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272U - 배전반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배전반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272U
KR20090010272U KR2020080004494U KR20080004494U KR20090010272U KR 20090010272 U KR20090010272 U KR 20090010272U KR 2020080004494 U KR2020080004494 U KR 2020080004494U KR 20080004494 U KR20080004494 U KR 20080004494U KR 20090010272 U KR20090010272 U KR 200900102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plate
rotating plate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연
Original Assignee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4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272U/ko
Publication of KR20090010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2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반의 함체에 도어를 설치 시 장착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육면체를 이루는 외형을 밴딩(Bending) 성형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재료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에 따른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아울러 대상물에 장착된 후에는 분해가 어려워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대상물에 고정을 위한 나사홈과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홀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이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회전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려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경첩에 있어서, 고정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는 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그 각각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배전반 도어용 경첩가 개시된다.
경첩, 배전반, 도어, 절곡부

Description

배전반 도어용 경첩{Hinge of door for a distributing board}
본 고안은 배전반의 함체에 도어를 설치 시 장착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면체를 이루는 외형을 밴딩(Bending) 성형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재료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에 따른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아울러 대상물에 장착된 후에는 분해가 어려워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配電盤)은 발전소, 변전소 등과 같은 광범위한 산업플랜트 및 전력설비의 조작, 감시 전원을 일괄적으로 수용하여 분배하는 장치로서, 감전 및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외부와 직접적인 접촉을 제한하고, 내부에 수납되는 각종 차단기와 장비를 보호하도록 금속판재를 밴딩 가공하여 박스형태로 제작한 함체와, 금속판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사각형태 등으로 밴딩 가공하여 강성을 보강한 도어가 경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경첩은 각종 표시등과 계기가 배치되어 그 하중이 상당한 배전반 도어를 안정적으로 지탱해야 하는 특성을 충족시키고, 함체와 도어에 대한 결합방향이 서로 수직이게 형성되는 점을 고려함과 동시에 외관상의 미려함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한 외형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배전반 도어용 경첩(1)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힌지홀(11)이 형성되고, 일측에 나사홈(12)이 형성된 다수의 힌지블록(10)을 힌지축(20)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힌지블록(10)에 형성된 나사홈(12)이 배전반의 함체(C) 및 도어(D)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C1,D1)과 대향되게 순서대로 배치하여 각각 볼트(30)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경첩(1)은 힌지블록(10)이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단일체 주조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체 무게가 상당하며 제조원가 높을 뿐만 아니라, 볼트(30)를 나사홈(12)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자칫 과도하게 조일 경우 그 단부가 힌지축(20)과 접촉되어 힌지블록(10)의 회전동작 시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종종 발생되었다.
또한, 힌지축(20)의 상하단부가 힌지블록(10)의 상하부에 무방비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힌지축(20)의 어느 한 방향 단부에 강제로 외력을 가하면 힌지축(20)이 힌지블록의 힌지홀(11)을 따라 하방 또는 상방으로 빠지면서 다수의 힌지블록(10)이 쉽게 분리되고, 그에 따른 도어(D)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도난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도어에 설치된 후에는 힌지부가 분해되지 않도록 하여 도난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전반 도어용 경첩을 개발하 고자 다년간 예의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고안을 창안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대상물에 고정을 위한 나사홈과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홀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이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회전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려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경첩에 있어서, 고정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는 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그 각각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배전반 도어용 경첩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절곡부는, 고정플레이트에서 수직으로 절곡하되,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홈이 다수 형성된 후면절곡부와, 후면절곡부의 상/하부에서 고정플레이트의 상/하단부를 감싸도록 각각 절곡된 상면 및 하면절곡부와, 회전플레이트에서 수직으로 절곡하되,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홈이 다수 형성된 측면절곡부를 포함하는 배전반 도어용 경첩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고안은 고정플레이트 및 회전플레이트가 밴딩 성형을 통해 육면체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무게는 감소되어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기존의 경첩에 비해 재료가 절감되므로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절곡부가 힌지축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받쳐줌과 동시에 그 노출을 차단함으로 인해 외력을 가하더라도 힌지축이 하부로 이탈되지 않아 고정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가 쉽게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도난의 방지 등 사용상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 및 통용되는 고유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용 경첩을 분해 및 결합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용 경첩(100)은 고정플레이트(110)와 회전플레이트(120)가 육면체의 외형을 이룰 수 있도록 그 각각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112,114,116,122)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플레이트(110)는 함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에 회전플레이트(120)와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홀(111)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홀(111)은 고정플레이트(110)의 끝단을 둥글게 굽어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홀(111)의 반대쪽 고정플레이트(110)에는 그로부터 연장되어 내향으로 수직 절곡된 후면절곡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면절곡부(112)의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홀(113)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홀(113)은 홀 플랜징 가공에 의해 형성된 홀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탭 가공을 하여 형성함으로써 고정부재와 더욱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후면절곡부(112)의 상부에는 고정플레이트(11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그로부터 연장되어 내향으로 수직 절곡된 상면절곡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절곡부(112)의 하부에는 고정플레이트(1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그로부터 연장되어 내향으로 수직 절곡된 하면절곡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절곡부(114)에는 힌지축(13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홀(115)이 힌지홀(111,121)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면절곡부(116)는 힌지축(130)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받쳐줌과 동 시에 그 노출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므로 외력을 가하더라도 힌지축(130)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면절곡부(114)에 형성된 삽입홀(115)은 힌지축(130)의 상단부가 상면절곡부(114)에 묻힌 상태를 이루도록 하므로 힌지축(130)의 파지를 곤란하게 하고, 그로 인해 힌지축(130)을 상부로 이탈시키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20)는 도어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플레이트(110)와 대응하는 형상, 즉 힌지홀(121)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플레이트(110)와 서로 맞물려 힌지축(1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홀(121)의 반대쪽 회전플레이트(120)에는 그로부터 연장되어 내향으로 수직 절곡된 측면절곡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절곡부(122)의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홀(123)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플레이트의 힌지홀(111)과 회전플레이트의 힌지홀(121)이 서로 맞물리는 사이에는 간격조절링(14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격조절링(140)은 고정플레이트 및 회전플레이트 상호 간의 조립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110)와 회전플레이트(120)가 서로 조합되어 육면체 형상을 이룰 경우, 그 각각의 힌지홀(111,121)은 육면체의 한쪽 구석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회전플레이트(120)의 회전동작이 한층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과 아울러 깔끔한 외관미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플레이트(110) 및 회전플레이트(120)는 밴딩 성형을 통해 견고한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단일체 주조물에 비해 무게가 감소되어 경량화는 물론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외관상의 미려함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용 경첩(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10)와 회전플레이트(120)가 대상물인 함체(C)와 도어(D)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B)와 나사홀(113,123)을 통해 각각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도어(D)의 개폐 시 회전플레이트(12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플레이트(110)와 수직인 상태, 즉 상호 간에 이루는 각도가 90°일 경우 도어(D)는 닫힌 상태가 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에 이루는 각도가 90°를 넘어갈 경우 도어(D)는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110)와 회전플레이트(120)의 상호 간에 이루는 각도가 90°일 경우 회전플레이트(120)의 측면절곡부(122)의 테두리가 고정플레이트(110)의 후면절곡부(112)의 내측에 접촉되면서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고정플레이트(110)와 회전플레이트(120)의 상호 간에 이루는 각도가 90°이내로 줄어들 수 없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B)가 함체(C) 및 도어(D)의 내측에서 고정플레이트(110) 및 회전플레이트(120)의 나사홀(123)과 결합됨으로 인해 도어(D)가 닫힌 경우에는 그 결합상태를 해체할 수 없는 데다 하면절곡부(116)가 힌지축(130)의 하단부를 커버하여 외력을 가하더라도 힌지축(130)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함체(C) 및 도어(D)에 장착된 후에는 고정플레이트(110)와 회전플레이트(120)를 강제로 분해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배전반 도어용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용 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용 경첩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경첩 110: 고정플레이트
111: 힌지홀 112: 후면절곡부
113: 나사홀 114: 상면절곡부
115: 삽입홀 116: 하면절곡부
120: 회전플레이트 121: 힌지홀
122: 측면절곡부 123: 나사홀
130: 힌지축 140: 간격조절링
C: 함체 D: 도어
B: 고정부재

Claims (4)

  1. 대상물에 고정을 위한 나사홈과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홀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이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회전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려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는 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그 각각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배전반 도어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내향으로 수직 절곡하되,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홈이 다수 형성된 후면절곡부와;
    상기 후면절곡부의 상/하부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하단부를 감싸도록 각각 수직 절곡된 상면 및 하면절곡부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서 내향으로 수직 절곡하되,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홈이 다수 형성된 측면절곡부;
    를 포함하는 배전반 도어용 경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절곡부에는 힌지축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이 형성된 배전반 도어용 경첩.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힌지홀과 회전플레이트의 힌지홀이 서로 맞물리는 사이에는 고정 및 회전플레이트 상호 간의 조립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링이 구비된 배전반 도어용 경첩.
KR2020080004494U 2008-04-04 2008-04-04 배전반 도어용 경첩 KR200900102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94U KR20090010272U (ko) 2008-04-04 2008-04-04 배전반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94U KR20090010272U (ko) 2008-04-04 2008-04-04 배전반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72U true KR20090010272U (ko) 2009-10-08

Family

ID=4153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494U KR20090010272U (ko) 2008-04-04 2008-04-04 배전반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2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849A (ko) 2022-06-20 2023-12-27 선도전기주식회사 배전반 박스의 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849A (ko) 2022-06-20 2023-12-27 선도전기주식회사 배전반 박스의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6377A (en) Weatherproof electrical enclosure
CA2092516C (en) Weatherproof electrical enclosure
US5148348A (en) Polymeric enclosure for electrical apparatus
US20190257125A1 (en) Hinge arrangement for a switchgear cabinet housing, and corresponding switchgear cabinet housing
US9284760B2 (en) Electrical panelboard guard
US11394188B2 (en) Support apparatus usable with electrical enclosure
RU2530098C2 (ru) Дорожное смот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90010272U (ko) 배전반 도어용 경첩
WO2012143284A1 (en) Hinge assembly for a switchgear panel
JP6370402B2 (ja) ハウジング、特に工業用ハウジング
KR101817623B1 (ko) 조립식 전기 컨트롤 박스
WO2014066200A1 (en) Electrical housing with laterally-pivoting hood
JP2010083164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用カバー
FI99233C (fi) Kotelo sähkö-, elektroniikka- ja pneumatiikkakojeiden ja laitteiden asentamista, eristämistä ja kotelointia varten
US9490615B2 (en) Selectable locking flip cover
US9946044B1 (en) Equipment cabinet with movable stile
CN107533937B (zh) 用于断路器的操作机构的罩壳
KR200459285Y1 (ko) 옥외 설치용 함체 및 그 옥외 설치용 함체에 사용된 함체 보호 커버
EP3401228B1 (en) Multi-directional hinged connection system for use between electrical boxes and the corresponding covers or frames thereof
CN205336694U (zh) 一种卫星接收盒子的下盖
CN212231018U (zh) 一种线槽
JP2010011559A (ja) 住宅用分電盤の扉体構造
CN210986626U (zh) 一种新型操作台
BRPI1102114A2 (pt) compartimento de seguranÇa para baterias
CA2602866A1 (en) Guard and electrical enclosure employ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