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929U - Water meter - Google Patents

Water m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929U
KR20090010929U KR2020080005356U KR20080005356U KR20090010929U KR 20090010929 U KR20090010929 U KR 20090010929U KR 2020080005356 U KR2020080005356 U KR 2020080005356U KR 20080005356 U KR20080005356 U KR 20080005356U KR 20090010929 U KR20090010929 U KR 200900109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ction
usage
temperature
usage data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3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홍기
Original Assignee
(주)위지트
(주)제노텔
주식회사 두레콤
(주)오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지트, (주)제노텔, 주식회사 두레콤, (주)오윈트 filed Critical (주)위지트
Priority to KR2020080005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929U/en
Publication of KR20090010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92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01F1/07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여 유량신호를 제공하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수도미터기에 있어서;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유입구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감지하여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유량부와; 상기 유량부의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체 사용량을 연산하여 전체 사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온도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받아 온도 구간별 사용량을 연산하여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각각 저장시키고, 전체 사용량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체 사용량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외부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전체 사용량 데이터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e per temperature se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water meter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nd an impeller rotating by the flow of the flow in the main body to provide a flow signal;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side the inlet for sensing a temperature; A flow rate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 of the impeller and generating a pulse signal; Receives the pulse signal of the flow rate unit and calculates the total amount of usage to store the total amount of usage data,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to calculate the amount of usage by the temperature section to store the amount of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to display the total amount of usage and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total usage data and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through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온수 또는 난방수의 사용량을 온도구간별로 적산하여 온도별 사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온도별 사용량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온도 구간별로 차등 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is accumulated by temperature section to store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and by using the temperature-specific usage data to charge the differential fee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to achieve efficient energy management Can lose.

수도미터기, 온수, 난방수,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 Water meter, hot water, heating water, temperature, section, usage, storage

Description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WATER METER}Water meter which can save usage by temperature section {WATER METER}

본 고안은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온수 또는 난방수의 사용량을 온도구간별로 적산하여 온도별 사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온도별 사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usage amount by temperature section, in detail,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is stored by accumulating the usage amount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by temperature section, and transmitting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It relates to a water meter that can store usage.

우리나라의 난방 시스템은 열매체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형식이고, 방바닥에 배관을 하여 방열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The heating system in Korea is a type that heats and heats the heating medium, and uses a method of radiating heat by piping to the floor.

한편, 주택의 난방은 열공급 시스템에 따라 구분되는데, 개별난방, 중앙난방, 그리고 지역난방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of house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eat supply system, which includes individual heating, central heating, and district heating.

먼저, 개별난방은 난방이 필요한 방마다 개별의 열원으로부터 열을 공급하는 방식이고,First, individual heating is a method of supplying heat from an individual heat source for each room requiring heating,

중앙난방은 한 건물에서 필요한 난방을 한 곳에서 공급하는 방식으로 각 세대에 열매체를 공급하여 난방하는 것이며, 지역난방은 지역내 필요한 열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Central heating is a method of supplying the heating required by one building in one place, and heating by heating the heating medium to each household, and district heating is a method of supplying the necessary heat in the area continuously and simultaneously.

이러한 난방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열(에너지)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도미터기(온수미터)를 사용하게 된다.Water meters (hot water meters) are used to efficiently manage the heat (energy) supplied from such a heating system.

일반적인 수도미터기는 온수 또는 난방수가 공급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의 사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량을 통해 과금을 수행한다.A general water meter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hot water or heating water is supplied, measures the amount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supplied, and charges through the measured amount.

그러나, 온수 또는 난방수는 공급 온도에 따라 열량(에너지)이 다르게 되고, 온수 또는 난방수의 공급 온도가 일정 온도(예를 들면, 30℃) 이상인 경우 온수 또는 난방수의 역할을 수행하고, 그 이하의 공급 온도는 실제 온수 또는 난방수로서의 효용이 없으나, 종래의 수도미터기는 온도와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전체 사용량을 기준으로 과금하기 때문에 소비자측면에서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mount of heat (energy)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pply temperature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and when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or heating wate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30 ° C), it serves as hot water or heating water. The following supply temperature is not useful as actual hot water or heating water, but the conventional water meter has an unreasonable problem in terms of consumers because the water meter is charged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usage unilaterally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의 사용량을 온도구간별로 적산하여 온도별 사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온도별 사용량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온도 구간별로 차등 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ccumulating the usage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by temperature section to store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by sending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o as to charge a differential fee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e of each temperature section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여 유량신호를 제공하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수도미터기에 있어서;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유입구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감지하여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유량부와; 상기 유량부의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체 사용량을 연산하여 전체 사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온도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받아 온도 구간별 사용량을 연산하여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각각 저장시키고, 전체 사용량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체 사용량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외부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전체 사용량 데이터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ter meter having a main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nd an impeller rotating inside the main body by a flow of the flow to provide a flow signal;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side the inlet for sensing a temperature; A flow rate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 of the impeller and generating a pulse signal; Receives the pulse signal of the flow rate unit and calculates the total amount of usage to store the total amount of usage data,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to calculate the amount of usage by the temperature section to store the amount of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to display the total amount of usage and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total usage data and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through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에서 일정 온도 이하의 사용량은 미연산한다.Here, the control unit does not calculate the amount of usage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amount of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여기에서 또한, 상기 온도 구간별 데이터는 10℃ 단위로 구별된다.Here, the temperature section-specific data is distinguished in units of 10 ° C.

여기에서 또,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외부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모드 변환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Here, th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 mode conversion switch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n external operation signal.

여기에서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환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드 변환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전체 사용량 데이터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ode conversion switch and sequentially display the total us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mode conversion switch and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Outpu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에 따르면, 온수 또는 난방수의 사용량을 온도 구간별로 저장하고, 이를 원격 검침할 수 있기 때문에 온수 또는 난방수의 사용에 따를 과금을 온도에 따라 차등 부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usage amount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age of the hot water or heating water can be stored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nd the meter can be remotely read so that charging according to the use of the hot water or heating water is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mposed differentiall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또한, 실제 온수 또는 난방수로서 사용할 수 없는 일정 온도 이하의 온수 또는 난방수가 공급되는 경우 이의 사용량은 배제시킴으로써 합리적인 에너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hot water or heating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that cannot be used as actual hot water or heating water is suppl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rational energ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by excluding the use amount thereof.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e of the temperature inter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 터기(100)는 본체(110)와, 임펠러(120)와, 전원 공급부(130)와, 온도 센서(140)와, 유량부(150)와, 제어부(160)와, 디스플레이부(170)와, 통신부(18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the water heater 100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e of the temperature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n impeller 120, a power supply 130, a temperature sensor 140, The flow rate unit 150, the control unit 160,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80.

먼저, 본체(110)는 통상의 가스미터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유입구(111)와 유출구(113)를 갖는다.First, the main body 110 has an inlet 111 and an outlet 113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gas meter.

그리고, 임펠러(120)는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며, 하기에서 설명할 유량부(150)에서 회전 검출이 가능하도록 표면에 동기 유발장치 예컨대 자석과 같은 물질이 부착된다.In addition, the impeller 12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rotates by the flow of the flow rate, and a material such as a synchronous induction device such as a magnet is attached to the surface to enable rotation detection in the flow rate unit 150 to be described below. do.

또한, 전원 공급부(130)는 본체(110) 내에 설치되고, 배터리로서 각 구성부에 필요 전원(DC)을 공급한다. 이때, 전원 공급부(130)는 상용 전원(AC 220V)을 공급받아 각 구성부에 필요 전원(DC)을 공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and supplies necessary power DC to each component unit as a battery.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receive the commercial power (AC 220V) to supply the necessary power (DC) to each component.

또한, 온도 센서(140)는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며, 유입구(111)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입구(111)를 통해 공급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여기에서, 온도 센서(140)를 배출구(113)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140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0, and installed inside the inlet 111 to measure and output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1. Here, the temperature sensor 140 may be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113.

또, 유량부(150)는 본체(110) 내에 설치되고,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며, 임펠러(120)의 회전을 감지하여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에서, 유량부(150)는 자화센서(리드 스위치, MR 센서, 홀센서 등)와, 광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이며,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low rate unit 15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and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0, and detects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20 to generate a pulse signal. Here, the flow rate unit 150 is a magnetization sensor (lead switch, MR sensor, Hall sensor, etc.), an optical sensor or an image sensor,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are installed to prevent malfunction.

한편, 제어부(160)는 본체(110) 내에 설치되고,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며, 유량부(150)의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체 사용량을 연산 하여 메모리(161)에 전체 사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온도 센서(140)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받아 온도 구간별 사용량을 연산하여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메모리(161)에 저장시키고, 전체 사용량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어부(160)는 하기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70)의 모드 변환 스위치(17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모드 변환 스위치(17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메모리(161)에 저장된 전체 사용량 데이터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또한, 제어부(160)는 실제 온수 또는 난방수로서 사용할 수 없는 일정 온도 이하의 온수 또는 난방수가 공급되는 경우 이의 사용량은 배제시키도록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에서 일정 온도(예를 들어, 30℃) 이하의 사용량은 미연산한다. 여기에서 또한, 온도 구간별 데이터는 10℃ 단위(예를 들면, 31~40℃, 41~50℃, …)로 구별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6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is operated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30, receives the pulse signal of the flow rate unit 150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use to the memory 161 Stores the total usage data,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40, calculates the usage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stores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in the memory 161, and displays the total usage and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Here, the controller 160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mode conversion switch 171 of the display unit 170 to be described below, the total amount of usage stored in the memory 161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mode conversion switch 171.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70 to sequentially display the data and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Here, the control unit 160 is a certain temperature (for example, 30 ℃ in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to exclude the amount of use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below a certain temperature that can not be used as actual hot water or heating water is supplied) The following usage amount is not calculated. Here, th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re further divided into 10 ° C units (for example, 31 to 40 ° C, 41 to 50 ° C, ...).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70)는 LCD로서 본체(110)의 외측에 설치되고,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며,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체 사용량 데이터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7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모드 변환 스위치(171)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모드 변환 스위치(171)는 버튼 스위치, 딥 스위치, 터치 스위치 등이 사용되고, 조작 회수에 따라 디스플레이값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7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as an LCD, and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0, and receives control signal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60 to receive total usage data and temperature. Display usage data by section. Here, the display unit 170 further includes a mode conversion switch 171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user's operation signal. Here, the mode change switch 171 is preferably a button switch, a dip switch, a touch switch, or the like, and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display value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또한, 통신부(180)는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전원 공급부(130)의 전 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며, 원격 검침을 위해 외부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전체 사용량 데이터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통신부(180)는 외부의 기기, 예를 들면 휴대용 스토리지 장치 및 별도의 외부 통신기기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스토리지 장치로 메모리(161)에 저장된 전체 사용량 데이터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으며, 별도의 통신장치와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통신장치를 통해 접속하여 검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8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is operated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30, the entire usage data and temperature section through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for remote meter reading Send usage data for each star.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connect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a separat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to back up the entire us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161 and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to the portable storage device. In addition, it can be connected to a separate communication device and read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at a remote location.

이하, 본 고안에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e per temperature s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3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usage amount of each temperature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전원 공급부(130)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이 온되면(S110), 제어부(160)는 유량부(150)로부터 온수 또는 난방수의 일정 유량마다 출력되는 신호인 유량펄스를 체크한다(S120).First,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0 and the system is turned on (S110), the controller 160 checks a flow rate pulse that is a signal output for each predetermined flow rate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from the flow rate unit 150 (S120). ).

체크결과 유량펄스가 있으면(S130), 제어부(160)는 공급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의 공급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는다(S140).If the check result is a flow pulse (S130), the controller 160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40 for measuring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supplied hot water or heating water (S140).

그리고 제어부(160)는 유량펄스를 통해 온수 또는 난방수의 전체 사용량을 적산하여 전체 사용량 데이터를 메모리(161)에 저장시킨다(S150).The controller 160 accumulates the total amount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through the flow pulse and stores the total amount of usage data in the memory 161 (S150).

이와 동시에 제어부(160)는 온도 센서(1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통해 온수 또는 난방수의 온도를 확인하여 특정 온도 구간에서의 사용량을 적산하여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메모리(161)에 저장시킨다(S160).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160 check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or the heating water through the signal out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40, accumulates the amount of usage in a specific temperature section, and stores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in the memory 161 ( S160).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온수 또는 난방수의 공급 온도가 35℃이고, 1.0㎥/h가 공급되다가, 온수 또는 난방수의 공급 온도가 45℃로 변경되어 2.0㎥/h가 공급되었다면 제어부(160)는 전체 사용량 데이터를 3.0㎥/h로 저장하고,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31~40℃로 1.0㎥/h, 41~50℃로 2.0㎥/h로 저장한다.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60 has a supply temperature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is 35 ° C., 1.0 m 3 / h is supplied, and the supply temperature of hot water or heating water is changed to 45 ° C. so that 2.0 m 3 / h is obtained. If supplied, the controller 160 stores the total usage data at 3.0 m 3 / h, and stores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t 1.0 m 3 / h at 31 to 40 ° C. and 2.0 m 3 / h at 41 to 50 ° C.

그리고, 제어부(160)는 누적되어 저장된 전체 사용량 데이터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170).The controller 160 displays accumulated and stored total usage data and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on the display unit 170 (S170).

한편,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모드 변환 스위치(171)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여(S180), 입력되는 경우 모드 변환 스위치(17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메모리(161)에 저장된 전체 사용량 데이터 또는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190).Meanwhile, 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 output signal of the mode conversion switch 171 of the display unit 170 is input (S180), and if so, the memory 161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mode conversion switch 171. The entire usage data or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S190).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various for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e per temperature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e per temperature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Figure 3 is an operation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usage amount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본체 120 : 임펠러110: body 120: impeller

130 : 전원 공급부 140 : 온도 센서130: power supply unit 140: temperature sensor

150 : 유량부 160 : 제어부150: flow rate unit 160: control unit

170 : 디스플레이부 180 : 통신부170: display unit 180: communication unit

Claims (5)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여 유량신호를 제공하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수도미터기에 있어서;A water meter having a main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nd an impeller rotating inside the main body by a flow of the flow to provide a flow signal;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상기 유입구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side the inlet for sensing a temperature;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감지하여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유량부와;A flow rate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 of the impeller and generating a pulse signal; 상기 유량부의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체 사용량을 연산하여 전체 사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온도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받아 온도 구간별 사용량을 연산하여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각각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전체 사용량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Receives the pulse signal of the flow rate unit and calculates the total amount of use to store the total amount of usage data,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to calculate the amount of use by the temperature section to store the amount of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in the memory, respectively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usage amount and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체 사용량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to display the total amount of usage and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And 외부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전체 사용량 데이터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A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usage amount of each temperature section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total usage data and the usage data of each temperature section through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에서 일정 온도 이하의 사용량은 미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The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age of each temperature section is uncomputed in the amount of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온도 구간별 데이터는,Th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10℃ 단위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e per temperature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distinguished by 10 ℃ uni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부는,The display unit, 외부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모드 변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A water meter capable of storing the amount of usage per temperature section further comprising a mode conversion switch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n external operation sign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모드 변환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드 변환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전체 사용량 데이터 및 온도 구간별 사용량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Receiving a output signal of the mode conversion switch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sequentially displaying the total us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mode conversion switch and the usage data for each temperature section; Water meter that can be used for each section.
KR2020080005356U 2008-04-23 2008-04-23 Water meter KR2009001092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356U KR20090010929U (en) 2008-04-23 2008-04-23 Water m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356U KR20090010929U (en) 2008-04-23 2008-04-23 Water m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929U true KR20090010929U (en) 2009-10-28

Family

ID=4155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356U KR20090010929U (en) 2008-04-23 2008-04-23 Water m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929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869B1 (en) * 2017-09-04 2019-03-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Hot water meter and server for managing hot water supply
KR20210046173A (en)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아메리칸비앤케이 Self-generat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faucet with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869B1 (en) * 2017-09-04 2019-03-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Hot water meter and server for managing hot water supply
KR20210046173A (en)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아메리칸비앤케이 Self-generat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faucet with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2120B (en) Energy supply/demand control system
CN103185398B (en) Devic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vailable time of hot water for water-storing electric water heater
EP245066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ortioning usage of a utility in a multi-unit building
JP4836115B2 (en) Gas metering system
KR20090010929U (en) Water meter
KR200468933Y1 (en) Measuring apparatus to measure discharge and read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453850Y1 (en) Water meter
JP6100186B2 (en) Gas meter
JP5874415B2 (en) Energy consumption display device
US20110282499A1 (en) Control for indicating available hot fluid supply
JP2007299200A (en) Load survey system
KR20070005829A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GB2416852A (en) Power consumption cost monitoring device
KR20110026208A (en) An integration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integrating operation function
JP2003098191A (en) Controller
KR200402054Y1 (en) Calorimeter
KR20040014100A (en) Development of digital wattmeter for module type remote metering function
CN212870261U (en) Residual washable bath duration forecasting device for water storage type electric water heater
KR101839916B1 (en) Measuring device for inspection of leaking gas
JP20002665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tate of using gas apparatus
KR100445975B1 (en) Apparatus for remotely examining gauge
KR101654037B1 (en) Central control type houses smart grid devices
RU116228U1 (en) DEVICE FOR MEASURING FLUID AND HEAT CONSUMPTION
JP4853092B2 (en) Gas usage status identification device
KR200294764Y1 (en) Development of self diagnosis type digital watt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