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821A -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 패널을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 패널을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821A
KR20090011821A KR1020070075788A KR20070075788A KR20090011821A KR 20090011821 A KR20090011821 A KR 20090011821A KR 1020070075788 A KR1020070075788 A KR 1020070075788A KR 20070075788 A KR20070075788 A KR 20070075788A KR 20090011821 A KR20090011821 A KR 20090011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cher
prefabricated
wall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병
Original Assignee
김기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병 filed Critical 김기병
Priority to KR102007007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821A/ko
Publication of KR20090011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황토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황토패널은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편평한 패널 케이스; 상기 패널 케이스 내부에 충진되며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충전물; 및 상기 패널 케이스를 벽체에 고정하는 패널 케이스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제조 비용을 절감되고 매우 쉽게 시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황토층의 갈라짐이 발생할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전체 면을 새로 시공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갈라짐이 발생한 패널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조립식, 황토, 황토패널

Description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 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Prefabricated Loess Pan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조립식 황토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 각지에서 채취되는 양질의 황토를 케이스 안에 인입시켜 조립에 의하여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황토패널을 형성함으로써, 황토의 자연적인 질감과 장식 및 의학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조립식 황토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내장재로는 시멘트 및 석고 분에 장력 재료인 석면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석고보드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석고보드는 취급시 석고분말이 손에 묻거나 가루상태로 비산되어 작업자는 물론 석고보드를 내장재로 쓴 건물에서 생활하는 사람에게 기관지염 등을 유발시키게 되고, 발암물질인 석면이 시간의 경과로 산화되면서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폐암 및 각종 암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고와 시멘트는 중량물이어서 생산된 석고보드의 무게가 무거워 시공에 따른 취급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운반해야 하므로 인건비에 의한 시공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석고보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내장재가 개발되어 왔으며, 또한 다양한 물질로 건축물의 내면(특히 벽면)을 처리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즉, 점토를 고온에서 소결하여 구성하는 타일류의 내장재, 천연목을 소재로 하는 무늬목 패널, 섬유시트를 입힌 합성수지 패널, 비철금속재료를 사용한 경화 패널 등 수많은 종류의 내장재가 실용화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은 그 특성에 따라 제조비용이 높거나, 장식성이 단조롭거나, 환경보존에 역행하는 등의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황토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많은 시도들이 있다. 황토를 이용하는 것은 장식적인 측면 이외에도, 황토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과 황토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성인병 예방 및 건강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렇게 황토를 이용하는 것의 대표적인 방법은 황토를 벽면에 도포하여 미장을 하거나, 황토패널을 형성하여 벽면에 부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황토를 벽면에 도포하여 미장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미장을 한 황토층이 갈라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전체 벽면을 새로이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황토패널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벽면에 시공하기가 용이하 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황토를 패널 케이스 내에 인입하여 패널화하고, 이들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조 후 갈라짐이 발생하여 전체 벽면을 새로이 시공하여야 했던 종래 황토를 이용하는 것의 단점 및 그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이 어려웠던 종래 황토패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조립식 황토패널은,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편평한 패널 케이스; 상기 패널 케이스 내부에 충진되며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충전물; 및 상기 패널 케이스를 벽체에 고정하는 패널 케이스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 케이스에는 그 전면 외곽을 따라 상기 충전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케이스의 고정수단으로는 상기 패널 케이스의 외주 면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을 위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 케이스를 상기 벽체에 고정시키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황토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의 제조방법은, 채집된 황토를 채반으로 걸러서 황토를 선별하는 단계; 패널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층위에 황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황토층 위에 망사 천 층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망사 천 층위에 황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그늘에서 자연건조시키는 양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양생 단계 이후에, 상기 황토층 표면에 코팅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토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황토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패널 케이스의 내부에 충전물이 충전된 황토패널을 벽체에 접촉하는 단계; 상기 황토패널의 외곽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황토패널을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황토패널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몰딩하여 상기 플랜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 케이스 안에 황토를 충진하여 패널형태로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매우 쉽게 시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황토층의 갈라짐이 발생할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전체 면을 새로 시공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갈라짐이 발생한 패널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100)은 실내의 벽체(W)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편평한 패널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상기 패널 케이스(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패널 케이스(110) 내부에는 후술할 충전물(120)을 충진하기 위한 내부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 케이스(110) 내부공간(111)에는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충전물(120)이 충진된다.
상기 충전물(120)이 상기 패널 케이스(110)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그 외곽을 따라 상기 충전물(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턱(1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황토패널(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이탈방지 턱(113)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물(120)은 상기 패널 케이스(110) 바닥면으로부터 프라이머 층(121), 황토층(123), 망사 천 층(125), 그리고 황토층(127)의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통상, 프라이머는 아크릴 물감이나 페인트 등을 칠하기 전에 먼저 바르는 일종의 하도재인데, 상기 프라이머 층(121)에 의해서 황토층(123)이 패널 케이스(110)에 잘 부착되게 된다. 상기 망사 천 층(125)도 황토층(123, 127)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떨어지지 않고 잘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황토패널(100)을 실내의 벽체(W)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30)으로는, 상기 패널 케이스(110)의 외주 면에 볼트 체결을 위한 플랜지부(131)와, 상기 플랜지부(131)에 삽입되어 상기 황토패널(100)을 상기 벽체(W)에 고정시키는 볼트(133)가 있다.
상기 플랜지부(131)는 패널 케이스(110)의 외곽 4면에 예를 들어, 2개씩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플랜지부(131)에는 볼트 홀(1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 홀(135)에 볼트(133)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황토패널(100)이 실내의 벽체(W)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의 제조방법은 채집된 황토를 적당한 채반으로 걸러서 황토를 선별한다(S1).
그 다음, 패널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한다(S2).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 층은 황토층이 패널 케이스에 잘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 상기 프라이머 층위에 황토층을 형성하고(S3), 상기 황토층 위에 망사 천 층을 설치한다(S4). 여기서 상기 망사 천 층은 황토층이 떨어지지 않고 잘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 상기 망사 천 층위에 황토층을 형성하고(S5), 소정 기간 동안 그늘에서 자연건조시켜 양생시킨다(S6).
상기 양생 단계(S6) 이후에, 상기 황토층 표면에 코팅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미도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의 시공방법은 우선, 패널 케이스(110)의 내부에 충전물(120)이 충전된 황토패널(100)을 실내의 벽체(W)에 접촉시킨다.
그 다음, 상기 황토패널(100)의 외곽에 형성된 플랜지부(131)에 볼트(133)를 삽입하여, 상기 황토패널(100)을 벽체(W)에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황토패널(100)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몰딩(M1)하여 상기 플랜지부(13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케이스(110')의 형상을 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로 제조할 수도 있으며, 패널 케이스의 형상은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200)은 패널 케이스 고정수단(230)으로, 상기 벽체(W)에 고정되며, 중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 홈(231a)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31)과, 상기 가이드 레일(2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패널 케이스(210)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 홈(231a)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213)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233)를 구비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의 시공방법은 실내의 벽체(W)에 가이드 레일(231)을 고정한다. 이때 가이드 레일(231)은 통상의 체결방법, 볼트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서 실내의 벽체(W)에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231)의 삽입 홈(231a)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 돌기(233)를 삽입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231)에 상기 황토패널(200)을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23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황토패널(200)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몰딩(M2)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 널(300)은 패널 케이스 고정수단(330)으로, 상기 벽체(W)에 고정되며, 내측 면에 끼움 홈(h1)(h2)이 형성되는 상,하측 가이드 레일(331)(333)과, 상기 상,하측 가이드 레일(331)(33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패널 케이스(310)의 배면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상,하측 가이드 돌기(335)(337)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상측 가이드 레일(331)의 끼움 홈(h1)에 상기 상측 가이드 돌기(335)를 삽입하고, 나중에 상기 하측 가이드 레일(333)의 끼움 홈(h2)에 상기 하측 가이드 돌기(337)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하측 가이드 레일(331)(333)에 상기 황토패널(300)이 결합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의 시공방법은 실내의 벽체(W)에 상,하측 가이드 레일(331)(333)을 고정한다.
그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가이드 레일(331)의 끼움 홈(h1)에 패널 케이스(310)의 상측 가이드 돌기(335)를 끼운다.
그 다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가이드 레일(333)과 상기 하측 가이드 돌기(337) 사이에 생긴 틈새를 이용하여 상기 하측 가이드 레일(333)에 상기 하측 가이드 돌기(337)를 삽입한다.
그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331)(33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황토패널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몰딩(M3)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에 있어서, 패널 케이스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을 보인 사시도다.
도 7은 도 6의 종단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황토패널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편평한 패널 케이스;
    상기 패널 케이스 내부에 충진되며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충전물; 및
    상기 패널 케이스를 벽체에 고정하는 패널 케이스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황토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케이스에는 그 전면 외곽을 따라 상기 충전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황토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턱에는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황토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은 상기 패널 케이스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프라이머 층, 황토층, 망사 천 층, 그리고 황토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황토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케이스 고정수단은
    상기 패널 케이스의 외주 면에 볼트 체결을 위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 케이스를 상기 벽체에 고정시키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황토패널.
  6. 채집된 황토를 선별하는 단계;
    패널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층위에 황토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황토층 위에 망사 천 층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망사 천 층위에 황토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그늘에서 자연건조시키는 양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황토패널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 단계 이후에, 상기 황토층 표면에 코팅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황토패널의 제조방법.
  8. 패널 케이스의 내부에 충전물이 충전된 황토패널을 벽체에 접촉하는 단계;
    상기 황토패널의 외곽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황토패널을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황토패널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몰딩하여 상기 플랜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황토패널의 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케이스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의 벽면에 고정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패널 케이스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 홈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황토패널.
  10. 벽체에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레일의 삽입 홈을 통해서 가이드 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황토패널을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황토패널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황토패널의 시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케이스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의 벽면에 고정되며, 내측 면에 끼움 홈이 형성되는 상,하측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상,하측 가이드 레일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패널 케이스의 배면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끼움 홈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지는 상,하측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황토패널.
  12. 벽체에 상,하측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상측 가이드 레일의 끼움 홈에 패널 케이스의 상측 가이드 돌기를 끼우는 단계;
    상기 하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하측 가이드 돌기 사이에 생긴 틈새를 이용하여 상기 하측 가이드 레일에 상기 하측 가이드 돌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황토패널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식 황토패널의 시공방법.
KR1020070075788A 2007-07-27 2007-07-27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 패널을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011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788A KR20090011821A (ko) 2007-07-27 2007-07-27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 패널을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788A KR20090011821A (ko) 2007-07-27 2007-07-27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 패널을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21A true KR20090011821A (ko) 2009-02-02

Family

ID=4068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788A KR20090011821A (ko) 2007-07-27 2007-07-27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 패널을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8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62Y1 (ko) * 2009-05-29 2012-04-04 조대연 조립식 황토 패널 구조
KR20160090232A (ko) * 2015-01-21 2016-07-29 조신복 교체벽지를 구비한 조립식 황토판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62Y1 (ko) * 2009-05-29 2012-04-04 조대연 조립식 황토 패널 구조
KR20160090232A (ko) * 2015-01-21 2016-07-29 조신복 교체벽지를 구비한 조립식 황토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5393B2 (en) Wall panel
US20140083040A1 (en) Insulated wall panel
US20130097950A1 (en) Fiber Enforced Thin Brick Sheet and Process
SK7892003A3 (en) Wall boards or panel boards for use in interior construction and dry construction
RU245114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узора на здании на месте нахождения
CN109653409A (zh) 一种墙面安装结构及安装方法
US9803369B2 (en) Flexible cladding wrap, system and methods
AU2016342075B2 (en) Wall panel
KR20090011821A (ko)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립식 황토 패널을이용한 시공방법
CA2511758A1 (en) Decorative exterior wall panel
KR20130027857A (ko) 건물외장용 콘크리트 패널
RU103830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защитно-декоративн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KR100744799B1 (ko) 건축용 내외장재 부착패널
RU156288U1 (ru) Деревянная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RU71352U1 (ru) Облицовка для цветной мозаично-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и помещений
RU164667U1 (ru) Дверное полотно
RU165594U1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с невидимым креплением
JP2009523203A (ja) 石膏パネルの壁の製造方法
KR200410046Y1 (ko) 건축용 내외장재 부착패널
RU160106U1 (ru) Деревянная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CN109653406A (zh) 一种顶角滑动轨道及其安装方法
CN109653407A (zh) 一种墙面调平轨道及其安装方法
US9080332B1 (en) Concrete log siding
CN109653408A (zh) 一种地脚插入式滑动轨道及其安装方法
ITTV20120112A1 (it) Piastrella per il rivestimento di strutture murar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