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314A - 안경용 스프링 힌지 - Google Patents

안경용 스프링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314A
KR20090014314A KR1020090004712A KR20090004712A KR20090014314A KR 20090014314 A KR20090014314 A KR 20090014314A KR 1020090004712 A KR1020090004712 A KR 1020090004712A KR 20090004712 A KR20090004712 A KR 20090004712A KR 20090014314 A KR20090014314 A KR 20090014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racket
hole
cas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09000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4314A/ko
Publication of KR2009001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314A/ko
Priority to CN2010101062492A priority patent/CN101782691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36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02C5/2245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comprising a sliding box containing a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용 스프링 힌지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을 안경다리에 먼저 용접 및 은납땜으로 고정한 후, 더블힌지와 코일스프링이 수장된 힌지케이스를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더블힌지와 코일스프링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 힌지가 구비된 안경다리의 생산도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반타원형 철편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으로는 사각기둥(11)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사각기둥(11)에는 나사골이 형성된 통공(12)이 일체로 구성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상부를 덮는 캡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통공(12)과 연통되도록 볼트공(22)이 형성된 힌지케이스(20)와; 상기 힌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장되도록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된 철편의 양끝단에 중앙부 경첩부(A)와 결합되도록 관통공(31)이 형성된 더블힌지(30)와; 힌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장되되, 더블힌지(30)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과 신장이 되도록 구성된 코일스프링(40)과; 상기 힌지케이스(20)와 브라켓(10)을 일체로 결합하는 볼트(50)로 구성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브라켓을 먼저 안경다리에 용접 및 은납땜으 로 고정한 다음 더블힌지와 코일스프링이 수장된 힌지케이스를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스프링 힌지가 구비된 안경다리의 제작이 쉽고 빠르며, 브라켓을 용접 및 은납땜을 한 후에도 힌지케이스의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여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과 힌지케이스가 하나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더라도 브라켓이 가이드 역할을 하여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브라켓을 먼저 용접 및 은납땜을 한 후, 힌지케이스가 브라켓의 상방을 완전히 덮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용접 및 은납땜부가 드러나지 않아 일층 미려한 외관을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브라켓에 형성된 사각기둥을 잡고 용접 및 은납땜을 함으로써 용접 및 은납땜이 용이하고, 브라켓만을 미리 용접 및 은납땜 함으로써 스프링의 열변형을 야기시키지 않아 스프링의 강도가 제작된 조건 그대로 유지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안경용 스프링 힌지, 안경테, 안경다리, 힌지, 스프링, 브라켓

Description

안경용 스프링 힌지 {Spring hinge for spectacles}
본 발명은 안경용 스프링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브라켓을 안경다리에 먼저 용접 및 은납땜으로 고정한 후, 더블힌지와 코일스프링이 수장된 힌지케이스를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더블힌지와 코일스프링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 힌지가 구비된 안경다리의 생산도 용이한 안경용 스프링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용 스프링 힌지는 안경테에 결합된 안경다리가 탄력적으로 절첩되게 함으로써 안경테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안경테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서 근래에 들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요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안경용 스프링 힌지가 개발되었으나, 지금까지 개발된 종래의 안경용 스프링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안경용 스프링 힌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살펴보면, 힌지작동체(10')와 힌지케이스(30')로 구성되어 힌지작동체(10')를 힌지케이스(30') 내부에 투입하게 된다.
이때, 힌지작동체(10')가 힌지케이스(30')에서 임의로 이탈하지 않으면서도 힌지케이스(30') 내부에서 탄력 작동이 가능케 하기 위해 힌지작동체(10')의 후방에는 설치봉(10a)을 일체로 형성하여 여기에 코일스프링(20')을 끼워서 설치하되, 코일스프링(20')이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봉(10a)의 선단부에는 환상홈(202a)을 형성한 고정구(202)를 끼우고, 설치봉(10a)의 말단부는 가압하여 확대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코일스프링(20')이 설치되면 외측 단부에 체결공을 형성한 힌지작동체(10')가 힌지케이스(30') 내부에서 코일스프링(20')에 의한 탄력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힌지작동체(10')의 설치봉에 끼워진 고정구(202)를 힌지케이스(30') 내부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힌지케이스(30')의 외측에서 일단부를 펀칭 가공하면 그 가공부(30a)의 내면이 내향으로 돌출되면서 고정구(202)의 환상홈(202a)으로 투입되어 고정구를 힌지케이스(30') 내부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힌지작동체(10')는 코일스프링(20')에 의한 탄력적인 인입 작동이 가능케 되어 안경용 스프링 힌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안경용 스프링 힌지는 힌지케이스의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어서 힌지케이스를 안경다리에 용접 및 은납땜으로 일체화시킬 시 금속 용융액이 힌지케이스의 내부로 침투하게 되어 코일스프링과 힌지작동체에 고착되게 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위와 같이 코일스프링이나 힌지작동체에 금속 용융액이 고착될 경우에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작업자의 용접 및 은납땜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용접 및 은납땜을 잘못할 경우 안경다리를 포함한 전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힌지케이스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이 조립된 상태로 용접 및 은납땜됨으로 인해 코일스프링에 열변형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안경용 스프링 힌지를 제수명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반타원형 철편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으로는 사각기둥(11)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사각기둥(11)에는 나사골이 형성된 통공(12)이 일체로 구성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상부를 덮는 캡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통공(12)과 연통되도록 볼트공(22)이 형성된 힌지케이스(20)와; 상기 힌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장되도록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된 철편의 양끝단에 중앙부 경첩부(A)와 결합되도록 관통공(31)이 형성된 더블힌지(30)와; 힌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장되되, 더블힌지(30)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과 신장이 되도록 구성된 코일스프링(40)과; 상기 힌지케이스(20)와 브라켓(10)을 일체로 결합하는 볼트(50)로 구성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브라켓을 먼저 안경다리에 용접 및 은납땜으로 고정한 다음 더블힌지와 코일스프링이 수장된 힌지케이스를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스프링 힌지가 구비된 안경다리의 제작이 쉽고 빠르며, 브라켓을 용접 및 은납땜을 한 후에도 힌지케이스의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여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과 힌지케이스가 하나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더라도 브라켓이 가이드 역할을 하여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브라켓을 먼저 용접 및 은납땜을 한 후, 힌지케이스가 브라켓의 상방을 완전히 덮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용접 및 은납땜부가 드러나지 않아 일층 미려한 외관을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브라켓에 형성된 사각기둥을 잡고 용접 및 은납땜을 함으로써 용접 및 은납땜이 용이하고, 브라켓만을 미리 용접 및 은납땜 함으로써 스프링의 열변형을 야기시키지 않아 스프링의 강도가 제작된 조건 그대로 유지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경용 스프링 힌지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을 안경다리에 먼저 용접 및 은납땜으로 고정한 후, 더블힌지와 코일스프링이 수장된 힌지케이스를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더블힌지와 코일스프링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 힌지가 구비된 안경다리의 생산도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a는 본 발명 브라켓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힌지케이스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더블힌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정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브라켓의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힌지케이스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브라켓(10)을 우선적으로 안경다리에 용접 및 은납땜으로 고정한 다음, 더블힌지(30)와 코일스프링(40)이 수장된 힌지케이스(20)를 브라켓(10)의 상부에 덮어 볼트(50)로 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우선, 본 발명의 브라켓(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반타원형 철편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으로는 사각기둥(11)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사각기둥(11)에는 통공(12)이 형성되고 통공(12)의 내부에는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힌지케이스(20)의 볼트공(22)과 연통되어 볼트(50)에 의해 체결된다.
브라켓(10)의 하단 모서리부에는 용접홈(13)이 경사지게 커팅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바, 후술하는 힌지케이스(20)의 용접홈(23)과 합치되면 '∧'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그 내측 공간부로 용접 및 은납땜에 의해 발생되는 용접 비드를 숨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1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된 힌지케이스(20)의 구성을 살펴보면, 금속재질로 된 캡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공간부(21)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공간부(21)는 제1공간부(21a)와 제2공간부(21b)로 구성되는데, 제1공간부(21a)에는 상기 브라켓(10)의 사각기둥이 삽착되고, 제2공간부(21b)에는 후술하는 더블힌지(30)와 코일스프링(40)이 내재된다.
상기 힌지케이스(20)의 상부 일측으로는 볼트공(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브라켓(10)의 통공(12)과 연통되어 볼트(50)로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힌지케이스(20)의 하부 내측 모서리부에는 용접홈(23)이 경사지게 커팅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브라켓(10)의 용접홈(23)과 합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힌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장되는 더블힌지(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된 금속편으로, 원형으로 마무리된 양끝단에는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1)은 다리연결부(C)에 설치된 경첩부(A)의 관통공과 연통되어 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힌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장되되, 더블힌지(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40)의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 사용되는 코일스프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바, 안경다리(B)가 좌·우로 회동함에 따라 더블힌지(30)는 전·후진하게 되고, 그에 의해 코일스프링(40)이 압축 혹은 인장되면서 안경다리(B)가 원위치 혹은 접힌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브라켓(10)과 힌지케이스(20)를 결합하는 볼트(50)는 통상 사용되는 볼트와 동일하며, 힌지케이스(20)의 볼트공(22)을 관통하여 브라켓(10)의 통공(12) 내주면의 나사골과 나사체결된다.
위와 같이 하나의 볼트(50)에 브라켓(10)과 힌지케이스(20)가 체결되더라도 공간부(21)의 하측으로 브라켓(10) 전체가 삽착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힌지케이스(20)가 브라켓(1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회전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브라켓(10)을 안경다리(B)에 용접 및 은납땜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힌지케이스(20)의 제2공간부(21b)의 내부로 더블힌지(30)와 코일스프링(40)이 내재되도록 조립한다.
그런 다음, 힌지케이스(20)의 제1공간부(21a)에 브라켓(10)의 사각기둥(11)이 삽착되도록 한 후, 볼트(50)로 체결하여 힌지케이스(20)와 브라켓(10)이 일체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리연결부(C)에 경첩부(A)를 용접 및 은납땜을 통해 일체화한 후, 더블힌지(30)의 관통공(31)과 경첩부의 관통공을 연통시킨 후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립 및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브라켓(10)과 힌지케이스(20)의 형태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미소한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더블힌지(30)와 코일스프링(40) 및 볼트(50)의 구성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브라켓(10)과 힌지케이스(20)가 상기 제1실시 예와 다른 점은, 도 7에 기재된 실시 예에서는 통공(12)과 볼트공(22)이 형성된 전측의 결합구조가 상이한 형태를 보이는바, 브라켓(10)의 전측이 계단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힌지케이스(20)와 결합될 시 힌지케이스(20)를 받쳐주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도 8에 기재된 실시 예에서는 브라켓(10)의 후방의 길이를 짧게 제작하고 짧아진 부분만큼을 힌지케이스(20)가 덮는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브라켓(10)이 안경다리(B)에 용접되는 부분을 줄여 일층 손쉽게 안결용 스프링 힌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행해지는 브라켓(10)과 힌지케이스(20)의 구조상의 변경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변형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것으로, 이러한 변형실시는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라 하겠다.
도 1은 종래 안경용 스프링 힌지의 정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 브라켓의 정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힌지케이스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더블힌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브라켓 11: 사각기둥
12: 통공 13, 23: 용접홈
20: 힌지케이스 21: 공간부
21a: 제1공간부 22a: 제2공간부
30: 더블힌지 31: 관통공
40: 코일 스프링 50: 볼트
A: 경첩부 B: 안경다리 C: 다리 연결부

Claims (2)

  1. 안경용 스프링 힌지에 있어서,
    반타원형 철편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으로는 사각기둥(11)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사각기둥(11)에는 나사골이 형성된 통공(12)이 일체로 구성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상부를 덮는 금속 캡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통공(12)과 연통되도록 볼트공(22)이 형성된 힌지케이스(20)와;
    상기 힌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장되도록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된 철편의 양끝단 중앙에 경첩부(A)와 결합되도록 관통공(31)이 형성된 더블힌지(30)와;
    힌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장되되, 더블힌지(30)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과 신장이 되도록 구성된 코일스프링(40)과;
    상기 힌지케이스(20)와 브라켓(10)을 일체로 결합하는 볼트(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브라켓(10)의 하단 모서리부와 힌지케이스(20)의 하단 모서리부에는 용접홈(13, 23)이 경사지게 커팅된 형태로 각각의 용접홈(13, 23)이 합치되면 '∧'자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그 내측 공간부로 용접 비드를 숨길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20090004712A 2009-01-20 2009-01-20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20090014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712A KR20090014314A (ko) 2009-01-20 2009-01-20 안경용 스프링 힌지
CN2010101062492A CN101782691B (zh) 2009-01-20 2010-01-19 一种眼镜用弹簧铰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712A KR20090014314A (ko) 2009-01-20 2009-01-20 안경용 스프링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314A true KR20090014314A (ko) 2009-02-09

Family

ID=4068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712A KR20090014314A (ko) 2009-01-20 2009-01-20 안경용 스프링 힌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14314A (ko)
CN (1) CN1017826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0627A (zh) * 2020-04-21 2020-09-08 江西冠一通用飞机有限公司 一种通用飞机用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3422B2 (ja) * 1999-10-27 2003-01-08 オーベーエー オンマフト アンド バウムガルトナ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シーオー.カーゲー 眼鏡用ばね付きヒンジ
DE10204821A1 (de) * 2002-02-01 2003-08-14 Obe Ohnmacht & Baumgaertner Federscharn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0627A (zh) * 2020-04-21 2020-09-08 江西冠一通用飞机有限公司 一种通用飞机用断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82691B (zh) 2012-07-18
CN101782691A (zh)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6212A (ko) 조립이 용이한 안경테
JP2014515502A (ja) 磁石を利用した取替え可能なテンプルを有する眼鏡
US6199981B1 (en) Method for securing spectacle members together
KR20090028603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20090014314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200448810Y1 (ko) 안경테 조립 구조
KR102004619B1 (ko) 탈,착식 안경경첩
KR20090023462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102481723B1 (ko) 금속제 전용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힌지 연결을 위한 결합구조
KR200490521Y1 (ko) 무용접 경첩을 갖는 안경다리
KR102274507B1 (ko) 상하 조립형 안경테
KR200478747Y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KR200469057Y1 (ko)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
JP2011002707A (ja) 眼鏡フレーム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KR101574557B1 (ko) 안경다리 힌지 접속장치
KR200246359Y1 (ko) 안경경첩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KR200467559Y1 (ko) 안경
KR102617134B1 (ko) 안경다리 힌지 조립체
CN216286028U (zh) 圆柱卡夹结构的眼镜框架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KR200497749Y1 (ko) 경첩내장형 안경의 힌지 구조
KR20100005750A (ko) 문짝 구조
KR20240023870A (ko)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