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761A - 방송 수신기와 인터페이스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와 인터페이스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761A
KR20090012761A KR1020070076883A KR20070076883A KR20090012761A KR 20090012761 A KR20090012761 A KR 20090012761A KR 1020070076883 A KR1020070076883 A KR 1020070076883A KR 20070076883 A KR20070076883 A KR 20070076883A KR 20090012761 A KR20090012761 A KR 20090012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cable card
information
mod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496B1 (ko
Inventor
차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496B1/ko
Priority to EP08161130A priority patent/EP2046034A3/en
Priority to US12/219,853 priority patent/US8528030B2/en
Priority to CN2008101294878A priority patent/CN101359969B/zh
Publication of KR2009001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761A/ko
Priority to US13/960,385 priority patent/US9083991B2/en
Priority to US13/960,415 priority patent/US908399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496B1/ko
Priority to US14/738,397 priority patent/US970624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3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its own processing capabilities, e.g. external module for video 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1Broadband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decryption of additio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07Interfacing a plurality of external cards, e.g. through a DVB Common Interface [DVB-C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3Processing of entitlement messages, e.g. 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 or 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2Address allocation for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와 인터페이스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IP 모드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정보 또는 선호 동작 모드 정보를 호스트에 전송함으로써, 호스트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와 카드 사이에 효율적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정보 전송 체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추가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백워드 호환성(backword compatibility)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PTV, 케이블카드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와 인터페이스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Broadcasting receiver and interfacing method,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와 인터페이스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송 수신기와 인터페이스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송 수신기는 방송사에서 제작하는 컨텐츠(content)를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 등의 전파 전달 매체를 통해서 송출하고, 사용자는 상기 각 전달 매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통해 시청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방송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나 유선 케이블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수신기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는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광케이블 망, 동축 케이블 망, FTTH(Fiber To The Home), 전화망, 무선망 등 여러 종류의 망 상에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의 경우, 일반 지상파방송 등과 달리, 양방향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자신이 보고 싶은 컨텐츠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한 수신, 컨텐츠 보호(protection) 기술 등을 사용하여 전송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다.
케이블카드와 같은 제한 수신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보호하는 경우, 상기 수신기의 케이블카드는 호스트에 네트워크 동작 모드(operational mode)에 대한 정보를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경우,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에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트와 카드 사이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송 수신기와 인터페이스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 방법은, 요청에 따라 호스트와 케이블카드 사이의 세션을 여는 단계, 및 상기 세션을 이용하여 호스트에 IP 모드를 설정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호스트의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 정보와 케이블 카드의 동작 모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호스트에 설정할 선호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은, 케이블카드로부터 호스트의 네트워크 모드를 IP 모드로 설정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IP 모드를 설정하고, 서버로부터 호스트의 IP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케이블카드로부터 케이블카드의 맥 주소를 수신하여, 서버로부터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를 케이블카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호스트의 네트워크 모드를 IP 모드로 설정하 는 정보와 케이블카드의 맥 주소를 호스트에 전송하는 케이블카드,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IP 모드를 설정하고, 서버로부터 호스트의 IP 주소와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를 케이블카드에 전송하는 호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송 수신기와 인터페이스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기의 호스트와 카드 사이에 효율적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정보 전송 체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호스트에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백워드 호환성(backword compatibility)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와 인터페이스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예인 IPTV(Internet Protocol TV) 시스템은 크게 서버(Server)와 네트워크, 그리고 수신기(client)로 나뉠 수 있다.
상기 IPTV의 서버는 서비스 발견, 선택에 관한 정보(Service Discovery, Selection) 서버, 스트리밍(Streaming) 서버, 컨텐츠 가이드(Contents Guide) 정보 서버, 고객정보 서버, 지불 정보 서버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가운데 스트리밍 서버는 저장되어 있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또는 MPEG4 인코딩 동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상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CP(RTP Control Protocol) 등을 이용할 수 있다.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시정지(Pause), 리플레이(Replay), 정지(Stop) 등 네트워크 트릭 플레이(Trick Play)라 불리는 기능을 통해 동영상 스트림 재생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도 있다.
컨텐츠 가이드 정보 서버는 상기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상기 컨텐츠 가이드 정보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로 컨텐츠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가이드 정보 서버는 컨텐츠 가이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신기에 제공한다.
상기 서버 가운데 서비스 발견 및 선택에 관한 정보 서버는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등의 각종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에 대한 접속 정보, 재생 정보 등을 수신기에 제공한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인터넷 기반 망과 게이트웨이(Gateway)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넷 기반 망은 IP를 기반으로 광케이블 망, 동축 케이블 망, FTTH(Fiber To The Home), 전화망, 무선망 등 여러 종류의 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에서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달뿐만 아니라,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캐스트(Multicast) 그룹 관리, QoS(Quality of Service)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PTV의 수신기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신기를 말한다. 상기 수신기에는 IPTV 셋톱(IPTV Settop), 홈넷 게이트웨이(Homenet Gateway), IPTV 임베디드 TV(IPTV embedded TV) 등이 있다.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의 IPTV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존의 각종 방송 컨텐츠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의 각종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개인 방송 등과 같은 각종 방송 컨텐츠나, 다양한 인터넷 영상 컨텐츠, 영상 이외의 데이터 컨텐츠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들은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요청에 따라 주문형(on demand)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IPTV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측면에서 볼 때, 상기 IPTV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 CP),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 SP),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 NP) 및 사용자로 나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에는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있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와 같은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의 서비스 제공자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제공자는 상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 : HNED)를 구축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IPTV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카드나 DCAS 등의 사용 여부는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선택이며, 상기 케이블카드나 DCAS 등을 수신기에 사용하는 경우, 수신기와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도 상기 시스템을 사용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케이블카드를 사용하는 수신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의 수신기는 IP를 기반으로 하는 IPTV 서비스, 케이블 방송, 지상파 방송, 위성 방송 등을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형태의 수신기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수신기는, 구현 예에 따라 IPTV 서비스만 수신하거나, 케이블 방송만 수신하는 경우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 2의 케이블카드는 상기와 같은 구현 예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도 있다.
상기 도 2의 수신기는 크게 호스트(HOST)와 케이블카드(CableCARD)로 구성된다. 호스트는 제1튜너(Tuner)(202), 제2튜너(204), 복조부(demodulator)(206), 다중화부(multiplexer)(208), 역다중화부(demultiplexer)(210), 디코더(decoder)(212), 이더넷(ethernet) NIC(Network Interface Card)(214), TCP/IP네트워크부(216), TP(Transport Packet) 파싱부(parser)(218), 제어부(222), DCAS(Downloadable CAS)부(224), DVR(Digital Video Recorder)제어부(226), 컨텐츠 암호화부(content encryption)(228), 스토리지 인터페이스부(storage interface)(230), 및 저장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카드(220)는 하나의 스트림만을 처리할 수 있는 싱글 스트림(Single stream) 카드일 수도 있고, 다수개의 스트림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멀티 스트림(Multi stream) 카드일 수도 있다.
상기 수신기는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 CA) 시스템을 포함하는 케이블카드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오픈 케이블 방식이다. 상기 케이블카드는 POD(Point Of Deployment) 모듈이라고도 하며, 상기 수신기의 본체 슬롯에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카드가 삽입되는 본체를 호스트라 하기도 한다. 즉, 상기 케이블카드와 호스트를 합쳐서 수신기라 한다.
네트워크 연결부(200)는 외부 네트워크 망과 수신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외부 IP 네트워크 망과 상기 수신기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MoCA(Multimedia Over Coax Alliance)를 사용하는 경우,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네트워크 망 상에서 IP 기반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는, DOCSIS 모뎀을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 망과 연결할 수도 있으며,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망과 연결하는 무선 중계기, 유선 ADSL 중계기와 같이 유선 인터넷 네트워크 망과 연결하는 유선 중계기 등을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 망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네트워크 망과의 연결 예는 일 실시 예이며, 어느 것을 사용할지 여부는 어떠한 방식으로 외부 네트워크 망과 연결되는 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튜너(202)는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지상파 A/V(Audio/Video) 방송이나 네트워크 연결부(200)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인-밴드(In-band)로 전송되는 케이블 A/V 방송 중 특정 채널 주파수만을 튜닝하여 복조부(206)로 출력한다.
이때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은 전송 방식이 다르므로 복조부(206)에서의 복조 방식도 다르다. 예를 들어, 지상파 A/V 방송은 VSB(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되고, 케이블 A/V 방송은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된다. 그러므로 제1 튜너(202)에서 튜닝된 채널 주파수가 지상파 방송이면 복조부(206)에서 VSB 방식으로 복조되고, 케이블 방송이면 QAM 방식으로 복조된다.
제2 튜너(204)는 네트워크 연결부(200)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인-밴드(In-band)로 전송되는 케이블 A/V 방송 중 특정 채널 주파수만을 튜닝하여 복조부(206)로 출력한다.
상기 제1 튜너(202)와 제2 튜너(204)는 이용하여 서로 다른 채널의 신호를 튜닝하여 복조부(206)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튜너(202)와 같은 채널의 서로 다른 A/V 스트림을 튜닝하여 복조부(206)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튜너(202)에서는 메인 픽쳐의 스트림을 튜닝하고, 제2 튜너(204)는 PIP(Picture in Picture)의 스트림을 튜닝할 수 있다. 그리고, DVR(Digital Video Recorder)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1 튜너(202)와 제2 튜너(204)를 사용함으로써 영상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영상 신호를 저장(watch & record)할 수도 있다.
상기 복조부(206)는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다중화부(208)로 전송한다. 다중화부(208)은 복조부(206)와 TP(Transport Packet) 파싱부(218)에서 입력된 신호를 다중화(multiplexing)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튜너(202)에서 튜닝되어 복조된 메인 영상과 제2 튜너(204)에서 튜닝되어 복조된 PIP 영상을 다중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구현 예에 따라, 다른 채널의 영상을 다중화할 수도 있고, 상기 TP 파싱부(218)에서 출력된 신호와 다중화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다중화부(208)에서 출력된 신호가 지상파 방송 신호이면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부(210)로 출력하고, 케이블 방송이거나 IPTV 방송 신호이면 슬롯에 장착된 케이블카드(220)를 통해 역다중화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케이블카드(220)는 고부가가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복사 방지 및 제한적인 접근을 위하여,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 CA) 시스템을 포함하며, POD(Point Of Deployment) 모듈이라고도 한다.
즉, 상기 케이블카드(220)는 수신된 방송 신호에 스크램블(scramble)이 걸려있다면 디스크램블(descramble)하여 역다중화부(210)로 출력한다. 만일 케이블카드(22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다중화부(208)에서 출력된 A/V 방송 신호는 바로 역다중화부(210)로 출력된다. 이 경우 스크램블된 A/V 방송 신호는 디스크램블을 하지 못하므로 정상적으로 시청하지 못한다.
상기 역다중화부(210)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디코더(212)로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212)는 각각 비디오 디코딩 알고리즘과 오디오 디코딩 알고리즘을 통해 압축된 A/V 신호를 원래 신호로 복원한 후 디스플레이를 위해 출력한다.
DVR제어부(226), 컨텐츠 암호화부(228), 스토리지 인터페이스부(230), 및 저장부(232)는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VR제어부(226)는 제어부(222)의 제어에 따라 역다중화부(210)에서 출력된 데이터 가운데 선택된 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데이터 가운데 선택된 영상 데이터 등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암호화부(228)는 저장하고 자 하는 데이터를 암호화(encryption)하여 출력하거나, 암호화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복원하여 출력한다. 상기 암호화부(228)는 구현 예에 따라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스토리지 인터페이스부(230)은 저장부(232)와의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저장부(232)는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DCAS부(224)는 송신 측 서버로부터 수신제한 시스템(CAS)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수신제한 시스템 가운데 적정한 수신제한 시스템에 따라 수신제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22)는 호스트와 케이블카드 사이의 인터페이스 및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 처리 등을 제어한다.
이더넷 NIC(214)는 네트워크 연결부(200)를 통해 수신된 신호 가운데 특정 IP 주소로 전송되는 이더넷 프레임(ethernet frame) 패킷을 수신하여 TCP/IP네트워크부(216)로 전송한다. 또는, 양방향 통신에 따른 데이터(예를 들면, 유료 프로그램 신청, 수신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 입력 등)를 상기 TCP/IP네트워크부(216)로부터 수신하여 네트워크 연결부(200)를 통해 외부 망으로 전송한다. 상기 특정 IP 주소는 호스트 자체의 IP 주소 또는 케이블카드의 IP 주소일 수 있다.
상기 도 2와 같은 수신기의 경우, IP 프로토콜에 따른 IPTV 방송 신호나, VOD(Video On Demand) 신호, 또는 OOB(Out Of Band) 메시지 신호가 상기 이더넷 NIC(214)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기존 케이블 방송의 경우, DSG(DOCSIS Settop Gateway) 방식이나 OOB(Out Of Band) 방식 등을 이용하여 SI(System Information), EAS(Emergency Alert System), XAIT(eXtended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제 한수신 시스템 정보, 각종 케이블카드 제어 정보 등과 같은 OOB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도 2와 같은 수신기의 경우 호스트 내부에 DOCSIS 모뎀이나, OOB 튜너 등을 구비하여 상기 OOB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P 방식과 OOB 방식 가운데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OOB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고, IP 방식과 DSG 방식, OOB 방식 가운데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OOB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IP 방식과 OOB 방식 가운데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OOB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 2와 같은 수신기에서 OOB 모뎀, 복조부 등이 더 필요하다. 그리고 IP 방식과 DSG 방식, OOB 방식 가운데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OOB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 2와 같은 수신기에서 DOCSIS 모뎀, OOB 모뎀, 상기 DSG 방식과 OOB 방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스위칭부, 각 방식에 따라 헤드엔드(head end) 또는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복조부 등이 더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IP 방식과 기존 DSG 방식, OOB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경우나, DSG 방식을 제외하고 IP 방식과 OOB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어떤 방식을 사용할지 여부는 송신 측에서 정하여 케이블카드에 전송한다. 케이블카드는 상기 송신 측에서 정하여진 정보에 따라 호스트에 동작 방식을 알려준다. 이러한 경우, 백워드 호환성(backword compatibility)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상기 도 2의 수신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DOCSIS 모뎀을 이용하는 DSG 방식이나 OOB 튜너를 이용하는 OOB 방식이 아닌, IP를 이용한 이더넷 NIC(214)를 통하여 OOB 메시지 등을 수신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 한 경우, 송신 측에서는 상기 OOB 메시지 등을 IP를 이용하여 패킷화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VOD나 IPTV 방송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VOD 패킷이나 IPTV 방송 패킷과 같은 패킷 형태로 제한수신 시스템 정보와 같은 메시지 등이 수신될 수 있다.
상기에서 예로 든 OOB 메시지는 일 예에 불과하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예로 든 정보 이외의 필요한 다른 정보가 추가되거나, 상기 예로 든 정보 가운데 필요하지 않은 정보가 제외될 수도 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네트워크부(216)는 수신된 패킷을 TCP/IP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 스택(stack)을 이용하여 패킷의 목적지로 라우팅(routing)한다. 상기 TCP/IP 네트워크부(216)는 TCP/IP 프로토콜과 UDP(User Datagram Protocl)/IP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한다.
상기 TCP/IP네트워크부(216)는 수신된 VOD 신호나 IPTV 방송 신호는 TP(Transport Packet) 파싱부(218)로 라우팅한다. 상기 TP 파싱부(218)는 수신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s) 기반의 TP 패킷을 파싱(parsing)하여 다중화부(208)로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부(208) 이후의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예에서는 TP 패킷을 수신하여 파싱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RTP 프로토콜에 따라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바로 수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발명의 사상은 구현 예에 따른 용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TCP/IP네트워크부(216)는 패킷의 목적지가 케이블카드(220)인 패킷을 상기 케이블카드(220)로 전송한다. 상기 패킷의 목적지가 케이블카드(220)인 패킷 가운데 하나인 상기 OOB(Out Of Band) 메시지는 상기 TCP/IP네트워크부(216)에서 라우팅되어 케이블카드(220)로 전송된다. 상기 OOB 메시지를 케이블카드(220)로 라우팅하는 경우, 제2계층(layer) 라우팅 또는 제3계층(layer) 라우팅을 통해 케이블카드(22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계층 라우팅을 사용하는 경우, 수신된 이더넷 프레임의 헤더(header)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의 맥(MAC : Media Access Control) 주소 체계를 이용하여 라우팅한다. 제3계층 라우팅을 사용하는 경우, 수신된 이더넷 프레임의 IP 헤더(header)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의 IP 주소 체계를 이용하여 라우팅한다. 상기 제2계층 라우팅 또는 제3계층 라우팅의 사용 여부는 구현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구현 예에 따라 제2계층 라우팅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제3계층 라우팅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카드와 호스트간에는 데이터 채널(Data Channel)과 확장 채널(Extended Channel)이 존재한다. 상기 데이터 채널은 호스트와 케이블카드 사이에 제어 신호를 주고받도록 설정되고, 확장 채널은 실제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설정된 채널이다. 상기 확장 채널은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정의된 CPU 인터페이스이다.
즉, 상기 케이블카드는 송신 측과 통신을 해서 송신 측으로부터 받은 명령을 해석한 후 상기 데이터 채널 및 확장 채널을 통해 호스트와 서로 통신을 하면서 송신 측이 지시한 사항을 수행하게 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들을 송신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확장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케이블카 드와 호스트간에 정의된 데이터 타입에 해당되는 전송 선로를 설정해야 한다. 이를 플로우(Flow)라 한다. 예를 들어, MPEG 섹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케이블카드와 호스트간에 MPEG 섹션 플로우를 설정한 뒤에 해당 플로우 상에 실제 MPEG 섹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확장 채널 상의 플로우에는 IP 유니캐스트(IP_U) 플로우, IP 멀티캐스트(IP_M) 플로우, DSG 플로우 및 최대 6개의 MPEG 섹션 플로우 등이 있다. 다만, 상기 호스트 내부에 DOCSIS 모뎀과 같은 eCM(embeded Cable Modem)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플로우 가운데 DSG 플로우는 사용되지 아니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호스트의 통신 동작 모드를 설정하거나, 호스트와 케이블카드 사이에 OOB 메시지 등을 주고 받기 전에, 호스트는 호스트의 네트워크 동작모드 지원 정보(network capability)를 케이블카드 측에 알려주어야 한다. 따라서, 호스트의 부팅(booting) 시나 카드가 삽입된 경우와 같이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가 초기화되는 중에, 호스트는 상기 호스트의 네트워크 동작모드 지원 정보를 케이블카드 측에 전송한다.
상기 호스트는 RM(Resource Manager)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동작모드 지원 정보를 케이블카드 측에 전송할 수 있다. 호스트는 상기 R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스트의 모든 리소스(resoruce)에 대한 ID(Identifier) 리스트를 카드 측에 전달한다. 케이블카드는 상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스트의 제한 수신 시스템(CAS) 정보, 네트워크 동작모드 지원 정보 등과 같은 호스트의 리소스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호스트와 케이블카드 사이의 제어와 데 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RM 프로토콜에 따른 리소스 정보 송수신은,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 초기화 프로세스 가운데 어플리케이션 스택(application stack)이 시작되면서 수행된다.
케이블카드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동작모드 지원 정보와 헤드엔드 또는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수신한 동작 모드(operational mode)를 이용하여, 상기 호스트에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동작 모드 전송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은 호스트와 케이블카드 사이의 메시지의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카드가 호스트에게 RM 프로토콜에 따른 세션(session)의 오픈을 요청(open_session_request)한다. 호스트에서는 상기 카드로부터 상기 세션 오픈 요청이 있으면 세션을 오픈하여 응답(open_session_response)을 한다. 상기 세션은 확장 채널 서포트(Extended Channel Support) 리소스의 세션 또는 DSG 리소스의 세션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장 채널 서포트 리소스의 버전이 4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확장 채널 서포트 리소스의 세션이 사용되며, 상기 리소스의 버전이 5 이상인 경우에는, DSG 피소스의 세션이 사용된다.
상기 세션이 열리면, 호스트는 선호(preferred)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inquire_DSG_Mode() APDU(Application Data Unit)를 카드 측에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Inquire_DSG_Mode() APDU의 신택스(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보다 간단 명료한 설명을 위하여 신택스를 구성하는 각 필드(field)에 대한 영어 표현은 그대로 사용하되, 큰 따옴표를 함께 표기하기로 하겠다.
"profile_reply_tag" 필드는 24비트의 필드이며, 상기 APDU가 profile_reply() APDU임을 식별하는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값은 0x9F8E06 값이 될 수 있다. "length_field()"는 바이트 단위로 이하 필드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케이블카드는 set_DSG_Mode() APDU를 호스트 측에 전송한다. 케이블카드는 상기 set_DSG_Mode() APDU에 선호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호스트에 전송한다. 상기 set_DSG_Mode() APDU는 Inquire_DSG_Mode() APDU에 대한 응답으로 호스트 측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요청이 없더라도 리소스의 세션이 확립된 후 상기 호스트 측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set_DSG_Mode() APDU의 신택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set_DSG_Mode_tag" 필드는 24비트의 필드이며, 상기 APDU가 set_DSG_Mode() APDU임을 식별하는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값은 0x9F8E07 값이 될 수 있다. "length_field()"는 바이트 단위로 이하 필드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operational_mode" 필드는 선호 동작 모드 또는 호스트에 설정할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필드의 동작 모드에 대한 식별정보는 표 1과 같다.
operational mode value
SCTE55 mode(Legacy OOB mode) 0x00
basic DSG mode 0x01
basic DSG mode one-way mode 0x02
advanced DSG mode 0x03
advanced DSG mode one-way mode 0x04
IP mode 0x05
선호 동작 모드가 IP mode인 경우, 상기 set_DSG_Mode() APDU의 "operational_mode" 필드는 '0x05'값을 갖는다. 상기 IP mode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이더넷 NIC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를 말하며, 상기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operational_mode" 필드의 동작 모드가 DSG mode 이거나 DSG one-way mode인 경우, 상기 APDU에는 "number_MAC_addresses", "DSG_MAC_address", "remove_header_bytes" 필드가 포함된다.
"number_MAC_addresses" 필드는 카드 공급자(card provider)에 의해 할당된 MAC address 주소의 갯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DSG_MAC_address"필드는 상기 갯수 만큼 for 루프에 의해 반복된다. 상기 "DSG_MAC_address"필드는 이더넷 MAC addres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remove_header_bytes"필드는 확장 채널을 통해 전송되기 전에 DSG 터널 패킷으로부터 제거된 바이트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set_DSG_Mode() APDU가 수신되면 호스트는 상기 APDU를 파싱(parsing)하여 operational_mode 값을 추출한다. 만약, 상기 operational_mode 값이 0x05(IP mode)이면, 호스트는 이더넷 NIC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킹 동작을 위한 설정을 시작한다.
호스트는 각각의 호스트마다 할당된 호스트 MAC address를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DHCP 서버에 전송하고, 호스트의 IP address를 얻어온다.
케이블카드는 New_flow_req() APDU를 호스트에 전송하여 IP 유니캐스트(IP_U) 플로우의 생성을 요청한다. 상기 New_flow_req() APDU의 service_type 필드 값을 0x01(IP_U)로 설정함으로써 IP 유니캐스트 플로우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New_flow_req() APDU에는 IP 유니캐스트 플로우의 생성을 요청하는 정보와 함께, 케이블카드의 MAC address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호스트는 상기 New_flow_req() APDU를 파싱하여, 케이블카드의 MAC address를 DHCP 서버에 전송하고, 케이블카드의 IP address를 얻어온다. 호스트는 상기 케이블카드의 IP address를 IP 유니캐스트 플로우의 생성을 허여(grant)하는 정보와 함께 New_flow_cnf() APDU에 포함하여 케이블카드에 전송한다.
상기 New_flow_cnf() APDU이 케이블카드에 수신되면, 호스트와 케이블카드의 확장 채널 가운데 IP 유니캐스트 플로우가 생성된다. 상기 플로우를 통해 카드는 각종 OOB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양방향 IP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호스트는 New_flow_req() APDU를 케이블 카드에 전송하여 MPEG 섹션 플로우를 요청할 수 있고, 케이블카드는 New_flow_cnf() APDU를 호스트에 전송하여 MPEG 섹션 플로우의 생성을 허여할 수 있다. 호스트는 상기 New_flow_req() APDU의 service_type 필드 값을 0x00(MPEG_section)로 설정함으로써 MPEG 섹션 플로우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상기 MPEG 섹션 플로우의 요청 및 생성의 순서는 정하여 진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MPEG 섹션 플로우는 구현 예에 따라 IP 유니캐스트 플로우의 요청 및 생성 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세션이 열린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DSG mode와 관련된 APDU의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Inquire_DSG_mode(), set_DSG_mode() 이외에, DSG_error(), DSG_message(), DSG_directory(), send_DSG_info() 등이 있다. 만약 선호 동작 모드가 IP mode로 설정되는 경우, Inquire_DSG_mode(), set_DSG_mode() 이외에, DSG_error(), DSG_message(), DSG_directory(), send_DSG_info() 등은 사용되지 아니하며, 상기 사용되지 않는 APDU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를 무시한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동작 모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는 케이블카드에서 호스트로 동작 모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I/F) 초기화가 시작된다(S600). 상기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 초기화는 호스트가 부팅 되거나 호스트에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등에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가 초기화되면서, 카드는 호스트로부터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동작모드(network capability)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S602). 상기 호스트의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는 RM(Resource Manager) 프로토콜 등을 이용하여 송수신 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카드는 선호 동작 모드(preferred operational mode)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선호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선호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는 헤드 엔드 또는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케이블카드에 미리 선호 동작 모드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호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을 위해, 상기 케이블카드에 디폴트(default) 동작 모드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카드는 선호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헤드 엔드 또는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S604), 상기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카드에 저장된 선호 동작 모드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606). 상기 선호 동작 모드 정보가 수신되어 있지 않거나,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디폴트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S608).
케이블카드는 상기 S604 단계, S606 단계, 또는 S608 단계에서 얻어진 동작 모드 정보와 호스트의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호스트에 전송할 선호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S610). 상기 선호 동작 모드는 상기 호스트에서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 가운데 결정될 수 있다.
케이블카드는 상기 결정된 선호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카드와 호스트는 확장 채널 서포트(Extended Channel Support) 리소스의 세션 또는 DSG 리소스의 세션을 이용하여 선호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케이블카드는 호스트로부터 Inquire_DSG_mode() APDU를 받은 경우(S612), 또는 호스트에 set_DSG_mode() APDU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S614)인 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정된 선호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set_DSG_mode() APDU에 포함하여 호스트에 전송한다(S616). 상기 set_DSG_Mode() APDU는 Inquire_DSG_Mode() APDU에 대한 응답으로 호스트 측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요청이 없더라도 리소스 세션이 확립된 후 상기 호스트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b는 호스트에서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I/F) 초기화가 시작된다(S620). 상기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 초기화는 호스트가 부팅 되거나 호스트에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등에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가 초기화되면서, 호스트는 카드로부터 수신된 선호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S622). 상기 선호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는 set_DSG_mode() APDU의 operational mode 필드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호스트는 상기 추출된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네트워크를 초기화한다.
호스트는 상기 추출된 동작 모드가 IP mode인지(S624), OOB mode인지(S626), DSG mode인지(S628) 판단한다. 만약 상기 동작 모드가 IP mode인 경우, 호스트는 이더넷 NIC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킹 동작을 위한 설정을 시작한다. 호스트는 호스트 MAC address를 DHC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DHCP 서버에 전송하고, 호스트의 IP address를 얻어온다(S630).
그리고 카드로부터 IP 유니캐스트 플로우의 생성을 요청하는 new_flow_req() APDU를 수신하면(S636), 원격지의 DHCP 서버로부터 케이블카드의 IP address를 얻어온다(S638). 상기 케이블카드의 IP address는 케이블카드의 MAC address를 DHCP 서버에 전송하여 DHCP 서버로부터 얻어올 수 있다.
호스트는 상기 케이블카드의 IP address를 IP 유니캐스트 플로우 생성 허여(grant) 정보와 함께 new_flow_cnf() APDU에 포함하여 케이블카드에 전송한다(S640).
상기 추출된 동작 모드가 OOB mode 이거나 DSG mode인 경우에는 각각의 모드에 따라 네트워킹 동작을 위한 설정을 시작한다(S632, S634). OOB 모드의 경우 케이블카드가 모뎀의 역할을 하여 헤드엔드 또는 서비스 제공자 측과 송수신하며, DSG 모드의 경우 호스트에 임베디드(embeded)된 모뎀이 모뎀 역할을 하여 헤드엔드 또는 서비스 제공자 측과 송수신한다. DSG 모드의 경우 카드와 호스트의 eCM(embeded Cable Modem) 모뎀 사이의 IP 유니캐스트 플로우가 설정되며, OOB 모드의 경우 호스트와 카드의 SCTE(Society of Cable Telecommunications Engineers) 55 모뎀 사이의 IP 유니캐스트 플로우가 설정된다.
상기 예에서는 IP mode의 설정 정보를 set_DSG_mode() APDU를 이용하여 호스트에 전송하였으나, 구현 예에 따라 별도의 APDU 등을 새로이 정의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케이블카드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케이블카드 대신 스마트 카드(Smart Card)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램블(descramble) 모듈이 케이블카드 또는 스마트 카드에 구비되고, 상기 카드는 호스트에 탈착되도록 하고 있다. 수신된 방송신호는 카드의 디스크램블 모듈을 통해 디스크램블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카드 없이 호스트 내부에 디스크램블 모듈이 구비되고, 디스크램블 모듈은 방송국 또는 서비스 제공자 등으로부터 다운로드 되도록 구성을 달리 할 수도 있다. 즉, 다운로드된 디스크램블 모듈은 호스트 내의 소정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의 차이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IPTV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케이블카드를 사용하는 수신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동작 모드 전송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Inquire_DSG_Mode() APDU의 신택스(syntax)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set_DSG_Mode() APDU의 신택스를 나타낸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동작 모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네트워크 연결부 202 : 제1튜너
204 : 제2튜너 206 : 복조부
208 : 다중화부 210 : 역다중화부
212 : 디코더 214 : 이더넷 NIC
216 : TCP/IP네트워크부 218 : TP 파싱부
220 : 케이블카드 222 : 제어부
224 : DCAS부 226 : DVR 제어부
228 : 컨텐츠 암호화부 230 : 스토리지 인터페이스부
232 : 저장부

Claims (20)

  1. 호스트와 케이블 카드 사이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요청에 따라 호스트와 케이블카드 사이의 세션을 여는 단계; 및
    상기 세션을 이용하여 호스트에 IP 모드를 설정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은,
    확장 채널 서포트 리소스의 세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은,
    DSG 리소스의 세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와 케이블간 인터페이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모드를 설정하는 정보는,
    DSG 모드 셋팅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와 케 이블간 인터페이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카드의 맥(MAC) 주소를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맥 주소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한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를 케이블카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카드의 맥 주소는,
    플로우의 생성을 호스트에 요청하는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는,
    플로우의 생성을 케이블카드에 승인하는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와 케이블카드간 인터페이스 방법.
  8. 호스트의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 정보와 케이블 카드의 동작 모드 설정 정 보를 이용하여 호스트에 설정할 선호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의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정보는,
    헤드 엔드로부터 수신한 설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정보는,
    상기 헤드 엔드로부터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케이블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 정보를 사용하고,
    상기 저장되어 있는 설정 정보가 없는 경우, 디폴트 설정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는,
    DSG 모드 셋팅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케이블카드로부터 호스트의 네트워크 모드를 IP 모드로 설정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IP 모드를 설정하고, 서버로부터 호스트의 IP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케이블카드로부터 케이블카드의 맥 주소를 수신하여, 서버로부터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를 케이블카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IP 모드로 설정하는 정보는,
    DSG 모드 셋팅 데이터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카드의 맥 주소는,
    플로우의 생성을 요청하는 데이터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는,
    플로우의 생성을 승인하는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7. 호스트와 케이블카드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호스트의 네트워크 모드를 IP 모드로 설정하는 정보와 케이블카드의 맥 주소를 호스트에 전송하는 케이블카드;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IP 모드를 설정하고, 서버로부터 호스트의 IP 주소와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를 케이블카드에 전송하는 호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카드는,
    상기 호스트의 네트워크 모드를 IP 모드로 설정하는 정보를 DSG 모드 셋팅 데이터에 포함하여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카드는,
    상기 케이블카드의 맥 주소를 플로우 생성 요청 데이터에 포함하여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케이블카드의 IP 주소를 플로우 생성 승인 데이터에 포함하여 케이블카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070076883A 2007-07-31 2007-07-31 방송 수신기,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387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883A KR101387496B1 (ko) 2007-07-31 2007-07-31 방송 수신기,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EP08161130A EP2046034A3 (en) 2007-07-31 2008-07-24 A broadcasting receiver and a method of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broadcasting receiver
US12/219,853 US8528030B2 (en) 2007-07-31 2008-07-29 Broadcasting receiver and a method of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broadcasting receiver
CN2008101294878A CN101359969B (zh) 2007-07-31 2008-07-31 广播接收机和确定广播接收机的操作模式的方法
US13/960,385 US9083991B2 (en) 2007-07-31 2013-08-06 Broadcasting receiver and a method of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broadcasting receiver
US13/960,415 US9083992B2 (en) 2007-07-31 2013-08-06 Broadcasting receiver and a method of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broadcasting receiver
US14/738,397 US9706243B2 (en) 2007-07-31 2015-06-12 Broadcasting receiver and a method of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broadcasting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883A KR101387496B1 (ko) 2007-07-31 2007-07-31 방송 수신기,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61A true KR20090012761A (ko) 2009-02-04
KR101387496B1 KR101387496B1 (ko) 2014-04-21

Family

ID=4033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883A KR101387496B1 (ko) 2007-07-31 2007-07-31 방송 수신기,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8528030B2 (ko)
EP (1) EP2046034A3 (ko)
KR (1) KR101387496B1 (ko)
CN (1) CN1013599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649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8117B2 (en) 2010-04-23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Active macro-femto hand-in with help from out-of-band proxy
US8954051B2 (en) * 2010-04-23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Uniquely identifying target femtocell to facilitate femto-assisted active hand-in
US20120094666A1 (en) 2010-10-15 2012-04-19 Qualcomm Incorporated Uniquely identifying target femtocell to facilitate femto-assisted active hand-in
JP5121977B2 (ja) * 2011-05-31 2013-01-1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情報端末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US9392318B2 (en) 2011-06-14 2016-07-12 Sony Corporation Receiver device with multiple decryption modes
US9110252B2 (en) * 2012-08-29 2015-08-18 Lightel Technologies, Inc. Adaptive device for inspecting endfaces of fiber-optic connector having multiple rows of fibers
US8484676B1 (en) * 2012-11-21 2013-07-09 Motorola Mobility Llc Attention-based, multi-screen advertisement scheduling
CN104811321A (zh) * 2015-05-11 2015-07-29 杭州迈可行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ip广播系统装置的实现方法
CN105554540B (zh) * 2015-12-31 2019-04-09 深圳国微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接口在条件接收卡中的实现方法和装置
CN107155115A (zh) * 2017-06-09 2017-09-12 浙江广播电视集团 视音频数据处理系统及方法
KR102179496B1 (ko) * 2019-06-10 2020-11-17 최성인 케이블 방송 시스템 정보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817B1 (ko) 2000-01-13 2002-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픈케이블 수신 시스템 및 시스템 진단 방법
US6839072B2 (en) * 2001-06-15 2005-0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display of option recommendations through time-by-score
KR100527342B1 (ko) * 2002-12-18 2005-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 광통신망을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US7694323B2 (en) * 2004-01-12 2010-04-06 Time Warner Cable, Inc. Technique for providing security measures for communications device connectable to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60165005A1 (en) * 2004-11-15 2006-07-27 Microsoft Corporation Business method for pay-as-you-go computer and dynamic differential pricing
US8199781B2 (en) * 2004-12-14 2012-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emultiplexing received transport stream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20070012130A (ko) 2005-07-22 200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인터페이스 방법
US7649949B2 (en) * 2005-07-28 2010-01-19 Sony Corporation Multipurpose television module
KR101137341B1 (ko) * 2005-11-02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진단 정보 표출 방법
KR101199367B1 (ko) * 2005-11-10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인터페이스 방법, 및 데이터 구조
KR100768105B1 (ko) * 2005-12-09 2007-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케이블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한 엠펙-2 전송스트림 패킷오류 신호 전달을 위한 다중화 및 역다중화 장치와 그를이용한 다중화 및 역다중화 방법
KR20080010897A (ko) * 2006-07-28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임베디드 케이블모뎀과 임베디드 셋탑박스 간의 통신 방법및 이를 위한 장치
US8243927B2 (en) * 2006-10-20 2012-08-14 Panasonic Corporation Digital video receiver, ECM extract equipment, EMM extract equipment, scramble key extract equipment, CCI extract equipment, digital video receiving system, ECM extract method, EMM extract method, scramble key extract method, CCI extract method, digital video receiv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059655B2 (en) * 2006-12-27 2011-11-15 Newport Media, Inc. Unified interfacing for DVB-T/H mobile TV appl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649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06243B2 (en) 2017-07-11
EP2046034A3 (en) 2011-04-06
US20140013370A1 (en) 2014-01-09
US9083991B2 (en) 2015-07-14
CN101359969B (zh) 2013-04-24
US9083992B2 (en) 2015-07-14
KR101387496B1 (ko) 2014-04-21
US20090044239A1 (en) 2009-02-12
EP2046034A2 (en) 2009-04-08
CN101359969A (zh) 2009-02-04
US20130318565A1 (en) 2013-11-28
US20150281759A1 (en) 2015-10-01
US8528030B2 (en)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496B1 (ko) 방송 수신기,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7746878B2 (en) Host device interface with a point of deployment (POD) and a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7944916B2 (en) Host device interfacing with a point of deployment (POD) and a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20090106806A1 (en) Broadcast receiver and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7944917B2 (en) Host device interfacing with a point of deployment (POD) and a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9210479B2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interfacing resource information between a host device and a pod, sending host device resource information and obtaining host device resource information
US20090100490A1 (en) Method of processing data of a host in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system and the apparatus thereof
US7839886B2 (en) Host device, a point of deployment (POD), and a method of identifying an operation mode
US8285890B2 (en) Host device, a point of deployment (POD), and a method of identifying an operation mode
US8285891B2 (en) Host device, a point of deployment (POD), and a method of identifying an operation mode
KR101461935B1 (ko) 방송 수신기,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20110037669A (ko) 방송 수신기 부팅 제어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