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401A -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업다운 컨버터 모듈. - Google Patents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업다운 컨버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401A
KR20090012401A KR1020070076179A KR20070076179A KR20090012401A KR 20090012401 A KR20090012401 A KR 20090012401A KR 1020070076179 A KR1020070076179 A KR 1020070076179A KR 20070076179 A KR20070076179 A KR 20070076179A KR 20090012401 A KR20090012401 A KR 20090012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uplink
signal
input
radio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남선
정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to KR1020070076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401A/ko
Publication of KR20090012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에 있어서,
다운링크 RF(Radio Frequency)가 입력되는 다운링크 입력포트와 업 링크 RF(Radio Frequency)가 입력되는 업 링크 입력포트와,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구분 지어 통과시키는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와, 상기 업 링크 입력 시, 하나의 업다운 컨버터를 공유하기 위해 이득레벨을 맞게 하는 트랜지스터(Transistor) 및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이득 보정용 감쇠부와, 상기 입력된 다운링크 신호와 업 링크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 형성한 검출부와, 상기 입력된 다운링크 신호와 업 링크 신호의 상기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레벨을 분석하여 업다운 컨버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정확한 신호를 구분하고, 기준이 되는 동기 신호부와, 상기 입력 및 출력한 업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분석하여, 업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와, 상기 입력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IF(Intermediat Frequency)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IF(Intermediat Frequency)신호를 다시 상기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 시키는 변환부와, 인접대역의 스퓨리어스(spurious)를 제거하기 위해 형성한 인접 밴드 스퓨리어스 제거용 쏘우 필터와,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구분과 출력 시 하나의 출력으로 공유하기 위해 형성한 제 2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 스위치와,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가 출력 시 하나의 출력 포트를 공유하는 업 링크 다운링크 출력 포트로 이루어지는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
TDD(Time Division Duplex),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송신(DL : Down Link), 수신(UL : Up Link), 무선 휴대 인터넷 중계기, up down converter

Description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Sharing uplink and downlink converter module for portable internet repeater using by time division duplex}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경로가 각각 따로 구성되어 있는 중계기용 업 다운 컨버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경로가 모두 구성되어 있는 중계기용 업 다운 컨버터의 다운링크 전송경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경로가 모두 구성되어 있는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의 업링크 전송경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
1: 다운링크 입력포트
2: 업 링크 입력포트
3,3-1: 트랜지스터
4 :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스위치
20,22: 제 2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스위치
5: 입력 레벨을 디텍터 하기 위한 커플러
6 : 제 1RF(Radio Frequency) 스위치
9 : 제 2RF(Radio Frequency) 스위치
7,8: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디텍터 레벨보정용 감쇠부
10: 검출기
11,14,16,19 : 업 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
12,18 : RF(Radio Frequency)주파수를 IF(Intermediat Frequency) 변환하는 믹서
13,17 : 인접 밴드 스퓨리어스 제거용 쏘우 필터
15 : RF(Radio Frequency)주파수에서 변환된 IF(Intermediat Frequency) 주파수를 처리하는 처리부
21,21-1: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이득 보정용 감쇠부
23: 업 링크와 다운링크 출력 포트
24: 업다운 컨버젼을 하기 위한 로컬 주파수 25: 컨트롤부
26: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 signal)
27: 신크(sync) 업 링크 시그널(signal)
28: 검출부 29: 동기신호부
30: 변환부
본 발명은 무선 휴대 인터넷서비스를 하기 위해 무선 엑세스 망에 설치되는 중계기내부의 업다운 컨버터로서 다운링크와, 업 링크 경로를 소수의 부품만 제외한 나머지 부품에 대하여 공용으로 사용되는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이며, 기존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양 경로 모두를 사용하는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에 비하여 하나의 경로로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발열 효율 및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는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신에서 송신과 수신의 분리 방법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방식 두 가지가 있다. 상기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은 현재 국내 이동 통신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송신과 수신이 각기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과 수신간의 분리를 하는 방식이며 상기 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은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주파수는 같으나 시간 영역을 특정 시간 나누어 다운링크와 업 링크에 대한 송신과 수신을 구분하는 방식이다.
또한, 무선 휴대 인터넷은 송신과 수신간의 분리를 시간영역으로 나누어 송신과 수신간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를 확보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을 사용한다. 이 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방식을 사용한 기존 이동통신 방식의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는 송신과 수신과 수신간의 주파수가 다르기 때 문에 각기 다른 두 개의 경로로 송신과 수신간을 전송하였다. 따라서, 중계기에 들어가는 부품들이 구조상 모두 쌍으로 두 개씩 들어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현재 구성하려는 단일 경로 업다운 컨버터보다 원가, 사이즈, 발열량 등에서 절감을 가져 올 수 없었다.
종래기술인 도 1은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경로가 각각 따로 구성되어 있는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운링크와 업 링크가 각기 따로 구성된 업다운 컨버터로 구성되어 중계기에 장착되어 왔다. 다운링크의 RF(Radio Frequency) 신호는 다운링크 입력 포트(1)로 입력되고, TDD(Time Division Duplex)신호의 다운링크와, 업 링크 신호를 구분 지어주는 기준이 되는 동기신호 single(19)의 다운링크 신호로 인식된 동기 신호가 다운링크 RF(Radio Frequency) 스위치(2),(15)의 RF(Radio Frequency) 스위치를 온(ON)하게 된다. 상기 RF(Radio Frequency)가 온(ON)이 되어 입력된 신호는 입력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Coupler(3)의 RF(Radio Frequency) 신호 커플(couple)을 통하여 다운링크와 업 링크 검출 레벨 보정용 감쇠부(4)에 전달되고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 검출 레벨 보정용 감쇠부(4)는 입력 레벨 테이블을 정하기 위해 오프셋으로 사용되며,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 검출 레벨 보정용 상기 감쇠부(4)를 통과한 RF(Radio Frequency) 입력레벨을 디텍터 하기 위한 커플러(5)로 입력되게 된다. 상기 트루파워디텍터(true power detector)(5)에서는 입력파워에 대한 값을 아날로그 전압으로 바꾸어 TDD 신호의 다운링크와, 업 링크 파워를 검출하여 업다운 컨버터 내부를 제어해주는 컨트롤부(18)에 전달된다. 상기 컨트롤부(18)는 검출부(5)의 아날로그 전압 값을 받아 내용을 분석한 뒤, 정해진 테이블 값을 적용하여 감쇠 부(6),(9),(11),(14)에 입력 레벨에 맞추어 적용한다. 상기 입력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커플러(3)에 입력된 신호는 감쇠부(6)를 통해 IF(Intermediat Frequency)로 주파수를 낮춰주는 믹서(Mixer)(7)를 통과한다. 상기 믹서(Mixer)(7)를 통과한 신호는 인접대역에서 많은 감쇄를 줄 수 있는 쏘우 필터(8)를 통과하고, 감쇠부(9)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IF(Intermediat Frequency) 주파수는 상기 IF(Intermediat Frequency) 주파수 용도를 필요로 하는 RF(Radio Frequency)주파수에서 변환된 IF(Intermediat Frequency)주파수를 처리하는 부분(10)을 통과하고 상기 감쇠부(11)를 통해 인접대역에서 많은 감쇄를 줄 수 있는 쏘우필터(12)를 통해 상기 IF(Intermediat Frequency) 주파수를 상기 RF(Radio Frequency)주파수로 변환하는 믹서(Mixer)(13)를 통해 상기 감쇠부(4)를 통과하고 RF(Radio Frequency) 스위치(15)를 통과하여 다운링크 출력 포트(16)로 출력을 내보낸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는 하나의 경로밖에 통과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기존 무선휴대 인터넷을 위한 대다수의 중계기용 업 다운 컨버터는 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이라 하더라도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양 경로로 구성되어 있거나 다운링크와, 업 링크가 하나의 경로로 구성이 되어 있어도 옥외 중계기 용으 로 시스템 이득이 높고 출력 power가 높은 용도로는 송신과 수신간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 Noise Figure, 입력에 대한 saturation문제, 동일 시스템 감쇄로 다운링크와, 업 링크 모두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 등으로 하나의 업다운 컨버터를 사용하여 다운링크와, 업 링크 모두를 구현하기가 쉽지 않았다.
또한, 국내 이동 통신의 송수신 분리 방법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이루어져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송수신 경로에 각각 독립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원가의 상승과 사이즈가 커지고, 발열량이 높은 문제 등의 문제점을가지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종래기술은 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휴대 인터넷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의 송신과 수신간의 분리 기술도 송신과 수신이 별개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각각의 독립적인 경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방식에서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을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업다운 컨버터 내부에 다운링크 타임(Time)구간과 업 링크 타임(Time)구간을 정확히 인식하여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컨트롤을 내장하여, 다운링크와 업 링크를 하나의 업다운 컨버터를 통해 상기 다운링크 타임(Time)에서는 다운링크 신호만 통과시켜주고, 업 링크 타임(Time)에서는 업 링크 신호만 통과시켜 주어 업다운 컨버터 내부에 형성한 부품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경제적이고 발열량에서도 효율적인 TDD(Time Division Duplex)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의 기술을 제공한다.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에 있어서,
다운링크 RF(Radio Frequency)가 입력되는 다운링크 입력포트(1)와 업 링크 RF(Radio Frequency)가 입력되는 업 링크 입력포트(2);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구분 지어 통과시키는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4);
상기 업 링크 입력 시, 하나의 업다운 컨버터를 공유하기 위해 이득레벨을 맞게 하는 트랜지스터(Transistor)(3),(3-1) 및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이득 보정용 감쇠부(21),(21-1);
상기 입력된 다운링크 신호와 업 링크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 형성한 검출부(28);
상기 입력된 다운링크 신호와 업 링크 신호의 상기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레벨을 분석하여 업다운 컨버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컨트롤부(25);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정확한 신호를 구분하고, 기준이 되는 동기 신호부(29);
상기 입력 및 출력한 업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분석하여, 업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1),(14),(16),(19);
상기 입력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IF(Intermediat Frequency)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IF(Intermediat Frequency)신호를 다시 상기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 시키는 변환부(30);
인접대역의 스퓨리어스(spurious)를 제거하기 위해 형성한 인접 밴드 스퓨리어스 제거용 쏘우 필터(13),(17);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구분과 출력 시 하나의 출력으로 공유하기 위해 형성한 제 2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 스위치 (20),(22);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가 출력 시 하나의 출력 포트를 공유하는 업 링크 다운링크 출력 포트(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부(28)는 하나의 디텍터로 공유하기 위해 상기 검출부(28)에 포함되어있는 제 1RF(Radio Frequency) 스위치(6),제 2RF(Radio Frequency) 스위치(9)를 사용하는 한다.
상기 제 2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20),(22) 스위치는 신호를 구분 지어 통과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한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구분은 다운링크 입력포트(1)와 업 링크 입력포트(2)에서 각각 입력시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signal)(26)이 입력되어 상기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스위치(4)가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통과시키며, 상기 업 링크의 입력시 신크(sync) 업 링크 시그널(signal)(27)이 입력되어 상기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4)는 상기 업 링크 신호를 통과시킨다.
상기 송신과 수신에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신호를 입력 시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파워 검출은 상기 다운링크의 신호를 입력시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signal)(26)에 의해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4)는 상기 다운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신호는 입력 레벨을 디텍터 하기 위한 커플러(5)를 통해 제 1RF(Radio Frequency)스위치(6)로 전달하며, 상기 제 1RF(Radio Frequency)스위치(6)는 상기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signal)(26)의 신호를 받아 다운링크 검출 경로로 연결되고,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레벨차이를 보정 하는 오프셋용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디텍터 레벨보정용 감쇠부(7)를 통과하여, 제 2RF(Radio Frequency)스위치(9)로 통과하며, 상기 통과한 신호는 검출부(28)를 통해 RF(Radio Frequency)신호 레벨이 볼테이지 신호로 변환되어 컨트롤부(25)로 입력되고, DSP(Digital Signal Process)기술을 이용하여 짧은 다운링크 구간의 신호 전압을 다수 샘플링을 하여 정확한 상기 다운링크에 대한 상기 RF(Radio Frequency) 신호 레벨을 분석하여 업다운 컨버터에 적용하며, 상기 업 링크 신호의 분석도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분석과 같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과 수신에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신호를 입력 시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파워를 검출하고, 하나의 업다운 컨버터의 사용으로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부족하거나 초과하는 이득은 다운링크와 업링크의 이득 보정용 증폭용 트랜지스터(3),(3-1)와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이득 보정용 감쇠부(21),(21-1)로 조정하며,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바뀌는 순간의 정확한 동기는 외부 동기모듈로부터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 signal)(26) 및 신크(sync) 업 링크 시그널(signal)(27)로 입력되어 각각의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 스위치(4)와, 제 2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 스위치(20),(22)를 조정하여,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 모두를 하나의 경로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경로가 모두 구성되어 있는 중계기용 업 다운 컨버터의 다운링크 전송 경로도 이며, 도 3은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경로가 모두 구성되어 있는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의 업 링크 전송 경로도 이다.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 싱글(single) 경로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의 방식중 다운링크에 관한 경로는 다운링크 RF(Radio Frequency)신호가 다운링크 입력포트(1)로 입력되면 다운링크 신크(sync)신호가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Signl)(26)로 입력되고,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4)는 다운링크 경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4)를 통과한 신호는 입력 레벨을 디텍터 하기 위한 입력 레벨을 디텍터 하기 위한 커플러(5)로 입력되어, 상기 입력된 신호 중 상당히 작은 신호만을 커플(couple)한다. 상기 커플(Couple)된 신호는 제 1RF(Radio Frequency) 스위치(6)로 입력하여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signal)(26) 신호로 인하여 다운링크 경로로 스위치가 연결되어 통과하는 신호는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입력 레벨에 대한 오프셋을 정해주는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디텍터 레벨보정용 감쇠부(7),(8)을 통해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signal)(26) 신호로 인하여 다운링크 경로로 연결된 스위치를 통하여 검출기(10)로 입력된다. 상기 검출기(10)로 입력된 상기 다운링크 RF(Radio Frequency) 신호는 다운링크 신호 구간 동안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전압 값으로 바꾸어 출력하여, TDD(Time Division Duplex) 신호의 다운링크와 업링크 power을 detect 하여 업다운 컨버젼 내부를 제어해주는 컨트롤부(25)로 입력한다. 상기 컨트롤부(25)에서는 다운링크 구간 동안 검출한 상기 RF(Radio Frequency)신호에 대한 전압 값을 DSP(Digital Signal Process)기술을 이용하여 다운링크의 짧은 구간에서도 많은 샘플링으로 정확한 입력 레벨에 대한 값을 검출하며, 업다운 컨버터에 대한 입력에 대하여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업 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1),(14),(16),(19)의 동작 시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 레벨을 디텍터 하기 위한 커플러(5)한 신호는 업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1)를 통해 업다운 컨버젼을 하기 위한 로컬 주파수(24)를 받아 RF(Radio Frequency)주파수를 IF(Intermediat Frequency)로 변환하는 믹서(12)를 통해 인접대역의 스퓨리어스(spurious)를 제거해주는 인접 밴드 스퓨리어스 제거용 쏘우 필터(13)를 통하여 업 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1),(14)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출력한 IF(Intermediat Frequency)신호는 상기 IF(Intermediat Frequency)신호를 필요로 하는 RF(Radio Frequency) 주파수에서 변환된 IF(Intermediat Frequency) 주파수를 처리하는 처리부(15)를 통과해 업다운 컨버터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6)을 통해 인접대역의 스퓨리어스 제거를 해주는 인접 밴드 스퓨리어스 제거용 쏘우필터(17)를 통해 상기 업다운 컨버젼을 하기 위한 로컬 주파수(24)를 받아 상기 IF(Intermediat Frequency)에서 상기 RF(Radio Frequency)주파수를 IF(Intermediat Frequency) 변환하는 믹서(18)를 통해 업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9)를 통해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 널(signal)(26) 신호로 인하여 제 2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구별 (Radio Frequency) 스위치(20),(22)를 통해 업 링크와 다운링크 출력 포트(23)로 다운링크 신호가 출력한다.
상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업 링크 RF(Radio Frequency)신호가 업 링크 입력포트(2)로 입력되면 상기 업 링크 입력포트(2)에 맞추어 업 링크 신크(sync)신호가 신크(sync) 신크 업 링크 시그널(signal)(27)로 입력되며, RF(Radio Frequency) 스위치는 업 링크 경로로 연결되고, 상기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 스위치(4)를 통과한 신호는 입력 레벨을 디텍터 위한 커플러(5)로 입력되어 상기 입력된 신호 중 상당히 작은 신호만을 커플(couple) 한다. 상기 커플(couple)된 신호는 제 1RF(Radio Frequency)스위치(6)로 입력되어 신크(sync) 업 링크 시그널(signal)(27) 신호로 인하여 업 링크 경로로 스위치가 연결되어 통과한 신호는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입력레벨에 대한 오프셋을 정해주는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디텍터 레벨보정용 감쇠부(8)를 통과하여, 신크(sync) 업 링크 시그널(signal)(27)의 신호로 인하여 업 링크 경로로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검출기(10)로 입력된다.
상기 검출기(10)로 입력된 업 링크 RF(Radio Frequency) 신호는 업 링크 신호 구간 동안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전압 값으로 바꾸어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신호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신호의 다운링크 및 업 링크 파 워(power)를 검출하여 업다운 컨버터 내부를 제어해주는 상기 컨트롤부(25)로 입력 된다. 상기 다운링크 및 업 링크 파워(power)를 검출하여 TDD(Time Division Duplex) 신호의 다운링크와 업링크 파워(power)를 디텍트(detect) 하여 업다운 컨버젼 내부를 제어해주는 컨트롤부(25)에서는 업 링크 구간 동안 검출된 RF(Radio Frequency)신호에 대한 전압 값을 DSP(Digital Signal Process)기술을 이용하여 업 링크의 짧은 구간에서도 많은 샘플링으로 정확한 입력 레벨에 대한 값을 검출하여 업 다운 컨버터를 입력에 대하여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업 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1),(14),(16),(19)가 동작 시 컨트롤한다.
또한, 입력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레벨을 디텍터 하기 위한 커플러(5)된 신호는 업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1)을 통해 업다운 컨버젼을 하기 위한 로컬 주파수(24)을 받아 상기 RF(Radio Frequency)주파수를 IF(Intermediat Frequency) 변환하는 믹서(12)를 통해 인접대역의 스퓨리어스 제거용 쏘우 필터(13),(17)를 통과하고, 업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4)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된 IF(Intermediat Frequency)신호는 상기 IF(Intermediat Frequency)신호를 필요로 하는 RF(Radio Frequency) 주파수에서 변환된 IF(Intermediat Frequency) 주파수를 처리하는 처리부(15)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업 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6)을 통하여 상기 인접대역의 스퓨리어스(spurious)제거를 해주는 인접 밴드 스퓨리어스 제거용 쏘우 필터(17)을 통과하고, 업다운 컨버젼을 하기 위한 로컬 주파수(24)을 받아 IF(Intermediat Frequency)주파수를 RF(Radio Frequency)로 변환하는 믹서를 통해 업 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9)를 통하여, 신크(sync) 업 링크 시그널(27)의 신호로 업링크와 다운링크 경로의 구분을 지어주는 제 2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20)를 다운링크와의 시스템적인 이득 오프셋용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이득 보정용 감쇠부(21)를 통해 상기 신크(sync) 업 링크 시그널(signal)(27)의 신호로 인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 경로의 구분을 지어주는 제 2다운링크와 업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20),(22)를 거쳐 통과하여 업 링크와 다운링크의 출력 포트(23) 스위치 신호가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방식의 송신과 수신간의 분리 방법으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의 두 가지 내용에 대해서 송신과 수신의 경로를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중계기용 업다운 컨버터의 단점인 가격상승과 발열증가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안출 됨으로써, 중계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중계기 구성 시 기존 두 개를 사용하여 구성되던 방식에서 하나를 사용함에 따라 사이즈 및 발열감소에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에 있어서,
    다운링크 RF(Radio Frequency)가 입력되는 다운링크 입력포트(1)와 업 링크 RF(Radio Frequency)가 입력되는 업 링크 입력포트(2);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구분 지어 통과시키는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4);
    상기 업 링크 입력 시, 하나의 업다운 컨버터를 공유하기 위해 이득레벨을 맞게 하는 트랜지스터(Transistor)(3),(3-1) 및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이득 보정용 감쇠부(21),(21-1);
    상기 입력된 다운링크 신호와 업 링크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 형성한 검출부(28);
    상기 입력된 다운링크 신호와 업 링크 신호의 상기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레벨을 분석하여 업다운 컨버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컨트롤부(25);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정확한 신호를 구분하고, 기준이 되는 동기 신호부(29);
    상기 입력 및 출력한 업다운 컨버터의 레벨을 분석하여, 업다운 컨버터의 레 벨을 제어하는 감쇠부(11),(14),(16),(19);
    상기 입력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IF(Intermediat Frequency)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IF(Intermediat Frequency)신호를 다시 상기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 시키는 변환부(30);
    인접대역의 스퓨리어스(spurious)를 제거하기 위해 형성한 인접 밴드 스퓨리어스 제거용 쏘우 필터(13),(17);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구분과 출력 시 하나의 출력으로 공유하기 위해 형성한 제 2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 스위치(20),(22);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가 출력 시 하나의 출력 포트를 공유하는 업 링크 다운링크 출력 포트(23)로 이루어지는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28)는 하나의 디텍터로 공유하기 위해 상기 검출부(28)에 포함되어있는 제 1RF(Radio Frequency) 스위치(6),제 2RF(Radio Frequency) 스위치(9)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20),(22) 스위치는 신호를 구분 지어 통과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한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구분은 다운링크 입력포트(1)와 업 링크 입력포트(2)에서 각각 입력시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signal)(26)이 입력되어 상기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스위치(4)가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통과시키며, 상기 업 링크의 입력시 신크(sync) 업 링크 시그널(signal)(27)이 입력되어 상기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4)는 상기 업 링크 신호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과 수신에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신호를 입력 시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파워 검출은 상기 다운링크의 신호를 입력시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signal)(26)에 의해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RF(Radio Frequency) 스위치(4)는 상기 다운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신호는 입력 레벨을 디텍터 하기 위한 커플러(5)를 통해 제 1RF(Radio Frequency)스위치(6)로 전달하며, 상기 제 1RF(Radio Frequency)스위치(6)는 상기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signal)(26)의 신호를 받아 다운링크 검출 경로로 연결되고,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레벨차이를 보정 하는 오프셋용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디텍터 레벨보정용 감쇠부(7)를 통과하여, 제 2RF(Radio Frequency)스위치(9)로 통과하며, 상기 통과한 신호는 검출부(28)를 통해 RF(Radio Frequency)신호 레벨이 볼테이지 신호로 변환되어 컨트롤부(25)로 입력되고, DSP(Digital Signal Process)기술을 이용하여 짧은 다운링크 구간의 신호 전압을 다수 샘플링을 하여 정확한 상기 다운링크에 대한 상기 RF(Radio Frequency) 신호 레벨을 분석하여 업다운 컨버터에 적용하며, 상기 업 링크 신호의 분석도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분석과 같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과 수신에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신호를 입력 시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파워를 검출하고, 하나의 업다운 컨버터의 사용으로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부족하거나 초과하는 이득은 다운링크와 업링크의 이득 보정용 증폭용 트랜지스터(3),(3-1)와 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이득 보정용 감쇠부(21),(21-1)로 조정하며, 상기 다운링크와 상기 업 링크의 바뀌는 순간의 정확한 동기는 외부 동기모듈로부터 신크(sync) 다운링크 시그널( signal)(26) 및 신크(sync) 업 링크 시그널(signal)(27)로 입력되어 각각의 제 1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 스위치(4)와, 제 2다운링크와 업 링크의 상향, 하향 구별 RF(Radio Frequency) 스위치(20),(22)를 조정하여, 상기 다운링크와 업 링크 모두를 하나의 경로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 업다운 컨버터 모듈.
KR1020070076179A 2007-07-30 2007-07-30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업다운 컨버터 모듈. KR20090012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179A KR20090012401A (ko) 2007-07-30 2007-07-30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업다운 컨버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179A KR20090012401A (ko) 2007-07-30 2007-07-30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업다운 컨버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01A true KR20090012401A (ko) 2009-02-04

Family

ID=4068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179A KR20090012401A (ko) 2007-07-30 2007-07-30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업다운 컨버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4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194B1 (ko) * 2020-05-06 2021-02-04 박동호 스마트 무선-광 중계기용 송수신 회로 장치
KR102213195B1 (ko) * 2020-05-06 2021-02-05 박동호 무선-광 중계기용 송수신 회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194B1 (ko) * 2020-05-06 2021-02-04 박동호 스마트 무선-광 중계기용 송수신 회로 장치
KR102213195B1 (ko) * 2020-05-06 2021-02-05 박동호 무선-광 중계기용 송수신 회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2749B2 (en) Switching sub-system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ing time division duplexing
US10498430B2 (en) Expand dynamic of TDD signal detection and expand robustness against volatile signals
EP2715947B1 (en) Broadb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with non-duplexer isolator sub-system
KR102099602B1 (ko) 5g 밀리미터파 대역의 입출력신호를 이중으로 검출하기 위한 감지시스템
CN102291157B (zh) 多制式通道复用电路
KR20090012401A (ko) 티디디 방식의 휴대인터넷 중계기용 상향, 하향 링크 공유업다운 컨버터 모듈.
JPH07131401A (ja) 無線中継装置
US11652565B2 (en) Transport cable redundancy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ing digital transport
KR20090012400A (ko) 티디디 방식을 이용한 휴대인터넷 중계기의 상향, 하향링크 공유 방법.
KR102372870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동기를 획득하는 중계 장치 및 그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0227926A1 (en) Radio network node with automatic gain control enhancement
CN106899340A (zh) 中继器系统及其控制信号方法
KR100628556B1 (ko) 디지털 지연기를 갖는 아날로그 광 중계기
KR200369105Y1 (ko) 디지털 지연기를 갖는 아날로그 광 중계기
JPH06338840A (ja) 移動通信方式
KR100689439B1 (ko) 원격 기지국 유닛과 그를 이용한 양방향 무선 통신을 위한광 네트워크
KR100807291B1 (ko) 티디디 방식 무선 중계기 및 중계방법
KR100894553B1 (ko) 이동통신시스템용 감쇠 및 보고장치
KR100839931B1 (ko) 이동통신시스템용 다운컨버터
KR100404385B1 (ko) Dsp를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신호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17741B1 (ko) Tdd 방식의 휴대 인터넷 무선 중계기의 절체 제어신호추출방법
KR20210019955A (ko) 간섭 제거 중계기 및 이의 동작방법
KR20090091934A (ko) Fdd/tdd 통합 마이크로웨이브 모듈, fdd/tdd통합 마이크로웨이브 중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fdd/tdd 통합 마이크로웨이브 중계 네트워킹 방법
KR20060022808A (ko) 중계 시스템에서의 송/수신 타이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14385A (ko) 알에프 원 패스를 이용한 tdd 무선 중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