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855A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855A
KR20090011855A KR1020070075843A KR20070075843A KR20090011855A KR 20090011855 A KR20090011855 A KR 20090011855A KR 1020070075843 A KR1020070075843 A KR 1020070075843A KR 20070075843 A KR20070075843 A KR 20070075843A KR 20090011855 A KR20090011855 A KR 20090011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ffect
display
poin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41505B1 (en
Inventor
지신행
남경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505B1/en
Publication of KR2009001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8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5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 terminal for taking a picture in various forms and an image photographing method therefor are provided to photograph a desired part on a screen and photograph an image effect to the desired part on the screen. If a user presses a key for driving a camera of an input unit in order to take a picture of an image, a controller drives the camera(S201). A subject image is received from the camera(S202). The controller displays a focusing point for focusing the image on the display screen(S203). The controller adjusts the image inputted from the image around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focusing point(S204). The focus of the image inputted from the camera is adjusted(S205).

Description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촬영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reof}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an image capturing method therefor.

현재, 사용자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면, 상기 촬영된 영상은 상기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중앙 측거점을 기준으로 초점이 맞추어 진다.Currently, when a user photographs an image using a camera provided in the terminal, the photographed image is focused based on a center point preset in the terminal.

따라서, 피사체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구도를 표현하기 위한 촬영이 불가능하고, 사용자는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의 구도를 피사체의 정중앙의 위치에 항상 똑 같은 구도로 촬영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shoot to express various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user has a problem in that the composition of the image to be photographed is always shot at the same composition at the center of the subject.

또한, 초점이 맞춰진 영역에 대해 선명하게 촬영되도록 하는 기능 이외에, 화면의 일정 영역에 대해 배경색을 변경한다던지, 흑백 효과를 부가한다던지 등의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clearly photographing the focused area,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photograph by adding an image effect such as changing a background color or adding a black and white effect to a certain area of the screen.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원하는 부분을 포커스하여 촬영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and a photographing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focus on a desired portion on a screen and to photograph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원하는 부분에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촬영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capable of photographing by adding a video effect to a desired portion on a screen and a photographing method theref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피사체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포커스를 위한 측거점을 복수개 이상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측거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포커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including: a camera receiving an object imag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oints of focus for focusing an image input from the camera; An input uni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ranging poi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focus the image based on a position of a reference point selected from the input unit.

이때, 상기 측거점은 표시 위치 및 표시 갯수의 변경이 가능한 점이다.At this time, the measuring point is that the display position and the number of display can be changed.

또한, 상기 표시부가 터치 스크린 타입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칭된 측거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포커스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type, the controller may focus the image based on a position of a reference point touched by a user on the touch scree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을 서로 식별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selected range point and the non-selected range point to be identified with each other on the display unit.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의 표시 크기, 표시 색상, 및 표시 밝기 중 어느 하나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여, 상기 선택된 측거점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을 서로 식별되게 표시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ler displays any one of the display size, the display color, and the display brightness of the selected range point and the non-selected range point differently so that the selected range point and the unselected range points are identified from each other. To displa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및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 설정된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dd and display a preset image effect on any one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selected location point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unselected location points.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영상 효과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효과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및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선택된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ler displays a list of image effects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at least one image effect is selected from the input unit from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range point and the location of the unselected range points. The selected image effect is added to and displayed on any one of the corresponding images.

이때, 상기 영상 효과는 Blur 효과, Gradation 효과, Brush stroke 효과, Noise 효과, Sketch 효과, 흑백 효과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effect may be at least one of a blur effect, a gradient effect, a brush stroke effect, a noise effect, a sketch effect, and a black and white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은, 카메라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의 포커스를 위한 측거점을 복수개 이상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측거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포커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mage capturing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points of focus for the focus of the image incident from the camera;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range points; And focusing the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reference point.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촬영 방법은, 사용자가 영상에서 원하는 부분을 포커싱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구도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상기 영상에 다양한 효과를 부가할 수 있음에 따라 기존 단말기 카메라로는 표현하지 못했던 다양한 형태의 촬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and an image capturing method therefor may be configured to capture an image in various compositions as the user can focus a desired portion of the image, and to add various effects to the image. The effect is that you can shoot a variety of forms that could not express.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에서 거론되는 단말기는 카메라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 화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 카메라가 구비된 MP3, 카메라가 구비된 PDA,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카메라가 구비된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가 구비된 PMP와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iscu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s with a camera, a terminal capable of a video call, an MP3 with a camera, a PDA with a camera, a mobile phone with a camera, and a camera.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terminals such as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camera, a digital camera, a PMP equipped with a camera, as well as a smart phone provided.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본 발명이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통신부(110)와, 카메라(120)와, 입력부(130)와, 메모리(140)와, 음향부(150)와, 표시부(160)와,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camera 120, an input unit 130, a memory 140, an acoustic unit 150, and a display unit 160. ), And the control unit 17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예를 들면, 방송 수신부, 배터리부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Of course,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the battery unit, etc.) if necessary, but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Since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for simplicity.

한편,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 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져서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ctual applica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as needed,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인터넷 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th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th an external serv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카메라(12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camera 120 is for capturing an image, and converts an image of a subject incident through a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이때,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단말기가 화상 통신용 단말기일 경우, 사용자가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용 카메라(미도시) 및 화상통신용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is a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mera 120 may be provided with a video camera (not shown) and a video communication camera (not shown) for the user to take a picture and video.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에 화상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 촬영용 카메라(미도시)와 화상통신용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에 화상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영상 촬영용 카메라(미도시)만 구비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ideo communication function, the image photographing camera (not shown) and the image communication camera (not shown) may be provided, and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mage. If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not provided, only the image capturing camera (not show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표시부(160)의 화면과 같은 면 또는 반대면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120 may be provided on the same surface or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입력부(130)는 예컨대 키패드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각종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put unit 130 allows a user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or commands to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a keypad.

또한, 입력부(130)는 상기 단말기(100)의 구성에 따라 방향 키, 로터리 키(lottery key), 스크롤 키(scroll key), 조그 셔틀(jog shuttle), 조그 다이 얼(jog dial), 터치 휠, 광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direction key, a rotary key, a scroll key, a jog shuttle, a jog dial, and a touch whee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00.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optical mouse, or touch screen.

만약, 표시부(16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입력부 역할을 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단말기(100)의 구성에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If the display unit 16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o serve as a separate input unit, the input unit 130 may be omitt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00.

메모리(140)는 상기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들 및 이에 따른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The memory 140 stores various software and various data for driv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terminal 100.

출력부(150)는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음향을 스피커(S)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M)으로부터 외부 음향을 입력받는다.The output unit 150 outputs the sound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40 to the speaker S, or receives an external sound from the microphone M.

표시부(160)는 상기 단말기(100)의 실시간 동작 상황, 및 상기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a real-time operating situ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a screen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terminal 100.

또한, 표시부(160)는 상기 카메라(120)로부터 입력되는 피사체의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a preview image of the subject input from the camera 120 on the screen.

이때, 표시부(16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카메라(120)가 구동되어 상기 프리뷰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측거점을 화면상에 복수개 이상 표시한다.In this case, when the camera 120 is driven and the preview image is input,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for focusing the input image on the screen.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60)의 화면상에 상기 측거점이 복수개 이상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측거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120)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이 포커스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more than one point of interes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and any one of the displayed points is selected, the camera ( The image incident from 120 is focu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6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터치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역할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60 may serve a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various touch commands or information from a user.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부(110)와, 카메라(120)와, 입력부(130)와, 메모리(140)와, 음향부(150)와, 표시부(160)를 포함한 상기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과정이 상기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overall of the terminal 100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camera 120, the input unit 130, the memory 140, the sound unit 150, and the display unit 160. An operation is controlled and an image cap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terminal 10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의 영상 촬영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capturing process of a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입력부(130)의 카메라(120) 구동을 위한 키를 누르면, 제어부(170)는 상기 카메라(120)를 구동시키고(S201), 상기 카메라(120)로부터 피사체 영상을 입사받는다(S202).Referring to FIG. 2, when a user presses a key for driving the camera 120 of the input unit 130 to capture an image, the controller 170 drives the camera 120 (S201) and the camera 120. In step S202, the subject image is incident.

제어부(170)는 상기 영상이 입사되면, 상기 입사되는 영상의 포커스를 위한 측거점을 복수개 이상 표시부(160) 화면상에 표시한다(S203).When the image is incident, the controller 170 displays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for focusing the incident imag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S203).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상기 측거점의 표시 위치 및 표시 갯수를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manipulate the input unit 120 to change the display position and the number of display of the ranging poi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60)가 터치 스크린 타입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상기 측거점의 표시 위치 및 표시 갯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screen type,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screen to change the display position and the number of display of the reference point.

제어부(170)는 상기 측거점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측거점이 선택되면(S204),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120)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의 초점을 맞춘다(S205).The controller 170 is incident from the camera 12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point when the at least one point is selec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30 in the state that the point is displayed (S204) The image is focused (S205).

또한, 상기 표시부(160)가 터치 스크린 타입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측거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160 is a touch screen type,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screen to select a reference point.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측거점이 선택이 되면, 상기 선택된 측거점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을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상에 서로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ange point is selected,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selected range point and the unselected range point to be identifi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즉,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의 표시 크기, 표시 색상, 및 표시 밝기 중 어느 하나를 서로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현재 측거점을 선택하였는지, 또는 어떤 측거점을 선택했는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170 displays one of the selected location point and the non-selected location point, the display color, and the display brightness differently, so that the user himself or herself has selected the current location point. You may want to know if you have chosen a stronghold.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및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 설정된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add and display a preset image effect on any one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selected range point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unselected range points.

이하,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에 상기 영상 효과를 부가할 경우에 제어부(17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ontroller 170 when the image effect is added to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reference poi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즉,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에 의해 상기 영상이 포커싱된 상태에서,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포커싱된 영상에 영상 효과를 부가하기 위한 키 신호 또는 터칭이 입력되면(S206), 상기 영상 효과 목록을 상기 표시부(160) 화면상의 일 영역에 표시한다(S207).That is, when the image is focused by the selected point, the controller 170 receives a key signal or a touch for adding a video effect to the focused imag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30 (S206). In operation S207, the image effect list is displayed on an area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카메라(120)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의 표시가 방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영상 효과 목록을 불투명하게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160) 화면상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않는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0 does not display the image effect list opaquely or does not display the imag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within a range in which the display of the image incident from the camera 120 is not disturbed. You can also mark the area.

또한, 상기 영상 효과는 Blur 효과, Gradation 효과, Brush stroke 효과, Noise 효과, Sketch 효과, 흑백 효과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The image effect may be at least one of a blur effect, a gradation effect, a brush stroke effect, a noise effect, a sketch effect, and a black and white effect.

제어부(170)는 상기 영상 효과 목록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S208), 상기 선택된 영상 효과를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에 부가하여 표시한다(S209).If at least one is selected from the user on the list of video effects (S208), the controller 170 adds the selected video effect to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point of reference and displays the image (S209).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이 포커싱된 상태에서,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에 상기 영상 효과를 부가하기 위한 키 신호 또는 터칭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효과 목록을 상기 표시부(160) 화면상의 일 영역에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range point is focused, the controller 170 may input a key signal or touch for adding the image effect to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nselected range point. The video effect list is displayed in one area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제어부(170)는 상기 영상 효과 목록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S208), 상기 선택된 영상 효과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에 부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If at least one is selected from the user on the list of video effects (S208), the controller 170 may add the selected video effect to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unselected range points and display the same.

상기와 같이, 영상이 포커싱된 후에, 상기 포커싱된 영역의 영상 또는 상기 포커싱되지 않은 영역의 영상에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음에 따라, 종래의 단말기에서 표현하지 못했던 고급 촬영 기법을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에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image is focused, an image effect may be added and displayed on the image of the focused region or the image of the unfocused region. It can be provided by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낸 일 실 시예 화면 설명도이다.3A and 3B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종래의 화면의 정중앙에 하나의 측거점(노란색)이 표시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는 표시부(160)의 화면상에 다수의 측거점들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3A, unlike one display point (yellow) displayed at the center of a conventional screen,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n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사용자가 표시된 측거점들 중 어느 하나의 측거점(노란색)을 선택하면, 상기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영상을 포커싱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displayed points (yellow), the control unit 170 of the terminal 100 focuses the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point.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측거점(노란색)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적색)의 표시 크기, 표시 색상, 및 표시 밝기 중 어느 하나를 서로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현재 측거점을 선택하였는지, 또는 어떤 측거점을 선택했는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3a, by displaying any one of the display size, display color, and display brightness of the selected point (yellow) and the non-selected point (red)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user himself You can see if you have selected a current point or which point you have selected.

도 3b를 참조하면, 다수의 측거점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중앙의 측거점(노란색)이 선택되면, 영상을 중앙을 중심으로 포커싱한다.Referring to FIG. 3B, when a center point (yellow) is selected while a plurality of point points are displayed, the image is focused about the center.

이후, 영상 효과 목록상에서 Blur 영상 효과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중앙 측거점(노란색)을 제외한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적색)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에 상기 Blur 영상 효과 부가하여 표시한다.Then, when the Blur image effect is selected on the image effect list, the Blur image effect is added to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unselected range points (red) except for the selected center point (yellow).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apturing an image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10 : 통신부 120 : 카메라110: communication unit 120: camera

130 : 입력부 140 : 메모리130: input unit 140: memory

150 : 음향부 160 : 표시부150: sound unit 160: display unit

170 : 제어부170: control unit

Claims (16)

카메라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의 포커스를 위한 측거점을 복수개 이상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plurality of points of focus for focusing an image incident from a camera; 상기 표시된 측거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및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range points; And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포커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And focusing the image around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reference poi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부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The selecting step, the image capturing method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via any one of the input unit or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거점은, 표시 위치 및 표시 갯수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The reference point is a video recording method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osition and the number of display can be chang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된 측거점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을 서로 식별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And displaying the selected point and the non-selected point to be identified with each oth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의 표시 크기, 표시 색상, 및 표시 밝기 중 어느 하나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The displaying may include displaying any one of a display size, a display color, and a display brightness of the selected range point and the non-selected range point different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및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 설정된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And adding and displaying a preset image effect on any one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selected location point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non-selected location point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영상 효과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list of visual effects; 상기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효과가 선택되는 단계; 및Selecting at least one video effect from the list; And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및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선택된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And adding the selected image effect to one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selected reference point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non-selected reference points.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영상 효과는, Blur 효과, Gradation 효과, Brush stroke 효과, Noise 효과, Sketch 효과, 흑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 상 촬영 방법.The image effect is at least one of a Blur effect, Gradation effect, Brush stroke effect, Noise effect, Sketch effect, black and white effect. 피사체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A camera for receiving a subject image;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포커스를 위한 측거점을 복수개 이상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oints of focus for focusing an image input from the camera;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측거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및An input uni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ranging poi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상기 입력부로부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포커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focus the image based on a position of a reference point selected from the input unit.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측거점은, 표시 위치 및 표시 갯수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measuring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osition and the number of display can be changed.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표시부가 터치 스크린 타입이면,If the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typ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칭된 측거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포커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focusing the image around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touched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을 서로 식별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the selected point and the unselected point in the display unit to be identified with each other.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과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의 표시 크기, 표시 색상, 및 표시 밝기 중 어느 하나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fferently display any one of a display size, a display color, and a display brightness of the selected range point and the unselected range point.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및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 설정된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a preset image effect on any one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selected location point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unselected location points.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영상 효과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효과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측거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및 상기 선택되지 않은 측거점들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선택된 영상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isplay a list of image effects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at least one image effect is selected from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corresponds to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selected range point and positions of the unselected range points. And displaying the selected video effect on one of the video.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영상 효과는, Blur 효과, Gradation 효과, Brush stroke 효과, Noise 효과, Sketch 효과, 흑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image effect is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Blur effect, Gradation effect, Brush stroke effect, Noise effect, Sketch effect, black and white effect.
KR1020070075843A 2007-07-27 2007-07-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reof KR1013415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843A KR101341505B1 (en) 2007-07-27 2007-07-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843A KR101341505B1 (en) 2007-07-27 2007-07-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55A true KR20090011855A (en) 2009-02-02
KR101341505B1 KR101341505B1 (en) 2013-12-16

Family

ID=4068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843A KR101341505B1 (en) 2007-07-27 2007-07-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505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4800A (en) 1999-02-22 2000-09-08 Victor Co Of Japan Ltd Image pickup device
JP2001159730A (en) * 1999-12-02 2001-06-12 Ricoh Co Ltd Electronic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505B1 (en)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94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camera shutter
US11470294B2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converting image from raw format to RGB format
US85828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 with suitable compos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KR20190021138A (en) Electronic device which stores depth information associating with image in accordance with Property of depth information acquired using image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2811313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2004343747A (en) Photograph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KR1014950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ene inform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of
US20200059597A1 (en) Shooting method and terminal
CN108986117B (en) Video image segmentation method and device
KR20130024007A (en) Image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338743B (en) Interfa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6300076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US10084956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5732175B2 (en) Image file gener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5713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luminance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reof
KR10134150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reof
KR101700360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CN107682623B (en) Photographing method and device
CN112506393B (en) Icon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422809B (e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0933300B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terminal equipment
JP2007124015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8749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thereof
JP661657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ing apparatus
JP2005250677A (en)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device setting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