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604A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rout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rou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604A
KR20090012604A KR1020070076554A KR20070076554A KR20090012604A KR 20090012604 A KR20090012604 A KR 20090012604A KR 1020070076554 A KR1020070076554 A KR 1020070076554A KR 20070076554 A KR20070076554 A KR 20070076554A KR 20090012604 A KR20090012604 A KR 2009001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ute
mobile communication
destina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76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604A/en
Publication of KR2009001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apable of guiding a route for a user using transportation is provided to extract information about destination included in a received text message and provide route information to the user. A destination location extracting unit(220) extracts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received text messag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control part(210) through the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If route data are received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path data are indicated through a display uni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control part to the route offer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The route offer server reads out path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equipped storage.

Description

경로 안내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route}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route

본 발명은 경로 안내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a rou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a route to a destination by us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text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과 연계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및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에 대한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였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사람이나 물건의 위치, 주변 정보 및 이동 경로 등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및 경로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Recently, technologie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LB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which are associated with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echnology, have been rapidly developed. As a result, the user can use information such as a location of a person or an object, surrounding information, and a moving path anytime, anywhere. In particular,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may us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and route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위치 기반(예를 들어, GPS 기 반)의 경로정보(예를 들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대한 정보)는 기본적으로 자동차 운전자를 위한 정보이다. 즉,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경로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location information (eg, GPS based) route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a route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basically information for a motor vehicle driver. That is,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the route information for the user using public transportation.

또한, 사용자는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Text message)에 발신자 등과의 약속 장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현재 위치에서 당해 약속 장소까지의 경로를 알아내기 위하여 인터넷 등에 접속하여 당해 경로정보를 검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넷 이용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당해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short message (Text message) received from a caller terminal includes information on an appointment location with the caller, the user accesses the Internet or the like to find out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appointment location. There was a hassle of searching for route informa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receive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cannot use the Internet.

따라서, 본 발명은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경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roviding route information for a user using public transportation.

또한, 본 발명은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응하는 경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provide the user with the corresponding route information by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destin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 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목적지추출부; 및 상기 목적지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여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경로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목적지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경로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경로제공서버는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경로데이터를 구비된 저장공간에서 독출하여 상기 단말기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isplay unit; A destin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And a terminal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s the received route data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route data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destination information to a rout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oute providing server reads out the storage space having the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troller. A terminal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목적지추출부는 미리 설정된 제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Here, the destination extracting unit may extrac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by using preset predicate information.

또한, 상기 경로제공서버는 미리 지정된 상기 경로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경로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독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ute providing server include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predetermined route data; And a server controller which reads the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rout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경로데이터는 경로이미지데이터 및 경로텍스트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경로데이터는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의 주변 약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The route data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route image data and route text data, and the route data may be information on surrounding directions of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디스플레이부;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목적지추출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 및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경로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경로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경로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경로제공서버는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display unit; A destin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erminal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the route information is received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received route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Includes, The terminal control unit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route providing server generates the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transmits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생성부는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the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GPS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또한, 상기 경로제공서버는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상기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생성부; 및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ute providing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경로제공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목적지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의 3개 이상의 주변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위치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위치측정부;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생성부; 및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ute providing server terminal location measuring unit for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position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three or more peripheral base stations arou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 route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corresponding route information us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위치응답신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등록신호를 송출한 송출시간정보 및 상기 주변기지국들이 상기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한 시간에 대한 수 신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cation response signal may include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and reception time information regarding a time when the peripheral base station receives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또한,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에서부터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장소까지의 대중 교통 이용 방법에 상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The rou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method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from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송출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경로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목적지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경로제공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경로데이터는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경로제공서버에서 독출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데이터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extrac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received route data, wherei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rout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oute data is data rea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 route data receiv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메시지에 미리 설정된 제시어정보가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acting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preset tex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And extrac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presenter information.

또한,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는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데이터를 구비된 저장공간에서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경로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of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receiv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ad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in a storage space provided with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rout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경로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제 공서버가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로이미지데이터 또는 경로텍스트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경로데이터는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의 주변 약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The reading of the route data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may include read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at least one of route image data or rou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space. In this case, the route data may be information on surrounding directions of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송출되는 단계;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경로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경로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경로제공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경로제공서버에서 독출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정보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step of extrac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received route information, wherei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a rout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oute information is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route providing server. Provided is a method for receiving route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read data.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는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GPS signal received from a GPS satellite.

또한, 상기 경로정보가 수신되는 단계는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of the route information may include: receiv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한, 상기 경로정보가 수신되는 단계는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목적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의 3개 이상의 주변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위치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receiving of the route information may include: receiv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destination information; Genera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response signals received from three or more peripheral base stations arou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route information us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위치응답신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등록신호를 송출한 송출시간정보 및 상기 주변기지국들이 상기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한 시간에 대한 수신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cation response signal may include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and reception time information regarding a time when the peripheral base station receives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또한,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에서부터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장소까지의 대중 교통 이용 방법에 상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The rou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method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from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경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roviding route information for a user using public transport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응하는 경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extracting information on a destination included in a received text message and providing corresponding route information to a user.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발신자 단말기(110-1), 수신자 단말기(110-2 및 이들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경로제공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 단말기(110-1) 및 수신자 단말기(110-2)는 문자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또한, 경로제공서버(120)는 발신자 단말기(110-1) 및 수신자 단말기(110-2)(이하,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통칭함)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요청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er terminal 110-1, a receiver terminal 110-2, and a path providing server 120 connected to the caller terminal 110-1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sender terminal 110-1 and the receiver terminal 110-2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user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for examp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etc. In additio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is referred to as the caller terminal (110-1) and the receiver terminal (11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 May be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provide information on a route to a destination reques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즉,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경로제공서버(120)로 목적지에 대한 정보(이하, '목적지정보'라 칭함)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목적지정보를 수신한 경로제공서버(120)는 당해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이하, '경로데이터'라 칭함)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a destin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receiv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transmit information on a rout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h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말기제어부(210), 목적지 추출부(220), 입력부(230), 통신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저장부(260) 및 위치정보 생성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ontroller 210, a destination extractor 220, an input unit 230, a communication unit 240, a display unit 250, The storage unit 26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270 may be included.

단말기제어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제어부(210)는 발신자 단말기(110-1)로부터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입력부(230) 조작에 상응하여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목적지 추출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내일 오후 3시에 분당 서현에서 보자'에 상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단말기제어부(210)는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표시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즉, 분당 서현)에 대한 경로데이터를 제공 받기 위하여 입력부(230)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단말기제어부(210)는 당해 문자메시지를 목적지 추출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particular, when the tex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aller terminal 110-1,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received text messag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250.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transmit the received text message to the destination extraction unit 220 in response to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230 of the user. For example, suppose the received text message corresponds to 'See you at Seohyeon in Bundang at 3 pm tomorrow'.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received text messag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250. Thereafter, the user may manipulate the input unit 230 to receive route data about a destination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250 (that is, the Seohyun per minute). As a result,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transmit the text message to the destination extractor 220.

또한, 단말기제어부(210)는 목적지 추출부(220)로부터 수신된 목적지정보(상술한 예에서, '분당 서현'에 상응하는 정보)를 경로제공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제어부(210)는 위치정보 생성부(27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즉,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위치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목적지정보와 함께 경로제공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제어부(210)는 목적지 생성부(220)로부터 목적지정보가 수신되면 위치정보 생성부(270)로 위치정보 생 성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위치정보 생성부(270)는 위치정보 생성명령에 상응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정보 생성부(270)가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transmi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above examp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eohyeon per minute') received from the destination extractor 220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210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270 (that i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currently located) along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 Can be sent. For example,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estination generator 220,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transmit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comman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27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27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command.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7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단말기제어부(210)는 목적지 추출부(220)로부터 수신된 목적지정보가 복수개이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의 목적지정보만을 경로제공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지 추출부(220)에서 목적지정보로서 '서현' 및 '분당 서현'을 추출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단말기제어부(210)는 '서현' 및 분당 서현'이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제어부(210)는 '서현' 및 분당 서현' 중 사용자의 선택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정보만을 경로제공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목적지 추출부(220)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if there is a plurality of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stination extraction unit 220,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transmit only one destin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destination extraction unit 220 extracts 'seohyun' and 'seohyun per minute' as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Seohyun' and Seohyeon per minut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50.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transmit only one or more destin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Seohyun' and Seohyun per minute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A method of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by the destination extraction unit 220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단말기제어부(210)는 경로제공서버(120)로부터 수신된 경로데이터 및/또는 경로정보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제어부(210)는 경로제공서버(120)로부터 '분당 서현'에 상응하는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시된 경로데이터 및/또는 경로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수신된 경로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경로제공서버(120)에서 수신된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데이터 및/또는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route data and / or rou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to be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250. For example, when the route data corresponding to 'Seohyun per minute' is receiv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transmit the received route data and / or route information to the display 250. Thereafter, the received route data may be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250. A method of generating route data and / or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목적지 추출부(220)는 단말기제어부(210)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목적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내일 오후 3시에 분당 서현에서 보자'에 상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목적지 추출부(220)는 미리 설정된 장소제시어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장소제시어정보는 장소를 나타내는 조사(助詞), 연결 어구 등에 상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제시어정보는 '로', '에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목적지 추출부(220)는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미리 설정된 장소제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장소제시어정보인 '에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목적지 추출부(220)는 장소제시어정보와 연결된 단어인 '서현'을 목적지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The destination extractor 220 may extrac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text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210. For example, suppose the received text message corresponds to 'See you at Seohyeon in Bundang at 3 pm tomorrow'. In this case, the destination extractor 220 may extrac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preset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urvey, a connection phrase, and the like indicating a place. That is, the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lace may include 'ro', 'in',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destination extracto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text message includes preset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since the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in' is included, the destination extractor 220 may extract the word 'seohyun', which is connected to the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a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또한, 목적지 추출부(220)는 복수개의 목적지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소제시어정보와 연결된 단어 및 장소제시어정보와 연결된 단어 바로 앞에 위치한 단어까지 목적지정보로 추출되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목적지 추출부(220)는 상술한 예에서 목적지정보로서 '서현' 및 '분당 서현'을 추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stination extraction unit 220 may extract a plurality of destin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word is set in advance so as to extrac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word connected to the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and the word immediately before the word connected to the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destination extraction unit 220 may extract 'seohyun' and 'seohyun per minute' as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또한, 목적지 추출부(220)는 추출된 목적지정보를 단말기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는 목적지 추출부(220)가 미리 설정된 장소제시어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어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즉, 목적지 추출부(220)가 수신된 문자메시지에서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목적지 추출부(220)가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 destination extractor 220 may transmit the extracted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troller 210. In this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destination extraction unit 220 extracts destination information by using preset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method of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text message by the destination extraction unit 220 may be various, and the method of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by the destination extraction unit 220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각종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하여 입력부(230)는 조작하면,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추출된 복수개의 목적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기 위하여 입력부(230)를 조작하면,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30)는 키패드(Key pad) 및/또는 터치패드(Touch pad) 등의 입력 수단일 수 있다. The input unit 230 may generate various signals correspon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transmit the generated signals to the terminal controller 210. In particular,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230 to receive the route data for the destination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the input unit 230 may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terminal controller 210. . In addition,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230 to select any one or more of the extracted plurality of destination information, the input unit 230 may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controller 210. . The input unit 230 may be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nd / or a touch pad.

통신부(2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각종 장치(예를 들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 경로제공서버(120) 등)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특히, 단말기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하여 발신자 단말기(110-1)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목적지정보를 경로제공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하여 경로제공서버(120)로부터 경로데이터 및/또는 경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40)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신호를 변복조(Modulation/Demodulation) 할 수 있는 모뎀(Modem), 안테나, 신호 증폭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40 ma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various devices (for example, the counterpar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etc.)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particular,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receive a text message from the caller terminal 110-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 and transmi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210 may receive route data and / or route information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 Here, the communication unit 240 may further include a modem, an antenna, a signal amplifier, and the like, capable of modulating / demodulating a signal in a preset manner.

디스플레이부(250)는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50)는 단말기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문자메시지, 목적지정보, 경로데이터 및/또는 경로정보가 외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50 may display various received data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may visually recognize it. In particular, the display 250 may display the text messag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route data and / or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10. The display unit 25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 the like.

저장부(26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에 필요한 운영 체제(Operational System, OS) 등의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일 수 있다. 특히, 저장부(260)는 발신자 단말기(110-1)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60)는 경로제공서버(120)로부터 수신된 경로데이터 및/또는 경로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260)는 반도체 메모리로서, NAND형 메모리일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60 may be a storage space in which software such as an operating system (O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stored.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260 may store a text message received from the caller terminal (110-1).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60 may store path data and / or pat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The storage unit 260 may be a NAND type memory as a semiconductor memory.

위치정보생성부(270)는 지피에스수신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피에스 위성(예를 들어, 보충 위성 3개를 포함한 27개의 위성)으로부터 지피에스신호(GPS Signal)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생성부(270)는 지피에스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도, 경도 및/또는 고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위치정보 생성부(270)는 위치정보 생성명령에 상응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 생성부(270)는 단말기제어부(210)로부터 위치정보 생성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생성부(270)는 오차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DGPS(Differential GPS)를 이용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생성부(270)에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270 may include a GPS receiver unit (not shown), and may receive a GPS signal from a GPS satellite (for example, 27 satellites including three supplemental satellites).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27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using the GPS signal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troller 210.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latitude, longitude, and / or altitude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particular,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7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command. That i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210,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7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currently located.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270 may use differential GPS (DGPS) to minimize the error range. A method of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70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제공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3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제공서버(120)는 서버제어부(310), 데이터송수신부(320), 데이터베이스부(330), 경로정보 생성부(340) 및 단말기위치측정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30)는 이미지데이터베이스(330-1) 및 텍스트데이터베이스(3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경로제공서버(12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3A,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controller 310, a data transmitter / receiver 320, a database unit 330, a route information generator 340, and a terminal location. It may include a measuring unit 350. In addition, the database unit 330 may include an image database 330-1 and a text database 330-2.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서버제어부(310)는 경로제공서버(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서버제어부(3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목적지정보가 수신되면, 당해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330)에서 검색하여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지정보가 '분당 서현'에 상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서버제어부(310)는 데이터베이스부(330)에서 '분당 서현'에 상응하는 이미지경로데이터 및/또는 텍스트경로데이터를 검색하여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경로데이터는 목적지 주변 약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JPG, BMP 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텍스트경로데이터는 목적지를 경유하는 대중 교통(예를 들어, 주변 지하철역, 주변 버스 정류장 및 버스 번호 등)에 대한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30)에는 '분당 서현'에 상응하는 이미지경로데이터 및/또는 텍스트경로데이터가 미리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server controller 3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In particular,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er controller 310 may search and read the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unit 330.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Seohyun' in Bundang. In this case, the server controller 310 may search and read the image path data and / or the text path data corresponding to 'Seohyun per minute' in the database unit 330. Here, the image path data may be image data (for example, data in JPG or BMP format) of a route around a destination. In addition, the text route data may be text information about public transportation (eg, surrounding subway stations, nearby bus stops and bus numbers, etc.) via a destination. In addition, the image path data and / or text path data corresponding to 'Seohyun per minute' may be design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30 in advance.

또한, 서버제어부(3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목적지정보가 수신되면,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단말 기위치측정부(350)로 위치측정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위치측정명령에는 당해 목적지정보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화 번호 등의 고유 식별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단말기위치측정부(350)는 수신된 위치측정명령에 상응하여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이하, '제1 위치정보'라 칭함)는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b를 참조하여 단말기위치측정부(35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현재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addition,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server control unit 310 receives a position measurement command to the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350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an be transmitted. The location measurement command may includ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such as a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at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reafter, the terminal location measuring unit 35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comm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location measurement command. have. Hereinafter, a method of measur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the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3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B.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제공서버(1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current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route providing serv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될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제공서버(120)에 포함된 단말기위치측정부(350)에서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위치측정부(35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제1 위치정보가 산출되기 위하여 외부에서 수신되는 각종 신호(예를 들어, 위치응답신호(상세한 내용은 후술함) 등)들은 경로제공서버(120)에 포함된 데이터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기위치측정부(350)로 직접 수신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An opera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terminal location measuring unit 350 included in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various signals (eg, location response signals (described in detail later))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calculate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the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350 Etc.) may be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20 included in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but it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terminal location measurement unit 350 is directly receive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

단말기위치측정부(350)는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위치등록신호(즉,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위치등록을 위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한 제1 기지국(350-1) 및 제1 기지국 주변의 2이상의 다른 기지국(350-2, 350-3) (이하, '주변기지국들(350)'로 통칭함)으로부터 수신된 3개 이상의 신호를 분석 하여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제1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The terminal location measuring unit 350 receives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i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location registr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 And three or more signals received from two or more other base stations 350-2 and 350-3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eripheral base stations 350') around the first base stati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110 may be measured.

도 3b에는 3개의 주변기지국들(35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위치등록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당해 위치등록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이하, '송출시간'이라 칭함)를 위치등록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주변기지국들(350)은 이를 수신하여 단말기위치측정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주변기지국들(350)은 당해 위치응답신호가 수신된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위치응답신호를 단말기위치측정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위치측정부(350)로 수신되는 위치등록신호는 이동통신단말기(110)에서 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는 위치등록신호와 구분되기 위하여 '위치응답신호'라 정의한다. 또한, 위치응답신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송출된 시간에 대한 정보(이하, '송출시간정보'라 칭함) 및/또는 각 주변기지국들(350)에 수신된 시간에 대한 정보(이하, '수신시간정보'라 칭함)가 포함될 수 있다. Three peripheral base stations 350 are shown in FIG. 3B.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transmit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time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nsmission time") in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In addition, the peripheral base stations 350 may receive it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location measuring unit 350. In this case, each of the peripheral base stations 350 may transmit a location response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ime at which the location response signal was received to the terminal location measurement unit 350. Here,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location measuring unit 350 is defined as a location response signal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position respons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a tim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and / or information on a time received by each of the peripheral base stations 35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ception time information'.

따라서, 단말기위치측정부(350)에는 3개 이상의 위치응답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후, 단말기위치측정부(350)는 각각의 위치응답신호의 송출시간정보 및 수신시간정보를 분석하여 당해 단말기가 각각의 주변기지국(들과 떨어져있는 거리에 대한 정보(이하, '거리정보'라 칭함)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시간정보에서 송출시간정보를 차감하면 당해 위치등록신호의 전송시간이 산출될 수 있고, 위치등록시간이 빛의 속도로 전파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거리정보는 전송시간과 빛의 속도를 곱한 값이 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산출된 거리정보 는 위치등록신호가 굴절, 회절 등이 되지 아니하고, 주변이 진공인 상태 등 이상적인 경우를 가정하고 산출된 값이므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주변 기지국(350)의 개수를 늘리면 당해 오차 범위를 다소간 줄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refore, the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350 may receive three or more position response signals. Then, the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350 analyzes the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time information of each position response signal, and the information on the distance that the terminal is separated from each neighboring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tance information'). For example, assuming that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is subtracted from reception time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can be calculated,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time can be propagated at the speed of light. The distance information may be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ransmission time by the speed of light, and, of course, th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ideal for a situation in which the position registration signal is not refracted, diffracted, etc., and the surroundings are vacuum. Since the calculated value is assumed and there may be an error, it is obvious that the error range may be somewhat reduc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350.

또한, 단말기위치측정부(350)는 각각의 주변기지국들(350)을 중심으로 하고, 각 주변기지국들에 상응하는 거리정보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위치측정부(350)는 복수개의 원(이때, 원의 개수는 주변기지국들(350)의 수와 동일함)에 의하여 겹치는 하나의 지점을 제1 위치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오차에 의하여 복수개의 원에 의하여 완전히 겹치는 지점이 존재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위치측정부(350)는 가장 겹치는 부분이 많은 부분을 제1 위치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350 may assume a circle centering on each of the peripheral base stations 350 and having a radius of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eripheral base stations. In this case, the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350 may calculate, a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ne point overlapped by a plurality of circles (the number of circles equal to the number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350). Of course, the point completely overlapped by the plurality of circles may not exist due to the above-described error. In this case, the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350 may calculate a portion having the most overlapping portions as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또한, 단말기위치측정부(350)는 산출된 제1 위치정보를 단말기제어부(3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위치측정부(350)가 제1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상술한 방법은 예시에 불과하며, 제1 위치정보가 생성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정보가 생성되는 방법은 당해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술한 단말기위치측정부(350)가 제1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는 동작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위치정보 생성부(27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이하, '제2 위치정보'라 칭함)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술한 동작은 수행되지 아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350 may transmit the calculated first posi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310. Here,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generat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by the terminal location measuring unit 350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various. Thus,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by the terminal location measuring unit 350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unknow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7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y not be performed.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서버제어부(310)는 단말기위치측정부(350)로부터 당 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즉, '제1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경로정보생성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버제어부(3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제1 위치정보 및/또는 제2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당해 위치정보(즉, 제1 위치정보 및/또는 제2 위치정보) 및 목적지정보를 경로정보 생성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310)는 경로정보생성부(340)로부터 위치정보 및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경로정보 생성부(340)에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이때, 서버제어부(310)는 경로데이터 및/또는 경로정보를 문자메시지 형식 및/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예를 들어, 이미지 형식의 메시지)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3A, when the server controller 310 receives information (i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from the terminal location measurement unit 350,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or 34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server controller 31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i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or 340. In addition, when the server controller 310 receives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or 340, the server controller 310 may transmit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method of generating route information in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or 3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server controller 310 may transmit the route data and / or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a text message format and / or a multimedia message format (eg, an image format message).

데이터송수신부(320)는 경로제공서버(120)와 연결된 각종 장치(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10) 등)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특히, 서버제어부(310)는 데이터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목적지정보 및/또는 제2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310)는 데이터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경로데이터(즉, 경로이미지데이터 및/또는 경로텍스트데이터) 및/또는 경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송수신부(320) 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신호를 변복조(Modulation/Demodulation) 할 수 있는 모뎀(Modem), 안테나, 신호 증폭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tter / receiver 320 may exchange data with various devices (e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etc.) connected to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In particular, the server controller 310 may receiv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 or seco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the data transmitter / receiver 320. 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ler 310 may transmit path data (ie, path image data and / or path text data) and / or path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the data transmitter / receiver 320. Here, the data transmitter / receiver 320 may further include a modem, an antenna, a signal amplifier, and the like, capable of modulating / demodulating a signal in a preset manner.

데이터베이스부(330)는 경로제공서버(12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Software)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일 수 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부(330)는 상술 한 바와 같이, 이미지데이터베이스(330-1) 및 텍스트데이터베이스(3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데이터베이스(330-1)는 각 목적지에 상응하는 이미지경로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데이터베이스(330-2)는 각 목적지에 상응하는 텍스트경로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The database unit 330 may be a storage space in which various software for operating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is stored. In particular, the database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database 330-1 and a text database 330-2 as described above. Here, the image database 330-1 may store image path data corresponding to each destination. In addition, the text database 330-2 may store text path data corresponding to each destination.

경로정보생성부(340)는 서버제어부(310)로부터 수신된 목적지정보 및/또는 위치정보(즉, 제1 위치정보 및/또는 제2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정보는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에서부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장소까지 이동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로서, 대중교통 이용 방법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경로정보는 이미지정보 및/또는 텍스트정보일 수 있으며, 이미지와 텍스트가 혼합된 형식의 정보일 수도 있다.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40 may generate route information using destination information and / or location information (i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controller 310. Here, the rou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method of moving from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may be information on a method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n addition, the route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and / or text information, or may be information in a form in which an image and text are mixed.

예를 들어, 위치정보가 '잠실'에 상응하고, 목적지정보가 '분당 서현'에 상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경로정보생성부(340)는 '잠실'에서 '분당 서현'까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가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경로정보생성부(340)는 지하철(Subway)을 이용하여 '잠실'에서 '분당 서현'으로 가는 방법 및/또는 버스(Bus)를 이용하여 '잠실'에서 '분당 서현'으로 가는 방법 등에 대한 경로정보를 생성할 있다. 예를 들어, 경로정보생성부(340)는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의 명칭을 포함하는 지하철역 및/또는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명칭을 포함하는 지하철역을 검색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지하철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정보생성부(340)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거장과 목적지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정거장을 모두 경유하는 버스 번호를 추출할 수 있 고, 이에 의하여 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Jamsil'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Seohyun' in Bundang. At this time,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40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rout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from 'jamsil' to 'seohyeon Bundang'. That is,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40 may use a subway (Subway) to go from 'Jamsil' to 'Bundang Seohyeon' and / or use a bus (Bus) to go from 'Jamsil' to 'Bundang Seohyeon'. Can generate rout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40 may search for the subway station including the name of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subway station including the nam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40 may extract a bus number passing through both the bus stop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us stop includ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reby generating route information on how to use the bus. can do.

이때, 지하철 노선에 대한 정보 및/또는 버스노선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33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경로정보생성부(340)는 생성된 경로정보를 서버제어부(31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제어부(310)는 경로정보를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문자메시지 형식 및/또는 멀티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subway line and / or the information on the bus line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30 in advance. In addition,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or 340 may transmit the generated route information to the server controller 310, and the server controller 310 transmits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a text message format and / or a multi-message. Format can be s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목적지정보 추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의 목적지정보 추출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서 생략될 수 있다. Hereinafter, a method of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Each step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steps performed in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per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Collectively. Therefore, the subject performing the steps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omitted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발신자 단말기(110-1)로부터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단계 410),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단계 420). When a tex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aller terminal 110-1 (step 410), the received text message may be displayed (step 420).

단계 430에서, 사용자가 입력부(230)를 조작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목적지 추출 모드로 동작이 개시된다. 여기서, 목적지 추출 모드는 당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예를 들어, 약속 장소 등)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In operation 430,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230, the operation is started in the destination extraction mode by the user's manipulation. Here, the destination extraction mode may mean an operation mode for extracting data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for example, an appointment place, etc.)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단계 440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목적지 추출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문자메시지에 미리 설정된 장소제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장소제시어정보와 연결될 단어를 목적지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장소제시어정보와 연결된 단어 및 당해 장소제시어정보와 연결된 단어 바로 앞에 위치한 단어 등 복수개의 단어를 목적지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분당 서현에서 보자'이고, 장소제시어정보로 '에서'가 미리 설정된 경우라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서현'을 목적지정보로 추출하거나 '분당 서현'을 목적지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In operation 440,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may be extracted.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destination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vary. For example, if the text message includes preset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extract a word to be connected with the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as destination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extract a plurality of words, such as a word connected to the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and a word immediately before the word connected to the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as destination information. That is, if the received text message is 'See in Seohyeon, Bundang', and 'from' is set in advance as the place suggestion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extracts 'Seohyeon' a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or 'Seodang Seohyeon' as the destination. Can be extracted as information.

또한, 복수개의 목적지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목적지정보로서 '분당 서현' 및 '서현'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2개의 목적지정보(즉, '분당 서현' 및 '서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2개의 목적지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단계 440은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목적지정보가 복수개인 경우는 추출된 복수개의 목적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하나 이상의 목적지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to allow a user to make a selection.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extract 'Seohyeon' and 'Seohyun' as destination information, and display the extracted two destination information (that is, 'Seohyeon' and 'Seohyun').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one or more of two destination information by manipulating the input unit 230. That is, the above-mentioned step 440 may include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displaying a plurality of extracted destination information when the extracted destination information is plural, and one or more destination information by the user's selection. It may include receiving a step.

단계 450에서, 추출된 목적지정보를 경로제공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경로제공서버(120)로부터 경로데이터(즉, 경로이미지데이터 및/또는 경로텍 스트데이터)가 수신되면(단계 460), 수신된 경로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470).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경로데이터 및/또는 경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경로데이터는 경로제공서버(120)에 미리 지정되어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즉, 경로이미지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즉, 경로텍스트데이터) 등일 수 있고, 경로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정보가 이용되어 경로제공서버(120)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경로제공서버(120)에서 경로데이터 및/또는 경로정보가 생성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operation 450, the extracted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In addition, when route data (ie, route image data and / or route text data) is receiv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step 460), the received route data may be displayed (step 470). Of cour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also receive route data and / or route information. Here, the route data may be image data (that is, route image data) and / or text data (that is, route text data), etc., which are previously designated and stored i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and the route information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route data and / or route information i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제공서버에서 경로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route data in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경로제공서버(1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경로제공서버(12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경로제공서버(120)로서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경로제공서버(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나, 경로제공서버(120)는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Each step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 step performed by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but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being performed by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Therefore, the subject performing the steps described below can be omitted as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In additio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reading the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is a rout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단계 51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목적지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경로데이터 및/또는 텍스트경로데이터를 구비된 저장공간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부(330))에서 독출할 수 있다(단계 520). 이때,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경로데이터 및/또는 텍스트경로데이터가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지 아니하면, 에러(Error)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operation 510, when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read in a storage space (eg, the database unit 330) provided with image path data and / or text path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t may be step 520. In this case, if the image path data and / or text path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re not stored in the storage space provided therein, a message corresponding to an error may be generated.

단계 530에서, 독출된 경로데이터(즉, 경로이미지데이터 및/또는 경로텍스트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경로데이터는 문자메시지 및/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될 수 있다. In operation 530, the read route data (ie, route image data and / or route tex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this case, the rout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and / or a multimedia message.

이후, 경로데이터가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hich has received the route data, can display it so that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제공서버에서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route information in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경로제공서버(1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경로제공서버(12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경로제공서버(120)로서 생략될 수 있다. Each step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 step performed by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but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being performed by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Therefore, the subject performing the steps described below can be omitted as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단계 61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목적지정보가 수신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단계 620). 예를 들어, 경로제공서버(120)로부터 산출된 위치정보는 경로제공서버(120)가 3개 이상의 주변기지국들(350)(즉,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송출되는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한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위치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생성한 정보(즉, 제1 위치정보)일 수도 있다. 제1 위 치정보가 생성되는 방법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In operation 610, when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alculated (operation 620).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may be obtained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receiving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ree or more peripheral base stations 350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t may also be information (ie, first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analyzing a location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s. Since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B,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또한,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포함된 위치정보 생성부(270)에서 생성되어 목적지정보와 함께(또는 순차적으로) 경로제공서버(120)로 송출된 지피에스 기반의 위치정보(즉, 제2 위치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위치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는 경로제공서버(120)에서 제1 위치정보가 생성될 필요는 없을 수 있다(즉, 단계 6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70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GPS-based location information (ie, sequentially) sent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together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at is, Second location information). Therefore, whe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y not need to be generated i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20 (ie, step 620 may be omitted).

단계 630에서, 위치정보(즉, 제1 위치정보 및/또는 제2 위치정보) 및/또는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정보는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에서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장소까지의 대중 교통 이용 방법에 대한 정보로서, 문자메시지 및/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경로제공서버(120)에서 위치정보(즉, 제1 위치정보 및/또는 제2 위치정보) 및/또는 목적지정보가 이용되어 경로정보가 생성되는 방법은 도 3a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는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operation 630,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i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this case, the rou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method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from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and / or a multimedia message. In addition, a method of generating route information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i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path providing server 120 may be perform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A. It may be the same or simila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단계 640에서, 생성된 경로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경로정보가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operation 640, the generated rout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bsequent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having received the route information can display this to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여기에서는 경로데이터와 경로정보가 각각 생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각각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경로데이터 및 경로정보는 각각 생성되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될 수 있음은 자명 하다. 또한, 위치정보 및/또는 경로정보가 생성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 it is assumed that the route data and the route information ar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spectively. However, the route data and the route information ar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It can be obvious. In addition,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rout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various way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도 1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제공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Figure 3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ath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제공서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3B is a diagram for a method of measuring a current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목적지정보 추출 방법에 대한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제공서버에서 경로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Figure 5 is a flow chart for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route data in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제공서버에서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Figure 6 is a flow chart for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route information in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1 : 발신자 단말기110-1: caller terminal

110-2 : 수신자 단말기110-2: receiver terminal

120 : 경로제공서버120: route providing server

Claims (20)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목적지추출부; 및 A destin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And 상기 목적지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여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경로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되,And a terminal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the received route data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route data is received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destination information.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목적지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경로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경로제공서버는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경로데이터를 구비된 저장공간에서 독출하여 상기 단말기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terminal controller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oute providing server reads the data from the storage space provided with the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controller. Characteriz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추출부는 미리 설정된 제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destin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using preset present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로제공서버는,The route providing server, 미리 지정된 상기 경로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A database unit storing the predetermined route data; 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경로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독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erver controller which reads the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rout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로데이터는 경로이미지데이터 및 경로텍스트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The path data includes any one or more of path image data and path text data. 상기 경로데이터는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의 주변 약도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제공서버.The route data is a route provid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map of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목적지추출부; A destin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 및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경로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경로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 하되,A terminal controller which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s the received rout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route information is received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경로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경로제공서버는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terminal controller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rout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oute providing server generates the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tro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위치정보생성부는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gener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GPS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경로제공서버는,The route providing server,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상기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생성부; 및 A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ing the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erver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경로제공서버는,The route providing serv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목적지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의 3개 이상의 주변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위치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위치측정부; A terminal location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location response signals received from three or more neighboring base stations arou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생성부; 및 A route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corresponding route information us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erver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위치응답신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등록신호를 송출한 송출시간정보 및 상기 주변기지국들이 상기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한 시간에 대한 수신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location response signal includes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ption time information of the time when the peripheral base station receives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에서부터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장소까지의 대중 교통 이용 방법에 상응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rou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method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from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상기 목적지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송출하는 단계;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 및 Receiving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수신된 상기 경로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되,Includ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route data, 상기 목적지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경로제공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경로데이터는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경로제공서버에서 독출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데이터 수신 방법.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rout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oute data is data rea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Extrac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상기 문자메시지에 미리 설정된 제시어정보가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etermining whether preset tex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And 상기 제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데이터 수신 방법.And extrac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using the presenter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는,Receiving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경로데이터를 구비된 저장공간에서 독출하는 단계; 및 Read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in a storage space provided with ro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경로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데이터 수신 방법.And transmit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rout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경로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는,The step of reading the route data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로이미지데이터 또는 경로텍스트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And read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one or more of route image data or rou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space. 상기 경로데이터는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의 주변 약도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데이터 수신 방법.The route data is a route data receiv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map of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정보가 추출되는 단계;Extrac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ext messag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가 생성되는 단계;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송출되는 단계;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경로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및 Receiving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수신된 상기 경로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되,Includ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route information,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경로제공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경로제공서버에서 독출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정보 수신 방법.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a rout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oute information is data rea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How to receive information.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위치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는,The step of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정보 수신 방법.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GPS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경로정보가 수신되는 단계는,The step of receiving the route information,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여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Genera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정보 수신 방법.And transmit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경로정보가 수신되는 단계는,The step of receiving the route information,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목적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의 3개 이상의 주변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위치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response signals received from three or more peripheral base stations arou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목적지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Genera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route information us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상기 경로제공서버가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정보 수신 방법.And transmitting,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위치응답신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등록신호를 송출한 송출시 간정보 및 상기 주변기지국들이 상기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한 시간에 대한 수신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정보 수신 방법.The location response signal includes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and reception time information for a time when the peripheral base station receives the location registration signal. How to receive route information.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장소에서부터 상기 목적지정보에 상응하는 장소까지의 대중 교통 이용 방법에 상응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정보 수신 방법.And the rou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method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from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KR1020070076554A 2007-07-30 2007-07-3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route KR200900126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554A KR20090012604A (en) 2007-07-30 2007-07-3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rou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554A KR20090012604A (en) 2007-07-30 2007-07-3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rou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04A true KR20090012604A (en) 2009-02-04

Family

ID=4068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554A KR20090012604A (en) 2007-07-30 2007-07-3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rou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60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177A (en) * 2010-01-13 201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and apparatus of locating a mobile terminal using a received mess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177A (en) * 2010-01-13 201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and apparatus of locating a mobile terminal using a received me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879B2 (en) User terminal,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US6868333B2 (en) Group interaction system for interaction with other vehicles of a group
CN101583848B (en) Method and a navigation device for displaying GPS position data related to map information in text readable form
US805544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 in navigation
US20090191892A1 (en) Integrating position-determining and wi-fi functions
US8386677B2 (en) Communicat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a portable device and an accessory
US200502028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eeting place utilizing telephone auto location system
US76239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oice-based supplementary information service using road map data
KR100906242B1 (en) Data searching navigation system using of communication network, the input data method and the searching method thereof
KR200600827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ng point of interest
KR20060084418A (en) Voice sightseeing guide system of multi language using dgps
KR20090012604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route
KR10059397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63901A (en) Method for inputting car navigation&#39;s destination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destination mobile
US20210215497A1 (en) Control apparatus, system,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terminal apparatus, and vehicle operation support method
KR20090014771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guiding route
US20090222587A1 (en) Providing location path
CN104180802A (en) Mobile electronic equipment, an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oking for Halal food in going out of Muslims
FR2985354A1 (en) Road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 i.e. car, has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ing to position of remote localization device, and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information
KR20100060501A (en) Method for setting destination to navigation of distant place using mobile phone
KR100574658B1 (en) Apparutus and Method of Transmission and Receiving Passing Information Using GPS
JP5389336B2 (en) Mobile terminal and program for displaying a schematic map of the current position in advance on the display
KR100946366B1 (en) GPS-based guiding route system
KR20110120561A (en) A navigation apparauts and method for searching position using point of interest thereof
KR101080694B1 (en) Navigation apparatus, poi statistics apparatus, navigation service system, service method for statistics of po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