자들과 스마트 카드의 응용영역을 공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개방형 플랫폼이 구비된 스마트카드에 있어서, 현재까지 제안된 카드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서비스는 다분히 카드 지향형으로서, 상기 스마트카드의 발행기관이 상기 스마트카드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것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카드를 활성화하고, 카드발행기관의 비용투자를 최소화하고, 고객에게 다양한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카드 지향형(Card Dependent)을 상기 카드발행기관과 제휴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기관이 특정 카드발행기관에 구애 받지 않고 복수의 카드발행기관이 발급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카드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서비스 지향형(Service Dependent)으로 진화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또는 요청 정보와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스마트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또는 요청 정보를 근거로,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 또는 요청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또는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부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추출 또는 생성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클라이언트 소유 IC카드에 탑재되도록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은, 클라이 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또는 요청 정보와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스마트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또는 요청 정보를 근거로,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 또는 요청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또는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부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추출 또는 생성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클라이언트 소유 IC카드에 탑재되도록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클라이언트 소유 IC카드에 탑재되도록 처리하기 이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IC카드의 유효성을 인증처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IC카드는, 무선 단말기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이언트 PC, KIOSK, ATM,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 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1은 서비스제공자 서버(120)가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에 대한 실시 도면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은 서비스제공자 서버(120)에 접속하여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고자 하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선택 또는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35);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선택 또는 요청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가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관리서버(100)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 자 서버(120); 및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선택 또는 요청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부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추출 및/또는 생성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하는 관리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소정의 스마트 카드 리더기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클라이언트 PC, 키오스크 (KIOSK), ATM(Automatic Teller Machine)을 포함하는 소정의 유선 단말장치, 및/또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폰(Smart Phone)을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 단말기로서,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을 따르는 소정의 IC칩 또는 스마트 카드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카드에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무선 단말기인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 또는 IC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소정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에 통신 세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에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가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삽입 또는 연동되는 스마트 카드로 탑재하고자 하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고자 하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에 접속하여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고자 하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선택 또는 요청하는 것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고자 하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가맹점정보, 기능정보, 저장가치정보, 로열티정보, 및/또는 개인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고자 하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 리케이션)를 선택 또는 요청하는 과정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삽입 또는 연동되는 고객의 스마트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제공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는 상기 관리서버(10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원격 접속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클라이언트 단말(135)의 네트워크 주소이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유선 단말장치의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는 상기 유선 단말장치에 할당된 IPv4(Internet Protocol ver. 4) 및/또는 IPv6(Internet Protocol ver. 6) 기반의 네트워크 주소, 도메인 이름(Domain Name),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을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 또는 관리서버(100)에서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회원식별정보이다. 특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가 소정의 회원식별정보인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 또는 관리서버(100)에는 상기 회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10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원격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제공되는 상기 스마트 카드 정보는 관리서버(100)에서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 스마트 카드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 및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로서, 상기 스마트 카드 정보는 스마트 카드 고유코드 정보, 및/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 소유 고객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카드 정보에는 칩 제조자 정보, 칩 제작번호, COS(Chip Operating System) 정보, 카드발행기관 정보, 및/또는 카드발행기관이 상기 스마트 카드에 기록한 고유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 고객의 개인 정보, 생체 정보, 및/또는 카드발행기관이 상기 스마트 카드에 기록한 고유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는 스마트 카드에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의 서버로서, 소정의 인터페이스(예컨대, 웹 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할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요청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가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선택 또는 요청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가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관 리서버(1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는 상기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가정보를 수신 및 관리서버(100)로 제공하는 소정의 처리부(130)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12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선택 또는 요청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고유코드 또는 고유 키(Key) 값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과 상기 관리서버(1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관리서버(10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100)는 카드발행기관이 발행한 스마트 카드를 관리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가 제공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선택 또는 요청한 카드 데 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부가정보(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를 근거로, 상기 추출 및/또는 생성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부가정보(예컨대, 스마트 카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는 스마트 카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100)는 카드발행기관이 고객에게 소정의 스마트 카드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와 관련된 카드발행정보에 해당하는 스마트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카드 정보 D/B(110)와,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원격 접속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탑재 또는 연결된 스마트 카드 리더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드에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원격 탑재하는 원격 탑재부(10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100)는 카드발행기 관 및/또는 카드발행기관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관리를 위탁받은 소정의 기관이 운영하는 서버로서, 카드사 서버, 또는 금융사 서버, 또는 이동통신사 서버 또는 VAN사 서버, 또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탑재 또는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 리더기에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할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한다(2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IC칩 또는 IC카드가 탑재 또는 이탈착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인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는 과정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스마트 카드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하는 과정은,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통해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기밀성(Confidentiality), 인증(Authentication), 무결성(Integrity), 및 부인방지(Nonrepudiation)를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스마트 카드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하는 과정은, 본 도면2와 같이 제1단계로서 처리되지 않고, 상기 관리서버(10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기 전에만 수행되면 되며, 또는 카드발행기관의 의도 내지 정책에 따라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만약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205),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상기 스마트 카드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다면(210),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에 접속한다(2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에 접속하는 것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구비되어 있는 웹 브라우져를 통해 웹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제공자 서버(120)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에 접속하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로 탑재할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선택 또는 요청하도록 한다(2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구비된 웹 브라우져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폼(Form)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드로 탑재할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선택 또는 요청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선택 또는 요청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상기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제공한다(22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부가정보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스마트 카드 정보가 첨부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인터넷에 연결된 유선 단말인 경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스택(Stack) 상의 소스 주소(Source Address)로서 제공되며,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 단말인 경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스택 상의 호 정보(Call Information)로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 정보는 상기 스마트 카드 유효성 인증 과정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정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스마트 카드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상기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제공된 후, 별도의 패킷(Packet)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서비스제공자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스마트 카드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는 상기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어지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고유코드(Unique Code) 및/또는 고유 키(Key) 값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제공하는 관리서버(100)로 제공된다(23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고유코드(Unique Code) 및/또는 고유 키(Key) 값이 제공되 면,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고유키 값을 소정의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데(235),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고유키 값은 상기 관리서버(10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에서 상기와 같이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고유코드(Unique Code) 및/또는 고유 키(Key) 값을 클라이언트 단말(135) 및/또는 관리서버(100)로 제공하는 과정은, 본 도면2와 같은 경우가 아니라, 상기 관리서버(10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하기 전에만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도면3은 서비스제공자 서버(120)가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는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수신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 보, 및/또는 소정의 부가 정보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스마트 카드 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제공한다(300).
이후 관리서버(100)는 상기와 같이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부가정보에 포함된 스마트 카드 정보를 이용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유효성 및/또는 도면2에서 제공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고유 코드 및/또는 고유 키값을 이용한 클라이언트 단말(135) 유효성을 인증하는데, 상기와 같은 각각의 유효성 인증은 상기 관리서버(10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제공하기 전에만 수행되면 되며, 그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는 카드발행기관의 의도 내지 정책에 따라 생략되어도 무방함은 명백하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서비스제공자로부터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또는 소정의 부가정보를 수신한 관리서버(100)는, 상기 부가정보에 포함된 스마트 카드 정보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드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할 수 있는지 판별하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유효성을 판별한다(305).
상기와 같은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유효성 판별 과정은, 상기 부가정보에 포함된 스마트 카드 정보와 상기 관리서버(100)에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 정보 D/B에 저장된 스마트 카드 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로서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할 수 있는지 판별한다.
만약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310), 상기 관리서버(100)는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소정의 오류 코드를 전송하고(315),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는 상기 오류 코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카드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유효성이 인증된다면(320),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부가정보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원격 접속하고(325), 상기 도면2에서 관리서버(100)로 제공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고유 코드 및/또는 고유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한다(330).
상기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유효성 판별 과정은,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고유코드 또는 고유 키값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저장하고 있는 고유코드 또는 고유 키값을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 말(135)(또는 클라이언트)의 유효성을 인증하는데, 관리서버(10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상기 고유코드 또는 고유 키값을 요청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고유코드 또는 고유 키값을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관리서버(10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상기 고유코드 또는 고유 키값을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상기 고유코드 또는 고유 키값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과정 등을 통해 유효성이 인증된다.
만약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335), 상기 관리서버(100)는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 소정의 유료 코드를 전송하고,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는 상기 오류 코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카드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만약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다면(340),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할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한다(34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할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기 제작하여 저장 후 추출하는 방법, 및/또는 개인화되지 않고 소정의 일반화만 수행된 원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소정의 개인화 과정을 통해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생성하는 방법, 및/또는 원시 코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할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관리서버(10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할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추출 및/또는 생성되면, 관리서버(100)는 원격 접속되어 있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제공하고(350),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상기와 같이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ISO의 IC칩 또는 IC카드 관련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탑재 또는 연결된 스마트 카드 리더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시킨다(355).
도면4는 관리서버(100)가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에 대한 실시 도면이다.
도면4를 참조하면,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은 서비스제공자 서버(120)에 접속하여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고자 하는 카드 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선택 또는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35);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선택 또는 요청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고, 상기 추출 및/또는 생성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가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관리서버(420)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 서버(400); 및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부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하는 관리서버(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소정의 스마트 카드용 리더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42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소정의 유선 및/또는 무선 단말을 포함하며,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400)에 통신 세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가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삽입 또는 연동되는 스마트 카드로 탑재하고자 하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로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고자 하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 이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관리서버(420)로부터 상기 요청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는 스마트 카드에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의 서버로서, 소정의 인터페이스(예컨대, 웹 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할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요청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 및/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가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선택 또는 요청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관리서버(420)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서버(420)가 상기 추출 또는 생성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420)는 카드발행기관이 발행한 스마트 카드를 관리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가 제공하는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 션)를 제공한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로부터 상기 관리서버(420)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로 제공된 소정의 부가정보가 상기 관리서버(420)로 제공되는데, 관리서버(420)는 상기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및/또는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는 스마트 카드의 유효성을 인증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원격 접속하여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제공한다.
도면5는 관리서버(420)가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스마트 카드에 탑재하는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서 수신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요청하고, 또한 관리서버(420)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할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 출 및/또는 생성한다(5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는,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할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기 제작하여 저장 후 추출하는 방법, 및/또는 개인화되지 않고 소정의 일반화만 수행된 원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소정의 개인화 과정을 통해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생성하는 방법, 및/또는 원시 코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요청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서비스제공자 서버(40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이 요청하고, 또한 관리서버(420)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할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및/또는 생성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는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135)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부가 정보(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및/또는 스마트 카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00)로 제공한다(505).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서비스제공자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할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소정의 부가정보를 수신 한 관리서버(420)는, 상기 부가정보에 포함된 스마트 카드 정보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드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할 수 있는지 판별하는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유효성을 판별한다(510).
상기와 같은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유효성 판별 과정은, 상기 부가정보에 포함된 스마트 카드 정보와 상기 관리서버(420)에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 정보 D/B에 저장된 스마트 카드 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로서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할 수 있는지 판별한다.
만약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515), 상기 관리서버(420)는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로 소정의 유료 코드를 전송하고(520),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는 상기 오류 코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카드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유효성이 인증된다면(525), 상기 관리서버(420)는 상기 부가정보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135)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원격 접속하고(530), 상기 도면2에서 관리서버(420)로 제공된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고유 코드 및 /또는 고유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한다(535).
만약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540), 상기 관리서버(420)는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로 소정의 유료 코드를 전송하고, 서비스제공자 서버(400)는 상기 오류 코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카드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만약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다면(545), 상기 관리서버(0)는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원격 접속되어 있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로 제공하고(550), 클라이언트 단말(135)은 상기와 같이 관리서버(4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ISO의 IC칩 또는 IC카드 관련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5)에 탑재 또는 연결된 스마트 카드 리더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드에 탑재시킨다(555).
스마트 카드 고객이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원하는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해당 스마트 카드에 자유롭게 탑재함으로써, 스마트 카드 사용을 활성화하고,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를 위한 카드발행기관의 비용투자를 최소화하고, 고객이 원하는 카드 서비스를 고객 중심으로 다양하게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카드발행기관이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고객의 스마트 카드에 탑재함으로써,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보장하고, 상기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고객에게 소개 및 유치하는 것을 상기 카드발행기관과 제휴한 소정의 서비스제공자가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카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를 활성화시킨다.

Claims (4)

  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또는 요청 정보와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스마트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또는 요청 정보를 근거로,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 또는 요청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추출 또는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부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추출 또는 생성된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클라이언트 소유 IC카드에 탑재되도록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클라이언트 소유 IC카드에 탑재되도록 처리하기 이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IC카드의 유효성을 인증처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C카드는,
    무선 단말기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이언트 PC, KIOSK, ATM,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KR1020090002965A 2009-01-14 2009-01-14 아이씨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KR20090014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965A KR20090014411A (ko) 2009-01-14 2009-01-14 아이씨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965A KR20090014411A (ko) 2009-01-14 2009-01-14 아이씨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772A Division KR20050074857A (ko) 2004-01-14 2004-01-14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411A true KR20090014411A (ko) 2009-02-10

Family

ID=4068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965A KR20090014411A (ko) 2009-01-14 2009-01-14 아이씨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44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0706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transaction from a communications terminal
EP2508014B1 (en) Methods, secure element, server,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roved application management
US937311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276201B1 (ko) 아이덴티티 관리서버, 시스템 및 관리 방법
EP2506226A1 (en) Ic card payment system and method and multi-application ic card and payment terminal
AU2018282344A1 (en) Secure electronic entity for authorizing a transaction
Roland Applying recent secure element relay attack scenarios to the real world: Google Wallet Relay Attack
US6707892B2 (en) Application terminal
KR101106992B1 (ko) 전자화폐 운용계좌를 이용한 지급결제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50074857A (ko)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방법 및시스템
KR2011008486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아이씨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방법
KR10097767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입자정보 인증시스템
KR20090014411A (ko) 아이씨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KR101171235B1 (ko) 인증서 운영 방법
KR20120006473A (ko) 서비스 지향형 애플리케이션 탑재 방법
KR20120006474A (ko) 애플리케이션 탑재 방법
KR101062716B1 (ko) 스마트 카드용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운용 방법
KR20120134478A (ko) 아이씨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원격 탑재 방법
EP2437195A1 (en) Method of analyzing the behavior of a secure electronic token
KR20090019879A (ko) 클라이언트측 프로그램을 이용한 스마트 카드용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탑재 시스템
KR20080094878A (ko) 스마트 카드용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운용 방법
KR20080093014A (ko)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운용 시스템
KR101128583B1 (ko) 인증서 처리용 아이씨카드
KR20090009364A (ko) 무역거래 서비스 통합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10096010A (ko) 아이씨 카드용 데이터 원격 탑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