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755A - 이동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755A
KR20090012755A KR1020070076870A KR20070076870A KR20090012755A KR 20090012755 A KR20090012755 A KR 20090012755A KR 1020070076870 A KR1020070076870 A KR 1020070076870A KR 20070076870 A KR20070076870 A KR 20070076870A KR 20090012755 A KR20090012755 A KR 20090012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dp context
pdp
inform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하윤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755A/ko
Priority to US12/144,287 priority patent/US20090034496A1/en
Publication of KR2009001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마다 다르게 지원되는 multiple PDP context에 대한 상태를 체크함으로써 에러 발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이동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은 PDP(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PDP context)를 활성화하고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을 설정하는 과정과, 다중 PDP 콘텍스트(Multiple PDP context)가 시도되면,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의거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를 지원할 시 상기 네트워크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를 지원하지 않을 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을 생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70076870
이동단말(MS), PDP context, 패킷(packet)

Description

이동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IN A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Packet Data Protocol context, 이하 'PDP context'라 칭함)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capacity)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PDP 활성화 요청(PDP activation request) 시도를 프로액티브(proactive)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MS, Mobile Station)이 패킷 서비스(PS, Packet Service)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PDP context 활성화(activation)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와 패킷(packet)을 송수신할 수 있는 접속(connection)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 이후에 이동단말과 네트워크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은 통신 시스템에 따른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도시한 도 면이다. 특히, 상기 도 1에서는 3GPP 통신 규격에 정의된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단말(MS, 110)에서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이하, 'ACTIVATE_PDP_CONTEXT_REQUEST'라 칭함) 메시지를 네트워크(150)로 전송함으로써 PDP context 활성화를 시도하게 된다(101단계). 이때, 상기 이동단말(110)에서는 상기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내부적으로 타이머(예컨대, Timer 3380)를 시작하게 된다. 상기 이동단말(110)은 상기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 전송 이후에, 상기 타이머가 만료(expire)될 때까지 상기 네트워크(150)로부터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 에러(error)로 처리하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150)에서는 상기 이동단말(110)의 요청에 대하여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이동단말(110)의 요청에 대응하는 PDP context 활성화가 성공적으로 활성화되면, 상기 네트워크(150)는 PDP context 활성화 수락(이하, 'ACTIVATE_PDP_CONTEXT_ACCEPT'라 칭함)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단말(11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150)는 상기 PDP context 활성화가 실패하면, PDP context 거절(이하, 'ACTIVATE_PDP_CONTEXT_REJECT'라 칭함)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110)로 전송한다.
이때, PDP context 활성화 절차가 성공하여, 이동단말(110)과 네트워크(150) 사이에 하나의 PDP context가 활성화된 상황일 경우, 활성화된 해당 PDP context를 "Primary PDP context"라고 한다.
상기 Primary PDP context가 활성화된 상황에서, 필요에 의해 상기 Primary PDP context와 동일한 APN(Access Point Name)을 사용하나, 다른 QoS(Quality of Service)를 필요로 하는 접속(connection)이 필요할 경우에, 이동단말(110)에서는 네트워크(150)로 Primary PDP context에 종속된 Secondary PDP context를 활성화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APN은 이동단말이 연결될 수 있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의 이름을 나타낸다. 상기 APN은 DNS(Domain Name System) 네트워크에 DNS 쿼리(query)를 하는데 사용된다. 즉, 상기 APN은 일종의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QoS는 특정 접속(connection)을 통한 데이터 플로우(data flow)에 대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priority나 performance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어 메카니즘(control mechanism)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Primary PDP context가 활성화된 상황에서, 필요에 의해 Primary PDP context와 다른 APN을 사용한 접속(connection)이 필요한 경우에, 이동단말(110)에서는 네트워크(150)로 기존의 Primary PDP context와는 관계가 없는 또 다른 Primary PDP context를 활성화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Primary PDP context를 활성화한 상황을 "Multiple PDP context"라고 한다.
통상적으로, 2G 네트워크(GPRS/EDGE)의 경우 대부분의 사업자 네트워크에서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으나, 3G 네트워크(UMTS)의 경우 현재까지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지원하지 않고 있다. 이에 이동단말에서는 2G와 3G의 경우를 나누어 선택적으로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이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시도할 시 에러로 처리하는 경우의 수는 아래와 같다.
(A) 네트워크에서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이 되어있지 않아, 상기 요청에 대한 결과(Accept/Reject)를 이동단말에 알려 주지 못하는 경우와, (B) 네트워크에서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거절(reject)하여 그 결과를 이동단말로 알려 주는 경우 등이 있다.
상기 (A)의 경우, 이동단말에서는 상기 도 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타이머(예컨대, Timer 3380)의 만료(expire) 시까지,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Accept/Reject)을 수신하지 못하면 에러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B)의 경우,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거절 이유(reject cause)에 대응하여 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두 가지의 에러 처리에 대하여 기존 3GPP 통신 규격에는, 네트워크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동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동단말 입장에서는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에 발생하는 에러가 네트워크의 문제에 기인한 것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의 에러가 이동단말 자체에서 발생한 문제인 것으로 오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현재까지의 구현은 이동단말 출시 시점에, 해당 사업자 네트워크에서 Multiple PDP context가 지원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출시하는 해당 이동단말에 Multiple PDP context의 지원/미지원 여부를 소프트웨어(software)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즉, 사업자 네트워크가 2G 환경일 경우에는 해당 이동단말에 Multiple PDP context를 사용할 수 있게 하나, 3G 환경일 경우에는 해당 이동 단말에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시도를 소프트웨어 상으로 강제적으로 막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의 Multiple PDP context 지원/미지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고정시켜 이동단말을 출시하는 방법은, 향후에 네트워크에서 3G 환경에서의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게 될 경우, 기 출시된 이동단말에서 Multiple PDP context 기능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에서는 지원 가능한 자원(resource) 및 성능(capacity)을 최대한 활용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자원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이동단말의 기능 미비로 인해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게 되며, 그 책임은 이동단말 생산자의 책임으로 인지되게 된다. 또한 펌웨어 업그레이드(firmware upgrade)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여 Multiple PDP context를 이용 가능하게 하더라도, 이 또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해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서비스 센터(Service center)를 방문하여야 하는 등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펌웨어 업그레이드는 업그레이드 비용 또한 추가로 발생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동단말을 구입하는 사용자에게 추가 비용 지출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마다 다르게 지원될 수 있는 Multiple PDP context에 대한 상태(status)를 이동단말에서 체크(check)할 수 있는 이동단말에서 PDP context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초기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보완하여,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을 알 수 있도록 하여, PDP context 활성화 요청 시도를 프로액티브(proactive)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동단말에서 PDP context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의 자원 및 성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는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시도를 미리 차단하여, 네트워크의 지원 미비로 인한 에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동단말에서 PDP context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은 PDP(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PDP context)를 활성화하고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을 설정하는 과정과, 다중 PDP 콘텍스트(Multiple PDP context)가 시도되면,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의거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를 지원할 시 상기 네트워크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를 지원하지 않을 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을 생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 동단말에서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PDP(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가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성능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PDP 콘텍스트 활성화 성공/실패 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통지하는 과정과,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성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를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고, PDP 콘텍스트 활성화 성공/실패 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통지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지 후,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PDP 콘텍스트 상태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현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자신의 PDP 콘텍스트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PDP 콘텍스트 수락/거부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수락/거부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수락/거부 메시지에서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이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시도 시,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의 PDP 콘텍스트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가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의거하여, 요청되는 다중 PDP 콘텍스트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이동단말과, 이동단말의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수신 시, 네트워크 자신의 PDP 콘텍스트 지원 정보를 PDP 콘텍스트 활성화 수락/거부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동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 관리 방법에 따르면, 이동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네트워크에서 지원 가능한 PDP context에 대한 정보를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이동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단말에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Multiple PDP context가 지원되는 경우에는 필요시 Multiple PDP context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지 않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상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등의 동작을 하게 하여, 이동단말이 지능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단말 이용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향후 네트워크 성능(network capability)이 변경될 경우 특별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software upgrade)없이 이를 능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비용 등의 추가 비용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경쟁사들의 이동단말에 비해 우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마다 다르게 지원될 수 있는 Multiple PDP context에 대한 상태를 이동단말에서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는 해당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는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시도 자체부터 차단하여 네트워크의 지원미비로 인한 에러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Packet Data Protocol context, 이하 'PDP context'라 칭함)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는, 서로 다른 PDN(Public Data Network)에 상호 독립적인 다수의 연결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연결이 다른 연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기존에 사용하던 연결을 종료할 필요 없이 네트워크(Network)와의 새로운 연결을 맺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단말(MS, Mobile Station)에서 네트워크마다 다르게 지원되는 Multiple PDP context에 대한 상태를 체크함으로써 에러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고, 이에 의거하여 상기 Multiple PDP context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신 규격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동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PDP context 활성화 절차(MS & network initiated PDP context activation procedure)를 보완하여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capacity)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거하여 이동단말에서는 PDP context 활성화 요청 시도를 프로액티브(proactive)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200)은 네트워크(300)에 어태치(attach) 성공 후, 패킷 서비스(PS, Packet Service)를 사용하기 위하여 PDP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한다(201단계). 상기 이동단말(200)은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3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PDP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 필드에 현재 네트워크(300)에서 상기 이동단말(200)에 지원 가능한 PDP context 상태를 어떠한 것인지를 알려달라고 요청하는 요청 필드(request field)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200)은 통신 규격에서 제시되는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 필드 중 하기 <표 1>의 필드를 확장하여 하기 <표 2>를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Figure 112007055920552-PAT00001
Figure 112007055920552-PAT00002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200)은 상기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에 상기 <표 2>의 필드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표 2>에 나타낸 Container ID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값을 추가하여 네트워크(300)로 전송한다.
- 0001H (P-CSCF Address Request);
- 0002H (IM CN Subsystem Signaling Flag);
- 0003H (DNS Server Address Request);
- 0004H (Not Supported); and
- 0008H (PDP context capacity information request).
특히, 상기 Container ID 값들 중 "0008H"를 추가하여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동단말(200)은 현재 네트워크(300)가 지원하는 PDP context 상태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내부적으로 타이머(예컨대, Timer 3388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 전송 이후에, 상기 타이머가 만료(expire)될 때까지 상기 네트워크(300)로부터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 에러(error)로 처리하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300)는 상기 이동단말(200)로부터 상기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단말(200)의 요청에 대하여 PDP context 활성화 처리를 수행한다(203단계). 이어서, 상기 네트워크(300)는 상기 PDP context 활성화 처리에 따른 결과를 이동단말(200)에게 전송하게 된다(205단계). 이때, 상기 네트워크(300)는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통신 규격에 따른 "ACTIVATE_PDP_CONTEXT_ACCEPT 메시지"와 "ACTIVATE_PDP_CONTEXT_REJECT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네트워크(300)가 상기 이동단말(200)의 요청에 대응하는 PDP context 활성화가 성공적으로 활성화되면, 상기 ACTIVATE_PDP_CONTEXT_ACCEPT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단말(200)로 전송한다. 반면, 상기 네트워크(300)가 상기 이동단말(200)의 요청에 대응하는 PDP context 활성화가 실패하면, 상기 ACTIVATE_PDP_CONTEXT_REJECT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이동단말(200)로 전송되는 상기 ACTIVATE_PDP_CONTEXT_ACCEPT 메시지와 ACTIVATE_PDP_CONTEXT_REJECT 메시지는 공통적으로 하기 <표 3>과 같은 필드를 포함한다.
Figure 112007055920552-PAT00003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ACTIVATE_PDP_CONTEXT_REJECT 메시지에 상기 <표 3>의 필드를 확장하여 하기 <표 4>를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Figure 112007055920552-PAT00004
상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300)는 상기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에 상기 <표 4>의 필드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표 4>에 나타낸 Container ID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값을 추가하여 이동단말(200)로 전송한다.
- 0001H (P-CSCF Address);
- 0002H (IM CN Subsystem Signaling Flag);
- 0003H (DNS Server Address);
- 0004H (Policy Control rejection code); and
- 0008H (PDP context capacity information response).
특히, 상기 Container ID 값들 중 "0008H"를 추가하여 ACTIVATE_PDP_CONTEXT_ACCEPT 메시지 또는 ACTIVATE_PDP_CONTEXT_REJEC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300)는 현재 자신이 지원 가능한 PDP context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상기 <표 4>에서 Container ID의 값이 "0008H"인 경우, 상기한 ACTIVATE_PDP_CONTEXT_ACCEPT 메시지 및 ACTIVATE_PDP_CONTEXT_REJECT 메시지 각각에 따른 해당 Container ID의 0008H 콘텐츠(contents)는 하기 <표 5>의 예시와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5920552-PAT0000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x number of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필드는 네트워크(300)에서 지원하는 PDP context의 총 개수(Primary PDP context + Secondary PDP context)를 나타내고,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필드는 네트워크(300)에서 지원하는,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Primary PDP context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표 5>를 통해 네트워크(300)에서는 자신이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 supported by Network" 필드의 값이 "1" 이하이면 Multiple PDP context 지원불가, "2" 이상이면 Multiple PDP context 지원가능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 네트워크(200)로부터 상기 201단계에 전송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응답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PDP context 성능 정보(capacity information)를 추출하여 저장한다(207단계).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 네트워크(300)의 Multiple PDP context 지원 여부를 상기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 <표 5>의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 supported by Network" 필드와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필드의 두 값을 조합하여 하나의 Primary PDP context에 최대 몇 개의 Secondary PDP context가 지원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의 결과를 후술하는 <표 6>과 같은 테이블(table)에 저장함으로써, 차후에 동일 네트워크에서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수행해야하는 경우, 후술하는 <표 6>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네트워크에서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시도할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를 하기 <표 6>의 예시와 같은 테이블(table)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PDP context 활성화 절차가 성공하여, 상기 이동단말(200)과 상기 네트워크(300) 사이에 하나의 PDP context가 활성화된 상황에서, 사용자로부터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가 시도되면(209단계), 상기 <표 6>의 테이블에서 해당 네트워크(300)의 PDP context 성능 정보를 참조하여(211단계), 해당 네트워크(300)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213단계).
이때,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 네트워크(300)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수행하지 않고, 해당 네트워크(300)에서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지 않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215단계).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의 수행 결과(해당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 포함)를 후술하는 <표 6>과 같은 테이블에 저장한다(217단계).
한편, 상기 이동단말(200)이 상기 네트워크(300)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한다(219단계). 상기 이동단말(200)은 ACTIVATE_MULTIPL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3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300)는 상기 이동단말(200)로부터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처리를 수행하고(221단계), 그 결과를 상기 이동단말(200)로 전송한다(223단계).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 네트워크(300)로부터 상기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할 시 그에 따른 결과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225단계).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200)은 상기의 수행 결과(해당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 포함)를 후술하는 <표 6>과 같은 테이블에 저장한다(227단계).
이하에서는, 전술한 이동단말(200)의 수행결과 및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의 예시를 하기 <표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테이블에 이동단말(200)의 수행결과 및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Figure 112007055920552-PAT00006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 6>은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테이블에 저장되는 정보는 다음 파워 온 사이클(next power-on cycle)까지 유지되며, 파워 오프(power-off)시 모두 삭제할 수 있다. 하지만,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테이블에 저장하는 정보는 파워 온/오프에 관계없이 지속하여 유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ultiple PDP context에 대한 정보 저장 시에는 해당 네트워크의 MCC(Mobile Country Code) 값 및 MNC(Mobile Network Code) 값을 같이 저장할 수 있다. 상기 MCC 값 및 MNC 값은 각각의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B(Radio Access Bearer) 필드를 포함하여 3G 네트워크 상황뿐만 아니라, 2G(예컨대, GPRS) 네트워크의 상황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즉, 2G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Multiple PDP context가 가능하긴 하지만 몇 개까지 지원이 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관리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PDP context의 개수에 대한 핸들링(handling)을 지원하므로, 이를 2G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서도 확장할 수 있다. 상기 RAB에 관련된 동작은 이하에서 상기 MCC 및 MNC을 이용한 Multiple PDP context 판단 알고리즘에 대응된다. 즉, MCC 및 MNC와 같은 레벨(level)의 구분 기준으로 RAB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200)이 PDP context 활성화 및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수행에 따라 결정하는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는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1) 상기 <표 6>의 테이블에 동일 MCC 및 MNC를 가지는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필드를 업데이트(update)하고, (2) 상기 <표 6>의 테이블에 동일 MCC 및 MNC를 가지는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필드를 생성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PDP context 활성화에 의해 상기 <표 6>의 테이블 필드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PDP context 활성화 수행에 따라 업데이트 되는 필드는, 상기 <표 6>에서 <MCC>, <MNC>, <Max number of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Multiple PDP supported>, <notified by network>의 필드가 업데이트 된다.
이때,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의 값이 "1" 이하인 경우 <Multiple PDP supported> 필드는 "not supported"로 설정되며,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의 값이 "2" 이상의 경우 <Multiple PDP supported> 필드는 "Supported"로 설정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Notified by network> 필드는 "TRUE"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에 의해 상기 <표 6>의 테이블 필드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수행에 따라 업데이트 되는 필드는 <MCC>, <MNC>, <Multiple PDP supported>, <notified by network>의 필드가 업데이트 된다.
이때, <Max number of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의 두 필드는 NULL 값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경우 <notified by network> 필드는 "FALSE"로 설정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 6>의 테이블 생성을 위한 저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표 6>의 테이블을 이용한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수행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표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의 수행 결과 및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처리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도 3에서는 이동단말과 해당 네트워크 간에 PDP context가 활성화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정보는 사용자가 Multiple PDP context를 활성화하려고 요청할 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은 PDP context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가 시도되면(301단계),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시도에 따른 해당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303단계). 이는 네트워크 PDP context 성능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네트워크의 MCC 및 MNC가 존재하는지 체크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테이블에 현재 네트워크와 동일한 MCC 및 MNC 값을 가지는 필드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현재 네트워크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는지 판별한다(305단계).
이때, 네트워크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수행하지 않고 현재 네트워크에서는 Multiple PDP context가 지원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307단계). 상기 통지 시 상기 이동단말은 이전 연결을 종료(disconnect)하고 새로운 PDP context를 활성화 할 것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후 동작을 결정할 수도 있다.
반면, 네트워크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별하면, 상기 테이블의 "notified by network" 필드를 확인한다(309단계). 이때, 상기 "notified by network" 필드의 값이 "FALSE"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단말은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수행한다(319단계). 상기 "notified by network" 필드의 값이 "TRUE"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현재 활성화하는 PDP context의 수와 현재 네트워크가 지원 가능한 PDP context의 최대 개수를 비교한다(311단계). 상기 네트워크가 지원 가능한 PDP context의 최대 개수는 상기 테이블의 "Max number of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필드 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현재 활성화한 PDP context의 수가 상기 "Max number of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필드 값과 일치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활성화한 PDP context 개수가 최대 한도에 도달했음을 통지하고(313단계),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수행하지 않는다(315단계).
반면, 현재 활성화한 PDP context의 수가 상기 "Max number of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필드 값보다 미만이면, 상기 이동단말은 현재 활성화한 Primary PDP context의 수와 현재 네트워크가 동시 지원 가능한 Primary PDP context의 최대 개수를 비교한다(317단계). 상기 네트워크가 동시 지원 가능한 Primary PDP context의 최대 개수는 상기 테이블의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필드 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현재 활성화한 Primary PDP context의 수가 상기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필드 값과 일치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활성화한 Primary PDP context 개수가 최대 한도에 도달했음을 통지하고(313단계), Primary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수행하지 않는다(315단계).
반면, 현재 활성화한 Primary PDP context의 수가 상기 "Max number of concurrent Primary PDP contexts supported by network" 필드 값보다 미만이면, 상기 이동단말은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수행한다(319단계).
한편, 상기 30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테이블에 현재 네트워크와 동일한 MCC 및 MNC 값을 가지는 필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동단말은 전술한 바와 같이 Multiple PDP context 결정(determination)을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동단말은 사용자가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시도하는 경우,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현재 네트워크로 요청한다(321단계).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에 따른 응답 이벤트를 감지한다(323단계).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응답 이벤트를 감지할 시, 해당 응답 이벤트를 판단한다(325단계). 상기 응답 이벤트는 상기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수락/거부(Accept/Reject))을 수신하는 경우 및 상기 요청 시 시작하는 타이머 만료(Timer expire) 등의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이벤트 판단결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PDP context 활성화를 수락(Accept)하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서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한다(327단계).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이러한 수행 결과(즉,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성공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아울러 테이블에 저장한다(329단계).
상기 응답 이벤트 판단결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PDP context 활성화를 거절(Reject)하는 응답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이 내부 타이머 만료(Timer expire) 시까지 수신되지 않아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서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331단계).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수행 결과(즉,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실패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아울러 테이블에 저장한다(333단계).
상기 329단계 및 333단계에서와 같이 이동단말이 수행하는 상기와 같은 결과를 상기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에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수행해야 할 경우, 해당 네트워크에서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시도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참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통지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은 현재 네트워크에 어태치(attach) 성공 후에, 패킷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PDP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한다(401단계). 이때, 상기 이동단말은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위하여 ACTIVATE_PDP_CONTEXT_REQUES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0008H"의 Container ID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Container ID의 0008H 값은 PDP context 성능 정보 요청을 위한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상기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면(403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가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별한다(405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는 ACTIVATE_PDP_CONTEXT_ACCEPT 메시지 또는 ACTIVATE_PDP_CONTEXT_REJEC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현재 네트워크는 상기 각 응답 메시지에 상기 <표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0008H"의 Container ID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Container ID의 0008H 값은 PDP context 성능 정보 응답을 위한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응답 메시지에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409단계로 바로 진행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현재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를 상기 <표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테이블에 저장(407단계)한 후 상기 409단계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409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응답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한다(409단계). 즉,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의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여,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에 대하여 수락(Accept)하는 경우, ACTIVATE_PDP_CONTEXT_ACCEPT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에 대하여 거절(Reject)하는 경우, ACTIVATE_PDP_CONTEXT_REJECT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기 수락 메시지 및 거절 메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성능 정보들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응답 메시지가 수락 메시지인지 거절 메시지인지 그 종류를 판별한다.
상기 판별결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락 메시지이면, 상기 이동단말은 사용자에게 PDP context 활성화가 성공하였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지한다(411단계). 상기 판별결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거절 메시지이면, 상기 이동단말은 사용자에게 PDP context 활성화가 실패하였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지한다(413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5의 예시에서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이 2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의 다중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인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200)은 안테나(210), 2G 네트워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1 통신모듈(220)과, 3G 네트워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2 통신모듈(230)과, 휴대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부(240), 표시부(250), 메모리부(260) 및 제어부(27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210)는 2G 네트워크와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3G 네트워크와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안테나(210)를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듀얼 안테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통신모듈(220) 및 제2 통신모듈(230)은 각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듀플렉서,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무선 송수신부 및 각 네트워크와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모뎀부 등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4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이동단말(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240)는 이동단말(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위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250)는 어플리케이션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 상태 및 기능 설정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25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CD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270)는 입력수단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270)는 상기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에 따른 성공/실패 여부 정보를,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메모리부(2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들,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하는 해당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PDP context 성능 통지, PDP context 성능 정보 생성 및 저장, Multiple PDP context 결정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6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할 시 해당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2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이동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이동단말(2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70)는 제1 및 제2 통신모듈(220, 230), 입력부(240), 표시부(250) 및 메모리부(26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7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70)는 2G 네트워크 또는 3G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획득할 시,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통신모듈(220, 230)을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 접속을 제어한다. 또한 2G 네트워크 및 3G 네트워크를 동시에 획득할 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모드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해당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획득하는 무선 시스템들에 대응하는 패킷 서비스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220, 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PDP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할 시 요청 메시지에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필드를 추가한 후 현재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응답 메시지에서 현재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265)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에 따른 수행 결과를 통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테이블(265)에 저장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동작의 편의 및 제어부(270)의 부하 감소 측면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능들을 네트워크 성능 통지부(271), 테이블 생성부(273) 및 Multiple PDP context 결정부(275)와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분하여 각 기능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성능 통지부(271)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수행에 따른 수행 결과를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네트워크 성능 통지부(271)는 상기 수행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네트워크 성능 통지부(271)는 사용자 요청에 의한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에 대한 수락/거부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네트워크 성능 통지부(271)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가 네트워크의 지원 미비로 실패할 시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테이블 생성부(273)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응답 메시지로부터 네트워크의 Multiple PDP context 지원 여부를 획득하여 이를 테이블로 생성하고, 이러한 테이블을 상기 메모리부(26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테이블은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265)일 수 있다. 상기 테이블 생성부(273)는 PDP context 활성화 수행에 따른 수행 결과(획득하는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상기 테이블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 생성부(273)는 사용자가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시도에 따른 수행 결과(해당 네트워크의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지원 여부)를 상기 테이블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Multiple PDP context 결정부(275)는 사용자가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를 시도하는 경우,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요청을 처리한다. 이때, 상기 Multiple PDP context 결정부(275)는 상기 미리 설정되는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265)을 참조하여 현재 네트워크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즉, 상기 Multiple PDP context 결정부(275)는 현재 네트워크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할 시 사용자 요청에 따른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처리를 수행하고, 현재 네트워크가 Multiple PDP context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시 사용자 요청에 따른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어부(270)의 처리에 의거하여, 현재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PDP context 성능에 따라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시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동단말(270)의 불필요한 처리 절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PDP context 성능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에러 발생 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동단말(200)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접속 모드를 지원한다. 상기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200)이 2G 및 3G 네트워크의 듀얼모드를 지원하는 경우를 대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이동단말(200)이 반드시 듀얼모드 이동단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200)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단말(2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카메라 모듈, 전자 결재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오디로 처리 모듈,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 및 배터리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생략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특정 시스템들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이동단말이 상기 특정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이동단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단말은 현재 상용화 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앞으로 개발 및 전개될 통신 시스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절차에 따른 시나리오(scenario)는 로밍(roaming)(domestic, international) 시나리오 등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은 통신 시스템에 따른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P context 활성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ultiple PDP context 활성화 수행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PDP context 성능 통지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34)

  1.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은 PDP(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PDP context)를 활성화하고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을 설정하는 과정과,
    다중 PDP 콘텍스트(Multiple PDP context)가 시도되면,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의거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를 지원할 시 상기 네트워크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를 지원하지 않을 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을 생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 판별 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현재 네트워크와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동일한 정보가 존재할 시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다중 PDP 콘텍스트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정보의 존재 여부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MCC(Mobile Country Code)/MNC(Mobile Network Code)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의 MCC/MNC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DP 콘텍스트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네트워크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현재 네트워크의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을 수락(Accept)하는 메시지이면, 해당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을 거절(Reject)하는 메시지이면, 해당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 대한 결정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시 내부 타이머를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 만료 시까지 상기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에러로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 판별 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의 네트워크 필드(notified by network) 값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 필드 값이 지원(supported)으로 설정된 경우 현재 활성화한 PDP 콘텍스트 수와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최대 PDP 콘텍스트 수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 필드 값이 미지원(not supported)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현재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 미지원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과정은,
    현재 활성화한 PDP 콘텍스트의 수와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최대 PDP 콘텍스트 수가 일치하면, 상기 현재 네트워크가 지원 가능한 PDP 콘텍스트의 최대 한계에 도달함을 통지하고,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를 생략하는 과정과,
    현재 활성화한 PDP 콘텍스트의 수가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최대 PDP 콘텍스트 수 미만이면, 현재 활성화한 우선 PDP 콘텍스트(Primary PDP context)의 수와 네트워크가 동시 지원 가능한 우선 PDP 콘텍스트의 수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PDP 콘텍스트의 수를 비교하는 과정은,
    현재 활성화한 우선 PDP 콘텍스트의 수가 네트워크가 동시 지원 가능한 우선 PDP 콘텍스트 수 미만이면,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현재 활성화한 우선 PDP 콘텍스트의 수가 네트워크가 동시 지원 가능한 우선 PDP 콘텍스트 수와 일치하면, 네트워크가 동시 지원 가능한 PDP 콘텍스트의 최대 한계에 도달함을 통지하고,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를 생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 미지원으로 판단하면, 이전 연결을 종료(disconnect)하고 새로운 PDP 콘텍스트를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P 콘텍스트 활성화는,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네트워크 성능을 요청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현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PDP 콘텍스트 활성화 수락/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DP 콘텍스트 활성화 수락/거부 메시지는 현재 네트워크의 성능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PDP 콘텍스트의 총 개수 및 네트워크가 동시에 지원 가능한 우선 PDP 콘텍스트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의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를 판별하고,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PDP 콘텍스트 활성화 수락/거부 메시지 수신 시, 그에 포함되는 식별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15. 이동단말에서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PDP(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가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별하는 과정과,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성능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PDP 콘텍스트 활성화 성공/실패 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통지하는 과정과,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성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를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고, PDP 콘텍스트 활성화 성공/실패 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통지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지 후,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PDP 콘텍스트에 대한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정보는, 네트워크가 지원 가능한 PDP 콘텍스트의 최대 개수 정보 및 네트워크가 동시 지원 가능한 PDP 콘텍스트의 최대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19.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PDP 콘텍스트 상태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현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자신의 PDP 콘텍스트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PDP 콘텍스트 수락/거부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 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수락/거부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수락/거부 메시지에서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이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시도 시,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의 PDP 콘텍스트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네트워크로의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네트워크와의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수행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수신 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처리를 수행하고, 활성화 처리에 따른 수락/거부 결과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에 따른 결과를 수신할 시, 상기 결과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지 및 수락/거부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시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만료 이전까지 상기 네트워크의 응답 미 수신 시 에러(error)로 처리한 후,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상태 정보는,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PDP 콘텍스트의 총 개수 및 네트워크에서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우선 PDP 콘텍스트의 최대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현재 네트워크의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 미지원 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를 생략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를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은, MCC(Mobile Country Code) 필드, MNC(Mobile Network Code) 필드,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PDP 콘텍스트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 네트워크가 동시 지원하는 PDP 콘텍스트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 다중 PDP context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 및 네트워크의 통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현재 네트워크의 MCC 및 MNC와 동일한 필드가 존재할 시, 상기 해당 필드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하는 정보로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현재 네트워크의 MCC 및 MNC와 동일한 필드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새로운 필드를 생성하여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28.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 정보가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의거하여, 요청되는 다중 PDP 콘텍스트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이동단말과,
    이동단말의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수신 시, 네트워크 자신의 PDP 콘텍스트 지원 정보를 PDP 콘텍스트 활성화 수락/거부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 전송 시, 네트워크의 PDP 콘텍스트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에 따른 성공/실패 여부 정보를,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PDP 콘텍스트 성능 정보가 설정되는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시 요청 메시지에 네트워크의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필드를 추가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응답 수신 시 획득하는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설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의거하여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수행에 따른 수행 결과를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네트워크 성능 통지부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응답 메시지로부터 네트워크의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PDP 콘텍스 트 성능 정보를 테이블에 설정하는 테이블 생성부와,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시도 시, 상기 설정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다중 PDP 콘텍스트 결정부를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DP 콘텍스트 결정부는,
    현재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 지원으로 판단할 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처리를 수행하고, 현재 네트워크가 다중 PDP 콘텍스트 미지원으로 판단할 시 다중 PDP 콘텍스트 활성화 처리를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네트워크 PDP 콘텍스트 성능 통지 소프트웨어 모듈, PDP 콘텍스트 성능 정보 생성 및 저장 소프트웨어 모듈, 다중 PDP 콘텍스트 결정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PDP 콘텍스트의 총 개수 및 네트워크가 동시에 지원 가능한 우선 PDP 콘텍스트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를 상기 PDP 콘텍스트 활성화 수락/거부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70076870A 2007-07-31 2007-07-31 이동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 관리 방법 KR20090012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870A KR20090012755A (ko) 2007-07-31 2007-07-31 이동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 관리 방법
US12/144,287 US20090034496A1 (en) 2007-07-31 2008-06-23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management method for a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870A KR20090012755A (ko) 2007-07-31 2007-07-31 이동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55A true KR20090012755A (ko) 2009-02-04

Family

ID=4033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870A KR20090012755A (ko) 2007-07-31 2007-07-31 이동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34496A1 (ko)
KR (1) KR200900127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320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모드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329686B1 (ko) * 2009-04-17 2013-11-14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Ue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88910Y1 (ko) 2018-04-23 2019-04-04 김정민 손잡이편의 부착기능이 개선된 티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0694B2 (en) * 2002-07-30 2005-11-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based access point name (APN) selection
US8924486B2 (en) 2009-02-12 2014-12-30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aggregating communications
WO2010054471A1 (en) 2008-11-17 2010-05-20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port and network address translation
US8228848B2 (en) * 2008-11-17 2012-07-24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ush communication across a network boundary
US8891490B2 (en) 2008-11-24 2014-11-18 At&T Mobility Ii Llc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management for handover from cellular network to a femto cell
US8902850B2 (en) * 2008-11-24 2014-12-02 At&T Mobility Ii Llc Selection of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for handover from cellular network to femto cell
US8792451B2 (en) 2010-11-11 2014-07-29 Blackberry Limited Method in a mobile device for network selection to provide an enhanced number of IP sessions
EP2673927A4 (en) 2011-02-08 2016-08-24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DATA-TRANSFER SYSTEM BETWEEN NETWORK DEVICES
US20120289151A1 (en) * 2011-05-09 2012-11-15 Chih-Hsiang Wu Method of Handling Attach Procedure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2511175B (zh) 2011-12-19 2014-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分组数据协议上下文下发的方法和装置
US9554300B2 (en) 2013-01-18 2017-01-2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that a maximum number of data contexts is reached
US9320064B2 (en) * 2014-03-25 2016-04-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DP context activation latency
JP7408931B2 (ja) * 2019-06-28 2024-01-0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8604C2 (sv) * 2000-06-29 2002-10-29 Wireless Login Ab Metod och anordning för säker anslutning till ett kommunikationsnätverk
KR100414071B1 (ko) * 2001-09-2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호 처리방법
US7634274B2 (en) * 2002-12-31 2009-12-15 Nokia Corporation Connection establishment for PDP contexts
CA2576301C (en) * 2004-08-13 2012-06-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a data connection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a wireless network
EP1782585A1 (en) * 2004-08-26 2007-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activating a pdp context
US7474671B2 (en) * 2005-11-04 2009-01-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contention among applications requiring data connections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a wireless network
US8315162B2 (en) * 2006-08-24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at a maximum number of IP sessions have been established
US20080089303A1 (en) * 2006-10-13 2008-04-17 Jeff Wirtanen System and method for deactivating IP sessions of lower priority
US8638713B2 (en) * 2006-12-01 2014-01-28 At&T Mobility Ii Llc Non-intrusive in-session QoS parameter modification method
US8611946B2 (en) * 2007-01-25 2013-12-1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multi-mode mobile sta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86B1 (ko) * 2009-04-17 2013-11-14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Ue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66320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모드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488910Y1 (ko) 2018-04-23 2019-04-04 김정민 손잡이편의 부착기능이 개선된 티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34496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2755A (ko) 이동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콘텍스트 관리 방법
US20220248254A1 (en) Method of processing network slice based congestion, device and system thereof
WO2017092678A1 (zh) 终端的网络切换方法及终端设备
US10736026B2 (en) Voice service in evolved packet system
US8238267B2 (en) Voice service in evolved packet system
US93261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pplication toolki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2882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hanging the monitoring of a cellular data connection
EP2605558A1 (en) Controlled idle mode bahavious in a user equipement supporti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iques
CN113709829B (zh) 在转移失败期间保留紧急呼叫
US11601817B2 (en) Postponed eSIM delivery to secondary mobile wireless device for cellular wireless service subscription
US11432355B2 (en) Control plan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2510207B1 (ko) 사용자 단말에서 #14 원인을 가지는 attach 거절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CN113228730A (zh) 通信方法及装置
CN106302393B (zh) 一种移动终端补充业务的设置装置及设置方法
EP387989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030224768A1 (en) Processor Re-Start Control
WO202006470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re network component, method for connecting to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core net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core network
CN115442794A (zh) 用于多个已启用的esim配置文件的sim工具包调度
US20220053447A1 (en) Preserving Emergency Call During Failure to Transfer Subsequent to Registration with the Target Network
KR101075997B1 (ko) 다중 모드 단말기에서 서비스 등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2003969B2 (en) Postponed eSIM delivery to secondary mobile wireless device for cellular wireless service subscription
US20170280319A1 (en) Method for interac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n identification unit
EP4125300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CN115733870A (zh) 请求发送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WO2003100546A2 (en) Processor re-start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