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741U - Plastic Floor - Google Patents

Plastic Fl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741U
KR20090010741U KR2020080009865U KR20080009865U KR20090010741U KR 20090010741 U KR20090010741 U KR 20090010741U KR 2020080009865 U KR2020080009865 U KR 2020080009865U KR 20080009865 U KR20080009865 U KR 20080009865U KR 20090010741 U KR20090010741 U KR 200900107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looring
face plate
present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8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잉-쿠앙 레이
Original Assignee
잉-쿠앙 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잉-쿠앙 레이 filed Critical 잉-쿠앙 레이
Priority to KR2020080009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741U/en
Publication of KR20090010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4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6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이 용이하고 면판의 교체가 가능한 새로운 조립 구조를 갖는 바닥재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단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연결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오목홈 내에 끼움 결합되는 면판;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연결구멍과 상기 베이스와 인접하는 타 베이스의 연결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품;을 포함하는 바닥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에 의하면, 면판은 베이스 상단 오목홈 내에 끼우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따라 임의로 면판의 종류를 교체할 수 있다. 그 외 면판이 손상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는 새 면판으로 교체하기만 하면 되고 베이스를 함께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주 편리하다. 이 외, 시공할 때 먼저 베이스를 지면에 설치한 다음 가장 마지막으로 면판을 끼워 넣기 때문에 시공의 어려움을 크게 줄이고, 작업효율을 현저히 제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looring having a new assembly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placeable face plat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on the top, the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med on the edge; A face plate fitted into the concave groove; And a connection part installed at a connection hole of the base and a connection hole of another base adjacent to the base to connect the bases to each oth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ce plate is fitted in the base top concave groove, the user can arbitrarily replace the type of face plate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When other situations such as damage to the face plate occurs, the user only needs to replace the new face plate,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base together. In addition, since the base is first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n the face plate is inserted last,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can be greatly reduced, and work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바닥재, 베이스, 면판, 연결부품, 완충쿠션, 오목홈, 연결구멍 Flooring, base, face plate, connecting parts, cushion cushion, recessed groove, connecting hole

Description

바닥재{Plastic Floor}Flooring {Plastic Floor}

본 고안은 건축 장식재에 쓰이는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고 면판의 교체가 편리한 지표면에 까는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ing material used in building decorative materi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ing material that is easy to construct and replaces the face plate is convenient.

바닥재는 흔히 접할 수 있는 건축장식재 중의 하나로, 바닥재의 종류도 비교적 많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바닥재로는 일반적인 타일과 PVC 매트 등이 있는데 이런 바닥재를 깔 때 지면을 평평히 고르고 시멘트 혹은 접착제 등을 바르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롭다.Flooring is one of the common architectural decoration materials, and there are relatively many types of flooring. The most common flooring materials are general tiles and PVC mats, which are cumbersome because they require flattening of the ground and cement or adhesive.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이전에 일종의 합성수지 바닥재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런 합성수지 바닥재는 크게 베이스와, 연결부품 및 베이스 상면에 결합하는 면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닥재를 건축물의 바닥 등에 설치할 경우 서로 인접하는 바닥재의 베이스는 연결부품으로 서로 연결되어 건축물의 바닥에 대응하는 크기로 바닥재 구조를 형성한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has previously proposed a kind of synthetic resin flooring. This synthetic resin flooring is composed of a base, a connecting part and a face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base upper surface.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flooring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ases of the flooring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parts to form a flooring structure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loor of the building.

그러나, 상기 바닥재는 면판이 베이스 위에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자기의 기호에 맞게 면판을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면판이 베이스에 고정되어 교체가 어렵기 때문에, 면판이 손상되면 상기 면판이 고정되는 베이스 를 포함한 모든 바닥재를 폐기해야 하기 때문에 큰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 바닥재를 깔 때 시멘트 혹은 접착제 등을 바르는 작업으로 인한 시공의 어려움 때문에 작업 효율이 떨어져 이를 개진할 필요성이 요구된다.However, the flooring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place the face plate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because the face plate is fixed on the base. In addition, since the face plate is fixed to the base and is difficult to repl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waste occurs because if the face plate is damaged, all flooring materials including the base on which the face plate is fixed must be discarded. In addition, due to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due to the operation of applying a cement or adhesive when laying the synthetic resin flooring as described above is required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바닥재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고 작업 효율이 좋은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는 시공이 용이한 장점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임의로 면판을 교체할 수 있어 아주 편리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raised in the conventional flooring,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ing that is easy to construct and has good work efficiency. This is very convenient because the user can replace the face plate arbitrarily as well as easy construc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면판을 쉽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ing material that can be replaced easily and conveniently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면판의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면판의 손상시 면판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바닥재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ing material that can reduce the replacement cost of the flooring because only the faceplate is replaced when the faceplate is damaged as the faceplate can be replac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형태에 의하면, 상단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연결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오목홈 내에 끼움 결합되는 면판;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연결구멍과 상기 베이스와 인접하는 타 베이스의 연결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품;을 포함하는 바닥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ase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upper end,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med at its edge; A face plate fitted into the concave groove; And a connection part installed at a connection hole of the base and a connection hole of another base adjacent to the base to connect the bases to each other.

상기 베이스의 바닥 부분에는 완충쿠션이 설계되어 있다.A cushion cushion is designed at the bottom of the base.

상기 베이스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은 그물모양 또는 기둥모양을 갖는 간격 보강대가 형성된 다.The base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synthetic resin or synthetic resin. And, the bottom of the base is formed with a gap reinforcement having a net or pillar shape.

상기 베이스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품의 양끝에는 상기 연결구멍과 맞물리는 연결기둥이 형성된다.Connection holes ar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base,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art are formed with connection columns that engage the connection holes.

상기 연결기둥은 위가 크고 아래가 작은 추상체이다.The connecting column is an abstract with a large top and a small bottom.

상기 연결기둥은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외벽 상단에는 탄성홈이 형성된다.The connecting column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elastic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wall top.

상기 베이스의 아래에는 전선이 지나가는 와이어홈이 형성된다.Under the base is formed a wire groov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상기 베이스 안에 발광다이오드(LED) 등을 끼워 넣는다.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base.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면판이 베이스 상단의 오목홈 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임의로 면판의 종류를 교환할 수 있다. 그 외 면판이 손상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는 면판만 교체하면 되고 베이스를 함께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당히 편리하다. 이 외 시공할 때 먼저 베이스를 지면에 설치하고, 가장 마지막에 면판을 끼워 넣기 때문에 시공의 어려움을 크게 줄이고 작업 효율을 현저히 제고할 수 있다.Since the face plate is fitted in the recessed groove at the top of the base, the user can change the type of face plate arbitrarily according to his / her preference. In addition, when a situation such as damage to the face plate occurs, the user only needs to replace the face plate, and it is not convenient to replace the base together. In addition, since the base is first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face plate is inserted at the end, the construction difficulty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work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베이스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연결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베이스와 연결부품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ase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art of a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of a base and a connection part of the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여러 개의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품(20)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베이스(10)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혹은 기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10)와 서로 인접하는 베이스(10)는 그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결부품(20)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0) 상단에 면판(30)을 끼워 넣는다. 상기 면판(30)은 사각형 매트, 인조석 매트, PVC 매트, 타일 등이다. 그 외 상기 베이스(10)의 바닥부분에는 합성수지 발포 재료로 제작된 완충쿠션(40)을 설치하여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가 우수한 방진 기능 및 완충기능을 갖도록 한다.1 to 4, th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es 10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arts 20 connecting the bases 10. The base 10 has a rectangular, square or other polygonal shape, and the base 10 and the base 10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part 20 at the edge thereof. Insert the face plate 30 on the top of the base (10). The face plate 30 is a rectangular mat, artificial stone mat, PVC mat, til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of the base 10 is installed with a cushion cushion 40 made of a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so that the flooring material including the excellent dust and cushioning function.

상기 베이스(10)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수지를 함유하는 재료로 제작되고, 그 상단에는 상기 면판(30)을 끼워 넣는데 사용되는 오목홈(11)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바닥부분에는 그물모양 또는 기둥모양의 간격 보강대(12)가 형성된다. 상기 간격 보강대(12)는 상기 베이스(1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10)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베이스(10)의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The base 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a material containing a synthetic resin, the upper end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11 used to sandwich the face plate 30. The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bar 12 in the shape of a net or column. The spacing reinforcement 12 may not only secure the strength of the base 10, but may also reduce the material of the base 10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base 10.

또한, 실내 전기회로의 배선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0) 아래에는 전선이 지나가는 와이어홈(13)이 형성된다. 이 외 바닥재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 안에는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발광다이오드(LED) 등을 끼워 넣을 수 있다. 물론, 상기 베이스(10) 내에 발광다이오드를 끼워 넣으면 상기 면판(30)은 투광 또는 반투광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바닥재는 야간에 천연색 빛을 낼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지시효과를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환경을 미화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 wire groove 13 through which an electric wire passes is formed under the base 10 to facilitate wiring of an indoor electric circuit. In addition, one or more light emitting diodes (LEDs) may be inserted into the base 10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flooring material. Of course,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 is inserted into the base 10, the face plate 30 should use a translucent or semi-translucent material. In this way, the flooring material can give a natural color light at night, so it can not only produce a directing effect but also beautify the indoor environment.

한편,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하는 베이스(10)를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연결부품(20)의 양끝에는 베이스(10)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연결구멍(14)과 맞물리는 연결기둥(21)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연결을 견고히 하기 위해 상기 연결기둥(21)은 위가 크고 아래가 작은 추상체로 이루어진다. 이 외 연결기둥(21)은 중공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외벽 상단에는 탄성홈(211)이 개설된다. 이렇게 연결기둥(21)을 연결구멍(14) 안에 넣은 후 연결기둥(21)의 상단이 팽창하고 이로 인해 연결구멍(14)과 견고히 결합되어 서로 인접하는 베이스(10)가 헐거워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art 20 used to connect the adjacent base 10 with each other, the connecting pillar engaged with the connecting hole 14 located at the peripheral edge of the base 10 21 is formed. In order to secure the connection of the base 10, the connecting column 21 is formed of an abstract having a large top and a small bottom. In addition, the connection column 21 has a hollow structure, and an elastic groove 211 is open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wall thereof. After inserting the connection column 21 into the connection hole 14,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column 21 expands and is thereby firmly coupled with the connection hole 14, resulting in the phenomenon of loosening of the bases 10 adjacent to each other. You can prevent it.

이때, 상기 완충쿠션(40) 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연결부품(20)의 연결기둥(21)이 통과하는 관통구멍(41)을 개설하여 완충쿠션(40)이 상기 베이스(10)와 결합하도록 해야 한다.At this time, the through-hole 41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column 21 of the connecting part 20 passes must be opened at the peripheral edge of the cushioning cushion 40 so that the cushioning cushion 40 is coupled to the base 10. .

도 6을 참조하면, 본원 고안에 따른 바닥재를 시공할 때에는, 먼저 상기 베이스(10)를 지면(100)에 깔고, 상기 연결부품(20)을 사용하여 각각의 베이스(10)를 연결한 다음, 마지막으로 상기 면판(30)을 베이스(10) 상단의 오목홈(11) 안에 끼워 넣어 주면 시공이 완료되기 때문에 아주 편리하다.Referring to FIG. 6, when constructing a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base 10 is laid on the ground 100, and then each base 10 is connected by using the connecting parts 20. Finally, if the face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11 of the upper end of the base 10, the construction is very convenient.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베이스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base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연결부품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베이스와 연결부품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base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베이스 11: 오목홈10: base 11: recessed groove

12: 간격 보강대 13: 와이어홈12: spacing reinforcement 13: wire groove

20: 연결부품 21: 연결기둥20: connecting part 21: connecting column

211: 탄성홈 30: 면판211: elastic groove 30: face plate

40: 완충쿠션 41: 관통구멍40: cushion cushion 41: through hole

Claims (8)

상단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연결구멍이 형성된 베이스;A base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med at an edge thereof; 상기 오목홈 내에 끼움 결합되는 면판; 및A face plate fitted into the concave groove; And 상기 베이스의 연결구멍과 상기 베이스와 인접하는 타 베이스의 연결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품;을 포함하는 바닥재.And a connecting part installed at a connection hole of the base and a connection hole of another base adjacent to the base to connect the bases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설치되는 완충쿠션을 더 포함하는 바닥재.Flooring further comprising a cushion cushion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as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베이스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며, 그 바닥부분에는 그물모양 또는 기둥모양을 갖는 간격 보강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The base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a synthetic resin or synthetic resin, the bottom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reinforcing bar having a net shape or a column shape is formed.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연결부품의 양끝에는 상기 베이스의 연결구멍과 맞물리는 연결기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Both ends of the connecting part is a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illar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connecting hole of the bas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연결기둥은 위가 크고 아래가 작은 추상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The connecting column is a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 abstract having a large top and a small bottom.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연결기둥은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벽 상단에는 탄성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The connecting column is formed in a hollow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of the outer wall is formed with an elastic groov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베이스의 아래에 전선이 통과되는 와이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groov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through the base is formed.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베이스 안에 발광다이오드(LED)가 끼워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s inserted into the base.
KR2020080009865U 2008-04-16 2008-07-24 Plastic Floor KR2009001074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65U KR20090010741U (en) 2008-04-16 2008-07-24 Plastic Fl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20046462.7 2008-04-16
KR2020080009865U KR20090010741U (en) 2008-04-16 2008-07-24 Plastic Fl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41U true KR20090010741U (en) 2009-10-21

Family

ID=4153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865U KR20090010741U (en) 2008-04-16 2008-07-24 Plastic Fl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741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167B1 (en) * 2010-03-09 2010-08-20 아덴이엔씨 (주) A flooring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167B1 (en) * 2010-03-09 2010-08-20 아덴이엔씨 (주) A flooring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731B1 (en) Snap together floor structure
JP3173625U (en) Plastic flooring
US20080005981A1 (en) Floor light
US20140013698A1 (en) System for a floor covering
US10753092B1 (en) Fiber reinforced surface covering
KR100846833B1 (en) A nonslip for stairs and end-piece cap to combine with it
CN201152003Y (en) Assembled floor
KR100899352B1 (en) A prefabricated foooring materials
KR20090010741U (en) Plastic Floor
KR102120937B1 (en) Panels for walls
IT201700018094A1 (en) Flooring composed of modular prefabricated elements that are easily laid and interchangeable
JP3145216U6 (en) Flooring
KR100821338B1 (en) An ornamental roofing tile on a wall in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ng method
JP3145216U (en) Flooring
CN209924348U (en) Wall decoration board and wall decoration assembly
CN2170342Y (en) Composite rubber floor
KR101399315B1 (en) Wood deck having a draining function
GB2189820A (en) Brick or tile laying spacer aid
KR101744295B1 (en) Block assembly
RU173428U1 (en) TILE
KR100821903B1 (en) Sectional fixing type construction of an ornamental roofing tile on a wall in building and its constructing method
CN201386354Y (en) Reinforced composite anti-slip board
KR20120056331A (en) Deco Pannel of Deck
KR200427787Y1 (en) Wood plastic composite wood tile
US20220381041A1 (en) Interconnected modular frames for groutless setting of hard 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